KR200215404Y1 -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 Google Patents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404Y1
KR200215404Y1 KR2020000018989U KR20000018989U KR200215404Y1 KR 200215404 Y1 KR200215404 Y1 KR 200215404Y1 KR 2020000018989 U KR2020000018989 U KR 2020000018989U KR 20000018989 U KR20000018989 U KR 20000018989U KR 200215404 Y1 KR200215404 Y1 KR 200215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tation
swimming
room
blower
swimm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9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종
Priority to KR2020000018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4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404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부양체를 공중에 부양하여 유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송풍기 및 송풍관을 사용한 공중유영놀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wimming play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blowers and a blower tube for allowing a person or a support to float in the air by using a buoyancy of a fluid.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로부터 기류을 일으키는 다수의 송풍기와 발생된 기류을 안내하여 부양실로 보내는 다수의 송풍관으로 이루어지는 송풍장치와, 상기 다수의 송풍관의 부양실 사이에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부양실로 구성되는 공중유영놀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low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wers for generating air flow from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blowers to guide the generated air flow to the flotation room, and a plurality of blowers for protecting the user between the flotation rooms of the plurality of blowers Provided is a public swimming device comprising a protection net and a flotation room install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on net.

Description

공중유영놀이장치{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본 고안은 유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부양체를 공중에 부양하여 유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송풍기 및 송풍관을 사용한 공중유영놀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wimming play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blowers and a blower tube for allowing a person or a support to float in the air by using a buoyancy of a fluid.

종래의 부양장치는 부양실의 하부에 철망을 설치하고 철망 하부에 단일의 송풍기 또는 송풍관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종래 부양장치는 철망 하부에 송풍기의 팬을 장착하고 회전시켜 기류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기류로 사람을 공중에 띄우는 것이다.Conventional flotation device is to install a wire mesh in the lower part of the flotation room and to install a single blower or blower pipe in the lower part of the wire mesh. Conventional flotation device is to mount the fan of the blow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mesh and rotate to generate air flow and float the person in the air with the generated air flow.

즉, 팬을 회전시켜 팬의 하부에 있는 공기를 팬의 상부로 불어내고 팬의 하부에 있는 공기의 압력이 떨어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한 공기가 계속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an is rotated to blow air from the bottom of the fan to the top of the fan,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at the bottom of the fan drops,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compensate for this.

이와 같은 종래의 부양장치는 부양실의 중앙으로 상승하는 기류가 부양실의 내측 벽면을 타고 상승하는 기류가 와류현상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flotation device has a risk that the air flow rising to the center of the flotation room may rise due to the air flow rising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flotation room may cause a vortex.

또한, 종래의 부양장치는 송풍기에서 나오는 기류가 일정하여 별다른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였고 또한, 팬과 공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시끄러운 소음으로 청각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lotation device has a constant air flow from the blower did not cause any interest, and also has the risk of seriously affecting the hearing by the loud noise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fan and the air.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면서 놀 수 있는 공중유영놀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ial swimming play device that can be played while people are freely floating in the air by using the buoyancy of the flui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중부양장치는 운동선수나 공중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기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공중유영놀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ial swimming device that can be utilized as a training device that allows the athletes or people who are active in the air to practice freely in the suspended stat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기의 소음을 줄여 청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사람들이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공중유영놀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swimming device that people can safely enjoy by reducing the noise of the blower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hear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중유영놀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로부터 기류을 일으키는 다수의 송풍기와 발생된 기류을 안내하여 부양실로 보내는 다수의 송풍관으로 이루어지는 송풍장치와, 상기 다수의 송풍관과 부양실 사이에 설치되는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벽체를 갖는 부양실로 구성되는 것을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The air swimming 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low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wers for generating air flow from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blowers to guide the generated air flow to the flotation room, and the plurality of blowers and support It is a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ist of a flotation room having a plurality of protection nets for protecting users installed between the rooms, and walls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on net.

상기 유체는 공기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상기 송풍관의 끝은 깔때기 모양을 하고 상기 보호망은 사각형상으로 사람이 착지와 비상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졌으며 상기 부양실은 천정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를 포함한다.The fluid includes air and the blower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the end of the blower tube is shaped like a funnel, the guard net is made to allow a person to land and fly in the shape of a rectangle, and the flotation chamber has a ceiling. Includes a swimming pool for playing.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실시예1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1 of a swimming gam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실시예1의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erial swim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실시예1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Embodiment 1 of a swimming game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실시예2의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Embodiment 2 of a swimming game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실시예3의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public swi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실시예4의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Embodiment 4 of a swimming game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허리밴드의 부착예.Figure 7 is an example of the attachment of the waistband of the aerial swi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부양정의 실시예.Figure 8 is an embodiment of a floating boat of the aerial swimm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의 보드의 실시예.9 is an embodiment of a board of a swimming game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송풍장치 11 : 송풍기10 blower 11 blower

12 : 송풍관 13 : 팬(fan)12: blower tube 13: fan

20 : 부양실 21 : 보호망20: support room 21: protection net

22 : 벽체 30 : 부양체22: wall 30: flotation

31 : 허리밴드 32 : 부양정31: Waistband 32: Buyangjeong

33 : 출입구33: doorway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도, 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송풍기(11) 및 송풍관(12)으로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사람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보호망(21)과, 보호망을 바닥 또는 천정으로 하는 부양실(20)을 그 구성요소들로 가진다는 점에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blower 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owers 11 and a blower tube 12, a plurality of protection nets 21 for protecting people safely, It is to implement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has the floor or ceiling support room 20 as its components.

본 고안은 여러 사람을 부양시킬 수 있도록 부양실(20)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부양실(20) 하부에 다수개의 송풍기(11)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송풍관(12)을 사용하여 상승기류를 부양실(20)로 모아 들이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size of the flotation room 20 to support various people, installs a plurality of blowers 11 under the flotation room 20, and uses a plurality of blowers 12 to support the raised airflow. It consists of gathering in (20).

도2 또는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송풍장치(10)는 사각배열 또는 오각배열등 다각형 형상의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각각의 송풍기에 송풍관(12)을 연결하고 상기 송풍관(12)의 일단은 깔때기 형상의 모양으로서 부양실(20) 내부 전체에 걸쳐 상승기류을 공급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or FIG. 5, the plurality of blowers 10 have a regular arrangement of polygonal shapes such as quadrangular arrays or pentagonal arrays, and connect the blower tubes 12 to the respective blowers, and the blower tube 12 One end of the funnel-shaped shape is to supply the upward air flow throughout the interior of the flotation room (20).

도3 또는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는 송풍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부양실(20)에 기류를 공급하는 송풍기(11)는 시속 120km이상의 수직상승기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비행기용 프로펠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특징인 다수개의 송풍기(10)는 기류의 발생속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공중에서 부양된 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유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or Fig. 4, the blower is installed at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blower. The blower 11 for supplying airflow to the flotation chamber 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irplane propeller or the like so as to cause vertical upward airflow of 120 km per hour or more. A plurality of blowers 1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ble to swim freely while being floated in the air by varying the speed of air flow.

안전망쪽 송풍관(12)의 일단은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송풍관(12)에서 방출되어 부양실(20) 내부로 균일하게 퍼지면서 상승기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One end of the safety net side blower tube 12 is to form a funnel to b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lower tube 12 to uniformly spread into the flotation room 20 to form an upward airflow.

도1 내지 도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양실(20)은 보호망(21)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되게 탄성재질의 벽체(22)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형은 보호망(21)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형 또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각형상의 부양실(20)의 경우 모서리등 각이 진 곳에는 안전을 위해서 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완충장치로서 스폰지 또는 공기가 주입된 튜브형상의 기둥을 설치하는 것도 좋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buoyancy chamb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wall 22 of the elastic material vertical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ective net 21, the appearance of the protective net 21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or polyhedr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In the case of the polygonal flotation chamber 20,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tubular column in which sponge or air is injected as a shock absorber in order to secure an impact or to relieve an impact at an angle such as a corner.

상기 벽체(22)는 사람의 안전을 위하여 탄성재질로 형성하고 기류의 세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천정을 형성하여 밀폐시키는 것도 좋다. 이때 상기 벽면이나 천정에 허리밴드(31)나 보드 또는 부양정(32) 등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 wall 2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the safety of the person,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air flow, and may be sealed by forming a ceil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fixing device to firmly fix the waist band 31, the board or the buoy 32 on the wall or ceiling.

도6은 본 고안의 공중유영놀이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 송풍장치(10)가 부양실(2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이다.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swimming 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wer 10 is installed on top of the support room (20).

이와 같은 공중유영놀이장치는 팬(13)을 뒤집어서 장착하여 회전시키거나 팬(13)을 역회전시켜 팬(13) 하부의 공기가 팬(13)의 상부로 상승하고 팬(13) 하부의 공기압력이 낮아지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밑바닥의 공기가 팬(13)의 하부까지 이동하면서 팬(13)의 회전으로 팬(13)의 상부로 수직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Such a swimming game device is installed by turning the fan 13 upside down to rotate or reverse rotation of the fan 13 to raise the air from the bottom of the fan 13 to the top of the fan 13 and the air below the fan 13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essure, the bottom air moves to the bottom of the fan 13 to form a vertical upward air flow to the top of the fan 13 by the rotation of the fan 13.

따라서, 기류는 팬(13)의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상승하면서 사람을 띄우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특히 팬(13)과 공기의 마찰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발생된 소음은 상승기류와 더불어 외부로 발산되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Thus, the airflow floats a person while ris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of the fan 13 to the top. Such a configuration is particularly intended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fan 13 and the air as much as possible.

또한, 이와 같이 송풍장치(10)가 상부에 설치된 공중유영놀이장치의 보호망(21)은 사람의 안전을 위해서 부양실(2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on net 21 of the air swimming play device in which the blower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otation chamber 20 for the safety of the person.

부양실(20)의 상,하부에 안전망이 설치된 공중유영놀이장치는 하부의 그물형상의 안전망을 대신하여 트램펄린(trampoline) 형태의 안전망을 설치하여 착지 및 비상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흥미롭게 하는 것이 좋다.The public swimming play device having safety net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otation room 20 may be more interesting by installing a trampoline-type safety net in place of a net safety net at the bottom to enable landing and emergency.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중유영놀이장치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다수의 보호망(2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protection nets 21 in order to use the swimming game 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afely.

즉, 상기 보호망을 밑바닥 또는 천정으로 하고 탄성재질의 벽체(22)를 경계로 하여 송풍기(11)의 수직상승기류를 타고 사람을 부양시키는 부양실(20)의 내부에 안전을 위해서 허리밴드(31)로 인체의 허리 등에 탈착되거나, 도8 또는 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또는 부양정(32) 등과 같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부양체(3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That is, the waistband (31) for safety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room 20 for supporting the person in the vertical rising air flow of the blower 11 with the protective net as the bottom or ceiling and the wall 22 of the elastic material as a boundary.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upport body 30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waist, etc. of the human body, or as boarded by a person such as a board or a support boat 32.

상기 부양정(32)은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구 또는 다면체의 형상으로써 외측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출입구(33)를 설치하고, 내부에는 허리밴드(31)를 내설하여 인체를 고정하는 것이다.The buoyancy 32 is a spherical or polyhedral shape that can enter a person inside the door 33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ide on the outside, and inside the waistband 31 to fix the human body.

부양정(32)의 재질은 부양정(32) 전체에 걸쳐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 들여다 볼 수 있는 가벼우면서도 투명한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부분을 투명한 재질로 제작해도 무방하다.The material of the buoyant tablet 3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light and transparent rubber or plastic that can look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buoyant tablet 32, but a part of the buoyant tablet 3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Do.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먼저 송풍기(11)를 가동시켜 부양실(20)에 기류을 일으키고 상대적으로 기류이 약한 부양실(20)의 트램펄린(스프링이 달린 캔버스로 된 도약용 운동 용구)등의 안전망 외주면으로부터 중앙부로 이동하여 부양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양실(20)의 트램펄린 중앙에 사람이 위치한 후에 송풍기(11)의 기류의 세기를 점점 증가시키면서 부양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The method of using the air swimming 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blower 11 first to cause air flow in the flotation room 20, the relatively low air flow of the trampoline (spring with a canvas for spring leap) It is preferable to mov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net such as an exercise tool to the flotation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irflow of the blower 11 after the pers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ampoline of the flotation chamber 20.

유영후 착지방법은 송풍기(11)의 기류의 세기를 점점 약화시키면서 트램펄린 위로 착지하거나, 기류이 약한 트램펄린의 모서리쪽으로 이동하여 착지하는 것이 좋다.After swimming, the landing method may be landed on the trampoline while gradually decreasing the strength of the airflow of the blower 11, or may be landed by moving toward the edge of the weak trampolin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중유영놀이장치는 상가나 주택가의 공터 등에 간편하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바퀴 등의 이동수단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wimming device for swimm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ving means such as wheels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in an empty lot of a shopping mall or a residential area.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중부양장치는 부력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유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다른 메카니즘의 놀이가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ev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laying a different mechanism by allowing people to freely swim in a state of buoyancy using buoyancy.

또한, 본 고안의 공중부양장치는 부력을 이용하여 공중에서 활동하는 운동선수들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유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연습기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ev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exercise training apparatus by allowing athletes who are active in the air to float freely in the air floating state using buoyancy.

그리고 본 고안의 공중부양장치는 송풍기를 부양실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송풍기의 소음을 줄여 청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사람들이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공중유영놀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d the lev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swimming play device that people can enjoy safely by minimizing the impact on the hearing by reducing the noise of the blower by installing the blower in the upper part of the flotation room.

Claims (12)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로부터 기류을 일으키는 다수의 송풍기와 발생된 기류을 안내하여 부양실로 보내는 다수의 송풍관으로 이루어지는 송풍장치와, 상기 다수의 송풍관과 부양실 사이에 설치되는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벽체를 갖는 부양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A blow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wers that generate air from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blowers that guide the generated airflow to the flotation room, and a plurality of protection nets for protecting a user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blowers and the flotation room; Swimm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otation room having a wall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ve 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2. The swimm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luid is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aerial swimm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의 일단이 깔때기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aerial swimm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blower tube has a funne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실은 사각형상으로 탄성재질의 벽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aerial swimm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tation chamber is formed as a wall of an elastic material in a rectangu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실은 사람이 착지 및 비상할 수 있는 탄력있는 그물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lotation room is a public sw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silient net that can be landed and fly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유영놀이장치는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2. The swimm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wimming game adds a moving means to be mov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부양실의 상부에 설치되고 부양실의 상하부에 보호망을 내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lotation room, the aerial sw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ve net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lotation room.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부양실의 내부에 사람의 안전을 위해서 부양실에 지지 고정되는 부양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public sw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ody is installed in the support room fixed to the support room for the safety of the person installed.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부양체는 일단이 벽체 또는 천정에 지지 및 고정되고 타단이 사람의 허리등의 신체에 직접 부착되는 다수개의 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flotation body is one end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wall or ceiling, and the other end is a public sw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nds directly attached to the body, such as a person's wais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부양체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출입구를 갖고 내부에 사람을 지지 고정하는 허리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구 형상의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floating body is a sw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shape is equipped with a waistband for supporting a person in the interior having a doorway for people to rid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부양체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출입구를 갖고 내부에 사람을 지지 고정하는 허리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다면체 형상의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유영놀이장치.The support body is a public swim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sided device is equipped with a waistband for supporting a person in the interior having a doorway for people to ride.
KR2020000018989U 2000-07-03 2000-07-03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KR2002154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89U KR200215404Y1 (en) 2000-07-03 2000-07-03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89U KR200215404Y1 (en) 2000-07-03 2000-07-03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404Y1 true KR200215404Y1 (en) 2001-03-15

Family

ID=7305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989U KR200215404Y1 (en) 2000-07-03 2000-07-03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40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513B1 (en) * 2007-06-29 2008-10-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laying apparatus using levitation and waistcoat of the same
KR101206839B1 (en) 2012-05-25 2012-11-30 이택근 Supersized pneumatic floa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513B1 (en) * 2007-06-29 2008-10-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laying apparatus using levitation and waistcoat of the same
KR101206839B1 (en) 2012-05-25 2012-11-30 이택근 Supersized pneumatic flo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0097A (en) Ball target with multi-directional discharge openings
US3081726A (en) Underwater viewers
US6551215B1 (en) Climbing structure
US20050043122A1 (en) Pool or trampoline game accessory
US3176982A (en) Resilient repelling amusement device
US20100229296A1 (en) Self Inflating Pool
US4129905A (en) Swimming pool rescue net
US6360988B1 (en) Personnel lift device and amusement use thereof
KR200215404Y1 (en) A playing device for aerial buoyance
KR100481193B1 (en) Facility for playing
KR100904117B1 (en) Play apparatus
JPS6244509B2 (en)
KR100963100B1 (en) Spherical air tube for playing in the water
JP2007097813A (en) Aerial swimming simulation experience apparatus
EP0277136B1 (en) Aquatic amusement device
US5416933A (en) Apparatus for spraying water in a child's wading pool to simulate a typhoon
KR100866074B1 (en) Playing apparatus using levitation and waistcoat of the same
KR100863513B1 (en) Playing apparatus using levitation and waistcoat of the same
RU60386U1 (en) WATER AERODYNAMIC ATTRACTION (OPTIONS)
CN201802092U (en) Self-inflating pond
JP2729364B2 (en) Play equipment
RU2323760C1 (en) Water aerodynamic structure for public entertainment (variants)
CN2423907Y (en) Physical training appts. of simulating air soaring
CN2503952Y (en) Non-loaded flight large amusement equipment
JP3410336B2 (en) Pla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