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58Y1 -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58Y1
KR200214458Y1 KR2020000022544U KR20000022544U KR200214458Y1 KR 200214458 Y1 KR200214458 Y1 KR 200214458Y1 KR 2020000022544 U KR2020000022544 U KR 2020000022544U KR 20000022544 U KR20000022544 U KR 20000022544U KR 200214458 Y1 KR200214458 Y1 KR 200214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strus
livestock
estro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영
Original Assignee
정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영 filed Critical 정제영
Priority to KR2020000022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58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가축의 발정을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의 발정 신호 발생부는 가축이 발정하여 다른 가축과 교미를 위해 접촉하는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접촉하는 힘에 의해 구동되어 발정 정보를 갖는 발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발정 신호 수신부는 무선으로 송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발정 신호로부터 발정 정보를 추출하며, 발정 정보는 발정 신호 발생부가 부착된 가축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고유 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이 장치는, 개체의 발정을 조속히 정확하게 확인시켜 수태율을 향상시키고, 분만 간격을 상당히 단축시키고, 육안으로 발정의 유무를 관찰하기 어려운 가축의 발정을 감지할 수 있으며, 육안에 의해 발정을 관찰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교미시 체격이 작은 가축의 상해를 미연에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estrus of poultry}
본 고안은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 돼지, 염소등과 같은 가축의 발정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의 수정 적기를 정확히 알아내는 것은 농장의 수익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즉, 가축의 자연적 교미에 의존할 경우 수태율이 낮기 때문에 높은 수태율을 얻고자 수정 적기를 조기에 가려내야 한다. 이러한 수정 적기를 알기 위해서는 가축의 발정 여부를 알아야 하며, 가축의 발정 여부는 가축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서 획득된다. 예를 들어, 소의 경우, 평균적인 발정 지속 시간이 약 20 시간이므로 아침에 1회, 저녁에 1회 및 장애물이 없는 방목지 혹은 운동장에서 30분 정도 그의 행동을 관찰하여야 한다. 특히, 약 70% 정도의 소는 야간에서 아침에 걸쳐 발정을 나타내므로 아침과 저녁의 발정 관찰이 매우 중요하다.
어느 연구 조사에 의하면, 농장의 전문 직원이 가축의 발정을 알아내는 비율은 60%정도밖에 않되며 그 중에서도 45% 정도는 비 정상적인 발정 주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당히 주의를 기울여 가축을 관찰하여야 하고, 근무 시간을 물론 24시간 내내 가축의 행동 양태를 관찰하여야 한다. 특히, 소같은 가축의 발정 기간과 배란 기간은 매우 짧은 편이어서 지속적인 관찰을 하지 않으면 발정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하루에도 몇 차례 가축을 관찰하고 이를 번거롭게 기록하여야 한다.
따라서, 발정 탐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현재까지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술들중 종래의 발정 탐지 기술로서, 발정의 정도에 따라 소의 질내 점액의 산도(PH) 변화를 조사하여 소의 발정을 알아내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탐지 기술은 정확하게 가축의 발정을 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발정 탐지 기술로서, 발정이 일어나는 순간 질내 점액의 전기적인 저항의 변화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교미 적기를 탐지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역시 발정을 탐지할 때마다 탐지 장치를 소의 질내에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축의 발정을 원격으로 지속적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발정 신호 발생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정 신호 발생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는, 가축이 발정하여 다른 가축과 교미를 위해 접촉하는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접촉하는 힘에 의해 구동되어 발정 정보를 갖는 발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발정 신호 발생부 및 무선으로 송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발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발정 신호로부터 상기 발정 정보를 추출하는 발정 신호 수신부로 구성되고, 발정 정보는 상기 발정 신호 발생부가 부착되어 있는 가축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고유 코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제1, 제2, 제3, ... 및 제N 발정 신호 발생부들(10, 12, 14, ... 및 16) 및 발정 신호 수신부(2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발정 신호 발생부들(10, 12, 14, ... 및 16) 각각은 가축이 발정하여 다른 가축과 교미를 위해 접촉하는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가축의 발정을 감지하고, 가축의 발정에 의해 가축들간의 접촉시 발생하는 접촉력에 의해 구동되어 발정 정보를 갖는 발정 신호(S1, S2, S3, ... 또는 SN)(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발정 정보는 발정 신호 발생부(10, 12, 14, ... 또는 16)가 부착된 가축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고유 코드를 가지며, 발정 신호를 발생하는 발정 신호 발생부(10, 12, 14, ... 또는 16)의 고유한 식별번호인 호핑 코드를 더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임의의 가축에 부착되어 있는 발정 신호 발생부가 분실되었을 경우, 이전에 분실된 발정 신호 발생부가 갖는 고유한 호핑 코드를 새로 마련한 발정 신호 발생부에 기록함으로써, 발정 신호 수신부(20)를 교체할 필요없이 분실하기 이전과 동일한 상황에서 새롭게 마련된 발정 신호 발생부와 발정 신호 수신부(20)가 무선으로 발정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를 예로 들면, 암소의 발정은 '숫소의 승가를 허용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발정 기간은 '발정 주기중 숫소의 승가를 허용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Standing estrus'라는 용어도 '수컷의 승가와 교미 허용을 위하여 암컷이 가만히 서 있음'을 의미한다. 대다수의 목장에서 숫소와 암소를 혼방하지 않으므로, 암소들끼리 승가하는 행위로서 발정을 확인하고 있다. 암소들끼리 승가하는 경우, 대개는 승가하는 쪽보다 승가를 허용하는 쪽이 발정하고 있는 소이다. 따라서, 암소가 발정하여 다른 가축의 승가를 허용할 때, 승가하는 소가 승가 당하는 암소에 부착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발정 신호 발생부를 통상적으로 교미에 소요되는 소정 시간 동안 접촉함으로써, 발정 신호 발생부가 그 접촉력에 의해 구동되어 발정 신호를 무선으로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발정 신호 발생부(10, 12, 14, ... 또는 16)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발정 신호 발생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접촉 감지부(30), 전원 공급부(32), 인코더(34) 및 신호 변조부(36)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접촉 감지부(30)는 가축이 교미할 때 접촉되는 접촉력를 감지하면, 전원 공급부(32)의 전원은 인코더(34)의 전원으로서 공급되고, 동시에 인코더(34) 신호 입력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발정 신호 발생부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지 않고, 가축이 접촉을 하였을 때만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현된다. 이는 무선으로 동작하는 발정 신호 발생부가 갖는 배터리(미도시)의 사용 기간을 연장하기 위함과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접촉 감지부(30)는 후술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없는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가축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결국, 가축의 접촉이 없을 때는 배터리의 소모가 전혀 없게 된다.
인코더(34)는 전원 공급부(3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구동하며, 발정 정보 즉, 전술한 가축의 고유 코드와 호핑 코드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결과를 신호 변조부(36)로 출력한다. 여기서, 인코더(34)는 발정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펄스 폭 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인코더(34)는 PWM 방식으로 발정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신호 변조부(36)는 인코더(34)에서 인코딩된 결과를 주파수 변조하고, 주파수 변조된 결과를 제1 ∼ 제N 발정 신호들(S1, S2, S3, ... 및 SN)중 하나인 발정 신호(Si)로서 무선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주파수 변조 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가축의 소정 부위에 부착되는 각 발정 신호 발생부의 안테나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안테나의 바람직한 길이는 70㎜이내이다. 게다가, 신호 변조부(36)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채택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인코딩된 결과를 진폭 변조(AM:Amplitude Modulation)할 경우 수백미터 이상으로 발정 신호를 송신하는데 애로가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제2, 제3, ... 및 제N 발정 신호 발생부들(10, 12, 14, ... 및 16) 각각은 수막 처리될 수 있고, 가축의 외피에 부착되거나 몸안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발정 신호 발생부는 부착이 용이하며 견고할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20)는 제1 ∼ 제N 발정 신호 발생부들(10, 12, 14, ... 및 16)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정 신호들을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유효한 발정 신호로부터 발정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정 신호 수신부(2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발정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발정한 가축의 고유 번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줄 수도 있으며, 유효한 발정 신호가 수신될 때 사용자에게 출력단자 OUT를 통해 발정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가축이 발정하였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20)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20)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신호 복조부(40), 저장부(44), 제어부(42) 및 디스플레이부(46)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신호 복조부(40)는 무선으로 송신된 발정 신호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수신하여 주파수 복조하고, 주파수 복조된 결과를 제어부(42)로 출력한다. 즉, 신호 복조부(40)는 발정 신호를 도 2에 도시된 신호 변조부(36)에서 변조되기 이전의 상태인 인코더(34)에서 인코딩된 결과로 복조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44)는 발정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제어부(42)는 발정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유효 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42)는 가축의 교미에 소요되는 시간 이상 동안 발정 신호가 수신될 때만 복조된 결과가 유효한 정보임을 나타내는 유효 신호를 발생한다. 이는, 가축의 교미에 의하지 않는 발정 신호가 발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유효한 신호만을 처리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가축의 교미에 소요되는 시간은 소의 경우에 수 초이내이다. 또한, 제어부(42)는 발정 신호가 소정 시간동안 연속하여 수신된 횟수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유효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예컨데, 가축의 교미시 교미하는 가축들간에 접촉이 예를 들어 2회정도 발생하였다면, 발정 신호가 연속하여 2회 수신되는 것을 통해 제어부(42)는 발정 신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한다.
유효 신호가 발생될 때, 제어부(42)는 신호 복조부(40)에서 복조된 결과를 디코딩하여 추출한 발정 정보를 저장부(44)에 저장시키고, 저장부(4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정 정보들중 해당하는 발정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되는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46) 따위로 독출시킨다. 디스플레이부(4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2)의 제어하에 저장부(44)로부터 독출된 발정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에게 발정된 시간과 발정한 가축의 고유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42)는 발정 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된 시간을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부(44)에 저장시키고, 저장부(4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된 시간들중 해당하는 수신된 시간을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되는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46)로 독출시킨다. 즉, 사용자가 제X(1≤X≤N) 발정 신호 발생부(10, 12, 14, ... 또는 16)로부터 발정 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시키면, 제어부(42)는 저장부(44)에 저장된 제X 발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6)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발정 신호의 발생 여부를 알려준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46)는 저장부(44)로부터 독출된 발정 정보 뿐만 아니라 발정한 시간 즉, 발정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부재중에 가축의 발정이 발생하더라도, 어느 가축이 언제 발정하였는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추후 가축을 인공 수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부연하면, 소의 경우, 암소가 발정한 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인 대체로 발정 중기와 말기에 교미 또는 인공 수정시킴으로써 최고의 수태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암소가 언제 발정하였는가를 전술한 제어부(42)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부(4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상술한 최고의 수태율을 얻을 수 있는 시기에 사용자가 암소를 인공 수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42)는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발정 알람 신호를 출력단자 OUT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는 발정 알람 신호를 무선 전화기(미도시)등으로 수신함으로써 가축이 발정하였음을 먼거리에서도 알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발정 신호 수신부(20)는 다수의 가축들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정하여 발정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는 아니지만 거의 동시에 무선으로 수신하였다고 하더라도, 인공 수정에 필요한 수신된 정보들인 발정한 가축 번호들과 그들의 발정한 시간들을 빠짐없이 저장부(44)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발정 신호 발생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정 신호 발생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배터리(62), 압력 스위치(64), 저항들(R1, R2 및 R3), 인코딩 칩(68), 발광 다이오드(72), 주파수 변조기(82) 및 안테나(84)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4들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32)에 해당하는 배터리(62)는 소정 레벨을 갖는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접촉 감지부(30)의 역할을 하는 압력 스위치(64)는 발정한 가축에 부착되어 다른 가축이 승가 행위를 할 때 접촉되는 압력에 의해 눌려져서 배터리(6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인코더(66)에 인가되도록 한다.
인코더(34)에 대응하는 인코더(66)는 저항들(R1 및 R2) 및 마이크로 칩(Microchip) 회사에서 제공되는 집적회로(IC:Integrated Circuit)인 HCS300(68)로 구성된다. HCS300(68)은 압력 스위치(64)를 통해 배터리(6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전원 입력 핀(VDD)을 통해 입력하고, 저항들(R1 및 R2)을 통해 전원 전압이 분배된 입력 전압을 신호 입력 핀(S)을 통해 입력한다. 여기서, 접지 핀(VSS)은 접지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HCS300(68)은 입력 핀(S)을 통해 소정의 레벨을 갖는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내부에 저장한 발정 정보를 코드 호핑 기술을 사용하여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결과를 출력 핀(PWM)을 통해 신호 변조부(80)로 출력한다.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가축의 소정 부위에 부착된 발정 신호 발생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발정 신호 수신부(20)의 도움없이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정 신호 발생부는 발광 다이오드(72) 및 저항(R3)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발정 신호 발생부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압력 스위치(64)를 누르면 발광 다이오드(72)가 빛을 발함으로써 HCS300(68)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신호 변조부(36)에 해당하는 신호 변조부(80)는 주파수 변조기(82) 및 안테나(84)로 구성되며, 주파수 변조기(82)는 HCS300(68)의 출력 핀(PWM)을 통해 출력되는 인코딩된 결과를 주파수 변조하고 주파수 변조된 결과를 안테나(84)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변조기(82)는 국내에서 사용이 허가되고 있는 447㎒를 캐리어 주파수로하여 인코딩된 결과를 주파수 변조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의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안테나(102), FM 복조기(104), 디스플레이어(106), 주 제어부(120) 및 명멸 표시부(140)로 구성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복조부(40)에 해당하는 신호 복조부(100)는 안테나(102) 및 FM 복조기(104)로 구성되며,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한 발정 신호를 FM 복조기(104)에서 복조하고, 신호 변조부(36)에서 변조되기 전의 인코딩된 결과값에 해당하는 복조된 결과를 부 제어부(122)로 출력한다.
제어부(42)와 저장부(44)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주 제어부(120)는 부 제어부(122), 리셋 스위치(124) 및 제1, ... 및 제N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들(126, ... 및 128)로 구성된다. 부 제어부(122)는 복조된 결과가 가축이 교미하는데 소요되는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초나 2초 이상 수신되면, 복조된 결과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유효 신호를 발생하고, 복조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발정 정보를 검출하고, 복조된 결과를 수신한 시간 및 검출된 발정 정보를 메모리(123)에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23)는 도 3에 도시된 저장부(44)에 해당하며,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타를 보호하기 위해 비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어느 가축에 부착된 발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유효한 발정 신호가 시간적 간격을 두고 2회이상 수신될 경우, 부 제어부(122)는 최후의 발정 신호로부터 검출한 발정 정보만을 메모리(123)에 저장시키거나, 2회이상의 발정 신호들에 대한 발정 정보들을 모두 메모리(123)에 저장시키도록 메모리(123)의 데이타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부 제어부(122)는 검출한 발정 정보가 갖는 고유 코드를 분석하여 발정 신호를 발생한 발정 신호 발생부에 해당하는 출력 핀(CH1, CH2, ... 또는 CHN)을 통해 소정 레벨을 갖는 온/오프 신호를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제X 발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유효한 발정 신호가 발생되었으면, 부 제어부(122)는 출력 핀(CHX)를 통해 온/오프 신호를 출력시킨다.
부가적인 기능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는 몇 번 채널 즉, 몇 번 가축에 부착된 발정 신호 발생부에서 발정 신호가 발생하였는가를 사용자에게 명멸하는 빛으로 알려주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멸 표시부(140)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명멸 표시부(140)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42), 저항들(R3, ... 및 R4), 발광 다이오드들(146, ... 및 148), 다이오드들(D1, ... 및 DN) 및 경광등(144)으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42)는 부 제어부(122)의 출력 핀(CH1, CH2, ... 또는 CHN)으로부터 출력되는 온/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146, ... 또는 148)을 명멸시킨다.
예를 들어, 부 제어부(122)는 발정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1 채널 즉, 제1 가축에 대한 고유 코드가 발정 정보로부터 검출되면, 출력 핀(CH1)을 통해 소정 레벨을 갖는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명멸 표시부(140)는 발광 다이오드(146)를 명멸 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제1 가축이 발정한 사실이 있음을 알려준다.
사용자가 명멸하는 빛을 통해 제1 가축이 발정하였음을 인지한 후, 제1 가축에 부착된 제1 발정 신호 발생부(10)로부터 송신된 발정 신호가 언제 수신되었는가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알 수 있도록, 주 제어부(120)는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들(126, ... 및 128)을 더 마련하고 있다. 전술한 례에서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46)가 명멸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제1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126)를 누르면, 부 제어부(122)는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123)에 저장된 제1 발정 정보 즉, 제1 가축에 대한 발정 신호 수신 시간과 그 가축의 고유 번호를 독출하고, 독출된 제1 발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해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0초동안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발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시간을 디스플레이부(106)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부 제어부(122)는 알.티.시.(RTC:Real Time Chip)를 내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 제어부(122)의 제어하에, 소정 시간 동안 발정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후, 현재의 시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106)에서 발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다른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가 눌려 질 경우, 부 제어부(122)는 최후에 눌려진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에 해당하는 발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부 제어부(122)는 2개 이상의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가 동시에 눌려질 때는 알람 신호를 울리고, 디스플레이부(106)에는 그 어느 발정 정보에 대한 것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만일, 부 제어부(122)는 발정 신호가 현재 수신되지 않은 채널에 해당하는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가 눌려질 경우, 이전에 그 채널로부터 발정 신호가 수신된 시간이나 초기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제1 발정 신호 발생부(10)로부터 발정 신호가 발생되어 제1 가축이 발정한 시간 및 제1 가축의 고유 코드가 메모리(123)에 저장되어 있다고 할 때, 현재 제N 발정 신호 발생부(16)로부터 발정 신호가 발생되어 제N 발광 다이오드(148)가 명멸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제1 요구 신호 입력 스위치(126)를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06)에는 이전에 저장된 제1 가축에 대한 발정 정보만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6)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106)는 7-세그먼크(Segment)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부들(108, 110, 112, 114, 116 및 118)는 발정 신호를 수신한 년도, 월, 일, 시, 분 및 발정신호가 부착된 가축의 고유 번호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6)의 구동 방법으로서, 한 순간에는 하나의 자리만을 표시하여 한 자리씩 쉬프팅하고, 이 사이클을 매우 빠르게 하여 전체(108, 110, 112, 114, 116 및 118)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다이나믹 순차 점등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6)와 부 제어부(122)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4입력을 7입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7-세그먼트 구동 집적회로(IC)가 부 제어부(122)에 내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경광등(144)은 발정 신호가 수신되면 빛을 발하여 사용자가 이를 멀리서도 시각적으로도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광등(144)은 발정 신호가 수신되면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줄 수 있도록 소정의 앰프 따위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부 제어부(122)는 외부로부터 리셋 스위치(124)가 눌려질 경우, 내장된 메모리(123)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타를 리셋시킬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퓨즈(160), 전압 측정부(162), 램프(164), 주 스위치(166), 전압 선택 스위치(168), 전압 레벨 변환부(170), 정류기(172), 커패시터들(C1 및 C2) 및 레귤레이터(174)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퓨즈(160)는 과전압이 입력단자 Vin을 통해 인가될 때,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램프(164)는 현재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이 때, 전압 선택 스위치(168)는 입력단자 Vin을 통해 110볼트의 전원이 인가되면 1번단자로, 220볼트의 전원이 인가되면 2번단자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으며, 주 스위치(166)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압 레벨 변환부(170)는 전압 선택 스위치(168)를 통해 선택된 전압의 레벨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압 레벨 변환부(170)는 220볼트를 8볼트로 낮추어주고, 110볼트를 0볼트로 낮추어줄 수 있다. 정류기(172)는 레벨 변환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해, 다이어드들(BD1, BD2, BD3 및 BD4)이 맞물린 브리지(bridg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174)는 직류 형태로 변환된 불안정한 형태의 전압을 안정한 전압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안정된 소정 레벨을 갖는 직류 전압이 출력 단자 Vout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각 부로 인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는 농장에서 110볼트나 220볼트 전원 전압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고 도 5에 도시된 발정 신호 수신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발정 신호 수신부는 발정한 가축의 고유 번호와 그 발정 시간을 프린트할 수 있는 구조를 더 마련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되어 가축별로 발정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발정 신호 수신부는 전파 잡음 등과 같은 각종의 잡음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외관에 잡음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는 발정이 오는 형태가 천차만별로 각각 다른 개체의 발정을 조속히 정확하게 쉽게 확인시켜 수태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평균 수태율이 상당히 낮아도 발정 확인율을 향상시킴으로서 각 개체의 분만 간격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고, 불과 몇 초 동안만 승가를 허용함으로 인해 육안으로 발정의 유무를 관찰하기 어려운 가축의 발정을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가축의 발정을 감지함으로써 육안에 의해 발정을 관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가축의 교미시 체격이 작은 암소의 상해를 조기에 발견하여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가축이 발정하여 다른 가축과 교미를 위해 접촉하는 소정 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접촉하는 힘인 접촉력에 의해 구동되어 발정 정보를 갖는 발정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발정 신호 발생부; 및
    무선으로 송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발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발정 신호로부터 상기 발정 정보를 추출하는 발정 신호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정 정보는 상기 발정 신호 발생부가 부착되어 있는 가축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고유 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정보는 상기 발정 신호 발생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호핑 코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접촉력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에 응답하여 구동하며, 상기 발정 정보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에서 인코딩된 결과를 주파수 변조하여 상기 발정 신호로서 무선으로 송신하는 신호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발정 정보를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결과를 상기 신호 변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신호 수신부는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발정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복조하는 신호 복조부;
    상기 발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발정 신호가 수신되는 기간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 복조부에서 복조된 결과를 디코딩하여 추출한 상기 발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발정 정보들중 해당하는 발정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독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정 신호가 수신되는 횟수를 검사하고,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유효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시킨 상기 발정 정보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정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상기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신된 시간들중 해당하는 수신된 시간을 상기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독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독출된 상기 수신된 시간을 독출된 상기 발정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효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정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발정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축이 발정하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의 발정 신호 발생부는 수막 처리되고, 상기 가축의 외피에 부착되거나 몸안에 삽입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KR2020000022544U 2000-08-08 2000-08-08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KR200214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44U KR200214458Y1 (ko) 2000-08-08 2000-08-08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44U KR200214458Y1 (ko) 2000-08-08 2000-08-08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58Y1 true KR200214458Y1 (ko) 2001-02-15

Family

ID=7308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44U KR200214458Y1 (ko) 2000-08-08 2000-08-08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5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3B1 (ko) * 2001-06-11 2004-09-07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KR101197577B1 (ko) 2010-02-09 2012-11-09 김인전 모돈의 자동 발정감지장치
KR20210007608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사육장치
KR20210007606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10007595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10007592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20134151A (ko) 2021-03-26 2022-10-0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활동 감지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3B1 (ko) * 2001-06-11 2004-09-07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KR101197577B1 (ko) 2010-02-09 2012-11-09 김인전 모돈의 자동 발정감지장치
KR20210007608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사육장치
KR20210007606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10007595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10007592A (ko) *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102303356B1 (ko) 2019-07-12 2021-09-1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사육장치
KR102364577B1 (ko) 2019-07-12 2022-02-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102364583B1 (ko) 2019-07-12 2022-02-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102364591B1 (ko) 2019-07-12 2022-02-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발정 측정 장치
KR20220134151A (ko) 2021-03-26 2022-10-0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활동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628B2 (en) Vital signs monitoring system for animals
US6099482A (en) Ingestible animal temperature sensor
US6049280A (en) Identity and cow estrus indicator
US4865044A (en) Temperature-sensing system for cattle
US6113539A (en) Physical monitoring system for feedlot animals
US5697384A (en) Internal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animals
US4854328A (en) Animal monitoring telltale and information system
US5111799A (en) Estrous detection systems
CA2241196C (en) Activity measurement
US5808551A (en) Electronic confinement system for animals or people transmitting digitally encoded signals
EP0344770A1 (en) Device for telemetering living tissue impedance by radio means
US8640712B2 (en) Bolus
US79925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mating of animals
US20070179568A1 (en) Methods for detecting osteolytic conditions in the body
DE60115588D1 (de) Telemetrische Abfrage- und Aufladevorrichtung für medizinischen Sensor
KR200214458Y1 (ko)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DE3782888T2 (de) Mit einer spritze implantierbarer identifikationstransponder.
DK1216655T3 (da) Hjertetrykmonitoringsmetode
KR20060000192U (ko) 무선장비를 장착한 가축의 이어 태그(귀표)
JP2003333950A (ja) 畜産動物管理用idタグ並びにそれを用いた畜産動物個体情報送信方法及び畜産動物個体情報管理システム
CN112970616A (zh) 基于智能耳标的动物健康管理及定位的方法、设备和系统
ATE553647T1 (de) Drahtloses system zum identifizieren und verfolgen von tieren und nahrungsmitteln
CA2174774A1 (en) System for the detection and/or transmission of signals representing vital functions
KR100387226B1 (ko) 무인 자동 정보 시스템
JPH06141385A (ja) 動体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