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695Y1 - An electroic door lock - Google Patents

An electroic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695Y1
KR200212695Y1 KR2020000023759U KR20000023759U KR200212695Y1 KR 200212695 Y1 KR200212695 Y1 KR 200212695Y1 KR 2020000023759 U KR2020000023759 U KR 2020000023759U KR 20000023759 U KR20000023759 U KR 20000023759U KR 200212695 Y1 KR200212695 Y1 KR 200212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ever
dead bol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신준
정옥성
Original Assignee
장신준
정옥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신준, 정옥성 filed Critical 장신준
Priority to KR202000002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6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695Y1/en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외부에 형성된 키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비접촉식카드를 소지한 사람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하며,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되고, 레버핸들이 형성된 외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대향되도록 레버핸들이 형성되어 있고, 밧데리부가 구비된 내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에 위치하는 락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전자신호에 의해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락케이스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내ㆍ외측 레버핸들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래칫볼트와, 상기 래칫볼트를 출몰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ccess only by a person who enters a password or has a contactless card to open the door,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door's open or closed state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By using the fixing bracket, the non-expert can easily install the door lock by using the fixing bracket, so that it is not only convenient to operate and use, but also easy to install, and also enhances the security by reinforcing the security function, 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ver handle in both directions, which is provided with a unlock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the outer handle portion formed with the lever handle, the lever handle is formed so as to face the outer operation portion and , An inner operation part provided with a battery part, the outer operation part and an inner tank A dead bolt housed in a lock case located between the parts, which is sunk by an electronic signal to lock or unlock the door,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dead bolt, and accommodated in the lock case, The ratchet bolt is sunk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handle, and the ratchet bolt is interlocking means for projecting.

Description

전자 도어락{AN ELECTROIC DOOR LOCK}Electronic door lock {AN ELECTROIC DOOR LOCK}

본 고안은 전자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외부에 형성된 키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비접촉식카드를 소지한 사람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하며,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enter only a person with a password or a non-contact card to the key button formed on the outside in order to open the door, the door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lock This self-recognized door automatically locks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by using a fixed bracket, non-experts can easily install the door lock, making it easy to operate and use as well as simplify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that reinforces to improve security and also enables lever levers to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일반적으로 전자 도어락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카드나 키 버튼조작으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다.In general, the electronic door lock is intended for convenience of use by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by a card or key button operation without using a key to improve security and securit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 도어락들은 도어를 개방하고 난 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닫히더라고 별도의 키조작을 하여야 도어가 잠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lectronic door lock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the door is locked only after the key is closed by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even after the door is opened.

즉, 실수로 출입자가 도어를 잠그지 않으면, 도어는 외부에서 열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person does not accidentally lock the door, the door is in a state that can be opened from the outside.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잊져 버리거나 카드를 분실하였을 때를 대비해서 비상키를 제작하고 있고, 외측조작부에는 키구멍이 형성되어 열쇠전문가라면 쉽게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위험에 놓여 방범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door locks are manufactured in case of forgotten passwords or lost cards, and emergency keys are produced. Key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operation part, so key experts can easily open the door, which makes security easy. There was no problem.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내ㆍ외 조작부 및 락케이스를 설치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oor lock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panel and the lock case.

즉, 내ㆍ외 조작부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봉이 구비되고, 이를 각각 도어 상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게 되는데 전문가 아니면 설치가 쉽지 않고 설치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the fixing rod is provided to fix the internal and external operation parts to the door, and each of the fixing rods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doo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일방향으로만 도어록 장치를 문에 설치하고자 할 때 도어록장치를 설치할 문이 좌측으로 열리는지 우측으로 열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손잡이의 방향이 바뀌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빗장을 동작시키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좌측으로 열리는 문짝용 도어록과 우측으로 열리는 문짝용 도어록이 별도로 분리되어 판매되었으며 이때 사용자나 시공자는 항상 문의 열리는 형태를 숙지하여 도어록장치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를 착각하여 문의 열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성된 도어록 장치를 준비하게 되면 다시 교환하여야 하며 한번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다른 문에 다시 사용하려면 방향이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oor lock has a structural problem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handle must be change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handl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to install the door lock device is open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to be installed in the door only in one direction. Therefore, the door lock for the door opening to the left and the door lock for the door opening to the right are sold separately.In this case, the user or contractor should always select the door lock device by knowing the opening form of the door. When the device is prepared, it must be exchanged again, and once purchased and used again, the other doors hav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being impossible to use due to incorrect orientation.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하는 전자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that automatically locks the door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by recogniz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that allows a non-expert to easily install a door lock using a fixing bracke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자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to enhance the security by reinforcing the security func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that enables the lever handle to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directions.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락케이스의 구성부품을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mponent of the lock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락케이스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가 락케이스에 후진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ad bolt and ratchet bolt in the lock case backward in Figure 3;

도 5는 도3에서 구동기어와 데드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gear and the dead bolt in Figure 3 coupled.

도 6은 도 5에서 데드볼트가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ad bolt is reversed in FIG.

도 7은 본 고안의 전자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electronic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oor.

도 8은 도 7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

도 9는 본 고안의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anti-the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평면도로서, 수동해정구가 도어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10 is a plan view of FIG. 9,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nual latch is inserted into the door.

도 11은 도 10에서 도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unlocked in FIG.

도 12은 본 고안의 내측조작부를 확대한 단면도.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oper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서 도어를 내측에서 수동으로 잠금해제하도록 하는 도면.FIG. 13 is a view to manually unlock the door in FIG. 12; FIG.

도 14는 도 12에서 양방향으로 레버핸들을 위치변경시키는 주요부품을 나타낸 사시도.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repositioning the lever handle in both directions in FIG. 12; FIG.

도 15는본 고안의 레버핸들이 좌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left side.

도 16은 도 15에서 레버핸들이 우측으로 위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handle is changed to the right in FIG. 15.

도 17은 본 고안의 잠금해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nloc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도어락 10: 외측조작부100: door lock 10: outer operation part

11: 외측바디 12: 레버핸들11: outer body 12: lever handle

12a: 카드안테나 13: 비접촉식 카드12a: cardantenna 13: contactless card

14: 캡 15: 감지센서14: Cap 15: Sensor

20: 내측조작부 21: 내측바디20: inner operation part 21: inner body

21a: 밧데리부 22: 레버핸들21a: battery 22: lever handle

23: 레버핀 24: 결합핀23: lever pin 24: coupling pin

25: 회전핀 26: 누름캡25: rotary pin 26: push cap

27: 핸들연결구 27a: 돌출편27: handle connector 27a: protrusion

28: 체인지레버판 28a: 대경부28: change lever plate 28a: large diameter part

28b: 소경부 28c: 결합홈28b: small diameter 28c: coupling groove

29; 멈춤판 30: 락케이스29; Stop plate 30: lock case

31: 본체 31a: 원호장공31: main body 31a: arc supporter

31b: 데드볼트 안내장공 31c: 래칫볼트 안내장공31b: Deadbolt Inspector 31c: Ratchetbolt Inspector

32: 데드볼트 32a: 수직안내장공32: dead bolt 32a: vertical guideman

32b: 수평안내장공 32c: 래크32b: level guide 32c: rack

32d: 차광편 33: 래칫볼트32d: Shading 33: Ratchet Bolt

34: 레버축 35: 수동해정축34: lever shaft 35: manual release shaft

40: 구동수단 41: 구동모터40: drive means 41: drive motor

42: 구동기어 50: 연동수단42: drive gear 50: interlocking means

51: 제 1회동체 51a: 작동돌기51: first rotating body 51a: working projection

52: 제 2회동체 52a: 걸림편52: second body 52a: locking piece

52b: 결합홈 53: 작동편52b: engaging groove 53: operating piece

53a: 관통공 53b: 돌출부53a: through hole 53b: protrusion

54: 토션스프링 55: 고정축54: torsion spring 55: fixed shaft

56: 연결체 56a: 제 1래칫볼트아암56: connecting body 56a: first ratchet bolt arm

56b: 제 2래칫볼트아암 56c: 스프링스탑퍼56b: second ratchet bolt arm 56c: spring stopper

56d: 스프링 60: 전ㆍ후진센서56d: spring 60: forward and reverse sensors

70: 잠김센서 80: 바디플레이트70: locking sensor 80: body plate

90: 고정브라켓트 91: 돌출편90: fixing bracket 91: protrusion

200: 도어 210: 결합홈200: door 210: coupling groove

220: 죠인트핀220: joint pin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되고, 레버핸들이 형성된 외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대향되도록 레버핸들이 형성되어 있고, 밧데리부가 구비된 내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에 위치하는 락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전자신호에 의해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락케이스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내ㆍ외측 레버핸들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래칫볼트와, 상기 래칫볼트를 출몰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object is provided with an unlock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the outer operating portion formed with the lever handle, the lever handle is formed so as to face the outer operating portion, the inner operating portion provided with a battery, A dead bolt housed in the lock case located between the outer manipulator and the inner manipulator, and driven by an electronic signal to lock or unlock the door, 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dead bolt, and housed in the lock case; In addition, the ratchet bolt is moun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 and the ratchet bolt is interlocked means for projecting.

또한, 도어가 열린 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문이 닫히게 되면 자동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도어틀 내에 잠금하도록 하는 상기 락케이스에 설치된 잠금센서를 구비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by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after the door is opened is provided with a lock sensor installed in the lock case to automatically detect and operate the drive means to lock the dead bolt in the door frame.

또한, 상기 잠금센서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ing sensor is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또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출입자가 소지하는 카드와, 상기 카드의 주파수 및 코드를 인식하도록 상기 외측조작부에 카드안테나가 구비된 것이다.In addition, the unlocking means is a card antenna is provided in the outer operation portion to recognize the card and the card and the code of the accessor possesses.

또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In addition, the un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enter a password.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정ㆍ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데드볼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어진 래크로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drive gear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rack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dead bolt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정ㆍ역회전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상기 데드볼트에 돌출 형성된 차광편과, 상기 차광편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락케이스에 설치된 전ㆍ후진센서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is provided with a light shield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dead bolt interlocked with the drive motor, and forward and backward installed in the lock case to sense the position by the light shielding piece to stop the driving motor. It is made of sensors.

또한, 상기 전ㆍ후진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 한쌍이 좌ㆍ우측에 각각 설치된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sensors are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또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내ㆍ외레버핸들을 연결하는 레버핀과, 상기 레버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축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 1회동체와, 상기 제 1회동체의 작동돌기에 걸림편이 결합되고, 하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 2회동체와, 일측은 락케이스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회동체의 결합홈에 중앙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운동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단부와 연결되어 도어틀 내에 출몰되도록 이루어진 상기 래칫볼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스프링이 고정된 연결체로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linkage means is a lever pin for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the first projection body is formed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in is coupled to the lever shaft and freely rotated, the first The engaging piece is coupled to the operation protrus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the second rotating body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lower side, and one side is hinged to the lock case, and the cent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to center the hinge shaf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atchet bolt formed in the door frame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ration piece and the operation piece to move in an arc and the spring is fixed.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락을 표시하고 있고, 부호 200은 도어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following Figure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detail, in the figure 100 denotes a door lock according to the subject innovation, and 200 denotes a door.

도어락(100)은 외측조작부(10), 내측조작부(2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작동부를 수용하는 락케이스(30)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The door lock 100 is largely comprised of an outer operation part 10, an inner operation part 20, and a lock case 30 located between them and accommodating an operation part.

외측조작부(10)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바디(11)와 상기 외측바디의 중앙에 구비된 레버핸들(12)로 이루어져 있다.The outer operation part 10 is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consists of an outer body 11 and a lever handle 1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body.

레버핸들(12)에는 마이컴(도면상 미도시)과 연결된 카드안테나(12a)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출입자가 소지하는 비접촉식 카드(13)와 무선으로 주파수 및 코드를 확인하여 도어를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The lever handle 12 is provided with a card antenna 12a connected to a microcomputer (not shown), which is configured to unlock a door by wirelessly checking a frequency and a code with a non-contact card 13 carried by an accessor. It is done.

비접촉식 카드(13)는 일명 R.F(radio frequency)카드로서, 중앙에 특정코드가 메모리 되어 있고, 주위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겨져 있다.The contactless card 13 is a so-called R.F (radio frequency) card, in which a specific code is stored in the center, and a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is wound around the card.

또한, 카드안테나(12a)에도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겨져 있어 비접촉식 카드(13)와 무선으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coil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is wound around the card antenna 12a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wirelessly with the non-contact card 13.

내측조작부(20)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바디(21)와, 상기 내측바디(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부(21a)와 외측 레버핸들(12)과 연결되어진 내측 레버핸들(22)로 이루어져 있다.The inner operation part 2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body 21 and the battery part 21a and the outer lever handle 12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21 to supply power. The inner lever handle 22 is made up.

락케이스(30)는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의 일측면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는 좌,우로 분리되는 함체형상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 내부에 수용되어 조작신호에 의해 출몰되는 데드볼트(32)와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에 연동되는 래칫볼트(33)와, 상기 데드볼트(32)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래칫볼트(33)를 작동시키는 연동수단(50)으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lock case 30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one side of the door, as shown in FIGS. 2 to 4, which is an enclosure shape main body 31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inside the main body 31. A ratchet bolt 33 interlocked with the dead bolt 32 and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22 and 12 accommodated by the operation signal and a driving means 40 for driving the dead bolt 32; It consists of an interlocking means (50) for operating the ratchet bolt (33).

본체에는 원호장공(31a), 데드볼트안내장공(31b) 및 래칫볼트안내장공(31c)이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arc hole 31a, a dead bolt guide hole 31b and a ratchet bolt guide hole 31c.

원호장공(31a)에는 내ㆍ외핸들레버(22)(12)를 연결하는 레버핀(23)이 삽입되어 내ㆍ외핸들레버(22)(12) 어느 일측을 동작시키게 되면 연동되어 래칫볼트(33)를 도어틀 내의 결합홈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이다.A lever pin 23 is inserted into the arc hole 31a to connect the inner and outer handle levers 22 and 12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inner and outer handle levers 22 and 12 is operated, the ratchet bolt is interlocked. 33) to lock or unlock the engaging groove in the door frame.

데드볼트안내장공(31b)에는 데드볼트(32)가 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래칫볼트안내장공(31c)에는 작동편(53)이 고정축(55)에 고정되어 있다.The dead bolt 32 is coupled to the dead bolt guide hole 31b by a shaft, and the operating piece 53 is fixed to the fixed shaft 55 by the ratchet bolt guide hole 31c.

데드볼트(32)는 본체(3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진퇴작동하는 것으로서, 일측면은 도어틀 내의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수직안내장공(32a)이 형성 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수평안내장공(32b)이 형성되어 있다.The dead bolt 32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 the door frame,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vertical guide hole 32a,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guide The long hole 32b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직안내장공(32a)과 수평안내장공(32b) 사이에는 래크(32c)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ack 32c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guide hole 32a and the horizontal guide hole 32b.

또한, 데드볼트(32)의 하측에는 차광편(33d)이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전ㆍ후진센서(60)의 신호를 차단함으로서, 데드볼트(32)의 전ㆍ후진 시키는 것이다.Further, the light shielding piece 33d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dead bolt 32 to block the signal of the forward / reverse senso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ead bolt 3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전ㆍ후진센서(60)는 양측에 한쌍을 이루고 있고, 광센서로서 일측에는 발광부(61)와 수광부(62)가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sensors 60 are formed in pairs on both sides, and the light emitting part 61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62 are provided on one side as optical sensors.

즉, 데드볼트(32)에 형성된 차광편(33d)에 의해 발광부(61)와 수광부(62)를 차단하게 되면 전원을 차단하게 되어 후술할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ight-emitting portion 61 and the light-receiving portion 62 are blocked by the light shielding piece 33d formed on the dead bolt 32, the power is cut off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1 to be described later.

래칫볼트(33)는 일측이 경사져 있고,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의 동작에 의해 문틀 내의 걸림홈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것이다.The ratchet bolt 33 is inclined at one side and is locked or unlocked to the locking groove in the door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22 and 12.

구동수단(40)은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2)와, 상기 구동기어(42)에 치합되고, 데드볼트(32)에 일체로 형성된 래크(32c)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drive means 40 is engaged with the drive motor 42, the drive gear 42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41, the drive gear 42,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ad bolt 32. It consists of the rack 32c.

구동모터(41)는 락케이스(3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고, 마이컴의 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정ㆍ역회전하는 것이다.The drive motor 41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ck case 30, and the power is applied by the signal of the microcomputer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구동기어(42)는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래크(32c)에 전달하는 것으로, 락케이스(30)의 내측의 위치하는 래크(32c)가 형성된 데드볼트(32)를 전ㆍ후진 시켜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5 및 도 6 참조)The drive gear 42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41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to the rack 32c, and transfers the dead bolt 32 having the rack 32c formed inside the lock case 30. ㆍ Reverse to lock or unlock the door. (Refer to FIG. 5 and FIG. 6)

또한, 데드볼트(32)의 수직안내장공(32a)에 일측이 결합된 레버축(34)이 레버핸들(22)(12)과 동축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a lever shaft 34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guide hole 32a of the dead bolt 32 is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lever handles 22 and 12.

연동수단(50)은 레버축(34)상에 지지되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내ㆍ외 레버핸들(22)(12)과 연동되는 제 1 회동체(51)와 상기 제 1회동체(51)와 연동되는 제 2회동체(52)와, 상기 제 2연동체(52)에 연동되는 작동편(53)과 상기 작동편(53)의 동작에 의해 래칫볼트(33)를 출몰시키는 연결체(54)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interlocking means 50 is supported on the lever shaft 34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nd interlocked with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22 and 12 and the first rotating body 51. The connecting body 54 which protrudes the ratchet bolt 33 by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2nd rotation body 52 which interlock | operates, the operation piece 53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said 2nd interlocking body 52, and the said operation piece 53 It is composed of

제 1회동체(51)는 레버축(34)의 동축에 결합되어 있고, 양측에 작동돌기 (51a)가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rotating body 51 is coupled to the coaxial of the lever shaft 34, and the operating projection 51a is provided on both sides.

제 2회동체(52)는 제 1회동체(51)의 작동돌기(51a)에 걸리는 걸림편(52a)과, 중앙 하단에 작동편(53)에 고정되는 결합홈(52b)으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second rotating body 52 is composed of a locking piece 52a that is caught by the operating protrusion 51a of the first rotating body 51 and a coupling groove 52b fixed to the operating piece 53 at the center lower end thereof. .

작동편(53)은 락케이스(30)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측이 락케이스(30)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54)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공(53a)이 천공되어 있어 제 2회동체(52)의 결합홈(52b)에 고정축(55)으로 결합되어져 있다.The operating piece 53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ck case 30, one side is hinged to the lock case 30, and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54, the through hole (53a) in the center is made of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52b of the two pivoting bodies 52 by a fixed shaft 55.

또한, 작동편(53)의 타측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b)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piece 53 is formed with a protrusion 53b protruding upward.

래칫볼트(33)는 작동편(53)의 작동으로 연동되어 도어틀 내의 잠금홈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것으로, 내측에 스프링(56d)이 끼워져 있다.The ratchet bolt 33 is interlock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iece 53 to lock or unlock the locking groove in the door frame, and a spring 56d is fitted therein.

연결체(56)는 작동편(53)과 래칫볼트(3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 1래칫볼트아암(56a), 제 2래칫볼트아암(56b) 및 스프링스탑퍼(56c)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connecting body 56 connects the operation piece 53 and the ratchet bolt 33, and is composed of a first ratchet bolt arm 56a, a second ratchet bolt arm 56b, and a spring stopper 56c. .

제 1래칫볼트아암(56a)는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래칫볼트(33)와 결합되고 상ㆍ하측이 제 2래칫볼트아암(56b)이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져 있다.The first ratchet bolt arm 56a has a U-shape, and a groove is formed i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ratchet bolt 33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coupled to the second ratchet bolt arm 56b.

제 2래칫볼트아암(56b)은 일측은 제 1래칫볼트아암(56a)의 요홈(56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6b')가 형성되고, 타측은 케이스의 래칫볼트안내장공(31c)과 축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편(53)의 돌출부(53b)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ratchet bolt arm 56b has a coupling protrusion 56b 'coupled to one of the grooves 56a' of the first ratchet bolt arm 56a, and the other end of the ratchet bolt guide hole 31c of the case. It is coupled to the shaft and at the same time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53b) of the working piece (53).

즉, 락케이스 본체(31)의 래칫볼트안내장공(31c)과 제 2래칫볼트아암(56b)의 관통공 사이에 축(56e)이 끼워지고 이 축(56e)이 작동편(53)의 회동에 의해 돌출부(53b)에 걸려 연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shaft 56e is fitted between the ratchet bolt guide hole 31c of the lock case main body 31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ratchet bolt arm 56b, and the shaft 56e is rotated by the operating piece 53. It is interlocked by the protrusion 53b.

스프링스탑퍼(56c)는 케이스에 돌기(56c')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고 래칫볼트(33) 사이에 스프링(56d)이 끼워져 있어 래칫볼트(33)를 진퇴작동시키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pring stopper 56c is fixed to the case by the projection 56c 'and the spring 56d is sandwiched between the ratchet bolts 33 to provide a return force for moving the ratchet bolts 33 forward and backward.

또한, 도어가 자동 닫힘되었을 때 감지되어 데드볼트(32)를 전ㆍ후진 시키는 잠김센서(70)가 락케이스 본체(31) 일측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locking sensor 70 which is sensed when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of the dead bolt 32 is installed inside one side of the lock case body 31.

잠김센서(70)는 반사형 광센서로서 발광부(71)와 수광부(72)가 형성되어져 있고 반사판(도면상 미도시)이 도어틀 내의 잠금홈 내측에 구비되어 발광부(71)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수광부(72)에 도달하게 되면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1)를 구동시켜 데드볼트(32)를 동작시켜 도어를 잠금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locking sensor 70 is a reflection type optical sensor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71 and a light receiving unit 72 are formed, and a reflecting plate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lock groove in the door frame to emit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1. When the infrared light is reflected and reaches the light receiving unit 72, the signal is detected to drive the driving motor 41 to operate the dead bolt 32 to lock the door.

한편,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고안의 내ㆍ외측조작부(20)(10)를 도어에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and Figure 8 is a view for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inner and outer operation portion 20,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이는 외측조작부(10)에 고정되어진 바디플레이트(80)와 도어의 내측 상ㆍ하에 삽입 설치된 죠인트핀(220)과 내측조작부(2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트(90)로 이루어져 도어에 고정되는 것이다.It is fixed to the door consisting of a body plate 80 fixed to the outer operation portion 10, a joint pin 220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or and a fixing bracket 90 for fixing the inner operation portion 20.

즉, 외측바디(11)는 바디플레이트(80)에 고정되어 있고, 이 바디플레이트 (80)는 도어를 관통해서 설치된 죠인트핀(220)에 나사결합되어져 있다.That is, the outer body 11 is fixed to the body plate 80, the body plate 80 is screwed to the joint pin 220 provided through the door.

고정브라켓트(90)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죠인트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내측조작부(20)가 고정되는 돌출편(91)이 형성되어져 있다.The fixing bracket 90 is formed of a square plate, and a hole is drilled to be fixed to the joint pin 220, and both sides of the fixing bracket 90 are formed with a protrusion 91 to which the inner operation part 20 is fixed.

즉, 외측조작부(10), 바디플레이트(80) 및 죠인트핀(220)이 일체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도어에 시공시에는 도어에 관통되는 구멍을 천공하여 죠인트핀(220)을 삽입하고, 고정브라켓트(90)를 내측에서 나사로 조립하게 된다.That is, the outer operation part 10, the body plate 80 and the joint pin 220 is manufactured and sold integrally, and when the door is installed in the door, the joint pin 220 is inserted and fixed by drilling a hole penetrating the door. The bracket 90 is assembled with screws from the inside.

또한, 고정브라켓트(90)의 측면의 돌출편(91)에 내측조작부(20)를 끼워 넣고 외측에서 나사조립하게 되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operating part 20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iece 91 of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90, and screwed from the outside can be easily installed.

한편,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비접촉식 카드를 분실했을 경우에 외부에서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9 to 11 show that the door can be opened from the outside when the contactless card is lost.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의 중앙에 합성수지재의 캡(14)이 고정되어 있고, 도어의 내측에는 수동해정축(35)이 락케이스(30)의 레버축(34)에 고정되어 수동으로 데드볼트(32)를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The cap 14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ever handle 12 of the outer operation portion 10, the manual release shaft 35 is fixed to the lever shaft 34 of the lock case 30 inside the door. It is configured to unlock the dead bolt 32 manually.

즉, 외측조작부(10)에는 잠금장치를 풀 수 있는 비상키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제공되는 해정구(S)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캡(14)에 구멍을 천공하거나, 제거한 후 해정구(S)를 레버핸들(12) 내측에 삽입하고 인위적으로 수동해정축(35)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된 레버축(34)을 회전시켜 레버축(34)과 연동된 데드볼트(32)를 락케이스(30) 내측으로 후진시켜 도어를 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outer operation part 10 is not formed with an emergency key hole for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and punched or removed a hole in the cap 14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using a separate release hatch (S). When the release port S is inserted into the lever handle 12 and the manual release shaft 35 is artificially rotated, the dead bolt interlocked with the lever shaft 34 by rotating the lever shaft 34 interlocked therewith ( It will be able to release the door by reversing the 32 into the lock case (30).

또한, 외부 침입자가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캡(14)에 손상을 가하게 되면 감지하여 경보음을 울리게하는 감지센서(15)가 레버핸들(12)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부에 통지하도록 마이컴에 설정되어져 있다.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15 that detects when an external intruder damages the cap 14 to unlock the door and sounds an alarm sound is installed inside the lever handle 12, and a preset phone book is also provided. The microcomputer is set to notify.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데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조작부(20)의 레버핸들(22) 중앙에 내측으로 유동되는 결합핀(24)과 상기 결합핀(24)과 끼워맞춤되어 수동해정축(35)을 회전시키는 회전핀(25)으로 구성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누름캠(26)을 눌러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도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o open the door from the inside can be operated manually,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2 and 13 flows inward in the center of the lever handle 22 of the inner operation part (20) Combination pin 24 is fitted with the coupling pin 24 is composed of a rotating pin 25 to rotate the manual release shaft 35 is pressed cam 26 to open the door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It consists of opening the door manually by pressing.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4에서는 양방향으로 레버핸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12 and 14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ver handle can be used in both directions.

이는 내ㆍ외측조작부(20)(10)에 각각 적용되는 것이므로 내측조작부(20)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Since this is applied to the inner and outer operation parts 20 and 10, respectively, the inner operation part 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레버핸들(22) 내측에 핸들연결구(27)가 설치되고, 상기 핸들연결구(27)에 결합되는 체인지레버판(28)과, 상기 체인지레버판(28)이 걸리는 멈춤판(29)으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handle connector 27 is installed inside the lever handle 22, and is composed of a change lever plate 28 coupled to the handle connector 27, and a stop plate 29 on which the change lever plate 28 is engaged. have.

핸들연결구(27)는 내측조작부(20)의 레버핸들(22)에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은 레버핸들(22)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돌출편(27a))이 돌출형성되어져 있다.The handle connector 27 is connected to the lever handle 22 of the inner operation part 20,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lever handle 22,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trusion piece 27a having a coupling hole is formed.

체인지레버판(28)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을 기준으로 대경부(28a)와 소경부(28b)로 구분되어지며, 전면에는 핸들연결구(27)의 돌출편(27a)이 안착되는 결합홈(28c)이 형성되어져 있다.The change lever plate 28 has a circular shape, and is divided into a large diameter portion 28a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28b on the basis of the center, and a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piece 27a of the handle connector 27 is seated on the front surface. 28c is formed.

멈춤판(29)은 체인지레버판(28)의 대경부(28a)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레버핸(22)을 첨부도면 도 15 및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셋팅하게 되는 것이다.The stop plate 29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a of the change lever plate 28 to set the lever handle 22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S. 15 and 16. .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도 17에서는 외측조작부의 잠금해제 수단이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shows that the unlocking means of the outer operation portion is composed of a button.

이는 외측바디(11)의 상측에 다수개의 버튼을 갖는 키패드(11a)가 구비됨으로서, 이를 통해 다수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를 내장된 마이컴이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잠금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equipped with a keypad (11a)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body 11, if a multi-digit password is input through this, the built-in microcomputer determines the input password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lock the door lock You can unlock the stat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어에 내ㆍ외측조작부(20)(10) 및 락케이스(30)를 설치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13)를 등록하게 되는데 카드(13) 등록수는 최소 1개∼초대 20개로 한다.After the inner and outer operation units 20 and 10 and the lock case 30 are installed in the door, the card 13 to be used is registered, but the number of registrations of the card 13 is from 1 to 20 at least.

카드(13)등록은 내측조작부(20)의 밧데리 커버 내측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도면상 미도시)를 누르후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 중앙에 1개의 카드(13)를 근접시킬 때마다 1회의 부저음이 울리면서 등록이 이루어지고 마지막 카드(13) 등록 부저가 울리면 선택스위치를 다시 눌러 카드(13)등록을 종료하게 된다.To register the card 13, press the selector switch (not shown in the drawing)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cover of the inner operation part 20, and move one card 13 to the center of the lever handle 12 of the outer operation part 10. Each time a single buzzer sounds and registration is made, and when the last card 13 registration buzzer sounds, pressing the selection switch again ends the card 13 registration.

등록된 카드(13)를 해지하는 경우에도 밧데리 커버 내측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를 누루고 신규카드(13)를 등록하게 되면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카드(13)는 등록이 해지된다.Even when the registered card 13 is canceled, when the new card 13 is registered by pressing the selection switch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cover, the card 13 previously input is terminated.

이와 같이 등록 되어진 카드(13)를 소지하고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from the outside holding the card 13 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비접촉식 카드(13)를 소유한 출입자가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의 중앙으로 부터 반경30°, 근접거리 30㎝ 범위에 접근하여 오픈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부저음이 발생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는데 이는 오픈버튼(도면상 미도시)를 누름과 동시에 카드안테나(12a)에서 주파수가 발생되고, 이 주파수는 비접촉식 카드(13)에 송수신하면서 코드를 발생시켜 마이컴에 미리 설정된 코드와 비교판단하여 코드가 일치하면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구동모터(41)에 전원이 인가 된다.When the person who owns the non-contact card 13 operates the open button with a radius of 30 ° from the center of the lever handle 12 of the outer operation part 10 and a close distance 30 cm, the door opens with a buzzer sound. The frequency is generated from the card antenna (12a) at the same time pressing the open button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requency is generat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o the contactless card 13 to compare with the code set in advance in the microcomputer code If is matche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drive motor 41 to open the door.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구동모터(41)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축결합된 구동기어(42)가 데드볼트(32) 상의 래크(32c)와 치합된 상태에서 데드볼트(32)를 도어틀 내의 삽입홈에서 락케이스(30) 내로 후진시키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is applied, the drive motor 41 is driven and the dead bolt 32 is inserted into the door frame while the drive gear 42 is axially engaged with the rack 32c on the dead bolt 32. In the lock case 30 is reversed.

또한, 데드볼트(32)가 후진함과 동시에 수직안내장공(32a)내에 삽입된 레버축(34)이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dead bolt 32 is reversed, the lever shaft 34 inserted in the vertical guide hole 32a is rotated.

이때 출입자는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을 회전시키게 되면 래칫볼트(33)가 락케이스(30) 내부로 후진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person rotates the lever handle 12 of the outer operation part 10, the ratchet bolt 33 is reversed into the lock case 30.

이는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은 레버핀(23)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레버핀(23)은 제 1회동체(51)를 회전시키게 되며, 제 1회동체(51) 양측의 작동돌기 (51a)에 의해 제 2회동체(52)을 상측으로 끌어 당김과 동시에 제 2회동체(52)와 연결된 작동편(53)이 일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된다.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22 and 12 are connected by lever pins 23, and the lever pins 23 rotate the first pivot 51, and both sides of the first pivot 51 At the same time as pulling the second rotating body 52 by the operating protrusion 51a, the operating piece 53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52 is upwardly centered on the hinge axis of one side.

여기서 상향되는 작동편(53)에 의해 연결체(56)가 당겨지면서 래칫볼트(33)를 락케이스(30) 내측으로 후진시키게 되면 도어는 잠금해제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onnector 56 is pulled back by the operating piece 53 upward, the ratchet bolt 33 is moved backward into the lock case 30, and the door is unlocked to be in a state capable of opening the door. .

그리고, 개방된 도어 내부로 출입자가 들어간 후에는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도어가 서서히 도어틀 내로 닫혀진 상태가 되면 레버핸들(22)(12)이 작동편의 힌지축에 결합된 토션스프링(54)과 래칫볼트(33)을 전ㆍ후진 시키는 스프링(56d)에 의해 원상복귀 즉, 도어에 잠금되어지고, 데드볼트(32)는 락케이스(30)의 내측의 잠금센서(70)에 의해 잠금되어진다.When the door is gradually closed by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after the person enters the open door, the torsion spring 54 and the ratchet coupled to the hinge shaft of the operating piece are handled by the lever handles 22 and 12. The original return, that is, the door is locked by the spring 56d for moving the bolt 33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dead bolt 32 is locked by the lock sensor 70 inside the lock case 30.

즉, 잠금센서(70)의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도어틀 내의 반사판에 발광부(71)에서 발광하고, 이 발광된 적외선은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수광부(72)에서 감응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모터(41)를 회전시키며, 이에 연동된 데드볼트(32)와 래칫볼트(33)를 도어틀 내의 삽입홈에 잠금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locking sensor 70 emits infrared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1 to the reflecting plate in the door frame, and the emitted infrared light is reflected from the reflecting plate to be sensitive to the light receiving unit 72 to apply power to the driving motor ( 41) to rotate, the dead bolt 32 and the ratchet bolt 33 is linked to lock the insertion groove in the door frame.

한편, 도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기 위해서는 내측조작부(20)의 오픈버튼을 누루게 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e out from the inside of the door to press the open button of the inner operation part 20 is to open the door through the above process.

또한, 실내용 리모콘을 사용하여 방문자가 있을 경우에 도어를 개방해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oor can be opened when there is a visitor using the indoor remote control.

또한,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외부로 나 온 후에는 자동 기능인 경우에는 도어가 자동잠김되어 지지만 수동 기능에서는 클로즈버튼을 1회 눌러 도어를 잠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function after the door is open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but in the manual function, the door can be locked by pressing the close button once.

한편, 카드(13)를 분실했을 경우에는 별도의 해정구(S)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는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되며 방범기능을 보강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d 13 is lost, the door is opened using a separate hatch (S), which is applied even when an unauthorized person wants to open the door and reinforces the security function.

즉, 해정구(S)를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 내측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캡(14)에 구멍을 천공하든지 파손하여야 하는데 감지센서(15)가 감지하여 경보음을 송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에 전화로 도어의 이상을 알려 주도록 되어 있다.That is, in order to insert the unlocking tool S into the lever handle 12 of the outer operation part 10, a hole must be punctured or broken in the cap 14, but the sensor 15 detects and sends an alarm sound in advance. The phone number is set to inform the door of the problem.

한편, 도어의 레버핸들(22)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인지레버판(28)을 내측으로 밀게 되면 멈춤판(29)과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레버핸들(22)은 자유롭게 회전되고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를 샛팅한 후 다시 체인지레버판(28)과 멈춤판(29)을 결합시키게 되면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ever handle 22 of the door, when the change lever plate 28 is pushed inward, the contact with the stop plate 29 is released, the lever handle 22 is free to rotate and change After changing the position to the combination of the change lever plate 28 and the stop plate 29 will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전자 도어락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여 조작성이 우수하고 편리한 것이다.The electronic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oor lock by itself recognizes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automatically locks the door even in the closed state is excellent and convenient operation.

또한, 본 고안의 전자도어락은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expert who can easily install the door lock using a fixing bracket.

또한, 본 고안의 전자도어락은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킨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ecurity by reinforcing the security function.

또한, 본 고안의 전자도어락은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위치변경이 가능함으로서, 좌ㆍ우측 어떤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to open and close the lever handle in both directions, it can be applied to any of the left and right doors.

Claims (9)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되고, 레버핸들(12)이 형성된 외측조작부(10);An outer operation unit 10 having a unlock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and having a lever handle 12 formed therein; 상기 외측조작부(10)와 대향되도록 레버핸들(22)이 형성되어 있고, 밧데리부(21a)가 구비된 내측조작부(20);An inner operation part 20 having a lever handle 22 formed to face the outer operation part 10 and having a battery part 21a; 상기 외측조작부(10)와 내측조작부(20) 사이에 위치하는 락케이스(30)에 수용되어 있고, 전자신호에 의해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32);A dead bolt 32 accommodated in the lock case 30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operation unit 10 and the inner operation unit 20 and protruded by an electronic signal to lock or unlock the door; 상기 데드볼트(32)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40);Drive means (40) for operating the dead bolt (32); 상기 락케이스(30)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래칫볼트(33);A ratchet bolt 33 accommodated in the lock case 30 and sunk by the ope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22 and 12; 상기 래칫볼트(33)를 출몰시키는 연동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locking means (50) for placing the ratchet bolt (33).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도어가 열린 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문이 닫히게 되면 자동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동작시켜 상기 데드볼트(32)를 도어틀 내에 잠금하도록 하는 상기 락케이스에 설치된 잠금센서(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After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closed by the automatic closing device is automatically sensed by operating the drive means 40 is provided with a lock sensor 70 installed in the lock case to lock the dead bolt 32 in the door frame 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잠금센서(70)은 발광부(71)와 수광부(72)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The lock sensor 70 is an 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tical sensor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unit 71 and a light receiving unit 7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출입자가 소지하는 카드(13);The unlocking means includes a card (13) possessed by the accessor; 상기 카드(13)의 주파수 및 코드를 인식하도록 상기 외측조작부(10)에 카드안테나(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d antenna (12a) is provided in the outer operation unit 10 to recognize the frequency and code of the card (13).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The un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enter a passwo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수단(40)은 정ㆍ역회전하는 구동모터(41);The drive means 40 includes a drive motor 41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2);A drive gear 42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41;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42)에 치합되어진 래크(3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ack (32c)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dead bolt (32) and meshed with the drive gear (42).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구동모터(41)의 정ㆍ역회전은 상기 구동모터(41)와 연동되는 상기 데드볼트(32)에 돌출 형성된 차광편(33d)과, 상기 차광편(33d)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1)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락케이스(30)에 설치된 전ㆍ후진센서(60)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41 is driven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light shielding piece 33d protruding from the dead bolt 32 interlocked with the drive motor 41 and the light shielding piece 33d. An 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orward and backward sensor (60) provided in a lock case (30) for stopping the motor (41).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ㆍ후진센서(60)는 발광부(61)와 수광부(62) 한쌍이 좌ㆍ우측에 각각 설치된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The forward and backward sensors (60) are electronic door lo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6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62) pair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optical sensor,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수단(50)은 상기 내ㆍ외레버핸들(22)(12)을 연결하는 레버핀(23);The interlocking means 50 includes a lever pin 23 for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lever handles 22 and 12; 상기 레버핀(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돌기(51a)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축(34)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 1회동체(51);An actuating protrusion (51a)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pin (23) and coupled to the lever shaft (34) to rotate freely (51); 상기 제 1회동체(51)의 작동돌기(51a)에 걸림편(52a)이 결합되고, 하측에 결합홈(52b)이 형성된 제 2회동체(52);A second rotating body 52 having a locking piece 52a coupled to the actuating protrusion 51a of the first rotating body 51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52b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일측은 락케이스(3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회동체(52)의 결합홈(52b)에 중앙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운동하는 작동편(53);One side is hinged to the lock case 30, the center piece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oupling groove (52b) of the second rotating body (52) to move the circular arc around the hinge axis (53); 상기 작동편(53)의 단부와 연결되어 도어틀 내에 출몰되도록 이루어진 상기 래칫볼트(33)에 일측이 연결되고 스프링(56d)이 고정된 연결체(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Electronic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rating piece (53) to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atchet bolt (33) formed in the door frame and the spring (56d) is fixed.
KR2020000023759U 2000-08-22 2000-08-22 An electroic door lock KR2002126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59U KR200212695Y1 (en) 2000-08-22 2000-08-22 An electroic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59U KR200212695Y1 (en) 2000-08-22 2000-08-22 An electroic door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695Y1 true KR200212695Y1 (en) 2001-02-15

Family

ID=7308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59U KR200212695Y1 (en) 2000-08-22 2000-08-22 An electroic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695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2475A1 (en) * 2001-11-15 2003-05-22 Shin Jung Gi Youn Co. Ltd.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detecting its operation states
KR100429065B1 (en) * 2001-11-15 2004-04-29 주식회사 뉴웰 Auto Sensing Unit for Lock Situation Sense in Auto Door Lock
KR100469556B1 (en) * 2001-11-17 2005-02-0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door locking appratus
KR100473888B1 (en) * 2002-09-02 2005-03-10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Device for door lock
KR100485613B1 (en) * 2000-09-05 2005-04-27 주식회사 잠그미 auto close-open door lock equipment
KR100743507B1 (en) 2004-01-09 2007-07-30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External opening control for doors and the lik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13B1 (en) * 2000-09-05 2005-04-27 주식회사 잠그미 auto close-open door lock equipment
WO2003042475A1 (en) * 2001-11-15 2003-05-22 Shin Jung Gi Youn Co. Ltd.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detecting its operation states
KR100429065B1 (en) * 2001-11-15 2004-04-29 주식회사 뉴웰 Auto Sensing Unit for Lock Situation Sense in Auto Door Lock
KR100469556B1 (en) * 2001-11-17 2005-02-0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door locking appratus
KR100473888B1 (en) * 2002-09-02 2005-03-10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Device for door lock
KR100743507B1 (en) 2004-01-09 2007-07-30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External opening control for doors and the li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3208B1 (en) Door locking device
CA3012377A1 (en) Access handle for sliding doors
KR101853053B1 (en) Mortise
KR100888514B1 (en) Push-pull type digital door locking device
KR101142425B1 (en) Door lock unlocking device
US20100156594A1 (en) Biometric Lock
US20180106077A1 (en) Inner Operating Device for a Door Lock
KR200212695Y1 (en) An electroic door lock
KR100763885B1 (en) Door lock apparatus
JP4205081B2 (en) Locking mechanism for hinged door
KR200352026Y1 (en) Mortise locking apparatus
JP4487458B2 (en) Residential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KR20050011936A (en) Door locking device
KR101383289B1 (en) Inner forced locking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WO2007054728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JP3133714U (en) Locking mechanism for hinged door
KR101912128B1 (en) Crime prevention door for apartment house
KR100380836B1 (en) Locking System
KR101826692B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KR102599729B1 (en) Door-lock mortise
KR102575824B1 (en) Door-lock mortise
KR200448138Y1 (en) Door-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KR100538705B1 (en) Digital door lock
CN113167086B (en) Cam lock with keyed mechanical priority electromechanical handle lock
KR100562053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ubsidiary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