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027Y1 - A Vacuum cleaner for ear - Google Patents

A Vacuum cleaner for 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027Y1
KR200212027Y1 KR2020000001599U KR20000001599U KR200212027Y1 KR 200212027 Y1 KR200212027 Y1 KR 200212027Y1 KR 2020000001599 U KR2020000001599 U KR 2020000001599U KR 20000001599 U KR20000001599 U KR 20000001599U KR 200212027 Y1 KR200212027 Y1 KR 200212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ear
attached
cap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5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00001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0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027Y1/en

Links

Landscapes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원리를 이용한 휴대용 귀(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원리를 귓속에 적용, 그 용도에 맞게 소형화하여 귓속의 귀지(귓밥) 및 이물질 등을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더 나아가 이와 유사한 정밀하고 미세한 부위의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고안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ar cleaner using the principle of a vacuum cleaner. The suction principle of a vacuum cleaner, which is widely used, is applied to the ear, and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is reduced in size to suit the purpose. It is designed for efficient and simple removal and further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in similar and fine areas.

대표도는 본 고안의 단면 상세도임.Representative view is a cross-sectional detai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원리를 이용한 휴대용 귀(지) 청소기{A Vacuum cleaner for ear}Portable vacuum cleaner using the principle of vacuum cleaner {A Vacuum cleaner for ear}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재 유용한 청소도구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는 일반 진공 청소기의 흡입원리와 코드없이 충전, 또는 건전지로 작동하여 자동차 내부등을 청소하는 휴대용 소형 진공 청소기의 장점을 혼합하여 코털 청소기 및 전동 칫솔등 과 같이 소형화 및 콤펙트화 하여 흡입에 의한 인체 의 귓속 귀지, 이물질, 작은 벌레 등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위생적으로 제거 하려는 데 그 사용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x nose suction and electric toothbrush by combining the suction principle of a vacuum cleaner which is currently in the spotlight as one of the useful cleaning tools and the advantages of a portable small vacuum cleaner that can be charged without a cord or operated by a battery. Its purpose is to effectively and safely sanitize the ear wax, foreign substances, small insects, etc. by the inhalation by miniaturization and compactization as described above.

종래의 인체의 귓속 청소에 있어서 귀지및 이물질 제거 방법에는 금속재질인 귀이개(귀후비개) 또는 가는 봉과 솜으로 구성된 면봉에 의한 것들로 이들 물품을 귓속 안으로 삽입하여 안에서 바깥쪽으로 긁어내어 배출하는데 그 과정에서 그 재질이 금속이고 그 끝이 날카롭고 또한 솜으로 둘러 쌓인 면봉이라 하더라도 귀지및 이물질을 긁어내는 과정에서 인체의 연약하고 섬세한 피부중의 한 부위인 귓속 피부에 상당히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데 예를 들어, 그 물품들과 피부와의 통상적인 마찰 과정에서 상처가 나 출혈이 생기로 더구나 귓속 피부는 쉽게 아물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쉽게 감염이 되어 외이염, 중이염등 염증화 하여 더욱 심한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것이다. 그리고 귀지및 이물질등을 일상주변에서 긁어내어 배출하는 과정에서 그 오물 부스러기들이 주변에 흩날리어 주위사람들에게 혐오감및 불쾌감을 안겨주고 그 행위가 보기에도 안좋을 뿐만 아니라 그 것들을 싸서 버리기 위하여 바닥에 휴지통 및 종이등 깔개를 깔고 사용한다 할지라도 그 비 위생적이고 불결함, 불편함 등 을 감수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 재질 의 귀후비개, 나무봉과 솜으로 구성된 면봉, 성냥개비, 핀 등은 그 재질이 단단하고 성분 또한 귓속피부와 접촉시 유해한 것 이어서 그 사용이 바람직하지 않고 더구나 이와같은 물품 등을 어린이나 노약자 에게 사용할 경우 더욱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In the ear cleaning of the human body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arwax and foreign matter removal method are those made of earpicks (ear palate), which are metallic materials, or cotton swabs composed of thin rods and cotton wool, which are inserted into the ear and scraped out from the inside to be discharged. Even if the material is made of metal and its tip is sharp and is covered with cotton, the process of scraping off earwax and foreign matters will have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the skin of the ear, which is one part of the human body's delicate and delicate skin. Injury or bleeding occurs in the normal friction process between the items and the skin.In addition, since the inner skin tends not to heal easily, it can easily become infected, otitis externa, otitis media, etc. will be. And in the process of scraping away the wax and foreign matters from the daily environment, the debris is scattered around, causing disgust and discomfort to the people around them, and their behavior is not good to see. Even if you use a rug, you have to bear the unsanitary, dirty, and uncomfortable things. These metal ear masks, cotton swabs, wooden sticks and cotton swabs, matchsticks, pins, etc., are hard and have harmful ingredients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kin. Therefore, they are not recommended for 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further damage if used.

본 고안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린더형 진공청소기나 충전식 휴대용 청소기 같은 강력한 흡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다만, 과다 흡입력 으로 인한 귓속의 고막(ear drum)에게 까지 영향을 주지 않고 외이도 주변의 귀지및 이물질만 원활하게 제거 될수 있도록 적정한 흡입력( = 적정 RPM)이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고막에 영향을 주지 않는 흡입력 범위내 에서 흡입(풍량) 강도를 대략 3 단계 정도로 조절할 수있는 풍량조절장치를 첨가하는 것도 편리하다 하겠다. 본 고안은 인체의 귀 부위에 사용하고자 하는 것 이므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본 고안을 작동시 모터및 부품 작동에 의한 소음, 진동을 최대한 줄이고자 모터 및 방음재, 방진재 등 주 요소 재질 및 그 선정에 있어서 중요하게 검토되어 적용되어야 하겠다. 또한 본 고안은 그 전력 사용을 건전지로 사용함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충전식으로도 적용될수 있다 하겠다. 본 고안의 A (본체)를 비롯한 각 요소의 재질은 프라스틱류나 폴리카보네이트 가 적용될수 있겠고 C (흡입봉)은 흡입력에 의한 귀지및 이물질제거이므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 마찰하지는 않으나 인체 피부에 무해한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 하다 하겠다. D(캡)은 투명 재질로 성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B(더스트 케이스)와 C (흡입봉)도 투명성 있게 제작될 수 있다고 하겠다. 또한 7(필터)는 미세한 입자 까지도 걸러질수 있는 동시에 흡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재질 및 항균재질로 선택되어야 하겠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strong suction power, such as the most commonly used cylindrical vacuum cleaners or rechargeable handheld vacuum cleaners, but does not affect the ear drum of the ear due to excessive suction power, and only the earwax and foreign matters around the ear canal smoothly. Proper suction force (= proper RPM) is required to be removed. In addition, it is also convenient to add the air flow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suction (air flow) intensity to about three stages within the suction force range does not affect the eardrum.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used on the ear of the human body,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main elements such as the motor, soundproof material, and dustproof material and their selection in order to minimiz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parts when operating the present design. Should be reviewed and appli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use of power as a battery, but can be applied as a rechargeable. The material of each element including A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plastics or polycarbonate, and C (suction rod) is a material that is not harmful to human skin because it does not directly contact and rub the skin because it removes earwax and foreign substances by suction force. It is preferable to be molded into. D (cap) is molded from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 some cases, B (dust case) and C (suction rod) can also be made transparent. In addition, 7 (filter) should be selected as a material and antimicrobial material that can filter out fine particles and do not reduce the suction efficiency.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 상세도이고 도 1 의 (가)는 1(흡입구)부의 부분 단면 상세도 임.1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and (a) of FIG.

도 2 는 본 고안의 각 부위별(A,B,C,D)의 탈·부착 및 12(건전지 캡)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나타내는 외형도 임.Figure 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each part (A, B, C, D) of the subject innovation and 12 (battery cap) is opened and closed.

도 3 은 본 고안의 후방(뒷부분)을 나타내는것으로 도 3 의 (가)는 외형도로 14(공기 배출구)와 12(건전지 캡)부분을 나타내고 도 3 의 (나)는 뒷부분(후방)의 단면도 임.Figure 3 shows the rear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n outline of the 14 (air outlet) and 12 (battery cap) parts and Figure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 (rear). .

도 4 는 본 고안의 실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외형도 임.Figure 4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actu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크게 4개의 부위로 나뉘는데 A (본체), B (더스트 케이스), C (흡입봉) D (캡), E (청소솔)등이 그것이다. C (흡입봉)은 B (더스트 케이스) 앞 부분인 19(캡 고정턱)안쪽 홈에 견고하게 삽입, 분리 될수있게끔 구성되고 또한 D (캡)은 C (흡입봉) 을 보호하기 위해 19 (캡 고정턱)에 의해 탈·부착된다. B (더스트 케이스)는 귀지등 이물질 등이 모여지는 곳으로 1 (흡입구)로 최초 흡입되어 2 (흡입관)을 거쳐 3 (더스트 케이스 내부)로 모이게 되는데 귀지 등 이물질 을 제외한 공기는 7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도 3 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14 (공기 배출구)로 배출됨. B (더스트 케이스)는 4 (더스트 케이스 고정걸이)와 5 (본체 고정걸이)가 각각 오목,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식으로 돌려 탈·부착 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3 (더스트 케이스 내부)에 귀지등이 차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 와 5 의 부위를 회전 시켜 분리, 털어서 버리고 다시 부착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7 (필터)가 내재 되어 있는 6 (필터틀)도 교환 및 청소목적으로 A (본체)의 20 (필터 고정걸이) 에 의해 탈·부착 하게끔 되어 있는데 8(필터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잡아 좌우로 회전시키면 6 (필터틀)과 20 (필터 고정걸이) 또한 각각 오목 및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탈·부착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9(팬)은 10(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흡입력이 생기고 그 흡입력은 16 (풍량 제어부)에 의하여 15 (온-오프 및 풍량 조절 스위치)로 온-오프 및 풍량 조절이 3단계 정도로 조절가능하게 한 것 이다. 또한 모터의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위치에 17 (방진재)와 18(방음재)를 고려하였음. 도 2 와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배출 기능인 14(공기 배출구)를 겸하고 있는 12(건전지 캡)은 13(캡 고정핀)에 의해 A(본체)로 부터 열고 닫히게 되어 있어 11 (건전지) 교환및 내부를 청소 할 수 있게 되는데, 막대와 위생솔로 구성된 E (청소솔)은 B(더스트 케이스) 내부및 C (흡입봉)내부를 청소 할 수 있게끔 하였음. 또한 A(본체) 외피에 홈을 형성하여 E(청소솔)을 장착 및 탈착할수 있게끔. 고려하였음.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X'는 공기흡입을 'Y'는 공기 배출 경로를 나타냄. 특히 도 1 의 (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1(흡입구)는 C(흡입봉)의 앞쪽 끝 부분인 1 (흡입구)가 인체의 고막에 직접적으로 흡입력에 의해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하여 1 (흡입구) 끝부분을 돌기 형태로 형성하여 돌기를 중심으로 좌.우 양 흡입구로 공기 흡입이 되게끔 고안한 것이다. 즉,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연필쥐듯이 잡고서 귓속원하는 부위에 이동및 적절히 회전시켜 또한 1(흡입구)의 양입구 각도가 각각 15도 에서 30도 정도로 경사 되어 있어 본 고안을 비스듬히 원하는 부위에 근접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detail as follows.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such as A (body), B (dust case), C (suction rod) D (cap), E (cleaning brush). The C (suction bar) is configured to be firmly inserted and removed in the groove inside the 19 (cap fixing jaw), which is the front part of the B (dust case), and the D (cap) is used to protect the C (suction bar). It is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fixed jaw). B (dust case) is a place where foreign matters such as earwax are collected and are first sucked into 1 (suction port) and collected through 2 (suction tube) to 3 (inside dust case). Filtered to discharge to 14 (air outlet) as shown in (a) of FIG. B (dust case) has 4 (dust case fixing hangers) and 5 (body fixing hangers) which are concave and convex,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rotated and detached and attached, and 3 (inside dust case) When it is cold, as described above, rotate the parts of 4 and 5 to separate, shake off, and attach again. In addition, 6 (filter frame) in which 7 (filter) is embedded is also attached and detached by 20 (filter holder) of A (body) for replacement and cleaning purpose. When rotated, 6 (filter frame) and 20 (filter holder) are also concave and convex,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9 (Fan)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10 (motor) to generate suction power, and the suction power is adjusted to 15 (on-off and air volume control switch) by 16 (air volume control) to adjust the on-off and air volume to three levels. It is possibl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vibration and noise of the motor, 17 (dustproof material) and 18 (soundproof material) were considered at each position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2 and 3, 12 (battery cap), which also serves as 14 (air outlet), is opened and closed from A (the body) by 13 (cap fixing pin) to replace 11 (battery) and It is possible to clean the inside. E (cleaning brush) consisting of a rod and sanitary brush makes it possible to clean inside B (dust case) and inside C (suction rod).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hell of the A (main body) so that the E (cleaning brush) can be attached and removed. Considered. As shown in Figure 1 'X' represents the air intake, 'Y' represents the air discharge path. In particular, as shown in (a) of FIG. 1, 1 (su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1 (suction port), which is the front end of C (suction rod), does not stick directly to the eardrum of the human body by suction force. Inlet port) It is designed to make air intake to the left and right inlet port by forming the tip in the form of protrusion.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4, while holding the present invention like a pencil grasping and moving to the desired area, the inlet angle of 1 (intake) is inclined at about 15 degrees to 30 degrees, respectively, the desired area obliquely It can be used close to.

본 고안은 일상 생활에 있어서 각종 먼지 및 이물질등을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원리를 이용, 그 용도를 인체의 특정 부위(귓속의 귀지 및 이물질 제거)에 적용하여 기존 의 귀 후비개 및 성냥개비, 면봉 등의 사용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하고자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suction principle of the vacuum cleaner used to clean various dusts and foreign matters in daily life, and its use is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removal of earwax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ear) and the existing ear palate and We tried to fundamental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matchsticks and swabs.

첫째, 흡입 원리에 의해 본 고안은 적정 흡입력으로 귀지 및 이물질, 아주 미세한 입자까지 흡입 제거되므로 기존의 방법들 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느낌이 상쾌함.First, according to the suction princi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earwax, foreign matter, and very fine particles with proper suction force, so it is more effectively removed than the existing methods and feels refreshed.

둘째, 귓속의 해당부위에 본 고안의 흡입구 를 서서히 접근시키면서 흡입 제거하기 때문에 기존 물품 등의 사용으로 피부손상 등 으로 인한 질병의 문제가 없으므로 안전함.Second, it is safe to remove the inhalation while slowly approaching the su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ear, so there is no problem of disease caused by skin damage by using the existing items.

셋째, 귀지및 이물질등이 본 고안의 B(더스트 케이스)로 모여져 다 찼을때 분리하여 버리면 되고 또한 C (흡입봉) 부위를 D(캡)으로 막아 보관 및 휴대 하므로 위생적이고 깨끗함.Third, earwax and foreign matters are collected in the B (dust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y are full, they are separated and discarded. Also, the C (suction rod) is blocked and stored with D (cap) for hygiene and cleanness.

넷째, 휴대용 코털 청소기 및 전동칫솔, 소형 전기면도기 처럼 본 고안도 소형으로 고안하여 휴대하기 편리하고 콤팩트 하여 때와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가능함.Fourth, this invention is designed to be compact like portable nose cleaner, electric toothbrush and small electric shaver, so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compact 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다섯째, 본 고안은 면봉, 성냥개비등 일회성 사용도구가 아닌 귀(지)청소기 로써 반 영구적임.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semi-permanent as an ear cleaner rather than a one-time use tool such as cotton swabs and matchsticks.

여섯째, 본 고안은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B(더스트 케이스)부분을 필기구 쥐듯이 잡고 사용할 수 있게끔 필기구 형태로 디자인하여 미적감각이 있고 그 사용이 간편함.Sixth, the present design is designed in the form of writing instruments to be used as grasping the B (dust case) portion as a writing instrument, as shown in Figure 4 has an aesthetic sense and its ease of use.

Claims (1)

진공 청소기의 흡입원리를 이용한 휴대용 소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인체 귓속의 귀지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도를 변경, 1(흡입구)와 같은 특성으로 구성된 C(흡입봉)이 형성, B(더스트 케이스)의 19(캡 고정턱) 안쪽 홈에 삽·탈 되게끔 형성되고 19(캡고정턱)에 의해 D(캡)이 탈착 및 부착 되게끔 하여 C(흡입봉)을 보호하고 흡입에 의해 귀지등 이 물질 등이 모여지는 곳인 B(더스트 케이스)의 3(더스트 케이스 내부)가 형성되어 짐과 동시에 4(더스트 케이스 고정걸이)와 5(본체고정걸이)는 각각 탈착 및 부착이 되어지게 끔 형성 되어지고 또한 7(필터)가 포함된 6(필터틀)은 8(필터 손잡이)가 구비되어 짐과 동시에 A(본체)의 20(필터 고정걸이)로부터 탈착 및 부착 되어지고 9(팬)이 부착된 10(모터)가 A(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지고 그 구동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17(방진재)와 18(방음재)가 감소시키고 12(건전지 캡)및 13(캡 고정핀)으로 구성된 곳으로부터 11(건전지)가 삽입 및 이탈이 되어 11(건전지)의 전력에 의해 10(모터) 및 9(팬)이 구동되어 흡입력이 발생하고 16(풍량 제어부) 및 15(온-오프 및 풍량조절스위치)로 그 기능이 되어 귀지등, 이 물질을 제거 청소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귀(지)청소기.The portable small vacuum cleaner using the suction principle of the vacuum cleaner has been chang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earwax in the human ear, and C (suction rod) composed of 1 (suction port) is formed, and B (dust case) 19 (Cap fixing jaw) It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removed in the inner groove, and 19 (Cap fixing jaw)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attached by D (cap) to protect C (suction bar) At the same time, 3 (inside the dust case) of B (dust case), where the back is gathered, is formed, and 4 (dust case fixing hanger) and 5 (body fixing hanger) are forme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respectively. 6 (filter frame) including 7 (filter) is equipped with 8 (filter handle) and is detached and attached from 20 (filter holder) of A (the body) and 10 (with fan) is attached. Motor) is installed inside A (main body) and noise due to its driving Vibration is reduced by 17 (dustproof material) and 18 (soundproof material), and 11 (battery) is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place consisting of 12 (battery cap) and 13 (cap fixing pin). Motor) and 9 (fan) are driven to generate suction power, and it functions as 16 (air volume control unit) and 15 (on-off and air volume control switch) to remove and clean up foreign substances such as ear wax. Ear cleaner.
KR2020000001599U 2000-01-20 2000-01-20 A Vacuum cleaner for ear KR2002120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599U KR200212027Y1 (en) 2000-01-20 2000-01-20 A Vacuum cleaner for 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599U KR200212027Y1 (en) 2000-01-20 2000-01-20 A Vacuum cleaner for 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027Y1 true KR200212027Y1 (en) 2001-02-01

Family

ID=7308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599U KR200212027Y1 (en) 2000-01-20 2000-01-20 A Vacuum cleaner for 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02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93A (en) * 2001-05-11 2002-11-18 홍우동 Earwax cleaner
KR20030091457A (en) * 2002-05-28 2003-12-03 최순남 Apparatus for removing earwax
KR101123201B1 (en) * 2009-01-22 2012-03-19 강소대 Suction Type Ear Pick using Diaphrag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93A (en) * 2001-05-11 2002-11-18 홍우동 Earwax cleaner
KR20030091457A (en) * 2002-05-28 2003-12-03 최순남 Apparatus for removing earwax
KR101123201B1 (en) * 2009-01-22 2012-03-19 강소대 Suction Type Ear Pick using Diaphrag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5590A3 (en) Vacuum grooming tool
TWI271182B (en) Electric picking or cleaning ear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US5441410A (en) Disposable saliva ejector
US20150245853A1 (en) Exfoliation unit with vacuum means
KR200212027Y1 (en) A Vacuum cleaner for ear
KR20110100481A (en) Vacuum cleaner for pet fur
US20220062055A1 (en) Device For Extracting Nasal Mucus Or Earwax
KR100526115B1 (en) Head assembly of a pet animal for vacuum cleaner
JP2007029216A (en) Vacuum cleaner
JP2008289671A (en)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KR920006770Y1 (en) Device for removing ear wax
JP4341038B2 (en) Pet brush with container.
KR200254938Y1 (en) Table for treatment of pet animal having dust collection function
KR200302906Y1 (en) Ear cleaner
KR200190862Y1 (en) Suction comb
JP3140413U (en) Pistol type small manual vacuum cleaner
KR200257953Y1 (en) Small sized wireless vacuum cleaner for pet hair
JPH11113782A (en) Disposable tool for cleaning ear and removing matter stuck in molar
KR20100006110U (en) Automatic movement ear cleaner
KR200336557Y1 (en) Multi-functional ear cleaner
KR100879977B1 (en) Disposable dust bag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KR200202866Y1 (en) Instrument for cleaning ears
KR200353505Y1 (en) brush
CN1100517C (en) Electric ear-picking device
JP2000225071A (en) Ea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