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31Y1 - 목욕용 의자 - Google Patents

목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31Y1
KR200210831Y1 KR2020000018732U KR20000018732U KR200210831Y1 KR 200210831 Y1 KR200210831 Y1 KR 200210831Y1 KR 2020000018732 U KR2020000018732 U KR 2020000018732U KR 20000018732 U KR20000018732 U KR 20000018732U KR 200210831 Y1 KR200210831 Y1 KR 200210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th
chair
tak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영
Original Assignee
황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영 filed Critical 황준영
Priority to KR2020000018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3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목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 할 수 없는 사람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본원 출원인의 실용신안 선등록 제 20-0180448호를 개량 고안한 목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는 원형 파이프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좌판(50)을 안착하고 하단에는 발판(40)을 안착하며 저면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구(11)를 형성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후방에 수직으로 구비하고 상부의 내측에는 등받이(60)를 경사지게 체결한 원통파이프형의 지주프레임(20)과; 지주프레임(20)의 상부 외측에 고정하고 전,후방으로 회동작동되는 보조시트(70)의 연결간(71)을 수평으로 받쳐서 지지토록 하는 걸림부재(72)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삽입체결하고 상향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수평을 이루는 손잡이(31)(31a)를 다단으로 형성하며 프레임(10)으로 부터 그 간격을 조절토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0);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욕용 의자{Bath Support Chair}
본 고안은 목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 할 수 없는 사람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본원 출원인의 실용신안 선등록 제 20-0180448호를 개량 고안한 목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은 사람(이하 '장애인'이라 함)은 몸의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자신이 스스로 목욕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 목욕을 할 수 밖에 없으나, 이 경우에도 목욕탕의 바닥이나 욕조내에서 목욕자세를 취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힘들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장애 정도에 따라서는 목욕자세를 취하는 것 조차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목욕을 시키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장애인이 목욕자세를 용이하게 취하지 못함으로써 목욕을 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야기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혼자서 목욕을 시킬 수 없고 여러 사람의 협력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자에는 장애인의 목욕을 위한 목욕용 의자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는 장애인이 단순히 앉을 수 있는 정도의 기능만을 가지는 것임으로써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실용신안 선등록 제20-0180448호로서 장애인 전용의 목욕용 의자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선등록 고안의 목욕의자는 목욕의 형태에 따라서 앉거나 엎드리는 등 편안하고도 안전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자서도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 고안은 요구되는 본래의 효과를 충분히 가질지라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부품수도 증가되어 제조에 따른 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목욕자의 신체적인 특성이나 조건 등에 따라 손잡이의 각도와 높낮이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는 오히려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절에 따른 사용의 번거러움과 고정력도 좋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 고안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에 따른 제조성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토록 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토록 한 목욕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욕용 의자는 원형 파이프를 절곡하여 전체 골격에 따른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상에 발판, 좌판, 등받이를 다단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에는 별도의 보조시트를 회동가능토록 형성함으로써 앉거나 엎드리는 등 다양하고도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프레임의 전면에는 팔걸이 프레임을 진퇴가능토록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팔걸이 프레임상에는 손잡이를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의 또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프레임
11:받침구 20:지주프레임
30:팔걸이 프레임 31,31a:손잡이
32:발걸이 40:발판
50:좌판 60:등받이
70:보조시트 71:연결간
72:걸림부재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본 고안 목욕용 의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목욕용 의자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원형 파이프를 절곡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주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체결되는 팔걸이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는 골조를 가지게 된다.
또 상기 프레임(10)에는 발 판(40)과 좌판(50)이 형성되고, 지주프레임(20)의 상단 내측에는 등받이(60)가 가로질러 형성됨과 동시에, 외측에는 180。로 회전가능한 보조시트(7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금속 재질의 원형파이프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부에는 좌판(50)이 하부에는 발판(40)이 안착되고, 저면에는 바닥면에 고정을 위한 받침구(11)가 형성된다.
발판(40)과 좌판(50)은 일정한 쿠션을 가지는 판체형으로 형성되고 목욕자의 신체가 안착될 시 딱딱하지 않고 편안함을 느낄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전면에는 신체조건을 감안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하트형의 라운드면(12)을 가지고 있다.
또, 프레임(10)의 후면에는 역시 원형파이프로 형성되는 지주프레임(20)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지주프레임(20)의 상부 내측에는 등받이(60)가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다.
지주프레임(20)의 상부 외측에는 보조시트(70)의 연결간(71)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하여 180°로 회전가능토록 형성된다.
보조시트(70)는 목욕자의 자세에 따라 지주프레임(20)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이나 후방의 어느 일측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시트(70)의 연결간(71)은 지주프레임(2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재(72)에 의해 지지된다.
걸림부재(72)는 지주프레임(20)의 외측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조시트(70)가 전,후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더라도 그 연결간(71)을 수평으로 받치게 되어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손잡이(31)를 가지는 팔걸이 프레임(30)이 형성됨과 동시에, 후면의 상부에는 발걸이(32)가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 경우는 목욕자가 목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엎드리거나 꾸부리는 등의 특이한 자세를 취할 경우에 사용된다.
팔걸이 프레임(30)은 원형파이프가 상향으로 절곡형성되고 그 끝단이 프레임(30)의 전단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므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에는 한 쌍의 손잡이(31)(31a)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단으로 형성된다.
특히, 손잡이(31)(31a)는 내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면서도 상,하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목욕자세나 신체 조건에 따라 안전하고도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발걸이(32)는 프레임(10)과 지주프레임(20)이 교차되는 좌판(50)의 후면상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므로 목욕자의 자세를 안전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목욕용 의자(100)는 장애인의 신체조건이나 세척부위에 따라 여러 가지 자세를 안전하게 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앉은 자세를 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판(40)에 발을 올려놓고 좌판(50)에 앉아 등받이(60)에 등을 기댐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가 있다.
이 경우는 보조시트(70)는 후방으로 제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편안하게 팔을 올려 놓을 수 있고, 또 전방으로 꾸부려서 손잡이(31)(31a)를 잡고 엎드린 사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신체의 등이나 엉덩이 등을 씻을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에서 보듯이 좌판(50)과 등받이(6), 그리고 뒤로 젖혀진 보조시트(70)를 이용하여 엎드린 자세를 취함으로써 목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장애인의 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시트(70)을 전방으로 제쳐진 상태에서 발걸이(32)에 발을 올려놓고 팔걸이 프레임(30)의 손잡이(31)(31a)를 잡아 엎드린 자세를 취함으로 보다 편안하게 목욕을 시킬 수가 있다.
이때, 상기 팔걸이 프레임(30)은 전,후방으로 그 간격을 조절할 수가 있음으로써 신체조건이나 목욕자세 등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밖에도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목욕용 의자(100)는 여러 가지 목욕자세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가 있으며, 이는 장애인이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목욕을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혼자서는 목욕하기 힘든 장애인의 목욕을 편안하고도 안전하게 시킬 수 있고, 장애인 역시 목욕하는 동안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인의 선등록 고안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수가 작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을 기할 수 있고, 사용도 단순한 등 사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원형파이프를 절곡하여 골조를 형성함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견고하여 핸드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따른 조절도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가 있어 일반 가정은 물론, 양로원, 병원, 고아원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발판, 좌판 그리고 등받이 등으로 이루어진 목욕용 의자에 있어서,
    원형 파이프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좌판(50)을 안착하고 하단에는 발판(40)을 안착하며 저면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구(11)를 형성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후방에 수직으로 구비하고 상부의 내측에는 등받이(60)를 경사지게 체결한 원통파이프형의 지주프레임(20)과;
    지주프레임(20)의 상부 외측에 고정하고 전,후방으로 회동작동되는 보조시트(70)의 연결간(71)을 수평으로 받쳐서 지지토록 하는 걸림부재(72)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삽입체결하고 상향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수평을 이루는 손잡이(31)(31a)를 다단으로 형성하며 프레임(10)으로 부터 그 간격을 조절토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의자.
KR2020000018732U 2000-06-30 2000-06-30 목욕용 의자 KR200210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32U KR200210831Y1 (ko) 2000-06-30 2000-06-30 목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32U KR200210831Y1 (ko) 2000-06-30 2000-06-30 목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31Y1 true KR200210831Y1 (ko) 2001-01-15

Family

ID=7305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32U KR200210831Y1 (ko) 2000-06-30 2000-06-30 목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82Y1 (ko) 2010-09-15 2013-01-14 (주)보필 국부세척용 접이식 목욕 의자
KR20220094355A (ko) 2020-12-29 2022-07-06 정광국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82Y1 (ko) 2010-09-15 2013-01-14 (주)보필 국부세척용 접이식 목욕 의자
KR20220094355A (ko) 2020-12-29 2022-07-06 정광국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3672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rotatable grab bar
KR102468660B1 (ko) 다기능 휠체어
US20080022448A1 (en) Bathing aid
JP5042107B2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102147041B1 (ko)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210831Y1 (ko) 목욕용 의자
US673100A (en) Invalid's walking-chair.
US10660480B1 (en) Adjustable bathtub/shower seat and associated use thereof
KR200399680Y1 (ko) 체중 고정구조를 갖는 반신욕 의자
KR200180448Y1 (ko) 목욕용 보조의자
JP2001353089A (ja) 浴 槽
JP3424169B2 (ja) シャワー用車椅子
KR200425324Y1 (ko) 욕실 부착형 접이식 의자
KR920004946Y1 (ko) 목욕 의자
JP3079418U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身体起立補助装置
CN220833346U (zh) 一种居家医养上门护理的多功能椅
JP3144540B2 (ja) ポ−タブルトイレ用安全フレ−ム
KR102505407B1 (ko)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KR20140070039A (ko) 다용도 목욕의자
JP3245115U (ja) トイレ用の補助スタンド
JP3167780U (ja) シャワー椅子
JP3209186U (ja) 多機能在宅介護用補助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