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80Y1 -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80Y1
KR200210780Y1 KR2020000024638U KR20000024638U KR200210780Y1 KR 200210780 Y1 KR200210780 Y1 KR 200210780Y1 KR 2020000024638 U KR2020000024638 U KR 2020000024638U KR 20000024638 U KR20000024638 U KR 20000024638U KR 200210780 Y1 KR200210780 Y1 KR 200210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intensity
cpu
wireless communication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80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진동의 강도 조정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정한 강도의 진동을 선택하는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적합한 수만큼의 포트를 ON시키는 CPU와; 상기 CPU에 의해 ON된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역흐름을 방지하는 역전류 방지부와; 상기 역전류 방지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증폭부로 이루어져, 일반포트 또는 DAC 포트를 이용하여 다단계의 진동강도 조정을 구현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진동강도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Apparatus for strength controlling of vibra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진동의 강도 조정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정한 강도의 진동을 선택하는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로 착신되는 호(Call)를 통지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구비한다. 일반적인 호착신 통지수단은 호출음(또는 멜로디)과 진동 등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기라 함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전화기, 휴대이동 전화기, DECT(Digital European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호출음 모드의 경우 저 전력으로 효과적인 호착신 통지는 가능하나, 해당 단말기의 주변에 있는 이들에게 불특정한 소음방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래서 최근의 경향은 공공장소 등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음 사용을 자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편, 진동모드의 경우에는 호착신 통지를 해당 단말기의 소지자에게만 개인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지만, 전력의 소모가 심한 단점이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이 고려되어 배터리의 용량에는 제한이 있는데, 배터리 전력의 소모가 심하면 사용자들이 진동기능의 사용을 기피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모드에서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이에 대비되는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진동기능이 없거나 진동기능이 있는 경우에도 단순히 호출음 대신에 진동으로 바꾸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경향이었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조자들이 제공하는 호착신 통지기능은 호출음 모드를 기본으로 하며, 특수한 환경에서 진동모드으로 일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의 사용자는 도서관이나 영화관 또는 회의실 등 공공장소에서 진동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통의 단말기에서는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진동모드와 호출음 모드간의 전환을 가능케 한다. 진동모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호착신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내장된 모터를 동작시켜 일정한 세기로 단말기의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사용자가 호착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진동의 세기는 단말기 제조자마다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어떤 무선통신 단말기는 진동모드에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에 진동의 세기가 너무 약하여 사용자가 호착신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를 유발하였다. 또 다른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가 너무 강하여 호착신시의 진동으로 주변사람이 호착신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라서 결과적으로 호출음과 동일한 소음방해를 제공할 수도 있었다.
무선통신 단말기마다 진동의 강도가 다른 것은 이에 대한 엄격한 표준을 적용하기가 어려워 최소강도에 대한 규정만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종래의 기술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조자가 진동의 세기를 고정하여 두었기 때문에 진동모드에서 사용자가 호착신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정숙을 목적으로 한 진동기능의 목적을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진동의 강도 조정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정한 강도의 진동을 선택하는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는,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적합한 수만큼의 포트를 ON시키는 CPU와; 상기 CPU에 의해 ON된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역흐름을 방지하는 역전류 방지부와; 상기 역전류 방지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증폭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시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는,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따른 진동제어값을 DAC 출력 레지스터로 쓰는 CPU와; 상기 DAC 출력 레지스터에 쓰여진 진동제어값을 전압증폭하는 제1 증폭부와;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증폭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CPU 12 : 역전류 방지부
13 : 증폭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예는,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적합한 수만큼의 포트를 ON시키는 CPU(11)와; 상기 CPU(11)에 의해 ON된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역흐름을 방지하는 역전류 방지부(12)와; 상기 역전류 방지부(12)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증폭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따라 진동제어값을 DAC 출력 레지스터로 쓰는 CPU(21)와; 상기 DAC 출력 레지스터에 쓰여진 진동제어값을 전압증폭하는 제1 증폭부(22)와; 상기 제1 증폭부(2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증폭부(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기능의 구현을 위한 구성부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크게 구분되는데,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구현한다. 다만,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진동세기 메뉴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진동기능을 위한 하드웨어는 다단계의 진동강도 선택을 가능케 한다. 즉, 최소 2단계 이상의 진동강도 선택을 지원하여 강/약의 세기로 무선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강도 조정장치는 일반포트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DAC(Digital Analog Converter) 포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반포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반포트의 수를 진동강도 조정의 단계수에 일치시킨다. 예를 들어, 3단계의 진동강도 선택을 가능케 하고자 하면 3개의 일반포트를 구비한다.
한편, DAC를 이용하는 경우 DAC포트는 1개만 사용하게 되며, CPU(21)가 진동모터의 회전강도를 임의단계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CPU(21)는 1개씩의 DAC 포트를 지원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진동강도를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는 바,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진동강도 조정메뉴를 통해 진동강도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선택값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저장된다.
그러면 도1에서 3개의 일반포트(P01, P02, P03)를 이용하여 진동강도를 강/중/약으로 3단계 조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진동강도 조정장치는 CPU(11)와 역전류 방지부(12) 및 증폭부(13)로 구성된다.
진동모드에서 호착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CPU(11)는 EEPROM을 읽어 사용자가 선택한 진동강도를 확인한다.
그래서 진동강도가 약으로 선택되어 있으면, 3개의 일반포트(P01, P02, P03)중 하나만 ON된다. 이때 출력되는 전류는 역전류 방지부(12)에 의해 역흐름이 방지되면서 증폭부(13)에 의해 수십배 증폭된다.
증폭부(13)에서 증폭된 전류가 진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단말기의 회전 또는 진동을 유발한다. 상기 증폭부(13)는 트랜지스터(Q1)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진동강도를 강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3개의 일반포트(P01, P02, P03)가 모두 ON되어 전류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동작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상기에서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전류는 1개의 일반포트가 ON된 경우에 비해 3개의 일반포트가 ON된 경우에 있어 3배가 된다. 결과적으로 진동의 강도 또한 3배 정도의 차이를 갖게 된다.
이어서 도2에서 1개의 DAC포트(DAC)를 사용하여 임의적으로 진동강도를 조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DAC포트를 이용한 진동강도 조정장치는, CPU(21)와 제1 증폭부(22) 및 제2 증폭부(23)로 구성된다.
그래서 호착신시 CPU(21)는 EEPROM을 읽어 선택된 진동강도를 확인한다. CPU(21)는 상기 진동강도 값에 따라 DAC 출력 레지스터로 진동제어값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CPU(21)가 DAC 출력 레지스터로 출력하는 진동제어값의 범위는 최소 1에서 최대 255이다. 이러한 진동강도의 선택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UP/DOWN 버튼을 이용하여 255 단계간을 연속적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DAC 출력 레지스터로 제어값이 출력되면, DAC 포트에 연결된 제1 증폭부(22)에 의해 전압 증폭된 후 다시 제2 증폭부(13)에 의해 증폭되어 진동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제1 증폭부(22)는 OP AMP로 구현되고 제2 증폭부(23)는 트랜지스터(Q1)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이때 DAC 출력 레지스터에 쓰여진 진동제어값이 클수록 진동모터의 회전수는 증가된다. 즉, DAC 출력 레지스터에 쓰여지는 진동제어값은 255 가지이므로, 이론적으로는 255 단계의 진동강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일반포트 또는 DAC 포트를 이용하여 다단계의 진동강도 조정을 구현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환경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진동강도를 조정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조자와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진동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이 불가함으로 인하여 호착신의 부지 또는 과다한 진동소음에 의한 타인에의 방해유발 등의 불편을 초래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단말기의 운용환경에 적합한 진동강도를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취향에 따른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는 이점이 있고, 단말기 제조자에게는 간단한 장치를 저비용으로 구성하는 정도로도 사용자의 호감을 유발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적합한 수만큼의 포트를 ON시키는 CPU와;
    상기 CPU에 의해 ON된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의 역흐름을 방지하는 역전류 방지부와;
    상기 역전류 방지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증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U에 의해 ON/OFF 동작하는 포트는 진동강도 조정 단계수에 비례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진동강도의 설정은 최소 2단계 이상의 강도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사용자의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4. 호가 착신되면 설정된 진동강도에 따른 진동제어값을 DAC 출력 레지스터로 쓰는 CPU와;
    상기 DAC 출력 레지스터에 쓰여진 진동제어값을 전압증폭하는 제1 증폭부와;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 증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어값은 최소 1에서 최대 255까지 DAC 출력 레지스터에 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KR2020000024638U 2000-08-30 2000-08-30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KR200210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638U KR200210780Y1 (ko) 2000-08-30 2000-08-30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638U KR200210780Y1 (ko) 2000-08-30 2000-08-30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780Y1 true KR200210780Y1 (ko) 2001-01-15

Family

ID=7308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638U KR200210780Y1 (ko) 2000-08-30 2000-08-30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213B1 (ko) * 2002-09-02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진동 발생기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213B1 (ko) * 2002-09-02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진동 발생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12636A (ja) 構成パラメタ・プログラミング・システムと電話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10780Y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강도 조정장치
JPS5868329A (ja) 自動車電話機の受話音量切換装置
KR100678168B1 (ko) 무음 모드 진입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H05102910A (ja) 無線電話装置
KR20010048834A (ko) 기존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전환 방법
JP2003264611A (ja) 携帯通信端末
JP4399785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00003110U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진동세기 조절회로
JP2610976B2 (ja) Dtmfダイヤラ
JP2000134293A (ja) 携帯用通信機器
KR0151413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온-후크상태 출력장치
KR200180376Y1 (ko) 라디오가 구비된 이동무선전화기용 이어 마이크
KR2005000152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강도 조절 장치
KR100206101B1 (ko) 광다이얼 기능에 대한 전력소모 절감장치
KR2004001160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음량 조절방법
JPH07231276A (ja) 携帯用無線電話装置
KR100874763B1 (ko) 핸드폰의 진동모드 세기 조절방법
JP2002043974A (ja) Pll周波数シンセサイザ式無線装置の給電方法、pll周波数シンセサイザ式無線装置
KR100217720B1 (ko) 키폰 전화기에서 음량 조절 방법
KR20040055451A (ko) 휴대 단말기의 진동알림 방법
JP2002158761A (ja) 携帯電話機
JPS63268341A (ja) 電話回線接続回路
JPH04271619A (ja) 移動無線機の着信音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