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893Y1 - plug - Google Patents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893Y1
KR200209893Y1 KR2020000019430U KR20000019430U KR200209893Y1 KR 200209893 Y1 KR200209893 Y1 KR 200209893Y1 KR 2020000019430 U KR2020000019430 U KR 2020000019430U KR 20000019430 U KR20000019430 U KR 20000019430U KR 200209893 Y1 KR200209893 Y1 KR 200209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ain body
power
switch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4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2020000019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8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893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에 접속되도록 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의 전원을 연결, 차단하도록 한 스위치를 형성함으로써,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접속, 또는 분리할 필요 없이, 플러그의 스위치를 ON, OFF 상태로 작동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원을 연결,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that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n particular, by forming a switch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power of a plug, the plug of the plug is turned ON and OFF So that the power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quickly and easily.

본 고안은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는 플러그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for connecting to an outlet to connect a power source,

하측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한 삽입구를 형성한 플러그 본체와;A plug main body form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plug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port to be inserted into an outlet;

전원을 연결, 차단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의 동작으로 플러그 본체 내부에서 이동되어 전선에 접속, 분리되도록 한 접속구를 형성한 스위치로;A swi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g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러그 {plug }Plug {plug}

본 고안은 전원에 접속되도록 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의 전원을 연결, 차단하도록 한 스위치를 형성함으로써,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접속, 또는 분리할 필요 없이, 플러그의 스위치를 ON, OFF 상태로 작동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원을 연결,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that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n particular, by forming a switch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power of a plug, the plug of the plug is turned ON and OFF So that the power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quickly and easily.

일반적으로 각종의 전기 제품이나 기기 등에는 전원을 연결하여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러그를 구비하였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and devices are equipped with plugs to supply power by connecting them.

이러한 플러그는 전기 제품이나 기기 등에 전선으로 연결, 형성되었으며, 전원이 공급되도록 주로 벽면 등에 설치된 콘센트에 사용자가 직접 플러그를 접속, 분리하여,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였다.These plugs are connected to electric appliances or appliances by electric wires. In order to supply electric power, the plugs are directly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outlets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and the electric power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다양한 전기 제품이나 기기 중에, 특히 TV 나 오디오 등을 사용할 경우, 콘센트에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접속, 분리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 콘센트에 플러그를 항시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고, 전기 제품의 전원 스위치를 동작하여 전원을 연결, 차단하는 실정이었다.In general households and offices, when using a variety of electric appliances and appliances, especially TVs or audio equipment, plugging and unplugging of electrical appliances to the outlet is cumbersome, so the plugs are alway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the power switch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operated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power.

그러나, 상기한 전기 제품과 기기 등의 플러그를 항시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로 방치할 경우에, 접속된 플러그의 전기 제품이나 기기 등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막대한 전력을 손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plugs of the above-mentioned electrical appliances and appliances are always lef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lug receptacles,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lost due to current flow to the electrical appliances or devices of the connected plugs.

또한,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된 상태로 항시 유지시키는 경우에, 우천 시에 번개 등으로 인하여, 전기 제품이나 기기 등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Further, when the plug is always kept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outlet, electric appliances, appliances, etc. are often damaged or damaged due to lightning or the like during rai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2)의 위치에 가구 등이 위치될 경우에. 플러그(3)에 전선(1)이 수평으로 연결, 형성되기 때문에, 플러그(3)의 전선(1)이 가구 등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플러그(3)와 전선(1)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고, 단선이나 단락 등의 전기 안전 사고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As shown in Fig. 1, when furniture or the like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receptacle 2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The electric wire 1 of the plug 3 is vertically bent into furniture or the like because the electric wire 1 is horizontally connected and formed in the plug 3 and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lug 3 and the electric wire 1 is damaged And there was a risk of electric safety accidents such as breakage or short circuit.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러그의 전원을 연결, 차단하도록 한 스위치를 형성하고, 플러그에 전선을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플러그의 스위치를 ON, OFF 상태로 작동하여, 간편하게 전원을 연결,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전선이 직하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과전류에 의한 전기 제품의 고장을 방지하고, 가구나 집기 등으로 인하여 플러그와 전선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of a plug, forming a switch so that electric wires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plug, The switch is turned ON and OFF so that the power can be easi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In addition, since the plug wires are connected directly to the lower side, the electrical produc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overcurrent,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ectric wire.

도 1은 종래의 플러그의 접속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plug is connected;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플러그 본체 11 : 삽입구10: plug body 11:

20 : 스위치 21 : 접속구20: switch 21: connection port

본 고안은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는 플러그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for connecting to an outlet to connect a power source,

하측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한 삽입구를 형성한 플러그 본체와;A plug main body form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plug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port to be inserted into an outlet;

전원을 연결, 차단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의 동작으로 플러그 본체 내부에서 이동되어 전선에 접속, 분리되도록 한 접속구를 형성한 스위치로;A swi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g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러그의 접속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plug is connect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센트에 접속되도록 한 플러그 본체(10)와, 전원을 연결,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g main body 10 connected to an outlet, and a switch 20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power source.

상기 플러그 본체(10)는 콘센트에 접속되도록 하고, 하측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한 삽입구(11)를 형성한다.The plug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an outlet, and a wir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plug main body 10, and an insertion hole 1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ocket.

상기 스위치(20)는 전원을 연결, 차단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20)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20)의 동작으로 플러그 본체(10) 내부에서 이동되어 전선에 접속, 분리되도록 한 접속구(21)를 형성한다.The switch 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 main body 20 so as to be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a power source. The switch 20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21 are formed.

미설명 부호 1은 전선이고, 2는 콘센트이다.Reference numerals 1 and 2 denote electric wires and outlets,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등에 기 설치된 콘센트(2)에 상기 플러그 본체(10)의 삽입구(11)를 체결하게 되면, 전원이 연결, 공급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when the insertion port 11 of the plug main body 10 is fastened to a receptacle 2 provided on a wall surface or the like, power is connected and supplied.

상기 콘센트(2)에 플러그 본체(10)를 접속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외출 등으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콘센트(2)에서 플러그 본체(1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스위치(20)를 OFF 상태로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접속구(21)가 이동하게 되어 전선에서 분리되어, 간편하게 전원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plug main body 10 is kept connected to the receptacle 2 and the power source is shut off due to the user's going out or the like, the plug main body 10 need not be disconnected from the receptacle 2, (20) is placed in the OFF state, the connection port (21) is moved and separated from the electric wire,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ource can be easily cut off.

그리고, 상기 전선(1)이 플러그 본체(10)의 직하방에 연결, 형성되기 때문에, 플러그(10)가 접속된 벽면의 콘센트(2) 전방에 가구 등을 위치시킬 경우에도, 벽면과 가구의 이격 공간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와 전선의 결합 부위가 가구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electric wire 1 is connected and formed directly under the plug main body 10, even when the furniture or the like is placed in front of the outlet 2 of the wall surface to which the plug 10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a large space but also a breakage of the joint between the plug and the wire by the furniture or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에 전원을 연결, 차단하도록 한 스위치를 형성하고, 플러그의 하측으로 전선이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플러그의 스위치를 ON, OFF 상태로 작동하여, 간편하게 전원을 연결, 차단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전선이 직하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과전류에 의한 전기 제품의 고장을 방지하고, 가구나 집기 등으로 인하여 플러그와 전선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to a plug is formed, and a wir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lug, so that the switch of the plug is turned ON and OFF So that unnecessary loss of electric power can be prevented and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g are connected to the direct underneat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 appliance from failing due to the overcurrent, It is an advantageous design to prevent the electric connection accident by preven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ug and the electric wire from being damaged.

Claims (1)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는 플러그에 있어서,1. A plug for connecting to an outlet to connect a power source, 하측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한 삽입구(11)를 형성한 플러그 본체(10)와;A plug main body 10 formed to connect a wire to the lower side and having an insertion port 11 inserted into the socket; 전원을 연결, 차단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20)의 일측에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20)의 동작으로 플러그 본체(10) 내부에서 이동되어 전선에 접속, 분리되도록 한 접속구(21)를 형성한 스위치(20)로;(21)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g main body (20) so as to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main body (20) and moved in the plug main body (10) (20);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2020000019430U 2000-07-07 2000-07-07 plug KR2002098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30U KR200209893Y1 (en) 2000-07-07 2000-07-07 pl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30U KR200209893Y1 (en) 2000-07-07 2000-07-07 pl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893Y1 true KR200209893Y1 (en) 2001-01-15

Family

ID=7308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430U KR200209893Y1 (en) 2000-07-07 2000-07-07 pl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8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0994B1 (en) Modular power strip
US5930097A (en) Heat responsive power interrupting devic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US6825427B2 (en) Electrical interrupt switch
US8390992B1 (en) Circuit breakers and circuit breaker box
US10468833B1 (en) Outlet ground prong power switch and adapter
US5998734A (en) Cov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KR200209893Y1 (en) plug
US5803754A (en) Modified receptacle and plug for low voltage DC distribution
US5315475A (en) Electrician's free power cord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EP1139512A1 (en) Portable socket outlet and system of portable socket outlets with modular structure
KR101741329B1 (en) Expanded Socket Module
WO2005071795A1 (en) Multi-outlet power cord
KR200183936Y1 (en) Plug socket for electric machinery
KR100814734B1 (en) Concent protection cover
JP2006210141A (en) Power plug
US20100330826A1 (en) Speed Wire Device
KR200337028Y1 (en) A circuit breaker plug for electric machine
KR100477529B1 (en) Socket apparatus combined 110/220 volt
KR20020061831A (en) a combination concent and plug
KR200385069Y1 (en) plug structure
KR20060097949A (en) Plug structure
KR970005590Y1 (en) Modular receptacle
KR200183102Y1 (en) Plug socket
KR200301787Y1 (en) a combination concent and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