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327Y1 - 바이오피드백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피드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327Y1
KR200209327Y1 KR2020000016001U KR20000016001U KR200209327Y1 KR 200209327 Y1 KR200209327 Y1 KR 200209327Y1 KR 2020000016001 U KR2020000016001 U KR 2020000016001U KR 20000016001 U KR20000016001 U KR 20000016001U KR 200209327 Y1 KR200209327 Y1 KR 200209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nus
elastic
vagina
bio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327Y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비와 변실금 및 요실금치료에 간편하고 경제적인 바이오피드백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될 수 있고,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가지고 있는 밀폐된 탄성부와; 상측에는 상기 항문 또는 질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측에는 평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부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항문 또는 질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해 밀폐되어 감싸지는 삽입구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통로와 연결되어있고, 내부에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에서 상기 유동성물질을 볼 수 있는 투명부인 튜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오피드백장치{Biofeedback Apparatus}
본 고안은 변비와 변실금 및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비와 변실금 및 요실금을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방식으로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피드백이란 생물학에서 많이 쓰이는 말로 어떤 결과가 원인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정도의 결과를 유지하는 기능을 말하고, 본 고안에서는 배변 및 배뇨의 결과가 배변 및 배뇨의 기능을 조절하도록 하는 훈련을 말한다.
만성변비는 일주일당 2 회 이하의 배변횟수, 반복되는 배변긴장, 잔변감, 소량분 변 등의 증상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이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변실금이란 자신도 모르게 방귀, 변이 나오는 상태로서, 변실금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크게 분만이나 외상(外傷), 수술 후유증 등으로 항문을 조여주는 괄약근이 손상받을 때 생기는 괄약근 결손형과 괄약근 자체는 이상이 없지만 이를 제어하는 신경에 이상이 생긴 신경장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정상 배변시 항문강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치골직장근의 이완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적지 않은 사람들은 배변시 치골직장근의 수축이 이루어져 배변기능의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만성변비환자와 변실금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바이오피드백치료는 배변을 조절하는 골반과 항문괄약근이 수축 혹은 이완하는 생체신호를 디스플레이하여, 배변시 흔히 관찰되어지는 항문괄약근과 치골직장근의 부적절한 수축이나 이완불능 혹은 기능부전과 부조화를 환자가 청각과 시각을 사용하여 자기의 잘못된 배변습관을 직접 보고 느낌으로서 배변시 이들 근육이 정상인의 경우처럼 이완하도록 반복 훈련시켜 환자 스스로 괄약근 조절기능을 터득하게 하는 행동과학 치료의 일종이다.
즉, 배변 시에 괄약근이나 골반근과 같은 골반상의 근육들을 적절히 이완시키고, 더 작은 변의 용량에서도 직장의 팽만감을 느끼게 하며, 복압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직장에 고여있는 변을 힘들이지 않고 배변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배변의 실제 상황을 훈련하게 하여, 처음에는 환자의 마음대로 잘 조절되지 않는 항문의 수의근을 여러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동안 점차로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어 정상적인 배변기능을 성취하도록 훈련시킨다.
한편, 변실금을 치료할 때는 하부직장의 변에 대한 감지 능력과 외괄약근의 수축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바이오피드백치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동기는 배변장애 질환 중에서 일부의 원인은 바이오피드백치료 이외에는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으며 부작용이 없이 통원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바이오피드백 치료기기는 기본적으로 항문에 삽입되는 센서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에서 감지한 항문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종류로는 항문압력계 바이오피드백(manometry-based biofeedback)과 항문근전도 바이오피드백(EMG-based biofeedback)이 있다.
항문압력계 바이오피드백은 항문에 삽입되는 측정도관과, 상기 측정도관이 연결되고 바이오피드백 프로그램이 내장된 압력측정기와, 괄약근이 수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항문압력의 높낮이가 오르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정도관 내에는 여러 개의 튜브가 위치하고 있고, 각각의 튜브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 시 상기 각 튜브에 적정압력을 가진 수액을 밀어 넣어 상기 각 튜브에 형성된 구멍으로 나오는 수액의 압력을 감지하는 바, 배변 시 항문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이 구멍이 막혀 수압의 변화가 생기고, 구멍의 막힘이 없이 수액이 구멍을 통해 흘러나가는 경우에도 수압의 변화가 생기므로 이것을 측정하여 항문의 압력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치료기는 보통 옆으로 누운 자세로 사용되고, 앉은 자세 즉, 배변자세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액의 흐름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므로 불쾌감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한편, 항문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은 주로 항문에 삽입하여 개괄적인 근전도 모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플러그 표면전극을 사용하여 항문 속에서 감지된 근전도 모양을 컴퓨터 모니터에서 관찰하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그런데 결과치로 나타난 신호는 환자가 이해하기 곤란하므로 항문근전도의 상태와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 의사가 모니터화면을 같이 보면서 괄약근을 수축하거나 이완함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소리 또는 각도 신호인 근전도 신호를 관찰하여 환자의 상태를 설명하여야 하고, 그에 맞는 근전도근 수축과 이완의 요령을 환자가 스스로 익히도록 지시한다. 따라서 환자 혼자 이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이오피드백치료는 1회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면 괄약근이 피로해지므로 보통 20분~50분 정도 훈련하도록 하며, 치료는 자주 할 수록 좋은데, 보통 일주일에 3회~5회 정도 통원치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통원치료를 지속적으로 받는 것은 비용이나 시간을 고려할 때 쉬운 일이 아니고, 환자가 수치심이 많은 경우도 있고, 어떤 이유로 통원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게된다.
따라서 병원에 오지 않는 기간동안에도 치료에 대한 동기와 의욕을 부여하면서 가정에서 치료할 수 있는 가정용 바이오피드백치료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치료기는 치료실에서 사용하는 바이오피드백 근전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일부만을 휴대용 장비에 내장시켜 가정의 컴퓨터나 TV화면에 간략한 근전도 모양을 도시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그런데 이 치료기 역시 컴퓨터의 모니터 등에 도시된 근전도신호를 환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환자가 자신의 훈련과정이 내장된 디스켓을 병원에 가져와서 이를 의사와 같은 전문가가 환자의 훈련과정을 분석하도록 하여 자신의 훈련과정 중 잘못된 부분을 시정받아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가정용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는 통원치료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비의 가격이 수 백 만원 정도로 고가의 장비여서 환자들이 쉽게 구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환자가 종래의 가정용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급 지식을 이해할 수 있어야하는데, 변실금환자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노년층환자가 스스로 치료기를 조작하고 훈련사항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는 여러 가지 장치로 인하여 부피가 크므로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항문압력계 바이오피드백 장치의 가정용도 개발되어, 풍선을 사용하여 항문내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데, 항문에 삽입하는 측정도관의 경우 일자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항문에 삽입한 후에 앉은 자세로 배변연습을 하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디스플레이방식으로 램프를 사용하므로, 가정용인 경우에도 수 백 만원 정도로 고가장비여서 환자들이 쉽게 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요실금은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소변이 나와 속옷을 적시는 증상으로, 소변이 새지않도록 조절해주는 요도괄약근이 약해지거나 갱년기 이후에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요도의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해산 또는 난산 등으로 골반근육이 느슨해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요실금은 골반저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변실금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요도괄약근, 골반근 등은 상기 치골직장근, 항문괄약근, 항문거근 등과 공유하여 운동을 하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변실금과 요실금은 상호 연관된 이러한 골반근육의 약화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변실금과 요실금의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치료법은 환자가 본인의 골반근육의 상태를 파악하고,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골반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요실금에 대한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로는 항문괄약근 압력계 바이오피드백, 방광압력바이오피드백, 항문괄약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도 이용되지만, 주로 이용되는 것은 골반저근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이다.
이러한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는 상술한 변실금에 대한 바이오피드백과 동일한 목적, 동일한 원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연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변비와 변실금 및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간편하고 경제적인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치료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디스플레이하는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변, 배뇨시와 같이 앉은 자세로 훈련 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이 간편한 바이오피드백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실금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탄성부 30: 튜브
31,32: 유동성 물질 40: 항문모양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될 수 있고,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된 상태에서 항문 또는 질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가지고 있는 밀폐된 탄성부와; 상측에는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측에는 평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부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항문 또는 질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해 밀폐되어 감싸지는 삽입구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통로와 연결되어있고, 내부에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에서 상기 유동성물질을 볼 수 있는 투명부인 튜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튜브의 타단은 바람직하게는 수축, 팽창이 가능한 탄성재질의 폐구(閉具)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튜브내에 함유된 유동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비중이 다르고 잘 섞이지 않는 적어도 2 개의 물질이다.
상기 튜브의 타단 부근에는 튜브가 항문을 관통하도록 표현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고, 여기에는 항문모양의 그림이 있고, 상기 튜브의 투명부는 적어도 상기 항문모양의 그림을 통과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구는 바람직하게 상측에는 항문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측에는 지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삽입구의 삽입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삽입부의 일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밀폐되어 감싸진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가 내부에 위치한 삽입부를 완전히 감쌀 수 도 있고, 삽입부의 측면을 감쌀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의 통로와 연결된 튜브의 일단은 상기 탄성부의 외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삽입구의 내부를 통과하여 위치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의 통로와 연결된 튜브는 상기 삽입구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항문 또는 질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효과적으로 내부 압력을 전달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가 상기 삽입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의 통로외에 압력이 유출되는 경로가 없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와 상기 튜브의 투명부 사이에 상기 튜브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튜브내부의 상기 유동성 물질의 경계를 조절하는 경계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실금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치료기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치는 환자의 항문에 삽입하여 항문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을 하는 탄력있는 탄성부(10)와, 상기 탄성부(10)가 항문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삽입구(20)와, 상기 탄성부(10)와 연결되어있고, 서로 비중이 다르며 잘 섞이지 않는 두 가지 유동성 물질이 함유된 튜브(30)와, 상기 튜브(30)와 연결되어있고, 훈련상황을 연상하기 쉽도록 표현된 항문모양의 디스플레이부(40)과, 상기 튜브 중간에 위치한 밸브(35)와, 상기 튜브의 디스플레이부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경계조절밸브(3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팽창해 있고, 외압을 가하면 수축되도록 한다. 이러한 예로는 혈압측정을 위해 압력을 가할 때 사용되는 고무재질의 조절손잡이를 들 수 있고, 이것은 사람이 힘을 가하면 수축하고, 힘을 빼면 팽창하여 원상태로 회복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1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수축, 팽창함에 따라 내부의 물질이 흡입,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12)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삽입구(20)는 상측에는 항문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2)와 하측에는 삽입구(20)가 수평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24)를 가지고 있고, 재질은 여러 가지 일 수 있으나, 제조의 편의성을 고려할 경우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구(20)의 삽입부(22)는 상기 탄성부(10)와 분리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탄성부(10)를 항문에 밀어 넣을 수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그 모양은 끝에 곡면으로 처리되어 항문에 잘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10)가 내부에 위치한 삽입부(22)를 완전히 감쌀 수도 있고, 삽입구(20)의 측면을 감쌀 수도 있다. 즉, 삽입부(22)의 일부가 탄성부(10) 내부에 위치하되, 탄성부(10)의 수축, 팽창시 내부의 유동성물질이 상기 통로(12) 이외의 다른 위치에서 빠져나가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부(10)의 통로(12)와 연결된 튜브(30)의 일단은 상기 탄성부(10)의 외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삽입구(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위치할 수 있는데, 외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10)를 삽입할 때, 상기 튜브(30)가 항문 또는 질에 직접 닿아 튜브(30)자체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튜브내부의 유동물질(31)(32)이 원활하게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의 통로(12)와 연결된 튜브(30)가 상기탄성부(10)의 외면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삽입구(2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내부 압력을 전달하기에 바람직하고, 제작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도 1, 도 2a, 도 2b는 상기 탄성부의 통로(12)와 연결된 튜브가 상기 삽입구(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튜브(30)가 상기 삽입구(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의 통로(12)외에 압력이 유출되는 경로가 없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삽입구(20)내부에 상기 탄성부의 통로(12)와 연결되어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경로만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튜브(30)가 상기 삽입구(20)의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삽입구(20)의 경로끝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삽입부(22)를 감싸는 탄성부(10)의 가장자리에 본드처리를 하거나, 열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탄성부(10)와 삽입구(20)의 재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은 탄성부가 내부에 위치한 삽입부를 완전히 감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런데, 항문관의 길이는 평균 3~5㎝이므로, 삽입구(20)와 탄성부(10)를 합한 높이(h)는 대략 3~5㎝정도가 적당하며 삽입구의 굵기는 대략 손가락 굵기와 비슷하여 환자가 좌변기의 두껑위 또는 의자 위에서 앉은 상태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삽입구(20)의 지지부(24)가 지면 또는 평평한 면에 잘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부(22)가 환자의 항문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부(24)의 형상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튜브(30)의 내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유동성물질(31)(32)이 함유되어 있고, 이 두 개의 유동성물질(31)(32)은 잘 섞이지 않고 비중이 다른 것을 사용하지만, 유동성물질은 막대그래프로써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유동성물질만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튜브(30)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것이 좋으나, 일부분만 투명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투명한 부분은 적어도 상기 탄성부(10)의 수축, 팽창에 따라 유동성물질의 경계부가 이동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튜브의 끝단 부근에 위치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서 항문모양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환자의 연상효과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 즉, 튜브(30)가 항문모양 중 항문부분을 통과하도록 하여, 항문내부로 유동성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항문그림을 통과하는 튜브(30)부분은 투명하여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성물질(31)(32)은 색을 지니고 있고, 이때 디스플레이부(40)의 항문그림을 통과하는 부분에 위치한 유동성물질(32) 즉, 비중이 낮은 유동성물질은 예를 들어 노란색인 변의 색과 유사하게 하는 것이 연상효과를 증진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항문모양의 디스플레이부(40)는 바람직하게 타올걸이, 못 등에 걸릴 수 있도록 일측에 고리부(41)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인 튜브(30)의 일 끝단은 개방될 수도 있고, 막혀있을 수도 있으나, 운반 시 내부의 유동성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막힌 부분은 수축, 팽창될 수 있는 탄성재질의 폐구(閉具)(5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밸브(35)는 상기 튜브(30)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튜브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훈련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밸브는 일반적으로 튜브를 감싸는 형상이면 족하다.
상기 경계조절밸브(37)는 비중이 높은 유동성 물질(32)과 비중이 낮은 유동성물질(31)의 경계면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훈련을 실시하는 환자마다 또는 시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기준점을 맞추는 0점 조정을 역할을 감당하는 상기 경계조절밸브(37)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계면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쪽과 가까운 튜브(30)에 경계조절밸브를 부착한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서 구현할 수 있다. 이 밸브(37)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여 나사를 조여 누르게 되면, 기준점이 올라가게 되고, 나사를 풀어 올리면, 기준점이 내려가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삽입구(20)의 지지부(24)가 지면 또는 수평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환자가 항문으로 상기 탄성부(10)가 삽입되도록 앉는 자세를 취하면, 강제로 상기 탄성부(10)는 항문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항문모양의 디스플레이부(40)는 고리부(41)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유동성물질(31)(32) 중 비중이 낮은 물질(32)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에 상기 탄성부(10)가 환자의 항문(1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부(10)는 항문(100)의 압력으로 수축하게 되어 튜브(30)내부의 유동성물질(31)(32)는 반대편으로 밀리게 되고, 디스플레이부(40)의 항문모양에 위치한 비중이 작고, 변의 색과 유사한 유동성물질은 항문모양을 따라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폐구(50)는 팽창하게 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앉은 상태에서 배변할 때와 같이 항문에 힘을 주면, 치골직장근이 이완되어 항문강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탄성부(10)는 팽창된 상태가 되므로 튜브(30)내부의 유동성물질(31)(32)는 탄성부(10)의 흡입력으로 탄성부(1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40)의 항문모양을 따라 비중이 낮은 유동성물질(32)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폐구(50)는 수축된다. 이때 환자는 변의 색과 유사한 유동성물질(32)이 디스플레이부(40)의 항문모양을 따라 하강하는 것을 보게되고, 마치 배변되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된다.
환자가 다시 항문(100)에 가해진 힘을 빼면, 탄성부(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하게 된다.
즉, 환자가 항문에 힘을 주고 빼는 것을 반복하면,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유동성물질이 항문모양을 따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을 바로 느낄 수 있고, 항문에 힘을 가했는데도 불구하고, 유동성물질이 많이 내려가지 않으면, 환자의 항문괄약근과 치골직장근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환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훈련하여 항문의 이상을 치료할 수 있게된다. 또한 어느 정도 훈련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35)를 조절하여, 훈련강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요실금에 대한 바이오피드백치료기도 가능할 것이다.
요실금의 경우 요도의 움직임을 요도내에 삽입하여 관찰하는 것이 좋으나 요도의 폭이 좁고 손상을 받기 쉬우며, 감염의 우려가 있어 질에 삽입하여 운동하도록 한다. 이는 대부분의 골반근육이 서로 공유하여 운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항문에 삽입하여 운동하여도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 바이오피드백장치를 사용하므로 별도의 도면은 도시하지 않고, 도 1 및 도 2a, 도 2b의 구조 및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참조하여 설명한다.
요실금에 대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10)를 항문에 삽입하지 않고, 질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되는 부분의 크기가 항문에 삽입할 때보다 큰 것으로 제조하고, 그 예로서, 5~8cm 정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30)의 비중이 낮은 유동성 물질(32)의 색깔은 소변을 연상할 수 있는 색으로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그림은 배뇨과정을 연상할 수 있는 그림으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정상배뇨시에는 골반근육이 이완되고, 요도, 질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상기 설명한 동일한 원리로 도 2b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을 한다.
힘을 주어 골반근육이 수축되면, 요도, 질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디스플레이부(40)쪽의 비중이 낮고 소변을 연상할 수 있는 색깔의 유동성물질(32)이 상승해야 하는데, 반대로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정도가 정상 기준치보다 적게 되면, 골반근육에 이상이 있음을 알게 된다. 이 경우, 환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훈련하여 골반근육을 강하게 하여 요실금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느 정도 훈련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35)를 조절하여, 훈련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바이오피드백치료가 환자에게 커다란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지만,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커서 적용하기 어려웠던 것에 비해, 본 고안은 간편하고 경제적인 바이오피드백치료기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쉽게 적용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환자가 앉아서 훈련할 수 있으므로, 평소 배변, 배뇨시의 환경을 제공하여 훈련의 효과를 높여 준다.
또한 그림 등을 통해 배변훈련 시 항문내부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특히 노년층이 많은 변실금 및 요실금 환자에게 더욱 유용하다.
또한, 튜브의 중간쯤에 밸브를 이용하여 점차 훈련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경계조절밸브를 이용하여 개개인이나 훈련정도에 맞게 유동물질의 경계면을 조정할 수 있고, 조그만 사전이나 수첩크기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될 수 있고,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된 상태에서 항문 또는 질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가지고 있는 밀폐된 탄성부와;
    상측에는 항문 또는 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측에는 평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부를 상기 삽입부를 통해 항문 또는 질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해 밀폐되어 감싸지는 삽입구와;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통로와 연결되어있고, 내부에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에서 상기 유동성물질을 볼 수 있는 투명부인 튜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구의 지지대를 평면상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를 항문에 넣고, 탄성부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유동성물질이 상기 튜브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성물질의 이동은 상기 투명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단에는 수축, 팽창이 가능한 탄성재질의 폐구(閉具)가 위치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내에 함유된 유동성 물질은 비중이 다르고 잘 섞이지 않는 적어도 2 개의 물질인 바이오피드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단 부근에는 튜브가 항문을 관통하도록 표현되는 항문모양이 묘사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고, 상기 튜브의 투명부는 적어도 상기 항문모양의 그림을 통과하는 위치에 있는 바이오피드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튜브의 투명부 사이에 상기 튜브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바이오피드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내의 유동성 물질의 경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에 설치된 경계조절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바이오피드백 장치
KR2020000016001U 2000-05-09 2000-06-05 바이오피드백장치 KR2002093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749 2000-05-09
KR1020000024749 2000-05-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03A Division KR100370644B1 (ko) 2000-05-09 2000-06-05 바이오피드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327Y1 true KR200209327Y1 (ko) 2001-01-15

Family

ID=458116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03A KR100370644B1 (ko) 2000-05-09 2000-06-05 바이오피드백장치
KR2020000016001U KR200209327Y1 (ko) 2000-05-09 2000-06-05 바이오피드백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03A KR100370644B1 (ko) 2000-05-09 2000-06-05 바이오피드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70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0897A1 (en) * 2005-05-27 2006-11-30 Homer Gregg S Smart Sex Toy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449A (en) * 1976-02-25 1977-09-27 Medical Products Development Corporation Apparatus for exercising muscles of a female patient's pelvic diaphragm
US4048985A (en) * 1976-05-21 1977-09-20 H. Sass-E International Inc. Exercise device
US4476880A (en) * 1982-12-03 1984-10-16 Giem David A Apparatus for sensing and indicating vaginal muscle contraction
US5733230A (en) * 1996-02-21 1998-03-31 Sawchuck; Diane J. Perineometer for domestic use in prevention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063045A (en) * 1997-12-03 2000-05-16 Deschutes Medical Products, Inc. Pubococcygeal training biofeedback device
KR200197817Y1 (ko) * 2000-05-09 2000-09-15 신명철 바이오피드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541A (ko) 2001-11-23
KR100370644B1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arioni et al. Biofeedback is superior to laxatives for normal transit constipation due to pelvic floor dyssynergia
DE60212160T2 (de) Verschlussvorrichtung
Park et al. The guarding reflex revisited
Rao Biofeedback therapy for constipation in adults
AU2011233977B2 (en) Medical device for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in females
DE102006042955B3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Fettleibigkeit
JPH08500982A (ja) 失禁女性用排尿器とその使用法
US20090216071A1 (en) Pessary Device
CA2192193A1 (en) Female anti-incontinence device
DE20321872U1 (de) Darmversorgungssystem
CN102123758A (zh) 使用者控制液体从膀胱排出的导尿管装置
WO2006039337A2 (en) Inhibition action incontinence device and method
EP2452706A2 (de) Darmrohr- Anordnung zur Applikation einer Flüssigkeit
KR200209327Y1 (ko) 바이오피드백장치
KR200197817Y1 (ko) 바이오피드백장치
CN111801049A (zh) 尿动力学检查设备、系统及方法
Atnip et al. A unique approach to severe constipation.
CN201500219U (zh) 多气囊排便引流装置
CN101658695B (zh) 多气囊排便引流装置
Edwards Sphincter mechanism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KR200265423Y1 (ko) 바이오피드백 센서
Vickers et al. Kegel exercises and biofeedback
CN115177846B (zh) 一种无张力性感觉球囊及应用该球囊的装置
McCormick et al. CLINICAL GUIDELINES: Urinary hcontinence in Adults
Kanitkar 23 Disorders of Mictur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