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64Y1 -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64Y1
KR200208364Y1 KR2020000021360U KR20000021360U KR200208364Y1 KR 200208364 Y1 KR200208364 Y1 KR 200208364Y1 KR 2020000021360 U KR2020000021360 U KR 2020000021360U KR 20000021360 U KR20000021360 U KR 20000021360U KR 200208364 Y1 KR200208364 Y1 KR 200208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one conduction
signal output
output unit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학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펙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펙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펙스인
Priority to KR2020000021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드셋의 형태로 제공되며 기도 청각과 골도 청각으로 음원을 분리하여 다중의 입체 음향을 청취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출력을 분리하여 기도 청각용 스피커와 골도 청각용 진동자에 각각 제공하여 재생 음향을 입체적으로 청취 할 수 있도록 이루고, 휴대기기 또는 고정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음성 재생 출력 장치들과 조합을 이루어 완전한 입체음을 제공하는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음향 재생 장치와 이 재생 장치의 재생 음을 분리하거나 증폭하는 신호음 처리부와 상기 신호음 처리부에 최소한 복수 이상의 헤드폰을 연결하여 이루되 하나 이상의 골도 헤드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3-dimensional surround-sound audio system}
본 고안은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드셋의 형태로 제공되며 기도 청각과 골도 청각으로 음원을 분리하여 다중의 입체 음향을 청취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을 재생 청취함에 있어서는 인체의 구조상 2개의 귀를 통하여 음을 듣게되는데 이와 같은 인체 구조상 스테레오 효과를 느낄 수는 있으나 좀 더 3차원의 입체적인 3D 효과를 갖는 입체음을 느낄 수는 없다는 제한이 있다.
상기 제한점을 개선하여 좀 더 다이나믹하고, 현장감 넘치는 음향을 재생 청취하고자 종래에도 여러 노력이 있었다.
그중 대표적인 제안이 서라운드(Surround)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서라운드 시스템은 청취자를 중심으로 전, 후, 좌, 우에 재생 특성이 상이한 여러개의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과, 상기 각 재생 대역에 맞는 출력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앰프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라운드 방식에 의한 입체 음향 시스템들은 주로 실내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 시설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므로 시설 비용이 고가가 되고, 이동하거나 휴대 하면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휴대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청취 시스템을 살펴보면, 기존의 음향 장치들은 휴대 사용에 적합하도록 경, 박, 단, 소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리하여 이러한 휴대 기기들은 원음의 재생에 있어서 충실도가 저하되는 실정이며 단지 스테레오 효과 만을 이용하여 해드폰으로서 재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출력을 분리하여 기도 청각용 스피커와 골도 청각용 진동자에 각각 제공하여 재생 음향을 입체적으로 청취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기기 또는 고정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음성 재생 출력 장치들과 조합을 이루어 완전한 입체음을 제공하는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음향 재생 장치와 이 재생 장치의 재생 음을 분리하거나 증폭하는 신호음 처리부와 상기 신호음 처리부에 최소한 복수 이상의 헤드폰을 연결하여 이루되 하나 이상의 골도 헤드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재생 장치 200a~200e : 음향 처리부
210 : 음성 신호 출력부 220 : 골도 신호 출력부
300 : 기도 청각용 헤드폰 400 : 골도 헤드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카셋트 플레이어,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통상의 재생장치(100)와 이 재생장치의 음성 출력단에 기도 청각음을 송출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210)를 마련하여 상기 음성 출력을 바이패스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를 마련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200a)를 이루며,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210)에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을 연결하고, 상기 골도 신호 출력부(220)에 골도 헤드폰(400)을 연결하여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통상의 재생 장치(100)로부터 재생 송출되는 음성 신호는 신호선(L)은 통해서 음향 처리부(200a)에 인가된다.
음향 처리부(200a)는 상기 재생장치(100)의 음성 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210)와, 골도 헤드폰 구동을 위하여 일정 레벨로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회로를 구성하는 골도 신호 출력부(220)가 형성되어 각각에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과 골도 헤드폰(400)을 형성하므로서 기도 청각과 골도 청각을 통한 입체음의 청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골도 헤드폰(400)은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머리에 착용가능한 헬멧 또는 헤드폰의 형태에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과 함께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헤드폰을 형성함에 있어 입체음을 청취 가능한 각도를 유지하는 범위내에서의 실시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임은 극히 용이한 것에 해당하며 이러한 실시 형태는 상기 서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 이하에 도시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도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완전한 입체 음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카셋트 플레이어,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통상의 재생장치(100)와 이 재생장치의 음성 출력단에 기도 청각음을 송출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210)를 마련하여 상기 음성 출력을 바이패스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를 다수 마련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200b)를 이루며,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210)에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을 연결하고, 상기 각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에 골도 헤드폰(400 ~ 400n)을 각각 연결하여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기본 실시예에 비하여 골도 헤드폰이 다수로 구성됨에 의하여 입체 음향의 청취가 한층 사실적이며 감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는 그 출력 음의 위상이나 음압 및 여러 음색의 변화를 통하여 다양하게 기능하도록 배정하여 이루어짐이 효과적이다.
도 3 도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카셋트 플레이어,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통상의 재생장치(100)와 이 재생장치의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 만을 다수 마련하여 음향 처리부(200c)를 이루고, 각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에 골도 헤드폰(400~400n) 만을 각각 연결하여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이루는 것이다.
이는 기도 청각용 음성 신호 출력부와 기도 청각용 헤드폰을 배제하고 골도 헤드폰 만을 다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청각 장애자 또는 다수의 인원이 집합된 공공 장소 등에서 타인에게 소음의 영향을 배제하면서도 입체 음향을 재생 청취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인 재생장치(100)가 좀 더 고급화된 사양을 이루는 컴포넌트 등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통상의 오디오 컴포넌트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 음성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전면 출력단자와 후면 출력단자의 음성 신호 라인과 저음역을 재생하는 우퍼의 음성 신호 라인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 할 수 있도록 음향 처리부(200d)을 구성하는 것이 전술된 신호선(L)을 통한 단일 음성 신호를 분배 처리하도록 연결되는 출력부의 구성과 다른 점이다.
도 5는 재생장치(100)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골도 구동용 앰프(220a~220f)를 통하여 동수의 골도 헤드폰(400a~400f)에 연결하도록 이루고 입력 음성 신호를 변조하는 믹서/신호처리부(250)를 형성한 음향 처리부(200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양쪽 귀를 이용하여 청취하는 하나의 기도 청각 헤드폰과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골도 헤드폰을 형성하여 이 복수 또는 그 이상의 헤드폰을 골도의 적정 위치에 청취 가능하게 결합하여 이룸으로써 입체 음향을 청취 할 수 있게 작용하는 것이다.
즉, 통상의 카셋트 플레이어, 컴펙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장치(100)의 음성 출력단에 형성한 음성 신호 출력부(210)를 통하여 상기 음성 출력을 그대로 바이패스 시켜 통상의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을 통하여 재생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작용하고, 동시에 상기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하여 골도 헤드폰(400)으로 출력시켜 골도를 통한 재생 음향의 전달 작용을 이룬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에 출력을 분리하여 기도 청각용 스피커와 골도 청각용 진동자에 각각 제공하여 재생 음향을 입체적으로 청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음성 재생 출력 장치들과 조합을 이루어 완전한 입체음을 제공하는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재생장치(100)와 이 재생장치의 음성 출력단에 기도 청각음을 송출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210)를 마련하여 상기 음성 출력을 바이패스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를 마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200a)와,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210)에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을 연결하는 것과,
    상기 골도 신호 출력부(220)에 골도 헤드폰(400)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100)와 이 재생장치의 음성 출력단에 기도 청각음을 송출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210)를 마련하여 상기 음성 출력을 바이패스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를 다수 마련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음향 처리부(200b)를 이루며,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210)에 기도 청각용 헤드폰(300)을 연결하고, 상기 각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에 골도 헤드폰(400~400n)을 각각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100)와 이 재생장치의 음성 출력단에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 만을 다수 마련하여 음향 처리부(200c)를 이루고, 각 골도 신호 출력부(220~220n)에 골도 헤드폰(400~400n) 만을 각각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KR2020000021360U 2000-07-26 2000-07-26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KR200208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60U KR200208364Y1 (ko) 2000-07-26 2000-07-26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60U KR200208364Y1 (ko) 2000-07-26 2000-07-26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64Y1 true KR200208364Y1 (ko) 2000-12-15

Family

ID=1966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60U KR200208364Y1 (ko) 2000-07-26 2000-07-26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871A (ko) * 2011-12-23 2014-09-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주행 합류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871A (ko) * 2011-12-23 2014-09-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주행 합류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452B2 (ja) 擬似立体音響出力をモノラル入力から合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6118876A (en)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for improved spatial effects
US4245136A (en) Monitor ampliphones
US5708719A (en) In-home theater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GB14371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arting to headphones the sound- reproducing characteristics of loudspeakers
US6990210B2 (en) System for headphone-like rear channel speak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CN203206451U (zh) 一种3d音频处理系统
JP5281695B2 (ja) 音響変換装置
KR200253605Y1 (ko) 서라운드 기능을 갖는 헤드폰
JP2002291100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方法、及びパッケージメディア
KR200208364Y1 (ko) 3d 입체 음향 청취 시스템
US7050596B2 (en) System and headphone-like rear channel speak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JP2004513583A (ja) 携帯用多チャンネルアンプ
US4406920A (en) Monitor ampliphones
KR200295340Y1 (ko) 4채널 진동 헤드폰
CN217849651U (zh) 全景声耳机
KR101758056B1 (ko) 스테레오 정위감 제공 일체형 스피커
KR200314345Y1 (ko) 5.1채널 헤드폰 시스템
KR200252620Y1 (ko) 5.1 채널 헤드폰
KR200342183Y1 (ko) 개인 머리전달함수 대응 바이노럴 입체 음향 녹음용 이어폰 시스템
JP2010016573A (ja) クロストークキャンセルステレオスピーカーシステム
CA1132460A (en) Monitor ampliphones
KR200256726Y1 (ko) 5.1 채널 헤드폰
CN101212830A (zh) 音频系统的音相扩展装置
KR200272047Y1 (ko) 4 채널 헤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