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809Y1 - Reel type hands free - Google Patents

Reel type hands fr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809Y1
KR200205809Y1 KR2020000021392U KR20000021392U KR200205809Y1 KR 200205809 Y1 KR200205809 Y1 KR 200205809Y1 KR 2020000021392 U KR2020000021392 U KR 2020000021392U KR 20000021392 U KR20000021392 U KR 20000021392U KR 200205809 Y1 KR200205809 Y1 KR 200205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ommunication line
communication
terminal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엑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엑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엑토
Priority to KR2020000021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8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80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에 편리하게 거치 할 수 있도록 잭과 이어마이크가 인입출되는 릴을 사용한 핸즈프리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 할 때 생기는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통신선의 수납을 손쉽게 하여 이어마이크가 갖는 불편함을 해소한 릴타입 핸즈프리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installed for communication in a vehicle, and is a handsfree using a reel to which a jack and an ear microphone are pulled in and out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veniently mounted to the handsfree, which is unnecessary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t is a reel type hands free that minimizes movement and eases the storage of communication lines,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ear microphones.

기존의 릴을 사용한 통신선의 수납구조는 접점방식을 이용하여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정밀한 접점을 만들기 위한 비용의 투자가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통신선의 내성을 이용한 구조 및 방법을 통해 단순하고 경제적인 형태의 릴타입 핸즈프리를 고안하였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양립 병렬형태의 릴을 갖추었고,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과 구조를 통하여 릴의 복원력을 유지해서 거치에 편리한 자석 흡착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거치를 용이하게 한 릴타입 핸즈프리이다.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using the reel was required to invest the cost to make a precise contact with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using the contact method, but in the present design, a simple and economical form through the structure and method using the resistance of the communication line Reel type hands-free design.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parallel parallel reel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magnet adsorption method that is convenient for mounting by maintaining the resilience of the reel through the material and structure not affected by the magnet, It is a reel type hands-free that facilitates mounting of the terminal.

Description

릴타입 핸즈프리{Reel Type Hands Free}Reel Type Hands Fre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입출력 포트를 이용하여 유선통신 수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유선 이어마이크와 차량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결합하여 고안된 새로운 핸즈프리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d communication means using an external input / output po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for fix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user uses a vehicle, and is connected through an input / output po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 new hands-free technology designed by combining a wired ear microphone and a cradle for fix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vehicle.

이어폰 타입 핸즈프리는 차량에서 사용시에 이용자에게 직접 음성을 전달하기 때문에 동승한 다른 사람에게는 소음에 대한 불편을 주지 않고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는 이점과 통신을 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을 필요치 않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어폰 타입 핸즈프리는 잭(Jack)부터 이어폰까지의 통신선을 수납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을 별도로 정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선을 감아 두거나 또는, 그대로 방치해두는 경우가 발생하여 미관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더불어서, 이어폰의 외부노출로 인한 이어폰의 훼손이 발생되었다.Earphone-type hands-free delivers voice directly to the user when used in a vehicle, so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to nois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ource for communication. hav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arphone type hands-free, a method for accommodating the communication line from the jack to the earphone has not been proposed, so in order to arrange the line separately, the user may wind the wire or leave it as it is. In addition to adversely affecting, the earphone was damaged due to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earphone.

이러한 훼손을 방지하고 통신선을 수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릴을 사용하여 선을 감아두는 방식이 있는데, 기존의 릴방식은 릴과 선의 연결간에 전기적인 접점을 만들어서 연결해서 릴에 선을 감아 수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릴방식은 반복동작에 의해 전기적 접점판으로 사용되는 동박이 마모되고, 접점을 구성하는 전극스프링의 탄성이 약해져서 전기적인 접속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통신불량이 되는 기능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적인 접점을 만들어야하는 기존의 릴 방식은 선을 수납할 때 발생하는 릴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한 소형 접점을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전기 접점판과 전극 스프링이 회전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 소재로 구성되므로 인해 발생하는 재료비용이 증가하게되는 문제를 안아왔다.As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damage and storing a communication line, there is a method of winding a wire using a reel. In the conventional reel method, a wire is wound around a reel by making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reel and a wire connection. to b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el method, the copper foil used as the electrical contact plate is worn by repetitive operation, and the elasticity of the electrode spring constituting the contact is weakened,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not made well.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el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ontact is made of a durable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rotat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plate and the electrode spring, because the small contact that can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el generated when storing the wire It has been a problem that the resulting material costs increase.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법에는 단말기를 직접 잡아주는 고정방식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흡착방식이 있는데, 두 방식 중 자석방식은 각 단말기의 형태와 관계없이 거치판에 흡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통신선을 기존의 릴타입 방식으로 수납하고자할 경우에는 강철로 된 릴 스프링이 영구자석의 자력선의 영향을 받아 릴 스프링의 탄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릴이 동작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릴 방식의 수납과 자석을 이용한 거치방법의 편리한 기능적인 면을 조합하고자 하더라도 자석흡착 방식을 이용한 거치대에는 릴타입의 수납방식을 사용하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There are two methods of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xed method of directly holding the terminal and an adsorption method using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t is u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munication line is to be stored in the existing reel type method, the reel spring made of steel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lin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reel spring is rapidly reduced, which prevents the reel from operating. Even if you want to combine the convenient functional aspects of the magnet mounting method, there was a technical difficulty in using the reel-type storage method in the holder using the magnet adsorption method.

본 고안은 릴을 이용하여 통신선을 수납하는 방식과 자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방식의 장점을 실현하는 장치의 고안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vise an apparatus for realizing the advantages of a method of receiving a communication line using a reel and a method of fix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holder using a magnet.

이를 위해서, 통신선을 수납하는 방식으로 릴을 활용하되, 기존의 전기적 접점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통신선의 전기적 접점이 없이 통신선 자체의 내구성을 이용하는 거치대의 구조와 결합방법을 고안하여 기존의 릴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장치의 고안을 목적으로 한다.To this end, a reel is used as a method of accommodating a communication line, but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electrical contact method, the structure and coupling method of the cradle using the durability of the communication line itself without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communication line are devis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a device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the reel method.

또한, 단말기의 거치를 위한 방법으로는, 릴방식과 함께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흡착방식을 채택하기 위해서 영구자석의 자력이 근접한 릴 스프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과 구조를 고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mounting the terminal, in order to adopt the adsorption metho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ogether with the reel method, the material and structure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on the adjacent reel spring can be made smoothly The purpose is to devise.

사용상의 편리함을 부가하는 수단으로써 릴을 병렬로 두 개를 배치하여 잭(Jack)과 이어폰이 동시에 릴에 감겨 있다가 인출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잭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동작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병렬 형태의 릴 구조를 갖는 핸즈프리를 고안함을 목적으로 한다.As a means of adding convenience, it is easy to connect the jack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a method in which two reels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jacks and earphones can be wound on the reels at the same time and drawn ou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a hands-free having a parallel reel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통신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취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부의 통신선을 나타내는 배면 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rea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권취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취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n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내부 부품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분해 사시도이다.6 is a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internal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실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actical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케이스 11 : 상판10 case 11 top plate

12 : 배면 보호로 13 : 회전축부12: back protection 13: rotating shaft portion

14 : 하판 20 : 통신부14: lower plate 20: communication unit

21 : 이어마이크 22 : 잭21: Ear microphone 22: Jack

23 : 통신선 30 : 권취부23: communication line 30: winding

31 : 고정날개 32 : 릴31: fixed blade 32: reel

33 : 릴 스프링 40 : 로킹장치33: reel spring 40: locking device

41 : 스토퍼 42 : 코일 스프링41: stopper 42: coil spring

50 : 흡착부 51 : 철판50: adsorption unit 51: iron plate

52 : 영구자석 53 : 슬립 방지판52: permanent magnet 53: slip prevention plate

54 : 양면 접착판54: double sided adhesive pl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11)과 하판(14)으로 구성된 케이스(10),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0), 병렬로 구성된 릴(32)을 이용하여 통신선(23)을 수납할 수 있는 권취부(30), 릴(32)을 임의로 고정 및 동작하게하는 로킹장치(40),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될 수 있게하는 흡착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릴타입 핸즈프리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line using the case 10 consisting of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4, the communication unit 20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el 32 configured in parallel And a winding unit 30 capable of storing 23, a locking device 40 for arbitrarily fixing and operating the reel 32, and an adsorption unit 50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el type hands free.

본 고안은 유선연결 방식 핸즈프리의 통신선(23)을 편리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릴방식을 이용하고 단말기의 손쉬운 탈부착을 위해서 자석 흡착식을 이용하는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 중 흡착판에 붙지 않는 기기들은 단말기에 흡착용 철판(51)을 덧붙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ucture using a reel method to conveniently receive the wired connection hands-free communication line 23 and a magnet adsorption type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terminal. In addition, devices that do not adhere to the adsorption pl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use the adsorption iron plate 51 in addition to the terminal.

본 고안의 각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도면들을 살펴보면, 구성에 대해 명확히 알수 있을 것이다.Looking at the drawings presented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art of the subject innova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bout the configuration.

본 고안의 실제 구성 예를 보면,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고안하고자하는 핸즈프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케이스(1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20), 선의 로킹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41),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였을때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 방지판(53)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중 잭(22)과 이어마이크(21)는 핸즈프리가 차량에 장착되어있을 때, 사용자가 핸즈프리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하기위해 장착된 위치에 이동치 않고 손쉽게 잭(22)과 이어마이크(21)를 잡아당겨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인입출이 내부의 릴(32)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나타낸다.Looking at the actual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s-free coupling state to be dev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0 for communication, which can control the locking of the line The stopper 41 and the slip prevention plate 53 for preventing slipp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The dual jack 22 and the ear microphone 21 are easily connected to the jack 22 and the ear microphone 21 when the hands-free is mounted on the vehicle without the user moving to the mounted position for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hands-free. It is shown a structure in which the draw-out is operated by the reel 32 inside so that it can be used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ulling the.

본 고안에 의한 통신부(20)를 나타낸 도 2를 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포트와 접속하여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잭(22)과 전화를 걸며 끊을 수 있는 후크 스위치, 송화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 수신자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이어폰으로 구성된 이어마이크(21)와 잭(22)과 이어마이크(21)를 연결하는 통신선(23)으로 구성됨을 나타내며 통신선(23)은 내부의 릴(32)에 의해 단선 없이 유도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Referring to Figure 2 showing a communication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jack 22 to receive a signal by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ook switch that can make a phone call, you can collect the voice of the caller A microphone, an ear microphone 21 composed of earphones capable of transmitting a voice to a receiver, and a communication line 23 connecting the jack 22 and the ear microphone 21. The communication line 23 has an internal reel 32 It is designed to be induced without disconnection by).

본 고안에 의한 통신선(23)을 나타낸 도 3을 보면,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릴 방식에서 요구되는 접점을 사용하지 않고 통신선(23)의 내성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있음을 보여주는데, 일반적으로 릴방식에서 접점을 이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잭(22) 또는 이어마이크(21)가 인입출 될 때 발생하는 회전에 의한 선의 꼬임 현상이 선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므로 통신선(23)의 내부동선이 단락 되거나 또는, 통신선(23) 자체의 피복 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배면에 보호로를 구성하여 잭(22)과 이어마이크(21)의 인입출시에 통신선(23)의 자유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며, 통신선(23)을 미리꼬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 시켜놓아서 인입출시에 받는 통신선(23)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통신선(23)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3 showing the communication line 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a structure using the resistance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used without using the contact point required by the existing reel method. Since the twisting of the wire due to the rotation generated when the jack 22 or the ear microphone 21 is drawn in or out due to not using the contact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wire, the internal copper line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shorted, or the communication line ( 23) It will cause its own coating damage. In order to overcome this, a protective path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secure a space for fre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when the jack 22 and the ear microphone 21 are pulled in and out, and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pre-twisted. It shows a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by minimizing the fatigue degree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received at the time of pulling in and out b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본 고안에 의한 도 4를 보면, 케이스(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써 상판(11)에는 흡착부(50)가 구성되어 있어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하였을때 영구자석(52)에 의해 흡착되고 외부의 진동에 의한 유동이 발생하였을 때, 단말기와의 미끌림을 최소화하도록 슬립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있다. 하판(14)에는 권취부(30)와 로킹장치(40)가 구성되어 통신선(23)의 인출시에는 자동으로 고정되고, 사용 후에 스토퍼(41)를 윗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로킹이 풀리게 되어 릴 스프링(33)의 탄성으로 인입력을 갖도록 하여서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ase 10 includes an adsorption part 50 formed on the upper plate 11 and is adsorbed by the permanent magnet 52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When a flow due to external vibration occurs, the slip preventing plate 53 is installed to minimize the slip with the terminal. The lower plate 14 is provided with a winding unit 30 and a locking device 40, and is automatically fixed when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drawn out. When the stopper 41 is pressed upward after use, the locking is released. The structure of the spring 33 has a retraction force so that the spring 33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본 고안에 의한 도 5를 보면, 통신선(23)이 릴(32)에 감겨서 동작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로써, 릴(32)은 내부에 자력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스텐레스 재질의 판 스프링을 감아 넣어 릴(32)이 복원할 수 있는 릴 스프링(33)을 만들고, 릴(32)의 한편에 릴 스프링(33)의 한끝을 고정하고 하판(14)의 회전축부(13)에 나머지 릴 스프링(33)의 끝단을 고정하며 릴 스프링(33)이 동작시 밀려 올라올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날개(31)를 설치한다. 릴(32)에 수납되어 있는 통신선(23)은 회전축부(13)를 통해서 릴(32)에 감기게 되고 릴(32)의 회전시에 통신선(23)은 회전축부(13)와 배면 보호로(12)에서 비틀림에 의한 피로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다.5 is a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wound around the reel 32 to operate, the reel 32 is a stainless steel leaf spring that does not affect the magnetic lines therein The reel 32 to restore the reel spring 33, and to fix one end of the reel spring 33 on one side of the reel 32 and the remaining reel to the rotating shaft portion 13 of the lower plate 14 Fixing the end of the spring 33 and to install the fixed blade 31 to prevent the reel spring 33 can be pushed up during operation. The communication line 23 accommodated in the reel 32 is wound on the reel 32 through the rotation shaft part 13, and when the reel 32 is rotated,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secured to the rear shaft part 13 by the rear protection. In (12), it is designed to minimize the fatigue by torsion.

본 고안에 의한 도 6을 보면, 내부부품들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데, 흡착부(50)에는 케이스 상판(1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영구자석(52)의 자력을 강화할 수 있는 철판(51) 위에 영구자석(52)이 부착되고, 그 위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 방지판(53)이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와 핸즈프리의 흡착력을 높이는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고안된 핸즈프리는 양면 접착판(54)의 접착력을 통해 또는 별도의 추가되는 고정쇠를 통해 차량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권취부(30)는 병렬로 양립된 릴(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어마이크(21)로부터 시작된 통신선(23)은 릴(32)을 따라 수납되고 릴(32)의 안쪽 끝단에서 회전축부(13)를 통해 나와서 잭(22)부분의 회전축부(13)를 통해 다른 릴(32)에 감기는 구조로 되어있음을 보여주며, 통신선(23)이 인출될 때 로킹장치(40)가 코일 스프링(42)을 통해 자동으로 릴(32)을 고정할 수 있는 탄성력을 스토퍼(41)에 주며 인입시에는 스토퍼(41)를 윗방향으로 밀어올려 릴(32)이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Referring to Figure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internal parts in detail, the adsorption portion 50 on the iron plate 51 that can reinforce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52 in a manner that is attached to the case top plate (11) Permanent magnet 52 is attached, the slip prevention plate 53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lip is installed on the structure designed to increase the adsorption for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hands-free, the designed hands-free of the double-sided adhesive plate 54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adhesive force or through a separate additional clamp. The winding unit 30 is composed of reels 32 compatible in parallel. The communication line 23 starting from the ear microphone 21 is received along the reels 32 and rotates at an inner end of the reels 32. 13 through the rotating shaft portion 13 of the jack 22 portion is shown to be wound on the other reel 32, the locking device 40 is coil spring when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drawn out Giving an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41 to automatically fix the reel (32) through the 42, and when the retracted, the stopper 41 is pushed upwards to the structure so that the reel (32) can be restored have.

본 고안에 의한 도 7을 보면,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핸즈프리가 단말기와 결합되는 실제 예를 보여주는데, 차량에 고정된 핸즈프리의 잭(22)을 인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포트에 결합한 후 핸즈프리 위에 거치하면 잭(22)은 릴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핸즈프리의 안쪽에 수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전화를 걸거나 받고자할 때에는 이어마이크(21)를 잡아당겨 통화를 하게된다. 이때 인출된 통신선(23)은 로킹장치(40)에 의해 자동으로 로킹되고, 통신 후에는 스토퍼(41)를 위쪽으로 밀어 선을 릴(32)에 수납하여 둘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ractical example in which the hands-free constru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terminal, withdrawing the jack 22 of the hands-free fixed to the vehicle,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unted on the hands-free. When the jack 22 is received inside the hands-free by the resilience of the reel spring 33, when making or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ar microphone 21 is pulled out to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drawn communication line 23 is automatically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40, and after communicat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topper 41 is pushed upward to store the line in the reel 32.

본 고안은 차량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핸즈프리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잭(22)과 이어마이크(21)가 인입출 되는 릴(32)을 사용한 핸즈프리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거치할 때 생기는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릴타입 핸즈프리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n a hands-free using a reel (32) in which the jack (22) and the ear microphone (21) are pulled in and out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mounted in the vehicle for communication. Reel-type hands free to minimize unnecessary movement.

기존의 릴을 사용한 수납구조는 접점방식을 사용하여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정밀한 접점을 만들기 위한 비용의 투자가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통신선(23)의 자체 내성을 이용한 구조 및 방법을 통해 단순하고 경제적인 형태의 릴타입 핸즈프리를 고안하였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치를 편리하게 하기위해 양립 병렬형태의 릴(32)을 갖추었고 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과 구조를 통하여 릴(32)의 복원력을 유지해서 거치에 편리한 영구자석(52)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단말기의 거치를 용이하게 하였다.Conventional storage structure using a reel was required to invest the cost to make a precise contact with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using the contact method, but in the present design, simple and economical through the structure and method using the self-resistance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A reel type handsfree of phosphorus type was devised.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parallel parallel reel (32) and the permanent magnet (52), which is convenient for mounting by maintaining the resilience of the reel (32) through the material and structure not affected by magnets )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terminal.

Claims (6)

릴(32)과 자석을 수납하는 케이스(10),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신을 가능케 하는 통신부(20), 통신선(23)을 수납할 수 있는 권취부(30), 통신선(23)을 인출시 자동으로 고정하는 로킹장치(40),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하는 흡착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타입 핸즈프리.At the time of pulling out the case 10 for accommodating the reel 32 and the magnet, the communication unit 20 for enabl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nding unit 30 for accommodating the communication line 23, and the communication line 23. Reel-type hands-fre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cking device 40 for automatically fixing, the adsorption portion 50 to mount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10)는 릴(32)을 회전 가능하게 하며 통신선(23)의 유입로를 이루는 회전축부(13)와 통신선(23)의 꼬임을 자유롭게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배면 보호로(12)를 가지는 케이스(10).The case 10 of claim 1, wherein the case 10 allows the reel 32 to rotate and secures a space for freely inducing the twist of the rotary shaft portion 13 and the communication line 23 forming the inflow path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The case 10 which has a back protection path 1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부(20)는 잭(22)과 이어마이크(21)가 통신선(23)으로 끊김 없이 연결된 구조로써 통신선(23)을 풀림방향의 역방향으로 미리 꼬아서 접점없이 내구력을 유지하게 하는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부(20).The communication unit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jack 22 and the ear microphone 21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23 without interruption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twis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release direction to maintain durability without contact. Communication unit 20,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권취부(30)는 양립 병렬형의 릴(32)과, 통신선(23)의 인입력을 발생하게 하는 릴 스프링(33), 릴(32)과 릴 스프링(33)을 고정하는 고정날개(31)로 구성되어 있으며, 릴(32)은 케이스 하판(14)의 회전축부(13)를 따라 회전하는 구조로 설계되며, 릴 스프링(33)은 자력의 영향이 덜 미치는 스텐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통신선(23)의 자체내성을 이용한 무접점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부(30).The winding unit 30 is fixed to the reel 32 and the reel spring 33, the reel 32 and the reel spring 33 for generating the input force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in accordance with claim 1 It is composed of a fixed blade 31, the reel 32 is designed in a structure that rotates along the rotating shaft portion 13 of the case lower plate 14, the reel spring 33 is a stainless steel material less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It is composed of, winding unit 30 characterized by a contactless method us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ommunication line (23). 제 1항에 있어서 로킹장치(40)는 통신선(23)이 릴(32)에서 인출될 때 릴(32)과 물려 자동으로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릴(32)을 제어하는 스토퍼(41)와 스토퍼(41)를 동작하게 하는 코일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40).The locking device (40) of claim 1 is fixed to the reel (32) automatically when the communication line (23) is drawn out of the reel (32), and the stopper (41) for controlling the reel (32) by a user. Locking device 40,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il spring 42 for operating the stopper (41). 제 1항에 있어서 흡착부(50)는 릴 스프링(33)에 대한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키며 영구자석(52)의 자력을 강화할 수 있는 철판(51), 이동통신 단말기와 거치대를 고정할 수 있는 자력을 발생하는 강자성체의 영구자석(52), 단말기가 핸즈프리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증가하는 슬립 방지판(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부(50).According to claim 1, the adsorption unit 50 is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on the reel spring 33 and the steel plate 51 that can enhance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52, which can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radle Adsorption unit 50,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52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generating a magnetic force, the slip preventing plate 53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so that the terminal does not slip in hands-free.
KR2020000021392U 2000-07-24 2000-07-24 Reel type hands free KR2002058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92U KR200205809Y1 (en) 2000-07-24 2000-07-24 Reel type hands fr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92U KR200205809Y1 (en) 2000-07-24 2000-07-24 Reel type hands fr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809Y1 true KR200205809Y1 (en) 2000-12-01

Family

ID=1966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92U KR200205809Y1 (en) 2000-07-24 2000-07-24 Reel type hands fr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80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8345A2 (en) * 2007-07-30 2009-02-05 Marware, Inc. Mobile telephone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8345A2 (en) * 2007-07-30 2009-02-05 Marware, Inc. Mobile telephone case
WO2009018345A3 (en) * 2007-07-30 2009-04-23 Marware Inc Mobile telephon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3770B1 (en) Telecommunication device holster having a retractable earpiece assembly integrated with the holster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JP3159333U (en) Mobile device having cord winding device
KR20000059278A (en) Hands-free device for mobile telephones
KR200205809Y1 (en) Reel type hands free
US6374970B1 (en) Communication wire device having a wire-winding mechanism
EP0128500A3 (en) Telephone with cradle having no moving parts
KR200246606Y1 (en) Hands Free Using Twin Reel System
KR20040037564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329217B1 (en) Hands free kit for cellular phone
KR200242609Y1 (en) Slide Type Hands Free
KR200178343Y1 (en) Ear-mike set
KR200356253Y1 (en) A accessory for cellular phone
KR200199071Y1 (en) Handfree
KR101035749B1 (en) Ear phone jack for portable terminal
KR200262893Y1 (en) Earphone Cable and Plug Jack Case
KR20050093538A (en) Reel type ear-mic phon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80295B1 (en) Ear microphone with a winding mode
KR200292156Y1 (en) Mobile stastion with ear-microphone of bobbin method
KR20000024290A (en) Cellular phone with built-in a hands free kit being extractable
JP3049844U (en) Cord storage device
KR20040077170A (en) Mobile phone having extractible microphone
KR200184612Y1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having handsfree ear-microphone
KR200214847Y1 (en) Hands-free headphone type with length controller
KR200175159Y1 (en) Apparatus for earphone microphone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