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057A -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057A
KR20020092057A KR1020010030912A KR20010030912A KR20020092057A KR 20020092057 A KR20020092057 A KR 20020092057A KR 1020010030912 A KR1020010030912 A KR 1020010030912A KR 20010030912 A KR20010030912 A KR 20010030912A KR 20020092057 A KR20020092057 A KR 2002009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lcd
display direction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2057A/ko
Priority to US09/994,565 priority patent/US20020180762A1/en
Priority to CNB011436239A priority patent/CN1172513C/zh
Publication of KR2002009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0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3Arrangement of drivers for different directions of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소정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이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METHOD FOR CONVERTING DIRECTION OF DISPLAY IN PORTABLE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형 단말기는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와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플립 타입 단말기는 메인바디 상에, 그리고 폴더 타입 단말기는 서브바디 상에 LC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1세대 폴더의 단점을 보완한 듀얼(Dual)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 듀얼 LCD는 플립 타입 단말기의 LCD와 마찬가지로, 휴대형 단말기의 폴더를 닫은 상태에서도 휴대형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달린 LCD를 통해 볼 수 있다.
한편, 휴대형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음성 통화서비스를 주요 기능으로 제안되었으나 소비자의 요구와 이동통신단말기 생산 업체간의 경쟁으로 더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형 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서비스,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이 제공되면서, 휴대형 단말기는 더욱 대중화되어 이제 휴대형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 있어서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필수적인 휴대용품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용자들이 휴대형 단말기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단말기를 부착하여 목에 걸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가 있다.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는 이어폰과 통화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음성 통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의 외부 출력창인 LCD를 이용하여 시각 확인, 메시지 확인, 스케줄 관리와 같은 개인정보서비스 및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단말기가 소형화되고 경량화 되면서 사용자들이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할 때 목에 착용하고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 휴대형 단말기를 부착하여 상기와 같은 시각 확인, 메시지 확인, 개인정보서비스 및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형 단말기의 외부 출력창인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의 LCD상의 디스플레이는 그 방향이 한쪽으로만 표시되므로 목걸이에 단말기를 걸고 시각이나 메시지 등을 확인하거나 데이터 서비스 등을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당연히 단말기를 거꾸로 들어 보게 되거나, 단말기를 위에서 내려다보게 되므로 LCD상의 디스플레이도 거꾸로 보이게 되어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 단말기를 부착하여 목에 착용하고 사용할 시 휴대형 단말기를 거꾸로 보아도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형 단말기를 허리벨트에 착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할 시 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소정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이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LCD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LCD 상의 디스플레이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향이 변경된 휴대형 단말기의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더욱 상세히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LCD 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과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휴대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관해 설명하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액정표시부(이하 "LCD"라 칭함)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CPU(100)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패드(110)로부터의 입력신호 또는 센서(14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을 위한 LCD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키패드(110)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을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모드선택 키를 구한다. 상기 모드선택 키는 LCD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좌/우 및 상/하로 뒤바꾸어, 휴대형 단말기를 거꾸로 보는 경우에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정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180도 전환하는 기능키이다. 상기 모드선택 키는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의 폴더나 플립을 열지 않고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키패드(110) 상이나 휴대형 단말기의 본체 어느 곳에나 위치될 수 있으며, 기 구비되어 있는 음량조절 키 등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LCD 구동부(120)는 CPU(100)의 LCD 구동 제어신호를 받아 휴대형 단말기의 동작 상태나 다이얼링 데이터를 LCD(130)에 표시되도록 구동한다. 이러한 LCD 구동부(120)는 LCD 드라이버(Driver)와 그 주변 회로를 포함한다. LCD 드라이버의 주변 회로는 LCD 드라이버의 동작에 필요한 회로를 말한다. RF 처리부(150)는 CPU(100)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Microphone, 미도시함)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 미도시함)를 통해 출력한다. 센서(140)는 이어잭의 접속상태와 휴대형 단말기에 중력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중력감지센서에 의한 단말기의 도립상태를 검출하여 그 감지 신호를 CPU(100)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LCD 상의 디스플레이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전의 일반적인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후의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 단말기를 부착하여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을 위한 모드선택 키, 이어잭, 중력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신호입력이 있으면 LCD(130)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180도 변경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 부착된 단말기나 허리벨트에 착용한 단말기의 LCD(130)를 통하여 시각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확인하고자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휴대형 단말기를 거꾸로 들게되므로 사용자는 LCD(130)상의 180도 도립된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정립된 디스플레이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이 변경된 휴대형 단말기의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더욱 상세히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CD 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과정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CD 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형 단말기의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LCD를 일정다수의 세그먼트(Segment)와 일정다수의 칼럼(Column)으로 각각 구분하고, 각 부분에 세그먼트 넘버(Number)와 칼럼 넘버를 할당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CD를 가로축을 N+1개의 세그먼트로 할당하고, 세로축을 M+1개의 칼럼으로 할당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a)에 도시된 (SEG 0, COL 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위치(300)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위치(300')로 변경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표시창으로 LCD를 적어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도 1의 CPU(100)는 400단계에서 LCD상에 디스플레이를 정상적으로 표시하며 대기한다. 그리고 대기 중에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능키의 입력, 이어잭(Ear-Jack) 접속, 휴대형 단말기 메인바디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중력감지센서에 의한 휴대형 단말기의 도립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402단계 및 404단계에서 CPU(100)는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모드선택신호를 감지하면, 408단계로 진행한다. CPU(100)는 408단계에서 입력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정상 방향으로 이루어지던 디스플레이 표시를 소정시간 지연한다. 그리고 CPU(100)는 소정시간 지연 동안 410단계를 수행한다.
410단계에서 CPU(100)는 내부명령어에 의한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 레지스터들의 값을 변경시킨다. LCD의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 레지스터 값을 변경하는 과정은 LCD의 세그먼트(Segment) 및 칼럼(Column)의 출력 방향을 변경하여 수행하게 되는데, AD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그먼트들의 출력 방향을 선택하는 레지스터이며, SHL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럼들의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레지스터이다. 도 3의 (a)와 같이 일반적인 상태(Normal)에서 ADC 및 SHL은 그 값이"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레지스터 값이 "1"이 되면 세그먼트들 및 칼럼들의 출력 방향이 반대로(Reverse) 변경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외부 신호입력에 의하여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과정이 수행되면 ADC 및 SHL 레지스터 값은 "1"로 변경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상에서 볼 때, ADC 레지스터 값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좌우로 바뀌어 표시되며, SHL 레지스터 값의 변경에 따라 칼럼들의 출력방향이 반대(Reverse)로 변경되어 LCD상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가 상하로 역전되어 표시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첫 번째 디스플레이 위치(300)에 세그먼트0이 할당되고, 차례로 세그먼트N까지 할당되었던 세그먼트들이 세그먼트N으로부터 세그먼트0으로 변경/할당되어, 도 3의 (b)에 도시된 첫 번째 디스플레이 위치(300')에 세그먼트0이 할당된다.
또한 도 3의 (a)에 도시된 첫 번째 디스플레이 위치(300)에 칼럼0이 할당되고, 차례로 칼럼M까지 할당되었던 칼럼들이 칼럼M으로부터 칼럼0으로 변경/할당되어, 도 3의 (b)에 도시된 첫 번째 디스플레이 위치(300')에 칼럼0이 할당된다.
따라서 CPU(100)는 412단계에서 변경된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 레지스터들의 변경된 값에 따라 변경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를 표시함으로써, 도 3의 (a)와 같은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LCD상의 디스플레이 단위인 세크먼트들과 칼럼들의 방향을 반대로 변경함으로써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LCD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표시창으로 LCD를 적어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사용자에 의한 외부 기능키의 입력, 이어잭(Ear-Jack) 접속, 휴대형 단말기 메인바디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중력감지센서에 의한 휴대형 단말기의 도립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신호로 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에서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 단말기를 부착하여 목에 착용하고 사용하거나 휴대형 단말기를 허리벨트에 착용하고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고자 할 시, 휴대형 단말기를 거꾸로 보아도 LCD 상의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표시창으로 LCD를 적어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에서, LCD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 용 목걸이에 단말기를 부착하여 목에 착용하고 사용할 시 휴대형 단말기를 거꾸로 보아도 LCD 상의 디스플레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휴대형 단말기를 허리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LCD상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할 시 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소정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이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이,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을 위해 설정된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이,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이어잭을 접속함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이,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구비되는 중력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도립의 감지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이,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모드선택을 위해 설정된 키 입력과,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이어잭 접속과,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구비되는 중력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도립의 감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과정이,
    상기 소정 방향 디스플레이 표시를 소정시간 지연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시간 지연 동안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 레지스터들의 값을 변경시키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 레지스터들의 변경된 값에 따라 변경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 선택 레지스터 값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그먼트 및 칼럼의 출력 방향을 각각 반대로 변경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KR1020010030912A 2001-06-01 2001-06-01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KR20020092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912A KR20020092057A (ko) 2001-06-01 2001-06-01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US09/994,565 US20020180762A1 (en) 2001-06-01 2001-11-27 Method for changing display direction in a portable telephone
CNB011436239A CN1172513C (zh) 2001-06-01 2001-12-14 改变便携式电话中显示方向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912A KR20020092057A (ko) 2001-06-01 2001-06-01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057A true KR20020092057A (ko) 2002-12-11

Family

ID=1971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912A KR20020092057A (ko) 2001-06-01 2001-06-01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180762A1 (ko)
KR (1) KR20020092057A (ko)
CN (1) CN117251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54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화면 가로보기 기능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100823U (pt) * 2001-05-17 2003-02-04 Dalton Swain Conselvan Disposição introduzida em inversor de display
US7538745B2 (en) * 2003-03-24 2009-05-26 Ntag Interacti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ace-to-face communication
WO2004086288A2 (en) * 2003-03-24 2004-10-07 Ntag Interacti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ace-to-face communication
US20110205056A9 (en) * 2003-03-24 2011-08-25 Borovoy Richard D Adding social networking to devices
US20040202052A1 (en) * 2003-04-08 2004-10-14 Eitan Lev Electronic jewelry with downloadable images
US20060066502A1 (en) * 2004-09-29 2006-03-30 Taicom Data Systems Co., Ltd. Miniature colored digital placard structure
US20060195354A1 (en) * 2005-02-28 2006-08-31 Ntag Interactive Corporation Method of scoring the performance of attendees at a meeting
US20070198324A1 (en) * 2006-02-22 2007-08-23 Borovoy Richard D Enabling connections between and events attended by people
US20070236334A1 (en) * 2006-03-31 2007-10-11 Borovoy Richard D Enhancing face-to-face communication
TWI401940B (zh) * 2008-12-30 2013-07-11 Htc Corp 手持通訊裝置的控制方法、系統與所使用之電腦程式產品
CN102074217A (zh) * 2011-01-27 2011-05-25 浙江宇松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图像视角的扩展方法及其液晶显示器
KR102318887B1 (ko) * 2015-03-06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047365B2 (ja) * 2017-12-13 2022-04-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7194A (en) * 1987-08-28 1989-03-28 Motorola, Inc. Radio having an invertible display with reversible controls
JPH0567987A (ja) * 1991-09-06 1993-03-19 Kokusai Electric Co Ltd 表示器付き携帯用無線機
JPH0819023A (ja) * 1994-06-30 1996-01-19 Toyo Commun Equip Co Ltd 携帯用小型通信機器
JPH10340073A (ja) * 1997-04-11 1998-12-22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および該表示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KR20020020317A (ko) * 2000-09-08 2002-03-15 윌리암영손 이동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720A (en) * 1992-11-13 1995-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pen-based computer
US6208325B1 (en) * 1993-10-01 2001-03-27 Cirrus Logic, Inc. Image rotation for video displays
EP0766168A3 (en) * 1995-09-28 1997-11-19 Hewlett-Packard Company Icons for dual orientation display devices
US6073033A (en) * 1996-11-01 2000-06-06 Telxon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with integrated heads-up display and data terminal functions
US5986634A (en) * 1996-12-11 1999-11-16 Silicon Light Machines Display/monitor with orientation dependent rotatable image
JP2957507B2 (ja) * 1997-02-24 1999-10-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小型情報処理機器
US6334063B1 (en) * 1998-12-17 2001-12-25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auto-positioning virtual image display and associated method
US6411828B1 (en) * 1999-03-19 2002-06-25 Ericsson Inc.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that operate according to communications device orientations determined by reference to gravitational sensors
US6597384B1 (en) * 1999-12-22 2003-07-22 Intel Corporation Automatic reorienting of screen orientation using touch sensitive system
US20020033836A1 (en) * 2000-06-06 2002-03-21 Smith Scott R.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the orientation and configuration of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JP2002101178A (ja) * 2000-09-21 2002-04-05 Sony Corp 携帯通信端末および画面表示方法
US6850784B2 (en) * 2001-01-31 2005-02-01 Microsoft Corporation Modular two-body design for integr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feature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7194A (en) * 1987-08-28 1989-03-28 Motorola, Inc. Radio having an invertible display with reversible controls
JPH0567987A (ja) * 1991-09-06 1993-03-19 Kokusai Electric Co Ltd 表示器付き携帯用無線機
JPH0819023A (ja) * 1994-06-30 1996-01-19 Toyo Commun Equip Co Ltd 携帯用小型通信機器
JPH10340073A (ja) * 1997-04-11 1998-12-22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および該表示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KR20020020317A (ko) * 2000-09-08 2002-03-15 윌리암영손 이동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54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화면 가로보기 기능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513C (zh) 2004-10-20
US20020180762A1 (en) 2002-12-05
CN1390024A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077B2 (en) Method for displaying a message in a dual LCD folder-type mobile terminal
EP1303113B1 (en) Portable terminal
US20020022503A1 (en) Mobile phone of du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the same
EP1630587A1 (en) HMD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1760993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171133A1 (en) Slide-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10167393A1 (en) Portable terminal
KR20020092057A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KR20010021133A (ko) 정보단말기
JP2001326710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2002330200A (ja) 携帯無線装置
US20170118318A1 (en) Mobile Phone
KR1004244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JP2005354544A (ja) 携帯機器
US6507729B1 (en) Luminescent external dialer for mobile phone
KR100455999B1 (ko) 휴대폰의 절전을 위한 화면일부 표시 기능 제공 방법
KR20010028824A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240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와이드 스크린 제어 장치
KR20030015472A (ko)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절감하기 위한 시스템
KR19990049847A (ko) 휴대폰의 온도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34796A (ko) 문자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헤드셋
KR200300560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화면 가로보기 기능 제공 방법
KR20040093309A (ko) 착탈식 외장형 안테나를 가지는 인테나용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동작 방법
KR20040077192A (ko) 이중 스피커를 구비하고 그의 절체를 위한 상폴더 회전형이동통신 단말기
JP2002208998A (ja) 携帯通信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28

Effective date: 200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