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554A -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554A
KR20020088554A KR1020010027290A KR20010027290A KR20020088554A KR 20020088554 A KR20020088554 A KR 20020088554A KR 1020010027290 A KR1020010027290 A KR 1020010027290A KR 20010027290 A KR20010027290 A KR 20010027290A KR 20020088554 A KR20020088554 A KR 2002008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ayer pattern
floating gate
control gat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98092B1 (en
Inventor
이재덕
최정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092B1/en
Publication of KR2002008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0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flash memory cell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inimize a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floating gates by recessing an isolation layer formed between the floating gates. CONSTITUTION: An isolation layer(130) is formed at a desired portion of a semiconductor substrate(100) so as to define an active region. A control gate(170) is formed on the isolation layer(130) and the active region. A floating gate(190) is formed between the control gate(170) and the active region composed of a lower floating gate(121) and an upper floating gate(141). A concave region(150) is formed by recessing the isolation layer(130) formed between adjacent upper floating gates(141). The lower floating gate(121) has same width to the active region, and the upper floating gate(141) has wider width compared to the lower floating gate(121).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의 셀 및 그 형성 방법{Flash Memory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Flash Memory Ce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래시 메모리의 셀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 of a flash memory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플래시 메모리의 단위 셀은 활성영역 상에 차례로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 전기적으로 절연된 부유게이트, 워드라인을 구성하는 제어게이트 및 상기 부유게이트와 상기 제어게이트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층간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 셀은 상기 부유게이트에 Fowler-Nordheim tunneling 또는 channel hot carrier에 의해 전자를 주입하거나 상기 Fowler-Nordheim tunneling에 의해 전자를 빼내는 방식으로 상기 부유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동작원리를 가진다. 그런데 플래쉬 메모리가 점차 고집적화 됨에 따라 상기 부유게이트의 전위가 불필요한 영향을 받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불필요한 영향을 주는 원인에는 인접 제어게이트의 전압, 인접 제어게이트 하부의 부유게이트 전위, 같은 제어게이트 하부에 인접한 부유게이트 전위등이 있다. 특히 상기 같은 제어게이트 하부에 인접한 부유게이트 전위에 의한 특정 부유게이트 문턱전압에의 영향은 멀티레벨 셀(multi-level cell)의 경우 문제가 된다.The unit cell of the flash memory includes a gate oxide film sequentially formed on an active region, an electrically insulated floating gate, a control gate constituting a word line, and a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The flash memory cell has an operation principle of changing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gate by injecting electrons into the floating gate by Fowler-Nordheim tunneling or channel hot carrier or extracting electrons by the Fowler-Nordheim tunneling. However, as the flash memory is increasingly integrated, the potential of the floating gate is unnecessarily affected. The unnecessary influence may include the voltage of the adjacent control gate, the floating gate potential under the adjacent control gate, and the floating gate potential adjacent to the same control gate.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he specific floating gate threshold voltage by the floating gate potential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gate is a problem in the case of a multi-level cel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0)에 활성영역을 한정하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소자분리막 패턴(40)이 배치된다. 수평적으로는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40) 사이이며, 수직적으로는 상기 활성영역 상인 위치에 게이트산화막 패턴(20) 및 하부 부유게이트(30)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40)에 직교하는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60) 및 제어게이트(70)가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40) 및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30)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60) 및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30) 사이에는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30)의 전면 및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40)의 가장자리 상부면을 덮는 상부 부유게이트(50)가 개재된다. 여기서 상부 부유게이트(50) 및 하부 부유게이트(30)는 부유게이트를 구성한다. 평면적으로 볼때, 상기 부유게이트는 사각형의 섬의 형태를 갖는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an isolation layer pattern 40 formed in one direction while defining an active region is dispos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10. The gate oxide layer pattern 2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30 are sequentially disposed at positions between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s 4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bove the active region. A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60 and a control gate 70 that are orthogonal to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40 are formed on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4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30. An upper floating gate 50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6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30 to cover an entire surface of the lower floating gate 30 and an upper surface of an edge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40. . Here, the upper floating gate 5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30 constitute a floating gate. In plan view, the floating gate has a rectangular island shape.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특정 부유게이트의 문턱전압(Vth)이 -3V에서 2.6V로 변할 경우, 같은 워드라인 아래에 위치하면서 상기 특정 부유게이트와 인접한 부유게이트의 문턱전압의 변화는 시뮬레이션 결과 0.095V이다. 멀티레벨 셀의 경우 셀에 저장된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셀 준위의 폭 및 간격이 좁기때문에, 상기와 같은 간섭의 크기는 멀티레벨 셀의 제조에서 피해야할 문제점으로 대두된다.In the flash memory including the structure, when the threshold voltage (V th ) of the specific floating gate is changed from -3V to 2.6V,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loating gate adjacent to the specific floating gate while located under the same word line The simulation result is 0.095V. In the case of a multilevel cell, since the width and spacing of the cell levels for distinguish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ell are narrow, the magnitude of such interference is a problem to be avoided in the manufacture of the multilevel cell.

도 2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또다른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셀에 비해 부유게이트(31)는 수직한 측벽을 가지며 동시에 제어게이트(61)의 측벽하부가 게이트 산화막(21) 하부의 반도체기판에 인접하는 특징을 가진다. 즉 소자분리막 패턴(41)의 상부면은 상기 게이트 산화막(21)의 하부면보다 낮다. 또한 반도체기판(11) 및 상기 제어게이트(61) 사이에는 게이트층간절연막(51)만이 개재되는 영역(99)이 형성된다. 그 결과, 서로 이웃하는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parastic capacitance)를 최소화시키는 장점을 가진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ll of a flash memory proposed in another prior art to solve the above problem. Referring to FIG. 2, the floating gate 31 has a vertical sidewall compared to the cell of FIG. 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idewall of the control gate 61 is adjacent 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under the gate oxide layer 2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41 is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gate oxide layer 21. In addition, a region 99 between only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 and the control gate 61 is formed between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films 51.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neighboring floating gates.

하지만 상기 영역(99)은 상기 제어게이트(61)와 상기 반도체기판(11)에 인가해준 전압의 차이로 인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gion 99 is easily damaged due to the difference in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gate 61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이웃하는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시키는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of a flash memory that minimizes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adjacent floating gat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이웃하는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소자분리막을 리세스시키어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셀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cell of a flash memory that can minimiz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floating gates by recessing device isolation layers between adjacent floating gat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또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ll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3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ell forming method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셀을 제공한다. 이 셀은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에 형성되어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 패턴,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 및 상기 활성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어게이트, 상기 제어게이트 및 상기 활성영역 사이에 개재되고 차례로 적층된 하부 부유게이트 및 상부 부유게이트로 구성되는 부유게이트 및 적어도 상기 제어게이트 아래에 위치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상부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소자분리막 패턴이 리세스되어 형성된 오목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는 상기 활성영역과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는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상기 제어게이트는 상기 오목영역 내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of a flash memory. The cell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defining an active region,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and a control gate cro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tive region, interposed between the control gate and the active region and sequentially stacked. A floating gate including a lower floating gate and an upper floating gate and a recess region formed by recessing an isolation pattern between adjacent upper floating gates positioned under at least the control gate and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The lower floating gate has the same width as the active region, and the upper floating gate has a wider width than the lower floating gate. The control gate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concave region.

상기 제어게이트의 하부면은 적어도 인접한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의 하부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gate is lower than at least the bottom surface of the adjacent lower floating gate.

상기한 또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자분리막 패턴을 리세스하여 오목영역을 형성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셀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게이트 산화막 패턴 및 제 1 도전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 아래의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 영역을 채우고 적어도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의 상부면까지 연장된 소자분리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의 전면 및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과 인접한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 2 도전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 사이의 소자분리막 패턴을 식각하여 오목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영역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게이트 층간절연막 및 제어게이트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한 후, 상기 제어게이트 도전막,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 및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을 가로지르는 제어게이트, 상기 제어게이트와 상기 활성영역 사이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부유게이트 및 상부 부유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forming method of a flash memory to recess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to form a concave region. The method forms a gate oxide layer pattern and a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s a trench region defining an active region by etch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under the gap region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s. And forming a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that fills the trench region and extends to at least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and an edge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adjacent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Forming a second conductive film pattern covering the second conductive film pattern, etching the device isolation film pattern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film pattern, and forming a recessed area, and sequentially forming a gat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control gate conductiv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sultant product having the recessed area. After that, the control gate conductive layer,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are opened. The enemy patterned in crossing the isolation film pattern control gate, and a step of forming the control gate and the floating gate of the lower and the upper floating gate are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active region.

상기 오목영역을 채우는 제어게이트의 하부면은 적어도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의 하부면보다 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gate filling the concave region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will be ful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If it is also mentioned that the layer is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layer or substrate or a third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3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ell forming method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차례로 적층된 게이트산화막, 제 1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도전막 상에 연마저지막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저지막 및 제 1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연마저지막 패턴(도시하지않음) 및 제 1 도전막 패턴(120)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20) 사이에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의 상부면은 노출된다. 이후, 상기 연마저지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산화막 및 반도체기판(100)을 식각함으로써, 게이트산화막 패턴(110) 및 트렌치 영역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3, a gate oxide film and a first conductive film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polishing blocking film on the first conductive film. The polishing blocking film and the first conductive film are patterned to form a polishing blocking film pattern (not shown) and a first conductive film pattern 120. As a result, an upper surface of the gate oxide layer is ex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s 120. Thereafter, the gate oxide film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are etched using the polishing blocking film pattern as an etching mask to form the gate oxide film pattern 110 and the trench region.

상기 트렌치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 상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한 후, 전면식각하여 소자분리막 패턴(130)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식각의 방법은 CMP 의 방법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연마저지막을 식각정지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마저지막은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 형성 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은 상기 트렌치 영역을 채우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20)의 상부면까지 연장된다.After the device isolation layer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ncluding the trench region,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is formed by etching the entire surface. The front etching method is preferably a CMP method, and the polishing stop film is preferably used as an etching stop film. In addition, the polishing blocking layer is preferably removed after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is formed. As a result,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extends to at least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120 while filling the trench region.

상기 게이트산화막 패턴(110)은 열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20)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은 CVD 방식으로 증착되는 산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마저지막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te oxide layer pattern 110 may be formed of a thermal oxide layer,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120 may be formed of polysilicon, and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may be deposited by a CVD method. Is preferably. In addition, the polishing blocking film is preferably formed of a silicon nitride fil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과물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고, 건식식각을 통해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20)을 덮는 제 2 도전막 패턴(140)을 형성한다. 이에더하여,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150)은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의 가장자리 상부면을 덮도록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4, a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resultant,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40 cover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120 is formed through dry etching.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50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140)은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20)과 동일한 물질, 즉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도전막 형성 전에,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20) 상부에 잔존하는 자연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nductive film pattern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ductive film pattern 120, that is, polysilic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dd a cleaning process for removing the natural oxide film remaining on the first conductive film pattern 120 before forming the second conductive film.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140)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140) 사이에 노출된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을 건식식각함으로써,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이 리세스된 오목영역(150)을 형성한다. 상기 오목영역(150) 형성을 위한 식각은 실리콘에 대해 높은 식각선택비를 가지는 레서피를 사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is dry-etched by us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40 as an etch mask to dry-etch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exposed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40. 130 forms recessed recessed area 150. The etching for forming the concave region 150 may be performed by using a recipe having a high etching selectivity with respect to silicon.

상기 오목영역(150)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같은 워드라인 아래에 위치하는 인접 부유게이트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상기 오목영역(150)의 깊이는 깊을수록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오목영역(150)의 매립을 위해서는 적당한 종횡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결국 상기 오목영역(150)의 깊이는 상기 두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영역(150)의 하부면이 상기 게이트산화막 패턴(110)의 하부면보다 낮도록 형성한다.Since the concave region 150 is intended to minimiz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adjacent floating gates positioned under the same word line, which is generated in the related art, the depth of the concave region 150 is preferably higher.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 appropriate aspect ratio for filling the concave region 150. As a result, the depth of the concave region 150 needs to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wo factors.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region 150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gate oxide pattern 110.

상기 오목영역(150)을 형성하기위한 건식식각 공정은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140)을 형성하는 패터닝에 이어서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즉 제 2 도전막 패턴(140)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하지않음)을 상기 오목영역(150) 형성을 위한 식각마스크로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The dry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concave region 15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after patterning to form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40. That is, a photoresist pattern (not shown) for form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40 may be continuously used as an etching mask for forming the concave region 15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오목영역(150)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 층간절연막 및 제어게이트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그후 상기 제어게이트 도전막,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140) 및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130)을 차례로 식각하여, 각각 제어게이트(170),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상부 부유게이트(141) 및 하부 부유게이트(121)를 형성하는 게이트 패터닝을 실시한다.Referring to FIG. 6, a gat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control gate conductive film are sequentially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including the concave region 150. Thereafter, the control gate conductive layer,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14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130 are sequentially etched, and the control gate 170 and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re respectively etched. The gate patterning is performed to form the upper floating gate 141 and the lower floating gate 121.

상기 게이트 패터닝은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 결과,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141) 및 하부 부유게이트(121)로 이루어진 부유게이트(190)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섬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부유게이트(190),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및 상기 제어게이트(170)는 게이트 패턴(200)을 구성한다.The gate patterning is a process of forming a patter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As a result, the floating gate 190 including the upper floating gate 141 and the lower floating gate 121 is insulated from the island. In addition, the floating gate 190,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nd the control gate 170 constitute a gate pattern 20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셀 영역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cell area of a flash memo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소자분리막 패턴(130)은 활성영역을 한정하면서 일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과 같은 방향을 갖는다.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및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상에 적층된 제어게이트(170)는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7,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0 may be disposed in one direction while defining an active region. As a result, the active region has the same direction as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nd the control gate 170 stacked on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r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 사이이면서, 상기 활성영역 상에 게이트산화막 패턴(110) 및 하부 부유게이트(121)가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산화막 패턴(110) 및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121)는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및 상기 활성영역이 교차하는 영역에 한정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산화막 패턴(110) 및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121)의 측벽은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의 측벽과 접촉한다.The gate oxide layer pattern 11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121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active region between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s 130. The gate oxide layer pattern 11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121 are limited to a region where the gate interlayer dielectric layer pattern 160 and the active region cross each other. In addition, sidewalls of the gate oxide layer pattern 11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121 are in contact with sidewalls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상부 부유게이트(141)는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의 하부면에 의해 덮히면서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121) 및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는다.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141)는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및 상기 제어게이트(170)와 동일한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141)는 동일한 제어게이트(170) 하부의 인접한 또다른 상부 부유게이트(141)와는 이격된다.The upper floating gate 141 is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nd covers a portion of an edge of the lower floating gate 121 and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The upper floating gate 141 has the same width as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nd the control gate 170. In addition, the upper floating gate 141 is spaced apart from another adjacent upper floating gate 141 under the same control gate 170.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141) 사이에는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130) 상부면의 중심부가 리세스된 오목영역(150)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영역(150)은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160) 및 상기 제어게이트(170)에 의해 채워진다. 상기 제어게이트(170)의 하부면은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121)의 하부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오목영역(150)의 하부면은 상기 게이트산화막 패턴(110)의 하부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영역(150)은 상기 제어게이트(170)들 사이에서도 형성될 수 있지만, 이경우 도전성 물질이 개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 concave region 15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floating gates 141 in which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30 is recessed. The concave region 150 is filled by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nd the control gate 170.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gate 170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oating gate 121. To this e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region 150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gate oxide pattern 110. The concave region 150 may be formed even between the control gates 170, but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not b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121) 및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141)는 부유게이트 (190)를 구성하고, 상기 부유게이트(190)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게이트(190), 상기 게이트층간절연막 패턴(160) 및 상기 제어게이트(170)은 게이트 패턴(20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층간절연막 패턴(160)은 ONO 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게이트(170)는 차례로 적층된 폴리실리콘 및 실리사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floating gate 121 and the upper floating gate 141 constitute a floating gate 190, and the floating gate 190 is formed of polysilicon. In addition, the floating gate 190,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and the control gate 170 form a gate pattern 200.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pattern 160 may be formed of an ONO layer, and the control gate 170 may be formed of polysilicon and silicide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본 발명에 따른 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오목영역(150)과 그것을 채우는 제어게이트(170)만 다를뿐 다른 요소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오목영역(150)의 형성이 특정 부유게이트에 대한 인접한 부유게이트의 전위가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상기 오목영역(150)만을 독립변수로하여 판단할 수 있다.Computer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ell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ditions of the simulation differ only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concave region 150 and the control gate 170 filling the same are different.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of the potential of the adjacent floating gate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floating gat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recessed region 150 may be determined by using only the recessed region 150 as an independent variable.

그 시뮬레이션의 결과, 동일한 제어게이트의 하부에 서로 이웃하는 부유게이트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 및 전위 간섭의 크기는 종래기술의 경우 각각 1.36 ×10-18F 및 0.095V 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각각 4.14 ×10-19F 및 0.030 V 였다. 즉 기생 커패시턴스 및 전위 간섭의 크기 모두 ⅓ 정도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특정 부유게이트의 문턱전압의 크기가 -3V에서 2.6V로 변할 경우, 같은 워드라인 내의 인접한 부유게이트에 대한 영향이다.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parasitic capacitance and potential interference by the floating gates adjacent to each other under the same control gate were 1.36 × 10 -18 F and 0.095 V, respectively, in the prior art, but 4.14 × 10,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19 F and 0.030 V. In other words, both the parasitic capacitance and the magnitude of the potential interference showed a reduction effect of about ⅓. The result is the effect on adjacent floating gates in the same word line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a particular floating gate changes from -3V to 2.6V.

본 발명에 따른다면, 동일한 제어게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접한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전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고집적화되면서도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tential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floating gates positioned under the same control gate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flash memory with high integration and stable operation characteristics.

Claims (7)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게이트 산화막 패턴 및 제 1 도전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gate oxide film pattern and a first conductive film pattern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들 사이의 갭 영역 아래의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트렌치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Etch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under the gap region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s to form a trench region defining an active region; 상기 트렌치 영역을 채우고, 적어도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의 상부면까지 연장된 소자분리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illing the trench regions and forming a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extending to at least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의 전면 및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과 인접한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 2 도전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covering an entir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and an edge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adjacent 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 사이의 소자분리막 패턴을 식각하여 오목영역을 형성하는 단계;Etching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to form a concave region; 상기 오목영역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게이트 층간절연막 및 제어게이트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Sequentially forming a gat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a control gate conductiv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sultant product having the concave region formed thereon; And 상기 제어게이트 도전막,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 상기 제 2 도전막 패턴 및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을 가로지르는 제어게이트, 상기 제어게이트와 상기 활성영역 사이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부유게이트 및 상부 부유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 형성방법.Successively patterning the control gate conductive layer, the gat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pattern,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to sequentially stack the control gate crossing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between the control gate and the active region And forming a lower floating gate and an upper floating g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목영역은 적어도 그 하부면이 상기 게이트 산화막 패턴의 하부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셀 형성방법.And wherein the concave region has a lower surface at least low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gate oxid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목영역에서 상기 제어게이트 도전막의 하부면은 적어도 인접한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의 하부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셀 형성방법.And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gate conductive layer in the concave region at least low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adjacent first conductive layer pattern.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에 형성되어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소자분리막 패턴;An isolation layer pattern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o define an active region; 상기 소자분리막 패턴 및 상기 활성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어게이트;A control gate crossing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ctive region; 상기 제어게이트 및 상기 활성영역 사이에 개재되고 차례로 적층된 하부 부유게이트 및 상부 부유게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는 상기 활성영역과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상부 부유게이트는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보다 넓은 폭을 갖는 부유게이트; 및A lower floating gate and an upper floating gate interposed between the control gate and the active region and sequentially stacked, wherein the lower floating gate has the same width as the active region and the upper floating gate is wider than the lower floating gate. Floating gate having; And 적어도 상기 제어게이트 아래에 위치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상부 부유게이트들 사이의 소자분리막 패턴이 리세스되어 형성된 오목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게이트는 상기 오목영역 내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And a recessed region formed by re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between adjacent upper floating gates positioned below the control gate, wherein the control gate extends into the recessed reg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게이트의 하부면은 적어도 인접한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의 하부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And a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gate is at least low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adjacent lower floating g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게이트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상기 제어게이트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게이트 층간절연막 패턴을 더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And a gate interlayer dielectric layer pattern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control gate and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g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하부 부유게이트 및 상기 활성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게이트산화막 패턴을 더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And a gate oxide patter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floating gate and the active region.
KR1020010027290A 2001-05-18 2001-05-18 Flash Memor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598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90A KR100598092B1 (en) 2001-05-18 2001-05-18 Flash Memor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90A KR100598092B1 (en) 2001-05-18 2001-05-18 Flash Memor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554A true KR20020088554A (en) 2002-11-29
KR100598092B1 KR100598092B1 (en) 2006-07-07

Family

ID=2770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290A KR100598092B1 (en) 2001-05-18 2001-05-18 Flash Memor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092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4930B2 (en) 2002-06-19 2005-05-17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6953970B2 (en) 2001-08-08 2005-10-11 Sandisk Corporation Scalable self-aligned dual floating gat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array
US7170786B2 (en) 2002-06-19 2007-01-30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7601588B2 (en) 2004-11-04 2009-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a trench isolat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7745285B2 (en) 2007-03-30 2010-06-29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and operating NAND memory with side-tunneling
US7812375B2 (en) 2003-05-28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833875B2 (en) 2003-05-28 2010-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0085516A (en) * 2019-05-28 2019-08-02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The form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268B2 (en) * 1991-05-10 2000-07-17 ソニー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JP3469362B2 (en) * 1994-08-31 2003-11-25 株式会社東芝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159801A (en) * 1999-04-26 2000-12-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to increase coupling ratio of source to floating gate in split-gate flash
KR100602081B1 (en) * 2003-12-27 2006-07-1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high coupling ratio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3970B2 (en) 2001-08-08 2005-10-11 Sandisk Corporation Scalable self-aligned dual floating gat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array
US7211866B2 (en) 2001-08-08 2007-05-01 Sandisk Corporation Scalable self-aligned dual floating gat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array
US7858472B2 (en) 2001-08-08 2010-12-28 Sandisk Corporation Scalable self-aligned dual floating gat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array
US6894930B2 (en) 2002-06-19 2005-05-17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6898121B2 (en) 2002-06-19 2005-05-24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7170786B2 (en) 2002-06-19 2007-01-30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RE43417E1 (en) 2002-06-19 2012-05-29 SanDisk Technologies, Inc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7833875B2 (en) 2003-05-28 2010-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812375B2 (en) 2003-05-28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184232B2 (en) 2003-05-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263588B2 (en) 2003-05-28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595612B2 (en) 2003-05-28 2017-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847422B2 (en) 2003-05-28 2017-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601588B2 (en) 2004-11-04 2009-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a trench isolat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US7745285B2 (en) 2007-03-30 2010-06-29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and operating NAND memory with side-tunneling
US8248859B2 (en) 2007-03-30 2012-08-21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and operating NAND memory with side-tunneling
CN110085516A (en) * 2019-05-28 2019-08-02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The form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092B1 (en)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055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gate dielectric laye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45065B1 (en) Fin fe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371638B2 (en) Nonvolatile memory cells having high control gate coupling ratios using grooved floating gate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USRE48246E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istor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54149B2 (en) Flash memory devices comprising pillar patter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743960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577565B1 (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n Field Effect Transistor
US20020179962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loating g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618819B1 (en) Semiconductor device attaining improved overlay marg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5237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moving floating body effec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30496B1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forming a recess gate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CN110707083B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649974B1 (en) Flash memory device with recessed floating g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145020A1 (en)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gate insulation layers and semiconductor devices fabricated thereby
KR20050066871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high coupling ratio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98092B1 (en) Flash Memor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655283B1 (e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EPROM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324830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hannel-cut diffusion region in device isola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96550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60130297A (en)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 same
US7300745B2 (en) Use of pedestals to fabricate contact openings
US7071115B2 (en) Use of multiple etching steps to reduce lateral etch undercut
KR100524914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3146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cie
KR20060135291A (en) Method for fabricating storage node contact i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