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437A -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 Google Patents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437A
KR20020082437A KR1020020052867A KR20020052867A KR20020082437A KR 20020082437 A KR20020082437 A KR 20020082437A KR 1020020052867 A KR1020020052867 A KR 1020020052867A KR 20020052867 A KR20020052867 A KR 20020052867A KR 20020082437 A KR20020082437 A KR 2002008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optical
time delay
decod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식
유학
원용협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to KR102002005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437A/ko
Publication of KR2002008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4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05Optical Code Multi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 H04J2203/0092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하는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변 구조를 갖는 부호화/복호화기에 관한 것이다.
부호화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입력된 다 파장 광(혹은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이 파장 역다중화 소자에서 파장별로 분리된 후 하나 혹은 다수 개의 스위치와 시간지연소자의 조합에 의해 각 파장별로 원하는 시간지연을 갖도록 한 후, 파장 다중화 소자에서 다시 하나로 합쳐져 출력됨으로서 파장 및 시간 영역에서 분산을 갖는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복호화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파장 및 시간 영역에서 분산을 갖는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파장 역 다중화 소자에서 파장별로 신호를 분리한 후 광 스위치와 시간지연소자의 조합에 의해 다시 펄스들을 정렬한 후 파장 다중화 소자를 이용하여 하나의 펄스로 만들어 원래의 데이터를 찾아낸다.
본 발명은 많은 스위치와 광 손실을 요구하는 가변 광섬유 시간지연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적은 수의 스위치와 고정된 길이의 광섬유 지연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스위치의 크기와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시간지연소자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전체 가변 부호화/복호화기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장 및 시간 분산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 구현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소자인 가변형 구조의 부호화/복호화기를 광 손실이 적은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있다.

Description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TUNABLE ENCODER/DECODERS FOR OPTICAL CDMA SYSTEMS UTILIZING WAVELENGTH-HOPPING/TIME-SPREADING CODES}
본 발명은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는, 시간영역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가변 광섬유 지연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과, 스펙트럼 상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가변 파장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파장 및 시간 영역에서의 2차원 부호화/복호화를 위하여 AWG 라우터와 가변 광섬유 지연 구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시간 영역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가변 광섬유 지연 구조를 이용한 가변 부호화/복호화기 구조는 광 파워 분배기와 가변 광섬유 지연기, 고정된 길이의 광섬유 지연기, 광 파워 결합기로 구성된다.
펄스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는 광 파워 분배기를 통해 코드 안에서 사용되는 펄스의 개수(코드의 가중치)만큼 분배되고, 분배된 각 펄스는 가변 광섬유 지연기와 고정 광섬유 지연선을 통해 특정 코드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 과정을 거친다.
이후, 분배된 펄스가 광 파워 결합기를 통해 다시 결합되면, 특정 코드에 해당하는 펄스 열을 생성하게 된다(참고 : Jian-Guo Zhang, "Novel Tunable Ultra-High-Speed Optical Fiber Code-Division Multiple-Access Networks for Real-Time Computer Communication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1995, Volume:3, pp. 1322-1326).
2) 스펙트럼 상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가변 파장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SLED와 같은 넓은 스펙트럼 영역을 갖는 광원과 스펙트럼 영역을 일정 구간으로 분리하고, AOTF를 이용하여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특정 구간들만을 여과 및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특정 코드에 해당하는 광 신호를 획득하는 기술을 일컫는다(참고 : I. Hinkov, V. Hinkov, etc., "Feasibility of optical CDMA using spectral encoding by acoustically tunable optical filters", Electronics Letters, Vol. 31 No. 5, Mar. 1995, pp. 384∼386).
3) 끝으로, 시간과 파장영역에서의 2차원 부호화/복호화 방식에서는, N×N AWG 라우터와 가변 광섬유 지연기를 궤환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AWG 라우터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파장에 해당하는 광 펄스가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광 지연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참고 : S. Yegnanarayanan, A.S. Bhushan, etc., "Fast Wavelength-Hopping Time-Spreading Encoding/Decoding for Optical CDMA",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 12 No. 5, May. 2000, pp. 573∼575).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시간 영역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가변 광섬유 지연 구조를 이용한 가변 부호화/복호화기 구조는, 부호화/복호화 영역이 시간 영역에 한정되는 바, 제공 가능한 전체 사용자의 수가 시간/파장 영역을 모두 사용하는 2차원 부호화/복호화 방식에 비해 매우 열악하다는 문제가 있다. 시간 영역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해 가변 광섬유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 코드의 가중치만큼 가변 광섬유 지연기가필요하며, 각각의 가변 광섬유 지연기는 코드 길이에 비례하는 만큼의 2×2 스위치가 필요하다(프라임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프라임 수가 p라고 주어질 때, log2(p)개의 2×2 스위치가 필요하다). 또한, 고정된 광섬유 지연선 또한 코드의 가중치만큼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방식은 필요한 광섬유 지연선과 광 스위치의 수가 많으며, 이로 인한 광 신호의 파워 감소, 신호누화 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스펙트럼 상에서의 부호화/복호화를 위하여 AOTF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상술한 시간 영역에서의 부호화/복호화 방식과 마찬가지로 1차원 코딩이 갖는 사용자의 수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호화/복호화가 이루어지는 영역인 스펙트럼이 광원에 의해 결정되므로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 광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연구되고 있는 광원으로 SLED 혹은 EDFA의 ASE 노이즈 등이 있으나 SLED의 경우 출력 파워가 낮고 EDFA의 ASE 노이즈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가의 광섬유 증폭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 증폭기 자체가 커다란 모듈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모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넓은 파장대역의 광원으로 광섬유 증폭기의 노이즈(noise)를 사용하므로 근본적으로 넓은 파장대역의 광원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시간과 파장영역에서의 2차원 부호화/복호화 방식을 위해 N×N AWG 라우터와 가변 광섬유 지연기를 궤환 구조로 결합하는 구조에서는, 가변 광섬유 지연기 구조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하여 제안된 경우가 전무한 실정이다.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하는 2차원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은 "가변부호화기/고정 복호화기" 혹은 "고정 부호화기/가변 복호화기"와 'star coupler'와 같은 다중접속 매체(media)로 구성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소자가 가변 부호화/복호화기이나 현재까지 현실성 있는 소자가 제안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하는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한 가변 부호화/복호화 소자를 저가의 간단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에 방법들이 너무 많은 소자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능인 가변 기능을 갖지 않는 단점을 극복하도록 한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에 있어서, 소정 광원을 거쳐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상태로 입력포트로 제공되는 다파장 또는 광대역 파장의 광 신호의 경로를 설정하는 서큐레이터와; 서큐레이터에서 경로 설정된 광 신호를 각 파장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수단과; 광 신호가 각 파장 별로 상이한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는 시간 지연 수단과;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 신호를 시간 지연 수단에 스위칭시켜 각 파장 별로 상이한 시간 지연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광 스위칭 수단과; 시간 지연 및 스위칭된 광 신호를 반사시켜 시간 지연 수단으로 재 전송하는 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에 있어서, 소정 광원을 거쳐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상태로 입력포트로 제공되는 다파장 또는 광대역 파장의 광 신호를 각 파장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파장 역다중화 수단과; 임의 코드 내의 각 파장의 블록을 지정해 주는 제 1 시간 지연 수단과; 제 1 시간 지연 수단의 설정 상태에 따라, 파장 역다중화 수단을 통해 분리된 광 신호가 각 파장 별로 제 1 시간 지연 수단을 거치도록 스위칭하는 제 1 광 스위칭 수단과; 임의 코드 내의 각 파장의 블록 내 혹은 블록 범위 안에서의 시간 지연 블록을 지정해 주는 제 2 시간 지연 수단과; 제 2 시간 지연 수단의 설정 상태에 따라, 분리된 광 신호가 각 파장 별로 제 2 시간 지연 수단을 거치도록 스위칭하는 제 2 광 스위칭 수단과; 제 2 광 스위칭 수단을 통해 파장 별로 각기 다른 시간 지연을 갖는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포트로 제공하는 파장 다중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의 상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16 :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
5, 26, 28 : 광 스위치
6, 8, 19, 20, 24, 27 : 지연소자
7 : 광 반사소자
11 : 서큐레이터 (circulator)
23 : 다중화 소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입력된 신호를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주는 파장 역다중화 소자(3, 16)와, 필요한 시간 지연소자(6, 8, 19, 20, 24, 27)를 선택하는 광 스위치(5, 26, 28), 파장에 따라 각각 시간 지연된 펄스들을 하나로 합쳐주는 파장 다중화 소자(3, 23)가 핵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변 부호화/복호화기는 파장 역다중화 소자(3, 16)를 이용하여 각 파장을 분리한 후 광 스위치(5, 26, 28)를 이용하여 각 파장의 광 펄스가 필요한 시간 지연을 얻도록 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
생성하고자 하는 코드의 수가 작은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 하나의 광 스위치(5), 하나의 서큐레이터(11)를 이용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생성하고자 하는 코드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격이 저렴한 여러 개의 광 스위치(26, 28)를 사용하여 전체 가변 부호화/복호화기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서 필요로 하는 시간 지연소자(6, 8, 19, 20, 24, 27)의 수 또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 스위치(5, 26, 28)는 빠르게 동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가의 광 스위치(수십 mili-second 이상의 스위칭 속도를 가져도 무방함)를 사용하여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prime-hope code(참고 : L. Tancevski, I. Andonovic, etc.,"Hybrid wavelength hoping/time spread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IEE Proc.-Optoelectron., Vol. 143, No. 3, June 1996, pp. 161∼166)를 사용하는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변 부호화/역다중화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하나의 광 스위치(5)를 적용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M×N 광 스위치(5) 1개와 N개의 시간 지연소자(6), 1개의 1×M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 1개의 서큐레이터(11)가 필요하다.
여기서, M은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장의 수이고, N은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지연의 경우의 수이다. 그리고, N은 (P(P-1)+1)의 크기를 갖고 P는 하나의 코드를 구성하는 펄스 개수를 의미한다.
반면, 2개의 광 스위치(26, 28)를 사용하는 도 2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M-1)×(P-1) 광 스위치(26, 28)와 2(P-1)개의 시간 지연소자(19, 20, 24, 27), 2개의 1×M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16, 23)로 구현되어 N과 M이 큰 시스템에서는 가변 부호화/복호화기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광 스위치(5, 26, 28)의 상태 변화만으로 부호화기와 복호화기를 병행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호화기에서는 파장 별로 부호화기와 반대의 시간지연 과정(부호화기에서 짧은 시간지연을 준 파장은 긴 시간지연을 주고 반대로 부호화기에서 긴 시간지연을 준 파장은 짧은 시간지연을 줌으로서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에서의 시간지연의 합이 코드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을 설정함으로써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변 부호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복호화기를 사용하고, 반대로 고정된 부호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변 복호화기를 사용한다.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의 동작원리가 같으므로 여기서는 부호화기의 동작원리만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로서, 하나의 광 스위치(5),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 시간 지연소자(6, 8), 광 반사소자(7), 서큐레이터(11)를 포함한다.
먼저,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하는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선정된 파장 및 시간분산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광 스위치 제어 테이블을 만든다. 그리고, 광 스위치(5)는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도시 생략된 광 스위치 제어기에서 미리 입력된 스위치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 설정을 수행한다. 본 가변 부호화기에 입력되기 위한 신호는 광원을 거쳐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상태로 입력포트(1)로 제공된다.
입력포트(1)로 제공된 여러 파장으로 구성된 혹은 넓은 파장 대역의 신호는 광 신호 흐름(2)에 따라 서큐레이터(11)를 경유하여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로 입력된다.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는 여러 파장 혹은 넓은 파장 대역의 빛을 각 파장별로 분리하여 광섬유(4, 9)를 통해 광 스위치(5)로 출력한다.
그리고, 광 스위치(5)로 제공된 출력 광을 광 스위치(5)의 설정 상태에 따라각 파장 별로 상이한 시간 지연소자(6, 8)를 거치게 한 후, 광 반사소자(7)에서 반사시켜 다시 한번 더 시간 지연소자(6, 8)를 거치게 함으로써, 반사광이 광 스위치(5),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를 경유하도록 한다.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소자(3)를 경유한 광 신호는 서큐레이터(11)를 통해 방향이 전환되고, 전환된 광 신호 흐름(13)은 출력포트(12)로 제공됨으로써 파장/시간 퍼짐을 갖는 부호화된 코드가 출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로서, 2개의 광 스위치(26, 28), 파장 다중화 소자(23), 파장 역다중화 소자(16), 시간 지연소자(19, 20, 24, 27)를 포함한다.
먼저,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하는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선정된 파장 및 시간분산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광 스위치(26, 28)를 위한 제어 테이블을 생성한다. 그리고, 광 스위치(26, 28)는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도시 생략된 광 스위치 제어기에서 미리 입력된 스위치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 설정을 수행한다. 본 가변 부호화기에 입력되기 위한 신호는 광원을 거쳐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상태로 입력포트(14)로 제공된다.
입력포트(14)로 제공된 여러 파장으로 구성된 혹은 넓은 파장 대역의 신호는 광 신호 흐름(15)에 따라 파장 역다중화 소자(16)로 입력된다. 파장 역다중화 소자(16)는 여러 파장 혹은 넓은 파장 대역의 빛을 각 파장별로 분리하여 제 1 광스위치(28)로 출력한다.
제 1 광 스위치(28)로 입력된 광은 제 1 광 스위치(28)의 설정 상태에 따라, 각 파장 별로 분리된 빛이 코드 구성 블록을 지정하는 제 1 시간 지연소자(19, 27)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각 코드내의 각 시간 블록으로 전송된다. 즉, 제 1 광 스위치(28)와 제 1 시간 지연소자들(19, 27)은 코드 내에서 각 파장의 빛이 위치할 블록을 지정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시간 지연 블록을 갖게 된 각 신호들은 제 2 광 스위치(26)로 입력된다. 제 2 광 스위치(26)와 제 2 시간 지연소자들(20, 25)은 각 블록 안에서 각 펄스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간지연을 갖지 않는 펄스는 광 스위치들(26, 28)을 우회하는 광섬유 경로(18)를 통해 입력 파장 역다중화 소자(16)에서 출력 파장 다중화 소자(23)로 직접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되지 않는 파장은 더미(dummy) 출력라인(25)을 통해 버려지게 된다.
이렇게 파장별로 각기 다른 시간지연을 갖게 된 펄스들은 파장 다중화 소자(23)에서 다중화되고, 다중화된 광 신호 흐름(21)은 출력포트(22)로 제공됨으로써 파장/시간 퍼짐을 갖는 부호화된 코드가 출력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가변 부호화/복호화기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수가 많은 경우에도 도 2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사용되는 시간지연소자의 수를 줄이고('prime-hop code'의 경우 시간지연소자의 수가 (P(P-1)+1)에서 2(P-1)로 줄어든다. 여기서, P는 코드를 구성하는 펄스의 수이다.), 광 스위치 크기를 줄여서(prime-hop code의 경우 M×(P(P-1)+1) 광 스위치 1개에서 (M-1)×(P-1) 광 스위치 2개로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 가능), 좀 더 적은 비용으로 가변 부호화/복호화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반도체 박막이나 폴리머 박막의 도파로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칩으로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일칩(one-chip)으로 집적화가 가능하다.

Claims (6)

  1.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에 있어서,
    소정 광원을 거쳐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상태로 입력포트로 제공되는 다파장 또는 광대역 파장의 광 신호의 경로를 설정하는 서큐레이터와;
    상기 서큐레이터에서 경로 설정된 광 신호를 각 파장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수단과;
    상기 광 신호가 각 파장 별로 상이한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는 시간 지연 수단과;
    상기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시간 지연 수단에 스위칭시켜 각 파장 별로 상이한 시간 지연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광 스위칭 수단과;
    상기 시간 지연 및 스위칭된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시간 지연 수단으로 재 전송하는 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큐레이터는, 상기 광 반사 수단 및 상기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을 경유한 광 신호를 출력포트로 방향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위칭 수단은, 임의의 신호 입력 전에 사전 입력된 스위치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4.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에 있어서,
    소정 광원을 거쳐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상태로 입력포트로 제공되는 다파장 또는 광대역 파장의 광 신호를 각 파장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파장 역다중화 수단과;
    임의 코드 내의 각 파장의 블록을 지정해 주는 제 1 시간 지연 수단과;
    상기 제 1 시간 지연 수단의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파장 역다중화 수단을 통해 분리된 광 신호가 각 파장 별로 상기 제 1 시간 지연 수단을 거치도록 스위칭하는 제 1 광 스위칭 수단과;
    상기 임의 코드 내의 각 파장의 블록내 혹은 블록 범위 안에서의 시간 지연 블록을 지정해 주는 제 2 시간 지연 수단과;
    상기 제 2 시간 지연 수단의 설정 상태에 따라, 분리된 광 신호가 각 파장별로 상기 제 2 시간 지연 수단을 거치도록 스위칭하는 제 2 광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2 광 스위칭 수단을 통해 파장 별로 각기 다른 시간 지연을 갖는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포트로 제공하는 파장 다중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부호화/복호화기는,
    시간 지연을 갖지 않는 광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광 스위칭 수단을 우회하여 상기 파장 역다중화 수단에서 상기 파장 다중화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 스위칭 수단은, 임의의 신호 입력 전에 사전 입력된 스위치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스위치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KR1020020052867A 2002-09-03 2002-09-03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KR20020082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867A KR20020082437A (ko) 2002-09-03 2002-09-03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867A KR20020082437A (ko) 2002-09-03 2002-09-03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437A true KR20020082437A (ko) 2002-10-31

Family

ID=2772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867A KR20020082437A (ko) 2002-09-03 2002-09-03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24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26B1 (ko) * 2002-08-27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스위치형 광 cdma에서의 양극성 신호 전송장치
KR100840920B1 (ko) * 2004-08-23 2008-06-24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광부호 다중 통신 방법, 광부호 다중 통신 시스템, 부호화 장치 및 복호 장치
KR100908239B1 (ko) * 2006-12-06 2009-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통과/결합 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oadm노드에서의 채널 통과/결합 방법
KR20220076612A (ko) * 2020-12-01 2022-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훑음 광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941A (en) * 1996-02-29 1998-06-02 Ric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ing bipolar codes
JP2001086070A (ja) * 1999-09-14 2001-03-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cdma逆拡散復調器
US6292282B1 (en) * 1998-08-10 2001-09-18 Templex Technology, Inc. Time-wavelength multiple acc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1257658A (ja) * 2000-01-06 2001-09-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dma変復調装置、cdma通信システム、および、wdm・cdma共用通信システム
JP2002141889A (ja) * 2000-11-01 2002-05-17 Kddi Corp 光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の送受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941A (en) * 1996-02-29 1998-06-02 Ric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ing bipolar codes
US6292282B1 (en) * 1998-08-10 2001-09-18 Templex Technology, Inc. Time-wavelength multiple acc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1086070A (ja) * 1999-09-14 2001-03-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cdma逆拡散復調器
JP2001257658A (ja) * 2000-01-06 2001-09-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dma変復調装置、cdma通信システム、および、wdm・cdma共用通信システム
JP2002141889A (ja) * 2000-11-01 2002-05-17 Kddi Corp 光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の送受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26B1 (ko) * 2002-08-27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스위치형 광 cdma에서의 양극성 신호 전송장치
KR100840920B1 (ko) * 2004-08-23 2008-06-24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광부호 다중 통신 방법, 광부호 다중 통신 시스템, 부호화 장치 및 복호 장치
KR100908239B1 (ko) * 2006-12-06 2009-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통과/결합 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oadm노드에서의 채널 통과/결합 방법
KR20220076612A (ko) * 2020-12-01 2022-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훑음 광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291B1 (en) MEMS-based optical bench
JP2001112034A (ja) クロス接続交換機及びその実現方法
EP1099321A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KR100399049B1 (ko) 고속 파장 선택기와 그를 이용한 고속 광자 집적 회로형공간 및 파장 다중 채널 선택 장치
JP2000244459A (ja) 光ファイバ通信システム用の再構成可能な合流/分岐
US8699883B2 (en) Variable spectral phase encoder/decoder based on decomposition of hadamard codes
KR20020082437A (ko) 파장 및 시간 분산을 이용한 광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의 가변 광 부호화/복호화기
Huang et al. Novel multicode-processing platform for wavelength-hopping time-spreading optical CDMA: A path to device miniaturization and enhanced network functionality
KR101032218B1 (ko) 광학 코드를 동시 발생 및 처리하기 위한 광학 장치
KR100371138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시스템의 다채널 광 송신신호 발생장치
EP1434374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for optical metropolitan networks
EP12664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
JP4809802B2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及び光クロスコネクトシステム及び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における信号制御方法
JP334209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0332693A (ja) 波長多重光源
JPH0293436A (ja) 波長選択性空間スイッチ
JP4029515B2 (ja) 波長変換器及び波長変換装置
Kwong et al. All-serial coding architecture for ultrafast optical code-division multiple-access
JP3450763B2 (ja) ループミラーを利用した多波長光バッファ
JP2008259132A (ja) 光クロスコネクトシステム及び光クロスコネクト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制御方法
Lam 2n prime-sequence codes for incoherent asynchronous optical fiber code-division multiple-access networks
JP3219034B2 (ja) 光分岐挿入装置および光ゲートスイッチ
Zhang Novel tunable ultra-high-speed optical fiber code-division multiple-access networks for real-time computer communications
JP3117006B2 (ja) 光波長セレクタ及び波長多重光ネットワーク
CN1374775A (zh) 全光高比特率复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01

Effective date: 200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