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313A -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313A
KR20020079313A KR1020010029750A KR20010029750A KR20020079313A KR 20020079313 A KR20020079313 A KR 20020079313A KR 1020010029750 A KR1020010029750 A KR 1020010029750A KR 20010029750 A KR20010029750 A KR 20010029750A KR 20020079313 A KR20020079313 A KR 2002007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xxxx
terminal means
url
yy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우
김명석
Original Assignee
이영우
김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김명석 filed Critical 이영우
Publication of KR2002007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31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 is an electronic mail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stituting a domain and an E-mail address using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elect information freely by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using a domain comprising character, numeral, and function key which are easily recognized by a user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browse. CONSTITUTION: A URL is inputted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browser(S10). A main server of a communication company receives the inputted UR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forwarding server(S20). The URL received in the forwarding server is forwarded to a corresponding path, and the forwarded URL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of the communication company(S30).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contents supplying server of the corresponding path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ing URL received in the main server(S40). Requested corresponding contents are finally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ain server of the communication company(S50).

Description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및 전자메일주소 구성방법{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브라우저가 탑재된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무선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브라우저의 URL표시란에 기재하는 도메인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URL표시란에는 도메인 네임, 구분수단 및 확장자를 입력하되, 구분수단은 이동 단말수단의 키패드에 있는 # 또는 닷(.)으로 하고, 전자메일주소 입력시 전자메일주소는 아이디, 제 1 구분자, 도메인 네임, 제 2 구분자 및 확장자로 표시하되, 제 1 구분자는 이동 단말수단의 키패드에 있는 * 또는 @으로 하고, 제 2 구분자는 이동 단말수단의 키패드에 있는 # 또는 닷(.)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main configuration method described in a URL display field of a browser for accessing a desired wireless content providing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means equipped with a browser. In particular, the URL display field includes a domain name, a division means, and an extension. Enter the identification means by # or dot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and when entering the e-mail address, the e-mail address is indicated by ID, first delimiter, domain name, second delimiter and extension. The first separator is * or 있는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and the second separator is # or dot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일반적인, 유선인터넷의 접속방법은 개인 데스크탑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한 후 웹 브라우저의 URL표시란에 특정 홈페이지를 가리키는 주소를 기재하여 접속한다.In general, a wired Internet connection method is performed by starting a web browser in a personal desktop environment and entering an address indicating a specific homepage in a URL display field of the web browser.

이때, 특정 홈페이지를 가리키는 주소를 도메인(Domain)이라 칭하며, 이러한 체계는 기본적으로 복잡한 인터넷의 숫자 주소(IP)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낸 접속방법 체계이다.At this time, an address pointing to a specific homepage is called a domain, and this system is basically an access method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recognize a complex IP address of the Internet.

즉, 도메인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입력하면, 웹 브라우저는 입력된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other words, when a domain is entered through a web browser, the web browser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IP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domain.

이러한 유선인터넷의 접속 방법은 해당 홈페이지의 성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홈페이지의 주소를 기억해 낼 수 있어 인지도를 가지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The connection method of the wired Internet can be categoriz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page can be easily understood, or the user can easily remember the address of the homepage and is widely used with recognition.

월드-와이드-웹(WWW) 형식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경우, 도메인은 홈페이지를 특정할 수 있는 이름인 도메인 네임(domain-name)과 홈페이지의 성격을 나타내는 확장자, 그리고 도메인 네임과 확장자를 구분하는 구분수단으로 이루어진다.When accessing the World Wide Web (WWW) type homepage, the domain is a domain-name, a name for identifying the homepage, an extens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page, and a means of distinguishing the domain name from the extension. Is done.

이에 반해 입력키 수의 제한을 받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망은 사용의 급증과 달리 독점적 인지도를 갖는 접속방법이 부재하며, 이로인해 각 무선망사업자별로 다수의 접속 방법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어서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terminals, which are limited in the number of input keys, do not have access methods with exclusive recognition, unlike the surge in usage. It is becoming.

더욱이 유선인터넷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홈페이지의 주소를 직접 기입하여 접속하는 능동적인 접속체계인 반면, 현재의 무선망 정보 습득 체계는 무선망 사업자에 의한 수동적인 정보 열람에 불과하다.Moreover, in the wired Internet, the user is an active access system in which the user directly enters the address of the desired homepage and accesses it, whereas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s only passive information reading by the wireless network operator.

즉, 무선망사업자가 선정한 컨텐츠가 무선단말기의 스크린으로 열거되고 이를 사용자가 방향키 등을 활용하여 선택하여 제한적으로 정보를 습득하게 하는 체계이다.In other words,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wireless network operators are enumerat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user selects the contents using the direction keys and the like and acquires limited information.

물론, 이러한 단방향 체계는 무선망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점차 없어지겠지만 현시점에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체계의 무선망에 적절히 호응하는 접속 체계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Of course, such a one-way system will gradually disappear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network technology, but at this time, the access system that properly responds to the wireless network of the system in which the user can actively access the homepage is still insignificant.

공지된 접속방법으로 각 홈페이지마다 특정의 코드를 부여하여 접속시 코드를 상기하거나 코드집을 찾아 접속하는 코드부여법이 있다.As a known connection method, there is a code granting method for recognizing a code at the time of access by providing a specific code to each homepage or searching for a code book.

하지만 숫자나 의미 없는 문자의 나열로 이루어진 코드는 사용자가 기억하기에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당 홈페이지의 코드를 코드집에서 찾아내는 데에상당한 번거러움을 수반한다.However, code consisting of a sequence of numbers or meaningless characters is not only easy for the user to remember, but also involves a lot of trouble in finding the code of the home page in the code book.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기 용이하며 원하는 홈페이지에 능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무선망 접속법의 대두가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can actively access a desired homep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브라우저가 탑재된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무선망 접속시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문자, 숫자 및 기능키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홈페이지에 능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정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 무선망상의 도메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browser, the user accesses using a domain consisting of letters, numbers, and function keys that ar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us the us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figuring a domain on a wireless network that can be actively connected to the desired homepage so that a user can freely select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 있는 숫자, 문자 및 기능키만을 조합하여 도메인을 구성할 수 있게 하여 광범위하게 공급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교체 없이 무선망과 접속이 가능한 도메인 구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main configuration metho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without replacing the mobile terminal that is widely supplied by a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by combining only the numbers, letters and function keys i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망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for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메인 구성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Figure 3 is an embodiment showing a domain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메인 구성방법을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이다.Figure 4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domain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메인네임 입력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5 is an embodiment showing a domain nam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메인네임 입력방법을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이다.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domain nam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 단말수단 20 : 통신회사 메인서버10: mobile terminal means 20: 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30 : 포워딩 서버 40 : 컨텐츠 제공서버30: forwarding server 40: content providing server

50 : PC 사용자 A,F : 도메인 네임50: PC user A, F: domain name

B : 구분수단 C,H : 확장자B: Classification means C, H: Extension

D : 아이디 E : 제 1 구분자D: ID E: First Identifier

F : 제 2 구분자 A-1,A-2 … : 하위 도메인F: second separator A-1, A-2... : Subdoma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라우저가 탑재된 이동 단말수단(10)에 URL를 입력하는 단계(S10)와, 입력된 URL 정보를 통신회사 메인서버(20)가 수신받아 포워딩 서버(30)로 송신하는 단계(S20)와, 상기 포워딩 서버(30)에 수신된 URL를 해당 경로로 포워딩한 후 포워딩된 URL을 다시 통신회사 메인서버(20)로 송신하는 단계(S30)와, 상기 통신회사 메인서버(20)에 수신된 포워딩 URL에 따라 이동 단말수단(10)을 해당 경로의 컨텐츠 제공서버(40)에 연결하는 단계(S40)와, 요청된 해당 컨텐츠를 다시 통신회사 메인서버(20)를 거쳐 이동 단말수단(10)에 최종적으로 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ep (S10) of inputting the URL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is equipped with a browser, the 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receives the input URL information forwarding server 30 Transmitting the received URL to the forwarding server 30 in a corresponding path, and then transmitting the forwarded URL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again (S30);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to the contents providing server 40 of the corresponding path according to the forwarding URL received by the main server 20 (S40), and the requested contents again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Finally providing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through the step (S50).

또한, 상기 URL의 구성은 도메인 네임(A), 구분수단(B) 및 확장자(C)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수단(B)은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닷(.) 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URL includes a domain name (A), a division means (B) and an extension (C), wherein the division means (B) is a dot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

또한, 상기 도메인 네임(A)이 다수의 하위 도메인 네임(A-1,A-2, …)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위 도메인 네임(A-1,A-2, …) 사이의 구분수단을 닷(.) 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omain name A includes a plurality of subdomain names A-1, A-2, ..., the division means between the subdomain names A-1, A-2, ... Do it with a dot (.).

또한, 상기 URL의 구성은 도메인 네임(A), 구분수단(B) 및 확장자(C)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수단(B)은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 로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URL includes a domain name (A), a division means (B) and an extension (C), the division means (B) is set to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또한, 상기 도메인 네임(A)이 다수의 하위 도메인 네임(A-1,A-2, …)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위 도메인 네임(A-1,A-2, …) 사이의 구분수단을 # 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omain name A includes a plurality of subdomain names A-1, A-2, ..., the division means between the subdomain names A-1, A-2, ... #

또한, 상기 포워딩 서버(30)는 이동 단말수단(10)으로 입력된 XXXX#YYY가 수신되면 XXXX.YYY/mobile/...로, 혹은 mobile.XXXX.YYY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the forwarding server 30 forwards to XXXX.YYY / mobile / ... or mobile.XXXX.YYY when the XXXX # YYY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is received.

또한, 상기 포워딩 서버(30)는 이동 단말수단(10)으로 입력된 XXXX 또는 #XXXX가 수신되면 mobile.XXXX.YYY로, 혹은 XXXX.YYY/mobile/...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the forwarding server 30 forwards to mobile.XXXX.YYY or XXXX.YYY / mobile / ... when the XXXX or #XXXX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is received.

또한, 상기 포워딩 서버(30)는 이동 단말수단(10)으로 입력된 XXXX(스페이스)YYY가 수신되면 mobile.XXXX.YYY로, 혹은 XXXX.YYY/mobile/...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the forwarding server 30 forwards to mobile.XXXX.YYY or XXXX.YYY / mobile / ... when XXXX (space) YYY inputted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is received.

또한, 상기 URL 입력방식은 먼저 이동 단말수단(10)의 URL 입력 스크린을 통해 도메인네임을 입력한 후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확장자를 선택한다.In addition, the URL input method first inputs the domain name through the URL input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then selects a preset extension.

또한, 상기 URL 입력방식은 먼저 이동 단말수단(10)의 URL 입력 스크린을 통해 도메인네임을 입력한 후 다음행에 확장자를 입력한다.In addition, the URL input method first inputs the domain name through the URL input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then enters the extension in the next line.

또한, 상기 URL입력방식으로 도메인네임 및 확장자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한 포워딩서버(30)가 mobile.XXXX.YYY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when a domain name and extension are input as the URL input method, the forwarding server 30 receiving the domain name forwards the message to mobile.XXXX.YYY.

또한, 상기 URL입력방식으로 도메인네임 및 확장자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한 포워딩서버(30)가 XXXX.YYY/mobile/...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when the domain name and extension are input by the URL input method, the forwarding server 30 receiving the domain name forwards to XXXX.YYY / mobile / ....

또한, 전자메일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수단를 이용하여 무선망에 접속하고 전자메일 서비스를 받기 위해 상기 전자메일 프로그램에 전자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전자메일주소 구성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in the e-mail address configuration method of inputting an e-mail address into the e-mail program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and receiving an e-mail service by using a mobile terminal means having an e-mail program,

상기 입력되는 전자메일주소는 아이디(D), 제 1 구분자(E), 도메인 네임(F), 제 2 구분자(G) 및 확장자(H)로 표시되며, 상기 제 1 구분자(E)는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 으로 하고, 상기 제 2 구분자(G)는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 로 한다.The input e-mail address is represented by an ID (D), a first delimiter (E), a domain name (F), a second delimiter (G), and an extension (H), and the first delimiter (E) is a mobile terminal. * On the keypad of the means 10, and the second delimiter G is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또한,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망에 접속하고 전자메일 서비스를 받기 위해 상기 전자메일 프로그램에 전자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전자메일주소 구성방법에 있어서,In addition, in the e-mail address configuration method of inputting an e-mail address into the e-mail program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means and receiving an e-mail service,

상기 입력되는 전자메일주소는 아이디(D), 제 1 구분자(E), 도메인 네임(F), 제 2 구분자(G) 및 확장자(H)로 표시되며, 상기 제 1 구분자(E)는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으로 하고, 상기 제 2 구분자(G)는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닷(.)으로 한다.The input e-mail address is represented by an ID (D), a first delimiter (E), a domain name (F), a second delimiter (G), and an extension (H), and the first delimiter (E) is a mobile terminal. @ on the keypad of the means 10, and the second delimiter G is the dot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무선망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for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즉,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모빌폰,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수단(10)과, 상기 이동 단말수단(10)의 스크린에 URL이 입력되면 이를 수신받는 통신회사 메인서버(20)와, 상기 통신회사 메인서버(20)로부터 제공된 URL의 경로를 포워딩하는 포워딩서버(30)와, 상기 포워딩서버(30)에 의해 포워딩된 경로를 따라 연결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40)로 구성된다.That is, a network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includes a mobile terminal means 10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the like, and a main company 20 for receiving a URL when a URL is input to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Forwarding server 30 for forwarding the path of the URL provided from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when connected along the path forwarded by the forwarding server 30 It is composed of

이 방식은 무선망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포워딩 서버(30)가 통신회사 메인서버(20)를 거쳐 계약된 이동 단말수단(10)과 컨텐츠 제공서버(40)를 중계 연결하는 것이다.In this method, the forwarding server 30 operated by the wireless network operator relays the contracted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40 via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이러한 접속 방식을 통해 이동 단말수단(10)의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40)에 접속 가능하고 그로 인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다.Through this access metho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can access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40 and thereby receive the desired content.

한편, 통신회사 메인서버(20)는 기존의 유선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PC사용자(50)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may be connected to the existing wired Internet network to enable the connection with the PC user 50.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을 도 2와 함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configuring a domain using the mobile terminal mean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이동 단말수단(10)을 소지한 사용자는 무선망 환경을 충족하는 브라우저를 이동 단말수단(10)의 디스플레이 액정상에 구동시킨다.First, a user having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drives a browser that satisfies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on the display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이때, 브라우저에는 특정 홈페이지의 IP를 특정할 수 있는 URL표시란이 있는데, 사용자는 이 URL표시란에 특정 홈페이지의 IP를 특정하는 도메인을 기재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browser has a URL display field for specifying the IP of the specific homepage, and the user may enter a domain for specifying the IP of the specific homepage in the URL display field.

이 경우에 도메인을 기재할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제공서버의 IP를 직접 기입하여 접속할 수 있고, 이러한 능동적인 접속법으로 사용자가 정보를 자유롭게 습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omain is described,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and enter the I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desir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freely acquire information through this active connection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메인 구성방법을 나타낸 것이다.3 illustrat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dom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기존의 유선인터넷 상에서의 도메인 구성체계이며, 도 3(b)는 기존의 전자메일 서비스시의 도메인 구성이다.FIG. 3 (a) shows a domain structure on the existing wired Internet, and FIG. 3 (b) shows a domain structure on the existing e-mail service.

도 3(c)는 무선망 접속할 경우의 도메인 구성 체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d)는 전자메일 서비스시의 도메인 구성 체계를 도시한 것이다.FIG. 3 (c) shows a domain configuration scheme when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and FIG. 3 (d) shows a domain configuration scheme for an e-mail service.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선인터넷 상의 도메인 구성 체계는 서버(40)를 특정하는 도메인 네임과 서버(40)의 성격을 나타내는 확장자와 도메인 네임과 확장자를 구분하는 닷(.)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유선 인터넷상의 닷(.) 체계를 무선망에서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a), the domain configuration system on the wired Internet is composed of a domain name specifying the server 40 and an extension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er 40 and a dot separating the domain name and the extension. do.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t (.) System on the wired Internet can be applied as it is in a wireless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도메인 구성법은 도 3(c)에 도시한 것과 같이, URL표시란에 특정 홈페이지의 도메인 네임(A), 구분수단(B) 및 확장자(C)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기재하며, 상기 구분수단(B)을 이동 단말수단의 키패드에 있는 # 을 사용하여 도메인을 구성한다. 즉, 기존 유선인터넷의 닷(.)을 # 으로 대치하여 사용한다.In addition, the domain configu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c), describes the domain consisting of the domain name (A), the classification means (B) and the extension (C) of the specific homepage in the URL display field, The division means (B) forms a domain using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In other words, the dot (.) Of the existing wired Internet is replaced with #.

이것은 일차적으로 기존 이동 단말수단(10)의 기능키로서의 #을 도메인 네임(A)과 확장자(C)의 구분수단(B)으로 사용하여 무선망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 장비의 교체 없이 무선망에 접속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is primarily uses # as a function key of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means 10 as a distinguishing means (B) of a domain name (A) and an extension (C) to access the wireless network without replacing a separate device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network. Is to make this possible.

결론적으로, 기존 유선인터넷에서의 닷(.)을 그대로 채용하거나 또는 #으로 대체하여 구성함으로써 무선망으로 접속한다는 식별역할도 할 수 있다.In conclusion, the dot (.) In the existing wired Internet can be adopted as it is or replaced with # to identify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network.

도 4는 도 3(c)의 도메인 네임이 다수의 하위 도메인 네임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의 도메인 구성법을 나타내는 방법이다.FIG. 4 illustrat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domain when the domain name of FIG. 3 (c) includes a plurality of subdomain name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메인 네임(A)이 다수의 하위 도메인 네임(A-1,A-2, …)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위 도메인 네임(A-1)과 하위 도메인(A-2) 사이에 의 구분수단 # 을 사용하여 도메인을 구성한다. 이 역시 기존 유선인터넷의 닷(.)을 # 으로 대치하여 사용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domain name A includes a plurality of subdomain names A-1, A-2, ..., the subdomain name A-1 and the subdomain A-2. The domain #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is is also used by replacing the dot (.) Of the existing wired Internet with #.

한편,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존의 전자메일주소 체계는, 특정 개인의 이름에 해당하는 아이디(ID), 도메인 네임 및 확장자로 이루어지며, 아이디와 도메인 네임사이는 엣트(@)을, 도메인 네임과 확장자 사이는 닷(.)을 구분자로 사용하여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b), the existing e-mail address system is composed of an ID (ID), domain name and extension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a specific individual, between the ID and the domain name (@) Is constructed between the domain name and the extension with a dot (.) As the separator.

본 발명은 도 3(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자메일 주소의 체계는 아이디(D), 제 1 구분자(E), 도메인 네임(F), 제 2 구분자(G) 및 확장자(H)로 표시되며, 제 1 구분자는 이동 단말수단의 키패드에 있는 * 로 하고, 상기 제 2 구분자는 이동 단말수단의 키패드에 있는 # 을 사용하여 도메인을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d), the e-mail address system includes an ID (D), a first delimiter (E), a domain name (F), a second delimiter (G), and an extension (H). The first delimiter is denoted by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and the second delimiter forms a domain using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즉, 기존의 유선인터넷에서의 전자메일 주소 체계에 엣트(@)를 * 으로, 닷(.)을 # 으로 대체하여 구성한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composed by replacing '(@)' and '(') with # in the email address system of the existing wired Internet.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외에 도 5와 같이 이동 단말수단(10)의 스크린에서기존 URL입력란에 확장자없이 도메인 네임만을 입력한 후 다음 단계에서 확장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shown in FIG. 5, only the domain name without an extension is input in the existing URL input fiel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then the extension can be selected in the next step.

또는, 도 6과 같이 기존 URL입력란에 도메인네임만을 입력한 후 다음 행에서 확장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after inputting only a domain name in an existing URL input field, an extension may be input in a next line.

어째든 상기와 같은 방법들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수단(10)의 스크린에 URL을 입력한 후 송신키를 누르면 통신회사 메인서버(20)로 URL 정보가 송신된다(S10).In any case, when the user inputs a URL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presses a transmission key, the UR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mmunication company 20 (S10).

상기 통신회사 메인서버(20)는 해당 이동 단말수단(10)으로부터 URL 정보를 수신받은 후 다시 포워딩 서버(30)로 URL 정보를 송신한다(S20).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transmits the URL information to the forwarding server 30 after receiving the URL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S20).

상기 포워딩 서버(30)에 URL 정보가 수신되면 포워딩 서버(30)는 해당 경로를 지정하는 포워딩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When the URL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forwarding server 30, the forwarding server 30 performs a forwarding operation for designating a corresponding path.

예컨데, 상기 포워딩 서버(30)는 도메인정보가 "korea#com"로 수신되면 korea.com/mobile/..로, 혹은 mobile.korea.com으로 포워딩한다.For example, when the domain information is received as "korea # com", the forwarding server 30 forwards to korea.com/mobile/ .. or mobile.korea.com.

또한, 상기 포워딩 서버(30)는 도메인정보가 "korea" 또는 "#korea"로 수신되면 마찬가지로 korea.com/mobile/..로, 혹은 mobile.korea.com으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when the domain information is received as "korea" or "#korea", the forwarding server 30 forwards to korea.com/mobile/ .. or mobile.korea.com.

또한, 상기 포워딩 서버(30)는 도메인 기재시 "." 대신에 " " 같은 스페이스로 대체할 수도 있다. 즉, 도메인정보가 "korea(space)com"으로 수신되면 역시 마찬가지로 korea.com/mobile/..로, 혹은 mobile.korea.com으로 포워딩한다.In addition, the forwarding server 30 is a domain name "." Alternatively, you can substitute a space, such as "". That is, when the domain information is received as "korea (space) com" also forwards to korea.com/mobile/ .. or mobile.korea.com.

위와같이 상기 포워딩 서버(30)에 의해 포워딩되어 해당 경로가 지정되면, 지정된 IP정보를 다시 통신회사 메인서버(20)에 송신한다(S30).If the corresponding path is forwarded by the forwarding server 30 as described above, the designated IP information is transmitted again to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S30).

계속해서, 상기 통신회사 메인서버(20)는 이동 단말수단(10)을 포워딩된 경로에 의해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연결해준다(S40).Subsequently, the 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server 40 by the forwarded path (S40).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4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통신회사 메인서버(20)를 통해 이동 단말수단(10)에 제공해준다(S50).Therefo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40 provide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20 (S5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convers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무선망 접속시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문자, 숫자 및 기능키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홈페이지에 능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선택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a wireless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means by using a domain consisting of letters, numbers, and function keys that are easy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us is active on the homepage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nected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user's choice of information.

또한, 이동 단말수단의 사용자들을 위한 도메인 체계를 위해 별도로 단말기 버튼을 만들 필요가 없다. 즉, 단말기 표준화에 따른 막대한 시간, 비용적인 낭비와 불확실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make terminal buttons separately for the domain system for users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In other words, it can prevent a huge amount of time, cost and uncertainty due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이동단말기에 있는 숫자, 문자 및 기능버튼 만을 조합하여 도메인을 구성할 수 있게 하여 광범위하게 공급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교체 없이 무선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한 도메인 구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omain configuration metho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without replacing the mobile terminal is widely supplied by a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main by combining only the numbers, letters and function buttons i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have.

Claims (10)

브라우저가 탑재된 이동 단말수단에 URL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URL into a mobile terminal means equipped with a browser; 입력된 URL 정보를 통신회사 메인서버가 수신받아 포워딩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input URL information by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and transmitting the forwarding server; 상기 포워딩 서버에 수신된 URL를 해당 경로로 포워딩한 후 포워딩된 URL을 다시 통신회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Forwarding the URL received by the forwarding server to the corresponding path and transmitting the forwarded URL back to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상기 통신회사 메인서버에 수신된 포워딩 URL에 따라 이동 단말수단을 해당 경로의 컨텐츠 제공서버에 연결하는 단계와,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mean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f the corresponding path according to the forwarding URL received by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요청된 해당 컨텐츠를 다시 통신회사 메인서버를 거쳐 이동 단말수단에 최종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And finally providing the requested contents back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main ser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서버는 이동 단말수단으로 입력된 XXXX#YYY가 수신되면 XXXX.YYY/mobile/...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ing server forwards to XXXX.YYY / mobile / ... when XXXX # YYY received as the mobile terminal means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서버는 이동 단말수단으로 입력된 XXXX#YYY가 수신되면 mobile.XXXX.YYY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ing server forwards mobile.XXXX.YYY when XXXX # YYY received as the mobile terminal means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서버는 이동 단말수단으로 입력된 XXXX 또는 #XXXX 가 수신되면 mobile.XXXX.YYY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ing server forwards mobile.XXXX.YYY when XXXX or #XXXX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서버는 이동 단말수단으로 입력된 XXXX 또는 #XXXX가 수신되면 XXXX.YYY/mobile/...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warding server forwards to XXXX.YYY / mobile / ... when XXXX or #XXXX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서버는 이동 단말수단으로 입력된 XXXX(스페이스)YYY가 수신되면 mobile.XXXX.YYY 또는 XXXX.YYY/mobile/...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rwarding server forwards to mobile.XXXX.YYY or XXXX.YYY / mobile / ... when XXXX (space) YYY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is received. How to configure your doma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RL입력방식은 이동 단말수단의 스크린을 통해 도메인네임을 입력한 후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확장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RL input method inputs a domain name through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means and then selects a preset exten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RL입력방식은 URL 입력스크린을 통해 도메인네임을 입력한 후 다음행에 확장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RL input method comprises inputting a domain name through a URL input screen and inputting an extension on a next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RL은 도메인 네임(A), 구분수단(B) 및 확장자(C)를 포함하며, 상기 구분수단(B)은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닷(.)으로 하고, 상기 도메인네임(A) 및 확장자(C)가 이동 단말수단에 입력되면 이를 수신한 포워딩서버에 의해 XXXX.YYY/mobile/... 또는 mobile.XXXX.YYY로 포워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도메인 구성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L includes a domain name (A), a discriminating means (B) and an extension (C), wherein the distinguishing means (B) is a dot (.)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when the domain name A and the extension C are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ns, the forwarding server receives the domain name A and the extension C to forward XXXX.YYY / mobile / ... or mobile.XXXX.YYY. Domain configuration method using the terminal means.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망에 접속하고 전자메일 서비스를 받기 위해 상기 전자메일 프로그램에 전자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전자메일주소 구성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constructing an e-mail address for inputting an e-mail address into the e-mail program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means and receiving an e-mail service, 상기 입력되는 전자메일주소는 아이디(D), 제 1 구분자(E), 도메인 네임(F), 제 2 구분자(G) 및 확장자(H)로 표시되며, 상기 제 1 구분자(E)는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으로 하고, 상기 제 2 구분자(G)는 이동 단말수단(10)의 키패드에 있는 닷(.)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수단을 이용한 전자메일주소 구성방법.The input e-mail address is represented by an ID (D), a first delimiter (E), a domain name (F), a second delimiter (G), and an extension (H), and the first delimiter (E) is a mobile terminal. The second delimiter (G) is a dot on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means (10),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 e-mail address using the mobile terminal means.
KR1020010029750A 2001-04-13 2001-05-29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KR2002007931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12 2001-04-13
KR1020010019812A KR20010067997A (en) 2001-04-13 2001-04-13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13A true KR20020079313A (en) 2002-10-19

Family

ID=197082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812A KR20010067997A (en) 2001-04-13 2001-04-13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KR1020010029750A KR20020079313A (en) 2001-04-13 2001-05-29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812A KR20010067997A (en) 2001-04-13 2001-04-13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67997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997A (en)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227B2 (en) Numeric/voice name Internet access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KR1005886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lected service by displaying numbers and strings corresponding to inputted buttons
US20020016174A1 (en) Use of telephone numbers as domain names and as appli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20019374A (en)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ng a Wireless Internet Using Combination of Number
US20070257888A1 (en) Adaptive text input mod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346150B1 (en) Data input·output system on web-page using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7577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searching on wireless internet
JP3903843B2 (en) Regional proper noun dictionary receiv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5595252B2 (en) Cooperation support apparatus, program, cooperation support method, cooperation support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0380865C (en) IP protocal telephone device, method of initial setting of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390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net Site Connection In Internet Phone
US20040080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to devices using numeric input
KR100621194B1 (en) Method for retrieving record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CN101626628B (en) Digital number and web address mapping and pushing system
US20030191647A1 (en) Method &amp; system for managing web pages, and telecommunications via multilingual keywords and domains
KR20010035059A (en) Internet address system using number and the method therefor
KR20020079313A (en) A method for making-up Domain and e-mail address using mobile terminal
KR20010044092A (en) method of using electronic card based on mobile
KR20030020101A (en) Method For Performing A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Using A Shortcut Mark In Wireless Terminal And Its Apparatus
KR100434647B1 (en) Method and apparauts for supply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 network
KR20020018523A (en) System for Shortcut Connecting a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JP2006244171A (e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0200847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internet search and connection using numeric inputs
KR101195741B1 (en) Call system using name
KR20050094707A (en) Mobile phone for communicating a using of a multi-communication id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