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166A -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166A
KR20020079166A KR1020010019886A KR20010019886A KR20020079166A KR 20020079166 A KR20020079166 A KR 20020079166A KR 1020010019886 A KR1020010019886 A KR 1020010019886A KR 20010019886 A KR20010019886 A KR 20010019886A KR 20020079166 A KR20020079166 A KR 20020079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vehicle
voice
unit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근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이용근
이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근, 이강수 filed Critical 이용근
Priority to KR102001001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166A/en
Publication of KR2002007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16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cars is provided to perform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of other car and a driver by using a Bluetooth module, thereby implementing exact communication between drivers without another base stations or repeaters. CONSTITUTION: A microphone(152) located in a car dashboard(150) inputs a voice of a driver. A speaker(154) outputs a voice signal inputt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of other car as an audible sound. A voice signal processor(120) converts voice signals inputted/outputted from the microphone(152) and the speaker(154) into digital/analog signals. A wireless unit(110) wirelessly transmits voice data supplied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120) to communication devices of other peripheral cars, and supplies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other peripheral cars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120). A controller(140) controls operations of each unit.

Description

차량간 통신 장치{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간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간에 운전자의 음성 및 해당 차량의 각종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도록 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device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a driver's voice and various driving states of a vehicle between vehicles.

주행중 차량 운전자들간에 기본적인 의사전달은 각종 표시등이나 전조등의 점멸 및 경적음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주변 차량 운전자에게 길을 물어 볼 때나 각종 응급 사항 등을 알릴 때에는 창문을 열거나 하여 손짓이나 음성으로 의사 전달을 하게 된다.Basic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drivers while driving is achieved by flashing lights and horns. In addition, when the driver of the surrounding vehicle asks for directions or informs of various emergencies, a window is opened to communicate by hand gestures or voice.

그런데, 이러한 의사 전달은 그 상세한 또는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교통 사고의 위험도 있게 된다.However, such communication is not only difficult to convey the detailed or exact meaning, but also the risk of a traffic accident.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동행하는 특정 차량들의 경우에, 카폰과 같은 미리 약속된 무선 기기를 장착하여, 이를 통해 의사 전달을 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송회사 차량 등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특정 회사나 특정 업무에 종사하는 운전자간에 해당 회사나 업무의 필요에 의해 채용되는 것이 보통이어서 임의의 운전자에게 의사 전달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물론 임의의 운전자가 그러한 무선 시스템을 자차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비용 면 및 활용면에서 효용성이 없었다.According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ccompanying specific vehicl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be equipped with a pre-promised wireless device, such as a car phon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has been applied to a transport company vehicle. However,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typically employed by a particular company or a driver engaged in a specific task due to the need of the company or task, there is a limit to communicate to any driver. Of course, any driver may have such a wireless system in his vehicle, but it has not been useful in terms of cost and utility.

또한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셀룰러 폰, 개인 휴대폰)를 이용하여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차량 운전자가 상대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 또한 임의 운전자에게 자유로이 통신하는데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상기 통신은 1:1로만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a vehicle driver to communicate using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or a personal mobile phone) possessed by the vehicle driver. Be aware of the numbers, which also limited the freedom to communicate freely to any driver. Also,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is usually only 1: 1.

더욱이 상기한 카폰이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도로변에 이동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기지국(일명 노변 기지국)들이 일정 간격으로 미리 구비되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전체 시스템 구축에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e system using the car phone or the wireless terminal, the base stations (also called roadside base stations) for relaying mobile communication on the roadside are often required to be provided in advance at regular interval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의 임의의 차량 운전자에게 정확한 의사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간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that enables accurate communication to any vehicle driver in the vicin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중계기나 기지국 같은 시설의 구비 없이 차량간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without the provision of a separate repeater or base sta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변의 다수의 차량 운전자 모두에게 간단히 의사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간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that enables simple communication to all of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 driver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간 통신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와, 스피커와, 마이크 및 스피커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 블루투스 포맷으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하며, 무선 수신된 신호를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각 기능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으로 운전자 음성을 차량간 무선 통신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comprising: a microphone, a speaker, a voice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input or output from the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a voice signal processor. Th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Bluetooth format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the Bluetooth module converts a wirelessly received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 unit coll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채용한 차량간의 무선 통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between vehicles employ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se specific details may be chang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 계기판(150)의 적정 부위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52)와,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54)와, 상기 마이크(152) 및 스피커(154)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등과 같은 신호 처리를 하는 음성신호처리부(120)와, 음성신호처리부(120)에서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주위의 다른 임의의 차량의 통신 장치로 무작위적으로 무선 전송하며,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에서 무선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로 제공하는 무선부(110)와,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portion of a vehicle dashboard 150 to receive a driver's voice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another vehicle's communication device as an audible sound. A voice signal processor 120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such as a digital / analog conversion on a speaker 154, the microphone 152 and a voice signal input or output from the speaker 154, and a voice signal processor 120 The wireless unit 110 randomly wirelessly transmits the voice data provided from) to a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around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voice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20. And a controller 140 that collectiv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unit.

또한 상기 통신 장치는 동작 온/오프를 운전자로부터 조작 받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70)를 구비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170)는 차량 계기판(150)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오프 스위치(170)의 조작 신호는 상기 제어부(140)에 제공되며, 제어부(140)는 이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통신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변환기(미도시) 등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n on / off switch 170 for receiving operation on / off from the driver. The on / off switch 170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nstrument panel 150 or the like.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n / off switch 170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40, and the controller 140 accordingly operates the device. Control on / off.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preferably operates with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and is provided with a power convert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and converting the same into operating power.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서 상기 무선부(110)는 일 실시예로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부(110)의 구성 및 동작을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reless unit 110 may be configured using a Bluetooth module as an embodiment, and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using the Bluetooth modul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unit 110 using the Bluetooth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먼저, "블루투스(bluetooth)"는 스웨덴의 에릭슨(Ericsson)(사)에 의해서 전문적인 통신 코드로 정의된 것으로서, 최근 무선 통신 개발 추세에 따라 점차 소형및 휴대성을 강조하는 장치간의 통신 및 사무기기 간의 복잡한 연결 케이블을 제거케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휴대 가능한 컴퓨터와 통신장치의 사용모델을 최적화한 기술적 특성을 정의하였으며, 또한 저비용, 견고함, 능률, 고용량 특히 음성과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었다.First, "bluetooth" is defined as a professional communication code by Ericsson of Sweden, and communication and office equipment between devices that emphasizes the compactness and portability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elopment. It provides the basis for eliminating complicated connecting cables between the two. Bluetooth has defined technical characteristics that optimize the usage model of portable computers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is specifically designed to provide low cost, robustness, efficiency, and high capacity, especially voice and data networking.

블루투스를 채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시스템은 통상 10미터 이내에 위치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등의 통신 장치간에 무선링크를 통하여 음성(voice) 및 데이터(data)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채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상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스터(master)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슬레이브(slave)들로 구성되며,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음성 및 데이터의 전송 주체에 따라 역할이 바뀌게 된다.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Bluetooth can transmit voice and data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link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desktops located within 10 meters.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Bluetooth is generally composed of a master for transmitting voice and / or data and a plurality of slaves for receiving voice and / or data. The role changes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subject.

블루투스에 제안된 무선링크방식의 세부 전송규격은 정보의 보안과 간섭으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 무선장치는 소형의 마이크로 칩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장치들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세계적으로 통신호환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인 2.4GHz대역에서 동작하게 되어 있다. 블루투스 규격에는 두개의 전력레벨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중 저전압레벨은 실내 정도의 거리 이내에서만 동작 가능케 규정한 것이고, 고전압레벨은 집안 전체에서 동작이 가능케 규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고전압 레벨에서 동작함이 바람직하다.The detailed transmission standard of the wireless link method proposed for Bluetooth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the information and protecting it from interference. In addition, since the Bluetooth wireless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ll microchip, it can be easily coupled to communication devices and operates in the 2.4GHz band, which is a globally compatible frequency band. The Bluetooth standard defines two power levels, of which the low voltage level specifies that it can only operate within a distance of the room, and the high voltage level specifies that it can operate throughout the hous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odule preferably operates at a high voltage level.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와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point-to-multipoint) 접속을 모두 지원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차량에 장착되는 통신 장치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마스터로 동작한다.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supports both point-to-point and point-to-multipoint connections. In the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each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odule operates as a master.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한 블루투스 표준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간은 HCI(Host Control Interface)라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고 이에 준하는 메시지(packet)를 주고받음으로써 제어 명령과 이의 결과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HCI 패킷은 커맨드(command), 이벤트(event), 데이터(data) 패킷으로 구분되며, 이들 중 커맨드 패킷은 블루투스 모듈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60여가지의 명령어를 제공한다.The Bluetooth module is a module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Bluetooth standard. The Bluetooth module has an interface called HCI (Host Control Interface) defined and sends and receive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Send and receive results and user data. The HCI packet is divided into a command, an event, and a data packet. Among them, the command packet provides about 60 commands to variously utilize the Bluetooth modul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부(110)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HCI 패킷으로 변환하여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로 무선 전송하며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HCI 패킷 데이터를 원래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로 제공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wireless unit 110 using the Bluetooth modul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voice data output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20 into an HCI packet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a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And converts the HCI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into the original voice data and provides the converted voice data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120.

이러한 무선부(110)는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HCI 데이터 패킷을 무선 송수신하는 RF송신부(112) 및 RF수신부(116)와, RF송신부(112) 및 RF수신부(116)에서 송수신되는 되는 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기저대역처리부(114)와, 내부에 동작 프로그램 저장용 롬 및 각종 데이터 저장용 램 등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블루투스 제어부(118)로 구성된다.The radio unit 110 modulates and demodulates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RF transmitter 112 and the RF receiver 116 and the RF transmitter 112 and the RF receiver 116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HCI data packets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14 and the Bluetooth control unit 118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dule is provided with a memory such as operation program storage ROM and various data storage RAM therein.

한편, 블루투스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동작 모드가 규정되어 있는데, 이에는 통신을 연결하기 전에 주변 블루투스 장치의 어드레스를 알아내는 조회(inquiry) 모드와, 주변 블루투스 장치간의 기저대역측에서의 연결 설정 동작을 하는페이징(paging) 모드와, 데이터 전송 모드 및 어느 정도의 시간 동간 슬리프(sleep)하는 홀드 모드 등이 있다.Meanwhile, various operation modes are defined in the Bluetooth system, which includes an inquiry mode in which an address of a peripheral Bluetooth device is determined before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a paging for connection setting operation at the baseband side between peripheral Bluetooth devices. ) Mode, data transfer mode, and hold mode to sleep for some time.

본 발명에 따른 차량간 통신 장치의 무선부(110)는 상기 조회 모드를 통해 주변 차량의 통신 장치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을 식별하며, 상기 페이징 모드 및 데이터 전송 모드를 통해 주변 차량들과 통신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간 통신 장치는 해당 운전자 차량 주위에 있는 임의의 차량 운전자 모두에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페이징 모드시에 특정한 하나의 차량의 통신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만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방식으로 주변의 다수 차량의 통신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하여 통신한다.The wireless unit 110 of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Bluetooth modul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surrounding vehicle through the inquiry mode, and communicates with the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the paging mode and the data transmission mode. do. At this time,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to any vehicle driver around the driver vehicle, it is possible to connect, only connect the Bluetooth modul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one particular vehicle in the paging mode Rather than a point-to-multipoint method, the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a Bluetooth module of a communication device of a plurality of vehicles in the vicinity.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간 통신 장치의 동작을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채용한 차량간의 무선 통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n operation of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between vehicles employ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근처 차량(220, 230, 240, 250)의 운전자에게 길을 물어 보거나 할 경우에,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210)의 통신 장치의 온/오프 스위치(170)를 온 상태로 조작한 두고 말을 하게 된다. 운전자의 음성은 마이크(152)를 통해 음성신호처리부(120)에 제공되며, 음성신호처리부(120)에서 디지털 처리되어 무선부(110)로 제공된다. 무선부(110)는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블루투스 포맷으로 변환하여 근처 차량(220, 230, 240, 250)의 통신 장치로 무선 송신하게 된다. 근처 차량(220, 230, 240, 250)의 통신 장치는 송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가청음으로 해당 운전자에 출력하며, 각 차량의 운전자의 응답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다시 무선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이용한 차량간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driver of the nearby vehicle 220, 230, 240, or 250 asks for directions, the driver speaks while operating the on / off switch 17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f his vehicle 210 in the on state. Done. The driver's voice is provid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or 120 through the microphone 152, and is digitally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120 to be provided to the wireless unit 110. The wireless unit 110 converts the received voice data into a Bluetooth format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data to a communication device of a nearby vehicle 220, 230, 240, or 250.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arby vehicles 220, 230, 240, and 250 outputs the received voice data through the speaker to the corresponding driver as an audible sound, and wirelessly transmits data about the response voice of the driver of each vehicle. According to this op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무선부(110)를 이용한 차량간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량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변형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에는 차량의 경적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wireless unit 110 may be modified to transmit various inter-vehicle signals as well as the user's voice.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horn signal of a vehicle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be visually displayed to a driver of another vehicle.

통상적으로 위급시나 긴급 사항을 알리기 위하여 운전자는 경적기를 조작하여 경적을 울려 주위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게 되는데, 최근 들어 날로 증가하는 도심 소음과 그에 따른 차량 방음성의 향상과 더불어 경적의 울림이 다른 차량에게 잘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차량의 경적이 울렸음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구성을 추가로 가진다.In general, in order to inform an emergency or emergency, the driver operates the horn to sound the horn to give attention to the driver of the surrounding vehicle. There is a case where it is not communicated well.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configuration that visually informs the driver of another vehicle that the horn of the vehicle is sounded.

그러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계기판(1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발광 램프 등으로 구성되는 경적 표시등(156)과, 경적 표시등(156)을 구동하기 위한 경적 표시등 구동부(130)를 구비하며, 제어부(140)는 차량 경적기(160)의 조작 신호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instrument panel 150, and the horn indicator 156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lamp or the like, and the horn indicator driver 130 for driving the horn indicator 156.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140 is configured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of the vehicle horn 160.

상기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경적기(160) 조작이 있는 경우를 확인하면 경적이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무선 신호를 다른 차량으로 송신하며, 다른 차량의 통신장치에서 무선 송신된 경적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경적 표시등(156)이 발광하도록 상기 경적 표시등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주위에 있는 어떠한 차량에서 경적이 울렸음을 상기 경적 표시등(156)의 발광을 통해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신 장치간에 무선 송수신되는 경적 신호는 블루투스의 HCI 명령어 규격 중 정의되지 않고 남겨진 부분을 활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a radio signal to another vehicle indicating that the horn is input when the driver's horn 160 is operated, and when the horn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other vehicle, the horn The indicator light 15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rn indicator driver 130 to emit light. Accordingly, the driv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at the horn indicator 156 emits a horn in any vehicle around. In this case, the horn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set by using an undefined part of the HCI command specification of Bluetooth.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간 무선 통신 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can be made between the vehicle-to-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an be.

예를 들어, 상기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20) 내에는(또는 외에는) 음성인식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인식기(121)는 무선부(110)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출력된 문자 데이터는 차량 계기판(150) 부근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운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문자를 눈으로 보면서 주위 차량의 운전자의 말을 문자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back to FIG. 1, a voice recognizer 121 may be provided in (or outside of) the voice signal processor 120. The voice recognizer 121 recognizes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wireless unit 110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text data, and outputs the text data. The output text data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near the vehicle instrument panel 150. The display unit 180 is output to the screen. The driver can check the words of the drivers of the surrounding vehicles by text while looking at the text output on the display unit 180.

이와 같이 여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 may be many different embodiments as such,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와 운전자의 음성을 무선 통신함을 가능하게 하므로,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기의 구비 없이 간단히 주변에 있는 임의의 차량 운전자 모두에게 정확한 의사 전달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driver's vo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using a Bluetooth module. It can be delivered.

Claims (6)

차량간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와,A voice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 input or output voice signal;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를 무선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임의의 다른 차량으로 무작위적으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임의의 다른 차량으로부터 무작위적으로 무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부와,Converts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nd randomly wirelessly transmits to any other vehicle, and a signal capable of processing the signal randomly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other vehicle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Wireless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llectively control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functional uni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발광 램프를 이용한 경적 표시등과,Horn light using a light emitting lamp, 상기 경적 표시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구비하며,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horn indicator light, 상기 제어부는 차량 경적기의 조작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경적기의 조작이 있는 경우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적 신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로부터 경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적 표시등이 발광하도록 상기 경적 표시등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장치.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vehicle horn and checks if there is an operation of the horn, and controls to wirelessly transmit a preset hor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unit, and when the hor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of another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rn indicator driver so that the horn indicator emits l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부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인식부와,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voice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unit and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text data;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문자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장치.And an additional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text data output from the voice recognition unit to a scree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동작 온/오프를 운전자로부터 조작 받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추가로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장치.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on / off switch for receiving operation on / off from a driver. 차량간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발광 램프를 이용한 경적 표시등과,Horn light using a light emitting lamp, 상기 경적 표시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horn indicator light, 상기 입력 데이터를 무선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임의의 다른 차량으로 무작위적으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임의의 다른 차량으로부터 무작위적으로 무선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복원하여 출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무선부와,A wireless unit which converts the input data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nd randomly wirelessly transmits it to any other vehicle, and restores the signal randomly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other other vehicle to generate output data;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차량 경적기의 조작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경적기의 조작이 있는 경우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적 신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다른 차량의 통신 장치로부터 경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적 표시등이 발광하도록 상기 경적 표시등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장치.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unit as a whole, and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vehicle horn to check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the horn to control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reset hor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unit, the communication of other vehicle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horn indicator driving unit to emit the horn indicator when the hor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동작 온/오프를 운전자로부터 조작 받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추가로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장치.6.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on / off switch for receiving operation on / off from a driver.
KR1020010019886A 2001-04-13 2001-04-13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KR20020079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86A KR20020079166A (en) 2001-04-13 2001-04-13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86A KR20020079166A (en) 2001-04-13 2001-04-13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66A true KR20020079166A (en) 2002-10-19

Family

ID=2770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886A KR20020079166A (en) 2001-04-13 2001-04-13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16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685B1 (en) * 2002-11-08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lematics system and the oil station guide method thereof
CN105408944A (en) * 2013-07-22 2016-03-16 因特立维森技术公司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video cloud services
EP3567582A1 (en) * 2018-05-09 2019-11-13 Volkswagen AG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sound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9347A1 (en) * 1999-04-27 2000-11-02 Robert Bosch Gmbh A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a mobile phone, and a corresponding kit
KR20000072747A (en) * 2000-09-23 2000-12-05 표정용 Wireless hands-free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25661A (en) * 2001-01-15 2001-04-06 황치권 Earphone type hands free using bluetooth module
KR20010076344A (en) * 2000-01-21 2001-08-11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Vehicle interaction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9347A1 (en) * 1999-04-27 2000-11-02 Robert Bosch Gmbh A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a mobile phone, and a corresponding kit
KR20010076344A (en) * 2000-01-21 2001-08-11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Vehicle interaction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72747A (en) * 2000-09-23 2000-12-05 표정용 Wireless hands-free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25661A (en) * 2001-01-15 2001-04-06 황치권 Earphone type hands free using bluetooth modu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685B1 (en) * 2002-11-08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lematics system and the oil station guide method thereof
CN105408944A (en) * 2013-07-22 2016-03-16 因特立维森技术公司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video cloud services
EP3567582A1 (en) * 2018-05-09 2019-11-13 Volkswagen AG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sound data
US11636840B2 (en) 2018-05-09 2023-04-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sound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9614C (en) Different mobile radiotelephones are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he interface module of the control member in the automobile
JP2006101507A (en) Bidirectional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KR20090024532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environment data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ering environment data using the same
CN101162542A (en) System for prompting passenger arriving the station
US20060190170A1 (en)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CN101600009A (en) Control device of wireless and have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of this control device
KR20020079166A (e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KR20070006128A (en) Dualized telematics system
KR100780184B1 (en) Get off system for vehicle using bluetooth and method sameof
JP2001285463A (en) On-vehicle device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terminal
JP286513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158688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JPH06104826A (en) Radio telephone set
JP2008300960A (en) Car-mounted radio device
KR100723361B1 (en)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ar
EP1838047B1 (en) Reciprocal identification between communications devices implement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CN211606811U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 car
JP2003283420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laying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KR100641047B1 (en) Universal serial bus hands free system for car
KR100594053B1 (en) How to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phone is released from the wireless earphone in the mobile phone operating the Bluetooth wireless earphone
KR20020043791A (en) System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vehicle bluetooth communication
KR101929464B1 (en) Vibration system for bluetooth equipment with portable terminal upon disconnecting and the device thereof
KR20120123847A (en) System for Pedestrian Guidance based on Proximity
JP4551314B2 (en) Wireless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andse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andset of a wireless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andsets
KR20050076513A (en) Telematics terminal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