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295A -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295A
KR20020078295A KR1020010018610A KR20010018610A KR20020078295A KR 20020078295 A KR20020078295 A KR 20020078295A KR 1020010018610 A KR1020010018610 A KR 1020010018610A KR 20010018610 A KR20010018610 A KR 20010018610A KR 20020078295 A KR20020078295 A KR 2002007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cklight
keypad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295A/en
Publication of KR2002007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29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light of a key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o decrease the current consumption of a battery and increase the use time of a terminal by selectively backlighting only a frequently used key portion without backlighting portions not used frequently. CONSTITUTION: IF a function key unit is set as a backlight unit to be initially turned on(S22), a luminescent element circuit of the function key unit is driven(S23). If a numerical key unit is set as a backlight unit to be initially turned on(S22), a luminescent element unit of the numerical key unit is driven(S24). If a key of the numerical key unit is p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function key unit is backlighted(S25), the luminescent element circuit of the numerical key unit is driven for backlighting the numerical key unit(S26). If a key of the function key unit is p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numerical key unit is backlighted(S25), the luminescent element circuit of the function key unit is driven for backlighting the function key unit(S27).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패드의 백라이트를 용도에 따라 개별 제어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말기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technolog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keypad backlight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by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backlight of the keypad according to the use and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행자 위주의 장치로 휴대와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그 크기에 제한을 받으며 소비자의 취향 역시 소형 단말기를 더욱 선호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mited to its size in order to make it easy to carry and move with a pedestrian-oriented device, and consumer preferences also prefer a small terminal.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를 해야 한다는 특성상 무한정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시간 또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으로 한정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limitation in that power cannot be supplied indefinitely due to the nature of carrying, the use time is also limited to the time during which the battery power is supplied.

따라서, 사용전원이 한정되어 있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배터리의 소모를 최대한 감소시켜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by using a battery having a limited power source, a battery having a large capacity should be installed or battery consumption should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그러나, 단말기 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이즈가 큰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에는 점점 소형화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는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when a large battery is installed in order to prolong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it does not meet the needs of users who are getting smaller. Therefore, a lot of efforts are being made by the developer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전원소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기능중 하나에는 어두운 장소나 밤에 키조작을 불편없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의 배경 조명 기능이 있으며, 키패드(Keypad)나 엘씨디(LCD)의 백라이트(BACKLIGHT) 기능이 여기에 해당된다.In general, one of the functions that consumes the most power in the terminal is a backlight function of the terminal for the convenience of key operation at a dark place or at night, and the backlight of the keypad or LCD (LCD) ( BACKLIGHT) function.

그 중에서 특히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패드 백라이트 설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the keypad backlight set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 follows.

일단, 백라이트 설정 종류에는 "항상 켜짐", "항상 꺼짐", "10초후 꺼짐", "30초후 꺼짐", "플립/폴더 오픈시 켜짐"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이때 상기 꺼지는 시간은 사용자가 아무런 키를 누르고 있지 않을 때의 대기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키를 누를 경우 그 시간은 계속해서 연장된다.First, there are various backlight setting types such as "always on", "always off", "off after 10 seconds", "off after 30 seconds", "on when flip / folder open", etc. It means the waiting time when is not pressed. If you press the key, the time is continuously extended.

도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구동회로도로서 키패드 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키패드 전체가 고루 조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병렬 연결된 8개의 발광소자(LED1∼LED8)와; 상기 발광소자(LED1∼LED8)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제어소자(Q1)와;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LED1∼LED8)의 밝기를 제어하는 전류제한 소자(R1)로 구성된다.1 is a keypad backlight driving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ight light emitting elements (LED1 to LED8) connected in parallel to be distribu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ack of the keypad so that the entire keypad is evenly illuminated; A control element Q1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LED1 to LED8; The current limiting element R1 controls the flow of current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LED1 to LED8.

이에 따라,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미도시)는 백라이트시에 상기 제어소자(Q1)를 턴온시킴으로써, 발광소자(LED1∼LED8)를 모두 턴온시켜 조명을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terminal turns on the control element Q1 at the time of backlight, thereby turning on all the light emitting elements LED1 to LED8 to illuminate.

즉, 상기 제어소자(Q1)의 컬렉터는 병렬 연결된 발광소자(LED1∼LED8)의 캐소드측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는 중앙처리장치(미도시)의 한 포트에 연결되어 '하이' 또는 '로우'신호의 입력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된다.That is, the collector of the control element Q1 is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LED1 to LED8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base thereof is connected to one port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so that 'high' or 'low' It is 'turned on' or 'turned off' depending on the input of the signal.

이때, 제어소자(Q1)의 에미터에 연결된 전류제한 소자(R1)는 저항값이 높을 경우 전류의 흐름이 적게 되어 발광소자의 밝기를 낮추고, 저항값이 낮을 경우 전류의 흐름이 많게되어 발광소자의 밝기를 높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current limiting element R1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control element Q1 has a low current flow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high, which lower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increases the current flow when the resistance value is low. To increase the brightness.

그러나, 상기 도1과 같은 구성에서는 각 발광소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모든 발광소자가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제어소자(Q1)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기 때문에, 일부분의 키만을 이용할 경우에도 키패드 전체를 조명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모되어 단말기의 사용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it is not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each light emitting element, and all light emitting element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urned on or off by one control element Q1. Since the entire keypad is illuminated, unnecessary current is consumed, which shortens the usage time of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키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백라이트시키고,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백라이트를 시키지 않음으로써,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감소시켜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selectively backlit only the key part mainly us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does not turn on the unnecessary part, so that the current of the batter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pad backligh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duce the consumption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구동회로도.1 is a keypad backlight driving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보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키패드 백라이트를 키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보인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keypad backlight according to the key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환경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cklight configu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4의 과정에 의해 백라이트 환경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백라이트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순서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backlight in a state where a backlight environment is set by the process of FIG. 4; FI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발광소자를 키패드 후면에 배치하여 키패드 백라이트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키패드 상에서 그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의 키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소정개씩을 한 그룹으로 설정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각 발광소자 그룹을 각각 구동시킬 수 있?? 하는 구동부와; 사용자의 백라이트 환경설정 및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 오픈에 의한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 keypad backlight by plac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on the back of the keypa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he use of the key of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rranged on the keypa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predetermined number to a group so as to be selective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Can each of the groups of light emitting elements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be driven? A driv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y detecting a user's backlight environment and using the terminal by flipping or opening a folder.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발광소자를 키패드 후면에 배치하여 키패드 백라이트를 수행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키패드 상에서 그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의 키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소정개씩을 한 그룹으로 설정하여 각각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백라이트 환경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 오픈시 키패드의 특정 키부분에 위치한 발광소자 그룹만을 턴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on the back of the keypad to perform the keypad backlight,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of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rranged on the keypad Each of the predetermined circuits is provided with a driving circuit, and according to the user's backlight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group located at a specific key portion of the keypad can be turned 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flipped or the folder is opened. do.

또한, 본 발명은 키의 용도에 따라 소정개씩을 한 그룹으로 설정한 발광소자를 키패드 후면에 배치하여 키패드 백라이트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그룹을 키의 용도에 따라 백라이트부를 구분하고, 사용자가 백라이트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키 입력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초기 디폴트로 턴온시킬 백라이트부를 설정 및 각종 선택사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사항 설정에 의해 단말기의 플립/폴터 오픈시 초기 백라이트부로 설정된 발광소자 그룹이 턴온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 keypad backlight by arrangi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set in a group by a gro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to the back of the keypad,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When the user inputs a menu key for setting the backlight environment, the backlight unit to be turned on by defa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nd various options are displayed, and when the flip /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by setting the options, The light emitting device group set as the backlight unit may be turned 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배터리 소모 전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키패드 백라이트를 키의 용도별로 개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ates to a method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keypad backlight for each use of the key for efficient use of battery consumption current.

즉, 키패드 백라이트를 위한 발광소자를 키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소정개씩(본 실시예에서는 키패드 후면에 배치해야할 발광소자의 수가 8개라고 할 때, 그 이하의 개수로 2개 또는 4개를 의미함) 배치하고, 키의 입력이 있을 때 어떠한 용도의 키를 사용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용도의 키패드 조명을 위해 배치된 발광소자를 선택적으로 턴온시켜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each predetermined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for keypad backlight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in this embodiment, whe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to be arranged on the back of the keypad is eight,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should be 2 or less). 4) and determine the purpose of the key to be used when there is a key input, and selectively turn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for the keypad light of the purpose to consume current of the batte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살펴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뉴호출이나 커서이동을 위한 기능키(SEND, END, CLR 등)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키(0∼9)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when looking at the keypad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ure 2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function key (SEND, END, CLR, etc.) for the menu call or cursor movement and the numeric key (0 to 9) for telephone number input have.

보통 단말기에서 메시지 확인이나 전화번호 검색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숫자키가 아닌 기능키만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숫자키 부분에는 조명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In general, when checking messages or searching phone numbers on a terminal, only function keys are used, not numeric keys. 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to illuminate the numeric keys.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처음 통화를 하는 경우나 새 전화번호를 등록할 때를 제외하고는 숫자키보다는 기능키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most users use more function keys than numeric keys except when making a first call or registering a new phone number.

숫자(또는 문자)키는 일반적으로 키패드의 중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며 기능키는 상단에 위치한다.Numeric (or character) keys are usually located at the bottom or bottom of the keypad, and function keys are located at the top.

따라서, 키패드 백라이트를 위한 발광소자를 기능키용과 숫자키용으로 구분하여, 키패드의 상단과 중,하단에 나누어 배치하고 각 구분 배치한 발광소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하여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억제한다는 것이다.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evices for the keypad backlight are divided into function keys and numeric keys, and are arranged at the top, middle, and bottom of the keypad, and connect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separately, thereby suppressing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will be.

예를 들어, 키패드 전체에 배치할 발광소자의 개수가 8개일 경우에 기능키부분에 4개의 발광소자를 배치하고, 숫자키 부분에 4개의 발광소자를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elements to be arranged in the entire keypad is eight, four light emitting elements may be arranged in the function key portion and four light emitting elements may be arranged in the numeric key portion.

상기와 같이 배치한 4개씩의 발광소자는 각각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동회로에 의해 발광소자의 수를 나누어 제어함으로써, 기능키 부분만 사용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a)와 같이 인에이블 신호(BACKLIGHT_EN1)를 '하이'로 하고, 인에이블 신호(BACKLIGHT_EN2)는 '로우'로 설정하여 기능키 부분의 발광소자만 턴온시키고, 그 반대로 숫자키 부분만 사용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b)와 같이 인에이블 신호(BACKLIGHT_EN1)를 '로우'로 하고, 인에이블 신호(BACKLIGHT_EN2)를 '하이'로 설정하여 숫자키 부분의 발광소자만 턴온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four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is controlled by dividing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elements by the basic driving circuit as shown in FIG. 3, so that when only the function key portion is us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as shown in (a). The enable signal BACKLIGHT_EN1 is set to 'high' and the enable signal BACKLIGHT_EN2 is set to 'low' so that only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function key portion is turned on. On the contrary, when only the numeric key portion is used, the controller (not shown) As shown in (b), the enable signal BACKLIGHT_EN1 is set to 'low' and the enable signal BACKLIGHT_EN2 is set to 'high' so that only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numeric key portion is turned on, there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

그럼,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백라이트 제어방법을 도4 및 도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n, the backlight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4 and 5.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환경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백라이트 환경설정을 위해 메뉴키(미도시)를 누르면, 단말기의 LCD 창(미도시)에는 백라이트 환경설정을 위한 각종 선택사항들이 디스플레이된다(S11).Firs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cklight environment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when a user presses a menu key (not shown) to set the backlight environment, an LCD window (not shown) of the terminal is shown. Various options for setting the backlight environment are displayed (S11).

이때 상기 선택사항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백라이트 설정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항상 켜짐", "항상 꺼짐", "10초후 꺼짐", "30초후 꺼짐", "플립/폴더 오픈시 켜짐" 등) 들을 선택해 주고(S12), 이외에 "초기 턴온시킬 백라이트부"를 더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S13).At this time, select the basic items ("Always on", "Always off", "Off after 10 seconds", "Off after 30 seconds", "On when flip / folder open", etc.)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to (S12), it is possible to further set the "backlight unit to be initially turned on" (S13).

여기서, 상기 "초기 턴온시킬 백라이트부" 설정은 플립/폴더 오픈시 기능키 부분만을 먼저 백라이트시킬 것인지, 또는 숫자키 부분만을 먼저 백라이트시킬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이다.Herein, the setting of the "backlight unit to be turned on for the first time" is a function for setting whether to backlight only the function key portion first or only the numeric key portion first when the flip / folder is opened.

그럼,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 환경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백라이트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e process of the back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backlight environment is se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일단, 플립/폴더가 오픈될 경우(S21), 단말기는 상기 도4의 과정에 의해 설정된 초기 백라이트부를 턴온시킨다.Once the flip / folder is opened (S21), the terminal turns on the initial backlight unit set by the process of FIG. 4.

만약, 초기 턴온시킬 백라이트부로 기능키부를 설정하였을 경우(S22), 기능키부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하고(S23), 초기 턴온시킬 백라이트부로 숫자키부를 설정하였다면 숫자키부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한다(S24).If the function key unit is set as the backlight unit to be initially turned on (S22), the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of the function key unit is driven (S23), and if the numeric key unit is set as the backlight unit to be initially turn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of the numeric key unit is driven ( S24).

이때, 상기 기능키부 및 숫자키부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키의 용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키 이외에도 다른 키를 사용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unction key part and the numeric key part a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 key mainly used by the user, and in most cases, other keys are used in addition to the set key.

따라서, 기능키부를 조작하는 도중에 숫자키부의 키를 누르던가, 숫자키부를 조작하는 도중에 기능키부의 키를 누를 경우에는(S25), 해당하는 부분도 자동으로 백라이트 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key of the numeric key portion is pres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 portion or the key of the function key portion is pres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portion (S25),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also automatically backed up.

즉, 초기 기능키부가 백라이트된 상태에서 숫자키부의 키가 눌리면 숫자키부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하여 숫자키부를 백라이트시키고(S26), 초기 숫자키부가 백라이트된 상태에서 기능키부의 키가 눌리면 기능키부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하여 기능키부도 백라이트시키는 것이다(S27).That is, when the key of the numeric key unit is pressed while the initial function key unit is backlit, the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of the numeric key unit is driven to backlight the numeric key unit (S26), and when the key of the function key unit is pressed while the initial key unit is backlit, the function key unit is pressed. The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is driven to backlight the function keys (S27).

다시 말해, 종래에는 플립/폴더 오픈시 키패드 전체가 백라이트되었지만, 상기 설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부분(기능키부 또는 숫자키부)만이 먼저 백라이트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entire keypad is backlit in flip / folder opening in the related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part (function key part or numeric key part) main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ckl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에서 주로 사용하는 키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백라이트시키고, 불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백라이트 시키지 않음으로써,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감소시켜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backligh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backs up only the key portion mainly us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does not back up unnecessary portions, thereby consuming battery current.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by reducing the.

Claims (6)

다수의 발광소자를 키패드 후면에 배치하여 키패드 백라이트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키패드 상에서 그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의 키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소정개씩을 한 그룹으로 설정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각 발광소자 그룹을 각각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와; 사용자의 백라이트 환경설정 및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 오픈에 의한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 keypad backligh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on the back of the keypad, the light emitting elements may be selective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of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keypad. A light emitting unit which sets the light into one group; A driving unit for driving each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groups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er by detecting a user's backlight environment and using the terminal by flipping or opening a f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발광소자의 개수는 백라이트를 위해 키패드 후면에 배치할 표준 발광소자의 수에 따라, 그 이하 개수의 발광소자를 한 그룹으로 하여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that can be set in one grou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being one group or l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ndard light emitting devices to be disposed behind the keypad for the backlight. Keypad backlight contro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다수의 발광소자를 키패드 후면에 배치하여 키패드 백라이트를 수행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키패드 상에서 그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의 키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소정개씩을 한 그룹으로 설정하여 각각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백라이트 환경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플립 또는 폴더 오픈시 키패드의 특정 키부분에 위치한 발광소자 그룹만을 턴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방법.In order to perform a keypad backligh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on the back of the keypad,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grouped one by one so as to be selectively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of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keypad.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provided with a driving circuit, and is configured to turn on only a group of light emitting elements positioned at a specific key portion of the keypad when the user's backlight environment is set, when the user flips or opens the folder. How to control keypad backligh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발광소자의 개수는 백라이트를 위해 키패드 후면에 배치할 표준 발광소자의 수가 8개일 경우, 그 이하의 개수인 2개 또는 4개를 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evices that can be set in one group is set to 2 or 4, which is less than the number when the number of standard light emitting devices to be arranged behind the keypad for the backlight is 8; The keypad backligh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키의 용도에 따라 소정개씩을 한 그룹으로 설정한 발광소자를 키패드 후면에 배치하여 키패드 백라이트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그룹을 키의 용도에 따라 백라이트부를 구분하고, 사용자가 백라이트 환경설정을 위한 메뉴키 입력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 초기 디폴트로 턴온시킬 백라이트부를 설정 및 각종 선택사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사항 설정에 의해 단말기의 플립(또는 폴더) 오픈시 초기 백라이트부로 설정된 발광소자 그룹이 턴온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방법.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keypad backlighting by arranging light emitting devices, each of which is set as a gro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 key, on the back of the keypad,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group is divided into backlight uni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key. When the menu key for backlight environment setting is input, the backlight unit to be turned on by defa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nd various options are displayed, and when the flip (or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ed, the initial backlight unit is set. A keypad backlight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group is turned on. 제5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폴더가 오픈되면 초기 턴온시킬 백라이트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초기 턴온시킬 백라이트부가 기능키부로 설정되었을 경우 기능키부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하고, 숫자키부로 설정되었을 경우 숫자키부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능키부 또는 숫자키부가 백라이트된 상태에서 백라이트되지 않은 부분의 키가 눌릴 경우, 해당 부분의 발광소자 회로를 구동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backlight unit to be initially turned on when the flip /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 second step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of the function key unit when the backlight unit to be turned on initially is set as the function key unit, and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of the numeric key unit when the backlight unit to be turned on is initially set; And a third step of driving a light emitting device circuit of the corresponding part when a key of a non-backlit part is pressed while the function key part or the numeric key part is backlit.
KR1020010018610A 2001-04-09 2001-04-09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782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610A KR20020078295A (en) 2001-04-09 2001-04-09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610A KR20020078295A (en) 2001-04-09 2001-04-09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295A true KR20020078295A (en) 2002-10-18

Family

ID=2770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10A KR20020078295A (en) 2001-04-09 2001-04-09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29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459A (en) * 2002-10-07 2004-04-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comprising a keypad with multi-color LED'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26974B1 (en) * 2007-11-08 2011-04-1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Illumination element for switch and switch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119999B1 (en) * 2006-03-10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pplication of Touch Key Sensor in Mobile Phone
US20120162082A1 (en) * 2010-12-24 2012-06-28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339A (en) * 1994-08-30 1996-03-22 Funai Electric Co Ltd Residual battery capactiy display device for cordless telephone set
JPH08181755A (en) * 1994-12-26 1996-07-12 Hitachi Ltd Lighting system
KR100186222B1 (en) * 1995-12-29 1999-05-15 김광호 Back light control circuit of a phone
KR19990055491A (en) * 1997-12-27 1999-07-15 서평원 Control method of back light power supply to CDM terminal
JPH11284712A (en) * 1998-03-27 1999-10-15 Nec Saitama Ltd Portable telephone set with back light on/off function
JP2000244615A (en) * 1999-02-18 2000-09-08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339A (en) * 1994-08-30 1996-03-22 Funai Electric Co Ltd Residual battery capactiy display device for cordless telephone set
JPH08181755A (en) * 1994-12-26 1996-07-12 Hitachi Ltd Lighting system
KR100186222B1 (en) * 1995-12-29 1999-05-15 김광호 Back light control circuit of a phone
KR19990055491A (en) * 1997-12-27 1999-07-15 서평원 Control method of back light power supply to CDM terminal
JPH11284712A (en) * 1998-03-27 1999-10-15 Nec Saitama Ltd Portable telephone set with back light on/off function
JP2000244615A (en) * 1999-02-18 2000-09-08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459A (en) * 2002-10-07 2004-04-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comprising a keypad with multi-color LED'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19999B1 (en) * 2006-03-10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pplication of Touch Key Sensor in Mobile Phone
KR101026974B1 (en) * 2007-11-08 2011-04-1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Illumination element for switch and switch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162082A1 (en) * 2010-12-24 2012-06-28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8886264B2 (en) * 2010-12-24 2014-11-11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3869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6731958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power-saving function
US7145558B2 (en) Selective illumination of regions of an electronic display
KR100662937B1 (en)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provided with backlight
KR10045599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cd backlight in mobile station
CN10177850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brightness of backlight of screen and key
US20030198036A1 (en) Key backlight control method and circuit
CN106900039A (en) A kind of mobile phone display screen backlight subarea lighting method and device
KR20020078295A (en) Keypad back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972710B2 (en) Mobile phone with backlight ON / OFF function
JPH10145475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JP2002094656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253976A1 (en) Controlling a light source of a telephone keypad
JP2003177715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595193B1 (en) A Display-Part Back- Light Power Control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50115484A (en) Wait condition indicator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667627B2 (en) Battery level check device for foldable mobile phone
KR20060090467A (en) Dual mode display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H06120864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device
KR100186222B1 (en) Back light control circuit of a phone
US20020063692A1 (en) Keyboard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as external keyboard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345631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060014792A (en) Mobile phone which enable each key to backlight
KR20010004515A (en) Method for controlling back light of wireless telephone
JP2000013487A (en) Display and back light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21

Effective date: 200506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28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21

Effective date: 200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