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618A -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618A
KR20020073618A KR1020010013314A KR20010013314A KR20020073618A KR 20020073618 A KR20020073618 A KR 20020073618A KR 1020010013314 A KR1020010013314 A KR 1020010013314A KR 20010013314 A KR20010013314 A KR 20010013314A KR 20020073618 A KR20020073618 A KR 2002007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fi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기철
안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3618A/en
Publication of KR2002007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61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eparing and managing a diar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prepare a diary based on living using a multimedia and character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manage the prepared diary in a diary managing server. CONSTITUTION: A user enters a diary preparing mode 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paring a diary(S401). The user captures a wanted video in a field using an image camera mounted in the terminal and stores the video in an internal memory(S402). After preparing a diary, the prepared diary is stored and the diary preparing mode is terminated(S403), and a signal is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for connecting to the Internet.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ignal and requests an Internet connection to a base station control unit. If the request is approved, the control unit makes the terminal be connected to the Internet(S404). If a diary file stored in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a diary managing server(S405), the transmitted diary file is stored in a database of the diary managing server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 unit(S406).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방법{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방법에 있어서, 특히 멀디미디어 개체 등을 이용하여 일기를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 상의 일기 관리 서버에 저장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ry cre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reate a diary using a multimedia object, etc. and store and manage it in a diary management server on the Internet. It is about.

근래에는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인터넷 상에서 일기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 페이지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 web page providing a diary service on the Internet has been provided, and a diary writ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eb page is shown in FIG.

도 1은 종래 인터넷을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일기 작성을 위한 PC(10)와, 인터넷에 접속된 PC(10)에 일기장을 제공하고 작성된 일기를 데이터 베이스(30)로 관리하기 위한 일기관리 서버(20)로 구성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conventional Internet, wherein a diary is provided to a PC 10 for creating a diary by a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PC 10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the diary is created. It is composed of a diary management server 20 for managing by the base (30).

상기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먼저, 이용자가 그날 그날 일어났던 일들을 기록하기 위해서 PC(10)를 이용하여 인터넷(Internet)에 접속한 후 일기장을 서비스하는 일기 관리서버(20)에 로그인하게 된다.First, the user accesses the Internet using the PC 10 to record what happened that day, and then logs in to the diary management server 20 serving the diary.

그리고, 일기 관리서버(20)에서 콘텐츠로 제공하는 일기장을 이용하여 기록하고 싶은 내용을 일기로 작성하고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일기는 일기 관리서버(20)의 데이터 베이스(30)에 날짜별로 저장이 된다.Then, using the diary provided as the content in the diary management server 20 is to write and store the content you want to record as a diary. The diary stored in this way is stored by date in the database 30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20.

이후, 이용자가 이전에 작성된 일기를 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수순으로 일기관리 서버(20)에 접속한 후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된 일기를 검색한 후 찾고자 하는 일기를 선택하여 볼 수 있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user wants to see a previously created diary, the user can access the diary management server 20 in the same manner as above, search for the diary stored in the database 30, and then select a diary to be found. .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터넷 상에서 일기 관리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일기장 콘텐츠는 극히 제한적인 배경 즉, 이용자가 쓰고 싶은 내용이 등산, 또는 생활 체험에 관련된 내용일 경우 이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배경과는 전혀 상이하게 제공되며, 이러한 것으로부터 이용자가 실제적으로 작성된 일기를 보고 그때 일을 보다 확실하게 회상할 수 없게 된다.However, the diary content provided by the diary management server on the Internet as described above is very different from the background that the user wants to write if the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write is related to mountain climbing or living experience. From this, the user will not be able to see the diary actually written and then recall the work more reliably at that time.

또한, 종래에는 단순하게 사무실 등에 고정된 PC를 이용하여 일기를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생활적인 요소 요소에서의 사실 감을 일기에 기록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a diary is created by simply using a PC fixed to an office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ord the facts of life elements of users in the diar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생활 속에 일어나는 일들을 멀티미디어와 문자 등을 이용하여 일기를 작성하고 작성된 일기를 일기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create a diary using multimedia and text, etc. happening in lif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store and manage the created diary in a diary management serv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인터넷을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Internet.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일기 작성시, 화상모드, 음성모드 화면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icture mode, an audio mode screen when a diary is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4 is a flow chart showing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작성된 일기의 불러오기 모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ding mode of a diary creat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이동통신 단말기111...화상 카메라110 Mobile terminal 111 ...

112...마이크113...키 입력부112 ... Microphone 113 ... Key input

114...디스플레이부115...스피커114 Display unit 115 Speaker

120...기지국130...기지국 제어기120 Base station 130 Base station controller

140...인터넷150...일기 관리 서버140 Internet 150 Diary Management Server

151...일기 데이터 베이스160...PC151 Diary Database 160 PC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방법은,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기 작성 모드로 진입한 후 기록하고자 하는 대상을 멀티미디어 수단 및 문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Entering an object to be recorded after entering the diary making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ultimedia means and the text input means;

상기 작성된 일기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Accessing the Internet to transmit the created diary file;

상기 인터넷 접속 후 상기 작성된 일기를 일기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reated diary to a diary management server after the Internet connection;

상기 일기관리 서버에서 수신한 일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storing and managing the diary received from the diary management server in a database.

바람직하게, 상기 일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기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기 불러오기 모드를 선택한 후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일기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기를 검색하고 불러오고자 하는 날짜의 일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후 일기의 형식에 따라 해당 재생 수단으로 읽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order to retrieve a diary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the user selects a diary retrieval mode and accessing the Internet; Selecting a diary of a date to search and retrieve a diary stored in a database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the selected diary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read to the corresponding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diary.

상세하게,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캡쳐하고 싶은 움직이는 영상, 정지영상 혹은 이미지와,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입력한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the multimedia information may include moving images, still images, or images that the user wants to capture by using an image camera, and input audio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일기파일이 날짜, 파일 형식, 파일 내용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갖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ata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ry file is stored with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date, file format, file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일기 작성시, 화상모드, 음성모드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작성된 일기의 불러오기 모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mode, the voice mode screen when creating a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recall mode of a diary creat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카메라(111), 마이크(112)등의 멀티미디어 입력수단과 문자 입력수단인 키 입력부(113) 및 재생을 위한 디스플레이부(114), 스피커(115)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기지국(120)과;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130)와; 인터넷(140)에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일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일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151)를 갖는 일기 관리서버(150)와; 상기 인터넷을 통해 일기 관리서버(160)로 접속하여 일기 작성 및 관리를 위한 PC(16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a mobile communication including a multimedia input means such as an image camera 111, a microphone 112, a key input 113 that is a character input means, a display 114 for reproduction, and a speaker 115. A terminal 110; A base station (120)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base station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A diary management server 150 having a database 151 for storing the diar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nected to the Internet 140 and managing the stored diary; Access to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60 through the Internet is composed of a PC 160 for diary creation and manageme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diar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가 그날 그날 일어났던 일이나 생활속에서의 경험 같은 것을 일기로 작성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일기 작성 모드로 진입한 후(S401), 단말기에 설치된 화상 카메라(111)로 그 현장에서 담고 싶은 영상을 캡쳐하여 내부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S402).Referring to FIGS. 2 and 4, after the user enters a diary writing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order to create a diary such as what happened on that day or an experience in life (S401), the terminal The image camera 111 installed at the capturing an image to be stored at the site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not shown) (S402).

즉, 여행 또는 낚시, 산과 강, 바다 등에서 캡쳐하고 싶은 영상을 화상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캡쳐하거나, 사용자가 넣고 싶은 사진과 같은 이미지(JPG)를 넣어 일기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image to be captured in travel or fishing, mountains and rivers, the sea, etc. using the image camera 111, or to create a diary by putting an image (JPG) such as a picture that the user wants to put.

그리고, 상기 캡쳐된 영상과 함께 적고 싶은 일들을 키 입력부(113)로 디스플레이부(114)를 보면서 문자를 입력하여, 도 3의 (a)(b)와 같이 상기 캡쳐된 영상과 문자로 이루어진 파일이 그날의 일기파일로 작성된다.Then, the characters inputted with the captured image while viewing the display unit 114 by the key input unit 113 are inputted, and the file composed of the captured image and characters as shown in (a) (b) of FIG. 3. The diary of the day is written.

도 3의 (c)는 일기 작성 모드에서 이용자가 음성 입력모드를 선택하고 마이크(112)를 통해서 녹음하고자 하는 음성을 입력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즉, 그날 그날 일어났던 상황 또는 상황이 종료된 후에 남기고자 하는 문구를 음성(예; wav)으로 입력하게 된다.In FIG. 3 (c), the user selects the voice input mode in the diary writing mode and inputs a voice to be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112 and stores the voice in the internal memory. That is, a phrase or a phrase to be left after a situation that happened that day is finished by voice (eg, wav) is input.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이용자가 멀티 미디어 정보를 갖는 일기 작성을 위해서 화상 카메라(111)로 영상을 캡쳐한 후 영상 일기를 작성하거나, 이에 문자를 덧붙여 영상과 문자로 이루어진 일기를 작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문자 입력은 나중에 입력해도 된다. 또 마이크(112)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음성을 입력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reate a diary in which the user has multimedia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user captures an image with the image camera 111 and then creates an image diary, or adds text to create a diary composed of the image and text. The character input here may be input later. In addition, the voice to be input may b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2.

이러한 일기 작성 모드에서 일기를 작성한 후 작성된 일기를 저장하고 그 일기 작성모드를 종료한 후(S403), 인터넷(140)에 접속하기 위해 기지국(12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After the diary is created in the diary creation mode, the diary is saved and the diary creation mode is finished (S403), and then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20 to access the Internet 140.

그러면, 기지국(120)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130)에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고 그 요청이 수락되면 기지국 제어기(13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10)를 인터넷(140)에 접속시켜 준다(S404).Then, the base station 120 receives the signal, request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to access the Internet, and when the request is accepte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conn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Internet 140. (S404).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저장된 일기파일을 인터넷 상의 일기 관리 서버(150)에 전송하면(S405), 그 전송된 일기 파일은 기지국(120), 기지국 제어기(130)를 통해 일기 관리서버(150)의 데이터 베이스(DB: Data Base)(151)에 저장된다(S406).At this time, if the diary fil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transmitted to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50 on the Internet (S405), the transmitted diary file through the base station 120,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through the diary management server ( 150 is stored in a database (DB) 151 (S406).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51)에 저장된 각각의 일기 파일은 해당 날짜, 그 파일의 형식, 파일 내용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갖고 저장된다. 이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수단에 따라 날짜별, 파일 형식, 키워드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액세스를 쉽게 해 준다.Here, each diary file stored in the database 151 is stored with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date, the format of the file, and the file contents. This allows the user to search by date, file type, and keyword, depending on the means by which the user wants to search.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일기 관리 서버(150)의 데이터 베이스(151)에 저장된 일기 파일을 이용자가 검색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일기 불러오기 모드로 진입한 후(S501), 기지국(120)에 인터넷 접속 신호를 전송하면 기지국(120)은 기지국 제어기(130)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여 수락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인터넷(140)에 접속된다(S502).5, after the user enters a diary retrieval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search for a diary file stored in the database 151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50 (S501), When the base station 120 transmits an internet access signal, the base station 12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and accep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access the internet 140 (S502).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일기 관리 서버(150)의 데이터 베이스(151)에 저장된 일기 파일을 검색하고(S503), 찾고자 하는 일기 파일을 선택하면(S504), 선택된 일기 파일은 인터넷(140)을 통해서 기지국 제어기(130), 기지국(120)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된다(S505).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earches for a diary file stored in the database 151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50 (S503) and selects a diary file to be searched (S504), the selected diary file is Internet (140).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0, the base station 12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505).

여기서, 상기 일기 관리 서버(150)의 데이터 베이스(151)에는 일기 파일의 형식과 키워드 창을 두어, 사용자가 일기 파일 형식 및 키워드를 이용하여 일기 파일 검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 준다.Here, the database 151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50 has a diary file format and a keyword window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arch the diary file using the diary file format and keywords.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전송된 일기파일을 수신한 후 그 일기파일의 재생 매체 즉, 디스플레이부(114), 스피커(115)를 통해서 상기의 일기파일을 재생시켜 주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S506).After receiving the transmitted diary f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produces the diary file through the reproduction medium of the diary file, that is, the display 114 and the speaker 115,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diary file. (S506)

또한, 일기 파일의 편집은 일기 작성 모드 후 작성된 일기 파일을 편집하거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기파일을 불러오기 모드를 통해서 읽은 일기를 보면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ry file can be edited by editing a diary file created after the diary creation mode or by viewing a diary read through a diary file stored in a database.

한편, 이용자는 일기 작성 및 불러오기 모드, 편집을 위해서 자신의 PC(160)를 이용하여 인터넷(140)에 접속하여 일기 관리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일기를 작성하고, 상기 PC(160)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작성된 일기를 편집하고, 그 데이터 베이스(151)에 저장하고 불러와서 볼 수도 있다.Meanwhile, a user creates a diary by using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50 by accessing the Internet 140 using his PC 160 for diary creation and retrieval mode and editing. The diary created by the 16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be edited, stored in the database 151, and retrieved and viewed.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PC(160)를 이용하여 일기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일기를 일기관리 서버(150)의 데이터 베이스(151)에 저장하고 불러오기 모드를 통해서 볼 수도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diary is creat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PC 160, and the created diary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51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150 and viewed through the recall mode.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작성된 일기 파일의 전송 및 저장된 일기 파일을 보기 위해 불러오기를 수행시 발생하는 통신료를 통신업자가 수익으로 창출할 수 있다.As such,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may generate, as a profit, a communication fee generated when the diary file cre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transferred and a call is read to view the stored diary fi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 방법은 이용자가 직접 체험하는 장소에서 직접 일기를 멀티 미디어로작성하고 이를 인터넷 상의 일기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한 후, 필요할 때 마다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보다 생생한 일기의 기록 및 친근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diar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to create a diary in a multimedia place at a place where a user directly experiences it, store it in a diary management server on the Internet, and then manage the diary. By making it visible every time, it has the effect of giving users a more vivid diary record and friendliness.

또한, 통신 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에 따른 통신료를 받을 수 있어 수익 원천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ier may receive a communication fe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et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 source of revenue.

Claims (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기 작성 모드로 진입한 후 기록하고자 하는 대상을 멀티미디어 입력수단 및 문자 입력수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일기를 작성하는 단계;Creating a diary by selectively using a multimedia input means and a text input means for an object to be recorded after entering a diary writing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작성된 일기 내용을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Accessing the Internet to transmit the written diary contents; 상기 작성된 일기 파일을 일기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reated diary file to a diary management server; 상기 일기관리 서버에서 수신한 일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방법.And storing and managing the diary received by the diary management server in a databa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기를 불러오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기 불러오기 모드를 선택한 후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일기를 검색하고 불러오고자 하는 일기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일기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후 일기 파일의 형식에 따라 해당 재생 수단으로 읽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방법.In order to retrieve a diary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iary management server, the user selects a diary retrieval mode and accesses the Internet; Selecting a diary file to search and retrieve a diary stored in the database; And receiving the selected diary fil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a read to a corresponding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a format of the diary fi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입력수단으로 입력되는 정보는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캡쳐하고 싶은 움직이는 영상, 정지영상 혹은 이미지와,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방법.The information input by the multimedia input means includes a moving image, a still image or an image that a user wants to capture using an image camera, and voice information using a microphone.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일기파일이 날짜, 파일 형식, 파일 내용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갖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기 작성 및 관리방법.And a diary file stored in the database with keywords corresponding to a date, a file format, and a file content.
KR1020010013314A 2001-03-15 2001-03-15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736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14A KR20020073618A (en) 2001-03-15 2001-03-15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14A KR20020073618A (en) 2001-03-15 2001-03-15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618A true KR20020073618A (en) 2002-09-28

Family

ID=2769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314A KR20020073618A (en) 2001-03-15 2001-03-15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361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83B1 (en) * 2005-01-06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diary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776517B1 (en) * 2006-01-20 2007-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of recording personal life story using voice/video phone of fixed mobile network
KR100785392B1 (en) * 2006-10-11 2007-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ocation diary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57A (en) * 1999-11-23 2000-02-07 김정현 wet site bookbinding structure of english diary servic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KR20000049862A (en) * 2000-05-03 2000-08-05 권영준 writing method of an autobiography using a internet, wire and wireless terminal
KR20000054088A (en) * 2000-05-22 2000-09-05 서수길 Method for transfering messages to mobile telephones
KR20000072075A (en) * 2000-07-22 2000-12-05 이승형 Internet On line-Off line Total Free E-Diary Servi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57A (en) * 1999-11-23 2000-02-07 김정현 wet site bookbinding structure of english diary servic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KR20000049862A (en) * 2000-05-03 2000-08-05 권영준 writing method of an autobiography using a internet, wire and wireless terminal
KR20000054088A (en) * 2000-05-22 2000-09-05 서수길 Method for transfering messages to mobile telephones
KR20000072075A (en) * 2000-07-22 2000-12-05 이승형 Internet On line-Off line Total Free E-Diary Servic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83B1 (en) * 2005-01-06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diary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776517B1 (en) * 2006-01-20 2007-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of recording personal life story using voice/video phone of fixed mobile network
KR100785392B1 (en) * 2006-10-11 2007-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ocation diary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819B1 (en) Mobile terminal having bookmark function for contents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803580B1 (en) Electronic music distribu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ynchronous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format
JP6065019B2 (e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69125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leaving of material from database and customized audio-visual material
US8467402B2 (en) Digital au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19230A (en) Mai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KR200400482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document
JP3927962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program
JP5668412B2 (en)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20020073618A (en) Method for write and management of diar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49832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mail through the Internet
US200600853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ata in an information terminal
JP74153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US20090157815A1 (en) Mobile device for providing blog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log service using the same
KR20000049833A (en) Method for forming digital video album through the Internet
KR100702386B1 (en)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multimedia mail and method thereof
JP2008219344A (en) Program for receiving, automatically converting, writing, searching, and delivering image, and storage medium
TWI244012B (en) Ser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652701B1 (en) Method for registering photo diary to web sit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228120A (en) Moving picture file server and terminal unit,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of
KR20090010658A (en) The media bulletin board system and method of article registration of the same
JP2002281469A (en) Video telephone system
JP4587966B2 (en) Data processing device
JP2006048707A (en)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file
KR20030016151A (en) Method for protecting a copyright of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