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616A -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616A
KR20020073616A KR1020010013305A KR20010013305A KR20020073616A KR 20020073616 A KR20020073616 A KR 20020073616A KR 1020010013305 A KR1020010013305 A KR 1020010013305A KR 20010013305 A KR20010013305 A KR 20010013305A KR 20020073616 A KR20020073616 A KR 2002007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line
abnormality
data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동
Original Assignee
머큐리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큐리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머큐리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3616A/ko
Publication of KR2002007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6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중앙부서와 하부 부서간에 연결된 선로 및 부서의 내부에 연결된 선로, 그리고 하부 부서간에 연결된 선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 감시하여 선로 및 내선 번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판단하며,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경고음과 이상이 발생된 선로를 표시하고 그 선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신속하게 선로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 항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TESTING AND MONITORING ERROR OF LINE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중앙부서와 하부 부서간에 연결된 선로 및 부서의 내부에 연결된 선로, 그리고 하부 부서간에 연결된 선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 감시하여 선로 및 내선 번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판단하며,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경고음과 이상이 발생된 선로를 표시하고 그 선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신속하게 선로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 항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기관에는 비상시 신속한 정보의 전달과 상황에 대처를 위해 내선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화재 또는 인명 재난 등의 사태에 있어서, 상급 기관과 하급 기관이 서로 유기적인 연락을 취하여 가장 신속하여 정확한 상황처리를 하기 위해 내선 선로를 가설하여 일정한 선로 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선로 망은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하여 나가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통신 장비와 통신망에 대한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지역 망을 이용한 시설이 점차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비상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보다 나은 시설을 투자하여 연락망을 구축하고 있으나, 라인의 상태가 불량하거나 또는 단선이 되는 경우에는 모든 시설은 무용지물이 되고 연락망을 구축하여 이루고자 했던 효과를 거둘 수가 없게 된다.
종래에는 회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가 나와 있으나, 이러한 장비는 하나의 회선에 대하여만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회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모든 회선을 일일이 확인하여 검사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모든 회선을 하나하나 확인하여 검사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여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장비는 선로를 이용하다가 평소와 다른 이상한 점이 해당 선로에 발생하는 경우에 그 해당 선로를 점검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결국 선로 상에 문제가 발생되어도 선로 사용자가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선로의 이상이 발생된 상태로 방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재 또는 인명 재난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결국 상황 대처에 있어 시간의 소요가 증가하게 되고, 그러한 시간 지연에 의해 문제는 더욱 악화되어 매우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국에 연결되는 각 기관의 주 배선반을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유닛과 연결하여 일정시간 단위로 주 배선반에 연결된 모든 회선에 관한 정보를 감시서버로 전송하여 회선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시 안정된 최적의 상태를 갖는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기관의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의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로 시설에 대한 평가 및 통계를 통해 시설 노후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로의 이상 유무를 시험하기 위해 현장으로 투입되는 인원과 이상이 발생된 지점을 찾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임으로 경제적인 선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 서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니터,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각 선로와 하부시스템을 감시하고 각 하부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감시장치, 서버의 제어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나타내며 서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검출된 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로 구성되는 주 감시시스템; 통신선로와 통신 내선번호를 측정, 감시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서버, 서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 선로/내선번호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장치, 서버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감시장치에 의해 수신된 선로/내선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기, 그리고 사설교환기와 부서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화기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1차 하부 감시시스템; 통신선로와 통신 내선번호를 측정, 감시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서버, 서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 선로/내선번호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기능을 갖는 감시장치, 서버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감시장치에 의해 수신된 선로/내선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기, 그리고 사설교환기와 부서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화기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1차 하부 감시시스템; 및 주 감시시스템의 감시장치와 각 전화국 및 1차 하부 감시시스템이 연결되는 주 배전반으로 구성되어 각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선로/배선번호를 측정 감시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상부 시스템으로 송출하여 선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개의 2차 하부 감시시스템에 포함된 각 감시장치는 서로 지역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설명되는 검출정보(테스트/감시)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단말기는 각각의 하부 감시시스템이 구성된 관할구역을 전자지도로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관련된 선로번호/내선번호를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 선로 또는 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선로 연결도를 표시하고 이상유무에 대한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감시장치는 직류와 교류전압 측정 감시, 정전용량 측정 감시, 키-세트(DTMF 또는 DP) 측정 감시, 절연저항 측정 감시, 루프 전류 측정 감시, 다이얼 톤 측정과 Dtd 감시, 링전압 측정과 링팁 감시, 극성 역전압 측정 감시, 단선거리 측정 감시, 전송손실과 노치 소음 측정 1/2기능, IDLE 채널 소음 측정 감시, 단일 주파수 측정 감시, 측정 펄스 측정 감시 및 시험 톤 발생 감시 기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감시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PCB, 톤 및 음성 검출/하울러 PCB, 랜/데이터 스피치 PCB, 다중 측정 PCB, 고장지역 모듈, 다이얼 제너레이터/커 트루 PCB, CC/CRㆍ링발생ㆍ모니터ㆍ토크 배트 에엔디알(talk batt SNDR)/하울러 PCB, 임피던스 PCB, 파워 모니터 PCB, T.S.M.(트렁크 스위치 매트릭스), 전원 공급장치, 내부 연결반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처음 각각의 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에 리셋 기능에 의해 모든 설정을 초기화하는 단계;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설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버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종류별로 선로의 감시를 수행하는 선로 감시단계; 감시장치에 의해 검출된 자료를 출력하고, 동시에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검출된 데이터를 미리 서버에 미리 입력된 해당 시스템이 가장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입력된 기초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데이터 비교단계에서 비교된 데이터에 의해 해당 선로/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한 것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을 판단된 경우에는 경고음 발생 및 선로/내선번호의 이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검출된 자료를 상급기관(상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방법에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일 실시예로는 선로의 감시를 수행하는 선로 감시단계에서의 측정 감시는 감시장치의 기능에 의해 수행되고, 각 감시장치가 설치된 위치(상위 부서 또는 하위 부서)에 따라 그 측정 및 감시 형태를 다르게 수행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이와 같이 검출된 자료를 상급기관(상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상급기관(상위 부서 또는 사위 시스템)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측정 대상이 되는 각각의 선로에 대한 복구 또는 교체를 위한 통계 자료로 활용하여 노후 된 장비를 제거함으로 최적의 선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고,
도 3은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테스트 유닛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고,
도 4는 전원반과 커넥터 반으로 구성된 내부 연결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테스트 유닛을 통해 각 선로의 교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6은 테스트 유닛을 통해 각 선로의 직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7은 테스트 유닛을 통해 각 선로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8은 테스트 유닛을 통해 각 선로의 루프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9는 테스트 유닛을 통해 각 선로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테스트 유닛을 통해 각 선로의 잡음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주 감시시스템110,210,310 ... 서버
120,220,320 ... 모니터130,230,330 ... 감시장치
140,240,340 ... 단말기150 ... 프린터
200 ... 1차 하부 감시시스템260,360,2610,2930 ... 전화기
270,370 ... 사설교환기300 ... 2차 하부 감시시스템
410 ... 주 배전반421 ... 중계전화국
422 ... 탄뎀국 전화국423 ... 전화국
1100 ... 데이터 베이스부1200 ... 신호 송수신부
1300 ... 선로 테스트 및 이상유무 응답부1400 ... 내선가입 번호부
1500 ... 고장사항 출력부
1600 ... 유지보수 통보 및 결과 출력부1700 ... 상황 처리부
1800 ... 현장 요원부1900 ... 통신 담당부
2100 ... CPU(중앙 처리장치)2200 ... 제어장치
2300 ... 수동입력장치2400 ... 디스크 드라이브
2500 ...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10 ... 전처리 장치
2520 ... 하드웨어 감시모듈2600 ... 분배기
2710,2720 ... 음성통신 유닛2800 ... 원격접속 유닛
2910,2920 ... 원격 테스트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로의 이상 유무 감시를 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주 감시시스템(100)과 다수의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과 각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에 서 연결되는 다수의 2차 하부 감시시스템(300) 및 주 배전반(410) 그리고 각 전화국(421,422,42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하부 감시시스템(200,300)은 일정 행정부서 또는 관공서 등에 구성되며, 1차 감시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소방본부 또는 시청 등의 최상위 부서에 설치된다. 그리고 어느 일 감시시스템(200)에서 다수개의 2차 감시시스템(300)이 연결되며, 또한 각 2차 감시시스템(300) 끼리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각 2차 감시시스템(300)은 상위 부서에 대한 하위 부서가 된다. 도 1에는 2차 감시시스템(300) 까지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부서의 구성상 문제이며, 최하위 부서까지 감시시스템이 연결될 수 있다.
우선 주 감시시스템(100)은 모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110), 서버(110)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니터(120), 서버(110)의 제어에 의해 각 하부시스템(200,300)을 감시하고 각 하부시스템(200,300)에서 송출된 정보를 수신하는 감시장치(130), 서버(110)의 제어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나타내며 서버(1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140) 및 검출된 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주요 작동기능에 관하여 우선 서버(110)는 통신선로와 통신 내선번호를 테스트 감시를 지시하는 기능과 선로번호/내선번호를 테스트하고 감시한 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감시장치(130)는 전압, 정전용량, 저항, 절연저항, 단선거리, 주파수 측정 및 감시기능과 링/톤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측정 및 감시기능을 위해 감시장치(130)는 교류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직류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루프전류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 신호를 측정 감시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잡음을 측정 감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즉, 선로와 내선번호에 대한 이상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감시장치(130)는 이러한 구성 장치를 통해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직류와 교류전압 측정 감시, 정전용량 측정 감시, 키-세트(DTMF 또는 DP) 측정 감시, 루프 전류 측정 감시, 다이얼 톤 측정과 Dtd 감시, 링전압 측정과 링팁 감시, 극성 역전압 측정 감시, 전송손실과 노치 소음 측정 1/2기능, IDLE 채널 소음 측정 감시, 단일 주파수 측정 감시, 측정 펄스 측정 감시 및 시험 톤 발생 감시를 수행하게 된다.
단말기(140)는 각각의 하부 감시시스템(200,300)이 구성된 관할구역을 전자지도로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관련된 선로번호/내선번호를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 선로 또는 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선로 연결도를 표시하고 이상유무에 대한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프린터(150)는 상기 구성요소를 통해 선로 또는 내선번호를 감시한 결과, 즉, 정상선로번호/내선번호 내역서의 출력, 이상선로번호/내선번호 내역서의 출력, 이상선로번호/내선번호 유지보수 내역서 출력 및 이상유무에 관한 통계처리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모니터(120), 감시장치(130), 단말기(140) 및 프린터(150)는 모두 서버(110)에 연결되고, 상기 감시장치(130)는 다시 각 전화국(421,422,423)이 연결된 주 배전반(410)에 연결되어 주 배전반(410)에 연결된 각 선로와 브릿지된다.
그리고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과 2차 하부 감시시스템(300)은 주 감시시스템(100)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즉, 통신선로와 통신 내선번호를 테스트 감시를 지시하는 기능과 선로번호/내선번호를 테스트하고 감시한 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서버(210,310); 각 서버(210,3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220,320); 전압, 정전용량, 저항, 절연저항, 단선거리, 주파수 측정 및 감시기능과 링/톤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장치(230,330); 각각의 관할구역을 전자지도로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관련된 선로번호/내선번호를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 선로 또는 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선로 연결도를 표시하고 이상유무에 대한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기(240)를 가지며, 사설교환기(270)와 부서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화기(26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각 하부 감시시스템(200,300)은 주 감시시스템(100)의 일 구성요소인 프린터(150)를 가질 수 있다.
각 하부 감시시스템(200,300)의 각각의 모니터(220,320)와 감시장치(230,330) 및 단말기(240,340)는 각각 서버(210,310)에 연결되고, 상기 각 감시장치(230,330)는 각각의 사설교환기(270,37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2차 하부 감시시스템(300)에 포함된 각 감시장치(330)는 서로 지역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설명되는 검출정보(테스트/감시)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최상위 부서간에도 서로 검출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사설교환기(270)는 주 배전반(410)에 연결되고, 감시장치(230)와 내선으로 연결된 전화기(260)는 상기 사설교환기(27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2차 하부 감시시스템(300)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사설교환기(370)는 상기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의 사설교환기(270)에 연결되고, 감시장치(330)와 내선으로 연결된 전화기(360)는 상기 사설교환기(370)에 연결된다. 그리고 또한 내선으로 연결된 각각 전화기(360)는 상기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의 사설교환기(270)에 직접 연결된다.
도 1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2차 하부 감시시스템(300)의 사설교환기(370)는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의 사설교환기(270)에 연결되는 것과는 별도로 주 배전반(4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블록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동된다. 즉, 이러한 작동부는 정상적인 선로/내선번호에 대한 기초정보를 갖는 데이터 베이스부(1100); 선로번호 감시신호 송수신부(1210)와 내선번호 감시신호 송수신부(1220)로 구성된 신호 송수신부(1200); 선로 테스트 및 이상유무 응답부(1300); 테스트/감시의 대상이 되는 내선가입 번호부(1400); 테스트/감시에 의한 선로/내선번호에 대한 고장사항 출력부(150); 고정사항에 대한 유지보수 통보 및 결과 출력부(1600); 변동자료 처리부(1710)와 고장회복 처리부(1720) 및 고장수배 완료부(1730) 그리고 고장수배 지시부(1740)로 구성된 상황 처리부(1700); 현장요원부(1800); 및 통신담당부(1900)로 구성된다.
즉, 시스템의 주요 작동은 우선 데이터 베이스부(1100)에서 테스트/감시 명령을 신호 송수신부(1200)로 송출하면, 신호 송수신부(1200)에서는 내전번호 감시신호 송수신부(1220)와 선로번호 감시신호 송수신부(1210)에서 각각의 신호를 선로 테스트 및 이상유무 응답부(1300)로 송출하여 테스트/감시 대상의 내선가입 번호부(1400)의 이상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정보를 선로 테스트 및 이상유무 응답부(1300)를 통해 다시 신호 송수신부(120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검출정보를 고장사항 출력부(1500)와 데이터 베이스부(1100)로 송출한다. 상기 고장사항 출력부(1500)에서는 고장사항을 출력하여 유지보수 통보 및 결과 출력부(1600)와 데이터 베이스부(1100)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와 같은 검출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베이스부(1100)는 사항처리부(1700)로 신호를 송신하여 각각의 변동자료 처리부(1710), 고장회복 처리부(1720), 고장수배 완료부(1730), 고장수배 지시부(1740)를 통해 해당 사항을 처리한다. 현장 요원부(1800)는 고장회복 처리부(1720)로부터 검출정보를 받고, 다시 고장수배 완료부(1730)를 통해 처리 사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며, 통신 담당부(1900)는 고장수배 지시부(1740)를 통해 검출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100)는 서버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1200)와 선로 테스트 및 이상유무 응답부(1300)는 감시장치(130,230,330)를 의미하며, 현장 요원부(1800)와 통신 담당부(1900)는 각각 서버(110,210,310)로부터 호출된 신호에 의해 선로 보수를 위한 요원과 고장사항에 대한 지시를 위한 통신담당자를 호출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머지 요소들은 서버에 설치된 이하 설명되는 제어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부분들이다.
선로의 이상유무를 실선과 원격제어를 통해 측정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다.
실선으로 측정 감시되는 전화기(2610)는 분배기(2600)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기(2600)는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을 통해 CPU(21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원격제어를 통해 측정 감시되는 전화기(2930)는 각 원격 테스트 유닛(2910,2920)과 연결되는 원격접속 유닛(2800)을 통해 CPU(2100)와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장치(2200)와 디스크 드라이브(2400)는 RS-232C를 통해 상기 CPU(2100)와 연결되고, 수동입력장치(2300)는 클러스터 제어기를통해 CPU(2100)와 연결된다. 상기 CPU(2100)는 RS-232C를 통해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에 연결되고,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은 테스트 트렁크를 통해 분배기(2600)에 연결되며, 분배기(2600)는 전화기(26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은 전처리 장치(2510)와 하드웨어 감시모듈(2520)을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장치(2510)와 하드웨어 감시모듈(2520)은 서로 최대 16개 채널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2600)와 전화기(2610) 사이가 1500 오옴 루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의 하드웨어 감시모듈(2520)과 분배기(2600) 사이는 750오옴 루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격제어를 통한 선로의 측정 감시를 위해 원격접속 유닛(2800)은 RS-232C를 통해 CPU(2100)에 연결되고, 데이터 페어와 모니터 페어를 통해 일 원격 테스트 유닛(2910)에 연결되며, 보이스 페어를 통해 일 음성통신 유닛(2710)에 연결된다. 상기 음성통신 유닛(2710)은 RS-232C를 통해 CPU(2100)에 연결되고, 보이스 페어를 통해 다른 음성통신 유닛(2720)에 연결되며, 최대 모니터 채널로 상기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의 하드웨어 감시모듈(2520)에 연결된다.
상기 일 원격 테스트 유닛(2910)은 테스트 트렁크를 통해 다른 원격 테스트 유닛(2920)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원격 테스트 유닛(2920)에는 전화기(2930)가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격 테스트 유닛(2920)과 전화기(2930) 사이는 1500오옴 루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일 원격 테스트 유닛(2910)과 다른 원격테스트 유닛(2920) 사이는 750오옴 루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원격접속 유닛(2800)과 원격 테스트 유닛(2910) 사이의 통신속도는 300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장치(130,230,330)는 다음과 같은 장치가 내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PCB, 톤 및 음성 검출/하울러 PCB, 랜/데이터 스피치 PCB, 다중 측정 PCB, 고장지역 모듈, 다이얼 제너레이터/커 트루 PCB, CC/CRㆍ링발생ㆍ모니터ㆍ토크 배트 에엔디알(talk batt SNDR)/하울러 PCB, 임피던스 PCB, 파워 모니터 PCB, T.S.M.(트렁크 스위치 매트릭스), 전원 공급장치, 내부 연결반 등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PCB는 8086 A를 기본으로 하여 하나의 보드로 구성된 프로세서이며, 모든 감시 채널의 기능을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해당 PCB에 명령을 전달하여 상호 통신 패킷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해당 PCB의 선택은 16개의 PCB 선택 비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PCB 간의 신호 전달은 16비트 데이터 버스와 공통 16비트 제어버스를 통해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톤과 음성 검출/하울러 PCB는 회선을 감시하는 송수신기나 스피커 등을 통해 통화 도중에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가청으로 내선 가입자 선로를 감시하거나 통화중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가입자의 전화 송수신기가 방치된 상태 일 때 하울러를 송출한다.
상기 랜/데이터 스피치 PCB는 랜(TCP/IP) 신호 방식으로 각종의 명령을 전처리 장치(FEP)(2510)를 통해 각각의 감시 채널(MPU)(25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하부기관이 원격지 일 경우에는 라우터를 이용하여 전용회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중 측정 PCB는 다중 타이머에 독자적인 로직과 시험 전원을 공급하여 신호감지 주파수, 동작전원 주파수, 전송 속도 등을 사용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장지역모듈은 팁선과 링선 사이의 혼선, 지기, 혼선 등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장애 지점을 측정하여 거리 단위(미터)로 환산하여 출력한다.
다이얼 제너레이터/컷 트루 PCB는 T/D와 C선(Sleeve 선)을 통하여 점유를 가능하게 하는 정합 PCB로 사용되는 회선은 OP(+), OP(-), 팁, 링, C선으로 1×32 트렁크 매트릭스 버터와 트루스 스위치 매트릭스를 통해 실선으로 구성된다.
다이얼 제너레이터/커 트루 PCB, CC/CRㆍ링발생ㆍ모니터ㆍ토크 배트 에엔디알(talk batt SNDR)/하울러 PCB는 시험하고자 하는 내선가입자의 선로에 통화 전원을 공급하고 내선가입자의 통화중 또는 시험자와 내선 가입자 사이의 통화상태를 감지하고 확인하여 사운더/하울러를 송출한다.
임피던스 PCB는 회사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케이블의 단선 지점을 측정하며, 전화기 벨의 회로 상태를 감지한다.
파워 모티터 PCB는 시험채널의 동작원인을 분배(+81, +12R, +12A, -12A, -48V/DC)하고, +8Lㆍ%12Rㆍ%12Aㆍ-12Aㆍ-48V/DC의 전압 공급상태를 감시하며, -48V/DC 전원 과부하 방지를 한다. 그리고 %8L 공급전압의 저진압 상태를 표시하고, 시험채널 내에서 고온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경보 기능을 통해 주경보와 보조 경보로 나누어 장애 상태를 감시한다.
T.S.M.(트렁크 스위치 매트릭스)은 두 개의 캐비닛으로 분산 수용되고, 이중 일 캐비닛에 있는 트렁크 스위치 매트릭스는 전처리장치(REP)(2510)를 포함하고 트렁크 스위치 매트릭스의 캐비닛 뒷면에서 양 캐비닛은 서로 케이블로 연결된다.
전원 공급장치는 +8V 100.0 암페어-로직 공급용, +12V 13.0 암페어-아날로그 공급용, -12V 13.0 암페어-아날로그 공급용, +12V 13.0 암페어 릴레이 공급용, -48V 7.5 암페어-DC/AC 변환기용의 다섯 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각각의 형태로부터 감시 채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테스트 유닛 캐비닛의 하단에 위치한 30암페어 리셉터클을 통해 공급되는 AC 전원은 30 A 브레커 스위치에 의해 각 감시 채널에 공급된다.
그리고 내부 연결반(3000)은 전원반과 커넥터 반으로 구분되며, 전원반은 테스트 유닛의 뒷면에 위치하며, -48V, C.O.G ND 등은 시험채널에 공급되기 전에 TBF-1을 먼저 거쳐 공급된다. 이러한 내부 연결반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다.
내부 연결반(3000)은 다수개의 트렁크 인 커넥터(3110,3120,3130,3140)와 다수개의 트렁크 아웃 커넥터(3210,3220,3230,3240)를 가지며, 이러한 트렁크 인 커넥터(3110,3120,3130,3140)와 트렁크 아웃 커넥터(3210,3220,3230,3240)는 장비에서 제공되는 T/D가 트렁크 인 커넥터(3110,3120,3130,3140)에 연결되어 감시 채널에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연결반(3000)은 통신 커넥터(3300), RS-232C로 CPU에 연결되는 커넥터(3400), 서브스크라이브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커넥터(3600), AUX 커넥터(3500) 및 MISC 커넥터(3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커넥터(3300)는 각 시험채널의 통화감시를 위한 내선회선과 I & R 회선을 수용하는 커넥터로 하부 기관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 캐비닛의 통신 커넥터(3300)는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이 하부 기관과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 팁과 데이터 국선이 웬(WAN)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커넥터(3400)는 서버의 CPU 또는 기타 감시장치를 캐비넷에 전처리 장치(2510)와 RS-232C 직렬 통신방식을 통해 감시채널로 연결해주는 커넥터이다.
상기 커넥터(3600)는 시험채널의 커넥터(CF/IF 하울러 주/보조 알람)의 하부 기관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AUX 커넥터(3500) 및 MISC 커넥터(3700)는 시스템이 확장될 경우 사용되는 예비용으로 각 AUX 커넥터(3500)와 MISC 커넥터(3700)는 커넥터(3400) 및 통신 커넥터(3300)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내부 연결반(3000)을 통해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으로 제공되는 기본적인 사항은 최대 32개의 T/D 또는 MDF 회선, 120V AC, I & R 회선, MDF 접지를 포함하고, 하우러와 +48V DC는 필요에 따라 선택된다. 그리고 원격제어 테스트 유닛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이얼-업 회선 또는 전용회선과 음성 통화회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양 캐비닛에는 다중 채널 테스트 유닛(2500)의 신호 분배반이 설치되어 상기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의 뒷면 내부 연결반(3000)에 연결된 32개의 T/D 또는 MDR 회선 통신, 서브스크라이버 신호를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 내의 각 감시채널로 분리하여 연결한다.
상기 8086 A를 기본으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PCB의 기능은 CPU로부터 명령을 주고받으며 요구된 감시 명령에 응하는 코드 또는 장애상태를 나타내는 에러 코드 및 감시 결과를 CPU로 보내 분석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감시장치(130,230,330)를 이용하여 감시하고자 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 PCB는 요구된 감시상태에 해다오디는 PCB를 지정하고 감시완료 후에는 감시결과를 수신하여 전처리장치(2510)를 통해 지역망을 통해 서버(110,210,310)로 송신한다.
최초 전원이 마이크로프로세서 PCB에 공급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PCB의 프로그램 카운터와 레지스터 및 플립플롭의 상태를 예측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PCB는 버스 컨트롤러 또는 I/O 단자를 리셋기능을 통해 초기화하고, I-C에 위치한 클럭 제너레이터는 커넥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PCB의 커넥터를 통해 리셋신호를 감시채널 내의 파워 모니터 PCB를 제외한 모든 PCB에 공급한다.
원격 테스트 유닛(2910,2920)용 PCB와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용 PCB는 모뎀 또는 실선 직렬통신을 이용하는지 여부,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모뎀 도는 직렬통신의 구분에 따라 각각 다른 진단을 실시하는지 여부, 모뎀의 셋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동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원격 테스트 유닛(2910,2920)용 PCB와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용 PCB는 각기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LE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어느 일 LED는 경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보 자체시험을 위한 스위치(SWITCH 1)를 작동하였을 경우 또는 +8VL, +12VL, -12피, +12VR의 전압강하가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F1, F2, F3, F4 휴즈가단자될 경우 작동된다.
다른 일 LED는 모뎀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 팁선과 링선이 모뎀에 접속되었을 경우 작동하고, 다른 일 LED는 I & R 접속을 나타내는 것으로 I & R 팁선과 링선이 I & R 포트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작동하며, 또 다른 일 LED는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가 송신중일 경우 작동한다.
그리고 또 다른 LED는 데이터가 수신중일 경우 작동하고, 또 다른 LED는 라우터에 캐리어가 검출될 때 작동하며, 또 다른 LED는 라우터에서 캐리어를 검출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경과될 때 데이터 수신회로의 마크가 해제됨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 다른 LED는 원격 테스트 유닛-4 송신회로의 마크가 해제되어 데이터를 송신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또 다른 LED는 I & R 단자가 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또 다른 모뎀회로가 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또 다른 LED는 어느 일 스위치(SWITCH 2)가 루프 백 위치에 있을 때 작동한다.
또한 상기 원격 테스트 유닛(2910,2920)용 PCB와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용 PCB는 경보 감시를 위해 전압강하 경보회로의 자체 감시를 할 경우에 사용되는 스위치(SWITCH 1); 원격 테스트 유닛-4의 전용회선, 다이얼 업 또는 RS-232C 통신방식에 적용되는 스위치(SWITCH 2); 상기 스위치(SWITCH 2)를 정상위치에 놓고 사용하는 스위치(SWITCH 3); 모뎀 링선 표시기의 동작(LED의 점멸)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SWITCH 4)를 포함한다.
상기 일 스위치(SWITCH 1)를 누르면 최저 알람 회로가 작동하고, 상기 일 스위치(SWITCH 2)가 루프 백 위치에 있을 때에 모뎀회로가 단절되어 직렬통신 방식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일 스위치(SWITCH 4)를 누르면 모뎀 회로가 호출되었을 때 작동하는 LED가 작동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원격 테스트 유닛(2910,2920)용 PCB와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용 PCB는 음성 증폭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음성 볼륨 레벨 조정기와 전화회선을 약 -10 dBm 정도의 레벨로 모뎀의 출력증폭을 조절하는 전송출력 레벨 조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볼륨 레벨 조정기는 약 5V P-P로 조절된다.
그리고 또한 원격 테스트 유닛(2910,2920)용 PCB와 다중채널 테스트 유닛(2500)용 PCB는 데이터 팁선과 데이터 링선을 커넥터 S*1-47과 S*1-22에 접속시키는 계전기와 I & R의 팁선과 링선을 커넥터 S*1-48과 S*1-23에 접속시키는 계전기 그리고 음성합성 장치를 I & R의 팁선과 링선에 접속시키는 계전기 및 다이얼 제너레이터/컷 트루 PCB의 팁선과 링선을 I & R의 팁선과 링선에 접속시키는 계전기를 포함하다.
상기 멀티타이머 PCB는 내선가입자 선로의 상태를 여러 가지 종류의 측정, 즉 AC전압, 저항값, 루프전류, 잡음, 선로 불평형, 신호레벨 등의 측정을 통해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정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압의 측정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에서는 CO 접지(4510)와 아날로그 접지(4520)의 차이를 제외하면, 두 회로의 형태는 동일하다.
즉, 한 회로는 팁 또는 링선(4110)은 감쇠회로(4210)에 연결되고, 팁 또는 링선(4110)은 콘덴서(4310)에 연결되며, 상기 콘덴서(4310)는 버퍼(44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버퍼(4410)는 CO 접지(4510)를 이루고, D/A변환기(4610)에 연결되며, 변환기(4610)는 이득 증폭기(4710)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4710)는 A/D변환기(48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A/D변환기(4810)는 CPU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일 회로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며, 이들 두 회로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처음 측정될 교류전압이 팁선 또는 링선(4110,4120)에 인지되면 감쇠회로(4210,4220)를 거쳐 교류전압이 A/D 변환기(4810,4820)의 측정 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그 하나는 입력신호의 실제 RMS 측정을 제공하는 선형출력이고 다른 하나는 입력신호에 대한 dB를 제공하는 이득 증폭기(4710,7420)와 전압 레퍼런스 회로가 함께 조합되어 나온 dB추력이다. 레퍼런스 전압, 버퍼, 이득회로 등은 수준을 ΦdB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 RMS 출력신호는 증폭기(선택적인 이득 증폭기 또는 2,4,8배의 요소에 의해 증폭되는 증폭기)(4710,47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직류전압 측정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에서도 CO 접지(5150)와 아날로그 접지(5250)의 차이를 제외하면, 두 회로의 형태는 동일하다.
즉, 한 회로는 팁 또는 링선(5110)은 감쇠회로(5120)에 연결되고, 팁 또는 링선(5110)은 콘덴서(5130)에 연결되며, 상기 콘덴서(5130)는 버퍼(51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버퍼(5140)는 CO 접지(5150)를 이루고, 노치 필터(5160)에 연결되며, 노치 필터(5160)는 이득 증폭기(5170)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5170)는 A/D변환기(518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A/D변환기(5180)는 CPU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일 회로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며, 이들 두 회로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측정한 전압이 팁선 또는 링선(5110,5210)에 인가되면 60dB로 60Hz 잡음이 약해지는 60Hz 노치 필터(5160,5260)를 거쳐 이득 증폭기(5170,5270)를 통해 A/D 변환기(5180,5280)로 입력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저항측정 감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에서도 CO 접지(6160)와 아날로그 접지(6260)의 차이를 제외하면, 두 회로의 형태도 또한 동일하다.
즉, 이중 한 회로는 저항(6110)이 팁 또는 링선(6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팁 또는 링선(6120)은 감쇠회로(6130)에 연결되고, 팁 또는 링선(6120)은 콘덴서(6140)에 연결되며, 상기 콘덴서(6140)는 버퍼(615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버퍼(6150)는 CO 접지(6160)를 이루고, 노치 필터(6170)에 연결되며, 노치 필터(6170)는 이득 증폭기(6180)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6180)는 A/D변환기(619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A/D변환기(6190)는 CPU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일 회로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며, 이들 두 회로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저항측정은 10V, 50V, 100V 전압 중에 한가지의 전압을 선택하고, 1K, 10K, 100K 오옴의 저항(6110,6210) 중에 한가지를 취하여 감시 측정을 한 다음 해당 저항(6110,6210)을 선택하고 감쇠회로(6130,6230)와 이득 증폭기(6180,6280)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정확한 A/D 컨버터(6190,6290)의 출력을 읽어 들인다.
루프전류 감시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이회로는 일 전류 감시자(7281)가 팁 또는 링선(7110)에 연결되고, 상기 팁 또는 링선(7110)의 일 측에 저항(7120)이 연결되며, 이 저항(7120)은 아날로그 접지(71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팁 또는 링선(7110)은 버퍼(7240)에 연결되고, 다른 전류 감시자(7282)는 직접 상기 버퍼(72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7240)는 토치 필터(7250)에 연결되고, 상기 노치 필터(7250)는 증폭기(7260)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7260)는 A/D 변환기(7270)에 연결된다.
이 루프전류 감시 회로는 MIS에서 DC 루프 전류키를 누르면 입력회로에 루프 전류측정 감시 저항(7120)에 -48V의 전압이 인가되어 A/D 변환기에 입력된다.
신호측정 감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이 회로는 팁선과 링선이 접속되는 트랜스(8110)가 버퍼(8120)와 연결되고, 버퍼(8120)는 C-메세지 필터(8130)에 접속되며, 상기 필터(8130)는 다시 다른 1KHz의 대역 필터(8140)에 연결된다. 상기 필터(8140)는 변환기(8150)에 연결되고, 변환기(8150)는 이득 증폭기(8160)에 연결되며, 이득 증폭기(8160)는 다른 증폭기(8160)에 연결되고, 다시 A/D 변환기(8180)에 연결되어 CPU에 연결된다.
이러한 신호측정 감시는 MIS에서 TMS 키를 누르면 ΦdBm에서 1004Hz 감시 신호를 송출하거나 전송된 신호의 수준을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송신된 신호의 수준을 측정할 때에는 측정회선의 팁선과 링선이 신호측정 감시회로에 접속되고, 트랜스(8110)를 지나 C-메세지 필터(8130)로 신호가 전송된다. 그 후 C-메세지 필터(8130)로부터 출력이 1KHz인 대역 여파기(8140)를 거쳐 PHS/DC 변환기로 전달되게 된다.
잡음측정 감시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이 회로는 팁선과 링선이 접속되는 트랜스(9110)가 버퍼(9120)와 연결되고, 버퍼(9120)는 C-메세지 필터(9130)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9130)는 다시 다른 버퍼(9140)에 연결된다. 상기 버퍼(9140)는 이득 증폭기(9150)에 연결되고, 이 증폭기(9150)는 변환기(9160)에 연결되며, 이 변환기(9160)는 다시 다른 이득 증폭기(9170)에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9170)는 A/D 변환기(9180)에 연결되어 CPU에 연결된다.
이러한 잡음 측정 감시에 대한 전송 품질상 금속 잡음(DBRNC)의 최저 효과는 다음과 같다. 20 DBRNC 미만일 경우는 만족한 상태를 나타내며, 20 내지 26 DBRNC 인 경우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26 내지 30 DBRNC일 경우에는 조사 및 분석이 필요한 상태임을 나타내고, 30 DBRNC 이상인 경우에는 즉시 고장수리를 해야 하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선로 불평형 측정 감시는 선로 임피던스의 불평형 상태를 측정 감시하여 수행되며, 이러한 측정 감시는 수신측의 응답이 음성이 포함된 신호에서만 수행되고 공용 신호인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감시장치(130,230,330)는 서버(110,210,310)의 명령에 의해 각각의 이상유무에 대한 선로의 측정 감시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에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선로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이하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초 데이터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에 관한정보를 등록하여야 하며 이 아이디는 OS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시스템 관리 테이블의 아이디를 총괄하여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선로의 유지보수를 담당할 업체등록, 시스템에 대한 기능별 사용 등록, 하부기관에 대한 케이블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하부기관코드, 케이블 번호, 시작 선번과 끝 선번, 케이블 명 등) 등록, 가입자 서비스 정지에 대한 내용 등록을 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관리는 내선 가입자와 시설관리 및 서비스에 대한 등급을 단계별로 나누어 등록하고, 각 하부기관에서 관리되는 교환기를 전화국별 교환기 코드로 분리 등록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단자함에 대한 관리는 블록 단위로 관리하며 유지보수 조는 상위기관 및 하부 기관 단위로 유지보수 조를 1 내지 99로 구분하여 구성 관리한다.
그리고 측정 감시되는 선로에 대한 AC전압, DC전압, 저항 정전용량, 루프전류, 단일 주파수 펄스 등의 최적 값을 설정하여 기초 데이터로 하여 측정 감시 대상의 선로에서 측정된 값과 비교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측정 감시 방법은 처음 각각의 시스템(100,200,300)을 가동하는 경우에 리셋 기능에 의해 모든 설정을 초기화하는 단계(S100)를 거친다. 이것은 정상적으로 시스템(100,200,300)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시스템(100,200,300)이 초기화되면, 다음 단계(S200)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버(110,210,310)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종류별로 선로의 감시를 수행하는 선로 감시단계(S300)를 거친다. 여기서 각 종류의 측정 감시는 상기 설명된 감시장치(130,230,330)의 기능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감시를 의미하고, 각 감시장치(130,230,330)가 설치된 위치(상위 부서 또는 하위 부서)에 따라 그 감시 형태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다음 단계(S400)에서는 상기 감시장치(130),230,330)에 의해 검출된 자료를 출력하고, 동시에 그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된 데이터는 이하 상급기관(상위 부서 또는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통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데이터 비교단계(S500)에서는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미리 서버(110,210,310)에 입력된 기초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미리 입력된 기초 데이터는 해당 시스템이 가장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입력된 데이터이다.
그 다음 단계(S600)에서는 상기 데이터 비교단계(S500)에서 비교된 데이터에 의해 해당 선로/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한 것 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경고음 발생 및 선로/내선번호의 이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700)로 진행하고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S7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그 다음 단계(S800)로 진행한다.
상기 경고음 발생 및 이상발생에 대한 정보출력단계(S700)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단말기(140,240,340)를 통해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선로/내선번호에 대한 이상 발생 정보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선로/내선번호, 고장의 종류, 단선거리 등을 의미한다. 이때 발생된 고장의 상태가 보수를 요하는 상태이면, 등록된 유지보수 업체를 호출하여 바로 보수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그 다음 단계(S800)에서는 상기 검출된 자료를 상급기관(상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자료는 본 발명의 일 목적으로 이루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선로의 교체시점, 장비의 교환시점 등에 대한 통계자료로 활용되어 선로/내선번호에 대한 가장 최적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로의 이상 유무 감시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시험 장치는 일정시간 단위로 주 배선반에 연결된 모든 회선에 측정 감시하고 그에 관한 정보를 감시서버로 전송하여 회선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시 안정된 최적의 상태를 갖는 선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기관의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의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로 시설에 대한 평가 및 통계를 통해 시설 노후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감시하기 위해 현장으로 투입되는 인원과 이상이 발생된 지점을 찾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선로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그 고장이 발생된 지점을 신속하게 찾아내어복구할 수 있다. 더욱이 조작이 용이하고 24시간 중단없이 선로를 측정 감시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선로를 구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명칭)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110), 서버(110)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니터(120), 서버(110)의 제어에 의해 각 선로와 하부시스템(200,300)을 감시하고 각 하부시스템(200,300)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감시장치(130), 서버(110)의 제어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나타내며 서버(1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140) 및 검출된 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150)로 구성되는 주 감시시스템(100);
    통신선로와 통신 내선번호를 측정, 감시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서버(210), 서버(2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220), 선로/내선번호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장치(230), 서버(210)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감시장치(230)에 의해 수신된 선로/내선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기(240), 그리고 사설교환기(270)와 부서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화기(260)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
    통신선로와 통신 내선번호를 측정, 감시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서버(310), 서버(3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320), 선로/내선번호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 감시장치(330), 서버(310)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감시장치(230)에 의해 수신된 선로/내선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기(340), 그리고 사설교환기(370)와 부서 내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화기(360)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 및
    상기 주 감시시스템(100)의 감시장치(130)와 각 전화국(421,422,423) 및 1차 하부 감시시스템(200)이 연결되는 주 배전반(410)으로 구성되어 각 서버(110,210,31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선로/배선번호를 측정 감시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상부 시스템으로 송출하여 선로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2차 하부 감시시스템(300)에 포함된 각 감시장치(330)는 서로 지역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설명되는 검출정보(테스트/감시)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140)는 각각의 하부 감시시스템(200,300)이 구성된 관할구역을 전자지도로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관련된 선로번호/내선번호를 표시하는 기능, 전자지도에 선로가 연결된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 선로 또는 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선로 연결도를 표시하고 이상유무에 대한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130,230,330)는 직류와 교류전압 측정 감시, 정전용량 측정 감시, 키-세트(DTMF 또는 DP) 측정 감시, 절연저항 측정 감시, 루프 전류 측정 감시, 다이얼 톤 측정과 Dtd 감시, 링전압 측정과 링팁 감시, 극성역전압 측정 감시, 단선거리 측정 감시, 전송손실과 노치 소음 측정 1/2기능, IDLE 채널 소음 측정 감시, 단일 주파수 측정 감시, 측정 펄스 측정 감시 및 시험 톤 발생 감시 기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130,230,3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PCB, 톤 및 음성 검출/하울러 PCB, 랜/데이터 스피치 PCB, 다중 측정 PCB, 고장지역 모듈, 다이얼 제너레이터/커 트루 PCB, CC/CRㆍ링발생ㆍ모니터ㆍ토크 배트 에엔디알(talk batt SNDR)/하울러 PCB, 임피던스 PCB, 파워 모니터 PCB, T.S.M.(트렁크 스위치 매트릭스), 전원 공급장치, 내부 연결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130,230,330)는 감시장치(130,230,33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다수개의 LED와 다수개의 계전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타이머 PCB는 교류전압의 측정회로, 직류전압 측정회로, 저항측정 감시회로, 루프전류 감시회로, 신호측정 감시회로, 잡음측정 감시회로 및 선로 불평형 측정 감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시스템.
  8.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처음 각각의 시스템(100,200,300)을 가동하는 경우에 리셋 기능에 의해 모든 설정을 초기화하는 단계(S100);
    상기 시스템(100,200,300)이 초기화되면, 설정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0);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버(110,210,310)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종류별로 선로의 감시를 수행하는 선로 감시단계(S300);
    상기 감시장치(130),230,330)에 의해 검출된 자료를 출력하고, 동시에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00);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미리 서버(110,210,310)에 미리 입력된 해당 시스템이 가장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입력된 기초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S500);
    상기 데이터 비교단계(S500)에서 비교된 데이터에 의해 해당 선로/내선번호에 이상이 발생한 것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0);
    상기 단계(S600)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을 판단된 경우에는 경고음 발생 및 선로/내선번호의 이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700); 및
    상기 검출된 자료를 상급기관(상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S800)로 구성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의 감시를 수행하는 선로 감시단계(S300)에서의 측정 감시는 감시장치(130,230,330)의 기능에 의해 수행되고, 각 감시장치(130,230,330)가 설치된 위치(상위 부서 또는 하위 부서)에 따라 그 측정 및 감시 형태를 다르게 수행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자료를 상급기관(상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S800)에 의해 상급기관(상위 부서 또는 사위 시스템)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측정 대상이 되는 각각의 선로에 대한 복구 또는 교체를 위한 통계 자료로 활용하여 노후 된 장비를 제거함으로 최적의 선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의 이상 유무를 측정 및 감시하는 방법.
KR1020010013305A 2001-03-15 2001-03-15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3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05A KR20020073616A (ko) 2001-03-15 2001-03-15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05A KR20020073616A (ko) 2001-03-15 2001-03-15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616A true KR20020073616A (ko) 2002-09-28

Family

ID=2769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305A KR20020073616A (ko) 2001-03-15 2001-03-15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36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671B1 (ko) * 2003-04-25 2005-07-29 김형태 배선 검사 방법, 배선 검사 시스템 및 배선 검사기
KR100769957B1 (ko) * 2004-05-28 2007-10-24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선로고장 시험 및 복구방법
KR100858708B1 (ko) * 2006-11-01 2008-09-17 박금생 자동 주배전반 장치
KR100886855B1 (ko) * 2006-12-26 2009-03-05 한국전력거래소 링신호 발생회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671B1 (ko) * 2003-04-25 2005-07-29 김형태 배선 검사 방법, 배선 검사 시스템 및 배선 검사기
KR100769957B1 (ko) * 2004-05-28 2007-10-24 (주)코아글로벌아이티 선로고장 시험 및 복구방법
KR100858708B1 (ko) * 2006-11-01 2008-09-17 박금생 자동 주배전반 장치
KR100886855B1 (ko) * 2006-12-26 2009-03-05 한국전력거래소 링신호 발생회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0776Y2 (ja) エレベータ設備の遠隔管理装置
US5559854A (en) Subscriber's line testing apparatus
JP3069440B2 (ja) 加入者線多重伝送システムの集中監視方式
JPH02145036A (ja) 伝送路の監視方式
JPH11154902A (ja)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の通話品質監視装置
KR20020073616A (ko)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A2084308C (en) Remotely controlled apparatus for conditioning telephone line exclusive of metallic dc bypass pair
US5142560A (en) Wiretap detector and telephone loop monitor
US72956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telephone lines
Cisco Troubleshooting
KR920002955B1 (ko) 애널로그 가입자 설비 시험 방법
JP3415906B2 (ja) 多目的非常電話機システム
CN108810288A (zh) 一种变电站电话系统的自动监测系统及监测方法
US5828728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219800280U (zh) 火灾报警控制器
KR102117162B1 (ko) 자가 진단형 라인 테스트 박스
KR20010113240A (ko) 네트워크 점검 및 자동응답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270677B1 (ko) 아나로그 가입자 테스트 모듈을 이용한 교환기의 가입자 시험장치
JP4558848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試験
KR200329288Y1 (ko) 디지털 통합 선로 시험대
JPH03289740A (ja) 通信システムの故障切り分け方法とそれに用いる故障検出器
JPS6055764A (ja) 交換機の稼動情報モニタ方式
JPH01106550A (ja) 遠隔設置装置を有する交換機の試験法
KR19980023435A (ko) 선로상태 시험, 전화기의 디지트 송출 시험 등을 할 수 있는 가입자 시험장치 및 그 방법
JPH01132914A (ja) ガス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