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146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146A
KR20020071146A KR1020010011099A KR20010011099A KR20020071146A KR 20020071146 A KR20020071146 A KR 20020071146A KR 1020010011099 A KR1020010011099 A KR 1020010011099A KR 20010011099 A KR20010011099 A KR 20010011099A KR 20020071146 A KR20020071146 A KR 20020071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de
call
edi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봉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1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146A/en
Publication of KR2002007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4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icture capture function is provided to decrease the effort of reworking and offer convenience to a user by providing a time for storing working contents to the user when receiving calls. CONSTITUTION: If a call is received(ST13), it is discriminated whether a current mode of a terminal is an editing mode(ST14). In case that the current mode of the terminal is the editing mode, it is confirmed whether the storage of editing contents is selected(ST15). In case that the storage of the editing contents is selected, a capture menu is loaded and selected(ST16). An editing picture is captured and stored(ST17). If the storage is completed, the mode of the terminal is converted into a call receiving mode(ST18) and the call connects for performing a telephone conversation(ST19).

Description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본 발명은 현재 편집중인 내용을 캡쳐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상기 캡쳐된 화면을 불러내어 재편집할 수 있는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부가 기능(전자수첩, 메시지 전송 등)을 편집중일 때 호(Call)가 수신되어도 편집모드를 잠시나마 유지시킴으로써, 현재까지 편집한 내용을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저장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편집 내용을 로딩하여 계속해서 편집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capture function for capturing and storing content currently being edited and then recalling and re-editing the captured screen at a desired time, in particular, a terminal additional function (electronic notebook). , Even if a call is received while editing a message, etc., by maintaining the edit mode for a while, so that the edited contents so far are stored at the user's discretion, and when the call ends, the loaded edited contents are loaded and continued. It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edited by.

일반적으로, 현대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가 자리잡고 있으며, 그 기능 역시 단순한 통화 기능만이 아닌 다양한 부가 기능(메시지, 인터넷 등)이 요구되어, 이로 인해 많은 제조 및 서비스 업체들이 서로 앞다투어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가 기능은 사용자가 임의로 내용을 편집하거나 입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moder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life of modern people, and its functions require not only a simple call function but also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messages, the Internet, etc.), which leads to many manufacturing and service companies. They are competing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various add-ons, and these add-ons are configured so that users can edit or input contents arbitrarily.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ANT)와,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10)와, 상기 듀플렉서(10)에서 절체된 수신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기위한 수신부(21)와,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듀플렉서(10)로 전달하는 송신부(22)와, 수신/송신부(21)(22)에서 송수신 신호를 처리할 때 신호처리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합성부(23)와,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서비스 측과의 접속 상태를 논리적으로 검출하는 논리부(30)와, 수신부(21)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동작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1 메모리(51)와, 처리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모리(52)와, 한글과 특수문자 및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3 메모리(53)와, 전화기의 동작 상태와 한글과 특수문자 및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60)와, 송수신 전화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70)와, 수신 음성을 송출하는 수화기(81)와, 송신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송화기(82)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특수 자판과 일반 자판으로 이루어진 키패드부(90)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1, the antenna (A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frequency, the duplexer 10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and in the duplexer 10 A receiver 21 for demodulating the transferred signal into an original signal, a transmitter 22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duplexer 10, and a receiver / transmitter 21 and 22 process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s. A frequency synthesizer 23 for generating a signal processing frequency, a logic unit 30 for logically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service side as the terminal moves,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21.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 first memory 51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is embedded, a second memory 52 in which processed data is stored, and a Hangul, special character, and phone number 3 memory 53, operation state of the telephone A liquid crystal display 60 for displaying text, special characters, and telephone numbers, a voice processing unit 70 for processing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voice, a handset 81 for transmitting incoming voice, and a handset 82 for inputting outgoing voice; ), And a keypad 90 made of a special keyboard and a general keyboard for implementing a func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2개의 쉽게 나타나는 부분인 몸체 부분(A) 및 플립소자 부분(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송화기(82)로 말하고 수화기(81)를 통해 들을 수 있는 전화기의 "개방" 위치에서 플립소자(B)를 도시한다.FIG. 2 illustrates an ex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and includes two easily appearing body parts A and flip device parts B. As shown in FIG. The figure shows the flip element B in the " open " position of the telephon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talker 82 and can be heard through the handset 81. As shown in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부(90)는 메모리 재호출을 가지고 결합된 다른 버튼 및 "샌드(Send)", "앤드(End)", "메뉴"와 같은 부가적 기능 버튼 뿐 아니라 유사한 전화기 장치에서 0에서 9까지 번호, # 및 *의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분(A)의 측면에 배치된 2개의 버튼은 신호기 또는 수화기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과 그 외의 여러 기능을 갖는 볼륨조절버튼(91)이다.As shown therein, the keypad 90 has similar buttons as well as other buttons coupled with memory recall and additional function buttons such as "Send", "End" and "Menu". Consists of a number of buttons from 0 to 9, # and *. Two button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A) is a volume control button 91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ignal or the receiver and a number of other functions.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플립소자(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오프-후크(Off-Hook)가 되어 전화호출이 되거나 대답하는 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flip element B is opened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ff-hook to make a phone call or answer.

이때, 안테나(ANT)를 통해 고주파가 수신되면 듀플렉서(10)는 수신 측으로 수신되는 고주파를 전달하게 되며, 수신부(21)는 수신되는 고주파를 증폭시키고, 주파수 합성부(23)에서 얻어지는 국부 주파수와 이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를 검출하며,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제어부(40)에 입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high frequency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the duplexer 10 transmits the high frequency received to the receiving side, and the receiver 21 amplifies the received high frequency, and the local frequency obtained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23 By mixing this, it detects the intermediate frequency, demodulates the original signal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4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통화이면 음성 처리부(70)에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음성 처리부(7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수화기(81)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신되는 음성을 듣게 된다.Next, the controller 40 retrieves the received data and applie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voice processor 70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voice processor 70 processes the input voice signal to the receiver 81. By transmitting, the user hears the voice being received.

그리고, 송화기(82)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부(70)를 통해 처리된 후 송신부(22)에 전달되고, 송신부(22)는 입력되는 송신음성을 변조한 후 전력 증폭하여 듀플렉서(10)로 전달하게 된다.Then, the transmission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talker 82 is processed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7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unit 22, and the transmission unit 22 modulates the input transmission voice and then power amplifies the duplexer ( 10).

이에 따라, 듀플렉서(10)는 입력되는 송신 음성을 안테나(ANT)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게 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duplexer 10 makes a call by transmitting an input transmission voi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tenna ANT.

한편, 사용자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자 키패드부(90)의 "메뉴" 버튼을 조작하면 제어부(40)가 이를 수신하고, 제1 메모리(51)에 내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3 메모리(53)에 저장된 한글과 특수문자 등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부(LCD)(60)에 메뉴를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menu" button of the keypad unit 90 to set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is, and the third memory (3) by the operating program built in the first memory (51) A menu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60 using Korean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stored in 53).

이때, 액정 표시부(60)상에 표시할 메뉴의 동일 레벨이 여러 개일 경우에는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표시하는데, 우선 첫 번째 그룹에 해당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패드부(90)의 "*"나 "#" 등의 이동키(또는 볼륨조절버튼, 여타의 버튼)를 조작하면 다음 그룹에 해당하는 메뉴를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same level of the menu to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 is divided into several groups to display sequentially, first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is displayed, the user of the keypad 90 If you operate the navigation keys (or volume control buttons or other buttons) such as "*" or "#",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next group is displayed.

일 예로, 표시하여야할 동일 레벨의 메뉴 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일 경우에는 3개씩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a), (b), (c)의 순서로 표시하는 것이다.As an example, when the number of menus having the same level to be displayed is nine as shown in FIG. 3, the menu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hree and displayed in the order of (a), (b) and (c) according to the user's button operation. It is.

그리고, 사용자가 1에서 9까지의 숫자 번호 중 해당 기능과 대응하는 버튼을 선택 및 조작하면 제어부(40)는 이를 수신하고, 해당 메뉴의 하위 메뉴를 액정 표시부(60)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among the numeric numbers 1 to 9, the controller 40 receives it and displays the lower menu of the corresponding menu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Call) 수신시에 최상위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어떠한 편집 작업(전자수첩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하는가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편집 중인 모드를 빠져나가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액정 표시부(LCD)에 표시해주며, 이때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호가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generates the highest interrupt when receiving a call and automatically exits the mode being edited regardless of what editing operation (e-book or text message) is performed by the user. A text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displayed on the LCD, and when any button is pressed, a call is connected.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집중인 내용을 저장할 시간적 여유를 부여하지 않고 편집중인 모드에서 빠져나감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수첩이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해 작성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Thus, by leaving the editing mode without giving the user time to store the contents being edited, the user writes the contents for the electronic notebook or the text message disappears.

또한, 이로 인해 사용자는 통화 전에 편집했던 내용을 다시 작업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따르며, 재작성에 따른 시간을 낭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is causes the user to have to re-manipulate from the beginning in order to rework the contents edited before the call,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s time due to rewriting.

또한, 부가기능 이용을 위한 메뉴 선택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메뉴 선택 등의 모드 전환에 따른 소비전력이 증대되어 배터리의 방전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menu selection for the use of the additional function is restarted from the beginning,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such as menu selection, thereby reduc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batter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집 작업중일 때 호(Call)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모드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사용자가 현재까지 작업 중이던 편집 상태를 저장할 것인지 확인하고, 사용자가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을 원할 경우 화면을 캡쳐(capture)하여 저장한 후 호를 수신하고, 통화가 완료되거나 재편집을 원하면 캡쳐된 화면 불러오기 메뉴를 이용하여 통화전 저장된 화면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나머지 편집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o save the edit state that the user has been working so far without automatically exiting the mode when a call is received when the user is editing by using the edit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you want to save the content you are editing, you can capture the screen and save it, then receive the call.When the call is completed or you want to re-edit, you can go to the saved screen before the call by using the recalled menu.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capture function to continue the editing 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수신 대기 상태에서 호(Call)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mode of the terminal when a call is received in a reception waiting state;

상기 판별 결과 편집모드일 경우, 현재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or not to save the content currently being edited in the editing result in the determination mode;

상기 확인 결과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을 요구하는 경우, 편집 중이던화면(screen)을 캡쳐(capture)한 후 저장하는 단계와,Capturing the screen being edited and storing the edited content when the verification requires the storage of the content being edited;

상기 저장 후, 일반적인 호(call)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storage, the method is configured to switch to a general call reception mod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며,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FIG.

도 3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에 의한 액정 표시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 menu displaying method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Call) 수신시 화면 캡쳐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apture process when receiving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loading a screen captur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제어부40 ..... Controls

51, 52, 53 ..... 제1 내지 제3 메모리51, 52, 53 ..... 1st to 3rd memory

60 ..... 액정 표시부(LCD)60 ..... Liquid Crystal Display (LCD)

90 ..... 키패드부90 ..... Keypad

91 ..... 볼륨조절버튼91 ..... Volume control button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captur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cal concep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호가 수신되면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현재의 모드가 편집모드인지 일반모드인지 확인한다. 상기에서 일반 모드일 경우는 그대로 호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 결과 편집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편집 메뉴를 이용하여 작업중인 내용을 사용자에게 저장할 것인지를 확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is received, the terminal automatically checks whether the current mode is the edit mode or the normal mode. In the normal mode, the call is received as it is, and in the edit mod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user confirms whether to save the contents of the work to the user using the edit menu.

다음으로, 상기에서 사용자가 편집(또는 입력)중인 내용의 저장을 원하지 않으면 그대로 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을 원할 경우 상기 편집중인 화면을 캡쳐한 후 메모리에 저장한다.Next,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save the content being edited (or input), the call is received as it is, and if the user wants to save the content being edited, the screen being edited is capt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여기서, 사용자가 편집중인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해서는 미리 표시된 화면의 특성 코드(Feature Code) 및 편집된 내용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Here, in order to capture and store the screen being edited by the user, the feature code and the edited content of the previously displayed screen should be stored.

한편, 상기 특성 코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characteristic code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든 단말기는 많은 부가 기능(전자수첩, 문자 메시지 송수신 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각각의 기능을LCD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화면(또는 메뉴)에 대한 제조 업체 고유의 특성 코드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general, all terminals have many additional functions (electronic notebook,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the like), and to display the respective functions on the LCD screen for the user to use. Manufacturer-specific feature codes for each screen (or menu) are pre-stored in memory.

즉, 메뉴 키를 눌러 표시되는 화면은 각각 특성 코드(Feature Code)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려면 해당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해진 키를 순차적으로 눌러야만 된다. 실례로 현대전자의 "HGP-9800형" 단말기(걸리버)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 내용을 입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시지모드][보낼메시지][메시지] 버튼을 차례대로 눌어야 메시지를 입력시킬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한다.In other words, each screen displayed by pressing a menu key has a feature code.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send a text message, the user must press a predetermined key sequentially to enter the screen. For example, if you want to input the contents of a message in order to send a text message from Hyundai's "HGP-9800" terminal (Gulliver), you must press the [Message Mode] [Send Message] [Message] button in order. Move to the screen where you can input.

상기와 같은 경우 메시지 입력 화면을 위한 특성코드는 [메시지모드][보낼메시지][메시지]가 된다. 물론 상기 버튼 값은 특성코드에서는 어떤 일련의 번호로 저장되며, 또한, 해당 화면으로 진입한 후에는 편집 내지 입력기능을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입력 또는 편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 code for the message input screen is [message mode] [send message] [message]. Of course, the button value is stored as a series of numbers in the characteristic code, and after entering the screen, the user can input or edit the desired contents for editing or input func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Call) 수신시 화면 캡쳐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apture process when receiving a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T11에서 단말기의 전원이 온(On)되고, 단계 ST12에서 수신 대기 상태에서 호 수신을 감지하고, 단계 ST13에서는 상기 호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As shown therein, the terminal is powered on in step ST11, the call reception is detected in the standby state in step ST12, and in step ST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l is received.

다음으로, 상기에서 호가 수신되면 단계 ST14에서 단말기의 현재 모드가 편집(입력)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 결과 편집 모드일 경우 단계 ST15에서 상기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Next, when the call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in step ST14 whether the current mode of the terminal is the edit (input) mode, and as a result, in step ST15,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tent being edited is stored.

다음으로, 상기 결과 저장할 경우 단계 ST16에서 캡쳐 메뉴를 로딩(loading) 및 선택하고, 단계 ST17에서 상기 편집 중이던 화면을 캡쳐한 후 저장한다.Next, in the case of storing the result, the capture menu is loaded and selected in step ST16, and the screen being edited is captured and stored in step ST17.

상기 저장이 완료되면 단계 ST18에서 호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단계 ST19에서 호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진다.When the storing is completed, the call is switched to the call reception mode in step ST18 and the call is connected in step ST19.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을 불러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loading a screen captur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T21에서 저장된 캡쳐 화면을 불러오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고, 단계 ST22에서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특성 코드를 분석 및 로딩(loading)하고, 단계 ST23에서 상기 로드된 특성 코드로 자동으로 진입한다.As shown therein, a menu for recalling the stored capture screen is selected in step ST21, the characteristic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is analyzed in step ST22, and automatically loaded with the loaded characteristic code in step ST23. Enter.

다음으로, 단계 ST24에서 상기 상술한 도면 도 4의 단계 ST17에서 캡쳐 후 저장된 편집 내용의 화면을 로드 및 디스플레이한 후, 단계 ST25에서 편집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게 된다.Next, in step ST24, after loading and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edited contents stored after capturing in step ST17 of FIG. 4 described above, the process automatically enters the edit mode in step ST25.

이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한 후에 캡쳐된 화면을 다시 편집하기를 원할 경우 단말기의 캡쳐 화면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한 후,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특성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저장된 내용을 자동으로 액정 표시부(LCD)에 디스플레이 해준다.As such, when the user wants to edit the captured screen again after completing the call, the user selects the menu of bringing up the capture screen of the terminal, analyzes the characteristic code stored in the terminal, and automatically moves to the corresponding screen. The contents ar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이로써, 사용자는 통화 이전에 편집하던 내용을 마무리 지을 수 있게된다.This allows the user to finish the edits made before the call.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호(Call) 수신시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중인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재작업의 수고를 덜어주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재작업시 낭비하게 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결과적으로 단말기 사용시간을 그만큼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creen capture func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time allowance for the user to save the contents of the work when receiving the call (Call), relieving the effort of rework I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saves the time wasted when reworking, and as a result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terminal usage time.

Claims (2)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신 대기 상태에서 호(Call)가 수신되면, 단말기의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mode of the terminal when a call is received in a reception waiting state; 상기 판별 결과 편집모드일 경우, 현재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or no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edited is to be stor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in the editing mode; 상기 확인 결과 편집중인 내용의 저장을 요구하는 경우, 편집 중이던 화면(screen)을 캡쳐(capture)한 후 저장하는 단계와;Capturing the screen being edited and storing the screen when the content is being edit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상기 편집 중이던 화면을 저장한 후, 일반적인 호(call) 수신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storing the screen being edited and automatically switching to a general call reception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화면 로드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ptured screen loading method comprises: 상기 저장된 캡쳐 화면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한 후,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특성 코드(Feature Code)를 분석하고 해당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단계와;Selecting the stored capture screen recall menu and analyzing a feature code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and automatically moving to a corresponding screen; 상기 해당 화면 이동 후, 상기 캡쳐하여 저장된 편집 내용의 화면을 로드하여 액정 표시부(LCD)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After moving the corresponding screen, loading the screen of the captured and stored edited content and displaying the screen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디스플레이 후 편집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캡쳐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tep of automatically entering the edit mode after the display.
KR1020010011099A 2001-03-05 2001-03-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KR200200711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99A KR20020071146A (en) 2001-03-05 2001-03-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99A KR20020071146A (en) 2001-03-05 2001-03-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46A true KR20020071146A (en) 2002-09-12

Family

ID=2769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099A KR20020071146A (en) 2001-03-05 2001-03-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1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8B1 (en) * 2006-10-31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ltitasking terminal and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8B1 (en) * 2006-10-31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ltitasking terminal and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855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US75091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pting input in non-active mode
KR20010085657A (en) Potable telephone with bookmark sort function
KR20010085656A (en) E-mail handling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and portable telephone using said handling method
JP2005102320A (en) Radio telephone set
KR100353461B1 (en) Apparatus method for increasing function of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01942B1 (en) Dialing method of country code and local code
US20010036844A1 (en) Mobile telephone with electronic mail function
JP2001119467A (en) Mobile phone set
EP1850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7114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capture feature of screen
KR100464028B1 (en)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input mode change
KR20020078401A (en) Method for saving of short message at receiv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0799B1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in mobile phone
KR100455171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4849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reof Operation Method
KR20090039841A (en) Portable terminal and input mode control method
KR100358379B1 (en) A method of short dialing for folder mobile phone
JP2000209660A (en) Communication unit
KR100188874B1 (en) Cellular phone
JP2001168973A (en) Portable phone
KR20000013181A (en) Key input method for cellular phone unit
JP2001127869A (e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KR100442593B1 (en) Method for serv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JP2001111658A (en)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