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967A -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967A
KR20020069967A KR1020010010572A KR20010010572A KR20020069967A KR 20020069967 A KR20020069967 A KR 20020069967A KR 1020010010572 A KR1020010010572 A KR 1020010010572A KR 20010010572 A KR20010010572 A KR 20010010572A KR 20020069967 A KR20020069967 A KR 2002006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aiting
reception
mod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5340B1 (en
Inventor
허윤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40B1/en
Publication of KR2002006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limiting the reception of a waiting call in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restrict the service of a waiting call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TITUTION: Executing an ordinary operation based on a traffic mode, a control part monitors whether a waiting call is received(310,312). In case that it is detected that a waiting call has been received, the control part judges whether a waiting call receiving limitation mode is set(314). If it is judged that the waiting call receiving limitation mode is set, the control part outputs a sound to indicate that the waiting call has been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part displays an associated information message through a display part(316). Then the control part monitors whether a call transfer request is received(318). In case that the call transfer request is detected, the control part executes the traffic mode dependent on the waiting call(320).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기 호 수신 제한방법{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How to limit waiting call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 호(waiting call)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한 대기 호의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ting cal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limiting a service of a received waiting call.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 통화를 주 기능으로 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알림 기능, 전화번호 기능, 수신제한 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voice call as a main function, and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a notification function, a phone number function, a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and the like.

상기 수신제한 기능은 대기모드에서 수신되는 호에 대한 통화를 제한하는 기능으로, 특정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상기 상대방을 구분할 수 있는 기타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를 제한하는 기능이다.The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is a function of limiting a call for a call received in a standby mode, and is a function of limiting a call from a counterpart determined by a specific counterpart phone number or other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counterpart.

한편, 오늘날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사용자가 통화 중일 시 수신되는 대기 호가 있음을 통화하는 대기 호 수신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oday'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waiting call reception function is implemented to call that there is a waiting call that is received when the user is busy at the request of the user.

하지만, 종래 대기 호 수신 기능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해제 또는 설정이 불가능하여 상기 대기 호 수신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중요한 통화를 수행하고 있더라도 대기 호 수신에 따른 확인 음 및 확인 안내메시지를 의무적으로 제공받아야 하였다. 그로 인해, 종래에는 대기 호가 수신되었으나 기존의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확인 음을 계속 들으면서 통화를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있는 중에 대기 호의 수신으로 인해 확인 음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확인 음으로 인해 녹음이 중간 중간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by call reception function cannot be released or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f the standby call reception function is set, even if an important call is performed, a confirmation tone and confirmation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waiting call must be provided. It was.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waiting call was received, but if you want to continue to perform the existing call mod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call must be continued while listening to the confirmation tone. In particular, if a confirmation tone is generated due to reception of a waiting call while recording a call, the recording is interrupted midway due to the confirmation ton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대기 호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limiting the call waiting servic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대시 호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stricting wheth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dash call ser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제3자로부터의 대기 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의 설정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대기 호를 무시하고,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 호 수신 제한방법을 구현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of determining a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by a user's request when a standby call from a third party is received during a call, and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set. If so, the call is ignored, and the call reception limit method is implemented, which includes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unit that the call reception limit mode is set.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대기 호의 수신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전환 요청에 의해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대기 호 수신 제한방법을 구현하였다.More preferably, if the waiting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not set, the display indicates that the waiting call has been received, and the call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by the call switching request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of the waiting call. Implementing a method for limiting call waiting, which further includes a process of perform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pplying a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 기능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setting a call waiting limi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의 수신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performed by reception of a standby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setting a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의 수신 제한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pplying a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of a standby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0)는 통화모드에서 대기 호가 수신될 시 설정된 대기 호 수신모드 및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에 의해 상기 대기 호를 처리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대기 호의 수신에 따른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동작모드는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대기 호 수신모드 및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될 것이다. 메모리부(116)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요구되는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롬(ROM)과, 각종 전화번호, 이름 및 SMS에 의한 저장 메시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어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16)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의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요구에 의해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키입력부(112)는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특히 상기 키 입력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표시부(114)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각종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모뎀(118)은 상기 제어부(110)로부터의 송신할 메시지를 소정 변조방식에 의해 변조를 행하여 RF 송신부(122)로 제공하며, RF 수신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모뎀(118)은 상기 RF 수신부(12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대기 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상기 RF 송신부(122)는 상기 모뎀(118)으로부터 제공되는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상기 RF 수신부(120)는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18)으로 제공한다. 듀플렉서(124)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RF수신부(120)로 제공할 수신신호와 상기 RF 송신부(122)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송신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10 performs a control to process the waiting call by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and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set when the standby call is received in the call mod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sets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reception of a waiting call by a request from a user.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ode will be a standby call reception mode and a standby call reception limit mode. The memory unit 116 may include a ROM for storing control data required by the controller 110,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data such as various telephone numbers, names, and storage messages by SMS, and the control operation. RAM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store temporary data generated by the RAM. Therefore, the memory unit 116 stores the data from the controller 110 and outputs the data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110. The key input unit 112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10.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112 includes function keys for setting a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isplays various messages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modem 118 modulate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0 to a RF transmission unit 122 by modulating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and demodulates data provided from the RF reception unit 120 to control the control unit 110. To provide. In particular, the modem 118 provides the control unit 110 when the reception of the standby call is detected by the signal from the RF receiver 120. The RF transmitter 122 converts the modulated data provided from the modem 118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radio frequency signal. The RF receiver 120 converts the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modem 118. ) The duplexer 124 performs an operation of separating the received signal to be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ed to the RF receiver 120 and the transmit signal received from the RF transmitter 122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 기능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setting a call waiting limit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대기 호 수신 제한 요구를 수신하면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대기 호 수신 제한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 대기 호 수신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 receives a call request restriction request from a user, the user sets a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nd sets a standby call reception mode when a user receives a request for canceling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의 수신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performed by reception of a standby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대기 호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하는 과정과, 대기 호 수신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대기 호가 수신되면 통화를 전환하여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 standby call reception limit mode is set, and the process of continuing the call mode,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is set, and performs the call mode even when a standby call is received while the call mode is performed. If a waiting call is received during the process, the call is switched to perform a call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은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는 동작과, 설정된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에 의해 대기 호가 수신될 시의 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First,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y distinguishing an operation for setting a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nd an operation when a standby call is received by the set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먼저,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제어부(110)는 도 2의 2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대기 호 수신 제한 요구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대기 호 수신 제한의 해제 요구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대기 호 제한 요구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대기 호 수신모드를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것이며, 상기 대기 호 제한 해제 요구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대기 호 제한모드를 대기 호 수신모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것이다.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 요구 및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 해제 요구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12)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 키들을 조작함으로서 상기 키 입력부(112)로부터의 키 입력데이터가 제공됨을 의미한다.The controller 110 monitors whether a call request restriction request from a user is received in step 210 of FIG. 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onitors whether a request for canceling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is received in step 212. The standby call restriction request is for switching the currently set standby call reception mode to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nd the standby call restriction release request is for switching the currently set standby call restriction mode to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It requires a transition. The waiting call reception restriction request and the waiting call reception restriction release request mean that key input data from the key input unit 112 is provided by a user operating predetermined function keys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2.

상기 210단계에서 대기 호 수신 제한 요구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호 제한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212단계에서 대기 호 수신 제한 해제 요구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호 수신모드를 설정한다.When the reception of the call waiting restriction request is detected in step 210,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14 and sets the call waiting mode.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in step 212 that the reception of the request to cancel the call reception restriction,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16 to set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의 일 예는 도 4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4는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따라 표시부(114)에 표시되는 메시지들을 보여주고 있다.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setting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4. 4 illustrates the mess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according to the process of setting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10은 사용자가 키입력부(112)에 구비된 메뉴 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참조번호 410에서 보여지는 메뉴들을 표시한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스크롤(scroll)을 이동시켜 상기 메뉴들 중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한다. 상기 도 4의 참조번호 412는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메뉴로서 "7.휴대폰관리" 메뉴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상기 "7.휴대폰관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은 스크롤을 이동시켜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과 7번 숫자 키를 눌러 직접 선택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해당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비밀번호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참조번호 414) 상기 비밀번호를 묻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휴대폰 관리에 따른 항목들을 표시한다.(참조번호 416) 상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항목들 중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에 해당하는 "5.사용제한" 항목을 선택한다.(참조번호 418) 상기 "5.사용제한" 항목을 선택하는 방법 또한 앞에서 "7휴대폰관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5.사용제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사용제한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표시한다.(참조번호 420) 상기 참조번호 420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제한에 대응하는 항목들은 사생활보호, 메모리제한 및 수신제한이 있다. 상기 항목들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목은 "3.수신제한" 항목이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3.수신제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수신을 제한할 대상의 선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참조번호 422) 상기 참조번호 422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신을 제한할 대상은 전화와 메시지가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신을 제한할 대상으로 전화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통상적인 일반제한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대기제한을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참조번호 424) 즉, 전화 수신제한 옵션 기능을 일반전화와 통화중대기를 구분하여 구현하고 있다.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통화대기제한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4)는 통화대기제한(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을 설정할 것인지 해제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참조번호 426)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대기제한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대기제한의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대기 호 수신모드를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presses a menu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2,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the menus shown by reference number 4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do. In response, the user moves a scroll and selects a menu for setting a call waiting restriction mode among the menus. Reference numeral 412 of FIG. 4 shows that the menu “7. Mobile phone management” is used as a menu for setting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7. mobile phone management" menu can be used both by moving the scroll and selecting the menu and by directly pressing the number 7 key. When the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a message asking for a passwor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reference number 414). When a password is input,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items according to mobile phone manage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reference number 416). The user sets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among the displayed items. Select the "5. Restriction" item that corresponds to the item for reference. (Reference number 418) The method of selecting the "5. Restriction" item can also be used. Can be. When the item “5. Restriction of Use”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items corresponding to the restriction of u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reference numeral 420). Similarly,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usage restriction are privacy protection, memory restriction and reception restriction. Among the above items, the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tem “3. On the other hand, when the "3. reception restriction"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a message requesting selection of a subject to be restricted from recep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Reference number 422 As shown at 422, subjects to which reception is restricted are calls and messages. When the telephone is selected as the target to limit the reception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4 to select a general general limit and a call waiting lim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 424) In other words, the phone call restriction option function is implemented by distinguishing between regular phone and call waiting. When the user selects the call waiting limit in response to the message,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set or release the call waiting limit (waiting call reception limit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Reference numeral 426) Therefore, when the setting of the call waiting limi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10 sets the waiting call reception limit mode. Otherwise, when the release of the call waiting restri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10 sets the waiting call reception mode.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화대기제한이 해제되면 일반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통화대기제한이 설정되면 특수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10 performs a general operation when the call waiting limit is released, and performs a special operation when the call waiting limit is set.

상기 제어부(110)가 일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통화 중에 제3자로부터의 대기 호가 수신되면 "뚜우 뚜우"하는 대기 호 수신신호가 수화기를 통해 울리고, 상기 표시부(114)를 통해서는 대기 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가 특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통화 중에 제3자로부터의 대기 호가 수신되면 별도의 대기 호 수신신호의 발생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표시부(114)를 통해서는 "통화중 대기가 제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When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a normal operation, if a waiting call from a third party is received during a call, a waiting call reception signal “too bullfighting” is sounded through the handset, and the display unit 114 receives the waiting call. A message informs you.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a special operation, if a waiting call from a third party is received during a call, a separate waiting call reception signal is not generated, and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waiting during a call." Is restricted. "

상기 제어부(110)가 상술한 일반동작 및 특수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요구되는 제어 흐름은 도 3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다.The control flow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11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general operation and special operation is as shown in FIG. 3.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0단계에서 통화모드에 따른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며, 312단계에서는 상기 통화모드에 따른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대기 호가 수신되는 지를 감시한다. 상기 대기 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10단계에서 통상적인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312단계에서 대기 호의 수신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의해 현재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술한 특수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판단에 의해 현재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대기 호 수신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술한 일반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특수동작의 수행은 324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일반동작은 316단계 내지 322단계에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a call mode in step 310, and monitors whether a waiting call is received while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all mode in step 312. If the reception of the waiting call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110 will continue the normal call mode in step 310. However, if the reception of the waiting call is detected in step 312,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314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waiting call reception limit mode is set. If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that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currently set, the above-described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However, if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is not currently set by the determination and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is set, the above-described general operation is performed. The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 324, and the general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s 316 to 322.

먼저, 대기 호 수신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확인 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해당 안내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14)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확인 음은 앞에서의 "뚜우 뚜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메시지는 "통화중 대기 호가 있습니다"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18단계에서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전환 요구가 수신되는 지를 감시한다. 상기 통화 전환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모드가 수행되는 중 상기 제어부(110)는 322단계에서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의 종료를 감시한다.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10단계로 리턴하여 이전에 수행하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Fir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call reception mode is set,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316 and sends a confirmation tone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standby call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corresponding guidance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14. The confirmation tone may be the above-mentioned "two bullfight" and the guide message may be "there is a waiting call during a call". The controller 110 monitors whether a call transfer request from a user is received in step 318. When the call change request is detected,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320 to perform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The controller 110 monitors the termination of the call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in step 322 while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is performed. When the call termina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the control unit 110 returns to step 310 to perform the call mode previously performed.

다음으로,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2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안내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14)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해당 안내메시지는 앞에서도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통화중 대기가 제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해당 안내메시지를 표시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10단계로 진행하여 수행 중이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기 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대기 호를 무시하고, 현재 서비스 중인 통화모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set,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324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guidance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14. As described above, the corresponding message may be a message that "waiting for a call is limited." Afte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guide message,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310 to perform a call mode that was being performed. That is, when the standby call is received in the state where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set, the controller 110 ignores the received standby call and continuously performs the call mode currently in ser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기존 전화 수신 제한 옵션 기능이외에 대기 호의 수신을 제한하는 옵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서 통화중에 제3자로부터의 통화 요구로 인해 현재 통화가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에게 옵션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n option for restricting reception of a waiting cal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all reception restriction option, thereby preventing the current call from being disturbed by a call request from a third party during the call. . That is, 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opportunity of option selec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the user with more convenience.

Claims (2)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대기 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대기 호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limiting the waiting call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waiting call servic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통화 중에 제3자로부터의 대기 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의 설정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by the user's request, setting a call waiting restriction mode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a third party during a call;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대기 호를 무시하고,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if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set, disregarding the standby call and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unit that the standby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s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기 호 수신 제한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대기 호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대기 호의 수신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전환 요청에 의해 상기 대기 호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If the waiting call reception restriction mode is not set, indicating that the waiting call has been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performing a call according to the waiting call by a call switching request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of the waiting call;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KR1020010010572A 2001-02-28 2001-02-28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KR100735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72A KR100735340B1 (en) 2001-02-28 2001-02-28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72A KR100735340B1 (en) 2001-02-28 2001-02-28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67A true KR20020069967A (en) 2002-09-05
KR100735340B1 KR100735340B1 (en) 2007-07-04

Family

ID=2769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72A KR100735340B1 (en) 2001-02-28 2001-02-28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42B1 (en) * 2002-11-27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method in the busy of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840A (en)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How to opt out of certain calls
JP2000312256A (en) * 1999-04-27 2000-11-07 Nec Mobile Commun Ltd Call refusing method in cellular telephone
KR100570348B1 (en) * 1999-07-20 2006-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intercepting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14882A (en) * 2000-08-19 2002-02-27 박종섭 Method for processing calling name presentation function at call wait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26050A (en) * 2000-09-30 2002-04-06 김대기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lephone in a cdma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142B1 (en) * 2002-11-27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ce method in the busy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40B1 (en)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CA231509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voicemai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99490B2 (en) Call control method for dual-mode mobile terminals and a dual-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5363429A (en) Radio telephone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 interrupting caller and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KR100703505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trs
US7123903B2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US20020094847A1 (en) Service method in a mobile terminal
WO2000049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incoming emergency calls to a wireless phone
AU721445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450138B1 (en) Method for informing the caller that the callee is busy
KR100735340B1 (en) Method for restrict incoming waiting call in mobile station
US6208868B1 (en) Expanded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3062836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WO1999057880A1 (en) Programmable time-controlled functions in mobile terminal handsets
EP0438137B1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2752994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JP3037203B2 (en) Mobile phone equipment
KR1008509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wo phone number service in thereof
US5983110A (en) Method for operating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in which the method can be used
KR100834659B1 (en) The method for telephon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call number storing of call number using a plurality of call number in mobile terminal
KR20030049382A (en) Method for share of between mobile terminal
KR100441468B1 (en) Telephone number auto chosen system and method
KR20020021835A (en) Mobile station having alarm means for call state of mobile station with reserved cal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535988B1 (en) SMS Transmission Method in Mobile Phone
KR20010003363A (en) Auto-answer method in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