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055A -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 Google Patents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055A
KR20020062055A KR1020010003276A KR20010003276A KR20020062055A KR 20020062055 A KR20020062055 A KR 20020062055A KR 1020010003276 A KR1020010003276 A KR 1020010003276A KR 20010003276 A KR20010003276 A KR 20010003276A KR 20020062055 A KR20020062055 A KR 20020062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key
moni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젼
Priority to KR102001000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2055A/en
Publication of KR2002006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05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transmitting a selective multichannel video is provided to selectively display video signals inputted from many cameras on a monitor, to selectively transmit a self video signal to the other party, thereby enjoying other people's singing features in other rooms or other karaokes. CONSTITUTION: At least one cameras(10) are installed every karaoke room. Many video distributing devices(21, 22, 23) receive video signals from the cameras, and check states of the received video signals to selectively output normal video signals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outside. An operator server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tributing devices to connect the video distributing devices to the Internet, and collects/arranges all the video signals of the cameras to make the video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remote video distributing devices.

Description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본 발명은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들을 선택적으로 모니터에 현시하여 볼 수 있으며 자신의 영상신호를 상대방에게 선택적으로 전송해 줄 수 있는 영상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display video signals input from a plurality of cameras selectively on a monitor, and to transmit their video signals to the other party selectively. It relates to a transmission system.

현재 많은 수의 노래방이 운영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노래방을 이용하고 있다.There are a large number of karaoke rooms in operation, and many people use them.

현재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노래 연주기는 노래방운영자가 보내주는 영상신호를 모니터상에 현시하여 주며,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바탕으로 현시되는 노래가사를 보며 노래를 부르게 된다. 노래 연주기는 초기에는 하나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화면을 제공하여 주었으나, 최근에는 여러개의 모니터를 설치하여 여러 화면을 동시에 현시해 줌으로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있다.Currently, the song player used in karaoke displays the image signal sent by the karaoke operator on the monitor, and the user sings while viewing the song lyric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video. The song player initially provided a screen using a single monitor, but recently, a plurality of monitors are installed to display multiple screens at the same time.

그러나, 결국 종래의 노래방 반주기는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이외에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여러개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 저장된 화면이나 TV화면을 여러 화면을 통해 동시에 보여주거나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여러개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여주는 정도이다.However, after all, the conventional karaoke half cycle does not have a special function other than the ability to sing a song. Even when multiple monitors are used, previously stored screens or TV screen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multiple screens or a single image is divided and displayed on multiple monitor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래방내 각 방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들을 각 방의 사용자들이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며, 이렇한 영상신호의 공유를 통해 서로 다른 방에 있는 사람들간에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대화를 나누고 같이 노래도 부를 수 있는 새로운 놀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ke a picture of each room in the karaoke with a camera and to allow the users of each room to selectively view the video signals taken, and to share the video signal with the other party in the other room It is to provide an optional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that can provide a new play that allows you to chat and watch songs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분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노래방들을 네트웍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onnecting the karaoke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다수의 카메라 21, 22, 23 : 영상분배장치10: multiple cameras 21, 22, 23: video distribution device

31, 32, 33 : 노래 연주기 41 : 모니터31, 32, 33: Song player 41: Monitor

50 : 운영자서버 201 : 영상신호입력부50: operator server 201: video signal input unit

202 : 마이콤 203 : OSD처리부202: micom 203: OSD processing unit

204 : 영상신호출력부 205 : 영상신호체크부204: video signal output unit 205: video signal check unit

206 : 데이터통신부 207 : 키입력 및 LED부206: data communication unit 207: key input and LED unit

208 :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 Image and screen splitte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은 다수의 카메라, 노래 연주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해주는 영상분배장치 및 영상분배장치로부터의 영상신호나 상기 노래 연주기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현시해주는 다수의 모니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lectiv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video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song players, cameras and selectively outputs the normal video signals according to the external input And a plurality of monitors which display the video signal from the video distribution device or the video signal from the song play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10)는 일반 비데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폐쇄회로 카메라 등 임의의 장면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시켜주는 모든 종류의 카메라가 포함된다. 이러한 카메라(10)는 노래방내의 각 방에 적어도 한개가 설치되며, 노래방 기계에 코인이 투입되거나 시간이 입력되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조건이 되면 자동으로 동작하여 해당 방내의 장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The camera 10 includes all kinds of cameras that transmit an image signal by photographing an arbitrary scene such as a general video camera, a digital camera, a closed circuit camera, and the like. At least one of the cameras 10 is installed in each room in the karaoke, and when the coin is put into the karaoke machine or the time is input to the condition that can sing a song automatically operates to shoot the scene in the room taken Output the signal.

영상분배장치(21, 22, 23)는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신호들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신호를 해당 모니터에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분배장치(21, 22, 23)는 각 노래방내 각 방에 하나씩 설치되며, 상호 네트웍(LAN)으로 연결되어통신함으로써 서로 다른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간에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해주며, 자신의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다른 방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and 23 receive the image signals from the camera 10 and output the image signals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rresponding monitor. Such a video distribution device (21, 22, 23) is installed in each room in each karaok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network (LAN)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singing songs in different room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event the video signal photographed in one's room from being transmitted to another room.

노래 연주기(31, 32, 33)는 일반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연주기와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과 가사를 제공한다.Song player 31, 32, 33 provides the music and lyrics selected by the user with the same function as the player used in the normal karaoke.

모니터(41, 42, 43)는 영상분배장치(21, 22, 23) 및 노래 연주기(31, 32, 33)로부터 전송되오는 영상신호 및 노래가사 등의 문자정보를 현시하여 준다. 각 방에 설치되는 모니터(41, 42, 43)의 숫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방에 설치되는 모니터(41, 42, 43) 중 하나의 모니터(41a, 42a, 43a)가 연주기(31, 32, 33)와 연결되어 있어 해당 모니터에만 연주기(31, 32, 33)로부터의 노래가사와 같은 문자정보가 현시되는 것처럼 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결관계는 각 방내 모든 모니터들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을 통해 원하는 모니터에 연주기(31, 32, 33)로부터의 문자정보가 현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monitors 41, 42, and 43 display character information such as video signals and song lyrics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23 and the song players 31, 32, 33. The number of monitors 41, 42, 43 provided in each room is not limited. In addition, in FIG. 1, one of the monitors 41a, 42a, 43a of the monitors 41, 42, 43 installed in each room is connected to the players 31, 32, 33, so that only the monitors 31, 32 are connected to the monitor. , But textual information, such as the lyrics of a song from 33, is displayed, but this connection can be extended to all monitors in each room. Character information can be made manifest.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분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영상분배장치(21, 22, 23)의 기능은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영상분배장치(2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Since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image distributors 21, 22, and 23 are the same, the image distributor 21 will be described here.

영상신호입력부(201)는 다수의 카메라(10)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마이콤(202)은 영상분배장치(21)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영상신호입력부(201)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들 중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다른 영상분배장치(22, 23)들과의 데이터통신을 통해외부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가 다른 방에서 현시되지 않도록 한다.The image signal input unit 201 receives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0. The microcomputer 202 controls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 21 as a whole, and selectively outputs normal video signals among the video signals received from 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1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In addition,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2 and 23, the image signal photographing the room according to the external input signal is not displayed in another room.

OSD처리부(203)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모니터(41)에 현시되는 영상신호와 함께 표시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 OSD(On Screen Display)의 기능과 동일하다.The OSD processing unit 203 allows a character input by the user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monitor 41. This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On Screen Display (OSD).

영상신호출력부(204)는 영상신호를 노래 연주기(21)로 전송해 주거나 해당 모니터(41)에 현시되도록 해준다.The video signal output unit 204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song player 21 or allows it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monitor 41.

영상신호체크부(205)는 영상신호입력부(201)에 입력된 각 영상신호들의 로스(loss)여부 즉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 및 입력된 영상신호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등을 체크하여 그 결과를 마이콤(202)에 전송하여 준다.The video signal checking unit 205 checks whether the video signals inputted to 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1 are lost, that is, whether the video signals are inputted, and whether the input video signals are not damaged. The microcomputer 202 transmits the data.

데이터통신부(206)는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어 다른 방의 영상분배장치(22, 23) 및 더 나아가서는 다른 노래방의 영상분배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206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ystem so as to exchange data with the image distribution devices 22 and 23 of the other room and moreover, the image distribution devices of the other karaoke rooms.

키입력 및 LED부(207)는 선택키, 각 선택키에 대응하는 LED 및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화면분할을 위한 화면분할키 및 영상분할을 위한 영상분할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키를 이용하여 모니터(41)의 각 화면에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들 중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현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다.The key input and LED unit 207 includes a selection key, an LED corresponding to each selection key, and a character input key for character inpu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division key for screen division and an image division key for image division. The user can select and display the video signal that the user wants to see among the video signals input from the camera 10 on each screen of the monitor 41 by using the selection key, and use the character input key to display the desired text ( Message).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모니터의 화면영역을 다수로 분할하여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할된 모니터의 적어도 한 영역에 현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영상신호를 하나의 모니터에 동시에 현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하나의 영상을 분할한 후 각 분할된 영상을 모자이크와 같이 각기 하나의 모니터에 현시되도록 함으로써 대화면의 영상을 이룰 수 있다.The image and screen splitter 208 divides the screen area of the monitor into a plurality so tha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is display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divided monitor. Through this function, several different video signals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monitor. In addition, the image and the screen splitter 208 may form an image of a large screen by dividing one image and then displaying each divided image on one monitor as a mosaic.

마이콤(202)은 카운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예컨대 10㎳ 간격으로 영상신호체크부(205)와 키입력 및 LED부(207)로부터의 전송되오는 로스플래그(loss flag)비트와 키플래그(key flag)비트가 각각 "1"인지를 체크함으로써 영상신호의 손상여부 및 선택키에 의한 선택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한다.The microcomputer 202 uses a counter (not shown), for example, a loss flag bit and a key flag transmitted from the image signal check unit 205 and the key input and the LED unit 207 at intervals of 10 ms. key flag) bits are " 1 " for checking whether the video signal is damaged or whether the selection signal is input by the selection key.

사용자가 노래방내의 어느 한 방(방1)에서 노래를 부를 준비가 완료되면 즉 동전이 투입되거나 시간이 입력되어 노래선곡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방1에 설치된 카메라(10)가 작동하면서 방1의 모습 특히 노래부르는 사람의 모습을 촬영한다. 이때, 각 방에는 기본적으로 1대의 카메라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방에 여러대의 카메라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신호는 방1을 포함하여 노래방내 각 방의 작동중인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로 전송된다.When the user is ready to sing in a room (room 1) in a karaoke room, that is, when coins or a time is input and ready for song selection, the camera 10 installed in the room 1 is operated to The filming of the singer, especially the singer. In this case, one camera is basically installed in each roo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everal cameras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one room. The video signal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and 23 in operation of each room in the karaoke room including the room 1.

다수의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들 모두 노래방내 각 방의 작동중인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로 전송된다.All of the plurality of image signal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0 ar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23 in operation of each room in karaoke.

영상신호입력부(201)는 카메라(1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콤(202) 및 영상신호체크부(205)로 전송한다. 영상신호체크부(205)는 각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의 손실여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마이콤(202)에 전송하여 준다.The video signal input unit 201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the camera 10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microcomputer 202 and the video signal checker 205. The video signal checker 205 checks whether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each camera 10 is lost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icrocomputer 202.

처음 노래를 시작할 때에는 노래방 운영자가 일률적으로 제공해주는 영상이 기본적으로 모니터(41)에 현시된다. 사용자가 다른 방의 모습을 보고자 하는 경우, 키입력 및 LED부(207)의 선택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의 모습을 볼 수 있다.When the song starts for the first time, a video provided uniformly by the karaoke operator is basically displayed on the monitor 41.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appearance of another room, the user can view the desired room by using the key input and the selection key of the LED unit 207.

키입력 및 LED부(207)에는 각 모니터(41a ∼ 41d)의 수만큼 구비되어 각 모니터별로 지정된 선택키가 있어서 이 선택키를 이용하여 각 모니터에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들 중 원하는 영상을 현시할 수 있다. 키입력 및 LED부(207)는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 주는 영상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래방키 및 자신의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가 다른 방으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키,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키, 영상분할을 위한 영상분할키 및 화면분할을 위한 화면분할키 등이 포함한다.The key input and LED unit 207 is provided with the number of the monitors 41a to 41d, and there is a selection key designated for each monitor, and thus, among the video signals received from the camera 10 in each monitor by using this selection key, You can display the image. The key input and LED unit 207 is a karaoke key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provided by the karaoke operator and a blocking key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photographing his room to another room, character input for character input A key, an image division key for image division, and a screen division key for screen division, and the like.

선택키를 이용하여 각 모니터(41a ∼ 41d)에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모니터(41a)에 해당하는 선택키를 한번 누르면 해당 LED가 온되고, 키입력 및 LED부(207)는 선택신호를 마이콤(202)으로 전송한다. 선택신호를 수신한 마이콤(202)은 첫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검색하여 이를 OSD처리부(203)로 전송하여 준다. OSD처리부(203)는 마이콤(202)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신호에 해당 방번호 및 기타 문자정보를 삽입한 후 별도의 영상분할이나 화면분할신호가 없으면 바로 영상신호출력부(204)를 통해 영상신호를 해당 모니터(41a)에 전송하여 준다. 만약, 영상분할이나 화면분할신호가 입력되었으면 OSD처리부(203)는 영상신호를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해당 선택키를 한번 더 누르면, 마이콤(202)은두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검색한 후 해당 영상신호를 OSD처리부(203)와 영상신호출력부(204)를 통해 모니터(41a)에 전송하여 준다. 만약, 해당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없거나 영상신호가 손실되어 모니터에 현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전의 화면을 계속 현시하는 상태에서 현시가 불가능한 방번호와 함께 접속불가를 나타내는 메세지(예컨대, "NO ACCESS")를 모니터(41a)에 표시한다. 해당 선택키를 계속 한번씩 눌러주면 세번째, 네번째 등 순차적으로 각 카메라로부터 전송받는 영상을 검색하여 모니터(41a)에 현시해준다. 다른 모니터(41b ∼ 41d)의 경우에도 지정된 선택키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신호가 가능하다.A method of displaying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 10 on each of the monitors 41a to 41d using the selection key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41a once, the corresponding LED is turned on, and the key input and the LED unit 207 transmit the selection signal to the microcomputer 202.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the microcomputer 202 searches for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camera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OSD processing unit 203. The OSD processing unit 203 inserts the room number and other character information into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computer 202, and immediately receives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204 when there is no separate video split or screen split signal. It transfers to the said monitor 41a. If an image split or screen split signal is input, the OSD processor 203 transmits a video signal to the image and screen split unit 208. When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selection key once more, the microcomputer 202 searches for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amera and then sends the video signal to the monitor 41a through the OSD processing unit 203 and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204. Send it. If there is no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 or the video signal is lost and cannot be displayed on the monitor, a message indicating that connection with the room number that cannot be displayed while displaying the previous screen is impossible (for example, "NO ACCESS"). Is displayed on the monitor 41a. If the corresponding selection key is pressed once and again, the images received from each camera in the third, fourth, etc. are sequentially searched for and displayed on the monitor 41a. Also in the case of the other monitors 41b to 41d, the video signal is possible in the same manner using the designated selection key.

또한, 이러한 영상신호는 모니터화면 전체뿐만아니라 다중분할된 모니터화면의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현시(화면분할)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신호를 여러 모니터에 모자이크식으로 현시(영상분할)하여 대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니터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모니터화면상에 여러개의 영상을 동시에 현시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영상을 여러개의 모니터에 각각 현시하여 여러개의 모니터화면을 하나의 모니터화면처럼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video signal can be displayed (screen split) on at least one region of not only the entire monitor screen but also a multi-segmented monitor screen, and a single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a plurality of monitors in a mosaic manner. It can be represented as That is, by dividing one monitor screen into multiple screens, several images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monitor screen, and by dividing one video into multiple monitors, each divided image is displayed on multiple monitors. You can treat the screen as a single monitor screen.

이하, 상술된 화면분할과 영상분할을 위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the above-described screen division and image divis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하나의 모니터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에 각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현시(화면분할)하기 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4개의 모니터가 한조로 되어 있고, 모니터(41a)의 화면을 4분할하여 모니터(41a)에 4개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현시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자가 선택키를 이용하여 분할하고자 하는 모니터(41a)를 선택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키입력 및 LED부(207)의 화면분할키를 누른다. 그러면, 키입력 및 LED부(207)는 마이콤(202)에 화면분할신호를 전송한다. 화면분할신호가 수신되면 마이콤(202)은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로 모니터(41a)를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지시하고, 분할된 각 영역을 기 설정된 모니터 선택키와 매치시킨다. 이렇게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이유는 모니터(41)가 4개의 모니터(41a ∼ 41b)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즉, 모니터(41a)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좌측상단영역, 모니터(41b)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우측상단영역, 모니터(41c)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좌측하단영역 및 모니터(41d)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우측하단영역으로 각각 매치된다. 사용자가 키입력 및 LED부(207)의 선택키를 누르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해당 분할영역에 영상신호를 현시한다. 화면분할이 끝난 후 다시 화면분할키를 누르면 모니터(41a)의 화면분할은 완료된다. 다른 모니터(41b ∼ 41d)들에 대한 화면분할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선택키와 화면분할키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하나의 모니터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독립적으로 영상신호를 현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As a method for dividing one monitor into multiples to display (screen split) the video signal from each camera in each divided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The screen is divided into four and four video signal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monitor 41a. First, the user selects the monitor 41a to be divided using the selection key. Next, the user presses a key input and a screen division key of the LED unit 207. Then, the key input and LED unit 207 transmits the screen split signal to the microcomputer 202. When the screen split signal is received, the microcomputer 202 instructs the image and screen splitter 208 to divide the monitor 41a into four areas, and matches each divided area with a preset monitor selection key. The reason for this division into four areas is that the monitor 41 is made up of four monitors 41a to 41b. That is, the selection key of the monitor 41a is the upper left area of the four-split screen, the selection key of the monitor 41b is the upper right area of the four-split screen, and the selection key of the monitor 41c is the left of the four-split screen. The lower area and the selection keys of the monitor 41d are respectively matched to the lower right area of the divided screen. When the user presses a key input and a selection key of the LED unit 207, the image and screen divider 208 displays the image signal i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When the screen division key is pressed again after the screen division is completed, the screen division of the monitor 41a is completed. Screen splitting for the other monitors 41b to 41d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This method makes it possible to easily divide a single monitor screen into multiple screens using only a selection key and a screen division key, and to display an image signal independently in each divided area.

상술된 화면분할방법은 화면분할을 위한 일 실시예이며, 다른 여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니터(41a)를 선택한 상황에서 화면분할키를 누르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모니터(41a)에 화면분할을 위한 메뉴를 현시한다. 즉, 해당 모니터의 화면을 몇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인지, 어느 영역에 어떤 영상신호를 현시할 것인지 등의 메뉴를 현시한다. 사용자는 제시된 메뉴에 따라 모니터(41a)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영상신호가 현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creen splitting method is an embodiment for screen splitting, and various other methods may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screen division key in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selects the monitor 41a, the image and screen division unit 208 displays a menu for screen division on the monitor 41a. That is, a menu such as how many areas the screen of the monitor is divided, and which video signals are displayed in which areas are displayed. The user may divide the screen of the monitor 41a according to the presented menu and display an image signal in the divided area.

하나의 영상을 여러개의 화면에 모자이크식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는 사용자가 영상분할키를 누르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도 1과 같이 전체 모니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현시되는 영상을 4분할한다. 다음에 각 분할된 영상을 해당 모니터에 현시한다. 즉, 분할된 영상 중 좌측상단영역은 모니터(41a), 우측상단영역은 모니터(41b), 좌측하단영역은 모니터(41c) 및 우측하단영역은 모니터(41d)에 각각 현시된다. 화면이 보다 많아 전체모니터(41)가 예컨대 16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분할키가 눌리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16개로 분할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분할되는 영상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영상분할키를 누른 후 원하는 만큼의 연속되는 모니터 선택키들을 동시 또는 차례로 눌러주고 다시 영상분할키를 눌러주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눌려진 선태키의 수 만큼 영상을 분할 한 후 해당 모니터에 분할된 영상을 각각 현시한다.In the case where a single image is to be displayed on a plurality of screens in a mosaic manner, when the user presses the image split key, the image and the screen divider 208 are composed of four monitors as shown in FIG. Split the video into four. Next, each divided image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monitor. That is, among the divided images, the upper left area is displayed on the monitor 41a, the upper right area on the monitor 41b, the lower left area on the monitor 41c, and the lower right area on the monitor 41d, respectively. If there are more screens and the entire monitor 41 is composed of 16, for example, when the screen split key is pressed, the image and screen splitter 208 basically divides the image into 16 images, but the number of images divided by the user. Can be adjusted. In other words, after the user presses the image segmentation key, the user presses a number of consecutive monitor selection key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nd then presses the image segmentation key again. The image and screen divider 208 divides the image by the number of the selected key. After that, the divided images ar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monitor.

상술된 영상분할방법도 영상분할을 위한 일 실시예로, 영상분할을 위한 메뉴를 두어 영상신호를 임의로 수로 분할하여 이를 임의의 모니터들에 현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mage segmentation method is also an embodiment for image segmentation, and by setting a menu for image segmentation, the image signal can be arbitrarily divided into numbers and set to be displayed on arbitrary monitors.

사용자가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원치않는 경우 노래방키를 누르면, 마이콤(202)은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차단하고 별도의 채널을 통해 노래방 운영자가 제공해주는 영상신호를 모니터(41)에 현시해 준다.If the user does not want the video signal from the camera 10, pressing the karaoke key, the microcomputer 202 blocks the video signal from the camera 10 and monitors the video signal provided by the karaoke operator through a separate channel ( 41).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가 외부로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1번 카메라가 설치된 방1의 사용자가 자신들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다른 방으로 전송하고 싶지 않아 차단키를 누른경우, 마이콤(202)은 데이터통신부(206)를 통해 다른 방(방2, 방3)에 설치된 영상분배장치(22, 23)의 마이콤(202)으로 1번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방1의 마이콤(202)은 1번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만을 수신하여 모니터(41)에 현시한다. 즉, 자신들의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방의 영상신호들도 볼 수 없게 된다. 차단키를 다시 누르면, 방1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다시 다른 모든 방으로 전송된다.In addition, the user may prevent the image signal photographing his room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If the user of the room 1 where the camera 1 is installed does not want to transmit the video signal photographed to the other room and presses the blocking key, the microcomputer 202 uses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06 for another room (room 2,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202 of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2 and 23 installed in the room 3 so as not to receive the image signal from the first camera. The microcomputer 202 of room 1 receives only the video signal from the first camera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41. That is, when their video signals are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video signals of other rooms cannot be seen. When the block key is pressed again, the video signal of room 1 is transmitted back to all other rooms.

본 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다른 방에 있더라도 마치 한 방에 있는 듯 서로 공동으로 노래를 부르거나 노래부르기 시합 등이 가능해 진다. 더욱이, 다른 여러 방들 중 어느 하나의 방 만을 선택하여 해당 두 방들사이에서만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방1의 사용자들이 방2의 사용자들과만 대화를 나누고 싶은 경우, 방1의 사용자들은 키입력 및 LED부(207)를 이용해 메세지를 작성하고 방번호를 지정하여 전송하면, 방1의 마이콤(202)은 메세지를 지정된 방(방2)의 마이콤(202)으로 전송한다. 방2의 마이콤(202)은 수신한 메세지를 OSD처리부(203)로 전송하며, OSD처리부(203)는 수신한 메세지와 메세지를 보낸 방번호를 모니터(41)에 현시한다. 이에 대응하여 방2의 사용자들이 특정키를 누르면, 방1과 방2의 영상신호는 다른 방에서는 현시되지 않고 방1과 방2에서만 현시되어 두 방의사용자들이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게된다.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is in a different room, it is possible to sing or sing a song jointly with each other as if they are in one room. Furthermore, one of the other rooms can be selected so that the conversation only takes place between those two rooms. For example, when the users of room 1 want to talk only with the users of room 2, the users of room 1 write a message using key input and LED unit 207 and specify the room number and send the message. The microcomputer 202 transmits a message to the microcomputer 202 of the designated room (room 2). The microcomputer 202 of the room 2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OSD processing unit 203, and the OSD processing unit 203 displays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oom number to which the message is sent to the monitor 41. In response, when users in room 2 press a specific key, the video signals of rooms 1 and 2 are not displayed in other rooms, but only in rooms 1 and 2 so that users of both rooms can have a conversation while watching each other's video. do.

더욱이, 영상분배장치(21, 22, 23)가 레코딩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자신이 노래하는 모습을 비디오테이프, CD, DVD, 또는 영상분배장치(21, 22, 23)내 하드디스크 등에 기록할 수 있으며, 노래방내 각 영상분배장치(21, 22, 23)들을 연결한 네트웍(LAN)을 인터넷에 연결시킴으로써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전자우편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and 23 further include a recording unit (not shown), so that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and 23 can record their songs.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video data stored in the hard disk to the outside by connecting the network (LAN) connecting the respective video distribution devices (21, 22, 23) in the karaoke to the Internet. Can be.

도 3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각 노래방들내의 네트웍(LAN)을 상호 연결시켜 상술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노래방내의 사람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노래방의 사람들과도 서로 대화를 나누고 같이 노래도 부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운영자서버(50)의 구축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러한 운영자서버(50)는 각 노래방내 영상분배장치(21, 22, 23)들이 상호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각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이 다른 인터넷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각 노래방내에서 다른 방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는 것을 상술된 방법과 같으나, 다른 노래방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는 경우에는 운영자서버(50)를 통해 이루어진다. 운영자서버(50)는 각 노래방내의 모든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각 노래방별로 취합/정리한다. 다른 노래방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분배장치(21, 22, 23)는 데이터통신부(206)를 통해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후 원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된다. 또한,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영상분배장치는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다른 영상분배장치들과 메세지를교환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에는 인터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가능해야 한다.As shown in FIG. 3, the networks (LANs) in the karaoke room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interconnected so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people in one karaoke room as described above, but can also talk with other karaoke people and sing songs together. Can b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separate operator server 50, the operator server 50 is to enable each of the video distribution device (21, 22, 23) in each karaoke mutual data communication, each video distribution The devices 21, 22, and 23 allow other Internet servers (not shown) to provide Internet services. Selectively presenting the video signal of the other room in each karaok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method, but in the case of selectively presenting the video signal from the other karaoke is made through the operator server (50). The operator server 50 receives the video signals from all the cameras in each karaoke, and collects and organizes each karaoke.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and 23 that want to receive video signals from other karaoke rooms may selectively receive the desired video signals after accessing the operator server 5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206. In addition, the image distribution device connected to the operator server 50 may exchange messages with other image distribution devices connected to the operator server 50. Of course, in order to receive such an Internet service, each of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21, 22, and 23 must have an Internet client program installed and executable.

또한, 운영자서버(50)는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다른 컴퓨터(PC)들에게도 각 노래방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server 50 may also transmit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s of each karaoke to other computers (PC) connected to the operator server 50.

상술한 발명에 의하면, 노래방에서 단지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주는 화면을 보며 노래만 부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 또는 다른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의 모습을 선택적으로 보면서 같이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not only sing a song while viewing the screen provided by the karaoke operator in the karaok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lectively enjoy watching the appearance of people singing in another room or other karaoke.

Claims (12)

노래방의 모니터에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기 위한 영상 전송시스템에 있어서,In the video transmission system for selectively displaying the video signal on the karaoke monitor, 노래방의 각 방마다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카메라;At least one camera installed in each room of karaoke; 노래 연주기; 및Song player; And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의 상태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해주는 다수의 영상분배장치를 포함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And a plurality of video distribution devices for receiving video signals from the cameras, checking the state of the received video signals, and selectively outputting normal video signals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들과 접속하여 상기 영상분배장치들을 인터넷에 접속시켜주며, 상기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신호들을 모두 취합/정리하여 원격지의 영상분배장치간 영상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영자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connecting to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and all image signals from the cameras are collected / arranged to exchange image signals between remot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Optional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or serv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mage distribution device 상기 다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입력부;An image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상기 영상분배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영상신호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선택적으로 영상신호의 외부 전송을 차단하는 마이콤;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 as a whole, selectively outputs video signals received from the video signal input unit, and selectively blocks external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상기 모니터에 현시되는 영상과 함께 현시되도록 하는 OSD처리부;An OSD processing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by a user together with an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출력부;A video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the outside;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 수신된 각 영상신호들의 손상여부를 체크하는 영상신호체크부;An image signal checking unit which checks whether each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signal input unit is damaged;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통신부; 및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ystem;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가 현시되도록 조작하며, 문자입력을 위한 키입력 및 LE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And at least one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at least one monitor, and comprises a key input and an LED unit for character inpu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모니터의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분할된 모니터의 적어도 한 영역에 현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다중분할하여 다수의 상기 모니터에 현시되도록 하는 영상 및 화면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divides the screen of the monitor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o display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divided monitor, or to multi-split one image. And an image and a screen splitter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외부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Th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video distribu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수신한 영상신호를 비디오데이프,CD, DVD, 상기 영상분배장치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중 어느 하나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4. The multi-channel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received image signal on any one of a video tape, a CD, a DVD, and a hard disk built in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Video transmission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및 LED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key input and LED unit 상기 모니터 중 어느 특정된 모니터에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 중 어느 특정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기 위한 선택키;A selection key for selectively presenting any particular video signal among the video signal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on any one of the monitors;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 주는 영상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래방키;Karaoke key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provided by the karaoke operator; 상기 영상분배장치와 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다른 영상분배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키;A blocking key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a camera matched with the image distribution device to another image distribution device; 영상신호의 분할을 위한 영상분할키; 및A video partition key for partitioning a video signal; And 상기 모니터의 화면분할을 위한 화면분할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And a screen division key for screen division of the monito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차단키가 선택되어 상기 영상분배장치와 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다른 영상분배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른 영상분배장치들과 매치되는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신호들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is matched with the other image distribution apparatuses when the blocking key is selected and does not transmit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a camera matched with the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to another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An optional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receive video signals from camera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및 LED부는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8. The selectiv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key input and LED unit further comprises a text input key for text inpu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문자입력키를 통해 입력된 메세지를 다른 특정된 영상분배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10. Th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claim 9, wherein the video distribution device is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input through the text input key to another specified video distribution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상기 영상분배장치들을 인터넷상에 접속된 인터넷서버에 접속시켜주어 상기 영상분배장치들이 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3. Th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or server connects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es to an Internet server connected on the Internet so that the video distribution apparatuses can receive an Internet ser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카메라들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들을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외부의 컴퓨터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The multi-channel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or server transmits the video signals received from the cameras to an external computer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KR1020010003276A 2001-01-19 2001-01-19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KR200200620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76A KR20020062055A (en) 2001-01-19 2001-01-19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76A KR20020062055A (en) 2001-01-19 2001-01-19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21U Division KR200227655Y1 (en) 2001-01-19 2001-01-19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055A true KR20020062055A (en) 2002-07-25

Family

ID=2769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276A KR20020062055A (en) 2001-01-19 2001-01-19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205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38B1 (en) * 2002-06-25 2005-03-24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The transferring and monitoring complex system
KR20060113032A (en) * 2005-04-29 2006-11-02 홍택 Vending machine type box of nightclub
US8289367B2 (en) 2008-03-17 2012-10-16 Cisco Technology, Inc. Conferencing and stage display of distributed conference participa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38B1 (en) * 2002-06-25 2005-03-24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The transferring and monitoring complex system
KR20060113032A (en) * 2005-04-29 2006-11-02 홍택 Vending machine type box of nightclub
US8289367B2 (en) 2008-03-17 2012-10-16 Cisco Technology, Inc. Conferencing and stage display of distributed conference particip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188A (en) Digital audio-video presentation display system
TW48816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controlled selective overlay in a streaming media
US20070287141A1 (en) Internet based client server to provide multi-user interactive online Karaoke singing
EP1599018A1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A2136364A1 (en)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processes using finite state machines
JP2000506700A (en) Interactive cable network for facsimile and voicemail
JP2000504897A (en) Media online service access system and method
EP1274245A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KR20090004962A (en) System for triggering terminals
WO2004096399A1 (en) Game system, game machine, game data delivery device, image data delivery system, and computer-usable information
US20030065806A1 (en) Audio and/or visual system, method and components
JP6368875B1 (en) Karaoke equipment switching device
WO20202138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al-time participation streaming service through internet
CN108595133B (en) Picture-in-picture display method and system
CA2426917A1 (en) Synchronous control of media in a peer-to-peer network
KR200227655Y1 (en)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KR20020062055A (en) 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KR100885615B1 (en) System and method of full duplex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vice to provide added data of contents relation product on the air
KR20000012158A (en) System for multifunction network of singing room with audio amplifier and display
JP5794934B2 (en) Collaboration song recording system
JPH08125760A (en) Information processor
JPH0252584A (en) Video signal transmitter
KR20240044403A (en) Participational contents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235303A (en) Karaoke system
KR20010111600A (en) Show a movi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