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604A -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604A
KR20020052604A KR1020000081998A KR20000081998A KR20020052604A KR 20020052604 A KR20020052604 A KR 20020052604A KR 1020000081998 A KR1020000081998 A KR 1020000081998A KR 20000081998 A KR20000081998 A KR 20000081998A KR 20020052604 A KR20020052604 A KR 2002005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voice
signal
voice sig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동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2604A/en
Publication of KR2002005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604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clearly transmit only voice signal of a caller to an object in an area in which a noise is very generated by discriminating voic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aller and transmitting only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discriminated voic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aller. CONSTITUTION: The first BPF(Band Pass Filter) unit(120) filters a transmission voice of a user inputted from a microphone(110) through the first to fifth BPFs(121-125) when discriminat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filters the transmission voice of the user through the BPF selected according to a filter selection signal when performing a telephone conversation. A level comparator(140) compares the level of a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BPF unit(12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and outputs the difference. The second BPF unit(150) filters a frequency output from the level comparator(140) as a set band and outputs the filtered frequency. A control unit(160) analyzes the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BPF unit(150), recognizes a voice band of the user, provides the filter selection signal to the first BPF unit(120) so that the only recognized voice band of the user, transmits the reference level to the level comparator(140), and generates a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n AGC(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A switch(130) corresponds to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160),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PF unit(120) to a rear terminal or bypasses the voice signal to the ground. An AGC amplifier(170) controls a gain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ar terminal through the switch(130) according to the AGC signal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160) and outputs the controlled voice signal as the transmission voic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음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판별 과정을 통해 송화자의 음성 주파수 정보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송화자의 음성 주파수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송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상대방에게는 송화자의 음성 신호만을 선명하게 전달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voice control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voice frequency information of a caller is discriminated through a voice discrimination process, and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ic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aller is controlled so that noise is generat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ransmission voice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learly transmits only a voice signal of a caller to a counterpart even in a large area.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셀룰라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신호 송, 수신은,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은 복조를 한 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송출해주는 과정으로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은 증폭, 변조 등의 과정을 통해 송신하여 상대방 측으로 전송해주는 과정으로 송신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voi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and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ceived by a process of demodulating voices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and then transmitting them through a speaker.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transmitted through amplification, modulation, and the like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종래의 음성 송신 장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증폭기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하고, 변조 장치를 통해 변조를 하며, 전력 증폭기를 통해 전력 증폭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In such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brief description of a conventional voice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mplifying a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to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an amplifier, modulating through a modulation device, and power using a power amplifier. Amplify and transmit via antenna.

이때 사용자의 통화 환경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음성 품질은 많은 차이가 있다.At this time, the voice quality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depends on the call environment of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음이 없는 아주 조용한 곳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음성 품질도 매우 양호한 반면, 사용자가 주변 소음이 많은 곳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에게도 주변 소음이 전달되어 상대방을 매우 불쾌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makes a call in a very quiet place, the voice quality is very good. Very often it is very unpleasant.

이것은 종래의 음성 송신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 즉 주파수 정보만을 추출하여 전송해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음성 외의 주변 소음까지도 같이 상대방에게 전송 해주므로써 발생하는 문제이다.This is because the conventional voice transmitter does not have a function of extracting and transmitting only a user's voice signal, that is, frequency information, and this causes a problem caused by transmitting the ambient noise other than the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as wel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여 제안된 것으로서,음성 판별 과정을 통해 송화자의 음성 주파수 정보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송화자의 음성 주파수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송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상대방에게는 송화자의 음성 신호만을 선명하게 전달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determines the voic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aller through the voice discrimination process, and controls to transmit only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voic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aller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mission voice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learly transmit only a voice signal of a caller to a counterpart even in a region where a lot of noise occur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주파수 정보 판별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복수개의 대역필터로 각각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실제 통화시 필터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대역필터를 통해서만 상기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대역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 필터부와;When the frequency information is determined,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filtered and output through a plurality of band filters, and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is band-filtered and output only through a band filter selected according to the filter selection signal during actual call. A first band filter unit;

상기 제1 대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의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출력하는 레벨 비교기와;A level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level of the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level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상기 레벨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설정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 필터부와;A second band filter unit filtering and outputting a frequency output from the level comparator to a set band;

a) 상기 제2 대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인식하고,a) recognizing a voice band of a user by analyzing a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band filter unit,

b)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만이 송출되도록 상기 제1 대역 필터부에 필터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레벨 비교기에 기준 레벨을 전달하며,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 및 자동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b) applying a filter selection signal to the first band filter part to transmit only the recognized voice band of the user, transferring a reference level to the level comparator, and generating a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A controller;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대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후단으로 전달해주거나 접지로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와;A switch configured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ransfe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to the rear stage or bypass to ground;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자동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후단으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송신 음성으로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configured to control the gain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ar end through the switch according to the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and output the transmitted voice as a transmission vo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voice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마이크 120: 제1 대역 필터부110 :. Microphone 120: first band filter unit

130: 스위치 140: 레벨 비교기130: switch 140: level comparator

150: 제2 대역 필터부 160: 제어부150: second band filter unit 160: control unit

170: 자동 이득 제어 증폭부170: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voice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참조부호 110은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20은 주파수 정보 판별시 상기 마이크(1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복수개의 대역필터로 각각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실제 통화시 필터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대역필터를 통해서만 상기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대역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 필터부를 나타낸다.Here,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microphone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receives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and reference numeral 120 denotes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110 when frequency information is determined. A first band filter unit filters and outputs a plurality of band filters, respectively, and band-filters and outputs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only through a band filter selected according to a filter selection signal during an actual call.

여기서 제1 대역 필터부(120)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300Hz ~ 15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필터(121)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500Hz ~ 18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필터(122)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800Hz ~ 25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3 대역 필터(123)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1000Hz ~ 30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4 대역 필터(124)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300Hz ~ 34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5 대역 필터(125)로 구성된다.Here,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band filter 121 for filtering an input voice signal into a 300 Hz to 1500 Hz band, and a second band filter 122 for filtering an input voice signal into a 500 Hz to 1800 Hz band. ), The third band filter 123 for filter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800 Hz to 2500 Hz band, the fourth band filter 124 for filter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1000 Hz to 3000 Hz band, and the input voice signal. It consists of a fifth band filter 125 for filtering in the 300Hz ~ 3400Hz band.

또한, 참조부호 140은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내의 복수개의 대역 필터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의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출력하는 레벨 비교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50은 상기 레벨 비교기(14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설정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 필터부를 나타낸다.Further,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a level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level of frequencie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bandpass filters in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with a preset reference level and outputting a difference. Reference numeral 150 denotes the level. The second band filter unit filters the frequency output from the comparator 140 to the set band and outputs the filtered band.

또한, 참조부호 160은 상기 제2 대역 필터부(15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만이 송출되도록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에 필터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레벨 비교기(140)에 기준 레벨을 전달하며,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 및 자동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160 analyzes the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band filter unit 150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band, and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to transmit only the recognized voice band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pply a filter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ransmit a reference level to the level comparator 140, and generate a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또한, 참조부호 130은 상기 제어부(160)에서 발생된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후단으로 전달해주거나 접지로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70은 상기 제어부(160)에서 발생된 자동 이득 제어 신호(AGC)에 따라 상기 스위치(130)를 통해 후단으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송신 음성으로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130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60 to transfe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to the rear end or bypass to ground. The reference numeral 170 denotes an automatic switch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ar end through the switch 130 according to the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AGC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60 and outputting it as a transmission voice. Represents a gain control amplifi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 장치는, 먼저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판별하기 위해 제어부(160)는 제1 대역 필터부(120)에 모든 필터를 선택하도록 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발생하며, 레벨 비교기(140)에는 초기 기준 레벨을 전달해준다.In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vo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irst determine a voice band of a user in an initial state,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to select all filters. A sel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level comparator 140 transmits an initial reference level.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대역 필터부(120)는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제1 내지 제5 대역 필터(121 ~ 125)로 각각 대역필터링하여 출력한다.In this state,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filters the transmission voice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0 to the first to fifth band filters 121 to 125 and outputs the band.

즉, 제1 대역 필터부(120)는, 제1 대역 필터(121)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300Hz ~ 15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고, 제2 대역 필터(122)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500Hz ~ 18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제3 대역 필터(123)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800Hz ~ 25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제4 대역 필터(124)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1000Hz ~ 30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제5 대역 필터(125)로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300Hz ~ 34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That is,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filters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first band filter 121 into the 300 Hz to 1500 Hz band, and filters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second band filter 122 into the 500 Hz to 1800 Hz band. And the third band filter 123 filters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800 Hz to 2500 Hz band, and the fourth band filter 124 filters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1000 Hz to 3000 Hz band and the fifth band filter. In 125, the input audio signal is filtered through the 300Hz to 3400Hz band.

이렇게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레벨 비교기(140)로 각각 전달되며, 상기 레벨 비교기(140)는 초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상기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을 제2 대역 필터부(150)에 전달한다.The voice signal output in this way is transferred to the level comparator 140, and the level comparator 140 compares the initial reference level with the level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nd compares the difference value with the second band filter unit 150. To pass).

상기 제2 대역 필터부(150)는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역(300Hz ~ 3400Hz)으로 필터링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The second band filter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by filtering the input signal to a preset band (300 Hz to 3400 Hz).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 대역 필터부(15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주파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인식한다.The controller 160 converts a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band filter unit 150 into a digital signal, analyzes the converted frequency information, and recognizes a user's voice band.

이러한 과정으로 사용자의 음성 대역이 인식되면, 제어부(160)는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에 필터 선택 신호를 전달하고, 아울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기준 레벨을 상기 레벨 비교기(140)에 전달해준다. 여기서 설정되는 기준 레벨은 시스템 특성상 최저 사용 가능 레벨이다.When the voice band of the user is recognized in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a filter selection signal to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so that only a frequency band suitable for the recognized voice band of the user is output. The reference level is transmitted to the level comparator 14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voice band is present. The reference level set here is the lowest usable level due to system characteristics.

한편, 통화시 제1 대역 필터부(120)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160)로부터 필터 선택신호가 전달되면, 내부의 제1 내지 제5 대역 필터(121 ~ 125)중 상기 필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대역 필터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4개의 대역 필터는 오프 시킨다.In the meantime, when the filter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6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corresponds to the filter selection signal among the first to fifth band filters 121 to 125. Only the band filter is active and the remaining four band filters are off.

따라서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제1 대역 필터부(120)내의 활성화된 하나의 대역 필터만을 통해 대역 필터링된 후 스위치(130)의 일단 및 레벨 비교기(140)에 전달된다.Accordingly,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0 is band filtered through only one band filter activated in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and then transmitted to one end of the switch 130 and the level comparator 140.

상기 레벨 비교기(14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설정한 기준 레벨과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게 되고, 그 차이를 출력하게 되며, 제2 대역 필터부(150)는 상기 레벨 비교기(140)에서 출력되는 차이 주파수를 설정 대역(300Hz ~ 3400Hz)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The level comparator 140 compares the reference level set by the controller 160 with the level of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and outputs the difference. The unit 150 filters the difference frequency output from the level comparator 140 to a set band (300 Hz to 3400 Hz) and transmits the difference frequency to the controller 160.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주파수와 미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주파수가 미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보다 매우 낮을 경우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잡음으로 인식하고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13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60 compares an input frequency with a pre-recognized user's voice band, and recognizes the input signal as noise when the input frequency is much lower than the pre-recognized user's voice band, and controls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s to control the switch 130.

상기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스위치(130)는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후단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대역 필터부(120)의 출력 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 시킨다.The switch 130 receiving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bypasse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to the ground to prevent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rear end. Let's do it.

즉,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잡음이나 소음 등으로 인식되면 자동으로입력 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 시켜 잡음이나 소음 등이 상대방에게 전송되지 않도록 하여, 통화 품질을 향상시킨다.That is, when a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0 is recognized as noise or noise, the input signal is automatically bypassed to ground to prevent noise or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reby improving call quality.

물론,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주파수가 상기 미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런 경우에는 제1 대역 필터부(12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스위치(130)를 통해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70)에 전달된다.Of course, the controller 160 does not generate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when the input frequency is the same as the voice band of the pre-recognized use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outputs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120.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70 through the switch 130.

이에 따라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70)는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초기에 설정된 이득에 적합하게 증폭하여 송신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70 amplifies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to suit the initially set gain and outputs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주파수와 미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비교한 결과, 입력되는 주파수가 미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의 중심 값에서 조금 작거나 크게 인식되는 경우에는, 자동 이득 제어를 통해 송신 음성을 최적화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60 compares the input frequency with the pre-recognized user's voice band, and when the input frequency is recognized as a little smaller or larger in the center value of the pre-recognized user's voice band, automatic gain The control optimizes the transmitted voice.

즉,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주파수가 미리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의 중심 값에서 조금 작거나 크게 인식되면, 이를 알맞은 레벨로 조정할 수 있도록 자동 이득 제어 신호(AGC)를 발생하여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70)에 전달한다.That is,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n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AGC) to adjust the input frequency when the input frequency is a little smaller or larger than the center value of the pre-recognized user's voice band. Forward to 170.

상기와 같은 경우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는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is not generated.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170)는 전달되는 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13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이득을 알맞게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통화 품질을 유지하게 된다.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70 maintains optimal call qualit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gain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 130 according to the gain control signal transmitted.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사람들마다 고유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데 착안하여, 사용자의 고유 주파수를 인식하고, 12 ~ 18dB 옥타브(Octave) 정도의 성능을 가지는 필터를 사용하면, 항상 최적의 사용자 음성만을 상대방에게 전달해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fact that each person has a natural frequency, and if the user's natural frequency is recognized and a filter having a performance of about 12 to 18 dB octave is used, only the optimal user's voice is alway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 can deliver 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대역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고유 주파수를 판별하고, 그 인식된 고유 주파수에 대응하는 대역만을 송출함으로써, 항상 최적의 사용자 음성만을 상대방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user's natural frequency through the user's voice band recognition, and by transmitting only the b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natural frequency, the effect that can always deliver only the optimal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To provide.

또한, 상기와 같은 송신 음성 제어 방법을 통화를 필요로 하는 모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통신 시스템의 통화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voice control method is applied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requiring a call, it also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all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Claims (2)

주파수 정보 판별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복수개의 대역필터로 각각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실제 통화시 필터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대역필터를 통해서만 상기 사용자의 송신 음성을 대역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 대역 필터부와;When the frequency information is determined,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filtered and output through a plurality of band filters, and the user's transmission voice is band-filtered and output only through a band filter selected according to the filter selection signal during actual call. A first band filter unit; 상기 제1 대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의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출력하는 레벨 비교기와;A level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level of the frequency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level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상기 레벨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설정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2 대역 필터부와;A second band filter unit filtering and outputting a frequency output from the level comparator to a set band; a) 상기 제2 대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 대역을 인식하고,a) recognizing a voice band of a user by analyzing a frequency output from the second band filter unit, b)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대역만이 송출되도록 상기 제1 대역 필터부에 필터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레벨 비교기에 기준 레벨을 전달하며,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 및 자동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b) applying a filter selection signal to the first band filter part to transmit only the recognized voice band of the user, transferring a reference level to the level comparator, and generating a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A controller;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음성 신호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대역 필터부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후단으로 전달해주거나 접지로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와;A switch configured to transmit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band filter part to a rear end or bypass the ground in response to the voice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자동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후단으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송신 음성으로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Transmit voic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ar end through th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automatic gain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output as a transmission voice. Device. 청구항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대역 필터부는,The first band filter unit,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300Hz ~ 15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필터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500Hz ~ 18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필터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800Hz ~ 25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3 대역 필터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1000Hz ~ 30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4 대역 필터와,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300Hz ~ 3400Hz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5 대역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A first band filter for filter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300 Hz to 1500 Hz band, a second band filter for filter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500 Hz to 1800 Hz band, and a third filtering the input voice signal into the 800 Hz to 2500 Hz band A band pass filter, a fourth band filter for filtering an input voice signal into a band of 1000 Hz to 3000 Hz, and a fifth band filter for filtering an input voice signal into a band of 300 Hz to 3400 Hz; Control unit.
KR1020000081998A 2000-12-26 2000-12-26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KR200200526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998A KR20020052604A (en) 2000-12-26 2000-12-26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998A KR20020052604A (en) 2000-12-26 2000-12-26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604A true KR20020052604A (en) 2002-07-04

Family

ID=2768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998A KR20020052604A (en) 2000-12-26 2000-12-26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2604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10B1 (en) * 2002-11-27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Noise record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585778B1 (en) * 2004-10-13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moving surrounding noise in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2427B1 (en) * 2005-01-28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improved sound
KR100936772B1 (en) * 2008-05-29 2010-01-15 주식회사 비손에이엔씨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removal
ES2409094A1 (en) * 2011-12-19 2013-06-24 Televes, S.A. Discriminator device for radio frequency signal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10B1 (en) * 2002-11-27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Noise record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585778B1 (en) * 2004-10-13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moving surrounding noise in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2427B1 (en) * 2005-01-28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improved sound
KR100936772B1 (en) * 2008-05-29 2010-01-15 주식회사 비손에이엔씨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removal
ES2409094A1 (en) * 2011-12-19 2013-06-24 Televes, S.A. Discriminator device for radio frequency signal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6171B2 (en) Receiving volume automatic variable circuit
US5734987A (en) Noise-controlled communication apparatus
US5398281A (en) Telephone with hands-free operation
US6798881B2 (en) Noise reduction circuit for telephones
JPH09261134A (en) Telephone handset interface device
JP3022807B2 (en) Mobile phone equipment
EP0810722B1 (en) Mobile telephone set with automatic level control means of sound signal
EP081333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elephone user with control of the threshold volume at which the user's voice will take control of a half-duplex speakerphone conversation
KR20020052604A (en)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voice in a mobile terminal
US4726062A (en) Duplex hands-free communications circuit
JP2586845B2 (en) Telephone and its frequency characteristic control method
JPS61195048A (en) Voice switch circuit of loudspeaking telephone set
EP0361884B1 (en) Noise reduction in speech transmitter circuits
JPH0630090A (en) Telephone set with sound volume control function
JP2002051108A (en) 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er for incoming ring tone
JP6624327B1 (en) Telephone
KR100304531B1 (en) Automatic answering unit in handsfree phone
JP305661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2164997A (en) On-vehicle 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40108478A (en) Apparatus for removing noise
KR20000041906A (en) Method for adjusting output volume of portable terminal
JPH1028526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S63272254A (en) Telephone system
JPH05252253A (en) Telephone set
JPH08237163A (en) Sound controlled ke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