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715A -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 Google Patents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715A
KR20020048715A KR1020000077945A KR20000077945A KR20020048715A KR 20020048715 A KR20020048715 A KR 20020048715A KR 1020000077945 A KR1020000077945 A KR 1020000077945A KR 20000077945 A KR20000077945 A KR 20000077945A KR 20020048715 A KR20020048715 A KR 2002004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ard sentence
pattern
sentence pattern
standard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13966B1 (en
Inventor
정의석
차건회
임수종
윤보현
왕지현
강현규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2000-007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966B1/en
Publication of KR2002004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guid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are provided to guide a user in a standard sentence pattern in real time by consulting the standard Korean sentence pattern. CONSTITUTION: The system includes an input unit(110) through which a user inputs a sentence, a morpheme analyzing unit(120) to divide the inputted sentence into the syllables and to analyze the morphemes composing the syllables, a vocabulary information extracting unit(130) to extract the vocabulary information of the analyzed sentence,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ing unit(140) to determin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and apply the rules, and an output unit(170) to output a standardized sentence pattern of the inputted sentence depending on the applied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ing unit applies the most proper one among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loaded and pre-stored in the system. A standard sentence pattern is verified and deducted by using the abbreviation deduction patterns sought by an abbreviation deduction pattern search unit(150).

Description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 및 그 방법{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device and its method by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본 발명은,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준 문형과 같이 제한된 언어 표준을 따르는 응용 시스템 등에 있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준 문형을 유도하기 위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ard system for deriv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o a user in real time in an application system conforming to a limited language standard such as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tence-guided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제한된 문법을 이용한 표준 문형 유도 작업은, 영어권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N. E. Fuchs'와 'R. Schwitter'에 의해 제안된 "Attempto Controlled English(ACE), <CLAW 96, March 1996>"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요구 사항 명세서를 작성하기 위해 상기 ACE라는 영어 표준안을 제안하고 있다.Standard sentence derivation work using limited grammar has been ongoing in English. The representative one, 'N. E. Fuchs 'and' R. Schatter's proposed "Attempto Controlled English (ACE), <CLAW 96, March 1996>", etc., which proposes the English standard called ACE to prepare the requirements specification.

표준안에 기반한 언어 처리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어떻게 표준화된 유형으로 언어 생성을 유도할 것인가'이다.The biggest problem with language processing systems based on standards is how to drive language generation into standardized types.

상기 ACE의 경우에는, 표준안 유도 방법으로 '바꾸어 쓰기(Paraphrase)'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바꾸어 쓰기가 오직 문장 종료시에 한정되어 이루어지므로, 문장 입력자에게 실시간적인 피드백(feedback)을 줄 수 없어 문장 생성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ACE, 'Paraphrase' was used as a standard draft derivation method. However, since the above rewriting is limited only at the end of a sent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give a real-time feedback to a sentence inputter,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vity of sentence gen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표준 문형과 같이 제한된 언어 표준을 따르는 응용 시스템 등에 있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표준 문형을 유도하기 위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the application system that conforms to a limited language standard, such as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a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ing apparatus and a method and a method for deriving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in real time to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realization.

즉, 본 발명은, 표준 문형 규칙에 따른 텍스트를 생성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표준 문형 규칙에 대한 특별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기 위하여, 사용자의 비정규적이고 일상적인 문장 표현을, 생략 추정 패턴과 바꾸어 쓰기 방식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자연스럽게 표준 문형으로 유도하기 위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reate a text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the user's non-normal and ordinary sentence expressions are replaced with an abbreviated estimation pattern so as not to require the user special knowledge of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ing apparatus for naturally leading to a standard sentence pattern in real tim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2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standard sentence derivation process by the standard sentence r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어휘 범주 목록의 일예시 설명도.3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of a lexical category list based on a standard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문장 구성의 일예시 설명도.Figure 4a and 4b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of a sentence structure by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을 이용한 점진적 구문 분석 과정의 일예시 설명도.5A and 5B illustrate an example of a progressive syntax analysis process using standard sentence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논항 생략에 대한 추정 규칙의 일예시 설명도.6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of an estimation rule for omitting arg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문장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문장을 어절로 구분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부; 상기 형태소 분석부에 의해 형태소별로 분석된 문장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어휘 정보 추출부; 상기 어휘 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여 적용하기 위한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 및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에서 결정하여 적용된 표준 문형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된 문장에 대한 표준 문형 검증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ntence by the user; A morphem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morphemes by dividing sentence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nto words; A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exical information of sentences analyzed by morpheme analysis units by the morpheme analysis unit; A standard sentence patter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d apply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ccording to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result for the input sentence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ed and applied by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에서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이 상기 입력된 문장에 직접 적용되지 않으면, 생략 추정 패턴을 검색하기 위한 생략 추정 패턴 검색부; 및 상기 생략 추정 패턴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생략 추정 패턴에 따라 표준 문형을 검증 및 추정하기 위한 표준 문형 검증 및 추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termined by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termination unit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input sentence, omitted estimation patter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the omitted estimation pattern; And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and estimator for verifying and estima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omitted estimation pattern searched through the abbreviation estimation pattern search unit.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에 적용되는 표준 문형 유도 방법에 있어서,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장을 어절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는 제 1 단계; 상기 분석된 형태소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적용될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을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된,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표준 문형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ard sentence derivation method applied to the standard sentence der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when a sentence is input, the input sentence is divided into words to form a morpheme for the separated words A first step of analysis; A second step of extracting lexical information of the analyzed morpheme and determin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result for the separated word, generated by applying the determined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표준 문형 유도 시스템에,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장을 어절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는 제 1 기능; 상기 분석된 형태소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적용될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을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된,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표준 문형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ard sentence-type induction system having a processor, when a sentence is input, the first function of analyzing the morpheme for the separated word by dividing the input sentence into a word; A second function of extracting lexical information of the analyzed morpheme and determin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a third function of output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result for the separated word, generated by applying the determined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문장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문장을 어절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어절을 구성하는 형태소를 분석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부(120), 상기 형태소 분석부(120)에 의해 형태소별로 분석된 문장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어휘 정보 추출부(130), 상기 어휘 정보 추출부(130)를 통해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여 적용하기 위한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140) 및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140)에서 결정하여 적용된 표준 문형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문장에 대한 표준화된 문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ivides a sentenc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a sentence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by a word by a user. Morphological analysis unit 120 for analyzing the morphemes constituting the separated word,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for extracting the lexical information of the sentence analyzed by the morpheme analysis unit 120, the lex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termination unit 140 and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ation unit 140 for determining and applying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ppl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nd an output unit 170 for outputting a standardized sentence pattern for a sentenc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여기서,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140)는, 입력되는 문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유도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로딩(loading)된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termination unit 140 selects a suitable one among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s that are stored and loaded in advance in the system to which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 input sentence. It performs the function to apply.

또한,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140)에서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이 상기 입력된 문장에 직접 적용되지 않을 경우, 생략 추정 패턴을 검색하기 위한 생략 추정 패턴 검색부(150) 및 상기 생략 추정 패턴 검색부(150)를 통해 검색된 생략 추정 패턴에 따라 표준 문형을 검증 및 추정하기 위한 표준 문형 검증 및 추정부(16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ed by the standard sentence rule determination unit 140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input sentence, the elimination estimation pattern search unit 150 and the elimination estimation patter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the elimination estimation patter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and estimator 160 for verifying and estimating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omitted estimation pattern retrieved through 150.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의 상세 기능 및 동작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tandard sentence deri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r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유도 과정은, 우선 표준 문형 규칙이 로딩됨으로써(210) 초기화된 시스템에, 사용자에 의해 문장이 입력되면서(220) 시작된다.As shown in FIG. 2,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a sentence being input by a user (220) into a system that is first initialized by loading (210)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이때, 상기 로딩된(210) 표준 문형 규칙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표준 문형 검증을 위한 구문 분석에 적용된다.In this case, the loaded 210 standard sentence rules are stored in a memory and applied to parsing for standard sentence checks.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220) 문장은 어절 단위로 분석이 진행된다(230). 즉, 하나의 어절이 입력되고, 이에 대한 확인인 공백이 입력되면, 즉시 형태소 분석 단계로 진행되어 형태소 분석 및 태깅 작업을 수행한다(231).The sentence 220 input by the user is analyzed in units of words (230). That is, if one word is input and a blank for confirmation thereof is input, the morpheme analysis and tagging operations are immediately performed in step 231.

이후, 필요할 경우 어휘 정보 추출을 수행(232)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어휘 정보 추출 과정(232)은, 서술어의 경우 어휘별 논항 구성 정보를 어휘 사전으로부터 얻기 위함이다. 즉, "가다"라는 서술어가 입력되었을 때, "--가 --로 가다"라는 서술어의 하위 범주화 정보를 얻어, 표준 문형 검증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Thereafter, if necessary,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is performed (232).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232) is for obtaining descriptive argument com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lexicon from the lexical dictionary. That is, when the predicate "go" is entered, it obtains subcategories of the predicate "--go to-" and applies it to standard sentence checking.

상기 어휘 정보 추출 과정(232)을 통해, 상기 분석된 어절에 대한 적합한 표준 문형 규칙이 결정된다(233).Through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232, a suitable standard sentence pattern for the analyzed word is determined (233).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아래의 도 5a 에 예시한 "나는 연구소에 간다"라는 문장을 보면, 첫 어절 "나는"이 "나/nc 는/jc"으로 분석된 후(512), 상기 분석된 각각에 대하여 적합한 표준 문형 규칙들이 할당(513)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들이 상기 어휘 정보 추출을 통해(232)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는(233) 과정이다.For further explanation, look at the sentence "I go to the laboratory" illustrated in Figure 5a below, after the first word "I" is analyzed as "I / nc / jc" (512), the analyzed It can be seen that the appropriate standard sentence rules are assigned 513 for each, which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232 standard sentence rules through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232).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233)은 형태소의 태깅(tagging)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The standard sentence rule determination 233 is performed using tagging information of the morpheme.

이후, 부분적 구문 분석 과정인 표준 문형 규칙 매칭(Matching) 작업이 수행되는데(240), 여기서 상기 분석된(231) 형태소가 상기 표준 문형 규칙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생략 추정 패턴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242). 이러한 상기 생략 추정 패턴 검색(242)은 내포문이나 이어진 문장의 경우에, 내포문이나 선행절에서 생략된 논항을 안은 문장이나 후행절의 논항으로 추정해서(243) 표준 문형 매칭 작업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다.Subsequently, a standard parsing rule matching (Matching) process, which is a partial parsing process, is performed (240), and if the analyzed 231 morpheme does not conform to the standard sentence formatting rule, an abbreviated estimation pattern search is performed ( 242). In the case of a nested statement or a subsequent sentence, the abbreviated estimation pattern search 242 may estimate the sentence as a sentence or a subsequent clause containing an argument omitted from a nested statement or a preceding clause (243) so that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matching operation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It's a process.

상기 분석된(231) 형태소가 상기의 표준 문형 규칙에 적합하거나(240), 또는, 상기 생략 추정 패턴 검색(242)을 통해 표준 문형 추정을 완료하게되면(243), 바꾸어 쓰기 출력을 통해(241) 현재 진행중인 분석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문장 입력자는 자신이 현재 생성중인 문장이 표준화 문형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지속적인 문장 입력으로 특정 표준 문형 유형을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If the analyzed 231 morpheme conforms to the abov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240), or completes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estimation through the abbreviated estimation pattern search 242 (243), through the alternate writing output (241). ) Results of the analysis in progress are displayed. Therefore, the sentence inputter can know in real time whether the sentence he is currently generating is suitable for the standardized sentence pattern, and learn a specific standard sentence type by continuous sentence input.

상기 표준 문형 규칙을 구성하는 용어 정보들은, 아래의 도 3 에 예를 들어기술하였는데, 여기서 지시관형사 dt, 수관형사 nu 및 성상관형사 ad는 모두 관형사 mm의 세부 어휘 범주를 나타낸다.The term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FIG. 3 below, in which the indicator adjective dt, the canonical adjective nu, and the constellation adjective ad all represent the detailed lexical category of the tubular adverb mm.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어휘 범주 목록의 일예시 설명도이다.3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of a lexical category list based on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어휘 범주의 목록은 크게 31 가지가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자의적인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범주의 종류와 명칭에 있어 다른 목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3, the list of lexical categori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31, but this is only an arbitrary example. In some cases, the list of categories and names may be different. It is okay.

단, 본 발명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어휘 범주의 목록과 명칭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e list and names of the lexical categories shown in FIG. 3.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문장 구성의 일예시 설명도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ntence structure according to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문(410,411)은, 1항 술어, 2항 술어, 3항 술어로 구성된다. 각 기본문을 구성하는 NP1은, 도 4b 의 논항(421)에 도시했듯이, 명사구 _NP와 주격조사 jc1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격 조사 jc2, 필수 부사격 조사 jc3에 의하여 NP2, NP3가 각각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asic statements 410 and 411 are composed of one term predicate, two term predicate and three term predicate. The NP1 constituting each basic sentence is constituted by combining the noun phrase _NP and the main investigation jc1 as shown in the section 421 of FIG. 4B. In the same manner, NP2 and NP3 are configured by the target investigation jc2 and the required sub-firing investigation jc3, respectively.

도 4a 의 논항(420)은 상기 NP1, NP2, NP3를 말하는 것이다.The argument 420 in FIG. 4A refers to the NP1, NP2, and NP3.

도 4a 의 논항 확대(450)는, 관형사의 논항 확대(451), 접속조사, 접속부사의 논항 확대(452), 속격조사의 논항 확대(453)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논항 확대란, 단일 NP에 의해 구성되는 논항이 아닌 수식어를 포함한 논항을 의미한다. 즉, 관형사의 논항 확대(451)에서 "이 사람이"의 경우, 관형사 "이"에 의해 "사람"이 수식되어 "((이/mm 사람/nc)/_NP+이/jc1)/NP1"으로 구조 분석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dispute expansion 450 of FIG. 4A is constituted by the dispute expansion 451 of the tubular yarn, the connection investigation, the dispute expansion 452 of the connection adverb, and the dispute expansion 453 of the speed investigation. Here, the argument expansion means an argument including a qualifier rather than an argument constituted by a single NP. That is, in the argument expansion 451 of the tubular sentence, in the case of "this person", the "person" is modified by the tubular sentence "this" to "((/ mm person / nc) / _ NP + / jc1) / NP1". It can be a structural analysis.

여기서 "NP"와 "_NP"와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NP(471)는 복합명사나 단일명사를 말하며, _NP는 "(이/mm (사람/nc)/NP)/_NP"와 같이 확장된 NP를 말한다.Here, when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NP" and "_NP", NP (471) refers to a compound noun or a single noun, _NP is an extended NP, such as "(/ mm (person / nc) / NP) / _NP" Say.

도 4a 및 4b 에서 기술되고 있는 표준 문형 규칙들은 CFG(Context Free Grammar)형식을 따르며, 다중 트리 방식을 취하고 있다.The standard sentence patterns described in FIGS. 4A and 4B follow a CFG (Context Free Grammar) format and take a multi-tree scheme.

표준 문형 규칙의 표기법을 살펴보면, A:(B+[C] D{}…)에서 A는 (B+[C] D{}…)의 상위 개념이고 "[ ]"는 필수 요구 항목이 아니라는 표시이다. 또한, "{ }"는 구성 성분의 제약 정보를 나타낸다.In the notation of the standard sentence syntax, A: (B + [C] D {}…) is an indication that A is a superset of (B + [C] D {}…) and that "[]" is not a mandatory requirement. In addition, "{}" represents constraint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상기한 도 2 의 표준 문형 규칙의 로딩 단계(210)에서 도 4a 및 4b 의 규칙 항목들을 각각 메모리에 저장하여, 표준 문형 규칙으로써 구문 분석에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loading step 210 of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of FIG. 2, the rule items of FIGS. 4A and 4B are stored in a memory, respectively, and applied to the parsing as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도 4b 의 관형사 논항 확대(351)에서 mm{!.[dt]} 중 "{ }"는, 각 규칙 구성 항목의 제약 정보를 기술한다. 표준 문형 규칙의 제약 정보는 모두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tubular article argument expansion 351 of FIG. 4B, "{}" in mm {!. [Dt]} describes constraint information of each rule configuration item. Constraints of standard sentence rules consist of all three types.

"!."은 세부 어휘 범주 정보, 즉, 관형사 논항 확대(451)의 관형사 mm{!.[dt]}은 반드시 지시관형사 dt에 한하여 허락한다는 말이며, 접속조사, 접속부사의 논항 확대(452)의 '!@'는 "NP+',' "가 재귀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Means that the detailed lexical category information, that is, the adjective mm {!. [Dt]} of the adjective argument expansion (451) must be allowed only for the indication adjective dt. ) '! @' Means that "NP + ','" can be used recursively.

그리고, 속격조사의 논항 확대(453)의 "!^"은, 속격조사 jm인 "-의"에 의해수식되는 명사구 _NP는 내부에 단일 NP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철수의 엄마와 동생"은 "((철수의 엄마)와 동생)"으로 항상 "철수의 엄마"와 결합되며 "(철수의 동생)"으로는 결합될 수 없다는 말이다.In addition, "! ^" Of the argument expansion 453 of the personality investigation means that the noun phrase _NP, which is expressed by the "-of" which is the personality investigation jm, may have only a single NP therein. For example, "Brother's mother and brother" is always "(Brother's mother) and brother" combined with "Brother's mother" and not "(Brother's brother)".

도 4a 의 서술어 확대(460)는, 도 4b 의 부사의 서술어 확대(465)와 보조용언의 서술어 확대(46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430)은 관형절 ETMS(454), 명사절(472), 인용절 JQTS(464), 부사절(465), 서술절(466)로 구성되며, 절에 따른 논항 확대 또한 도 4b 에 각각 기술되어 있다.The descriptive enlargement 460 of FIG. 4A is comprised of the descriptive enlargement 465 of the adverb of FIG. 4B, and the descriptive enlargement 463 of an auxiliary language. The clause 430 is composed of a tubular clause ETMS 454, a noun clause 472, a quotation clause JQTS 464, an adverb clause 465, a narrative clause 466, and the argument expansion according to the clause is also described in FIG. .

관형절의 논항 확대(454)는, 문장 _S와 관형사형 전성어미 etm이 결합하여 관형어의 역할을 하고, 명사절(472)은 문장 _S와 명사형 전성어미 etn 혹은 "관형사형 전성어미 etm + 것"에 의해 명사절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인용절(464)은 문장 _S와 "라고, 하고, 고"의 인용격 조사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부사절(465)은 서술성 조사 "같이, 없이, 달리"와 "게, 듯이, 도록"에 의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서술절(466)은, 이중 주어문을 표현하는 역할로 "코끼리가/NP1 코가/NP1 길다."와 같이 한 문장에 두개의 NP1이 발생하는 구문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하다.The expansion of the argument of the verse (454), the sentence _S and the syntactic protagonist etm combines to act as a tubular word, and the noun clause 472 is the noun clause by the sentence _S and the noun utter etm or et Will be constructed. In addition, the citation 464 is composed of the sentence _S and a citation search of "say, go". Adverbs 465 are generated by the descriptive checks "like, without, otherwise" and "crab, like,". Finally, the predicate clause 466 is necessary to process a syntax in which two NP1s occur in a sentence, such as "elephant / NP1 long / NP1 long", which expresses a double subject statement.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을 이용한 점진적 구문 분석 과정의 일예시 설명도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radual syntax analysis process using standard sentence r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문형 규칙을 이용한 점진적 구문 분석 과정의 일예시로써, 문장 "나는 연구소에 간다"에 대한 점진적 구문 분석 기법 및 바꾸어 쓰기 방식을 보여 준다.That is, FIGS. 5A and 5B illustrate an example of a gradual syntax analysis process us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a gradual syntax analysis technique and a rewriting method for the sentence “I go to a laboratory”.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점진적 구문 분석 기법이란 구문 분석이 문장 입력 과정에 병행해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gradual syntax analysis technique means that syntax analysis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a sentence input process.

먼저 도 5a 의 점진적 구문 분석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첫 단계의 "나/nc 는/jc"(511)에는 각각 해당 표준 문형 규칙(513)이 할당되며 "NP1:(_NP(나/nc)+jc1(는/jc))"(514)과 같이 병행 분석이 진행된다.First, in the progressive parsing process of FIG. 5A, as described above, the corresponding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513 is assigned to the first step "I / nc / jc" 511, and "NP1: (_ NP (I / nc)". parallel analysis is performed as in the following.

도 5b 의 첫 단계(530)는, 상기의 이러한 과정을 트리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The first step 530 of FIG. 5B represents the above process in a tree form.

바꾸어 쓰기는 분석 결과의 가시화(Visualization)를 말한다.Rewriting refers to the visualization of analysis results.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시화 방법에는, 도 5a 의 분석 결과 제시와 도 5b 의 트리 분석 결과 제시의 두가지가 있다. 상기 두가지 분석 결과는 문장의 어절별 구문 분석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점진적 구문 분석의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현재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 이해 정도를 사용자 스스로가 알 수 있게 한다.In the visualization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wo methods of presenting the analysis result of FIG. 5A and the tree analysis result of FIG. 5B. The two analysis results show the syntax analysis results of each sentence of the sentenc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feedback of the gradual syntax analysis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user input of the current system.

도 5a 의 (522)는 "나는 연구소에 간다"의 모든 논항과 서술어가 찾아진 결과를 표현하고 있다. 이는 도 5b 의 (550)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Reference numeral 522 of FIG. 5A represents a result of finding all the arguments and predicates of “I go to the laboratory”. This may be represented by 550 of FIG. 5B.

이 경우, 도 5b 의 (560)과 같이 각 논항 NP1, NP3와 서술어 VP 및 "가/pv"에 의해 기본문이 선택된다. 여기서는 S:(NP1 NP2 NP3 VP)의 3항 기본문이 선택되겠다. 도 5b 의 (570)은 최종 분석된 결과를 보여준다.In this case, as shown in (560) of FIG. 5B, the basic sentence is selected by the arguments NP1, NP3, the descriptor VP, and "ga / pv". In this case, the third clause of S: (NP1 NP2 NP3 VP) is selected. 570 of FIG. 5B shows the final analyzed result.

또한, "연구소에 나는 간다"와 같이 주어와 부사어와의 위치가 바뀌었을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표준 문형 규칙의 적용에는 문제가 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adverb is changed, such as "I go to the research institute", there is no problem in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NP3와 NP1 자체의 결정은 순서와는 상관 없다는 것이다. 즉, 단지 각 논항과 서술어가 서로 일치하는 항목에 결합되기 때문에, 최종 서술어 VP에 의한 문형S:(NP1 NP2 NP3 VP)의 선택에 있어 논항의 순서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The decision of NP3 and NP1 itself is independent of the order. In other words, since the arguments and the predicates are only combined in the items tha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order of the arguments is not a problem in the selection of sentence type S: (NP1 NP2 NP3 VP) by the final descriptor VP.

따라서, 한국어 문장의 논항간 자유 어순 문제는, 본 표준 문형 규칙의 적용에 있어 어려움 없이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blem of free word order between arguments of Korean sentences can be solved without difficulty in applying this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논항 생략에 대한 추정 규칙의 일예시 설명도이다.6 is an exemplary explanatory diagram of an estimation rule for skipping an arg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에 도시된 논항 생략에 대한 추정 규칙 테이블은, 한국어에 빈번한 언어 생략 현상에 대한 대처 방안의 일례로써 제시된 것이다.The estimation rule table for the omission of the argument shown in FIG. 6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a countermeasure for the frequent omission of the language in Korean.

즉, 도 6 에 도시된 논항 생략에 대한 추정 규칙은, 상기한 도 2 의 생략 추정 패턴 검색(242)과 표준 문형 검증 및 추정(243)에 이용된다.That is, the estimation rule for the omission of the argument shown in FIG. 6 is used for the omission estimation pattern search 242 and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and estimation 243 of FIG. 2 described above.

이러한 생략 현상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표준 문형 자체가 서술어의 논항이 충족되어야만 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해, "철수가 먹는다"에서 서술어 "먹는다"의 목적격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위 문장은 정문으로 볼 수 없다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omission is that the standard sentence itself must satisfy the argument of the predicate.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 sentence cannot be seen as a front door because the object of the term "eat" is omitted in "Cheol eats".

본 발명에서 생략을 다루는 방식은 모두 두가지로, 그 첫째는, 단문이 상기 예문과 같은 비결정 논항을 가질 때, 바꾸어 쓰기에서 "철수가/NP1 /NP2 먹는다/VP"로 분석하여, 그대로 입력자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즉, 분석 결과에 대한 진위 판정을 사용자의 확인에 의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입력의 자연스러움과 점진적 분석을 편리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wo ways of dealing with the omission, firstly, when the short sentence has the same non-deterministic argument as in the above example, it is analyzed in the transposition as "E.L./NP1/NP2/VP", and the input to the inputter as it is. To show. In other words, the authenticity of the analysis result is dependent on the confirmation of the user. This method is meaningful to facilitate the natural and gradual analysis of user input.

둘째, 복문일 경우 일반적 논항 생략은 관계 문장에서 논항을 추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관계 문장이란 내포문일 경우 안은 문장이 되고, 이어진 문장의 경우 선행절 또는 후행절이 된다.Second, in the case of compound sentence, the general argument omission is to estimate the argument in the related sentence. In this case, the relational sentence is a nested sentence, and the inner sentence becomes a sentence, and in the case of a subsequent sentence, a preceding clause or a trailing clause.

도 6 의 (610),(620),(630)의 경우, 각각 NP1, NP2, NP3에 대한 추정 예문을 보여주고 있으며, (640)은 NP1과 NP2에 대한 추정 예문을 보이고 있다.6, 610, 620, and 630 show an estimation example for NP1, NP2, and NP3, respectively, and 640 shows an estimation example for NP1 and NP2, respectively.

(670)과 (680)에는, 이어진 문장의 논항 추정 예문이 기술되어 있다.In 670 and 680, example sentences for estimating the following sentences are describ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문자(character)의 입력과 출력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현재의 음성 인식 기술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문자로 변환하여 인식함으로써 내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음성에 의한 입출력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도 아무런 문제가 없음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limited to input and output of a character, the current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receives a voice signal, converts it to a character, and performs internal operations. It is obvious that there is no problem in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input / output system.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표준 문형 규칙에 따른 점진적 구문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어절 단위의 동적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시간적인 응답을 통한 표준 문형 유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eriv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hrough a real-time response by enabling dynamic analysis of word units using a gradual syntax analysis technique according to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또한, 본 발명은, 한국어에 있어 빈번한 자유 어순과 생략 현상을 표준 문형규칙과 논항 추정 방식으로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문장에 대한 표준 문형 유도 과정을 보다 더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solving the free word order and abbreviation phenomena frequently in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rules and argument estima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ation process for the user's input sentence more natural.

Claims (8)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에 있어서,In the standard sentence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사용자에 의해 문장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ntence by a user;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문장을 어절로 구분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부;A morphem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morphemes by dividing sentence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nto words; 상기 형태소 분석부에 의해 형태소별로 분석된 문장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어휘 정보 추출부;A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exical information of sentences analyzed by morpheme analysis units by the morpheme analysis unit; 상기 어휘 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여 적용하기 위한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 및A standard sentence patter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d apply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according to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lexical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nd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에서 결정하여 적용된 표준 문형 규칙에 따라, 상기 입력된 문장에 대한 표준 문형 검증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result for the input sentence according to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ed and applied by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ing unit 를 포함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준 문형 규칙 결정부에서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이 상기 입력된 문장에 직접 적용되지 않으면, 생략 추정 패턴을 검색하기 위한 생략 추정 패턴 검색부; 및An omission estimation patter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n omission estimation pattern when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determined by the standard sentence rule determination unit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input sentence; And 상기 생략 추정 패턴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생략 추정 패턴에 따라 표준 문형을 검증 및 추정하기 위한 표준 문형 검증 및 추정부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and estimator for verifying and estima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the omitted estimation pattern retrieved through the elimination estimation pattern search unit 를 더 포함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Standard sentence pattern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문장의 입력과 출력은, 문자에 의한 입력과 출력 및 음성에 의한 입력과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The sentence sentenc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sentence includes the input and output by the character and the input and output by the voice.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장치에 적용되는 표준 문형 유도 방법에 있어서,In the standard sentence derivation method applied to the standard sentence d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장을 어절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dividing the input sentence into a word and analyzing a morpheme of the divided word when a sentence is input; 상기 분석된 형태소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적용될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extracting lexical information of the analyzed morpheme and determin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And 상기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을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된,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표준 문형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output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result for the separated word, generated by applying the determined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방법.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including.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이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직접 적용되지 않으면, 생략 추정 패턴 검색을 통해 표준 문형을 검증 및 추정하는 제 4 단계A fourth step of verifying and estimating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by searching for an omitted estimation pattern if the determined standard sentence rule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방법.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further comprising.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문장의 입력과 출력은, 문자에 의한 입력과 출력 및 음성에 의한 입력과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표준 문형 규칙에 의한 표준 문형 유도 방법.Input and output of the sentence, the input and output by the character and the input and output by the vo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ard sentence pattern deri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s. 프로세서를 구비한 표준 문형 유도 시스템에,In a standard sentence guidance system with a processor,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장을 어절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는 제 1 기능;A first function of dividing the input sentence into a word and analyzing a morpheme of the divided word when a sentence is input; 상기 분석된 형태소의 어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따라, 적용될 표준 문형 규칙을 결정하는 제 2 기능; 및A second function of extracting lexical information of the analyzed morpheme and determin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And 상기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을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적용하여 생성된, 상기 구분된 어절에 대한 표준 문형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제 3 기능A third function of output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verification result for the separated word, generated by applying the determined standard sentence pattern rule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i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결정된 표준 문형 규칙이 상기 추출된 어휘 정보에 직접 적용되지 않으면, 생략 추정 패턴 검색을 통해 표준 문형을 검증 및 추정하는 제 4 기능A fourth function of verifying and estimating a standard sentence pattern through a search for an omitted estimation pattern if the determined standard sentence rule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extracted lexical information;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ation.
KR10-2000-0077945A 2000-12-18 2000-12-18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KR100413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945A KR100413966B1 (en) 2000-12-18 2000-12-18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945A KR100413966B1 (en) 2000-12-18 2000-12-18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715A true KR20020048715A (en) 2002-06-24
KR100413966B1 KR100413966B1 (en) 2004-01-07

Family

ID=2768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945A KR100413966B1 (en) 2000-12-18 2000-12-18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39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822A (en) * 2014-11-20 2016-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building selectional restriction dictionary using sentence pattern of predic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743B2 (en) * 1994-02-22 2000-06-12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音声翻訳通信研究所 A morphological sequence converter for language databases
JP2000040085A (en) * 1998-07-22 2000-02-08 Hitachi Ltd Method and device for post-processing for japanese morpheme analytic processing
KR100282610B1 (en) * 1998-09-30 2001-02-15 정선종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based on partial string discrimination and its method
KR100331029B1 (en) * 1998-11-24 2002-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nstruction method, colle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of korean concept categorization system
JP2000268034A (en) * 1999-03-16 2000-09-29 Sharp Corp Automatic text pre-editing device, its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be used for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822A (en) * 2014-11-20 2016-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building selectional restriction dictionary using sentence pattern of predic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3966B1 (en)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004B2 (en)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part-of-speech tagging of incomplete sentences
US5903858A (en) Translation machine for editing a original text by rewriting the same and translating the rewrote one
JPH077419B2 (en) Abbreviated proper noun processing method in machine translation device
JPH0383167A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kopidis et al. Universal dependencies for Greek
KR100413966B1 (en) Natural Language 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Korean Grammar
JP4007413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3876014B2 (en) Machine translation device
Virk et al. Developing an interlingual translation lexicon using WordNets and Grammatical Framework
Cheikhrouhou The automatic translation of french verbal tenses to arabic using the platform NooJ
JP4033093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Gavhal et al. Sentence Compression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JPH08190562A (en) Machine translation system
JP2719453B2 (en) Machine translation equipment
JP2546515B2 (en) Information extraction device
JPH09152883A (en) Accent phrase division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text /voice converter
Mirdjanovna et al. Algorithm of Word Order and Syntactic Analysis in Uzbek Language Sentences
Nikishina et al. Automatic Direct Speech Tagging in Russian prose markup and parser
JP3972697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3680489B2 (en) Machine transl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achine translation processing program
JP4036172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071657B2 (en) Text processing device
JP3313810B2 (en) Aspect processing device
KR101092361B1 (en) Paginal translation adverb crea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JP3233800B2 (en) Machine transl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