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165A -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킹하기 위한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킹하기 위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165A
KR20020047165A KR1020027003460A KR20027003460A KR20020047165A KR 20020047165 A KR20020047165 A KR 20020047165A KR 1020027003460 A KR1020027003460 A KR 1020027003460A KR 20027003460 A KR20027003460 A KR 20027003460A KR 20020047165 A KR20020047165 A KR 2002004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nets
bandwidth
subnet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우 이그렉. 응고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4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통신을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해 여러 서브넷을 통합하는 네트워킹 시스템 및 제어기가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서브넷을 오버레이드 백본(overlaid backbone) 네트워크에 통합하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서브넷을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이고 신뢰할만하게 분배시키기 위해 전화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전원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무선 주파수(RF) 코드리스 디바이스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위에 밀집한 디바이스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킹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DATA NETWORKING USING INTER-SUBNET ROUTERS}
멀티-디지털 가전(CE) 장비를 갖춘 가정 및 사무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둘 이상의 PC 및/또는 CE 디바이스를 서로 링크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더 많은 수요가 있게 되었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 데이터 통신은 일부 형태의 송신 매체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두 디바이스 사이에 발생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러한 디바이스가 지점간(point-to-point) 연결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서로에게 향하게 되는 모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들며 부피가 크다(필요한 연결의 수에서 볼 때). 따라서, 다수의 PC 및/또는 CE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10)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0)는 워크스테이션(11), 통신 노드(12) 및 통신 네트워크(13)를 포함한다. 워크스테이션(11)은 컴퓨터, 단말, 전화 및 기타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각 워크스테이션(11)은 각 통신 노드(12)에 접속되며, 각 통신 노드(12)는 통신 네트워크(13)를 통해 워크스테이션(11)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3)는 교환(회선-교환 또는 패킷-교환) 및 광대역(패킷 무선, 위성, 버스-로컬 및 링-로컬) 네트워크와 같은 임의의 종래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통신 노드(12)는 워크스테이션(11) 사이에서 통신 네트워크(13)를 통해 적절히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본래, 프로토콜은 두 워크스테이션(11)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규칙 세트를 정의한다. 프로토콜의 주요한 함수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및 타이밍에 관한 것이다. 통신은 직접적(지점간에) 또는 간접적{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중간에 있는 능동 에이전트(agents)를 통해}일 수 있다.
게다가, 통신 네트워크(13)의 두 부분 사이에서 브릿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기능을 하는 디바이스가 또한 알려져 있다. 예컨대, 라우터와 같은 이러한 디바이스는 두 개의 다른 통신 매체 사이에서 예컨대 무선에서 유선으로 또는 유선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LAN에서 사용된다. 이들 디바이스는 각 매체를 위한 물리적인 층 및 링크 층의 통신 응용을 포함하며, 이러한 매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될 것이다. 라우터는 LAN{예컨대, 통신 네트워크(13)} 및 자동 장치{예컨대,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11)}에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통신 노드(12)로 사용될 수 있다.
더나아가, 전기 전원선을 통해(예컨대, 빌딩 안 또는 빌딩 사이에) 원격 디바이스에 명령을 통신하는 시스템이 또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메시지신호는 전원 신호 상에 변조된다. 원격 디바이스와 전기 전원선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노드는 명령을 디코딩한다.
가정/사무실 네트워크의 주요한 기능중 하나는 데이터를 빌딩 또는 지역 전체에 분배하는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킹 개념은 다수의 사용자가 여러 유용한 임무를 수행하게 한다. 예컨대, 이들 임무로는,
적절한 게이트웨이 응용을 통한 인터넷-액세스 공유로서, 하나의 PC가 전체 가정을 위해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개별적인 모뎀의 인터넷 계정 및 전화선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는, 인터넷-액세스 공유와;
백업 및 파일 전송을 더 용이하게 하는 폴더 및 하드디스크 공유와;
주변/장치, 즉 프린터 및 팩스 공유와;
예컨대 가정 내의 다른 장소 또는 이웃집에 있는 아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동시에 게임을 하거나 비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오디오 및 비디오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가 있다.
이러한 가정/사무실 네트워크에 대한 또 다른 기능은 여러 가정/사무실의 기능을 제어하게 하는 스마트 시스템(예컨대, 가정 자동화)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에너지 모듈(빌딩 환경을 제어함)과 지능형 보안 시스템의 인기는 점점 더하고 있다. 라우터와 유사하게, 이러한 스마트 시스템을 서로 연결하고 다른 통신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인터페이스가 알려져 있다. 인터페이스는 여러 스마트 시스템을 위한 연결 지점(즉, 교환 노드)처럼 작동한다.
가정/사무실 네트워킹에 대한 종래의 시장은 예컨대 근거리 네트워크(LAN)를통해 연결된 PC들과 같은 주로 PC가 그 중심이다. 기존의 하부구조 및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수단, 예컨대 동축케이블, 플라스틱 광섬유(pof), 전원선, 전화선, 종합 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또는 무선(IR 및 RF)에 의해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동축케이블 및 플라스틱 광섬유는 신뢰성 있는 10/100Mbps 이더넷(Ethernet) 및 100Mbps 1394b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전화선, 전원선 및 무선과 같은 다른 매체는 일반적으로 낮은 데이터 율로부터 중간의 데이터 율까지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매체의 선택은 공간 내부 또는 공간 사이의 연결이 필요한가의 여부에 주로 의존한다. 동일한 공간 내에서의 디바이스의 경우, 믿을만하고 높은 대역폭 연결을 갖기 위해 케이블 및 po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공간 또는 다른 층에 있는 디바이스의 경우, 벽에 구멍을 뚫어서 케이블/광섬유를 집어넣어야(snake) 할 것이다. 가정 내의 설치비 및 파손(disruption)으로 인해, 이것은 분명히 많은 소비자에게 바람직한 해결책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한가지 방법은 이미 제자리에 놓여 있는 배선을 사용하거나 무선 해결책을 사용하는 것이다.
가정용 전화선 네트워킹 연합(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은 전화선을 사용하여 가정에서 네트워킹하기 위한 표준을 최근에 통과시켰다. 처음 규격은 데이터 율을 1Mbps까지 제공하지만 후속적인 배포물은 10Mbps까지 갈 것이다. 이 표준에서, 네트워킹 프로토콜은 정상적인 음성 통신과 간섭하지 않고 빌딩 내에 존재하는 전화선을 통해서 동작한다. 이것은 음성 통신 범위 바깥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들 주파수는 또한 ISDN 서비스와 호환적이다.
또 다른 접근법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원선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것은 집 전체에 걸쳐서 위치한 다수의 전원 콘센트(outlet)를 이용한다. 현재, 전원선을 통한 최대 데이터 율은 대략 350Kbps이다. 그러나, 다른 기술은 무선-기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이더넷 네트워크의 사용을 포함한다. 실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표준이 미국, 유럽 및 일본에서 제안되었다. 본 발명과 연계하여, 블루투쓰(<1Mbps), HomeRF(~2Mbps), IEEE802.11a 및 ETSI/BRAN(~36Mbps)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킹 제품이 또한 시장에서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무선-기반 기술이 배선에 관련된 단점을 피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또한 간섭(다른 무선-기반 소스로부터) 및 신뢰성에 관련한 약점을 갖는다.
위에서 논의된 종래의 가정용 네트워크에 관련된 한가지 주요한 단점은, 이들 네트워크가 통신 및 상호연결을 위한 하나의 매체 또는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어떤 경우에는, 하나의 빌딩 또는 주거지 내에 다수의 네트워크가 있을 수 있다. 이들 다수의 네트워크는 본질적으로 예컨대 무선 주파수와 같이 동일한 대역폭에 경합할 수 있다. 다수의 네트워크가 동일한 대역폭에 경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러한 가정/사무실 네트워크 매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통합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가정/사무실 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제어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해 여러 서브넷(subnet)을 통합하는 네트워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디지털 가전 장치의 증가는 네트워킹 시장을 새로운 영역으로 이끌 것이다. 공간 사이의 연결이 필요하며, 서로 보완적인 다수의 네트워킹 기술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가정, 빌딩(새로운 배선이 설치되지 않을 것임을 가정) 및 지리적으로 가까운 영역의 하부구조는 예컨대 전화선 서브넷, 전원선 서브넷 및/또는 무선 서브넷과 같은 다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전원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무선 주파수(RF) 코드리스 디바이스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범용 직렬 버스(USB) 및 P1394 주위를 묶는(clustered around)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고, 효과적이고 믿을만하게 서브넷을 통해 데이터를 분배하는 오버레이드 백본(overlaid backbone) 네트워크에 이러한 서브넷을 통합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인터-서브넷 라우터(inter-subnet router)에 관한 것이다. 인터-서브넷 라우터는 라우팅 데이터 구조에 한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넷을 통해 데이터를 목적지-라우터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서브넷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연결, 복수의 데이터 디바이스를 위한 복수의 입력/출력 연결, 복수의 서브넷중 하나 이상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 및 복수의 데이터 디바이스중 하나로부터 통합된 서브넷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 디바이스중 또 다른 하나에 데이터를 분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통합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제어기에 각 데이터 디바이스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 및 양상과 기타 실시예 및 양상은 다음의 상세한 개시에서 예시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은, 도면과 함께 이후에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가정 네트워크(100)를 위해 인터-서브넷 라우터, 즉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에 관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이 가정 네트워크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무실 및 교육 시설과 같이 데이터 네트워킹으로부터 이득을 얻는 임의의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침실(201), 거실(202) 및 공부방(203)을 포함하는 주거지(200)가 도시되어 있다. 각 공간은 각 인터-서브넷 라우터(101)를 가지며, 이 라우터(101)는 이 공간 내의 여러 디바이스를 복수의 서브넷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시킨다. 이 예는 전화선 서브넷(102), 전원선 서브넷(103), 무선 서브넷(104), 동축 서브넷(105), 광섬유 서브넷(106) 및 외부 네트워크(107)를 포함한다. 각 공간은또한 여러 최종 사용자(end-user) 디바이스{예컨대, TV(110), 비디오 레코더(111), 랩탑(112), 전화(113), VCR(114), 팩스(115), 프린터(116) 및 개인용 컴퓨터(117)}를 포함하며, 이들은 여러 서브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라우터(101)는 서브넷 모두 또는 그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거실의 라우터(101)는 모두 5개의 서브넷에 연결된다. 그러나, 공부방의 라우터(101)는 동축 서브넷(105)을 제외한 서브넷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이곳에 있는 모든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는 하나의 라우터(10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그러므로 하나의 라우터(101)는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와 다른 빌딩 또는 장소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며,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는 또한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통해 여러 서브넷에 액세스한다.
각 라우터(101)는 연결성, 이용 가능한 대역폭 및 여기에 연결된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한다. 예컨대, 각 라우터(101)는 아래에 표시된 표, 즉 연결성 표, 이용 가능한 대역폭 표 및 디바이스 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성 표는 서브넷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동작시, 라우터(101)가 하나 이상의 서브넷과 연관될 때, 연결성 표는 자동으로 셋업된다. 이용 가능한 대역폭 표는 서브넷(101)의 신뢰도와 각 서브넷(101)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동작시, 두 라우터(101) 사이의 연결이 셋업되고, 해제되거나 변경될 때 대역폭 표는 갱신된다. 디바이스 표는, 신뢰도 및 대역폭 요건을 포함한 각 디바이스의 트래픽(traffic) 요건뿐만 아니라 어느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가 각라우터에 연결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시의 간략화를 위해, 중간 대역폭이 사용되지만, 실제로 피크 및 최소 대역폭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신호화 프로토콜의 도움으로, 이들 세 표는 자원 할당 구조 및 연결 승인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성 및 대역폭 표는 이후에 좀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서브넷 자원을 할당하고 연결 승인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라우터-거실 라우터-공부방 라우터-침실
라우터-거실 (ph,pwr,w1,fib) (ph,pwr,w1,cox)
라우터-공부방 (ph,pwr,w1,fib) (ph,pwr,w1)
라우터-침실 (ph,pwr,w1,cox) (ph,pwr,w1)
표 1: 연결성 표
연결성 표에서, 다음의 표현법이 사용된다: ph - 전화선 서브넷(phone line subnet)(102); pwr - 전원선 서브넷(power line subnet)(103); w1 - 무선 서브넷(wireless subnet); cox - 동축 서브넷(coaxial subnet)(105); 및 fib - 광섬유 서브넷(fiber subnet)(106). 위의 연결성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서브넷을 통한 각 라우터(101)로부터/로의 연결(또는 통신) 경로가 제공된다. 이러한 표로부터, 특정한 라우터(101)에서 이용 가능한 서브넷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데이터 구조가 연결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정의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매트릭스 형 표로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각 라우터(101)는 이러한 연결성 및 이용 가능한 대역폭 데이터를 유지하는데 필요하지는 않다. 라우터(101)중 하나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라우터(101)는 필요한 정보에 액세스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근거리 또는 원거리 PC)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라우터(101)는 필요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의 정보에 액세스한다.
신뢰도 사용된 대역폭 이용 가능한 대역폭
전화선 서브넷 높음 a Ph_total-a
전원선 서브넷 높음 b Pwr_total-b
무선 서브넷 낮음 c W1_total-c
동축 서브넷 매우 높음 d Cox_total-d
광섬유 서브넷 매우 높음 e Fib_total-e
표 2 : 이용 가능한 대역폭 표
이용 가능한 대역폭 표에서, 다음의 표현법이 사용된다: ph_total은 전화선 서브넷에 이용 가능한 총 대역폭을 나타내며, 이와 유사한 표현식은 나머지 서브넷의 총 능력(power)을 나타낸다; "a"에서 "e" 각각은 임의의 특정한 시간에 각 서브넷 내에 사용된 대역폭의 양을 나타낸다. 특정한 서브넷 내의 대역폭이 할당 또는 해제되기 때문에, a에서 e의 값은 갱신된다. 시간 상의 임의의 순간에 이용 가능한 대역폭은, 서브넷 내에 이용 가능한 총 대역폭으로부터 특정한 서브넷에 사용된 대역폭을 뺌으로써 손쉽게 계산될 수 있다.
표 2는 서브넷(102 내지 106) 각각의 신뢰도에 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한다. 이들 서브넷 각각은 받아들여진 성능 기준 즉 표준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본질적으로, 어떤 서브넷은 다른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신뢰도가 높다.
디바이스(D) 필요한 신뢰도(D_R) 필요한 대역폭(D_B)
라우터(거실) TV1 높음 BW_TV1
DVCR 높음 BW_DVCR
라우터(공부방) 프린터 낮음 BW_Pr
PC 낮음 BW_PC
라우터(침실) TV2 높음 BW_TV2
비디오 높음 BW_Video
랩탑 낮음 BW_LT
표 3 : 디바이스 표
연결 승인 제어 방법의 예가 다음에 설명된다.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예컨대, 거실(202)에 있는 VCR(114)}가 또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침실(201)에 있는 TV(110)}에 연결하기 원할 때, 연결 셋업 메시지가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되거나 여기에 접속된 라우터(101)(즉, 소스 라우터)로부터 생성된다. 이 메시지는 표 3(디바이스 표)의 정보에 기초하며 다음의 포맷을 갖는다:
Connection_setup.request(Source_Device, Sink_Device, Traffic_descriptor )
Wherein:
Source_Device = Router_LR->DVCR,
Sink_Device = Router_BR->TV2,
Traffic_descriptor = (required reliability, required bandwidth)
and wherein:
required reliability = max(D_R_DVCR, D_R_TV2) and
required bandwidth = max(D_B_DVCR, D_B_TV2)
이 예에서, 필요한 신뢰도는 "높을" 것이며 만약 BW_TV2<BW_DVCR이면 필요한 대역폭은 "BW_DVCR"일 것이다.
이러한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소스 라우터(Router_LR)는 목적지 라우터, 즉 싱크 라우터(Router_BR)에 대한 임의의 직접 연결이 있는지를 표 1(연결성 표)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 예에서, (ph, pwr, w1, cox)가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어떠한 직접 연결도 없다면, 소스 라우터는 일부 다른 라우터를 통해 싱크 라우터로의 간접 경로를 찾을 것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터(101B)는 라우터(101A)를 통해 라우터(101C)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우터(101B)는 라우터(101A)에 연결하기 위해 광섬유 서브넷(106) 및/또는 전원선 서브넷(103)을 사용한다. 그런 다음, 라우터(101A)는 라우터(101C)에 연결하기 위해 동축 서브넷(105)을 사용한다. 만약 어떠한 연결도 이뤄질 수 없다면, connection_setup.confirm(에러: 이용 가능한 어떤 경로도 없음)이 반환된다.
Router_LR과 Router_BR을 연결 가능한 네 개의 서브넷이 있으므로, Router_LR은 연결 셋업 요청 메시지에서의 traffic_descriptor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용할 서브넷을 결정할 것이다. 필요한 신뢰도는 "높기"때문에, 서브넷 "wl"은 요건을 충족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신뢰도 요건을 충족하는 다른 세 개의 서브넷(ph, pwr, cox)을 남겨 놓는다. 그런 다음, 선택은 전화선 서브넷(102)으로 시작해서 그것이 이용 가능한 대역폭에 대비한 요청 대역폭을 검사한다. 만약 대역폭 요건이 충족된다면, 통지 메시지가 싱크 디바이스{TV(110)}에 보내질 것이며, 확인메시지가 다시 소스 디바이스{VCR(114)}에 보내질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것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전원선 서브넷(102)에 대해 프로세스가 반복될 것이며 동축 서브넷(105) 등에 대해서도 반복될 것이다. 만약 어떠한 하나의 서브넷도 대역폭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서브넷의 조합이 사용될 것이다. 대역폭 요건이 충족될 때, 확인 메시지{connection_setup.confirm(okay)}가 반환되며, 대응하는 라우터는 자신들의 표를 갱신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부정적인 확인 메시지가 발급될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에 관해서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 즉 제한되고자 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과 범위 내에 포함되는 여러 구조 및 그 변형을 커버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시스템, 좀더 상세하게, 데이터 통신을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해 여러 서브넷을 통합하는 네트워킹 구조에 이용된다.

Claims (10)

  1. 복수의 제어기와;
    상기 복수의 제어기 각각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어기에 연결되며, 사전에 결정된 양의 대역폭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넷과;
    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서브넷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서브넷중 적어도 두 개를 사용하여 분배되며, 동시에(in a simultaneous manner)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넷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디바이스는 다음의 것, 즉 컴퓨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가전 디바이스 및 음성 통신 디바이스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기는 서브넷 연결성 데이터, 서브넷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 데이터 및 신뢰도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연결성 데이터 및 상기 서브넷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제어기 각각에 저장되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
  6. 복수의 서브넷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연결부와;
    복수의 데이터 디바이스를 위한 복수의 입력/출력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서브넷중 하나 이상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디바이스중 하나로부터 상기 통합된 서브넷을 통해 상기 복수의 데이터 디바이스중 또 다른 하나로 데이터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기.
  7. 제 6항에 있어서,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서브넷중 다른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어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넷 상에서의 연결성 데이터 및 이용 가능한 대역폭 데이터 및/또는 신뢰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출력 연결부는 다음의 디바이스, 즉 컴퓨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가전 디바이스 및 음성 통신 디바이스중 하나 이상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어기.
  10.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디바이스가 각각 연결되며, 각각 사전에 결정된 양의 대역폭을 갖는 복수의 서브넷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호출 승인 제어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넷 각각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대역폭의 양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어기중 둘 이상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상기 대역폭 양을 통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된 대역폭을 사용하여 두 개의 다른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된 대역폭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출 승인 제어 방법.
KR1020027003460A 2000-07-20 2001-07-03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킹하기 위한시스템 KR20020047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034900A 2000-07-20 2000-07-20
US09/620,349 2000-07-20
PCT/EP2001/007570 WO2002009366A2 (en) 2000-07-20 2001-07-03 System for data networking using inter-subnet rou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165A true KR20020047165A (ko) 2002-06-21

Family

ID=2448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460A KR20020047165A (ko) 2000-07-20 2001-07-03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킹하기 위한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02033A2 (ko)
JP (1) JP2004505504A (ko)
KR (1) KR20020047165A (ko)
TW (1) TW521512B (ko)
WO (1) WO200200936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01B1 (ko) * 2003-06-30 2008-04-10 인텔 코오퍼레이션 네트워크의 설계 및 기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6861A1 (de) * 2006-02-13 2007-08-16 Technisat Digital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Audio- und Videosignalen
TWI330025B (en) 2006-11-17 2010-09-01 Ind Tech Res Inst Multi-service method over heterogeneou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483A (en) * 1990-08-09 1994-01-18 Fujitsu Limited Traffic control system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exchange
US5896382A (en) * 1996-11-19 1999-04-20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 headend and subscriber over a wide area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401B1 (ko) * 2003-06-30 2008-04-10 인텔 코오퍼레이션 네트워크의 설계 및 기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05504A (ja) 2004-02-19
TW521512B (en) 2003-02-21
EP1302033A2 (en) 2003-04-16
WO2002009366A2 (en) 2002-01-31
WO2002009366A3 (en)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0895B1 (en)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Rose Home networks: a standards perspective
US6947409B2 (en) Bandwidth management of virtual networks on a shared network
Douligeris Intelligent home systems
US7756118B2 (en) Video switching system utilizing a prioritized common network
US6822946B1 (en) Wireless bridge for a broadband network
KR20020095202A (ko) 패시브형 멀티포인트 네트워크를 통한 모뎀 통신을 위한자동 분배 이득 제어 아키텍쳐 및 방법
US837965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sochronous services over switched ethernet including a home network wall plate having a combined IEEE 1394 and ethernet modified hub
US20050058451A1 (en) Enhanced fiber infrastructure for building interiors
US20030037170A1 (en) House communication network
CA2279076C (en) Signal distribution network
WO2003015359A9 (en) Network-to-network adapto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JP2001525132A (ja) ビデオ、データ、および電話通信ゲートウェイ
US20050286900A1 (en) Intelligent modular multimedia data distribution system
US200201814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d direc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operating under an ieee 1394 serial bus network protocol and devices operating under another protocol
WO2008120960A1 (en) Network bridg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50151718A1 (en) Coupling module for a network
KR20020047165A (ko) 인터-서브넷 라우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킹하기 위한시스템
JP2004504788A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データを通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155483A (zh) 确定协调器的方法和设备
JP3146464B2 (ja) 光情報コンセント
KR100309102B1 (ko) 이중 망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루트로 지정하기 위한 방법
JP2000050474A (ja) 情報コンセントおよび配線システム
O'Brien Physical and media specifications of the CXBus
KR20020082209A (ko) 다양한 전송 체계들을 사용한 다중 네트워크들을 통해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