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046A -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 Google Patents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046A
KR20020039046A KR1020000068933A KR20000068933A KR20020039046A KR 20020039046 A KR20020039046 A KR 20020039046A KR 1020000068933 A KR1020000068933 A KR 1020000068933A KR 20000068933 A KR20000068933 A KR 20000068933A KR 20020039046 A KR20020039046 A KR 2002003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ata packet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on mod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라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6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9046A/en
Publication of KR2002003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046A/en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remotely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user can convert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ata packet by using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even 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unknown area. CONSTITUTION: A controller periodically decides whether a data packet is received(302). If so, the controller decides whether the received data packet is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304). If not, the controller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306). If the received data packet is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308). The controller transmits an ACK signal for informing that the data packet is received to a base station(310).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Remote contro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이동 무선 전화기 기술의 급진적인 발달과 이동통신 가입자의 증가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더 많은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예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및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용량의 문장을 통신 단말기간에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양방향 무선 호출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간단한 문자 수신, 음성 사서함 알림, 문자 전송 등이 가능하여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technology and the increase of mobile subscribers, mobile service providers are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mobile subscribers and attract more subscribers. Examples of such supplementary services includ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a voice message service. Short message service is a service that allows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nd and receive a sentence of a predetermined capacity. Short message service has the same function as two-way wireless calling, which enables simple text reception, voice mail notification, text transmission, etc.,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그런데,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서비스는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소정의 장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지 않는 경우 통상적으로 단말기를 호출하여 그 벨소리에 의해 위치를 알아냈다. 그러나, 단말기가 진동 모드나 묵음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러한 위치 파악 방식은 비효율적이게 된다.However,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s no ser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pecifically, when the user does not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predetermined place, the user typically calls the terminal and finds the location by the ring tone. However, if the terminal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or the silent mode, such positioning method becomes inefficient.

또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여 다른 사용자에 의한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발신 제한을 위한 잠금 설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원격지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 및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원격지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러한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무한 상태이다.In addition, even if a user lo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ants to set a lock for limiting transmiss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unauthorized use by another user, a service for controlling and set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is provided. It wasn't. Therefore, when there is a case where a user wants to contro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where remote location or location is impossible, there is no service to cope with such a ca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 또는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소정의 장소에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predetermined place where remote location or location is im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개인의 정보 보호 및 단말기의 용이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tect an individual's information and to easily locate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 수신시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패킷이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이면 해당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의 수신을 나타내는 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setting data packet is received when a data packet is received; In the case of a data packet, the operation mode is set, and an ACK signal indicating reception of the operation mode setting data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본 발명은 모든 이동 통신 단말 시스템에 적용되며,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 시스템에 가입된 PCS, CDMA, GSM 등 방식의 이동 단말기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PCS, CDMA GSM 등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패킷의 수신시 이를 처리하는 기능이 내부에 구현되어 있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s, and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of a PCS, CDMA, GSM, etc. scheme subscribed to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PCS, CDMA GSM, etc. is configured to receive a data packet, and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data packet upon receipt of the data packet is implemented t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반 유선 전화기(121)를 통해 컴퓨터(123)와 연결 또는 컴퓨터(123)와 직접 연결하기 위해 공중전화교환망(PSTN)/종합정보통신망(ISDN)(120)과 연결되는 이동교환국(110)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105, 109)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105)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103) 또는 기지국 제어기(109)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111)과 상기 기지국(103, 111)에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1, 1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nects with a computer 123 through a general landline telephone 121 or directly with a computer 123, or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 ISDN (ISDN) ( A mobile switching center 110 connected to 120, a plurality of base station controllers 105 and 109 connected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 103 or base station controller 109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05.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1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and 113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s 103 and 111 through a radio link.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1)를 분실하거나 원거리 예컨대, 회사 또는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소정의 장소에 두고 온 경우, 사용자는 일반 유선 전화기(121) 또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31)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1)에 동작 모드의 설정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그러면, 이 데이터 패킷은 일반 유선 전화기(121)를 이용하면 공중망(120)를 통해 송신되고,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13)를 이용하면 기지국(111)을 통해 송신된다. 데이터 패킷은 이동 통신 단말기(101)를 알람 모드 설정이나 잠금 모드 설정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로서, 플래그(flag) 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1)가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이나 통화를 위한 데이터와 구별되도록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1)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동작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1)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 신호를 기지국(103)에 송신한다. 사용자는 일반 유선 전화기(121) 또는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31)를 통해 ACK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메시지 또는 신호음을 들으면 통화 종료한다. 만일, 이동 통신 단말기(101)가 서비스 제외 구역에 있거나 그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면, 사용자에게 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lo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or leaves it at a remote place such as a company or a location where it is impossible to locate, the user may use a general wired system. The data packet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mod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through the telephone 121 or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1. Then, this data packe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ublic network 120 using the general wired telephone 121 and through the base station 111 using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3. The data packet is control data for executing the alarm mode setting, the lock mode setting, or the lik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The data packet is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with data for general data communication or a call using a flag or the like. Make it distin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receives the data packet and sets the operation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then transmits an ACK signal to the base station 103 indicating that the data packet has been received. When the user hears a predetermined message or beep sound corresponding to the ACK signal through the general wired telephone 121 or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1, the call ends.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s in the out-of-service area or its power is off, a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receive the data packe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1 또는 113)를 원하는 동작 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컨대, 벨 모드 또는 잠금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or 113 to a desired operation mode by using data packet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e, the user can remotely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or example, a bell mode or a lock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중 동작 모드 설정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예컨대, 데이터 패킷의 플래그에 의해 식별하고, 이 데이터 패킷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수신되는 동작 모드 설정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 신호를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측으로 내보낸다. 무선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5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무선부(6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데이터화하여 무선부(6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3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2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부(30)는 휴대폰 동작 제어와 본 발명에서 필요한 키입력 데이터와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The controlle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identifies a data packet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among the received data packets, for example, by a flag of the data packet, and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of the data packet. The controller 10 sends an ACK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packet for setting the received operation mode is received to the transmitting side of the data packet. The wireless unit 60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50 control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unit 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he speaker converts the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wireless unit 60. The key input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0.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various messages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he memory unit 30 includes a program memory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operation, key input data and program data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memory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control or during execution by a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중 동작 모드의 설정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identify the control data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among the data packets recei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hange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1)는 예컨대, 원격지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1)를 분실하였거나, 소정의 장소에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경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반 유선 전화(121) 또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113)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1)에 동작 모드를 전환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그러면 이동 통신 단말기(101)는 진동 모드나 묵음 모드에서 벨 모드로 전환되거나, 발신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1 to 3,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s, for example, located in a remote place 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location is impossible. For example, the user may have lo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or may not know the exact location at a predetermined place. Accordingly, the user transmits a data packet having control data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by using the general wired telephone 121 or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3.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receives the data packet to be switched to the bell mode from the vibration mode or the silent mode, or to be set to the lock mode to limit the transmission.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01)의 제어부(210)는 단계 302에서 데이터 패킷을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으면 제어부(210)는 단계 304로 진행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데이터 패킷의 분석은 이 데이터 패킷의 플래그를 이용한다. 만일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이 아니면, 단계 306으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1)가 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SMS 등의 데이터 통신이나 통화 등을 위한 데이터 패킷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1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이면, 단계308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해당 동작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310에서, 제어부는 기지국으로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을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ACK 신호를 송신한다.First, the controller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a data packet is received in step 302. If the data packet is received,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04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data packet is a data packet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the analysis of the data packet uses the flag of this data packet. If the received data packet is not a data packet for operation mode setting, the flow proceeds to step 306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 data packet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ncludes not only a data packet for operating mod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a data packet for data communication or a call such as a general SMS. If the received data packet is a data packet for operation mode setting, the controller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in step 308. In operation 310, the controller transmits an ACK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mode setting data packet has been received.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지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동작 모드 설정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 데이터 패킷에 따라 해당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transmits a data packet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or at a predetermined lo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ata packet.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원격지나 소정의 장소내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장소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기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 패킷에 따라 그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직접 제어 불가능한 상태에 있더라도 그 진동 모드 또는 묵음 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또한 발신 제한을 위한 잠금 설정이 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or a place where it is impossible to locate a predetermined location, the user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ata packet using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ly, the user can switch the vibration mode or the silent mode to the bell mode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be directly controlled, and the lock setting for the call restriction can be performed.

Claims (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 모드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데이터 패킷 수신시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setting data packet is received when the data packet is received; 상기 데이터 패킷이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이면 해당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if the data packet is a data packet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상기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의 수신을 나타내는 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And transmitting an ACK signal indicating the reception of the data packet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to a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벨소리 모드, 잠금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ode comprises a ringing mode and a lock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 판단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플래그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이 동작 모드 설정용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operation mode setting data packet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packet is an operation mode setting data packet using a flag of the data packet.
KR1020000068933A 2000-11-20 2000-11-20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KR200200390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933A KR20020039046A (en) 2000-11-20 2000-11-20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933A KR20020039046A (en) 2000-11-20 2000-11-20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046A true KR20020039046A (en) 2002-05-25

Family

ID=1970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933A KR20020039046A (en) 2000-11-20 2000-11-20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90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572A2 (en) * 2007-07-31 2009-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tamper-resistant contro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572A2 (en) * 2007-07-31 2009-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tamper-resistant control
WO2009017572A3 (en) * 2007-07-31 2009-03-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and method of tamper-resistant control
GB2464043A (en) * 2007-07-31 2010-04-0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and method of tamper-resistant control
US8185941B2 (en) 2007-07-31 2012-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tamper-resistant control
GB2464043B (en) * 2007-07-31 2012-09-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ystem and method of tamper-resistant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4704A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10056261A (en) Method for receiving called call and rejecting it selectively in portable radio telephone
KR20000042216A (en) Method for servicing rescue operations using micro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06246B1 (en) How to display caller information, including caller name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39046A (en)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tor
KR20000074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call connection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21663B1 (en) System for two number service of mobile terminal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00009726A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in portable telephone
KR100895157B1 (en) Method for notifying absence in mobile telephone
KR20040045573A (en) Method of notifying telephone conversation status on mobile phone
KR20020069987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personal assista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implementing method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89843B1 (en) Coming call expression form chang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9201B1 (en) Method for receiving short mes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KR20020051561A (en) Remote Change Method For Incoming Mode Of Mobile Terminal
KR20040064997A (en)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050049151A (en) Method for notifying urgent call in mobile phone
KR100565837B1 (en) Method of Ring Back Ton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67344A (en) Apparatus for canceling the vibration/silence notification mode of mobile cellular phone and canceling method thereof
KR20000013794A (en) Short message service identifying method in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0763B1 (en) Method for lin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vms system
JP2002218540A (en) Switch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forming of out of service area zone
JP2006067459A (en) Mobile terminal
KR100613979B1 (en) Method for message service of selective storing message i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telecommunicaton terminal and method according to the same
KR100439224B1 (en)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id for manner mode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