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210A -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210A
KR20020037210A KR1020000067247A KR20000067247A KR20020037210A KR 20020037210 A KR20020037210 A KR 20020037210A KR 1020000067247 A KR1020000067247 A KR 1020000067247A KR 20000067247 A KR20000067247 A KR 20000067247A KR 20020037210 A KR20020037210 A KR 20020037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
mobile unit
bas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형인
위남숙
손정교
권성화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이충식
주식회사 아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식, 주식회사 아미시스 filed Critical 이충식
Priority to KR102000006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210A/en
Publication of KR2002003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21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7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nfrared waves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s is provided to make a user exchange a predetermined signal with a display device, to obtain information for connecting with the voice network or the data network, and to store the information o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various connecting devices, so that the user can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data or the voice networks. CONSTITUTION: A mobile unit(100) comprises as follows. A transmission module(130) is one of an RF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local wireless data to an RF receiving module of a base unit(300) and 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ptical data to an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300). A receiving module(140) is one of an RF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local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300) and an optic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optical data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of the base unit(300). A control module(120) controls each unit. The base unit(300) comprises as follows. A memory controls the entire base unit(300), and stores data of the base unit(300), then stores externally-inputted data. A control module(320) inputs/outputs/analyzes/processes/stores the external data. A transmission module(330) is on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data to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mobile unit(100) and the RF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F receiving module of the mobile unit(100). A receiving module(340) is one of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of the mobile unit(100) to the control module(320) and the RF receiving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100) to the control module(320).

Description

데이터 또는 음성 네트웍 접속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 또는 음성 네트웍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광고판 등의 표시장치와 소정의 신호를 교환하여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웍 또는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과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얻고, 이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인터넷 단말기나 전화기 등의 다양한 접속 수단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등의 해당 데이터 네트웍 또는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 통신은 인터넷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통신 또한 전화기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ata or voice network access devices and method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information for a user to exchange a predetermined signal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n advertisement board and the like to connect to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and store this information, or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n internet terminal or a tele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to a connection means so that a user can access a desired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data commun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rnet, and that voice communication is not only performed through a telephone.

인터넷 접속은 일반적으로 브라우저(Browser) 창에서 인터넷주소(URL: Uniform Resource Locators)를 타이핑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접속하려는 사이트(site)의 인터넷주소를 미리 알고 있어야한다. 이 과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브라우저는 즐겨찾기나 최근 방문한 주소를 기억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이미 사용한 URL을 새로 타이핑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html)문서에 hypertext 기능을 부여하여 인터넷문서에 나와 있는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바로 해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e-mail 등 다양한 방법으로 URL을 교환할 수도 있다. 이 같은 방식은 유선으로 연결된(tethered ) 인터넷에서는 가장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접속 방식이다.Internet access is generally based on typin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s) in a browser window. To do this, the user must know in advance the Internet address of the site to which they are connecting. To make this process easier, the browser adds the ability to remember favorites or recently visited addresses so that you can reuse the URLs you've already used without typing new ones. Also, by providing hypertext function to internet (html) document, if you click internet address in internet document, you can directly access the site. You can also exchange URLs by various methods such as e-mail. This is the most common and natural connection for the tethered Internet.

그런데 최근에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nd-held PC, 무선모뎀이 장착된 노트북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접속방식을 보면, 그 접속 방식은 유선 인터넷의 접속 방식이 원용되거나 약간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cently, however,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wireless Internet accesses using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nd-held PCs, and notebook PCs equipped with wireless modems. In this ca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access method of the wired Internet is used or modified slightly.

우선 무선인터넷 단말기에서는 현재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트리 구조로 구현된 메뉴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각 단계 메뉴마다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또 그 단계의 컨텍스트(context)에 맞는 메뉴 아이템(menu item)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추가적 정보를 원하면 그 상태에서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게 되고, 그 결과 추가로 새 정보가 제공되며, 또 이 새 컨텍스트에 맞는 새로운 메뉴 아이템도 새로이 제공된다. 이 방식에서는 이러한 형식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First of all,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has widely used the menu method implemented by the tree structure adopted by th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etc., which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for each menu level and provides the context of the step. Provide a custom menu item. If the user wants additional information, he selects one of the menu items provided in that state, and as a result, additional new information is provided, and a new menu item for this new context is also provided. This method uses this form repeatedly.

또한 무선인터넷 단말기에서는 물론 유선인터넷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데, 우선 URL을 타이핑해서 접속하거나 즐겨찾기나 최근 방문한 사이트를 기억해서 재사용하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인터넷 단말기가 운영체계(operating system)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모든 유선인터넷 접속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ireless Internet terminals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the same way as wired Internet. First, a URL can be accessed or a favorite or recently visited site can be remembered and reused. Generally, if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has a function of an operating system, all wired Internet access methods can be applied as it is.

다른 방법으로는 핸드폰의 단문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나 WAP 등의 메시지 푸쉬(push) 기능을 사용하여 핸드폰 등 무선 인터넷 단말기로 URL을 푸쉬해주고 이렇게 받은 URL 메시지에 답(reply)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WAP폰, 자바폰이나, 윈도우즈(Windows)나 리눅스(Linux) 등의 OS가 탑재된 무선인터넷 단말기에도 이러한 푸쉬 기능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can push a URL to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message push function such as WAP, and reply to the received URL message. You can also access the Internet. This push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P phones, Java phones, or wireless Internet terminals equipped with an OS such as Windows or Linux.

그러나 상기 방식들은 모두 유선인터넷 접속 방식의 근본 철학이나 모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무선인터넷의 근본적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무선인터넷은 말 그대로 이동(mobile)하는 인터넷이다. 기존의 유선 인터넷 단말기가 고정된 장소에서의 사용을 기본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무선 인터넷 단말기는 사용자가 들고 다니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해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무선 인터넷의 특징은 이동성(mobility)이며 정보취득의 즉시성(卽時性; spontaneity)이다. 그런데 사람이 정보를 얻는 가장 직관적이면서도 보편적인 방법은 보는 것이다. 특히 걸어다니면서, 버스나 지하철에서, 차를 타고 다니면서, 운전하면서 보는 실내외의 간판, 광고판, 포스터 등 각종 표시장치 등을 통해서 정보를 취득하고 거기에 반응하는 것이 인간 삶의 보편적 모습이다. 다만 지금까지는 이러한 광고판이 주는 정보에 즉각 반응해서 인터넷 접속을 하는 모드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영역은 무선인터넷 접속의 중요한 대상이나 수단으로 간주되지 않았었다.However, all of the above methods do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fundamental philosophy or mode of the wired Internet access method, and do not properly utiliz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Internet. The wireless internet is literally a mobile internet. If the existing wired Internet terminal is made on the basis of use in a fixed place,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has the characteristic of allowing the user to carry the Internet anywhere at any tim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 of the wireless Internet is mobility and spontaneity of information acquisition. But the most intuitive and universal way of getting information is by looking at it. In particular, it is a common aspect of human life to obtain and respond to information through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billboards, billboards, posters, etc. that are seen while walking, driving in a bus or subway, driving while driving. Until now, this area was not regarded as an important object or means of wireless Internet access because there was no mode to access the Internet immediately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se billboards.

예를 들어, 사람이 거리를 가다가 광고판에 하와이 관광 안내판을 보았다고 하자. 만약 그 사람이 이 광고가 보여주는 하와이 관광에 관심이 있다면 당장 그 자리에서 이 하와이에 관련된 정보가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서 하와이의 역사, 지리 및 기후 등에 관한 정보도 얻고, 또 호텔이나 항공권도 예약 또는 예매하고 싶을 것이다. 물론 포스터에 URL이 표시되어 있다면 그를 외워서 무선인터넷 단말기에 그 URL을 타이핑해서 접속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걸어다니면서 무선인터넷 단말기에 타이핑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며 설사 타이핑을 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상당히 불편한 방법임에는 틀림없는 일이다. 만약 단순히 표시장치를 향하여 신호를 발사함으로써 접속(shoot and connect)할 수 있다면 이 보다 더 직관적이고 쉬운 방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이러한 URL 정보를 쉽게 저장하거나 다른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For example, let's say a person walks down the street and sees a Hawaii tourist sign on a billboard. If the person is interested in the Hawaiian tourism that this ad shows, you can immediately access the Internet site for Hawaiian information and get information about Hawaii's history, geography and climate, or book a hotel or ticket. You will want to book it. Of course, if the poster is marked with a URL, you can memorize him and type it into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However, typing on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while walking is not an easy task, and even if you type, it must be quite inconvenient. It would be difficult to find a more intuitive and easier way if we could simply shoot and connect to the display. It can also be useful in many ways if you can easily store this information or send it elsewhere.

음성을 위주로 하는 전화기도 상황은 비슷하다. 길거리의 광고판 등의 표시 장치에는 흔히 전화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데 물론 이를 외우거나 기록해서 전화를 걸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폰을 써도 전화 번호를 외우거나 기록해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만약 상기한 예와 같이 단순히 표시장치를 향하여 신호를 발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shoot and call) 수 있다면 이 보다 더 쉽고 직관적인 방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상기 인터넷 접속 정보(URL)나 전화번호 등을 쉽게 저장하거나 다른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면 이 또한 여러 가지로 유용할 것이다.The situation is similar for voice-based phones. Display devices, such as billboards on the street, often have a phone number listed, of course, you can memorize or record the call. In this case, the fact that the phone number should be memorized or recorded even with a mobile phone remains the same. However, if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hoot and call by simply firing a signal toward the display as in the above example, it will be difficult to find an easier and more intuitive way. In addition, if the Internet access information (URL) or a phone number, etc. can be easily stored or transmitted to other places, this may also be useful in various ways.

본 발명과 관련된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을 보면, 우선 적외선 통신 포트(IrDA Port: Infrared Data Association Port)를 장착한 단말기를 들 수 있다. 핸드폰이나 PDA 단말기는 흔히 적외선 포트를 내장하고 있어서 단말기끼리 또는 단말기와 PC 사이의 정보 교환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들은 본질적으로 유선을 무선으로 대치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In the prior art in this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erminal equipped with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Port (IrDA Port). Mobile phones and PDA terminals often have built-in infrared ports and are used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erminals or between a terminal and a PC. However, these devices are essentially only used to replace wires wirelessly.

또한 근접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한 스마트 카드(Smart Card)도 종래의 기술로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In addition, a smart card using a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mart Card) can be seen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but this is also just a device for data exchange.

또 다른 종래 기술로 자유공간의 레이저 통신(Free Space Laser Communication) 방식을 들 수 있다. 최근에 많은 광통신 회사가 이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공기 중에 레이저광을 쏘아 이를 데이터 통신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a free space laser communication method. Recently, many optical communication companies have developed and used this technology, which uses laser light in the air and uses it as a data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또는 음성 네트웍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 data or voice network,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광고를 보고 모빌 유닛 사용자가 베이스 유닛과 통신하는 예시도.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unit user communicates with a base unit after viewing an advertisemen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을 이용한 음성 네트웍 및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는 시스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ccessing a voice network and a data network using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모듈로 사용되는 무선이동단말기의 내부구성도.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mobile terminal used as a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4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의 데이터 흐름도의 일 예시도.5 is an exemplary data flow diagram of a mobile unit and a ba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을 이용한 음성 네트웍 및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system for connecting to a voice network and a data network using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매체의 변경시 데이터 포맷 구성 예시도.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ormat configuration when a transmission medium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포맷 구성도.8 is a data format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9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0 은 도 9 의 광송신모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10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of FIG.

도 11 은 도 9 의 광수신모듈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1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of FIG.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SMS 서비스 모듈의 SMS 처리 흐름도.12 is an SMS processing flowchart of the SMS servi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도 2 의 장치에서 지정된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FIG. 13 is a data flowchart when using a designated site in the apparatus of FIG. 2; FIG.

도 14a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게 보내는 데이터 포맷 예시도.14A is an exemplary data format sent by a mobile unit to a bas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4b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게 보내는 데이터 포맷 예시도.14B is an exemplary data format sent by a mobile unit to a bas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 수신모듈의 구성도.1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unit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 송신모듈의 구성도.1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unit trans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무선 단말기 예시도.Figure 17 illustrates a composite wireless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동작 흐름도.18 is a flowchart of operation of the ba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는 도 2 의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 구성도.19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 of FIG.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모듈의 구성도.20 is a block diagram of a servi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의 다른 구성도.21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 는 도 2 의 RF를 사용하는 경우의 베이스 유닛 송신부 구성도.Fig. 22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unit transmitter in the case of using the RF of Fig. 2.

도 23 은 본 발명의 베이스 유닛에서 사용되는 응답신호 데이터의 포맷 예시도.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ormat of response signal data used in the bas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 24 는 본 발명의 베이스 유닛에서 모빌 유닛으로 보내는 응답신호와 컨텐츠관련 추가정보 데이터의 예시도.Fig. 24 shows an example of a response signal and content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data sent from the base unit to the mobil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모듈의 데이터 처리 흐름도.25 is a data processing flowchart of 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 은 도 25 에 따른 구성도.26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FIG. 25.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 베이스 유닛 및 외부접속장치간 단순접근제어방식의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 방법의 개념도.2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ethod of a simple access control method between a mobile unit, a base unit, and an external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 베이스 유닛 및 외부접속장치간 접근 코드 교환 방식의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 방법의 개념도.2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ethod of an access code exchange method between a mobile unit, a base unit, and an external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9 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코드 교환 방법의 흐름도.29 is a flowchart of an access code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0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 베이스 유닛 및 외부접속장치간 시간 도장 찍은 해시코드 이용방식의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 방법의 개념도.3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ethod of a hash code using a time stamp taken between a mobile unit, a base unit, and an external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 베이스 유닛 및 외부접속장치간 매번 접근코드 생성방식의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 방법의 개념도.3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ethod of an access code gener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unit, a base unit, and an external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모빌 유닛 102: 입력부100: mobile unit 102: input unit

104: 표시부 106: 외부입출력부104: display unit 106: external input and output unit

108: 메모리 110: 접속모듈108: memory 110: connection module

112: 전화장치 120,320: 제어모듈112: telephone device 120, 320: control module

130,330: 송신모듈 131,333: 부호화기(encoder)130,330: Transmission module 131,333: Encoder

132,142',335: 변조기(modulator) 133: 드라이버132,142 ', 335: Modulator 133: Driver

134,141': 안테나 140,340: 수신모듈134,141 ': antenna 140,340: receiving module

141: 광검출기 142,142': 증폭기141: photodetector 142,142 ': amplifier

143,143',345',346: 복조기 144,144',347': 복호화기(decoder)143,143 ', 345', 346: Demodulator 144,144 ', 347': Decoder

150,250: I/O 및 디스플레이 260: 표시장치150,250: I / O and display 260: display

200: 외부접속장치 300: 베이스 유닛200: external connection device 300: base unit

310: 서비스모듈 311: 처리부310: service module 311: processing unit

312: SMS 서버 313: e-mail 서버312: SMS server 313: e-mail server

314: 페이징 서버 332: 송신부314: paging server 332: transmitting unit

334: 충돌감지모듈 337: RF송신부334: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7: RF transmitter

341': 광필터 342: 광검출기341 ': optical filter 342: photodetector

342': PIN 포토다이오드 343': Front End342 ': PIN photodiode 343': front end

344: 증폭기 344': 등화기(equalizer)344: Amplifier 344 ': Equalizer

346': 검출기 348: 복호화기346 ': detector 348: decoder

348': 동기화기 500: 사용자348 ': synchronizer 500: user

550: 데이터베이스 600: 표시장치550: database 600: display device

650: 지정된 유무선 사이트 700: 기본 데이터 포맷650: wired or wireless site specified 700: default data format

710: 헤더 711: 머리말710: header 711: header

712,713: ID 714,724,734: ECC712,713 ID 714,724,734: ECC

715: 고유 코드 716: 데이터 형식 종류715: Unique Code 716: Type of Data Type

717: 데이터 형식 버전 720: 보디717: Data Format Version 720: Body

722: 내용 730: 테일722: content 730: tail

732: 꼬리말732 footer

1310: USB 1320: IEEE13941310: USB 1320: IEEE1394

1330: RS232XC 1340: 마이크로프로세서1330: RS232XC 1340: Microprocessor

1350: 주변기기 1360: 범용인터페이스1350: Peripheral device 1360: Universal interface

1370: 키패드 1380: 모드선택 인터페이스1370: keypad 1380: mode selection interface

1390: 송신단자 1395: 수신단자1390: transmitting terminal 1395: receiving terminal

I.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I.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Invention

1. 개요1. Overview

본 발명에서는 표현의 간결성과 정확성을 위해서 새로운 개념의 용어들을 정의해서 사용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가운데 정의 또는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뒷부분에 용어집 (glossary)으로 정리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f a new concept are defined and used for simplicity and accuracy of expression. These terms are defined or explai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summarized in a glossary lat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우선 간단한 예들을 들어 본 발명의 취지를 설명한 후, 각각의 장치와 방법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 하도록 한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simple examples, and then an exact description of each device and method will be given.

사람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많이 접하는 표시장치(Display Device)에는 무수히 많은 종류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광고용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표시장치는 의도한 정보를 보는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광고용 디스플레이 패널은 의도한 광고 메시지의 전달이 주목적이다.There are a myriad of kinds of display devices that a person touches indoors or outdoo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advertising display panel as an example. This display device mainly aims to deliver the intended information to the viewer. In particular, the display panel for advertising is mainly intended for the delivery of the intended advertising message.

이러한 표시장치의 특징은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상대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일률적인 내용만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의도한 상품 선전이 광고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목적이라면 디스플레이된 영상이나 메시지를 보고 개개인이 이에 반응해서 더욱 세세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해주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용성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광고용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와이 여행에 관한 광고를 하고 있으면, 이에 관심을 가진 시청자가 이에 반응해서 하와이의 기후, 역사, 관광명소에 관한 여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display device are generally direct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public, and in this case, it is configured to deliver only uniform contents. Therefore, if the intended product promotion is the purpose of the display panel for advertisement, the usefulness of the display panel will be greatly increased by allowing the individual to know more detail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image or message. If an advertising display panel advertises about traveling to Hawaii, it would be better if interested viewers could respond and collect various information about Hawaii's climate, history, and attractions.

이러한 행위가 가능하도록 하려면 우선 개개인이 들고 다니는 통신수단이 있어야 한다. 상기 개개인이 휴대하는 통신 수단은, 표시장치에 부착된 소정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무선인터넷 단말기가 흔히 쓰이게 될 것이다. 그러나 꼭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표시 장치에 부착된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트(content)에 관해 추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장치의 주소 특히 웹주소(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콜센터(Call Center)나 자동응답시스템(ARS: audio response system)의 전화번호, UMS(unified messaging system) ID 등과 이를 간접적인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는 정보(본 발명에서는 이를 총칭하여 "메타정보"라 부른다)를 저장하는 수단과 이 메타정보를 원하는 개개인에게 다양한 경로와 방법으로 보내 줄 수 있는 통신수단을 장착하고 있어야 한다.In order to make this possible, there must be a means of communication carried by the individual. As the communication means carried by the individual, a mobile phone or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having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device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will be commonly used. But that'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device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dress of an external device that can provide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in particular,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a call center (URL). B) storing the telephone number of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an unified messaging system (UMS) ID,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eta information") that can be extracted in an indirect manner. It must be equipped with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means of sending this meta-information to individuals wishing in a variety of ways and ways.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 부착되어 현재 디스플레이되거나 컨텐트에 관한 메타정보를 저장하고 개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는 장치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기타 적절한 기능이 추가된 장치를 총칭하여 "베이스 유닛(Base Unit)"이라 부른다. 이 베이스 유닛의 구조와 기능에 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unit"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evice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which stores meta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displayed or content,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with a device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other appropriate functions are added. It is calle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is base unit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개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베이스 유닛과 통신이 가능하며 통상 웹 접속 또는 음성 전화 등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모뎀이 장착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핸드폰 등의 통신단말기와 연동해서 사용이 가능한 장치를 "모빌 유닛 (Mobile Unit)"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모빌 유닛은 PDA나 핸드폰 등의 통신단말기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통신단말기와 분리된 독립된 유닛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모빌 유닛이 독립된 유닛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통신단말기나 PC 등의 외부접속유닛과 연계해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호 통신 가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빌 유닛은 말 그대로 해석하면 움직일 수 있는 유닛이지만 반드시 휴대가 가능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는 기능상의 분류일 뿐이다.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 등도 본 발명에서 하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과의 적절한 통신 수단을 장착하여 모빌 유닛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스크탑 PC도 모빌 유닛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 모빌 유닛의 구조와 기능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서 아래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A device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wireless modem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uch as a web connection or a voice telephone, can be carried by an individual. Called "Mobile Unit". In general, the mobile unit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or may be manufactured as an independent unit separat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unit is manufactured as an independent uni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mutual communication so that the mobile uni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onnection unit such as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C. Mobile units are literally mobile units, but they don't have to be portable. Rather, it is merely a functional classification. For example, a desktop PC or the like can also be equipped with appropriate communication means with the bas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the function of a mobile unit. In this case, the desktop PC should also be considered a mobile uni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is mobile unit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광고용 표시장치에 표시된 하와이 관광 선전을 보고 이에 모빌 유닛 사용자가 반응하여 베이스 유닛과 통신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빌 유닛(100)의 사용자(500)는 도 1 과 같이 표시장치(600)의 내용 등을 보고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기 원하는 경우 베이스 유닛(300)에게 자신에 관한 정보 및 원하는 접속 정보를 전달하여(shoot) 베이스 유닛(300)과의 통신을 시작하게 되며, 하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인터넷 등의 데이터 네트웍이나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에 접속하게 된다.Figure 1 shows the Hawaii tourism propaganda displayed on the advertising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unit users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unit shows that. In general,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itself and desired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base unit 300 when the user 500 wants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by viewing the contents of the display device 600 as shown in FIG. 1.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unit 300 is started to connect to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by the following various method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 유닛을 이용한 음성 네트웍 및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ccessing a voice network and a data network using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취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크게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의 독립된 장치가 필요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편의를 위해 외부접속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모빌 유닛(100)은 접속모듈(110), 제어모듈(120), 송신모듈(130) 및 수신모듈(140)로 이루어져 있고,베이스 모듈(300)은 통상 서비스모듈(310), 제어모듈(320), 송신모듈(330) 및 수신모듈(340)로 이루어진다.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에는 각각 데이터 입출력 장치(150)(250)와 이를 보여주기 위한 표시장치(260)가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 유닛은 표시장치(260)와 연동해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공중망에는 사용자(500)가 찾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550) 또는 웹서버가 연결되어 있다. 표시장치(260)는 제어모듈(320)로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모듈(320)이 표시장치(260)로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표시장치(260)와 제어모듈(320)이 서로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ependent device of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is largely required, and a user may use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for his convenience. And the general mobile unit 100 is composed of a connection module 110, a control module 120, a transmission module 130 and a receiving module 140, the base module 300 is a normal service module 310, the control module It consists of a 320, a transmission module 330 and a receiving module 340. Data input / output devices 150 and 250 and a display device 260 for displaying the same may be attached to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respectively. The base unit is generally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60. The public network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bases 550 or web servers that hold information that the user 500 seeks. The display device 260 may transmit data in one direction to the control module 320, the control module 320 may transmit data in one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260, or the display device 260 and the control module ( 320 may transmit data in both directions.

모빌 유닛(100)은 보통 개인이 휴대해서 사용하는 유닛으로서, 핸드폰, PDA 등 무선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과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 그리고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과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은 서로 다양한 통신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즉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은 광 매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할 수도 있고, 전파(RF)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과 수신시 다른 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모빌 유닛의 송신모듈(130)은 베이스 유닛의 수신모듈(340)에 광 매체(s1)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반대로 베이스 유닛의 송신모듈(330)은 모빌 유닛의 수신모듈(140)에 전파 매체(s2)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은 통신 중간에 매체를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빌 유닛의 송신모듈(130)이 광 매체(s1)를 통해 베이스 유닛의 수신모듈(340)에게 최초로 메시지를 보낸 후, 베이스 유닛의 송신모듈(330)은 전파 매체(s2)를 통해 모빌 유닛의 수신모듈(140)에게 응답 메시지를 보내고 그 후로부터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과의 통신은 전파 매체(s2)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mobile unit 100 is a unit which is usually used by a person, and may be mounted inside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or may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device.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100 and the reception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and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and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are mutually different.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dia. That is,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 optical medium,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n radio wave (RF) medium. It is also possible to use different medi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at is, the transmitting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through the optical medium s1, and on the contrary, the transmitting module 330 of the base unit propagates to 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Data can be transmitted via the medium s2. Furthermore,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may change the medium in the middle of communication. For example, after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first sends a message to the reception module 340 of the base unit via the optical medium s1,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radio medium s2. Send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and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may be made via the propagation medium (s2).

또한 베이스 유닛(300)은 서비스 모듈(310)을 써서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은 유무선 인터넷이나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무선통신망 등의 공중망(Public Network)을 이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ase unit 300 may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using the service module 31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ses a public network such as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 모듈(310)이 외부접속장치(200)와 유무선 인터넷이나 PSTN 또는 무선통신망 등의 공중망(Public Network)을 이용하여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ransmits data to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using an external access device 200 and a public network such as wired / wireless internet, PSTN,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also be transmitted.

베이스 유닛(300)은 간판이나 전광판 등의 표시장치에 부착되거나 이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유닛으로서 모빌 유닛(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모빌 유닛(100)에 적절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때 베이스의 유닛이 모빌 유닛에게 전송하는 정보를 총칭하여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라 한다. 컨텐츠관련 추가정보 중에는 메타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모빌 유닛은 이 메타정보를 사용하여 직관적 접속을 하게된다.The base unit 300 is a unit attached to or used in conjunction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 signboard or an electric signboard and transmits appropriate data to the mobile unit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mobile unit 100.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is collectively calle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Meta-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and the mobile unit uses the meta-information to make an intuitive connection.

또한 모빌 유닛(100)의 사용자(500)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접속모듈(110) 이외의 장치로 베이스 유닛이 주는 컨텐츠관련 추가정보 특히 메타정보를 저장하거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 데이터 네트웍이나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에 연결하고 싶어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거리에서 하와이 관광 안내를 보고 더 알아보고 싶지만 지금 당장에는 시간이 없기 때문에 저녁에 가정의 홈컴퓨터로 하와이 관광 사이트에 접속해보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하와이 관광 사이트의 URL을 자신의 e-mail 주소로 보내달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빌 유닛의 사용자는 모빌 유닛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e-mail 주소를 베이스 유닛에게 전송하여 베이스 유닛으로 하여금 하와이 관광 사이트의 URL을 자신에게 e-mail로 보내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e-mail을 받아 웹에 접속하는 장치 즉 가정의 PC가 외부접속장치(200)가 된다. 물론 모빌 유닛 자체가 데이터 저장기능이 있기 때문에 모빌 유닛 사용자가 이 URL 정보 등의 메타정보를 자신의 모빌 유닛에 저장했다가 추후 모빌 유닛을 사용하여 하와이 관광 사이트의 URL에 접속할 수도 있고, 또 이 메타정보를 하기 외부접속장치로 전송하여 이 외부접속장치를 이용해서 접속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is a device other than the connection module 110 that he or she is carrying, and stor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provided by the base unit, in particular, meta information or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y using meta information. Sometimes you want to connect to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For example, if you want to find out more about the Hawaii tour guide on the street but don't have time right now, and you want to access the Hawaii tour site with your home computer in the evening, please refer to the Hawaii tourism site's URL. You can ask to send it to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mobile unit may send his e-mail address already stored in the mobile unit to the base unit to request the base unit to e-mail the URL of the Hawaii tourism site. At this time, the device for accessing the web by receiving the e-mail, that is, the home PC becomes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Of course, since the mobile unit itself has a data storage function, a mobile unit user may store meta information such as URL information in his mobile unit and later use the mobile unit to access a URL of a Hawaii tourist site. Information can also be transferred to the following external connection devices and connected using this external connection device.

외부접속장치(200)는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이나 인터넷 등의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 핸드폰, PDA, Hand-held PC, 노트북, Web TV,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양방향 호출기(two way pager) 등의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와 전화기 등 모든 다양한 복수의 장비를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외부접속장치(200)는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로부터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받거나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로부터 제어모듈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받는다.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is a desktop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or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mobile phone, a PDA, a hand-held PC, a notebook computer, a web TV, and a two-way pager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access. All other various devices such as wired / wireless internet terminal and telephone. In general,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receives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or stored in the control module internal memory from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접속모듈(110)은 무선 휴대 이동 단말기와 같이 모빌 유닛(100)과 결합될 수 있는 장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모듈로 사용되는 무선이동단말기의 내부구성도의 일 예시도이다. 여기서는 휴대이동 단말기가 접속모듈로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The connection module 110 is a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mobile unit 100, such as a wireless portable mobile terminal.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mobile terminal used as a conn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is used as a connection module.

이하 상기한 각 유닛의 구성과 동작 원리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each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모빌 유닛2. Mobile Unit

이 장치는 통상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130), 수신모듈(Receiver Module)(140), 접속모듈(Connection Module)(110) 및 제어모듈(Control Module) (1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빌 유닛의 사용자 개개인이 필요한 정보를 입출력하고 표시하는 입출력 및 표시장치를 부착해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 방식이다.The apparatus is generally composed of a transmitter module 130, a receiver module 140, a connection module 110, and a control module 120. In addition, it is a general configuration method to attach and configure an input / output and a display device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quired for each user of the mobile unit.

모빌 유닛은 일반적으로 개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는 장치로서, 베이스 유닛과 통신이 가능하며 통상 웹 접속 또는 음성 전화 등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모뎀이 장착된 PDA나 핸드폰 등의 통신단말기와 연동해서 사용된다. 모빌 유닛은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PDA나 핸드폰 등의 통신단말기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통신단말기와 분리된 독립된 유닛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A mobile unit is a device that is generally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wireless modem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base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uch as a web connection or a voice telephone. . The mobile unit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or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unit separat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 는 모빌 유닛이 독립된 유닛으로 제작된 일 예이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빌 유닛이 반드시 휴대가 가능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서 보면 이 모빌 유닛은 제어모듈(120), 광송신모듈(130), RF수신모듈(140), 입력부(102), 표시부(104), 외부입출력부(106)로 이루어져 있다. 도 4b 에서 보면이 장치는 메타정보 등의 선택키, 취소키, 검색용 키 등의 기능키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4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unit is manufactured as an independent unit. And as mentioned earlier, the mobile unit does not have to be portable. 4a, the mobile unit includes a control module 120, 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30, an RF reception module 140, an input unit 102, a display unit 104, and an external input / output unit 106. Referring to FIG. 4B, it can be seen that the device includes function keys such as a selection key such as meta information, a cancel key, and a search key.

제어모듈(120)은 모빌 유닛(1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모듈은 통상적으로 CPU, 메모리, I/O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면 EEPROM, FLASH 메모리 등의 외부메모리도 추가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모듈(120)은 기본적으로 장치고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라 함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나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혹은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전송 받은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정보 등이 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20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entire mobile unit 100. The control module is typically easy to configure using a microcontroller with CPU, memory and I / O functions. In addition, external memory such as EEPROM and FLASH memory can be added if necessary. Since this technique is already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ntrol module 120 basically stores data unique to the device, and in some cases,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may be user input data,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content-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unit 300.

제어모듈(120)은 이러한 데이터들을 목적에 알맞게 가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가공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 조건에 따라 송신모듈(130)과 접속모듈(110)로 전송하고, 제어모듈(120)의 출력장치를 통하여 외부접속장치(20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모듈(120)은 각 모듈들(110)(120)(130)(140)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120 also serves to process thes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module 130 and the connection module 11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condition,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the output device of the control module 120.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20 controls the data flow between the modules 110, 120, 130, 140.

송신모듈(130)과 수신모듈(140)은 베이스 유닛(300)과 통신을 하기 위한 모듈이다. 송신모듈(130)은 제어모듈(120)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기타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된 매체를 통해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The transmitting module 130 and the receiving module 140 are modules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unit 300. The transmitting module 130 is a module that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module 120 and other appropriate data to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the selected medium.

수신모듈(140)은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모듈(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모듈이다.The reception module 140 is a module that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module 120.

접속모듈(110)은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다. 접속모듈(110)은 외부와 접속한다는 점에서는 외부접속장치(200)와 다를 바 없으나 모빌 유닛과 한몸체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외부접속장치(200)와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접속모듈(110)은 전화, 무선 모뎀 등의 기능이 있어서 전화 등 음성 네트웍 및/또는 인터넷 등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모듈(110)은 인터넷 또는 공중망을 통해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거나 또는 베이스 유닛(300)이 제공한 메타정보에 해당하는 웹 사이트 등에 직접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110 is a module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unit 300.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different from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but is distinguished from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n that it forms one body with the mobile unit. In general, the connection module 110 has a function of a telephone, a wireless modem, etc., so that the connection module 110 may be connected to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and / or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access module 110 obtains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the Internet or the public network, or directly connects to a web site corresponding to the meta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ase unit 300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상기 모빌 유닛(100)에서, 송신모듈(130)과 제어모듈(120)은 필수적이지만, 다른 모듈들은 선택적인 모듈들이다. 따라서 모빌 유닛을 구성하는 일부 모듈은 생략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능한 구성 방식을 보면,In the mobile unit 100, the transmission module 130 and the control module 120 are essential, but other modules are optional modules. Therefore, some modules constituting the mobile unit can be omitted. In general, look at the possible configurations

첫째로 송신모듈(130), 제어모듈(120), 접속모듈(110), 수신모듈(140)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First, when all of the transmission module 130, the control module 120, the connection module 110, the receiving module 140,

둘째로 송신모듈(130)과 제어모듈(120), 접속모듈(110)로 구성되는 경우,Secondly, when the transmission module 130, the control module 120, and the connection module 110,

셋째로 송신모듈(130)과 제어모듈(120), 수신모듈(140)로 구성되는 경우,Third, when composed of the transmission module 130, the control module 120, the receiving module 140,

넷째로 송신모듈(130)과 제어모듈(120)만 있는 경우가 있다.Fourth, there are cases where only the transmission module 130 and the control module 120 exist.

이제 사용자(500)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500)가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패드 등의 입출력 장치를 상기 모빌 유닛(100)에 추가할 수 있다. 도 4 의 입력부(102)나 표시부(104) 그리고 외부입출력부(106)가 한 예가된다.Now, the method of inputting data by the user 500 will be described. As a method for the user 500 to input data to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and a keypad may be added to the mobile unit 100. An example is the input unit 102, the display unit 104, and the external input / output unit 106 of FIG. 4.

또 모빌 유닛(100)을 개인 PC와 케이블, 무선,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인터페이스인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PC로부터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unit 100 may input and output data from and to the PC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which is a wireless interface using a personal PC and a cable, wireless, and infrared.

3. 베이스 유닛3. Base unit

이 장치는 통상 송신모듈(330) ,수신모듈(340), 제어모듈(320), 서비스모듈(310)로 구성되며, 베이스 유닛이 필요한 베이스 유닛 고유 데이터의 입출력 장치와 이를 보여주기 위한 스크린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대신 컴퓨터와 연결하여 컴퓨터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고 또 리모콘 등을 사용하거나 인터넷이나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device is generally composed of a transmitting module 330, a receiving module 340, a control module 320, a service module 310, the base unit is attached to the input and output device of the base unit specific data required and a screen for showing the same Instead, it can be connected to a computer to use the computer's keyboard and monitor, and can also be used with a remote control or the Interne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베이스 유닛은 표시장치와 연동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제어모듈(320)은 우선 현재 디스플레이 또는 방송되고 있는 컨텐트에 관한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제어모듈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모빌 유닛이 베이스 유닛의 메타정보 등 원하는 데이터를 지정하여 수신모듈(340)에 송신을 하면, 이 요구사항은 제어모듈(320)로 전송되고 이에 맞춰 제어모듈은 송신모듈(330)을 통해 모빌 유닛에 메타정보 등 적절한 컨텐츠 관련 추가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320)은 베이스 유닛과 모빌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하고, 연동해서 사용하는 표시장치와의 통신도 담당하며, 자체 고유 데이터의 입출력도 제어하여 베이스 유닛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출력, 분석, 가공, 처리 및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In general, the base uni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odule 320 first stores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about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r broadcast,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control module. When the mobile unit designates desired data such as meta information of the base unit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receiving module 340, the requiremen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320 and the control module accordingly transmits the mobile unit through the transmitting module 330. Se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ppropriate content such as meta information. As such, the control module 320 control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mobile unit, and is also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us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controls input / output of its own data to input and output necessary data of the base unit. It functions to analyze, process, process and store.

수신모듈(340)은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이며, 송신모듈(330)은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모듈이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유닛(300)이 모빌 유닛(100)으로 전송하는 정보를 총칭하여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라고 부르며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는 URL, 모빌 IP(Internet Protocol), IPv6, 전화번호, 또는 이들을 얻기 위한 간접적인 정보를 총칭하는 "메타정보"와 그밖에 베이스 유닛이 모빌 유닛으로 전달하는 정보의 총칭인 "서술형 정보"로 나뉘어진다. 서술형정보(Descriptive Information)는 그 자체가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모빌 유닛 사용자가 이 서술형 정보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모빌 유닛 사용자는 메타정보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된다.The reception module 340 is a module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100, and the transmission module 330 is a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mobile unit 100. In general,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mobile unit 100 is collectively called "content-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URL,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Pv6,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It is divided into " meta information ",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indirect information, and " descriptive information ", which is a general term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unit to the mobile unit. Descriptive information itself has information about content, and in some cases, mobile unit users may obtain desired information with this descriptiv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mobile unit user does not need to use meta information.

한편 송/수신 모듈에서 LED광, 레이저 광의 광 매체가 있는데, 송/수신 모듈은 "레이저 광" 과 "LED 광"에 의해서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같은 "LED 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하는 프로토콜(예로서 IrDA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수신 모듈이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른 프로토콜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여러 프로토콜 중에서 어떤 프로토콜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optical medium of LED light and laser light in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is not only changed by “laser light” and “LED light”, but the protocol used even when using the same “LED light” ( For example,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may vary depending on the IrDA protocol). Of course, other protocols are possible.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y of the above-described protocols.

그리고 같은 "LED 광"이지만 프로토콜에 따라 송/수신모듈이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은 "레이저 광"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도 마찬가지이다.And the same "LED light",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tocol. The same applies to "laser light"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중 "Bluetooth"는 이미 그 프로토콜이 정해진 것이지만, 기타 다른 프로토콜의 근거리 무선 통신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처럼 프로토콜의 변화에 따라 송/수신 모듈도 달라질 수 있다. 송수신모듈은 프로토콜에 의해서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매체의 파장 등 매체의 특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수신 모듈은 매체의 종류에 따라, 같은 매체인 경우에도 매체의 파장에 따라 그리고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lthough the protocol of "Bluetooth" is already defined 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other protocol is also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wa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protocol.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may not only vary depending on the protocol, but may also var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such as the wavelength of the medium to be used. In other word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um, the wavelength of the medium, and the protocol used for communication even in the same medium.

서비스모듈(310)은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수신 모듈(140)로 전송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 예로서, 전화, VoIP(voice over IP), SMS(short message system), 유/무선 인터넷, 단/양방향 무선 호출기(pager), e-mail, 통합 메시지 시스템(UMS:Unified Message System), 포털사이트 등을 이용하여 -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에 전송하기 위한 모듈이다. 서비스모듈은 경우에 따라서는 공중망을 통해 외부(55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베이스 유닛(300)으로 가져오기도 한다. 즉 공중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것이 단방향뿐만 아니라 양방향도 가능하다.The service module 310 bypasses the data without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for example, by telephone, voice over IP (VoIP), short message system (SMS), wired / wireless internet, Using a single / two-way pager, e-mail, Unified Message System (UMS), portal site, etc.-to the access module 110 or external access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Module to transmit. In some cases, the service module may access the outside 550 through the public network to bring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base unit 300. That i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public network is not only unidirectional but also bidirectional.

이때 서비스모듈이 인터넷 접속을 통해 외부(550)로부터 가지고 오는 정보도 '컨텐츠 관련 추가정보'에 포함된다. 즉 좀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이러한 정보는 '서술형 정보'가 된다. 본 발명에서 '서술형정보'는 모빌 유닛과 송수신모듈로 주고 받는 정보 가운데 메타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hat the service module brings from the outside 550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n more detail, this information becomes 'descriptive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v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excluding meta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베이스 유닛의 구성은 상기의 모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유닛(300)에서 수신모듈(340)과 제어모듈(320)은 필수적이지만 다른 모듈들은 선택적으로서,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unit may include all of the above modules and may be omitted as necessary. In general, the receiving module 340 and the control module 320 is essential in the base unit 300, but other modules are optional.

첫째, 송신모듈(330), 수신모듈(340), 제어모듈(320) 및 서비스모듈(310)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First, if all of the transmission module 330, the receiving module 340, the control module 320 and the service module 310,

둘째, 송신모듈(330), 수신모듈(340) 및 제어모듈(320)로 구성된 경우,Second, when composed of the transmission module 330, the receiving module 340 and the control module 320,

셋째, 수신모듈(340), 제어모듈(320) 및 서비스모듈(310)로 구성된 경우가 있다.Third, there is a case where the receiving module 340, the control module 320 and the service module 310.

4. 외부접속장치4. External connection device

외부접속장치(200)는 본 발명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의 장치는 아니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빌 유닛(100)의 사용자(500)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접속모듈(110) 이외의 다양한 장치로 베이스 유닛이 주는 메타정보를 저장하거나 이용하여 인터넷 등 데이터 네트웍이나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에 연결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화 등의 음성 네트웍이나 인터넷 등의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의 총칭으로서 핸드폰, PDA, Hand-held 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호출기 등의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와 전화기 등의 다양한 장비를 포함한다. 이 장치(200)는 모빌 유닛(100) 또는 서비스 모듈(310)로부터 컨텐츠관련 추가 정보를 수신하며 그중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전화 등 음성 네트웍이나 인터넷 등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접속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타 모빌 유닛도 외부 접속장치로 볼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s not an indispensable device that is indispen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mentioned above,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may use various devices other than the connection module 110 that he or she is carrying. A generic term for all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t includes a variety of equipment such as mobile phones, PDAs, hand-held PCs, notebook computers, desktop computers, pagers, and wired / wireless Internet terminals. The device 200 receives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unit 100 or the service module 310, and has a function of accessing a voice network such as a telephone or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y using meta information. Other mobile units with connection modules can also be seen as external connections.

5.전송매체5. Transmission medium

본 발명에서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 사이의 통신에 사용하는 전송 매체로는 일반적으로 광 매체와 전파매체를 사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medium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generally uses an optical medium and a radio wave medium.

광 매체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부터 발생하는 LED광이나 레이저광을 총칭하며, 전파매체로는 일반적으로 라디오주파수 대역(RF: Radio Frequency)의 전파를 사용하는 각종 근거리 무선망, 셀룰러폰, PCS 폰, 단/양방향 페이저(pager), 단문메시지(SMS),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카드에 쓰는 근접센서도 전파를 사용하므로 전파매체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에서 LED광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광을 총칭하며 그 파장대는 다양하여 가시광선의 영역이나 적외선 영역을 포함한다. 흔히 쓰는 LED광은 적외선 LED (IrLED)이나 본 발명의 LED 광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레이저광도 레이저의 소스(source)에 따라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파장의 레이저광을 사용하지만 이 역시 어느 특정한 레이저광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optical medium is a generic term for LED light or laser light generated from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various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cellular phones, and PCSs that generally use radio frequency (RF) radio waves. Phone, short / two-way pager (pager), short message (SMS), Bluetooth (Bluetooth)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sensor used in the smart card is also included in the radio medium because it uses radio wav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light is a generic term for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wavelength range is varied to include the visible light region or the infrared region. Commonly used LED light is an infrared LED (IrLED), but the LED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aser light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source of the laser and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uses laser light of an infrared wavelength, but this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laser light.

또한 같은 파장의 LED광을 사용하더라도 통신속도나 프로토콜에 따라 발광/수광 소자 자체가 달라져야 할 수가 있다. 같은 이유로 레이저광도 파장이나 속도, 프로토콜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른 발광/수광 소자를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광매체는 이러한 다양한 파장이나 소자를 사용하여 발광/수광하는 모든 LED광이나 레이저광을 총칭하며, 광송신모듈, 광수신모듈도 이러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even when using the same wavelength of LED light, the light emitting device itself may ne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peed or protocol. For the same reason, different light emitting / receiving devices should be used depending on the wavelength, speed and protocol requirements of the laser l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medium generically refers to all the LED light or laser light emitting / receiving using these various wavelengths or elements,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is sens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송신/수신 기술의 원리는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는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incipl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techniqu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ready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파매체는 일반적으로 라디오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쓰고 있으나, 마이크로웨이브나 밀리미터파 등의 초고주파 대역의 전파의 사용도 본 발명의 취지나 구현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전파매체의 범주 안에 포함된다.Radio waves generally use radio frequency bands, but the use of radio waves in microwave or millimeter wave ranges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r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adio wave media of the present invention. .

다만 표현상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든 전파매체를 RF매체로 통칭하며 또 전파송신모듈을 RF송신모듈로, 전파수신모듈을 RF수신모듈로 칭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onvenience of expression, all radio wave media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RF medium, and the radio wave transmission module is referred to as an RF transmission module and the radio wave reception module is referred to as an RF reception module.

광 매체의 가장 큰 특징은 광이 갖고 있는 직진성이다. 이는 사용자가 목표물을 정확하게 조준하여 선택적으로 지정하고 통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중요한 사용 모드 중의 하나인 Shoot and Connect 방식에 가장 부합하는 매체라 할 수 있다. 또 전파매체와 같이 주파수 사용이 허가 사항이 아니라는 점이 사용상의 큰 이점이다.The biggest feature of optical media is the straightness of light. This is the medium most suited to the Shoot and Connect method,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modes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im and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target. In addition, the use of frequencies, such as radio media, is not a permit.

반대로 전파매체는 일반적으로 방향성이 없어 다중의 유닛에게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가 용이하며, 목표물에 조준하는 것이 어렵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 사용하기가 용이하다.In contrast, radio media are generally directional, making it easy to broadcast to multiple units, and easy to use if aiming at a target is difficult or undesirable.

다만 근접센서는 전파매체이면서도 목표물을 선택하여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는 점에서 광 매체와 같이 작동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초고주파를 이용한 전파매체도 거울(Mirror)을 적절히 구성한다면 직진성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Proximity sensor, however,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it works like optical media in that it has to select a target and get close to the radio medium, and the radio wave medium using ultra-high frequency can take advantage of the straightness if properly configured.

상기 설명한 전송매체 중 전파매체는 다시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모빌 유닛의 송/수신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송/수신모듈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베이스 유닛의 서비스 모듈을 거치지 않는 직접적인 통신)과 관련된 전파매체로서, 하기 제 2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근거리 랜덤 접근 RF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HomeRF 및 근접센서 등의 근거리 RF 통신 전파매체를 총칭하는 근거리 RF매체이다.The radio wave medium of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edium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a radio wave medium related t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rect communica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rvice module of the base unit) between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of the base unit. It is a short-range RF medium that refers to short-range RF communication radio wave media such as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Bluetooth, HomeRF, and proximity sensor.

또 다른 하나는, 베이스 유닛의 서비스 모듈이 외부와 통신할 때 쓰이는 공중망용 전파매체로, 단문메시지(SMS), 단/양방향 페이저(one/two way pager), CDMA(Code Division Mulit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의 공중망 무선통신을 위한 전파매체가 여기에 해당한다.The other is a radio medium for the public network used by the service module of the base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such as SMS, one / two way pager, Code Division Mulitple Access (CDMA), GSM Radio waves for public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TDMA) an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re examples of this.

두 전파매체는 주파수에 의한 분류가 아니고 기능상, 출력상의 분류이다. 즉, 베이스 유닛의 서비스 모듈이 전파매체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에는 공중망을 사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지고, 베이스 유닛의 송/수신 모듈이 전파매체를 이용하여 모빌 유닛의 송/수신 모듈과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공중망이 아닌, 근거리 무선 통신 전파매체 등을 사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진다.The two radio media are not classified by frequency but by function and output. That is, when the service module of the base unit communicates using the radio medium,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ublic network, and the base unit's transmit / receive module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transmit / receive module of the mobile unit using the radio medium. In this cas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wave medium, not a public network.

따라서, 하기에서 전파매체라고 하는 경우 베이스 유닛의 서비스 모듈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경우는 각종 공중망용 전파를 의미하고, 모빌유닛과 베이스 유닛과의 직접적인 통신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경우는 근거리 무선 통신 전파매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case, the radio wave medium refers to radio waves for various public networks, and the radio wave medium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referred to in connection with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RF수신 및 RF송신모듈이라 칭할 때에 실제로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장치가 쓰이는 것이 통상적이다. 다만 이러한 통신 기술은 이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특정주파수 대역, 출력,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상세히 지정하지 않고 이를 모두 총칭하여 RF수신 및 RF송신모듈이라고 부른다.When referred to as an RF reception and RF transmission module, it is common for other devices to be actually us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band or the communication protocol. However, since such communication technology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designate specific frequency bands, output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in detail, and collectively call them RF reception and RF transmission modules.

6.동작6.Operation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독립적 유닛들이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a - 도 5e와 같다. 다른 동작 과정은 도5a ∼ 도5e의 과정을 조합하거나 반복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independent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ures 5a-5e. It is apparent that other operation processes may be variously configured by combining or repeating the processes of FIGS. 5A to 5E.

도 5a는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동작 과정은 하기와 같다.5A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exchange data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operation process is as follows.

사용자(500)의 전송 명령에 의해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로 보낸다(S1).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100 using the internal bus from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by the transmission command of the user 500 (S1).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이 상기 데이터를 매체1에 실어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면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이 상기 데이터를 받는다(S2). 매체1은 광매체나 전파매체를 포함한다.When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100 loads the data on the medium 1 to the base unit 300, the reception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receives the data (S2). Medium 1 includes an optical medium or a propagation medium.

상기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이 받은 상기 데이터를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로 내부 버스(bus)를 통하여 보낸다(S11).Th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sends the data to 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an internal bus (S11).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이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빌 유닛(100)에게 전송할 적절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로 내부 버스를 통하여 보낸다(S12).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analyzes the data, generates appropriat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100, and sends the data to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an internal bus (S12). .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에서 상기 모빌 유닛(100)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매체2에 실어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로 전송한다(S14). 매체2는 광매체나 전파매체를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load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100 on the medium 2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S14). Medium 2 includes an optical medium or a propagation medium.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이 전송 받은 데이터를 내부 버스를 통하여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로 보낸다(S3).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the internal bus (S3).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에서 상기 전송 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하면 다시 근거리 통신으로 베이스 유닛(300)과 데이터 교환하는 과정(S1, S2, S11, S12, S14, S3)을 반복한다(S21).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analyzes the received data and repeats the process of exchanging data with the base unit 300 by short-range communication if necessary (S1, S2, S11, S12, S14, S3). (S21).

상기 분석 결과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S21 수행 완료 후 모빌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이 분석하여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로 보낸다(S4). 이 때 접속모듈(11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내부 버스를 이용하며 외부접속장치(200)(도5a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음)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RS232C, USB, IEEE1394 등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IrDA,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unnecess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ecution of S21,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analyz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base unit 300 by the mobile unit 100 and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Send to 200 (S4). In this case, the internal bus is use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and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not shown in FIG. 5A), a cable such as RS232C, USB, IEEE1394, or IrDA is connected. Send by near field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을 한다(S6).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s used to connect to the voice and / or data network (S6).

도5b는 모빌 유닛(100)이 근거리 통신으로 베이스 유닛(300)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베이스 유닛(300)은 서비스모듈(310)을 통하여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로 보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동작과정은 하기와 같다.5B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data to the base unit 3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base unit 300 sends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the service module 310. It is shown. The operation process is as follows.

사용자(500)의 전송 명령에 의해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로 보낸다(S1).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100 using the internal bus from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by the transmission command of the user 500 (S1).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이 상기 데이터를 매체1에 실어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면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이 상기 데이터를 받는다(S2). 매체1은 광매체나 전파매체를 포함한다.When th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100 loads the data on the medium 1 to the base unit 300, the reception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receives the data (S2). Medium 1 includes an optical medium or a propagation medium.

상기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이 받은 상기 데이터를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로 내부 버스(bus)를 통하여 보낸다(S11).Th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sends the data to 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an internal bus (S11).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이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빌 유닛(100)에게 전송할 적절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로 내부 버스 또는 기타 통신망을 통하여 보낸다(S13).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analyzes the data, generates appropriat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100, and sends the data to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an internal bus or other communication network. (S13).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은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로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보낸다(S15).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sends the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the public network (S15).

접속모듈(110)은 상기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로 내부 버스를 통하여 보낸다(S7).The connection module 110 sends the data to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an internal bus (S7).

필요하면 모빌 유닛(100)이 근거리 통신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을 통하여 데이터를 받는 과정(S1, S2, S11, S13, S15, S7)을 반복한다(S22).If necessary, the mobile unit 100 repeats the process (S1, S2, S11, S13, S15, S7) of sending data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S22). .

S22 수행 완료 후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으로 접속을 원할 경우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에서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로 데이터를 보낸다(S4).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ep S22, if you want to connect to the voice and / or data network to send the data from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 S4).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을 한다(S6).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s used to connect to the voice and / or data network (S6).

도5c에서는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은 후에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과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이 공중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접속모듈(110)이 서비스모듈(310)과의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이다.In FIG. 5C, after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exchange data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and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connect to the public network. It shows send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odule 110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module 310.

작동 과정은 하기와 같다.The operation process is as follows.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은 도5a의 단계1에서 단계7(S1, S2, S11, S12, S14,S3, S21)과 같다.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is the same as the step 7 (S1, S2, S11, S12, S14, S3, S21) in step 1 of FIG.

상기 단계 수행을 완료한 후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에서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에 데이터를 보낸다(S4).After completing the above steps,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sends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S4).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을 사용하여 공중망을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로 전송한다(S5).Using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the voice and / or data to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the public network (S5).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은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빌 유닛(100)에게 보낼 데이터를 생성한 후 공중망을 통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로 전송한다(S15).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analyzes the data and generates data to be sent to the mobile unit 100 and then transmits voice and / or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the public network. Transmit (S15).

필요하면 상기 단계(S5, S15)를 반복한다(S23).If necessary, the steps S5 and S15 are repeated (S23).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사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한다(S6).Using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voice and / or data network (S6).

도 6은 상기한 도 5c의 데이터 흐름이 적용되는 음성 네트웍 및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는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어모듈(120)이 접속모듈(110)내에 포함되는 경우다. 즉 접속모듈(110)과 모빌유닛(100)이 일체화되기 때문에 접속모듈(110)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모빌유닛(100)의 제어모듈(120)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구성에 따라 별도의 제어모듈(120)을 둘 수도 있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necting to a voice network and a data network to which the data flow of FIG. 5C is applied. That is, the control module 120 is included in the connection module 110. That is, since the connection module 110 and the mobile unit 100 are integrated, the microprocessor in the connection module 110 may serve as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a separate control module 120 may be provided.

도5d는 모빌 유닛(10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베이스 유닛(300)으로 데이터를 보낸 후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과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 공중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서비스모듈(310)이 접속모듈(110)과의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이다. 작동 과정은 하기와 같다.5D illustrates that after the mobile unit 100 sends data to the base unit 3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and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are connected through the public network. It shows the process of sending and receiving data. In this case, the service module 310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module 110. The operation process is as follows.

모빌 유닛(10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베이스 유닛(300)으로 데이터를 보낸 후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이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은 도5b에 있는 단계들(S1, S2, S11, S13, S15)과 동일하다.After the mobile unit 100 sends data to the base unit 3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process of sending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by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is illustrated in FIG. Same as steps S1, S2, S11, S13, S15 in 5b.

공중망을 통하여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에서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로 데이터를 주고 받은 후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통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접속하는 과정(S5, S15, S23, S6)은 도5c와 동일하다.Aft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rom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to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the public network, the voice and / or via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Processes of connecting the data network (S5, S15, S23, S6) are the same as in Figure 5c.

도5e는 모빌 유닛(10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낸 후, 베이스 유닛(300)은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원하는 데이터를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이 외부 네트웍(LAN, 인터넷 등)을 통하여 끌어와서 근거리 통신으로 모빌 유닛(100)에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5E illustrates that after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data to the base unit 3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base unit 300 provides the data of the base unit 300 with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The module 310 shows a process of pulling it through an external network (LAN, Internet, etc.) and delivering it to the mobile unit 1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모빌 유닛(100)이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는 과정은 도5a와 동일하다(S1, S2, S3).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data to the base unit 300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s in FIG. 5A (S1, S2, and S3).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은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모듈(310)이 외부 네트웍을 통하여 가져오도록 명령한다(S14).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analyzes the data and instructs the service module 310 to bring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S14).

서비스모듈(310)은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을 통하여 상기 정보를 가져온다(S16, S17). 상기 정보를 서비스모듈(310)에서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로 내부 버스를 통하여 보낸다(S18).The service module 310 obtain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and / or data network (S16, S17). The information is sent from the service module 310 to 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through the internal bus (S18).

상기 정보를 베이스 유닛(300)에서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모빌 유닛(100)으로 보내는 과정은 도5a의 단계들(S12, S14, S3)과 동일하다.The process of sending the information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mobile unit 100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is the same as the steps S12, S14, and S3 of FIG. 5A.

필요하면 상기 단계들(S1, S2, S11, S14, S16, S17, S18, S12, S14, S3)을 반복한다(S24).If necessary, the steps S1, S2, S11, S14, S16, S17, S18, S12, S14, and S3 are repeated (S24).

S24 수행을 완료한 후 모빌 유닛(100)이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하는 방법은 도5a 단계들(S4, S6)과 동일하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ep S24,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mobile unit 100 to the voice and / or data network using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teps S4 and S6 of FIG. 5A. .

도5e의 취지는 도5a ∼ 도5d에도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spirit of FIG. 5E can be modified and applied to FIGS. 5A to 5D.

모빌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300)이 상호 동작하는 방법들은 상기 제시한 방법들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나오는 결과들도 본 발명의 취지에 맞는 동작 방법이 될 수있음은 자명하다.Methods in which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interoperate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results obtain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may be an oper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D7. ID

7.1 ID의 종류7.1 Types of IDs

본 발명은 장치를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경우 통신상의 혼란을 피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각종 ID의 사용이 필요해진다. 또 접근제어 등의 보안을 위해서도 여러 가지 ID가 사용된다. 이제 이들 ID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use of various IDs in order to avoid communication confusion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devices are used. In addition, various IDs are used for security such as access control. These ID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장치는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성요소들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추적하거나, 정보의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등을 위해서 각 구성요소의 ID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ID들은 크게, 사용자(500) 측 ID와 베이스 유닛(300) 측 ID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several components, which components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In this process, the ID of each component is required for tracking the data transmission process or for access control of information. The IDs used herein may be broadly divided into a user 500 side ID and a base unit 300 side ID.

(1) 사용자 측 ID들(1) user-side IDs

사용자측 ID로는 모빌 유닛(100)과 관련된 ID인 Mobile Unit Device ID, Mobile Unit Alias, 접속모듈(110)과 관련된 ID로는 접속모듈(110) 접속 ID, 외부접속장치(200)와 관련된 ID로는 외부접속장치 Device ID, 외부접속장치 Alias, 외부접속장치 접속 ID, 사용자(500)와 관련된 ID로는 개인 ID가 있다.As the user side ID, the mobile unit device ID, the mobile unit alias, the ID associated with the mobile unit 100, the connection module 110, the ID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module 11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he ID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used. The device Device ID, the external access device alias, the external access device access ID, and an ID associated with the user 500 include a personal ID.

(2) 베이스 유닛 측 ID들(2) Base unit side IDs

베이스 유닛(300)측 ID로는 Base Unit Device ID와 Base Unit Alias가 있다.Base unit 300 side IDs include a base unit device ID and a base unit alias.

7.2 ID의 특징7.2 ID Features

먼저 사용자측 ID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500) 측 ID들에는 모빌 유닛(100)과 관련된 ID, 접속모듈(110)과 관련된 ID, 외부접속장치(200)와 관련된 ID, 사용자(500)와 관련된 ID의 네 가지가 있다. 이 네가지 ID들을 차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user IDs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IDs of the user 500 may include four IDs associated with the mobile unit 100, an ID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module 110, an ID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and an ID associated with the user 500. There is. The four IDs are explained in sequence as follows.

첫째, 모빌 유닛과 관련된 2가지 ID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빌 유닛(100)과 관련된 2가지의 ID중 Mobile Unit Device ID는 변경이 불가능한 ID로 각각의 모빌 유닛(100)마다 다른 ID를 갖는다. 이 ID는 유닛이 만들어질 때 부여되는 장치 고유의 값으로, 다른 모빌 유닛(100)과 물리적으로 구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ID를 생성시에는, 독특한 방식이 있어 아무 숫자나 문자의 열이 ID가 되지는 않게 한다. 즉, ID 자체의 고유한 특성이 있어서 ID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ID를 단순히 하드웨어의 시리얼 번호라고 할 수 있다.First, two IDs related to a mobile unit will be described. Among the two IDs associated with the mobile unit 100, the Mobile Unit Device ID is an ID that cannot be changed and has a different ID for each mobile unit 100. This ID is a device-specific value given when the unit is created and can be used to physically distinguish it from other mobile units 100. When generating this ID, there is a unique way to ensure that no number or string of characters is an ID. In other words, there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ID itself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ID or not. Therefore, this ID can simply be called the serial number of the hardware.

모빌 유닛(100)과 관련된 또 다른 ID인 Mobile Unit Alias는 모빌 유닛(100)의 사용자(500)가 부여한 ID로서, 변경이 가능한 ID이다. Device ID는 사람에게 친숙하지 않으므로 Alias를 사용하여 다른 모빌 유닛(100)과의 구별을 쉽게 한다. 물론 이 ID는 모빌 유닛(100)마다 고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간단히 모빌 유닛(100)의 이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Mobile Unit Alias, which is another ID related to the mobile unit 100, is an ID assigned by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and is an ID that can be changed. Since Device ID is not human friendly, Alias makes it eas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mobile units 100. Of course, this ID may not be unique for each mobile unit 100. It can be considered simply the name of the mobile unit 100.

둘째, 접속모듈(110)의 접속ID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빌 유닛(100)에 접속모듈(110)이 같이 있는 경우는, 모빌 유닛(100) 자체의 ID뿐만 아니라 접속모듈(110)의 접속ID도 필요하게 된다. 이 접속 ID는 전화번호나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등 고유 접속 ID(주소)를 뜻하며,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이 이를 이용해 접속모듈(1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econd, the connection ID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When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included in the mobile unit 100, the connection ID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required as well as the ID of the mobile unit 100 itself. This connection ID can be either a phone number or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This means a unique connection ID (address), and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may transmit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using this.

셋째, 외부접속장치(200)와 관련된 ID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모빌 유닛(100)에 고유의 Mobile Unit Device ID를 부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외부접속장치(200)에도 고유한 외부접속장치 Device ID를 부여한다. 이 ID를 통해, 외부접속장치들(200)을 물리적으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ID는 변경이 불가능한 ID이다.Third, IDs related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Similarly to assigning a unique Mobile Unit Device ID to each mobile unit 100, a unique external access device Device ID is also assigned to each external access device 200. Through this ID,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distinguish the external access devices 200. Of course, this ID cannot be changed.

외부접속장치(200)에도 모빌 유닛(100)에서와 마찬가지로 Alias를 주어 사람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Alias를 사용자(500)가 변경할 수 있다.Like the mobile unit 100,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s given an alias so that a person can easily recognize it. Of course, the user 500 can change the alias.

베이스 유닛(300)이 외부접속장치(200)로 정보를 보내 주기 위해서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외부접속장치(200)의 전화번호나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등 고유 접속 ID(주소)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주소를 외부접속장치(200)의 접속 ID라고 한다. 이 ID를 통해서, 베이스 유닛(300)은 메시지를 어디로 전달할 지를 알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것이 외부접속장치 접속 ID이다. 즉, 접속모듈(110)의 접속ID와 같은 역할을 한다. 외부접속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외부접속장치 접속 ID는 전자 우편 주소(e-mail address), 통합 메시징 ID(UMS ID), 포탈사이트의 개인 ID 등이 될 수도 있다. 전자 우편 주소나 UMS ID일 경우, 베이스 유닛(300)은 전자우편, UMS를 통해 정보를 전해주게 되며, 포탈 사이트의 개인 ID의 경우는 베이스 유닛(300)에서 사용자(ID 소유자)(500)의 특별한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적어 주게 된다.In order for the base unit 300 to sen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a unique access ID (address) such as a phone number or an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is required. do. This address is referred to as a connection ID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Through this ID, the base unit 300 knows where to send the message. This is f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ID. That is, the same role as the connection ID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the external access device access ID may be an e-mail address, a Unified Messaging ID (UMS ID), a personal ID of the portal site, or the like. In the case of an e-mail address or a UMS ID, the base unit 300 transmits information through e-mail and UMS, and in the case of a personal ID of a portal site, the base unit 300 of the user (ID owner) 500 The information is written to a special database.

넷째, 사용자(500)와 관련된 ID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500)와 관련된 ID로는 개인 ID가 있다. 이 개인 ID는 모빌 유닛(10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사용하는 사람을 구별하는 데 이용이 된다. 사용자(500)가 임의로 부여 할 수 있으며, 사용자(500)가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500)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ID 는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자체만으로는 사용자(500)를 구별하는 데는 불완전하다. 단지 사용자(500)에게 편리함을 주거나, 베이스 유닛(300)으로 하여금 사용자(500)에 따라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즉, 베이스 유닛(300)은 사용자(500)의 개인 ID를 살펴봄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500)와 관련한 정보에 따라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Fourth, IDs associated with the user 500 will be described. An ID associated with the user 500 is a personal ID. This personal ID is used to distinguish the person using the mobile unit 10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User 500 can be given arbitrarily, the user 500 can be changed. It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500. Since this ID is operable, this alone is incomplete in distinguishing the user 500. It is used only for convenience to the user 500 or for causing the base unit 300 to transmit different data according to the user 500. That is, the base unit 300 looks at the personal ID of the user 500, and in some cases, transmits different dat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500.

상기 개인 ID는 모빌 유닛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뿐 아니라, 베이스 유닛의 소유자 내지는 관리자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고 할 때도 쓰일 수 있는 ID이다.The personal ID is an ID that can be used to represent not only information related to a mobile unit user but also information related to an owner or an administrator of the base unit.

지금까지 사용자 측 ID들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제 베이스 유닛 측 ID들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하자.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300) 측 ID는 베이스 유닛(300)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것들로서, 베이스 유닛 Device ID와 Base Unit Alias가 있다. Base Unit Device ID는 베이스 유닛(300)의 고유한 값으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모빌 유닛(10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장치들과의 물리적 구별에 사용되어진다. 반면, Base Unit Alias는 사용자들(500)이 쉽게 베이스 유닛들(300)을 구별하는데 이용된다. 물론, 이 Alias는 변경이 가능하다.So far, user side IDs have been described. Now, the base unit side IDs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unit 300 side IDs are used to distinguish the base unit 300, and include a base unit device ID and a base unit alias. The base unit device ID may not be changed to a unique value of the base unit 300. As in the case of the mobile unit 10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t is used for physical distinction from other devices. Base Unit Alias, on the other hand, is used by users 500 to easily distinguish base units 300. Of course, this alias can be changed.

위에서 Device ID들, 예를 들어, Mobile Unit Device ID, 외부접속장치 Device ID, Base Unit Device ID 들은 모두 변경이 불가능하고, 장치들마다 다른 고유의 값이 있어 이들을 물리적으로 구별하는 것이 목적이며, 반면 Alias들(Mobile Unit Alias, 외부접속장치 Alias, Base Unit Alias)은 변경이 가능하고, 사람이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Device ID들은 장치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가지지만, Alias들은 장치들마다 고유한 값을 반드시 갖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vice IDs, for example, Mobile Unit Device ID, External Device ID, and Base Unit Device ID are not changeable, and each device has a unique value, so the purpose is to physically distinguish them. Alias (Mobile Unit Alias, External Access Device Alias, Base Unit Alias) are intended to be changeable and easy for humans to distinguish. Device IDs have unique values for different devices, but aliases do not necessarily have unique values for each device.

Device ID의 경우, Mobile Unit Device ID 부여 방식처럼, 아무런 숫자나 문자열이 유효한 ID가 되지 않도록, 특별한 방식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각각의 Device ID들은 ID를 보고 어떤 종류의 Device인지(Mobile Unit Device ID인지, 외부접속장치의 Device ID인지, 베이스 유닛의 Device ID인지를) 알 수 있도록, 각 장치들마다 특징이 있는 Device ID를 만들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Device ID, like a Mobile Unit Device ID assignment method, a special method is used so that no number or string becomes a valid ID. In addition, each Device ID is a device that is characterized by each device so that it can know what kind of device (Mobile Unit Device ID, External Device ID, or Base Unit Device ID) by looking at the ID. You can also create an ID. For example:

MU1213145: 이는 Mobile Unit Device ID의 한 예다.MU1213145: This is an example of a Mobile Unit Device ID.

BU4231123: 이는 Base Unit Device ID의 한 예다.BU4231123: This is an example of a Base Unit Device ID.

CU8763121: 이는 외부접속장치 Device ID의 한 예다.CU8763121: This is an example of an external device device ID.

위의 예에서 MU는 모빌 유닛(100)을 의미하고, BU는 베이스 유닛(300)을 의미하며, CU는 외부접속장치(200)를 의미한다. 그러나 외부접속장치에는 디바이스ID를 부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외부접속장치의 디바이스 ID는 사용하지 않는다.In the above example, MU means mobile unit 100, BU means base unit 300, and CU means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However, in many cases, the device ID cannot be assigned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In this case, the device ID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is not normally used.

상기한 ID들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ID들이 쓰일 수 있으며, 그 때의 ID들의 특징은 필요에 의해 규정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ID들 모두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혹은 전체 ID들이 사용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의 전송, 접근제어, 사용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다른 ID들이 첨가되거나 혹은 상기한 ID들이 제거될 수 있다. ID들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취지가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되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Ds, other types of IDs may be used as need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s at that time may be defined as needed. In addition, not all of the above IDs are necessary, and some or all IDs may not be used in some cases. Other IDs may be added or the above IDs may be removed in terms of data transfer, access control, ease of use, and the like. The contents of the ID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chang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데이터 형식8. Data Type

본 발명에서는 여러 독립적인 유닛들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에서 다양한 유닛들이 서로 여러 가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형식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하기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여러 데이터들의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형식에 대해 설명하고, 구체적인 각 데이터의 형식들은 각 경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is made between several independent units. In such communication, various units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and thus various types of data formats are requir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ommon and basic format of various dat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specific formats of each dat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each cas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기본 형식(data format)의 일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한가지 유의할 사항은, 하기 설명하게 될 기본적인 데이터의 형식들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의 형식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One embodiment of a data format of dat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One thing to note here is that the basic data formats to be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for easi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ddition, the data format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데이터(700)는 크게 헤더(710), 보디(720) 및 테일(730)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이들의 각각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ata 700 is composed of three parts, a header 710, a body 720, and a tail 730. Each of these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헤더1.header

헤더(710)는 다시 머리말(711), 복수개의 ID(712)(713), 에러 정정 코드(Error Correction Code)(714)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인 헤더의 내용은 이렇게 구성되지만, 구체적인 각 데이터마다 다른 요소를 첨가하거나 상기 열거된 내용 중 일부 혹은 전체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하겠지만, 다양한 형태의 모빌 유닛이 존재하고 이 유닛들이 서로 다른 형태의 전송매체, 전송방식 등을 택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러한 전송매체, 전송방식 등을 알려주는 내용이 이 곳에 올 수도 있다.The header 710 is composed of a header 711, a plurality of IDs 712 and 713, and an error correction code 714. The contents of the basic header are thus configured, but other elements may be added to each specific data or some or all of the above contents may not be used. As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there are various types of mobile units and these units use different types of transmission media and transmission schemes, information indicating such transmission media and transmission schemes may come here.

헤더의 구성요소 중 머리말(711)은 고유코드(715), 데이터 형식의 종류(716), 데이터 형식의 버전(717)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설계하기에 따라서 머리말(711)에 encoding scheme 같은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헤더(710)의 encoding scheme은 미리 한가지 형식(예를 들면 유니코드 형식)을 미리 정해두고, 그 방식에 따라 인코딩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데이터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는 범위 안에서 상기 열거한 머리말의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사용되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The header 711 of the components of the header consists of a unique code 715, a type 716 of data format, and a version 717 of data forma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sign, the header 711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encoding scheme. As for the encoding scheme of the header 710, it is preferable to predetermine one format (for example, Unicode format) in advance and to encode according to the scheme.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ome or all of the contents of the above-listed heading may not be used within the scope sufficient to serve as data.

헤더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복수개의 ID(712)(713)에는 모빌 유닛 ID, 외부접속장치 유닛 ID, 베이스 유닛 ID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이러한 ID들도 본 발명이 실제로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일부 혹은 전체가 사용되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ID들이 첨가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전송매체, 전송방식 등과 관련된 정보들이 상기 ID들에 첨가 되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IDs 712 and 713, which are other components of the header, record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unit ID,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ID, and the base unit ID. Some of these IDs may or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applied, and other IDs may be added.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transmission medium and a transmission method may be added to the IDs.

그리고 ECC(714)에는 전송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즉 ECC(714)는 헤더(710)의 오류 감지 및 오류 수정을 위한 코드로 사용된다. 이 코드는 안정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코드이므로 안정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보장이 되는 경우나, 이러한 문제를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되어질 수 있다.The ECC 714 includes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transmission state. That is, the ECC 714 is used as a code for error detection and error correction of the header 710. Since this code is a code for stable data transmission, it can be omitted when it is guaranteed to transmit stable data or when such a problem can be ignored.

다음에서 상기한 헤더의 각 부분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한다. 머리말(711)의 맨 처음에 각각의 데이터 형식들마다 다른 고유의 판별 코드(715)를 사용한다. 이 판별 코드(715)는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고, 데이터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가지 주의할 것은, 각각의 데이터 형식들마다 다른 고유 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의 형식에 같은 고유 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통신에서 쓰이는 데이터들과 이 발명에서 나오는 데이터들을 구별할 수 있는 역할을 할 뿐, 이 발명에서 쓰이는 다른 형식의 데이터들을 구별하지는 못한다. 또한 이 고유코드는 반드시 사용되어 질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ach part of the head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t the beginning of the header 711, a different unique discrimination code 715 is used for each data type. This determination code 715 indicates the beginning of the data and may be used as one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is valid. One thing to note is that different data types may be used for each data type, but the same code may be used for all data typ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case, it only serves to distinguish the data from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ata used in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and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dat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is unique cod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used and may not be used in some cases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그 다음으로 데이터의 형식 종류(716)와 버전(717)이 들어가서 데이터의 구조를 구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보디(720) 부분에 있는 내용의 encoding scheme을 알려주는 값이 오게 된다.Next, the format type 716 and the version 717 of the data enter to distinguish the structure of the data. In addition, a value indicating the encoding scheme of the content in the body 720 comes.

헤더(710)에 들어가는 ID들은 메시지가 송신되는 장치와 메시지를 수신하는장치들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ID들은 메시지가 전달되는 방향을 알려주는 지시자와 함께 사용되어, 메시지가 어디에서 출발한 것인지, 또 어디로 가는 메시지인지를 알려준다.The IDs entered in the header 710 serve to inform the device from which the message is sent and the devices receiving the message. These ID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indicators that direct the direction of the message, indicating where the message originated and where it is going.

장치들이 미리 정해진 한 가지 통신 방법/매체에 의해서만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중에 통신 매체를 바꾸면서 통신할 수도 있고(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 사이의 통신이 처음에는 광 매체로 이루어지다가, 후에 통신매체가 전파매체로 바뀔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모빌 유닛(광 수신 모듈만 있거나, 전파매체 수신모듈만 있는 등의)이 베이스 유닛에 통신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상대장치가 어떤 식의 통신방법을 선호하는 지 혹은 어떤 형태의 장치인지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물론 미리 정해진 한가지 방법으로만 통신하는 것이 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필요성이 불필요하다. 상대 장치가 사용하는 통신매체의 특징, 변/복조 방식, 프로토콜, 장치의 타입 등을 알아야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이를 나타내어 주기 위해 장치의 ID를 나타낼 때, ID로 나타내어지는 장치가 사용하는 전송매체(광 매체인지 혹은 전파매체인지, 광 매체 중 어떤 매체를 사용하는 지, 전파매체 중 어떤 매체를 사용하는지 등), 변/복조 방식, 프로토콜, 장치의 타입(RF 수신모듈이 있는 장치인지 혹은 광 수신 모듈이 있는 장치인지 등) 등을 함께 나타내어, 메시지를 받는 장치가 어떤 식으로 통신 해야할 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헤더에 들어가는 데이터들의 내용이나 순서는 정하기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숙력된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하다.The devices may not communicate only by on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 medium.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communicate by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dium during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may first be made of optical media, and then the communication medium may be turned into radio media), and various types of mobile units may be used. (Such as only an optical receiving module or only a radio receiving module) may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unit.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communicate smoothly,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kind of communication method the other device prefers or what type of device. Of course, such a need is unnecessary if it is guaranteed to communicate only in one predetermined way. Whe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medium used by the other device,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method, the protocol, the type of the device, etc. Whether it is optical or radio media, which media is used, which media is used, etc.), modulation / demodulation method, protocol, type of device (device with RF reception module or optical reception) Etc.), so that the receiving device knows how to communicate. The content and order of the data in the head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2. 보디2. Body

보디(720)에는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내용(722)과 ECC(724)가 포함된다. 내용(722)에는 교환할 필요가 있는 메시지가 들어간다. 메시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예 메시지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내용(722)을 빈 메시지(empty message)라고 한다. 보디에 들어가는 메시지는 HTML, XML 등의 마크업 랭귀지(Markup Language)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위한 새로운 마크업 랭귀지를 정의하고 이 것을 사용해도 좋다.Body 720 includes content 722 including the message content and ECC 724. The content 722 contains a message that needs to be exchanged. The details of the message may vary from case to case, and there may be no message at all. The content 722 in this case is called an empty message. Messages that enter the body can also be expressed using Markup Language, such as HTML and XML. New markup languages fo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nd used.

보디(720)에 들어가는 ECC(724)는 헤더(710)에서의 ECC(714)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여기서의 ECC도 상기한 헤더의 ECC와 마찬가지로 경우에 따라 생략되어질 수 있다.The ECC 724 entering the body 720 serves the same purpose as the ECC 714 in the header 710. The ECC here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similarly to the ECC of the header.

3. 테일3. Tail

테일(730)에는 꼬리말(732)과 ECC(734)가 포함되어 있다. 꼬리말(732)은 데이터의 끝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ECC(734)의 역할은 헤더(710)나 보디(720)의 경우와 같으며, 헤더나 보디의 EC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생략되어질 수 있다.Tail 730 includes footer 732 and ECC 734. The footer 732 informs the end of the data, and the role of the ECC 734 is the same as that of the header 710 or the body 720, and as in the case of the header or the ECC of the body, depending on the situation Can be omitted.

이 테일은 데이터의 마지막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테일이 없이도 데이터의 끝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특별히 테일 부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This tail serves as a reminder that the end of the data. If the end of the data is known without a separate tail, a tail portion may not be particularly needed.

본 실시예에서는 헤더(710), 보디(720) 및 테일(730)에 각각 ECC를 설치하였으나 설계자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ECC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이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사상과 동작원리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CC is installed in the header 710, the body 720 and the tail 730, respectively, bu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nly one ECC can be installed as a whole depending on the designer. Hereinafter, the spirit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I. 실시예II. Example

본 발명에서는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으로 대별하여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mobile units and base units.

1. 모빌 유닛의 실시예1. Embodiment of a mobile unit

< 제 1-1 실시예 ><Example 1-1>

본 실시예는 모빌 유닛(100)이 광송신모듈과 광수신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 매체로는 LED광 또는 레이저 광을 사용한다. 즉 이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과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이 통신하는 매체가 광(LED 광 또는 레이저 광)이고, 모빌 유닛(100)의 송신모듈(130)과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이 통신하는 매체도 광(LED 광 또는 레이저 광)이다. 모빌 유닛의 송신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수신모듈이 사용하는 광 매체와 모빌 유닛의 수신모듈과 베이스유닛의 송신모듈이 사용하는 광 매체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고, 서로 다른 광 매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모빌 유닛의 송신 모듈이 한 가지 광 매체만 사용할 수도 있고, 2가지 광 매체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모빌 유닛의 수신 모듈이나, 베이스 유닛의 송수신모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the case where the mobile unit 100 uses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In this embodiment, LED light or laser light is used as the optical medium.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edium in which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and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communicate is light (LED light or laser light), and the transmission of the mobile unit 100 is performed.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module 130 and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communicate is also light (LED light or laser light). The optical medium used by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match the optical medium used by the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d different optical media may be used. .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may use only one optical medium or both optical media. The same applies to the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본 실시예의 모빌 유닛(100)은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보제공자가 베이스 유닛의 외부에 연결된 표시장치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추가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 유닛과 광을 통해 통신하는 모빌 유닛으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에 광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광송신모듈(130),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광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광수신모듈(140) 및 상기 광송신모듈, 광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9, the mobil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through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and hold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A mobile unit communicating with a base unit via light,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130 for transmitting optical data to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 and the optical unit for receiving optical data transmitted by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 receiving module 140 and a control module 120 for controlling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and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그리고 상기 모빌 유닛은, 소정의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02), 상기 광수신모듈이 수신한 내용 및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8), 상기 광수신모듈이 수신한 내용, 상기 입력부로 입력한 내용 및 상기 저장된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104) 및 그리고 상기 모빌 유닛(100)은 접속모듈(110)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접속모듈은 모빌 유닛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모빌 유닛은 접속모듈을 통해 베이스 유닛의 서비스모듈과 인터넷이나 공중망 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The mobile unit may include an input unit 102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or data, a memory 108 for storing contents received by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and contents input by the user, and received by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The display unit 104 for outputt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stored contents, and the mobile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odule 1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module is made integral with the mobile unit. The mobile unit exchanges data with the service module of the base unit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Internet or the public network.

이때 상기 광송수신모듈은 LED광 또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모듈은 모빌 유닛 외부에 외부입출력부(106)를 연결하여 외부접속장치 (200)와 접속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LED light or laser light, and the control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by connecting the external input / output unit 106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unit.

상기 모빌 유닛과 연결된 외부입출력부는 RS232C, IrDA, USB, IEEE1394,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외부접속장치(200)와 통신한다. 그러나 상기 외부접속장치가 상기 모빌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의 통신방식을 수용하는 경우 상기 모빌 유닛은 광송신모듈 및 광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접속장치와 통신한다.The external I / O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ing RS232C, IrDA, USB, IEEE1394, and Bluetooth. However, when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accepts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the mobile unit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그리고 본 모빌 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취소하고,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unit has a function of searching fo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selecting the searched data, canceling the selected data, transmitting the selected data to the outside, and deleting the selected data. It is preferable.

따라서 상기 모빌 유닛은 수신한 메타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원하는 접속모듈 또는 외부접속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unit may store the received meta information in a memory and transmit data to a desired access module or external access device to access a voice or data network if necessary.

상기 입력부(102)는 키패드, 키보드, 터치 스크린, 포인팅 펜을 구비한 필기체 인식창 및 음성인식기를 포함하는 입력수단 가운데 하나이상을 구비한다.The input unit 10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 keyboard, a touch screen, a handwriting recognition window having a pointing pen, and an input means including a voice recognizer.

한편 본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120)은, 상기 모빌 유닛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상기 제어모듈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I/O부를 구비하고 있다(메모리와 I/O부는 마이크로콘트롤러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mobile unit 100 includes a micro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bile unit and a memory and an I / O unit for storing data input to the control module (memory and I / O). The part may be embedded inside the microcontroller).

상기 광송신모듈(130)은 도 10 에서 보듯이,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부호화하고 에러 검출 및 정정 기능을 수행하는 부호화기(131), 상기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를 소정의 변조기술에 의해 변조하는 변조기(132) 및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로 보낼 광을 발광시키는 드라이버(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optical transmitter module 130 encod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and performs a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unction. And a driver 133 for emitting light to send the modulated signal to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

그리고 부호화기(Encoder)(131)에서는 전송 중에 생길 수 있는 에러 비율을 낮추기 위하여 에러 검출 및 정정(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코딩을 수행한다. 에러 검출 및 정정 방법으로는 현재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The encoder 131 performs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coding to reduce an error rate that may occur during transmission. Various methods are currently known as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s, and any method may be used.

부호화기(131)를 통하여 나온 데이터는 변조기(132)를 통하여 변조되며, 변조 형식(Modulation Format)으로 일반적인 전파 변조 방식과 유사하게 아날로그 전송에 있어서는 진폭변조, 주파수변조 및 위상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디지털 전송에있어서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 PSK(Phase Shift Keying)방식들을 이용할 수 있다.Data output through the encoder 131 is modulated by the modulator 132, and in the analog transmission method, amplitude modulation, frequency modulation, and phase modulation can be used in analog transmission, similar to a general radio modulation method. In digital transmission, ASK (Amplitude Shift Keying), FSK (Frequency Shift Keying), and PSK (Phase Shift Keying) methods may be used.

송신모듈(130) 설계에서 LED광과 레이저광의 발생과 송출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 졌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 기술을 이용하되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한다.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LED light and laser light in the design of the transmission module 130 has already been done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existing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point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상기 광 매체로서 LED광은 도달 거리가 짧지만 적용 범위가 넓고 구현하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As the optical medium, the LED light has a short reach, but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 and is convenient to implement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반면에 레이저광은 방향성과 직진성(직선성)이 매우 강해 먼 거리에 있는 베이스 유닛과의 통신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따리서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다.Laser light, on the other hand, has a very strong directivity and straightness, which makes it easy to communicate with a base unit over a long distance, thus allowing accurate aiming.

또한 상기 LED광과 레이저광의 이점을 모두 살리기 위해 LED광과 레이저광을 동시에 사용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유닛의 수신부는 LED광과 레이저광을 동시에 감지하도록 설계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LED light and the laser light, LED light and laser light may be used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receiver of the base unit should be designed to detect LED light and laser light at the same time.

LED광을 사용할 경우에는 인체에 크게 해를 주지 않지만 레이저광의 경우 사람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신체 중 눈은 빛에 민감한 부분이어서 시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각 나라에서는 레이저에 관한 안전 표준을 마련해 레이저를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 놓고 관리 기준을 제시해 놓았다. 이에 대한 정보는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서 1980년 발간한 ANSI Z136"Standards for the safe use of lasers"로부터 얻을 수 있다.The use of LED light does not harm the human body, but laser light can directly or indirectly damage people. In particular, the eyes of the body are sensitive to light, which can adversely affect vision. Therefore, each country has established safety standards for lasers, which have divided the lasers into several classes and suggested management standards. Information on this can be obtained from the ANSI Z136 "Standards for the safe use of lasers" published in 1980 by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이저광은 위의 레이저 안전 표준을 참조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자유 공간 레이저 통신(free space laser communication)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체에, 특히 시력에 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조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파장이 긴 적외선 대역의 레이저광은 눈의 내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파장의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능하면 레이저의 출력을 낮춰 필요한 이상의 광도를 내지 않도록 조절하여야 한다.The laser ligh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esign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laser safety standards.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aser, it is preferable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conditions known to not generally harm the human body, especially vision, since it is free space laser communication. In general, it is known that laser light having a long wavelength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inside of the ey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laser light having such a wavelength in the present invention. If possible, the laser's output should be lowered so that it does not emit more brightness than necessary.

적당한 파장과 약한 출력의 레이저광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눈이 레이저광에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500)가 모빌 유닛(100)에 일종의 발사 명령(예를 들면 모빌 유닛에 있는 발사 버튼을 누르는 등)을 내리면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만 레이저 빔이 나가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사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도 다음 발사 때까지 일정한 시간을 두어 연속적으로 빔이 나갈 수 없게 함으로써 눈을 보호하도록 한다.Even if a laser beam of moderate wavelength and low power is used, the following method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eyes are exposed to the laser beam for a long time. That is, when the user 500 issues a kind of firing command (for example, pressing a firing button on the mobile unit) to the mobile unit 100, the laser beam is emitted for a very short time so that the user keeps pressing the firing button. Allow a certain amount of time for the next shot to protect the eyes by preventing the beam from continuously exiting.

상기 광수신모듈(140)은 도 11 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광데이터를 검출하는 광검출기(141), 상기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되어 감쇄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42)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고 복호화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시키는 복조기(143) 및 복호화기(1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1,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140 includes an optical detector 141 for detecting optical data transmitt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signal detected and attenuated by the optical detector. And a demodulator 143 and a decoder 144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amplified signal to restore original data.

상기 모빌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 모듈(310)에게 자신이 지정한 외부접속장치(200)로 상기 메타정보를 포함한 상세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빌 유닛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모듈이 외부접속장치로 정보전송시 사용하는 매체에는 PSTN, SMS, 유무선인터넷, pager를 포함한 무선통신망, CDMA, GSM, TDMA를 포함한 공중망 등 다양하다.The mobile unit 100 may request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o transmit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the meta information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designated by the mobile unit 100. The media used by the service module to transmit information to an external access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unit are various, such as PSTN, SMS, wired / wireless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pager, public network including CDMA, GSM, and TDMA.

한편, 모빌 유닛과 외부접속장치와의 통신은, 반드시 다른 장치(케이블 연결 등)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외부접속장치가 광송/수신모듈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모빌 유닛의 광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unit and an external connection device is not necessarily made through another device (cable connection or the like). That is, when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has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그리고 모빌 유닛(100)의 사용자(500)는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낼 데이터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그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should input data to be sent to the base unit 300. The input method is as follows.

첫째, 모빌 유닛(100)에 있는 자체 입출력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그 장치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이 자체 입출력 방법에서는, 사용자(500)가 키 패드, 키 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눌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필기체 인식창 위에 포인팅 펜을 이용하여 글자를 써 넣거나, 사용자(500)가 음성인식기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을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때 데이터 입력시에 사용자(500)가 직접 디스플레이 창을 통하여 입력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when a self input / output device in the mobile unit 100 is attached, input is made u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the device. In this self input / output method, the user 500 inputs data by pressing a keypad, a keyboard, or a touch screen, writes a character using a pointing pen on a handwriting recognition window, or the user 500 uses a voice recognizer to input voice data. The input method is used. In this case, the user 500 may check the input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window when the data is input.

둘째, PC 등의 외부 기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상기 외부 기기와 모빌 유닛(100)을 연결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데, 외부 기기와 모빌 유닛(100)을 연결하는 방법은, 모빌 유닛(100)을 카트리지 형태로 외부 기기에 연결하거나, 모빌 유닛(100)의 포트(Port), 예를 들면 RS-232C,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등의 인터페이스로 외부 기기와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또는 적외선 포트, 근거리무선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second method is to input data us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To this end, firs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obile unit 100 need to be connected to transmit the input data. A method of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obile unit 100 includes connecting the mobile unit 100 to an external device in the form of a cartridge. Or cable with an external device via an interface such as a port of the mobile unit 100, for example, RS-232C, universal serial bus (USB), or IEEE1394, or an infrared port, a local area network, or a Bluetooth (Bluetooth). ) To connect wirelessly without cables.

한편 사용자(500)가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곳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모빌 유닛(100)에 장착되어 있는 접속모듈(110)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접속하거나, 전화를 걸거나 문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접속모듈(110)이 모빌 유닛(100)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접속장치(200)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외부접속장치(200)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메타 정보를 외부접속장치(200)로 전송해야 하는데, 전송 방법은 유/무선 방식 즉 직렬 케이블 연결, 병렬 케이블 연결, USB, IEEE1394, LED광, 레이저광, RF, 블루투스 등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500 wants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the user 500 may access another place using meta information. That is, using the connection module 110 mounted on the mobile unit 100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make a phone call or receive a text service. When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not mounted on the mobile unit 100, the connection module 11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n the case of using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the meta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The transmission method is a wired / wireless method, that is, a serial cable connection, a parallel cable connection, USB, IEEE1394, LED light, laser light. , RF, Bluetooth, etc.

모빌 유닛(100)에 접속모듈(110)이 부착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500)는 디스플레이 창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정보를 검색하여 지정된 곳(URL, 전화번호, Mobile IP, IPv6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속 방법은 접속모듈(11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에 무선 모뎀의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해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인터넷 푸쉬(Push) 서비스(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Mobile Explorer Push 등)를 받을 수 있다. 전화기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직접 전화를 걸어 음성 정보를 얻거나,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또는 콜 센터(Call Center)로부터 전화를 받아 음성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SMS(Short Message Service) 같은 문자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또는 Pager를 이용하여 문자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When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attached to the mobile unit 100, the user 500 may search the met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sing a display window and connect to a designated place (URL, phone number, Mobile IP, IPv6, etc.). . The connection method depends on the type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has a function of a wireless modem, the site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 URL, or various Internet push services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Mobile Explorer Push, etc.). When the telephone function is provided, voic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dialing directly using a telephone number, or voic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receiving a call from the base unit 300 or from a call center. You can also get text services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You can also get text services using Pager.

외부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화나 인터넷 연결 등을 할 수 있는 어떤 것이든 상관이 없다. 상기 외부접속장치의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PC(Hand-held PC),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등과 모뎀이 장착되어 있거나 LAN 연결이 되어있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등과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가전제품, 예를 들면 Web TV, 디지털 TV, 인터넷 접속 가능한 게임기, 인터넷 접속 가능한 냉장고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외부접속장치(200)는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저장할 수 있으며, 입력받은 데이터를 사용자(500)에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해 인터넷 접속을 할 수도 있다.When connecting using an external access device, it does not matter anything that can make a telephone or Internet connection. Examples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include a mobile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 HPC (Hand-held PC), a 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which are equipped with a modem or have a LAN connection. And home applian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a Web TV, a digital TV, a game machine with Internet access, and a refrigerator with internet access.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may receive and store data from the mobile unit 100, and display the received data to the user 500. You can also access the Internet using the data you receive.

이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SMS 서비스 모듈의 처리 흐름도가 도 12 에 도시되어있다.Now, the SMS (Short Message Servic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processing flow diagram of the SMS servi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URL이나 Mobile IP, IPv6, 전화번호 등으로 접속을 시도할 때 모빌유닛(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URL, Mobile IP, IPv6 또는 전화번호 등을 보고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선택' 버튼을 눌러 선택하고 '연결하기' 버튼(이외에 다른 형태의 원-터치(one-touch) 접속을 할 수도 있다.)을 한 번 누르는 것만으로 바로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ttempting to connect to a URL, Mobile IP, IPv6, phone number, etc., press the 'Select' button without looking at the URL, Mobile IP, IPv6 or 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unit 100 Press to select and connect directly with a single tap of the 'Connect' button (or other one-touch connections).

이제 모빌 유닛(100)에서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는 데이터에 대해 살펴본다. 모빌 유닛(100)에서는, 외부접속장치(200), 접속모듈(110) 또는 수신모듈(140)로 정보를 보내달라고 하는 요청을 베이스 유닛(300)에게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모빌 유닛(100)에서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는 데이터는 이러한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담고 있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구체적인 정보가 없더라도 이러한 요청을 잘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발명이 적용되는 모든 경우에서 하기의 데이터 형식을 따를 필요는 없다. 또한, 하기의 정보들 중 일부의 정보들이 생략되어 질 수도 있다.Now look at the data sent from the mobile unit 100 to the base unit 300.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a request to the base unit 300 to sen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reception module 140. Therefore, the data sent from the mobile unit 100 to the base unit 300 must contain information for carrying out this request. Of course, even if there is no speci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is request may be well perform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follow the following data format in all cases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In addition, som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may be omitted.

데이터의 전체적인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기본적인 데이터 형식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는, 헤더(710)에 포함되는 ID들(712)(713)과 보디(720)부분만 지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ata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data types described earlier.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o specify only the IDs 712 and 713 and the body 720 included in the header 710.

헤더에 포함되는 ID들은, 모빌 유닛(100)의 ID(Device ID, Alias), 접속모듈(110)의 접속 ID, 개인 ID, 외부접속장치(200)의 ID(Device ID, Alias), 외부접속장치(200)의 접속 ID등이 있다. 상기한 ID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일부 혹은 전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한 ID들 이외의 다른 ID들도 사용 가능하다. 이 ID들은 각각의 장치들의 형태를 나타내어주는 장치 타입과같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장치 타입에는 각 유닛이 어떤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지를 알려주는 정보, 각 유닛의 송/수신 모듈이 어떤 전송매체, 어떤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알려주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IDs included in the header are IDs (Device IDs, Alias) of the mobile unit 100, connection IDs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personal IDs, IDs (Device IDs, Alias)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external connections. Connection ID of the device 200, and the like. Some or all of the above-described IDs may not be necess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other I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IDs may be used. These IDs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vice type to indicate the type of each device. The device type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modules each unit is composed of,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transmission medium and transmission method are us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each unit.

그리고 보디(720) 부분 중의 내용(722)에는, 메시지를 받을 장치 식별자( 하나 또는 다수), 사용자(500)가 베이스 유닛(300) 또는 외부접속장치(200) 또는 접속모듈(110)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식별자라 함은 어느 장치가 메시지를 받을 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종 ID들, 장치들의 이름들, 장치들의 타입, 메지지 전달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 지시자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식별자(들)와 메시지의 짝은 여럿일 수 있다.In the content 722 of the body 720, a device identifier (one or multiple) to receive a message, the user 500 wants to convey to the base unit 30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r the connection module 110. It is a good idea to include a message. The identifier indicates a device to receive a message, and may be a variety of IDs, names of devices, types of devices, and direction indicators indicating a message delivery direction. In this case, the identifier (s) and the message pair may be several.

상기한 데이터들의 역할과 기능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더(710)에 있는 모빌 유닛(100)의 Device ID, Alias에 의해 송신하는 장치 즉 모빌 유닛(100)를 구별한다. 이 경우 Alias는 생략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모빌 유닛(100)을 사용하는 사람(500)의 개인 ID를 보내어 누가 요청한 것인지 알 수 있게도 할 수 있다. 물론 모빌 유닛(100)이나 사용자(500)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이 ID들은 생략되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접속장치(200) 또는 접속모듈(110)의 접속 ID가 쓰인다. 이 접속 ID를 통해 베이스 유닛(300)은 자신이 정보를 어느 외부접속장치(200) 또는 어느 접속모듈(110)로 보내야 할 지를 알게 된다. 물론,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로만 정보를 받기를 원하는 경우는 이 접속ID는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의 취향에 따라 데이터의 내용이 결정된다.The role and function of the above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The device ID of the mobile unit 100 in the header 710, the device transmitted by Alias, that is, distinguishes the mobile unit 100. In this case, Alias can be omitted. In addition, the personal ID of the person 500 who uses the mobile unit 100 may be sent to know who requested it. Of course, these IDs may be omitte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obile unit 100 and the user 500 is not required. Then, the connection ID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r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used. Through this connection ID, the base unit 300 knows which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r which connection module 110 it should send information to. Of course, if you only want to receive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this connection ID is not necessary.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dat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ID를 보낼 때는 메시지 방향 지시자를 같이 보내어 메시지 전달 방향을 알게 한다. 외부접속장치(200) 접속 ID의 경우, 외부접속장치(200)의 타입과 접속 ID를 짝으로 보내는데, 여러 외부접속장치(200)로 정보를 받아 보기 원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짝(외부접속장치 타입과 접속 ID)을 나열한다. 접속모듈(110) ID의 경우도 외부접속장치(200) I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속모듈의 타입과 접속 ID를 같이 나타낸다. 각 장치들의 ID를 나타낼 때, 장치들의 타입을 같이 나타내어 어떤 형태의 장치들인지 구별하게 한다.When sending an ID, send a message direction indicator to know the direction of message delivery.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ID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the type and the connection ID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are sent in pairs, and if you want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various external connection devices 200, a plurality of pairs (external connection device types) And connection ID).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ID, the type of the connection module and the connection ID are also show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D. When indicating the ID of each device, the type of the device is displayed together to distinguish what type of device.

보디(720) 부분에 들어가는 내용은 모빌 유닛(100)을 사용하는 사람(500)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들어간다. 이 메시지는 베이스 유닛(300) 또는 외부접속장치(또는 접속모듈)가 받아 보게 된다. 이 때 메시지를 받을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메시지를 짝으로 하여 보내며, 한 메시지에 대하여 식별자는 다수가 될 수 있다. 이는 마치 여러 사람에게 e-mail을 보낼 때, 주소란에 여러 사람의 주소를 쓰는 것과 같다. 물론, 식별자와 메시지의 짝이 여럿이어도 된다. 보디(720) 부분의 내용(722)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내용이 첨가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아예 내용이 없을 수 도 있다.The content entering the body 720 includes a message that the person 500 who uses the mobile unit 100 wants to deliver. This message is received by the base unit 300 or an external connection device (or connection module). At this time, an identifier indicating a device to receive the message is sent in pairs, and the identifier may be multiple for one message. It's like writing several people's addresses in the address field when sending e-mails to multiple people. Of course, multiple identifiers and messages can be paired. Data entered into the contents 722 of the body 720 may be added with various contents as necessary and may not have any contents at all.

데이터의 실제적인 예를 들면 도 14a와 같다. 여기서 'Amisys'는 고유코드(715)의 한 예이고, 'RequestData/0.9'는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716)과 버전(717)을 알려주고 있으며, 'Content-encoding:Unicode'는 Body encoding scheme을 알려주고 있다. 모빌 유닛 사용자의 개인 ID를 나타내려는 목적으로 'User:Name<John Smith>,Age<30>'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베이스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주체인 모빌 유닛의 ID들이 사용되고 있다. 'From:Device<MU1213145>,Alias<JohnyMU>,Type<PhoneM>,접속<0112345678>'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모빌 유닛의 Mobile Unit Device ID, Alias, Mobile Unit Type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To:Device<MU1213145>, Alias<JohnnyMU>,Type<PhoneM>,접속<0112345678>'은 Mobile Unit Device ID, Alias, 접속모듈 타입, 접속 ID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베이스 유닛은 어느 장치로 메시지를 보내야할 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모빌 사용자가 또 다른 곳으로도 메시지를 전달받기를 원하는 경우 전달할 주소를 이어서 쓸 수 있는데, 'To:Alias<John>,Type<e-mail>, 접속<john@people.email>'가 그 예가 된다. 다음에 나오는 빈줄은 empty line은 헤더와 보디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다음에 보디의 내용이 나오는데, 'CU:<PhoneM:0112345678>,<e-mail:john@people.email>'은 보디의 메시지를 받을 장치들의 접속 ID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Hello, this is a message from johny.)'는 전달할 메시지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은 테일(730)을 나타낸다. 위의 예에서, ECC는 모두 생략된 경우이다.A practical example of the data is shown in FIG. 14A. 'Amisys' is an example of unique code (715), 'RequestData / 0.9' indicates the format (716) and version (717) of the data used, and 'Content-encoding: Unicode' indicates the body encoding scheme. Let me know. 'User: Name <John Smith>, Age <30>' is used to indicate the personal ID of the mobile unit user. Next, IDs of the mobile unit, which is the subject transmitting data to the base unit, are used. 'From: Device <MU1213145>, Alias <JohnyMU>, Type <PhoneM>, Connection <0112345678>' indicates the Mobile Unit Device ID, Alias, and Mobile Unit Type of the mobile unit that is transmitting data. 'To: Device <MU1213145>, Alias <JohnnyMU>, Type <PhoneM>, Connection <0112345678>' shows Mobile Unit Device ID, Alias, Connection Module Type, and Connection ID. You will know whether to send. If a mobile user wants to have a message delivered to another location, he can use the address to forward, for example, 'To: Alias <John>, Type <e-mail>, or access <john@people.email>'. do. The next blank line is an empty line to distinguish the header from the body. The body is followed by 'CU: <PhoneM: 0112345678>, <e-mail: john@people.email>', which indicates the connection IDs of the devices that will receive the body's message, and the '(Hello, this is a' message from johny.) 'indicates the message to be delivered. Finally, '.' Represents tail 730. In the above example, ECC is all omitted.

위의 예는, 광 송신모듈(130)과 광 수신모듈(140)을 가지고 있는 모빌 유닛(100)이, 접속모듈(110)이 있는 모빌 유닛(100)과 e-mail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는 데이터의 내용의 예다. 위의 예에서, 모빌 유닛 사용자는 베이스 유닛이 접속모듈과 e-mail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때, '(Hello, this is a message from johny.)'라는 내용을 같이 전달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mobile unit 100 having the light transmitting module 130 and the light receiving module 140 receives the data through the mobile unit 100 having the connection module 110 and the e-mail. This is an example of the contents of the data sent to the base unit 300. In the above example, the mobile unit user requests that the base unit deliver the message '(Hello, this is a message from johny.)'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access module and e-mail.

모빌 유닛(100)이 광 수신모듈(140)을 가지고 있고, 그 광 수신모듈(140)로 데이터를 받아 보기 원하는 경우의 데이터의 예는 도 14b와 같다. 이 예에서 다른 내용은 도 14a에서와 같고, 헤더의 중 "To:"의 내용만 차이가 있다. "To:"의 내용을 통해 베이스 유닛(300)은 어느 곳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지를 알 수 있다. 14b에서는 보디 부분이 빈 메시지(empty message)인 경우이다.An example of data when the mobile unit 100 has the light receiving module 140 and wants to receive data by the light receiving module 140 is shown in FIG. 14B. In this example, other content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4A, and only the contents of "To:" in the header are different. Through the content of "To:", the base unit 300 can know where to send the message. In 14b, the body part is an empty message.

상기 도 14a와 도 14b에서 쓰인 각 장치들의 타입은 다음과 같다.Types of the devices used in FIGS. 14A and 14B are as follows.

TIrDA20 : 광 송/수신 모듈이 있고, IrDA2.0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모빌 유닛.TIrDA20: A mobile unit that has an optical transmit / receive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IrDA2.0 protocol.

e-mail: 외부 접속장치(200)중 전자우편e-mail: e-mail in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PhoneM: 모빌 유닛(100)에 부착된 접속모듈(110) 중 Phone ModulePhoneM: Phone Module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attached to the mobile unit 100

이외에도 사용하는 매체, 변/복조 방식, 프로토콜, 장치의 특징에 따라서 장치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을 달리 해야한다. 여기서는 "TIrDA20"라는 미리 정해진 타입을 통해 장치가 사용하는 매체, 변/복조 방식, 프로토콜, 장치의 특징 등을 알려 주고 있다.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서 이러한 사항들을 미리 규정하여 타입을 정하도록 한다. 접속모듈(110)의 형태가 예에 나온 형태와 달라지면 이것도 그에 맞게 형태를 미리 정하고 데이터 전송시 이 내용을 같이 보낸다. 사용하는 매체나, 접속 모듈의 형태를 적절히 알려줄 수 있도록 데이터의 내용이 조절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value indicating the type of the devic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edium used, modulation / demodulation method, protocol, and device features. Herein, a predetermined type of "TIrDA20" is used to inform the media, modulation / demodulation method, protocol,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Depending on the various methods you use, predefine these types to determine the type. If the shape of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the example, this also determines the shape accordingly and sends this content together when transmitting data. The contents of the data should be adjusted to properly inform the type of the medium to be used or the type of the connection module.

이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타의 데이터 형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타 데이터로는 베이스 유닛(300)에서 외부접속장치(200)로 보내는 데이터가 있으며 이는외부접속장치(200)의 타입에 의존해서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유닛(300)에서 접속모듈(110)로 보내는 데이터와 모빌 유닛(100)이 다른 모빌 유닛(10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와 주고 받는 데이터도 포함된다. 이들 데이터의 형식도 본 발명의 기본 데이터 형식과 같다.Now, other data forma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ther data includes data sent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which is configur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n addition, the data sent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and the mobile unit 100 includes data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the other mobile unit 10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The format of these data is also the same as the basic data format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 1-2 실시예 ><Example 1-2>

본 실시예는 모빌 유닛의 기본 구성이 실시예 1-1의 경우와 같다. 다만 차이나는 점은 모빌 유닛은 광송신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용 RF수신모듈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obile un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1-1. The difference is that the mobile unit uses 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an RF reception module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in the embodiment 1-1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본 모빌 유닛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제공자가 베이스 유닛의 외부에 연결된 표시장치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 유닛과 광과 근거리 무선통신용 RF를 통해 통신하는 모빌 유닛으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에 광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광송신모듈(130),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근거리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F수신모듈(140) 및 상기 광송신모듈, RF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uni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including meta information necessary for an information provider to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and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 mobile unit which communicates with a base unit, which is held, via light and RF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optical data to an optical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n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 control module 120 for controlling the RF receiving module 140 and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F receiving module.

상기 RF수신모듈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송신부에서 전송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41'), 상기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42'), 상기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143') 및 상기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1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5, the RF receiving module includes an antenna 141 'for recei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n RF transmitter of the base unit, an amplifier 142'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a demodulator 143 'for demodulating the amplified signal and a decoder 144' for decoding the demodulated signal.

상기 RF수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등 근거리 무선 LAN 통신방식이나 하기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할 근거리 랜덤 접근 RF 통신(Local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RF receiving unit transmits data from the RF transmitting module of the base unit using a near field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a local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Receive

RF 수신모듈(140)에서 제어모듈(120)로 전송된 데이터는 메모리로 저장되고,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500)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창이나 기타 다른 표시 장치를 통하여(소리를 내거나 깜박이게 하는 등) 표시한다. 수신 즉시 표시할 수도 있고 나중에 사용자(500)가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Data transmitted from the RF receiving module 140 to the control module 120 is stored in a memory, and a display window or other display so that the user 500 can confirm a signal indicating that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base unit and the stored data. Display through the device (such as making a sound or flashing). The received data may be displayed immediately or later, and the user 500 may retrieve the stored data.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응답신호(ACK 신호), 베이스 유닛(300)에서 제공하는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ed data represents content-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a response signal (ACK signal) and meta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unit 300.

< 제 1-3 실시예 ><Example 1-3>

본 실시예는 모빌 유닛의 기본 구성이 실시예 1-1, 1-2의 경우와 같다. 다만 차이나는 점은 모빌 유닛이 근거리 무선통신용 RF송수신모듈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1, 1-2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obile un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s 1-1 and 1-2.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mobile unit uses the RF transceiver module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in the embodiments 1-1 and 1-2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본 모빌 유닛(100)은, 정보제공자가 베이스 유닛의 외부에 연결된 표시장치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 유닛과 근거리 무선통신용 RF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수신모듈에 근거리무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RF송신모듈(130),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근거리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F수신모듈(140) 및 상기 RF송신모듈, RF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mobile unit 100 ha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ncluding meta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formation provider to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and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ng with the base unit via RF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mitted by the RF transmitting module 130 for transmitting short-range wireless data to the RF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 and the RF transmitting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 control module 120 for controlling the RF receiving module 140 and the RF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F receiving module.

그리고 모빌 유닛(100)은 베이스 유닛(300)을 검색하기 위해서 수신모듈(140)을 필요로 한다. 이때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수신할 수 있는 베이스 유닛(300)을 검색하며, 이를 발견과정(Discovery Process)이라고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unit 100 needs the reception module 140 to search for the base unit 300. In this case, the mobile unit 100 user 500 searches for a base unit 300 that can be received first before transmitting data, which is called a discovery process.

모빌 유닛(100)은 상기 검색 시 베이스 유닛들(300)에게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를 수신한 베이스 유닛(300)은 자신이 수신할 수 있음과 자신이 누구(무엇)인지를 알리는 신호를 모빌 유닛(100)에게 전달한다.The mobile unit 100 sends a signal to the base units 300 at the time of the search, and the base unit 300 that receives the signal informs the mobile unit of which it can receive and who it is. Deliver to 100.

상기 누구(무엇)인지 알리는 신호란 다른 베이스 유닛들(300)과 구별시켜주는 정보들을 의미한다. 이 정보가 필요한 이유는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검색된 베이스 유닛들(300)을 보고 정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정보의 예를 들면, 베이스 유닛(300)의 이름, 형태,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ignal indicating who is what means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base units 300. The reason why this information is necessary is to allow the mobile unit 100 user 500 to see the searched base units 300 and make an accurate selection. For example, the name, form, location, etc. of the base unit 300 may be included.

일단 검색이 이루어지면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선택할 수 있도록 모빌 유닛(100)의 디스플레이 창에 수신 준비가 되어있는 베이스 유닛(3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된 베이스 유닛(300)의 정보를 보고 원하는 베이스유닛(300)을 선택하여 정보요청 데이터를 보낸다.Once a search is made, information about the base unit 300 that is ready to receive is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unit 100 so that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can select it. View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base unit 300, select the desired base unit 300 to send the information request data.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RF송신모듈(130)은 도 16 에서 보듯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부호화하고 에러 검출 및 정정 기능을 수행하는 부호화기(131), 상기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를 소정의 변조기술에 의해 변조하는 변조기(132) 및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수신모듈로 전송할 근거리무선 통신용 고주파신호를 발진시키는 고주파발진기(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6,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F transmission module 130 encod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performs a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unction, and a predetermined signal is encoded by the encoder. And a high frequency oscillator 133 for oscillating a high frequency signal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the RF receiving module of the base unit.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용 RF송수신모듈은 근거리 랜덤 접근 RF통신 기술이나 불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LAN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의 근거리 무선통신용 RF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using a short range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technology or a short range wireless LA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 제 1-4 실시예 ><Example 1-4>

본 실시예는 기본 구성은 앞의 실시예들과 같다. 다만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통신매체로서 근접센서를 이용한다는 점만 다르다.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basic configuration.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use the proximity sensor as the communication medium.

본 실시예의 모빌 유닛은, 정보제공자가 베이스 유닛의 외부에 연결된 표시장치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 유닛과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의 근접수신모듈에 근접시켜 베이스 유닛의 수신모듈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근접송신모듈(130), 상기 베이스 유닛의 근접송신모듈에 근접시켜 베이스 유닛의 근접송신모듈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근접수신모듈(140) 및 상기 근접송신모듈, 근접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mobile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hav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including meta information necessary for an information provider to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and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ximity transmission module 1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unit through a proximity sensor, and transmits data to the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in proximity to the proximity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proximity to the proximity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 proximity module 140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ximity transmitter module of the base unit and a control module 120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transmitter module and the proximity receiver module.

< 제 1-5 실시예 ><1-5 Example>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1 실시예, 제 1-2 실시예, 제 1-3 실시예 및 제 1-4 실시예에서 모빌 유닛(100)에 수신모듈(140)이 없는 경우다. 즉 베이스 유닛(300)에는 송신모듈(330)이 없는 경우도 해당한다. 또는 베이스 유닛에 송신모듈이 있는 경우라도, 모빌 유닛에 수신모듈이 없는 상황이라면, 모빌 유닛 사용자 입장에서는 같은 경우이므로 이런 경우도 본 실시예에 포함된다. 역으로 모빌 유닛에 수신모듈이 있지만 베이스 모듈에 송신모듈이 없는 경우도 이 경우에 포함된다. 또한, 모빌 유닛의 수신모듈이 사용하는 전송매체와 베이스 유닛의 송신 모듈이 사용하는 전송매체가 달라서 서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도 이 경우에 포함되겠다. 이처럼, 모빌 유닛의 수신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송신 모듈의 유무와 관계없이 여러 가지 타입 맞지 않아 서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는 모두 본 실시예에 포함된다.This embodiment is a case in which the reception module 140 is not present in the mobile unit 100 in Embodiments 1-1, 1-2, 1-3, and 1-4. That is, the base unit 300 also has no transmission module 330. Alternatively, even when there is a transmitting module in the base unit, if there is no receiving module in the mobile unit, such a case is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it is the same case for the mobile unit user. Conversely, this includes the case where the mobile module has a receiving module but the base module does not have a transmitting module. 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medium used by the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medium used by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re different may not be included in this case. Thu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is not included in th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is not included in this embodiment.

모빌 유닛(100)에서 베이스 유닛(300)으로 정보를 요청하는 데이터를 보내면 모빌 유닛(100)은 수신모듈(140)을 장착하고 있지 않거나 근거리 통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베이스 유닛(300)에서 모빌 유닛(100)으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는 없다. 그리고 기타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경우에도 베이스 유닛과 모빌 유닛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다.When the mobile unit 100 sends data requesting information to the base unit 300, the mobile unit 100 is not equipped with the reception module 140 or cannot receive data transmitt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 Cannot directly transmit data to the mobile unit 100. In addition, even in the various cases described above, direct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mobile unit is impossible.

베이스 유닛(300)은 서비스모듈(310)을 통해서 모빌 유닛(100)의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로 데이터를 전달한다.The base unit 300 transmits data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through the service module 310.

베이스 유닛(300)에서 응답신호(ACK 신호)를 직접 모빌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없으므로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베이스 유닛(300)에 장착된 다양한 표시 장치(깜박이, 디스플레이 창, 소리 발생, 음성 등)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해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base unit 300 cannot directly transmit the response signal (ACK signal) to the mobile unit 100, various display devices (flashing, display window, Sound generation, voice, etc.) to be visually or audibly displayed so that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may know.

이때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에서 PSTN을 통하여 응답신호를 고속 SMS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모빌 유닛(100)에 SMS를 수신할 접속모듈(110)이 장착되어 있거나,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외부접속장치(200)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이다.In this case,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may transmit the response signal to the high speed SMS through the PSTN. In this case, the mobile unit 100 is equipped with a connection module 110 for receiving an SMS, or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possesses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제 1-6 실시예><Example 1-6 Example>

본 실시예는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 시에 전송 매체를 바꾸며 통신하는 경우의 모빌 유닛이 해당한다. 모빌 유닛의 송수신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송수신모듈이 통신을 할 때, 한가지 정해진 매체로만 계속 통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모빌 유닛의 송신 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수신 모듈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광 매체만을 사용하고, 모빌 유닛의 수신 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송신 모듈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전파 매체만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한가지 전송매체만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고집하지 않고, 도중에 전송매체를 바꾸어가면서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빌 유닛의 송신 모듈과 베이스유닛의 수신모듈이 처음에는 광 매체를 통해 통신을 하다가, 도중에 적절한 데이터의 교환 후에 전파 매체를 통해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이 것은 모빌 유닛의 수신 모듈과 베이스 유닛의 송신 모듈 사이의 통신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a mobile unit in the case of communicating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medium i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communicate, it is common to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only one predetermined medium.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may use only the optical medium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nd the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may use only the propagation medium from the beginning to the last. However, instead of insisting only one transmission medium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medium on the way.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may initially communicate through the optical medium, and then communicate via the radio medium after an appropriate exchange of data. The same applies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cept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물론 도중에 전송매체를 바꾸어가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각 유닛들이 그러한 통신 수단을 제공하고 있어야 하며 상대 유닛이 그러한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통신 매체를 바꾸기 전에 각 유닛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통신 수단을 상대 유닛에게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겠다. 이것은 서로 주고받는 데이터에 나타나있는 각 장치들의 형태 혹은 타입으로부터 알 수 있겠다. 이에 대한 예는 앞의 실시예 1-1에서의 도 14와 실시예 2에서의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나 있다. 이것으로부터 자신이 바꾸려는 전송매체를 상대 유닛이 지원하는 지를 알고 나면, 그 전송매체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되겠다.Of cours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way, each unit must provide such means of communication, and the other unit must know that. To this end, before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dium, each unit needs to inform the other unit of its own communication means. This can be seen from the types or types of devices represented in the data exchanged with each other. Examples of this are shown in FIGS. 14 and 24 and 24 in Example 1-1. From this, once you know if the other unit supports the transmission medium you want to change, you can send data to that transmission medium.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 유닛이 먼저 전송매체를 바꾸어서 통신해 오기를 바랄 수도 있겠다. 그런 경우에도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내용에 그러한 요청을 담아 보내면 된다. 물론, 이 요청에는 어떤 전송 매체를 사용해서 통신해 달라는 내용이 들어가면 되겠다. 이 때 사용되는 데이터의 한 예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이 예에서는 TIrDA20이라는 타입의 광 송/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모빌 유닛이, 자신이 Atype10_RFM이라는 타입의 RF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과, 베이스 유닛이 다음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Atype10_RFM에 맞는 방식으로 모빌 유닛에게 전달하기 바란다는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In some cases, the other unit may wish to communicate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medium first. In such cases, just as in the above case, the contents of the data can be included in the request. Of course, the request could be to communicate using some transmission medium. An example of data used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a mobile unit with an optical transmit / receive module of type TIrDA20 has its own RF receive module of type Atype10_RFM, and the mobile unit in a way that is compatible with Atype10_RFM the next time the base unit transmits data. It tells you that you want to forward it to.

< 제 1-7 실시예 ><Example 1-7>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사를 통한 음성네트웍 접속기능, 문자 및/또는 화상 출력용 표시부,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저장용 메모리를 갖춘 핸드폰, 양방향 페이저나 무선 모뎀이 장착된 PDA와 PC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 단말기가, 베이스 유닛의 외부에 연결된 표시장치를 통해 정보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의 정보의 상세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 유닛과 광 및/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RF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모빌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복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mobile terminal including a voice network access func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 display unit for text and / or image output, a data input unit, a mobile phone with a data storage memory, a PDA and a PC equipped with a two-way pager or a wireless modem. A base unit having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meta-information necessary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via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and an RF for optical and / 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composit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obile unit for communicating via.

본 복합 무선 단말기는 도 17 에 도시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무선 이동 단말기 고유의 기능과 함께 앞에서 언급한 모빌 유닛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이동 단말기는 CPU, 메모리, I/O 등을 가지고 있으며, 제어모듈은 이를 이용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모빌 유닛의 기능은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을 이 제어모듈에 연동함으로써 구현된다.This composite wireless terminal is shown in FIG. That is, it h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unit mentioned above along with the functions unique to the general wireless mobile terminal.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has a CPU, a memory, an I / O, and the like, and since the control module is implemented using the same, the function of the mobile unit is implemented by interlocking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with the control module.

상기 복합 무선 단말기는 일반적인 무선 이동 단말기의 구성외에,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수신모듈에 근거리무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RF송신모듈,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에 광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광송신모듈 및 근접송신모듈 가운데 하나이상의 송신모듈(130), 상기 베이스 유닛의 RF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근거리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F수신모듈,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광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광수신모듈 및 근접수신모듈 가운데 하나이상의 수신모듈(140), 상기 RF송신모듈, 광송신모듈, 근접송신모듈, RF수신모듈, 광수신모듈, 근접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hybrid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an RF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short-range wireless data to the RF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ptical data to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in addition to the general wireless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ule 130 of the near field transmission module, an RF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mitted by the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 optical for receiving optical data transmitt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t least on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receiving module and the proximity receiving module, the RF transmitting module,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the proximity transmitting module, the RF receiving module,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the control module 120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receiving module It is done by

이외에 디스플레이창(814), 입력키패드(815), 기타입력창(816), 외부연결부 817) 및 입력도구(81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814, the input keypad 815, the other input window 816, the external connector 817 and the input tool 818 may be further provided.

이 복합 무선 단말기도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기본적인 동작, 기능 및 구성들이 같으므로 공통되는 부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composite wireless terminal has the same basic operations,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of common parts will be omitted.

이 복합 무선 단말기는 광, 근거리 무선 통신용 RF 및 근접센서를 모두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이 가운데 광, 근거리 무선 통신용 RF 및 근접센서 가운데 하나 또는 두가지만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is composite wireless terminal can communicate using both RF and proximity sensors for optical and near field communications. Of course, it can also be configured using only one or two of the optical, short-range wireless RF and proximity sensor.

즉 상기 광송수신모듈은 LED광 및/또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LED광과 레이저광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을 송수신하기 위한 광송신모듈과 광수신모듈을 광별로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LED light and / or laser light, an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LED light and laser light at the same time,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light ar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light. can do.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는 외부연결부(817)을 통해 외부의 외부접속장치와 연결되어 RS232C, IrDA, USB, IEEE1394,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external connection device through an external connection unit 817 to communicate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ing RS232C, IrDA, USB, IEEE1394, and Bluetooth.

상기 외부접속장치가 상기 모빌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의 통신방식을 수용하는 경우 상기 모빌 유닛은 RF송수신모듈 및 광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접속장치와 통신하고, 수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터넷, 공중망 및 무선통신망 가운데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한다.When the external access device accepts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the mobile unit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access device through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using one of them.

상기 단말기는 수신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의 인터넷 또는 음성네트웍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The terminal can directly access the information provider's Internet or voice network using the received meta information.

2. 베이스 유닛의 실시예2. Example of Base Unit

<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베이스 유닛(300)에 관한 것으로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은, 정보제공자가 외부에 접속된 표시장치를 통해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할 때 상기 컨텐츠와 관련해서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저장하고 모빌 유닛에 제공한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the base unit 300 and i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formation provider provides predetermined content through an externally connected display device, the base unit stores and provides content-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content to the mobile unit.

베이스 유닛의 제어모듈은 베이스 유닛 전체를 제어하고, 베이스 유닛 고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며 외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 출력, 분석, 가공, 처리 및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 유닛의 광송신모듈은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모빌 유닛의 광수신모듈로 전송하고, RF송신모듈은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모빌 유닛의 RF수신모듈로 전송한다. 베이스 유닛에서 송신모듈이 없는 경우 서비스모듈을 통해 모빌 유닛에게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control module of the base unit has a memory for controlling the entire base unit, storing data unique to the base unit, storing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nd inputting, outputting, analyzing, processing, processing and It acts as a store.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of the base unit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o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he RF transmitting module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o the RF receiving module of the mobile unit. If there is no transmitting module in the base unit, it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o the mobile unit through the service module.

광수신모듈은 상기 모빌 유닛의 광송신모듈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RF수신모듈은 상기 모빌 유닛의 RF송신모듈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한다.The optical reception module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RF reception module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mobile unit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module.

본 발명에서 베이스 유닛은 상기 광송신모듈, RF송신모듈 및 근접송신모듈 가운데 하나이상의 송신모듈(330) 및 광수신모듈, RF수신모듈 및 근접수신모듈 가운데 하나이상의 수신모듈(3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베이스 유닛은 RF수신모듈 및 근접수신모듈 가운데 하나이상의 수신모듈(340)과 서비스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unit includes at least one transmitting module 330 of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the RF transmitting module and the proximity transmitting module, and at least on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the RF receiving module, and the near receiving module. Can be. Alterna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receiving module 340 and a service module among the RF receiving module and the proximity receiving module.

도 18 은 베이스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베이스 유닛은 대기상태에 있다가(s210), 신호가 포착되면(s220), 신호를 분석하고(s230), 송신모듈이 Ack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한다(s240). ACK신호의 전송이 성공하면(s250) 서비스모듈에서 요구내용을 처리한 뒤(s260) 다시 대기모드로 복귀하고, ACK신호 전송이 실패하면 ACK신호 실패시의 선택옵션인 서비스모듈과 대기모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다(s260). 서비스모듈을 선택하면 서비스모듈이 요구사항을 처리한 뒤 대기모드로 복귀하고, 대기모드를 선택하면 바로 대기모드로 복귀한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ase unit. That is, the base unit is in the standby state (s210), when a signal is captured (s220), the signal is analyzed (s230), and the transmitting module generates an Ack signal and transmits it (s240). If the transmission of the ACK signal is successful (s250), the service module processes the request (s260) and returns to the standby mode. If the transmission of the ACK signal fails, one of the optional service module and the standby mode when the ACK signal fails. Select (S260). If the service module is selected, the service module returns to the standby mode after processing the requirements. If the service module is selected, the service module immediately returns to the standby mode.

본 실시예는 베이스 유닛이 다양한 모빌 유닛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광, 근거리 통신용 RF 및 근접센서를 모두 갖춘 경우, 또는 이 가운데 한가지 또는 두가지의 통신매체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This embodiment includes both the case where the base unit is equipped with both RF and proximity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various mobile units, or when one or two communication media are used. .

모빌 유닛과 같이 송신모듈이 없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나, 불특정 다수의 모빌 유닛 소지자와 통신해야한다는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송수신모듈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re is no transmission module such as a mobile uni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b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s in consideration of a realistic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unit holders is required.

그리고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모빌 유닛의 제어모듈과 연결된 접속장치나 외부접속장치에게 인터넷 또는 PSTN을 통해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모듈(310)을 선택에 의해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역시 불특정 다수의 모빌 유닛 소지자를 고려하면 항상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ervice module 310 for selection to transmit predetermined data to a connection device or an external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mobile unit through the Internet or a PSTN. However, it is also preferred to always be provided considering the unspecified number of mobile unit holders.

상기 광송수신모듈은 LED광 및/또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LED광과 레이저광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광을 송수신하기 위한 광송신모듈과 광수신모듈을 광별로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장치가 필요하면 이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유닛이 LED광송수신모듈 및 레이저광송수신모듈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tic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LED light and / or laser light, an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LED light and laser light at the same time,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and optical receiving module ar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light. It is preferable. It is also preferable to purchase this device separately if other device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protocol. That is, the base unit preferably includes both the LED light transmitting module and the laser light transmitting module.

상기 제어모듈, 각 송수신모듈들은 모빌 유닛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는 광수신모듈(340)의 일 예시도이다.The control module,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s the same as the case of the mobile unit. Therefor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19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tical receiving module 340.

그리고 서비스모듈(310)은 모빌 유닛(100) 또는 사용자(500)의 요구를 경우에 따라 컨텐츠관련 추가정보를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에게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module 310 transmits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of the mobile unit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mobile unit 100 or the user 500. Do it.

다음의 각 경우 또는 각 경우의 조합으로 서비스모듈(31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모빌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내는 데이터에 다음과 같은 정보도 포함되어야 한다. 즉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원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각 경우의 서비스에 대한 외부접속장치의 접속 ID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 또는 기술의 발달 등에 의해 아래의 경우 외에도 필요한 서비스모듈(310)을 추가할 수 있다.The service module 310 may be configured in each of the following cases or a combination of each case. In such a case, the following information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data sent to the base unit 300 by the mobile unit 100. That is, the type of service desired by the user 500 of the mobile unit 100 and the connection ID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for the service in each case should be inclu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necessary service module 310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e following cases.

그리고 모빌 유닛(100)이 접속모듈(110)을 가지고 있고,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이 모빌 유닛(100)의 접속모듈(110)에 유/무선인터넷, SMS, Pager 등의 공중 통신망을 이용해서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면 상기 송신모듈(330)의 역할을 서비스모듈(310)이 대신하여 응답신호나 메타정보 또는 기타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And the mobile unit 100 has a connection module 110,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to the connection module 110 of the mobile unit 100, such as wired / wireless Internet, SMS, Pager If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t a high speed using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module 310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meta information, or other necessary information instead of the role of the transmission module 330.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SMS요청을 받은 경우(s110) 베이스 유닛(300)이 모빌 유닛(100)의 요구를 분석한다(s120). 분석 후 베이스 유닛(300)의 서비스모듈(310)은 상기 요구받은 SMS를 처리한다(s130). 서비스모듈(310)은 베이스 모듈(300)의 SMS전송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또는 전화서비스회사의 전용선을 통한 SMS 기지국)에 처리된 SMS를 전송하고(s140), SMS전송장치는 사용자(500)의 SMS수신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사용자(500)가 요구하는 정보를 보낸다(s150). 이 때 SMS 수신장치로는 모빌 유닛(100), 휴대전화기, 전용 SMS 수신장치, SMS 수신기능을 가진 접속모듈(110) 또는 외부접속장치(20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SMS로 URL을 전송한 경우 사용자(500)는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이용하여 음성/데이터 네트웍에 접속한다(s160).When the SMS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unit 100 (s110), the base unit 300 analyzes the request of the mobile unit 100 (s120). After analysis, the service module 310 of the base unit 300 processes the requested SMS (S130). The service module 310 transmits the processed SMS to an SMS transmission device (for example, an SMS base station through a dedicated line of a mobile phone or a telephone service company) of the base module 300 (s140), and the SMS transmission device is a user 500 Send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500 to the SMS receiving device (not shown) of (S150). In this case, as the SMS receiving device, a mobile unit 100, a mobile phone, a dedicated SMS receiving device, a connection module 110 having an SMS receiving function, or an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may be used. When the URL is transmitted by the SMS, the user 500 accesses the voice / data network using the access module 110 or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s160).

SMS 이용이 적은 베이스 유닛(300)에서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SMS전송시스템 구성도 가능하고, SMS 요청이 많거나 여러 베이스 유닛(300)이 SMS 기능을 공유한다면 SMS 전용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base unit 300 with less use of SMS, an SMS transmission system using a mobile phone can be configured, and if there are many SMS requests or several base units 300 share SMS functions, an SMS dedicated line can be used.

SMS전송은 무선전화사업자와의 특별한 구현(Implementation) 계약을 통해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고속SMS가 가능한 경우에는 송신모듈(330)의 응답기능을 고속 SMS전송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SMS transmission can be speeded up through special implementation agreements with wireless providers. When such a high speed SMS is possible, the response function of the transmission module 330 may be replaced by a high speed SMS transmission.

이와 같이 SMS를 이용하는 방식은 양방항 페이저 (Two-way pager)나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공중 통신망을 사용할 때도 똑 같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method using SMS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when using various public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wo-way pager or wireless Internet.

이제 본 발명에 따라 Call center에서 처리하는 Voice push/pull에 대해 설명한다.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voice push요청을 받은 경우 서비스모듈(310)은 사용자의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에게 음성으로 사용자(500)가 요구하는 정보를 보낸다. 예를 들면 사용자(500)의 휴대전화기로 전화를 걸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voice pull요청을 받은 경우 서비스모듈(310)은 접속모듈9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로 전화번호 등을 보내 이후에 사용자(500)가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요구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통한 유/무선 전화를 이용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자는 Call center를 운영할 수도 있다. Voice Portal등이 한 예이다.Now, voice push / pull processing in the cal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voice push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unit 100, the service module 310 sends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500 to the user's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by voice. For example, a user may call a mobile phone of the user 500 to transmit information. When the voice pu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unit 100, the service module 310 sends a phone number to the connection module 9110 or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and then the user 500 calls and requests information by voice. To obtain. In this case, wired / wireless telephones through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network may be used, and a service provider may operate a call center. Voice Portal is an example.

이제 외부접속유닛(200)을 지정된 유선 또는 무선인터넷 사이트로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이 사용자(500)의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지정된 유/무선 인터넷 사이트(650)로 정보 전송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이 요청은 서비스모듈(310)로 전송되어, 서비스모듈(310)은 지정된 사이트로 정보를 보낸다. 이후 사용자(500)는 상기 지정된 사이트(650)로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요구한 정보를 확인한다. 이 경우 지정된 유/무선 인터넷 사이트 정보는 e-mail 또는 웹서버, 데몬(Daemon) 프로그램, 소켓 등 메시지나 정보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Now, the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the external access unit 200 as a designated wired or wireless Internet site will be described. This is illustrated in FIG. 13. When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receives a request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the mobile unit 100 of the user 500 to the designated wired / wireless internet site 650, the request is received by the service module 310.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module 310 sends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site. Thereafter, the user 500 accesses the designated site 650 using the access module 110 or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and then checks the request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designated wired / wireless internet site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e-mail or web server, daemon program, socket, etc. to receive messages or information.

이제 외부접속유닛(200)을 통합 메시지 시스템(Unified Messaging System)으로 쓰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유닛(300)이 모빌 유닛(100)으로부터UMS(예를 들면 음성, 팩스, e-mail 등)를 이용한 정보 전송 요구를 받으면 서비스모듈(310)은 UMS를 이용하여 접속모듈(110)이나 외부접속장치(200)의 사용자(500)가 요구하는 정보를 보낸다.Now, a case in which the external access unit 200 is used as a unified messaging system will be described. When the base unit 300 receives a request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using the UMS (for example, voice, fax, e-mail, etc.) from the mobile unit 100, the service module 310 uses the UMS to access the connection module 110 or the external device. Sends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500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본 실시예에서는 SMS와 같은 방법으로 페이저(Pager)를 통해서도 모빌 유닛(100)이 요구하는 정보를 서비스모듈(310)이 사용자(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rvice module 31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mobile unit 100 to the user 500 through the pager in the same manner as the SMS.

그리고 상기 서비스모듈(310)은 도 20 에 예시되어 있다. 서비스모듈(310)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311), 상기 처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short message로 전송하기 위한 SMS 서버(312), 상기 처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e-mail로 전송하기 위한 e-mail server(313) 및 상기 처리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paging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paging server(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the service module 310 is illustrated in FIG. The service module 310 may include a processing unit 311 for processing the input data, an SMS server 312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by the processing unit in a shor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by the processing unit by e-mail. And a paging server 314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by the processing unit as a paging signal.

상기 메타정보는 정보제공자의 URL, Mobile IP, IPv6 또는 전화번호 등과 이를 간접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은 상기 광수신모듈, 키패드, 키보드, 터치 스크린, 포인팅 펜을 구비한 필기체 인식창 및 음성인식기를 포함한다.The meta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indirectly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s URL, Mobile IP, IPv6 or telephone number. The means for inputting data from the outside includes the light receiving module, a keypad, a keyboard, a touch screen, a handwriting recognition window having a pointing pen, and a voice recognizer.

실외에서 광 매체 특히 LED광을 모빌 유닛(100)의 드라이버(133)에 사용할 경우에는 베이스 유닛(300)은 모빌 유닛(100)이 발사한 광 신호를 수신할 때 자연광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 유닛은 필터(filter)를 사용하여 자연광을 걸러주는 작업을 필요로한다. 도 21 은 광필터를 구비한 광수신모듈(34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모빌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광데이터 가운데 광필터(341')로 자연광을 제거하고, 이를 PIN photodiode(342')로 수신하여 프론트 엔드(343')에 전송하고, 이는 등화기(equalizer)(344'), 복조기(demodulator)(345'), 검출기(346'), 복호화기(347')로 복호하게 된다. 이때 동기화기(348')는 상기 각 구성요소를 동기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When the optical medium, in particular, LED light is used in the driver 133 of the mobile unit 100 outdoors, the base unit 300 may include natural light when the base unit 300 receives the light signal emitted by the mobile unit 100. It is necessary to use a filter to filter natural light. 21 shows an example of the light receiving module 340 having an optical filter. That is, natural light is removed from the optical data input from the mobile unit by the optical filter 341 ′, received by the PIN photodiode 342 ′ and transmitted to the front end 343 ′, which is an equalizer 344 ′. ), A demodulator 345 ', a detector 346', and a decoder 347 '. At this time, the synchronizer 348 'plays a role of synchronizing each of the components.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은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이 옳바르게 정보를 베이스 유닛(300)에 전달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acknowledge)와 URL, Mobile IP, IPv6 또는 전화번호 등의 필요한 메타정보 및 기타 정보들을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모듈이다.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includes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has correctly transmitted information to the base unit 300, URL, Mobile IP, IPv6 or It is a module that serves to deliver the necessary meta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to 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도 22 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사용할 때의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부의 구성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즉 송신모듈(330)은 송신신호를 입력하는 송신부(332)와 충돌감지모듈(334)로 이루어지고, 송신부(332)는 다시 부호화기(333), 변조기(335) 및 RF 송신부(337)로 이루어진다.Fig. 22 shows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of the base unit 300 whe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at is, the transmission module 330 is composed of a transmitter 332 and a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for inputting a transmission signal, and the transmitter 332 is composed of an encoder 333, a modulator 335, and an RF transmitter 337. .

또한 베이스 유닛(300)의 수신모듈(340)과 함께 송신모듈(330)은 모빌 유닛(100)의 송/수신 모듈(130)(140)과 대화형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module 330 together with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300 may communicate interactively with the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s 130 and 140 of the mobile unit 100.

이제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의 데이터 형식도 전체적인 틀은 기본적인 데이터 형식을 따르고 있다. 단지, 헤더(710)의 ID(712)(713)와 보디(720) 부분을 이 데이터의 목적에 알맞게 정하기만 하면 된다. 즉 헤더(710)에는 Base Unit ID, Mobile Unit ID를, 보디(720)에는 베이스 유닛(300)에서 보내는 데이터를 포함시키면 된다. 물론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장치들을 구별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면 보내는 데이터를 받을 장치가 근처에 하나 밖에 없는 것이 보장될 때와 같은 경우들이 있겠다.그러한 경우, 이러한 ID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Now, the format of data used in the base unit will be described. The data format in this case also follows the basic data format. The ID 712 (713) and the body 720 portions of the header 710 need onl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data. That is, the header 710 may include a base unit ID and a mobile unit ID, and the body 720 may include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unit 300. Of cours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there is a case where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the devices. For example, there may be times when it is guaranteed that there is only one device nearby to receive the outgoing data. In such cases, these IDs may not be needed.

Base Unit ID는 Device ID나 Alias, 혹은 둘 다 올 수 있다. 이 ID를 통해서 Ack신호를 보내는 베이스 유닛(300)을 구별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라면 이 ID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Mobile Unit ID는 베이스 유닛(300)이 수신한 Mobile Unit ID를 다시 보내 줌으로써, 보내는 Ack신호가 어떤 모빌 유닛(100)을 위한 것인지 알 수 있게 한다. 모빌 유닛(100)의 구별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Mobile Unit ID중 Device ID는 반드시 필요하나, Alias는 그렇지 않아도 좋다. 모빌 유닛(100)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이 ID들은 없어도 좋다. 여기서 Ack 신호를 보내는 장치는 베이스 유닛(300)이고, 이 Ack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모빌 유닛(100)이므로, 헤더(710)의 ID들(712)(713)은 각각 Ack신호 발생이 어디에서 일어나서, 어느 장치가 수신하길 바라는 지 알 수 있다. 이때 모빌 유닛(100)은 수신한 Ack신호가 자신의 Mobile Unit ID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반응할 수도 있고, ID 확인 없이 반응할 수도 있다. 주위에 다른 모빌 유닛이 많이 있는 경우라면 ID의 확인 작업이 필요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어지는 상황을 고려하여 ID들의 쓰임을 결정할 수 있다.The Base Unit ID can be a Device ID, an Alias, or both. Through this ID, the base unit 300 that sends the Ack signal can be distinguished. This ID may not be necessary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the base units. The Mobile Unit ID retransmits the Mobile Unit ID received by the base unit 300 so that the mobile unit ID knows which mobile unit 100 the Ack signal is for. When the mobile unit 100 needs to be distinguished, the Device ID of the Mobile Unit ID is necessary, but the Alias does not have to be. If the situation does not require the distinction of the mobile unit 100, these IDs may be absent. In this case, the device for sending the Ack signal is the base unit 300, and the device for receiving the Ack signal is the mobile unit 100, so that the IDs 712 and 713 of the header 710 are each located where the Ack signal is generated. You can find out which device you want to receive. At this time, the mobile unit 100 may respond only when the received Ack signal matches its Mobile Unit ID, or may react without ID verification. If you have a lot of other mobile units around, you will need to verify the ID, but if not, you won't need it. Therefore, the use of ID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보디(720)에는 베이스 유닛(300)이 모빌 유닛(100)으로 보내는 데이터를 담는다. 이 데이터의 내용은 베이스 유닛(300)의 사용자(500)가 알맞게 지정할 수 있다.The body 720 contains data that the base unit 300 sends to the mobile unit 100. The content of this data can be appropriately designated by the user 500 of the base unit 300.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닛(300)이 가까운 거리에 여러 개가 있을 경우에는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의도하지 않은 베이스 유닛(300)이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응답한 베이스 유닛(300)이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의도한 베이스 유닛(300)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보디(720)의 내용을 각 베이스 유닛(300)을 구별할 수 있는 내용으로 채우면 된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ase units 300 at a short distance, the base unit 300 which the user of the mobile unit 100 does not intend may respo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responding base unit 300 matches the base unit 300 intended by the user of the mobile unit 100. In this case, the contents of the body 720 may be filled with contents that can distinguish each base unit 300.

이제 베이스 유닛(300)에서 모빌 유닛(100)으로 보내는 정보관련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데이터는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로 전달되는 데이터이므로, Ack 신호의 경우와 거의 같다. 단지 메시지 보디(720) 부분에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담기만 하면 된다.Now, information related data sent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mobile unit 100 will be described. This data is the data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and is almost the same as the case of the Ack signal. You just need to put the data you want to send in the message body 720.

또한, Ack 신호와 데이터가 일체가 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Ack 신호 메시지의 보디(720)에 이 데이터만 추가하면 된다.In addition, the Ack signal and the data may be integrated. In such a case, only this data needs to be added to the body 720 of the Ack signal message.

Ack 신호 데이터의 예는 도 23과 같다. 여기서 'Amisys'는 고유코드(715)를 나타내고 있다. 'Ack/0.9'는 데이터 형식(716), 버전(717)을 나타내고 있으며, 'Content-encoding: Unicode'는 body encoding scheme을 알려주고 있다. 베이스 유닛의 소유자 혹은 관리자와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개인 ID인 'User: Name<m-Hawaii>'이 쓰였다.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체인 베이스 유닛에 관한 정보는 'From: Device<BU4231123>,Alias<Bikini>,Type<Btype10>'를 통해 나타내고 있다. 차례로 Base Unit Device ID, Alias, 베이스 유닛의 타입을 나타내는 데, 그 중에서 'Btype10'이라는 것은 미리 정해진 베이스 유닛의 타입의 한 예로서, 이를 통해서 베이스 유닛이 사용하고 있는 전송매체라든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등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에 나오는 'To: Device<MU1213145>,Alias<JohnyMU>'는 베이스유닛이 보내는 메시지를 받을 대상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차례로 Mobile Unit Device ID, Alias를 나타내고 있다. 그 다음의 빈줄은 헤더와 보디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인 것이다. 보디(720) 부분에 나타나 있는 'Thank you for your interest in our Hawaii tour.'는 베이스 유닛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내용이 된다. 마지막으로 '.'는 테일(730)을 나타낸다. 위의 예에서, ECC는 모두 생략되었다.An example of the Ack signal data is shown in FIG. Here 'Amisys' represents a unique code (715). 'Ack / 0.9' indicates the data format 716, version 717, and 'Content-encoding: Unicode' indicates the body encoding scheme. The personal ID 'User: Name <m-Hawaii>' was used to inform the base unit's owner or manager. Information about the base unit that transmits the message is shown through 'From: Device <BU4231123>, Alias <Bikini>, Type <Btype10>'. In order, Base Unit Device ID, Alias, and Base Unit type are shown. Among them, 'Btype10' is an example of a predetermined base unit type. Through this, what kind of service is provided by the base unit? Cognition. 'To: Device <MU1213145>, Alias <JohnyMU>' indicates the destination to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base unit, which in turn indicates the Mobile Unit Device ID and Alias. The next blank line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header and the body. 'Thank you for your interest in our Hawaii tour.' Shown in the body 720 is the message content that the base unit intends to deliver. Finally, '.' Represents tail 730. In the above example, all ECCs are omitted.

도 24 는 Ack 신호와 데이터가 일체가 되는 경우의 데이터 형식의 예다.24 shows an example of the data format when the Ack signal and the data are integrated.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은 모빌 유닛(100)이 보낸 정보로부터 mobile unit ID(device ID, alias)를 추출한다. 상기 ID 정보와 함께 Base unit ID(device ID, alias) 그리고 응답신호, URL, 전화번호, Mobile IP, IPv6등의 메타정보를 포함한 컨테츠관련 추가정보를 부호기/변조기(Encoder/Modulator) (333)(335)로 보내 적당한 변조방식을 이용해 RF에 실어 안테나(antennas)를 통해 방송(broadcast)한다.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은 무선호출기(Pager) 방식처럼 여러 베이스 유닛들(300)이 송신한 메시지 중 자신의 mobile unit ID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만 필터링(filtering)하여 수신한다.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extracts a mobile unit ID (device ID, alias) from the information sent by the mobile unit 100. Encoder / Modulator (333) (Base) ID (device ID, alias) and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meta information such as response signal, URL, telephone number, Mobile IP, IPv6, etc. together with the ID information. 335 is broadcast on antennas by using appropriate modulation schemes on the RF.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filters and receives only the message including its mobile unit ID among the messages transmitted by the various base units 300, such as a pager method.

베이스 유닛(300)에서 송신신호를 방송 시 송신신호에 다른 베이스 유닛(300)과 구별할 수 있는 작은 문구나 그림을 포함하여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가 의도한 베이스 유닛(300)으로 정확하게 송신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암호화 또는 송신신호에 사용자의 이름 추가 등과 같은 다른 서비스가 필요하면 이외에 다른 정보를 더 추가할 수 있다.When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base unit 300 intended by the user of the mobile unit 100, including a small phrase or a picture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base unit 300 in the transmission signal when the broadcast signal is broadcast. Make sure that the transmission was made correctly. If other services such as encryption or transmission of the user's name are needed, other information can be added.

이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변조(Modulation) 기술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FM 또는 AM 등의 아날로그 변조(analog modulation)를 이용하거나, 여러 가지로 변형된 PSK(Phase Shift Keying)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등의 디지털 변조(digital modulation) 방법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기존의 널리 알려진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The modulation technique used in this embodiment will now be briefl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alog modulation such as FM or AM, or by selecting a suitable one of various digital modulation methods such as modified Shift Shift Keying (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Can be used. This is already known and can be used in the existing well-known method.

베이스 유닛의 송신모듈(330)이 모빌 유닛의 수신모듈(140)에게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베이스 유닛은 일반적으로 랜덤(Random)하게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즉, 베이스 유닛을 공중(public)을 대상으로 길거리나 쇼핑 몰의 실내에 설치할 경우, 베이스 유닛들을 미리 계획해서 배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또 상업적 이유에 의해서 주변의 베이스 유닛은 기존의 베이스 유닛이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랜덤하게 추가되기도 하고 제거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또한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베이스 유닛이 촘촘히 배치되기도 하기 때문에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는 통신방식에서는 전파신호 부호의 충돌 (Symbol Collision)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물론 데이터의 양과 사용자의 숫자를 고려해서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하면 확률적으로 충돌의 위험은 거의 무시할 정도로 줄일 수 있고, 이 정도의 디자인으로도 충돌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도 있다.When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communicates with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base unit is generally installed randomly (Random) in many cases. In other words, when the base unit is installed in the street or in a shopping mall indoors, it is difficult to plan and arrange the base units in advance. It can be added or removed randomly without being aware of it. In addition, since the base units are densely arranged in high traffic areas, a symbol collision problem should be considered in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Of course, if you increase the transmission speed by considering the amount of data and the number of users, the risk of collision can be reduced, and the design can easily solve the collision problem.

그러나 좀 더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원한다면 충돌 문제를 고려해서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충돌 문제 해결을 위한 통신프로토콜(Protocol) 및 충돌감지(Collision Detection)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근거리 랜덤 접근 RF통신(Local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이라고 칭한다. 이 방법은 pure ALOHA 또는 변형된 ALOHA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 방식은 하와이 대학에서 개발한 Aloha Network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다만 하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돌감지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랜덤한 접속(random access)방법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들이 작동할 때 다른 유닛들이 어디 있는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스펙트럼 확산 방식(spread spectrum)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네트웍 용량을 높이기 위해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방식이나 다중 접속 프로토콜(multiple access protocol)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But if you want a more reliable system, you need to design the system to account for collision issues. The following describes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llision detection for solving such a collision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referred to as local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This method uses pure ALOHA or a modified ALOHA protocol, which is identical to the one used by the Aloha Network developed by the University of Hawaii. However, as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collision detection method in another manner. These protocols have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consider where other units are when operating multiple mobile units and base units as described above in a random access method. In addition, spread spectrum may be used if necessary, an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CSMA / CD) or multiple access protocols may be additionally used to increase network capacity.

도 25 는 본 발명의 충돌감지방법을 보여주고 있고 이는 도 18의 s250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26 은 도 25에 따른 구성도로서 두 유닛 사이의 데이터 충돌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베이스 유닛(300)은 충돌감시모듈(334)을 장착하고 있다. 이 충돌감시모듈(334)은 여타 베이스 유닛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충돌감지모듈(334)은 도 26 에서와 같이 송신모듈(330)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응답 데이터 처리요구를 접수하면(s310) 이를 응답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s320),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 충돌감지모듈(334)로 유선으로 송신신호(D1)를 보낸다(s330).25 shows a collision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S250 of FIG. In addition, FIG. 2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25, and the base unit 300 is equipped with a collision monitoring module 334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re is no data collision between the two units. The collision monitoring module 334 is connected to other base units by wire, and 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is generally mounted inside the transmission module 330 as shown in FIG. When the response data processing request is received (s310), it is stored in the response data memory (s320), and when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transmits data wirelessly, it is transmitted to 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by wire. Send a signal (D1) (s330).

충돌감지모듈(334)은 또 자체 내에 무선데이터 수신기능을 갖는 모빌유닛(100)의 수신모듈(140)과 동일한 RF수신기를 가지고 있어서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이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받는다.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은 응답데이터를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으로 방송(Broadcasting)하고, 또 유닛들의 거리가 아주 가까우므로 충돌감지모듈(334)의 RF 수신기(도시되지 않음)가 수신한 신호는 주변의 모빌 유닛(100)의 수신모듈(140)이 수신한 신호와 같다고 간주할 수 있다.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also has the same RF receiver as the reception module 140 of the mobile unit 100 having a wireless data reception function in itself, thereb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Receive.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broadcasts the response data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RF receiver (not shown) of 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is receive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s is very close. One signal may be regarded as a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140 of the surrounding mobile unit 100.

충돌감지모듈(334)은 RF수신기로 수신한 신호(D2)가 베이스 유닛(300)의 송신모듈(330)이 유선으로 보내준 신호(D1)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여 충돌감지를 수행한다(s340). 이 때 일치여부는 베이스 유닛 ID, 모빌 유닛 ID, 송신신호내용, 송신신호 전송시간 등을 비교하여 판정한다.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performs collision detection by checking whether the signal D2 received by the RF receiver matches the signal D1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odule 330 of the base unit 300 to the wire (S340). . At this time, a match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base unit ID, mobile unit ID, transmission signal contents, transmission signal transmission time, and the like.

상기 비교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판정하여 충돌감지모듈(334)이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로 충돌이 발생하여 송신이 실패(NACK)했음을 유선으로 통보하고(s370), 주어진 재전송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380). 이 결과 재전송 조건에 적합하면 앞의 단계(s330)으로 돌아가서 재송신을 시도하도록 한다.If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does not match each other, it is determined that a collision has occurred and the collision detection module 334 notifies 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by wire that the transmission has failed (NACK) (s370). In operation S38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transmission condition is suitable. As a result, if the retransmission conditions are met,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s330) to attempt retransmission.

계속하여 충돌이 발생하여 주어진 재전송 조건(예를 들면 송신 정보전송에 실패해도 3번까지 재시도)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장치에 저장된 송신신호(D1)를 삭제하고(s390) 응답신호 전송에 실패하였음을 베이스 유닛(300)에게 통지한 뒤(s400) 송신동작을 종료한다. 송신신호를 받지 못한 모빌 유닛(100) 사용자(500)는 다시 베이스 유닛(300)에게 정보요청을 할 수 있다.If a collision continues to occur and it is determined to be unsuitable for a given retransmission condition (for example, retrying up to three times even if transmission information transmission fails), the transmission signal D1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s deleted (s390), and a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After notifying the base unit 300 that the operation failed (s400), the transmission operation is terminated. Mobile unit 100 user 500 that has not received a transmission signal may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base unit 300 again.

그리고 상기 단계(s340)에서의 비교결과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면 저장장치로부터 송신신호(D1)를 삭제한(s350) 후 베이스 유닛(300)에게 응답신호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 뒤(s360) 송신동작을 끝낸다.If the comparison result data in step s340 is identical to each other, the transmission signal D1 is deleted from the storage device (s350), and then the base unit 300 is notified that the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is completed (s360). Ends.

한편 도 21 에서 보듯이 베이스 모듈의 광검출기(342')는 매우 민감하고 응답시간이 빨라야 하고 원하지 않는 신호인 잡음(noise)에 대해 성능이 좋아야 한다. 잡음은 수신모듈(340)의 감도(sensitivity)에 영향을 끼치므로 수신모듈(340)의 구성에 중요하다. 광검출기(342')로는 PIN photodiode나 APD(avalanche photodiode)를 위시하여 적절한 소자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1, the photodetector 342 ′ of the base module should be very sensitive, have a fast response time, and have good performance against noise, which is an unwanted signal. Since noise affects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module 340, it is importan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module 340. As the photodetector 342 ′, an appropriate device may be selected and used, including a PIN photodiode or an avalanche photodiode (APD).

수신모듈(Receiver)(340)의 광 검출기(342')에는 하나의 광 검출 소자만 쓰일 수도 있고 베이스 유닛(3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광 검출 소자들의 2차원 배열 M × N,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M,N∈X, X={1,2,3,…}의 관계가 있다. 이런 경우 광 검출 소자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모빌 유닛(100)에서 보낸 광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모듈(320)로 전송한다. 광 검출 소자들의 2차원 배열을 제어하는 역할을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에서 담당한다.Only one photodetector may be used in the photodetector 342 'of the receiver module 340, and may be configured as a two-dimensional array M × N of photodetecto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base unit 300. have. Where M, N∈X, X = {1,2,3,... } Is related. In this case, the photo detection elements independently detect the optical signals sent from the mobile unit 100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module 320. 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two-dimensional array of the light detection elements.

베이스 유닛(300)의 제어모듈(320)은 광 신호의 충돌을 감지 및 회피 하는 문제 등을 처리한다. 동시에 여러 사용자(500)가 발사(shoot)하는 경우에는 광 신호는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충분히 짧은 시간 동안에만 발사(shoot) 되도록 하여 광 신호의 충돌이 생길 가능성을 줄인다.The control module 320 of the base unit 300 handles a problem of detecting and avoiding collision of an optical signal. When several users 500 shoot at the same time, the optical signal is only shot for a sufficiently short time from the mobile unit 100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of the optical signal.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모빌 유닛의 송신모듈(130)이 베이스 유닛의 수신모듈(34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매체로서 LED광과 레이저광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대비하여 베이스 유닛의 수신부는 LED광과 레이저광을 동시에 감지하도록 이중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tting module 130 of the mobile unit uses the LED light and the laser light simultaneously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module 340 of the base unit, the receiving unit of the base unit includes the LED light and the laser. Redundancy can be designed to detect light simultaneously.

3.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어방법의 실시예3. Embodiment of data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여러가지 데이터 보안 방법 및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각 장치간 주고받는 데이터의 보안 및 접근 제어를 위해, 여러 가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이나 다른 다양한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보안 및 접근 제어를 하는 방법들은 다른 분야에서 암호화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들과 유사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보안 및 접근 제어 방법들의 적용은 다루지 않고 몇 가지 특이한 방법들만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다른 일반적인 접근 제어 및 보안의 방법들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various data security methods and access control methods. Various encryption algorithms can be used for security and access control of data exchanged between devices. The methods of security and access control using public key cryptography or various other cryptography are similar to those of applying cryptography in other field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various existing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ethods will not be described, but only some specific methods will be described. However, other general access control and security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게될 접근 제어 및 보안의 방법들은 크게 4가지로 나누어진다. 단순 접근(Access Control 없음), 기본 제어(접근 코드 교환방식), 시간 도장을 찍은 해시코드(hash code) 이용, 매번 접근코드 생성의 네 가지 방법이 이에 해당한다. 이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 제어 및 보안의 목적을 달성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암호화한 데이터를 보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라면 누구에게나 자명한 사실이다.The access control and security methods to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There are four methods: simple access (no access control), basic control (access code exchange), time stamped hash code, and access code generation each time. In addition to this method, there are various ways to achieve the purpose of access control and security. For example, you can send encrypted data instead of sending simple data. Therefor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 제 3-1 실시예 ><3-1 Example>

본 실시예는 접근제어가 없는 단순 접근 제어 방법이다. 도 27 에 상기 방법의 개요가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아무런 접근 제어 없이, 모빌 유닛(100)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베이스 유닛(300)에게 아무 외부접속장치(200) 또는 접속모듈(110)(자신의 외부 접속장치/접속 모듈 혹은 타 외부접속장치/접속 모듈)로 정보를 보내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접근 제어 방법을 단순 접근 제어 방법이라고 한다.This embodiment is a simple access control method without access control. An overview of the method is described in FIG. 27. In this method, without any access control, anyone who has the mobile unit 100 to the base unit 300 any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or connection module 110 (own external connection device / connection module or other external Contact device / connection module). The access control method in this case is called a simple access control method.

이 경우 생각할 수 있는 문제는, 스팸(spam)성 메시지를 아무나 타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에게 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방법으로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에서 필터링(filtering)하는 방법이 있다. 필터링 방법에서 이용되는 값은 각 장치들의 ID - 모빌 유닛(100), 베이스 유닛(300)이 메시지를 전달할 때, 기본적으로 자신의 ID를 같이 전달하므로 - 들이 된다. 즉,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에서 메시지에 나타나 있는 Mobile Unit ID(Device ID, Alias), Base Unit ID (Device ID, Alias)를 보고 미리 정해진 규칙에 맞는 메시지에만 반응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규칙은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사용자(500)가 정하고 변경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 problem that can be considered is that a spam message can be sent to any other external access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o some extent, there is a method of filtering in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The values used in the filtering method are IDs of the respective devices-since the mobile unit 100 and the base unit 300 transmit their IDs by default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at is, the mobile unit ID (Device ID, Alias) and Base Unit ID (Device ID, Alias) shown in the message from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responds only to the message that meets a predetermined rule. The rule used here is determined by the user 500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and can be changed.

경우에 따라서는 모빌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300)으로 스팸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Mobile Unit ID를 이용해서 베이스 유닛(300)에서 필터링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같은 모빌 유닛(100)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지나치게 많은 메시지를 보내면 이에 반응하지 않는 방법이 하나의 가능한 해결방법이다.In some cases, the mobile unit 100 may send a spam message to the base unit 300. Even in this case, filtering is possible in the base unit 300 using the Mobile Unit ID. For example, one possible solution is to not respond if the same mobile unit 100 sends too many messages in a relatively short time.

< 제 3-2 실시예 ><3-2 Example>

본 실시예는 접근 코드 교환 방법이다. 이 방법은,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로 보내어진 아무 메시지에나 반응하지 않고,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접근 코드를 알고 있는 장치가 보낸 메시지에만 반응하도록 하는 접근 제어 방법이다. 이 방법의 개념은 도 28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9 는 이 방법의 흐름도이다.This embodiment is an access code exchange method. This method is an access control method that does not respond to any message sent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but only to a message sent by a device that knows the access code of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 The concept of this method is shown in FIG. 29 is a flow chart of this method.

접근 코드란 일종의 패스워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올바른 접근 코드(도 28 의 예에서는 A로 표시됨)와 같이 보내어지는 메시지에만 반응하고, 그렇지 않은 것이나 접근 코드가 없이 보내어지는 메시지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 대략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ccess code acts as a password, responding only to messages sent with the correct access code (indicated by A in the example of FIG. 28), not to messages sent without or without an access code. The general control method is as follows.

먼저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사용자(500)가 임의로 접근 코드(A)를 만들어서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내부에 저장해 두고(s410),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사용자(500)가 허가한 모빌 유닛(100)의 제어모듈에게만 이 접근 코드를 알려준다(s420). 그리고 접근 코드를 알고 있는 모빌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300)으로 정보를 요구할 때 이 접근 코드를 같이 보내어 준다(s430). 접근 코드를 받은 베이스 유닛(300)은 보낼 정보와 받은 접근 코드를 외부접속장치에 같이 보낸다(s440). 신호를 받은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은 접근 코드를 추출해서 자신의 접근 코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s450) 일치하는 경우에만 반응한다(s460)(s470).First, the user 500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arbitrarily generates an access code (A) and stores it inside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s41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This access code is notified only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mobile unit 100 authorized by the user 500 of the module (S420). When the mobile unit 100 that knows the access code requests information to the base unit 300,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the access code together (S430). The base unit 300 receiving the access code sends the information to be sent and the received access code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together (S440).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receiving the signal extracts the access code and checks whether it matches the access code (s450), and responds only when it matches (s460) (s470).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500)가 접근코드를 만들어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 내부에 저장해 둘 수 있는 환경, 모빌 유닛(100)이 접근코드를 받을 수 있는 환경, 모빌 유닛(100) 내부에 받은 접근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환경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외부접속장치(200)에서 타 모빌 유닛(100)으로의 접근 코드 전달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사람이 직접 옮겨 넣을 수도 있다.To this en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500 creates an access code and can be stored inside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obile unit 100 receives an access code, received in the mobile unit 100 An environment for storing access codes should be provided. Access code transfer from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to the other mobile unit 100 may be made by wire or wireless. Or you can move it yourself.

접속모듈(110)에서 자신의 모빌 유닛(100)으로 접근 코드(A)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회로수준(circuit level)에서 접근코드(A)가 전달 될 수 있다.When the access code A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module 110 to its mobile unit 100, the access code A may be transmitted at a circuit level.

접근 코드의 생성 방법은 사용자(500)가 임의로 만들 수도 있고, 장치 내부에서 무작위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 접근 코드는 사용자(500)가 원할 때 변경이 가능하다.The method of generating the access code may be randomly generated by the user 500 or randomly generated in the device. This access code can be changed as desired by the user 500.

< 제 3-3 실시예 ><3-3 Example>

본 실시예는 시간 도장을 찍은 해시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개념은 도 30 에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접근 코드 교환 방법을 사용할 때 접근코드가 중간에 노출될 수 있다. 모빌 유닛(100)에서 베이스 유닛(300)으로 보낼 때나, 베이스 유닛(300)에서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로 보낼 때, 접근코드를 그대로 보내기 때문에 전달과정에서 누군가에게 노출이 될 수 있다. 또한 악의적인 베이스 유닛(300)의 경우, 자신이 받은 접근 코드를 가지고 있다가 이를 이용해서 후에 메시지를 마음대로 보낼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접근 코드를 그대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접근 코드로부터 만들어진 해시코드를 보낸다.This embodiment uses a hash code with a time stamp. The concept of this method is shown in FIG. When using the access code exchange method described above, the access code may be exposed in the middle. When sending from the mobile unit 100 to the base unit 300, or when sending from the base unit 300 to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because the access code is sent as it may be exposed to someone in the delivery process. .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licious base unit 300, it may have an access code received by itself and later use it to send a message at will. To compensate for this, instead of sending the access code as it is, it sends a hash code generated from the access code.

즉,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접근 코드(A)를 사용자가 임의로 만들어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의 내부에 저장해 두고 이를 허용된 모빌 유닛(100)에게만 알려준다. 모빌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300)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접근 코드(A)와 그 시점의 시간(T)을 사용하여 해시코드(H)를 생성한다. 해시코드(H)를 만들 때 사용한 시간(T)과 만든 해시코드(H)를 메시지와 함께 베이스 유닛(300)으로 전달한다. 베이스 유닛(300)이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 모빌 유닛(100)으로부터 받은 해시코드(H)와 시간(T)을 같이 보낸다. 외부접속장치(200)는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받은 시간(T)을 보고 메시지를 받은 시간(CT)과의 차이가 허용시간(D)보다 크면 메시지에 반응을 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받은 시간(T)과 자신의 접근 코드(A)를 이용해서 해시코드(H2)를 만들고 이것이 받은 해시코드(H)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반응을 한다.That is, the access code (A)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is arbitrarily created by the user and stored inside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and informs only the mobile unit 100 that is allowed. When the mobile unit 100 sends a message to the base unit 300, it generates a hash code (H) using the access code (A) and the time (T) at that time. The time T used when creating the hash code H and the generated hash code H are transmitted to the base unit 300 together with the message. When the base unit 300 transmits a message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the base unit 300 sends the hash code H and the time T received from the mobile unit 100 together.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does not respond to the messag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CT received from the base unit 300 and the time CT received from the message is greater than the allowable time D. Otherwise, it uses the time T received and its access code A to generate a hash code H2 and reacts only if it matches the received hash code H.

위에서 허용시간(D)은 메시지 전달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해두어야 한다. 사용자가 그 값을 조절할 수도 있고, 기본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값은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로 전달되는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전달이 비교적 빨리 이루어지는 형태에 대해서는 작은 값을, 그렇지 않은 형태는 비교적 큰 값을 정한다.The allowable time (D) above should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essage delivery time. The user can adjust the value or use the default value. This valu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messag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For example, specify a small value for the form where the message is delivered relatively quickly, and a relatively large value for the form that does not.

여기에서 물론, 해시코드를 만드는 알고리즘은 모빌 유닛에서의 그것과 외부접속장치/접속모듈에서의 그 것이 일치해야 하고, 이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될 수 있는 해시코드 알고리즘으로는 SHA, MD5 등이 있다. 한가지 해시코드 알고리즘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의 해시코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외부접속장치/접속모듈은 자신이 사용하는 해시코드 알고리즘도 모빌 유닛에 전달해 주어야 하겠다.Here, of course, the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hash code must match that in the mobile unit and that in the external access point / connection module, and provide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this function. Hashcode algorithms that can be used include SHA and MD5. Only one hashcode algorithm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 plurality of hashcode algorithms may be applied. In this case, the external access device / connection module should also pass the hash code algorithm that it uses to the mobile unit.

외부 접속장치(200)/접속모듈에서 모빌 유닛(100)으로의 접근코드 전달 방법은 상기 접근제어 방법의 경우와 유사하다.The access code transfer method from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to the mobile unit 100 is similar to the case of the access control method.

모빌 유닛(100)에 접속모듈(110)이 부착되어 있는 일체형의 경우에는, 시간(T)을 같이 보내지 않고 자신이 발생한 시간(T)들을 기억하고 있다가 데이터가 들어오면 저장된 시간(T)을 이용해 해시코드를 비교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module 110 is attached to the mobile unit 100, the time T generated by itself is stored without sending the time T together, and when the data comes in, the stored time T is stored. You can also compare hashcodes.

< 제 3-4 실시예 ><3-4 Example>

본 실시예는 매번 접근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개념은 도 31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기술한 접근 코드 교환 방식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한 가지 방법으로 접근 코드를 매번 바꾸는 방법이 있다.This embodiment is a method for generating an access code every time. The concept of this method i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other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in the above-described access code exchange scheme.

즉, 하나의 접근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에서 매번 다른 접근코드를 생성해서 이를 모빌 유닛(100)에게 전달하고, 모빌 유닛(100)은 메시지를 베이스 유닛(300)에게 전달할 때 매번 다른 접근코드를 같이 보내는 것이다. 그런 후,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이 메시지를 받을 때, 사용된 접근 코드는 없애 버린다. 따라서, 도중에 접근코드가 노출되더라도, 그 접근코드는 한 번밖에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후에 같은 접근 코드로는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instead of generating one access code and using the same, instead of generating another access code each time in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the mobile unit 100 transmits it to the mobile unit 100, and the mobile unit 100 bases the message. When delivering to the unit 300 is to send a different access code every time. Then, when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receives the message, the access code used is discarded. Therefore, even if the access code is exposed in the middle, the access code is only valid once, so that access is not made to the same access code later. In more detail,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에서 접근 코드를 생성하고, 모빌 유닛(100)에게접근 코드를 전달한다. 모빌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300)으로 메시지 전달 시에 접근코드를 같이 전달한다. 베이스 유닛(300)이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로 메시지와 함께 받은 접근코드를 전달한다.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은 자신의 접근코드인지 확인하고, 확인결과 자신의 접근코드일 경우 반응한 후 이 때 사용한 접근 코드를 버린다. 확인결과 만약 자신의 접근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반응하지 않고, 자신의 접근코드를 유지한다.The access code is generated in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and the access cod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unit 100. The mobile unit 100 delivers the access code with the base unit 300 when the message is delivered. The base unit 300 delivers the access code received with the message to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access module. The external access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checks whether it is its access code, and if the access result is its own access code, reacts and discards the access code used at this time. If it is not confirmed, it does not respond if it is not its own access code and keeps its own access code.

접근코드는 모빌 유닛(100)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하나씩 생성하여 전해 줄 수도 있고(주로, 접속모듈(110)이 같이 있는 모빌 유닛(100)에서 자신의 접속모듈로 메시지를 보내기를 원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접근 코드를 생성해서 이를 요구가 있기 전에 한꺼번에 여러 개의 접근 코드를 알려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외부접속장치(200)인 경우도 가능하다. 모빌 유닛(100)에게 전달해 준 그러나 접속이 없어서 아직 버리지 않은 접근코드가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물론 외부접속장치(200)/접속모듈은 이를 다 기억하고 있다가 베이스 유닛(300)에서 접근 시도할 때, 하나씩 비교한 후 반응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도, 사용된 접근 코드는 버린다.The access code can be generated and delivered one by one whenever the mobile unit 100 requests (mainly, if you want to send a message from the mobile unit 100 with the connection module 110 to its connection module) ), You can generate multiple access codes and tell them multiple access codes at once before making a request. The latter case may also be the case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If there are several access codes that are delivered to the mobile unit 100 but have not been discarded since there is no connection, of course,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 200 / connection module remembers all of them and attempts to access from the base unit 300. When compared, one by one to determine whether the reaction. In this case too, the used access code is discarded.

위에서, 사용된 접근 코드를 한 번 사용한 후 버릴 수도 있지만, 미리 어떤 값을 정해두고 그 이상 사용된 경우에만 접근 코드를 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각 접근 코드마다 사용 가능 횟수를 따로 정할 수도 있다.Above, the used access code can be discarded after one use,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value in advance and discard the access code only if it is used more than that. You can also set the number of available times for each access code.

또한 접근코드의 생성은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난수발생기를 써서 무작위로 생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500)가 어떤 조건을 미리 정해두어 그 조건에 맞는접근코드를 기계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500)가 미리 여러 개의 접근 코드를 생성해서 장치 내부에 저장해 둘 수도 있고, 요구가 있을 때마다 사용자가 하나씩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the access code may be generated mechanically, for example, randomly using a random number generator, the user 500 may predetermine a condition and mechanically generate an access code that meets the condition. You can also create your own. The user 500 may generate several access codes in advance and store them in the device, or may generate one by one whenever a request is made.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take various forms and only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 본 발명의 주요 용어에 대한 정의 ><Definitions of main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중망(Public Network): 어느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소유하지 않고 불특정 다수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망을 총칭한다. 이에는 인터넷,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무선전화망, 양방향 페이저,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네트웍이 포함된다.(1) Public Network: A general term of voice or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not owned by any particular person or group and is used by an unspecified majority in common. This includes the Internet,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s),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wireless telephone networks, two-way pagers,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provided by service providers.

(2) 광매체(Light Medium): LED광과 레이저광을 포함하는 통신에 이용되는 광의 총칭. 광의 종류, 광의 파장, 통신 프로토콜, 속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른 송/수신 장치가 사용된다.(2) Light Medium: A general term for light used for communication including LED light and laser light. Different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are used depending on conditions such as light type, light wavelength, communication protocol, and speed.

(3) 근거리 RF 통신: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 사이의 송/수신모듈을 통한통신으로 근거리 랜덤접근 RF 통신, Bluetooth, HomeRF, 근접센서 방식을 포함한다.(3) Short-range RF communication: It includes short-range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Bluetooth, HomeRF, and proximity sensor method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unit and the base unit through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 근거리 광통신: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의 송/수신모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광매체를 통한 통신.(4) Short-range optic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rough optical media made between a mobile uni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a base unit.

(5) 근거리 랜덤접근 RF 통신(Local Random Access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RF를 이용한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 사이의 송/수신모듈을 통한 통신방식으로 하와이 대학에서 개발한 ALOHA 방식을 이용한다. 다만, 충돌감지 방식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베이스 유닛에 부착된 충돌감지모듈을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등의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5) Local Random Access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Local Random Access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t uses the ALOHA method developed by the University of Hawaii as a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ase unit using RF. However, the collision detection method uses a collision detection module attached to the base unit by the method propo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ome cases, a method such as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CSMA / CD) may be adopted.

(6) 근거리 통신: 모빌 유닛과 베이스 유닛 사이의 송/수신모듈을 통한 통신. 근거리 광 통신과 근거리 RF 통신을 포함한다.(6) Short-rang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rough a transmit / receive module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ase unit. It includes near field optical communication and near field RF communication.

(7)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인터넷을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의 총칭.(7) Data Network: A generic term for all network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cluding the Internet.

(8) 독립형 모빌 유닛: 접속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모빌 유닛.(8) Standalone mobile unit: A mobile unit that does not have a connection module.

(9) 메타 정보(Meta-Information): 정보에 대한 정보. 정보가 있는 위치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 등을 나타낸 정보를 뜻한다. URL, 전화번호, IPv6, mobile IP, UMS ID 등을 포함하며 이를 간접적인 방법으로 추출해 낼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9) Meta-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It refers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information or the path to obtain the information. This includes URLs, phone numbers, IPv6, mobile IP, UMS IDs, and any other information that can be extracted indirectly.

(10) 모빌유닛: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도록 설계된 장치로서 베이스 유닛과 통신이 가능한 장치. 통상 송신모듈, 수신모듈, 제어모듈, 접속모듈로 구성되나 수신모듈 또는 접속 모듈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10) Mobile unit: A device that is typically designed to be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base unit. Usually composed of sending module, receiving module, control module, and connecting module, but receiving module or connecting module can be omitted if necessary.

(11) 방향 지시자: 메시지의 출발점과 경유점, 도착점을 알려주는 추가적인 서술어.(11) Direction indicator: An additional descriptor that indicates the start, stop and destination points of the message.

(12) 베이스 유닛: 통상적으로 수신모듈, 송신모듈, 제어모듈, 서비스모듈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 서비스 모듈이나 송신모듈을 생략될 수도 있음. 일반적으로 표시장치와 연결되어 컨텐츠 관련 추가정보를 추출/저장하며, 모빌 유닛과 통신으로 이 컨텐츠 관련 추가정보를 제공함.(12) Base unit: Usually composed of a receiving module, a transmitting module, a control module, and a service module. In some cases, a service module or a transmitting module may be omitted. In general, it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o extract / stor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an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unit.

(13) 복합 무선 단말기: 단말기 자체가 CPU, 메모리, I/O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제어모듈이 단말기 내부에 구현된 일체형 모빌 유닛의 특수한 구현 형태.(13) Complex wireless terminal: A special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mobile unit in which the terminal itself has a CPU, memory, and I / O, and a control module is implemented inside the terminal using these.

(14) 사설망(Private Network):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이 소유하고 있는 통신망을 총칭.(14) Private Network: A generic term for communication networks owned by a specific person or group.

(15) 서비스 모듈: 공중망을 통해 모빌 유닛의 요청을 처리하는 베이스 유닛의 부분. 또한 베이스 유닛이 외부로부터 이 서비스 모듈을 통해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을 받을 수 있음.(15) Service module: part of a base unit that handles mobile unit requests over the public network. The base unit can also receive data or control commands from this service module from outside.

(16) 서술형 정보(Descriptive Information):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중 메타정보 이외의 정보를 총칭한다.(16) Descriptive Information: General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other than meta information.

(17) 시간도장(Time Stamp)을 찍은 해시코드: 시간정보를 함께 넣어 생성한 해시코드.(17) Hash code with time stamp: A hash code created with time information.

(18) 외부접속장치: 공중/사설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모든 장치의 총칭. 접속모듈을 가진 타 모빌 유닛도 포함된다.(18) external access devices: A generic term for all devices with the ability to access public or private networks. Other mobile units with connection modules are also included.

(19) 음성 네트워크(Voice Network): PSTN, VoIP를 포함한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네트워크.(19) Voice Network: A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voice including PSTN and VoIP.

(20) 일체형 모빌 유닛: 접속모듈을 가지고 있는 모빌 유닛.(20) Integrated mobile unit: A mobile unit having a connection module.

(21) 전파매체: 전파매체를 이용하여 근거리 랜덤접근 RF 통신, 블루투스, HomeRF, 근접센서 등의 근거리 RF 통신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라디오 주파수대를 뜻하나 밀리미터파, 마이크로파 등도 포함하는 주파수대의 전파를 총칭.(21) Radio wave medium: Near field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Bluetooth, HomeRF, proximity sensor, etc. are performed using radio wave medium. Generally refers to a radio frequency band, but is a general term for a radio wave including millimeter wave and microwave.

(22) 접속 모듈: 모빌 유닛에 결합되어 공중/사설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모듈.(22) Connection module: A module having a function of being connected to a mobile unit and connected to a public / private network.

(23) 충돌 감지 모듈: 실시예 제 2에서 설명한 베이스 유닛의 RF 송신모듈의 한 부분으로 근거리 랜덤접근 RF 통신시에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23) Collision detection module: A part of the RF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described in Embodiment 2, which detects whether information is properly transmitted during short-range random access RF communication.

(24)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 베이스 유닛이 모빌 유닛과 통신하면서 모빌 유닛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총칭하는 것으로 서술형 정보와 메타정보가 포함된다. 통상 표시장치의 컨텐츠에 추가하여 모빌 유닛이 받을 수 있는 정보를 준다. 또한 베이스 유닛은 원래 보유하고 있는 정보 외에도 서비스 모듈을 이용해 음성/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가져온 정보도 포함된다.(24) Additional Content-related Information: A generic term for information that a base unit provides to a mobile unit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unit, including descriptive information and meta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the display device, the information that the mobile unit can receive is give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riginally held, the base unit also contains information obtained by accessing the voice / data network using a service module.

(25) 컨텐츠: 표시장치를 통해 전달하는 정보.(25) Content: Information delivered via the display.

(26) 표시장치: 간판, 포스터, 전광판 등을 총칭.(26) Display: Collectively, signs, posters, billboards.

본 발명은 모빌 유닛 소지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표시장치와 연동된 베이스 유닛과의 통신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네트웍과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unit holder can obtain desired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voice or data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with a base unit interworking with a display device anytime, anywhere.

또 상기한 모빌 유닛은 접속모듈과 일체형으로 할 경우 다기능 모빌 유닛이 되어 사용이 훨씬 편리해진다. 특히 차세대 영상단말기인 IMT-2000이나 PDA 등과 결합할 경우 보다 손쉽게 다양한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게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unit is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module becomes a multi-function mobile unit is much more convenient to use. In particular, when combined with IMT-2000 or PDA, which is the next generation video terminal, it is easier to access various networks.

본 발명은 특히 광고, 홍보,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고, 특히 전자상거래와 결합시 매우 편리한 비즈니스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and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a very convenient business can be achieved when combined with e-commerce.

특히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분야의 기반기술로서 상거래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 of commerce as a base technology in the field of electronic commerce.

본 발명을 활용하면 홈 오토메이션이 보다 쉽게 구현될 수 있다.By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home automation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Claims (1)

정보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컨텐츠 관련 추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 유닛과 광을 통해 통신하는 모빌 유닛에 있어서,A mobile unit that communicates via light with a base unit that hold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needed to obtain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수신모듈에 광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광송신모듈;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ptical data to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of the base unit; 상기 베이스 유닛의 광송신모듈이 전송하는 광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광수신모듈; 및An optical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optical data transmitted by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of the base unit; And 상기 광송신모듈과 광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모빌 유닛.A mobile unit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KR1020000067247A 2000-11-13 2000-11-13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KR200200372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47A KR20020037210A (en) 2000-11-13 2000-11-13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47A KR20020037210A (en) 2000-11-13 2000-11-13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210A true KR20020037210A (en) 2002-05-18

Family

ID=1969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247A KR20020037210A (en) 2000-11-13 2000-11-13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21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475B1 (en) * 2006-01-25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ortable mulitmedia player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1294612B1 (en) * 2009-08-2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clips with exercising images and rustling sound on internet shopp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11A (en) * 1997-10-15 1999-05-06 윌리암 손 Internet acc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wireless network
KR20010007451A (en) * 1999-06-30 2001-01-26 포만 제프리 엘 Method of dir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ddressable targets using a generalized pointing device
KR20010020750A (en) * 1999-08-12 2001-03-15 성진영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a personal computer
KR20010076731A (en) * 2000-01-27 2001-08-16 김형일 System for internet object connection using orl(object reference lo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20015452A (en) * 2000-08-22 2002-02-28 서평원 E-mail Access Possible Key-Telephone And E-mail Report Method Using That Key-Tele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11A (en) * 1997-10-15 1999-05-06 윌리암 손 Internet acc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wireless network
KR20010007451A (en) * 1999-06-30 2001-01-26 포만 제프리 엘 Method of dir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ddressable targets using a generalized pointing device
KR20010020750A (en) * 1999-08-12 2001-03-15 성진영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a personal computer
KR20010076731A (en) * 2000-01-27 2001-08-16 김형일 System for internet object connection using orl(object reference lo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20015452A (en) * 2000-08-22 2002-02-28 서평원 E-mail Access Possible Key-Telephone And E-mail Report Method Using That Key-Tele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475B1 (en) * 2006-01-25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ortable mulitmedia player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1294612B1 (en) * 2009-08-2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clips with exercising images and rustling sound on internet shop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4181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US7249160B2 (en) Electronic mail processing system and mail server
US7956749B2 (en) Wireless association
US8881204B2 (en)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through a server
KR100377965B1 (en) Method of advertisement displaying on the screen of mobile phone
US6636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 remote position
KR20020069013A (en) System control through portable devices broadcasting inquiry messages with an additional data field
US20020116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electronic mail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KR20030014431A (en) Short messaging using information beacons
KR100731151B1 (en) Radio handset
EP1335623A3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security level, and communication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ed therefor
MXPA05003341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ata items for service requests.
KR1008007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history
CN101087227A (en) Wireless short distance friends making agency system
KR1003815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business card
EP1309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electronic services using infrared and a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US20080278286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US20030022677A1 (en) Transporting data
EP16798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received data using separate device
KR20020037210A (en) Apparatu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data or voice network
EP1315133B1 (en) Mobile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beamed way
KR1004087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electronic business card including a photograph
KR100700628B1 (en) Method for provid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of an object
RU2249303C2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reception
KR20040091287A (en) Method for transferring to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by coordinating message and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