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870A -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870A
KR20020036870A KR1020000066931A KR20000066931A KR20020036870A KR 20020036870 A KR20020036870 A KR 20020036870A KR 1020000066931 A KR1020000066931 A KR 1020000066931A KR 20000066931 A KR20000066931 A KR 20000066931A KR 20020036870 A KR20020036870 A KR 2002003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mf
message
terminal
numer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870A/ko
Publication of KR2002003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통화중에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정보를 상대방에게 메시지로 전송해 줄 수 있도록 한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를 이용해서 음성 통화를 하는 중에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를 상대방에게 알려줘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구두로 전화번호를 불러주게 되면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여러번 같은 번호를 반복해서 불러줘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로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사용자가 단말기 키패드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키에 대응하는 DTMF 데이터를 음성 통화중에도 상대방에게 전송해주고, 상대방의 수신 단말기에서는 통화중에 수신된 DTFM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해당 숫자정보를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중에도 숫자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통화중에 서로 알려줄 필요가 있는 전화번호나, 은행 계좌번호와 같은 숫자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또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NUMERIC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휴대전화) 정보전달 응용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전화의 통화중에도 상대방 휴대전화기로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정보(전화번호 등)를 전송해 주고 또 그 숫자정보를 받아 볼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전화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해서 입력한 전화번호 등의 숫자정보를 전화 통화중에도 상대방에게 문자로 전달하여 받아 볼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를 사용해서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상대방에게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를 알려줘야할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경우 음성(구두)으로 전화번호를 알려주게 되면 비슷한 발음의 숫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여러번 반복해서 같은 숫자(번호)를 불러줘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정확한 숫자정보의 전달을 위한 방법으로 SMS(단문 전송 서비스)를 이용해서 아예 숫자 메시지를 구성해서 별도로 송신하고, 또 이 것을 수신해 보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SMS기능을 탑재한 단말기의 경우에만 가능한 제약과 함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별도의 키조작 절차가 필요하고, 음성 통화중에는 사용할 수 없어서 전화를 끊고 난 후, 보내줄 숫자정보를 작성해서 전송해 주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중의 실시간 숫자정보 전달이 아니라는 점에서 볼 때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를 이용해서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상대방 수신 단말기에게 숫자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동시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를 이용해서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키패드를 이용해서 숫자정보를 입력하면, 그 숫자키에 대응하는 DTMF 메시지를 구성해서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고,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상기 DTMF 메시지를 수신하여 DTMF 데이터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음성통화중에도 시각적으로 숫자정보의 정확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도1은 공중파로 전송되는 DTMF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달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은, 음성통화 중에 숫자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발신측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해당하는 DTMF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수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DTMF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DTMF 메시지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하고자 하는 숫자정보의 마지막을 특정 문자키로 구분하여 일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화중 숫자정보의 전송이 해당 서비스(AIR-INFO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의 (a)는 실제로 공중파로 전송되는 DTMF 메시지의 필드(Field)와 각 필드의 길이(Length)를 보여준다.
알려진 바와같이,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방식의 개인 통신 시스템을 위한 개인국(단말기)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안(IS-95A)에 따르면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를 이용해서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도 단말기로 DTMF를 전송해 주는 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도1의 (a)는 이와같이 실제로 공중파로 전송되는 DTMF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변 메시지 형식을 따르고 있다.
여기서 특히 6번 필드의 NUM_DIGITS에 설정된 수치만큼의 DTMF 정보가 9번 필드의 DIGITi의 도1의 (b)와 같은 2진 데이터 형식에 의해 전송된다.
즉, 0부터 9까지의 숫자 각각에 대한 2진 코드를 정의하고 있으며, 또한 특수 문자키(*,#)에 대해서도 2진 코드를 각각 정의하고 있다.
이와같이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또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DTMF를 전송해 주는 기능의 활용이 종래에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표시되는 발신자 번호 표시(Caller ID Display)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 DTMF는 휴대 전화기의 키패드를 누름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통화중에 DTMF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면 사용자가 누르는 키패드의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가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1에 나타낸 DTMF 메시지 및 그 데이터 구성을 이용해서 음성 통화중에도 상대방에게 숫자정보를 시작적(문자)으로 정확하게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숫자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기지국(200)은 DTMF 실시간 전달 서비스를 담당하며, 휴대전화기(201)는 발신측, 다른 휴대전화기(202)는 수신측으로 각각 예시하고 있다.
발신측 휴대 전화기(201)는 키패드(203)와 디스플레이부(204), DTMF 발생부(205)와 DTMF 검출부(206)를 포함하며, 수신측 휴대 전화기(202)의 경우에도키패드(207)와 디스플레이부(208), DTMF 검출부(209) 및 DTMF 발생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DTMF 메시지는 DTMF 버스트 메시지(Send Burst DTMF Message)로 전송된다.
그리고, 기지국(200)은 본 발명에 따른 숫자정보 전달 서비스(AIR-INFO 서비스)를 받기 위한 단말기가 미리 등록된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숫자 정보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의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기존의 휴대 전화기에서와 동일하게 발신측 휴대 전화기(201)와 수신측 휴대 전화기(202)는 음성 통화중에 있다(단계 301).
이 상태에서 숫자정보의 전달을 위해서 발신측 휴대 전화기(201)의 사용자가 키패드(203)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숫자(키)를 입력한다(단계 302).
예를 들어 전화번호로 '019306892'라는 숫자를 전달하고자 한다면 해당 숫자키를 키패드(203)상에서 입력할 것이고, 이렇게 입력된 숫자정보는 디스플레이부(204)에 디스플레이 된다.
희망하는 숫자입력이 완료되면, 숫자정보의 전송을 위해서 미리 약속된 특정 키(예를 들어 키패드상의 *키)를 누른다. 그러면 DTMF 발생부(205)에서 상기 숫자(키)에 해당하는 DTMF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것을 DTMF 버스트 메시지로 기지국(200)에 전송해 준다(단계 304).
여기서, 전송하고자 하는 숫자정보가 특정 문자(*)를 누름으로써 전송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즉, 하나의 숫자를 입력하면 곧바로 DTMF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3자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 등의 다른 기능과의 혼동을 피하고, 또 여러개의 정보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Send Burst DTMF Message) 사용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므로, 송신하고자 하는 숫자정보의 마지막을 특정한 문자로 구분하여 정보를 일괄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305)에서 기지국(200)은 DTMF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전송한 단말기(201)가 이 서비스(AIR-INFO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기(휴대 전화기)인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신측 휴대 전화기(201)가 등록된 단말기이면 상대방 단말기 즉, 수신측 휴대 전화기(202)로 상기 DTMF 메시지를 전송해 준다(단계306).
그러면 상대방 휴대 전화기(202)에서는 DTMF 검출부(210)에서 도1의 (b)와 같은 DTMF 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코딩하고(단계 307), 디코딩된 데이터에 해당되는 각각의 숫자정보를 디스프레이부(208)에 표시해준다(단계 308).
이와같이 통화중에 발신측에서 DTMF 메시지로 전송한 숫자정보를 수신측에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음성 통화중에 전달할 필요가 있는 숫자정보, 예를 들면 전화번호 등을 구두로 알려주는 경우보다 문자로 정확하게 전달해 줄 수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중에 상대방에게 전달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전화번호나 은행 계좌번호 등의 숫자 정보를 DTMF 메시지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전달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통화중에 구두로 숫자정보를 알려주는 경우 정확한 전달과 확인을 위해서 여러번 같은 번호를 발음해서 알려주고 또 이 것을 상대방이 확인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정확하게 숫자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해 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음성통화 중에 숫자정보의 전달을 위하여 발신측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해당하는 DTMF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수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DTMF 메시지를 통화중에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DTMF 메시지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하고자 하는 숫자정보의 마지막을 특정 문자키로 구분하여 일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 숫자정보의 전송이 해당 서비스(AIR-INFO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KR1020000066931A 2000-11-11 2000-11-11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KR20020036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931A KR20020036870A (ko) 2000-11-11 2000-11-11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931A KR20020036870A (ko) 2000-11-11 2000-11-11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870A true KR20020036870A (ko) 2002-05-17

Family

ID=1969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931A KR20020036870A (ko) 2000-11-11 2000-11-11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8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96B1 (ko) * 2001-04-03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33700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797069B1 (ko) * 2005-11-22 2008-01-22 (주)티아이스퀘어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96B1 (ko) * 2001-04-03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33700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797069B1 (ko) * 2005-11-22 2008-01-22 (주)티아이스퀘어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4625B1 (en) Cordless telephone arrangement
KR100196442B1 (ko) 통신장치
US7274779B2 (en) Telephone to telephone data passing system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20020036870A (ko)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0411224B1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KR10039866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비밀 통화방법
JPH09266510A (ja) ページャへのメッセージ作成方式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227331B1 (ko) 휴대폰에서의 발신방법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KR100421958B1 (ko) 휴대폰의 사용자상태메시지 처리방법
KR100632524B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연결 방법
KR100974133B1 (ko) 키폰 시스템 내의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에스엠에스 메시지 전송 방법
JPH09205664A (ja) トーンダイヤラ及び電話機及び選択呼出受信機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200300565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회의 통화 방법
US20020054239A1 (en) Imag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0228695A (ja) 電話端末装置
WO20020135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all notification message prior to a call acceptance
KR20010018915A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00004655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호 방법
JPH01109863A (ja) 文字送受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