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869A -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869A
KR20020020869A KR1020010070878A KR20010070878A KR20020020869A KR 20020020869 A KR20020020869 A KR 20020020869A KR 1020010070878 A KR1020010070878 A KR 1020010070878A KR 20010070878 A KR20010070878 A KR 20010070878A KR 20020020869 A KR20020020869 A KR 2002002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ustry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승
Original Assignee
이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승 filed Critical 이한승
Priority to KR102001007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0869A/ko
Publication of KR2002002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함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가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검색을 하고자 할 때 '국가명, 시도명, 시군구명, 읍면동명, 아파트명 등'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와 중국집, 치킨집, 피자집, 학원, 설비집, 변호사, 컴퓨터 등과 같은 업종분류 검색어를 동시에 모두 입력할 필요없이 업종분류 또는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 1단어만을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인터넷 정보검색서비스 제공자가 광범위한 지역과 업종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서버에 저장하여 두고, 통합 검색페이지와 지역별, 업종별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나누어 생성하는 제 1단계; 통합 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별 업종별 분류 검색어 모두를, 지역별 검색페이지에서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만을, 업종별 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만을 입력하여 해당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제 2단계;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원하는 일반 사용자가 검색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원하는 정보에 대한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만 1단어로 입력하고 희망하는 지역분류 검색어와 업종분류 검색어 모두를 입력하여 검색한 것과 같은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제 3단계; 일반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 검색어와 함께 그에 대응하는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검색어가 자동적으로 입력되는 제 4단계; 광범위한 지역과 업종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서버에서 일반사용자가 원하는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와 그에 대응하는 업종분류 또는 지역분류 검색어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주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에 있다.

Description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a single word search service through automatically inserted classified words.}
본 발명은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함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가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 목록 등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국가명, 시도명, 시군구명, 읍면동명, 아파트명 등'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와 중국집, 치킨집, 피자집, 학원, 설비집, 변호사, 컴퓨터 등과 같은 업종분류 검색어중 하나를 동시에 모두 입력할 필요없이 일정 업종 또는 지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검색어 1단어만을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공유와 새롭고 다양한 정보생성의 용이성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모든 사람들이 정보제공자가 되면서 정보의 범람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고, 엄청난 정보량 때문에 이용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찾아가는 데 있어서 길을 잃고 헤매기 쉬우며, 그중 일부는 유용한 정보이지만 대부분이 특정 지역 또는 분야만의 정보만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에게는 쓸모없는 정보(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타 지역 또는 업종의 정보)인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가장 빠른 시간 안에 가장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검색하여 이용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최대의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검색사이트가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검색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은 기본 검색어로 검색하면 적게는 수십 가지, 많게는 수십만 가지나 되는 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를 찾되, 사용자가원하는 지역과 업종의 정보와는 관계없이 전혀 다른 지역 또는 업종의 정보를 정리하지 않은 채 그대로 쏟아내고 있어 도저히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아예 포기하거나 많은 시간을 매달려야 원하는 정보를 찾아낼 수 있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검색서비스업체에서 자연어로 찾는 검색서비스를 하거나 검색 연산자 등을 활용하여 여러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검색어를 입력하여 해당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국가명, 시도명, 시군구명, 읍면동명, 아파트명 등'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와 중국집, 치킨집, 피자집, 학원, 설비집, 변호사, 컴퓨터 등과 같은 업종분류 검색어중 하나를 동시에 모두 입력해야만 해당 지역 또는 업종에 관하여 정확한 정보를 출력해 주는 방식으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서비스는 일일이 지역 또는 분야별 분류 검색어를 동시에 모두 입력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지역 또는 업종별 정보를 입력, 수집하고 관리해 나갈 인력에게 수입원이 보장되지 않는 관계로, 소수의 인력으로 검색엔진에 의해 기계적으로 광범위한 지역 또는 분야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하는 대부분의 정보검색서비스 업체에서는 각각의 지역 또는 업종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수집, 입력 및 유지가 되지 않아 특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 목록 등의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타 지역 또는 업종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동문서답 형태의 검색서비스를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보검색 무료서비스를 통한 사용자확보와 배너 및 검색키워드별 광고비는 모든 정보검색 사이트들의 주 수입원인데, 이들은 전국과 전업종을 통합관리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하면서 정보가 없는 지역 또는 업종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엉뚱한 지역 또는 업종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경우가 많아 지역적인 상권내의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사업자들에게 상권외의 필요없는 사람들로부터 문의전화, 서비스가 불가능한 주문전화 등을 받느라고 상권내의 고객의 상담 및 주문전화까지 못받게 되며, 검색키워드당 매월 10만원대 이상의 광고비를 받고 있어 광고주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광고효과가 미미하거나 역효과를 나타내어 예비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권내의 고객을 놓치게 하는 결과를 낳는 경우도 있어 일부 지역적에만 국한된 상권내에서 영업중인 사업자들은 무료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홈페이지 제작과 등록을 꺼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생활권과 사업자들의 서비스 가능권에 맞춘 지역과 업종 분류를 하고 각각의 지역과 업종을 전문적으로 하는 별도의 검색페이지를 만들되, 각각의 지역 및 업종별 검색페이지에서는 각각의 지역 및 업종을 구분할 수 있는 분류 검색어가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일정 지역 또는 업종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번거롭게 분류 검색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기본 검색어만 입력하고 검색을 실행하면 곧바로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업종에 대한 분류 검색어와 기본 검색어 양쪽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검색결과를 출력해 줄 수 있고, 지역별 업종별로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만들어 수익권을 부여하여 해당 지역 및 업종에 대한 정보 수집, 입력 및 수정관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지역 또는 업종의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정보에 대한 검색어를 1단어로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기만 하면 그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만을 출력해 주는 동문동답 형태의 검색서비스를 할 수 있는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검색페이지와 지역 또는 업종별 검색페이지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입력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합 검색서비스 페이지 110 : 지역별 검색서비스 페이지
120 : 업종별 검색서비스 페이지 130 : 신림1동 검색페이지
140 : 신림2동 검색페이지 150 : 신림3동 검색페이지
160 : 아파트 검색페이지 170 : 피자 검색페이지
180 : 치킨 검색페이지
200 : 통합 검색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상태를 표시한 상태의 검색창
210 : 지역 검색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상태를 표시한 상태의 검색창
220 : 분야 검색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상태를 표시한 상태의 검색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인터넷 정보검색서비스 제공자가 광범위한 지역과 업종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서버에 저장하여 두고, 통합 검색페이지와 지역별, 업종별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나누어 생성하는 제 1단계; 통합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별 업종별 분류 검색어 모두를, 지역별 검색페이지에서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만을, 업종별 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만을 입력하여 해당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제 2단계;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원하는 일반 사용자가 검색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원하는 정보에 대한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만 1단어로 입력하고 희망하는 지역분류 검색어와 업종분류 검색어 모두를 입력하여 검색한 것과 같은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제 3단계; 일반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 검색어와 함께 그에 대응하는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검색어가 자동적으로 입력되는 제 4단계; 광범위한 지역과 업종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서버에서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와 그에 대응하는 업종분류 또는 지역분류 검색어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정보를출력하여 주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합 검색페이지(100)와 지역 검색페이지(110), 업종 검색페이지(120)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도이다.
상기 통합 검색페이지(100)는 전국적이고 전 업종을 망라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1단어 또는 검색어와 연산자를 적용하여 여러 개의 단어를 조합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통합 검색페이지로 일반적인 검색서비스 사이트에서의 검색페이지와 유사하다.
따라서 통합검색 페이지(100)에서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도 2의 예시(200)와 같이 '서울 신정2동 치킨집'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와 업종분류 검색어를, '치킨집 서울 신정2동' 등과 같은 업종분류 검색어와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를 동시에 입력하여 주어야만 제대로 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치킨집'을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게 되면 수 만여 개에 달하는 '전국의 모든 치킨집 목록'이 출력되거나 '치킨집 목록을 나열하여 둔 홈페이지 목록'이 출력되어 일반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을 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며, 전국에 있는 동일 지명의 '신정2동'이 서울에 있는 것인지 울산에 있는 것인지를 구분하지 않고 '신정2동 치킨집'만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 동일 지명(신정2동)을 갖고 있는 모든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치킨집 목록이 출력되게 되어 '국가명, 시도명, 시군구명 등'과 같은 상위지역분류 검색어까지 입력하여야 원하는 검색결과를 1번에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분류 검색어가 늘어나 불편하다.
상기 지역 검색페이지(110)의 검색창(210)은 전국의 각 지역별로 별도의 하위주소(경로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도메인 또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상공간의 주소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든 주소)를 만들어 각각의 주소에서는 그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분류 검색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사용자는 '치킨집'과 같은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 1단어만 입력하는 상태로 검색을 요청하면 자동적으로 '서울 양천구 신정2동'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가 입력되어 '서울 양천구 신정2동 치킨집'인 상태로 통합서버에 검색명령어가 전달되도록 프로그램화 된된 검색페이지 검색창이다.
따라서, '서울 양천구 신정2동에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번거롭게 입력해야만 했던 '서울 양천구 신정2동'을 입력하지 않고 '치킨집'만 입력하고도 '서울 양천구 신정2동 치킨집'에 대한 검색결과를 출력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신정2동 검색페이지에서는 중국집, 피자집, 학원, 체육관, 자장면, 탕수육, 갈비 등 신정2동 주민들에게 필요한 모든 업종 또는 상품별 기본 검색어를 1단어로 입력하여 그 결과를 출력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업종 검색페이지(120) 검색창(220)은 업종별로 별도의 하위주소(경로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도메인 또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상공간의 주소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든 주소)를 만들어 각각의 주소에서는 그 업종을 나타내는 업종분류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프로그램화하여 검색창에 '신림2동'과 같이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만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 '신림2동'과 함께 자동적으로 '치킨집'이 입력된 상태, 즉 '치킨집 서울 관악구 신림2동'인 상태로 통합 서버에 검색명령어가 전달되도록 프로그램화된 검색페이지 검색창이다.
따라서, '치킨집'중에서 서울 관악구 신림2동에 서비스가 가능한 치킨집을 검색하기 위한 일반 사용자가 번거롭게 입력해야만 했던 '치킨집'을 입력하지 않고 '신림2동'과 같은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를 1단어로 입력하고도 '서울 관악구 신림2동 치킨집'에 대한 검색결과를 출력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서브 검색페이지(110,120)를 지역 검색페이지(110)와 업종 검색페이지(120)로 나누는 이유는, 일반 사용자의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서 먼저 지역을 구분한 다음 업종이나 상품을 찾아 그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종 또는 상품 목록을 찾거나 먼저 업종이나 상품을 구분한 다음 지역을 찾아 그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종 또는 상품을 찾는 형태와 같이 2가지의 형태가 혼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전자의 형태는 그 지역에 거주하거나 위치하고 있어서 그 지역에서 서비스를 받고자 서비스가 가능한 업종 또는 상품을 검색할 때에 편리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특정한 업종 또는 상품에 대하여 각 지역별로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 현황 및 통계자료 등을 검색할 때 편리하다.
따라서 두가지 형태의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두어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통합 검색페이지(100)와 서브 검색페이지(110,120) 모두에는 언제든지 원클릭으로 1번에 통합 검색페이지(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각각의 서브 검색페이지(110,120)로 최단코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가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입력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통합 검색페이지(100) 검색창(200)에서 '서울 양천구 신정2동'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와 '치킨집'과 같은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가 동시에 입력되어 지역분류 검색어와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 두가지 모두를 만족하는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검색페이지에서의 검색어 입력예시를 나타낸다.
(b)는 지역 검색페이지(110) 검색창(210)에서 '치킨집'과 같이 업종 또는 상품을 구분해 주는 기본 검색어 1단어만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 자동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구분해 주는 국가명, 시도명, 시군구명, 읍면동명, 아파트단지명 등과 같은 지역분류 검색어가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와 함께 자동적으로 입력되어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와 지역분류 검색어 모두의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역 검색페이지에서의 기본 검색어 입력 예시를 나타낸다.
(c)는 업종 검색페이지(120) 검색창(220)에서 '신림2동'과 같이 지역을 구분해 주는 기본 검색어 1단어만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 자동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을 구분해 주는 치킨집, 중국집, 피자집 등과 같은 업종분류 검색어가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와 함께 입력되어 업종분류 검색어와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모두의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업종 검색페이지에서의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 입력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터넷 정보검색서비스 제공자가 통합검색페이지와 서브 검색페이지로 나누어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생성(S300)하고 통합서버에 데이터를 저장(S310)하여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면 일반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S320)해서 어느 방식으로 검색을 할 것인지 판단(S330)한 다음 검색을 실시(S340∼S390)할 수 있게 된다.
일반사용자들은 생활하면서 주로 자기가 살고 있거나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나 관심있는 업종에 대한 정보를 찾게 되고, 그 지역 또는 업종의 검색페이지를 웹부라우저 자체 기능 또는 검색서비스 제공회사의 별도 프로그램 등에 의하여 홈기능 또는 즐겨찾기로 설정하여 두고 사용하게 되므로, 1번 이용해 본 사람은 1단어로 검색을 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업종별 서브 검색페이지로 이동(S340)하는 과정은 생략되어 검색절차가 간단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범위한 지역 또는 분야와 일정지역 또는 분야의 검색페이지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면서 일정한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1단어의 기본 검색어만 입력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검색서비스 방법을 통하여 광고주 입장에서는 상권으로 하는지역만 선택하여 광고를 할 수 있게 되면서도 비용은 기존 검색서비스업체에서의 가격에 비하여 100분의 1 정도밖에 안되는 비용으로 효과적인 광고를 집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지역별로 업종별로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두고 각각의 검색페이지별로 1명씩 총 수천명∼수십만 명의 관리자를 따로 두어 해당 지역 또는 업종에 대한 정보의 수집, 입력, 수정관리를 맡길 수 있게 됨으로써, 수십∼수백 명이 프로그램으로 기계적인 검색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검색정보의 충실도를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동문동답 형태의 검색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인터넷 정보검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정보검색서비스 제공자가 광범위한 지역과 업종에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서버에 저장하여 두고, 통합 검색페이지와 지역별, 업종별 검색페이지를 별도로 나누어 생성하는 제 1단계;
    통합 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별, 업종별 분류 검색어 모두를, 지역별 검색 페이지에서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만을, 업종별 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만을 입력하여 해당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제 2단계;
    일정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목록 등의 정보를 원하는 일반 사용자가 검색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원하는 정보에 대한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만 1단어로 입력하고 희망하는 지역분류 검색어와 업종분류 검색어 모두를 입력하여 검색한 것과 같은 내용의 정보 출력을 요청하는 제 3단계;
    일반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 검색어와 함께 그에 대응하는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검색어가 자동적으로 입력되는 제 4단계;
    광범위한 지역과 업종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서버에서 일반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분류 또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와 그에 대응하는 업종분류 또는 지역분류 검색어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주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지역 또는 업종별로 메인 도메인의 경로 또는 가상공간 등 을 이용한 각각의 주소를 별도로 만들어, 각각의 검색페이지에서는 해당 지역 또는 분야에 대한 분류 검색어가 자동으로 입력되게 프로그램화하고, 지역 검색페이지에서는 업종분류 기본 검색어 1단어만을, 업종 검색페이지에서는 지역분류 기본 검색어 1단어만을 입력하더라도 지역분류 검색어와 업종분류 검색어 모두의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될 수 있게 하는 검색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지역 검색페이지 또는 분야별 검색페이지에서의 배너 광고수익권과 검색키워드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우선순위 조정 등에 의한 광고수익권을 갖고 해당 지역 또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입력하고 최신 정보로 수정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를 두어, 일반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동문동답 검색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서비스 방법.
KR1020010070878A 2001-11-14 2001-11-14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KR20020020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878A KR20020020869A (ko) 2001-11-14 2001-11-14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878A KR20020020869A (ko) 2001-11-14 2001-11-14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869A true KR20020020869A (ko) 2002-03-16

Family

ID=1971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878A KR20020020869A (ko) 2001-11-14 2001-11-14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08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540A1 (en) * 2003-04-03 2004-10-14 Nh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based on local information
WO2009070501A1 (en) * 2007-11-26 2009-06-04 Urban Mapping, Inc. Generating geographical keywords for geotargeting search engine-offered advertiseme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540A1 (en) * 2003-04-03 2004-10-14 Nh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based on local information
US7650329B2 (en) 2003-04-03 2010-01-19 Nh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based on local information
WO2009070501A1 (en) * 2007-11-26 2009-06-04 Urban Mapping, Inc. Generating geographical keywords for geotargeting search engine-offered advertisements
US8825683B2 (en) 2007-11-26 2014-09-02 Urban Mapping, Inc. Generating geographical keywords for geotargeting search engine-offered advertisements
US9384291B2 (en) 2007-11-26 2016-07-05 Urban Mapping, Inc. Generating geographical keywords for geotargeting search engine-offered advertis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019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637969B1 (ja) ウェブページの主意,およびユーザの嗜好を適切に把握して,最善の情報をリアルタイムに推奨する方法
US200901192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awling, mapping and extrac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business using heuristic and semantic analysis
US7499965B1 (en) Software agent for locating and analyzing virtual communities on the world wide web
US20100306249A1 (en) Social network systems and methods
US20140279056A1 (en) Intelligent platform for real-time bidding
US200100496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efficient employment recruiting
US20020038299A1 (en) Interfa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US20090240589A1 (en) Structured web advertising
US20060235745A1 (en) Trend-creation-type advertising system, trend-creation-type advertis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JP2008507041A (ja) 検索結果内におけるプレーストコンテンツの順序付けのパーソナライズ
US20080222133A1 (en) System that automatically identifies key words & key texts from a source document, such as a job description, and apply both (key words & text) as context in the automatic matching with another document, such as a resume, to produce a numerically scored result.
US20090222440A1 (en) Search engine for carrying out a location-dependent search
US87993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map
US20090037235A1 (en) System that automatically identifies a Candidate for hiring by using a composite score comprised of a Spec Score generated by a Candidates answers to questions and an Industry Score based on a database of key words & key texts compiled from source documents, such as job descriptions
KR100616152B1 (ko) 인터넷상에서 기사를 자동분류하여 타 웹사이트에 자동송출하는 제어방법
KR20020028044A (ko) 데이터베이스 링크 키워드 포털서비스 방법
Grüblbauer et al. Social media monitoring tools as instruments of strategic issues management
KR102583204B1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0869A (ko) 분류 검색어의 자동삽입을 통한 1단어 검색서비스 방법
KR101020895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66225B1 (ko)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
KR100909561B1 (ko)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
Gryn Internet resources for demographers
KR102434880B1 (ko)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