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824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824A
KR20020019824A KR1020000053176A KR20000053176A KR20020019824A KR 20020019824 A KR20020019824 A KR 20020019824A KR 1020000053176 A KR1020000053176 A KR 1020000053176A KR 20000053176 A KR20000053176 A KR 20000053176A KR 20020019824 A KR20020019824 A KR 2002001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service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석
Original Assignee
이성우
주식회사 디비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주식회사 디비탱크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00005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824A/ko
Publication of KR2002001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에게 발매 가능한 티켓의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티켓 정보 저장수단과,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티켓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해당 티켓을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티켓 발매수단과,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데이터 가공 및 교환수단과,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 받아 표시창에 표시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므로, 티켓 구매 및 사용를 위한 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되며 별도의 티켓을 발행 받거나 휴대할 필요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만을 휴대하여도 편리하게 티켓을 구매하거나 검표를 받을 수 있는 등 높은 편리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TICKE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켓을 실물로 발매 및 수령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그래픽 등의 전산 데이터 형태로 전송 및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차권, 입장권, 상품권 등의 티켓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티켓의 판매처를 방문하여 직접 구입하거나 전화 등을 이용하여 예약한 후에 판매처를 방문하여 결제 및 티켓을 수령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티켓팅 시스템은 구매자가 판매처를 직접 방문하거나 티켓을 구매하기 위하여 장시간 기다려야 하며 티켓을 소지하고도 검표시 장시간 기다려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근래에는 인터넷의 생활화에 따라 티켓을 인터넷상에서 신용카드나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구매한 후에 해당 티켓을 다운로드 받아 프린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티켓팅 시스템 또한 컴퓨터와 프린터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티켓의 구매가 가능하며, 출력되어진 티켓의 보안이 검증되지 않아 복제의 위험이 매우 놓으며, 이동 중에 티켓팅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트북 컴퓨터 및 프린터를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실제로는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티켓을 실물로 발매 및 수령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그래픽 등의 전산 데이터 형태로 전송 및 수신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티켓 발매수단에 접속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발매 가능한 티켓의 관련 정보를 제공한 후에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해당 티켓을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은, 각종 티켓을 전산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티켓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에게 발매 가능한 상기 티켓의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티켓 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티켓 관련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해당 티켓을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티켓 발매수단과, 상기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수단과,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 받아 표시창에 표시 가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은, 각종 티켓을 전산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티켓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티켓 발매수단에 접속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티켓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발매 가능한 티켓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해당 티켓을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를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티켓팅 서비스 방법에서 발행된 티켓을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티켓팅 서비스 방법에서 과금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개인용 컴퓨터 121 : 이동통신 단말기
122 : 기지국 123 : 이동통신 교환국
130 : 데이터 통신망 143 : 서비스 서버
144 : 응용 프로그램 145 : 제휴업체 DB
146 : 이용자 DB 160 : 인증기
161 : 티켓 코드 리더 162 : 터치 스크린
163 : 마이크로 프로세서 164 : 스피커
165 : 프린터 166 : 통신 모듈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증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브라우저가 내장된 개인용 컴퓨터(110),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121), 기지국(122), 이동통신 교환업무 및 무선 데이터 통신 업무를 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국(123), 유·무선 인터넷 등이 연동되는 데이터 통신망(130),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141), 보안을 위한 방화벽(142), 티켓팅 서비스를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 운용을 관장하는 서비스 서버(143), 티켓을 그래픽 등의 전산 데이터로 가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144), 철도청(151)과 항공사(152) 및 백화점(153) 등 각종 티켓의 발행 주체인 제휴업체와 카드사(154) 및 금융기관(155) 정보 및 서비스 이용자에게 발매 가능한 티켓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제휴업체 DB(145),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자 DB(146), 이동통신 교환국(123)과 전용회선을 통하여 과금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과금 게이트웨이(147),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티켓의 전산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용자 DB에 저장된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티켓을 검표하는 인증기(160)로 구성된다.
개인용 컴퓨터(110)와 이동통신 단말기(121)는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서버(143)에 접속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특히 티켓팅 서비스 이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21)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43)로부터 가동된 티켓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제휴업체 DB(145)는 티켓 정보 저장수단으로서, 서비스 이용자에게 발매 가능한 티켓의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이용자 DB(146)는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으로서,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된다.
서비스 서버(143)는 티켓 발매수단으로서, 제휴업체 DB(145)에 저장된 티켓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144)을 구동시켜 해당 티켓을 그래픽 등의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한다. 바람직한 예로 데이터의 형태는 선으로 표현되는 1차원 바코드 또는 점으로 표현되는 2차원 바코드 또는 특수한 형태의 코드를 생성하여 이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3)은 이동통신 교환수단으로서, 서비스 서버(143)에서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21)로 전송한다.
인증기(160)는 티켓 인증수단으로서, 티켓 코드 리더(161), 터치 스크린(162), 마이크로 프로세서(163), 스피커(164), 프린터(165), 통신 모듈(166)로 이루어지며,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표시창에 표시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판독하여 이용자 DB(146)에 저장된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티켓을 검표 및 인증 또는 실물 티켓을 발행한다.
티켓 코드 리더(161)는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표시창에 표시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레이저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인식한다.
터치 스크린(162)은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게 되는 전산데이터의 오류시 이때 함께 전송 받는 문자 또는 숫자형태의 특수 값을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입력하게 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서비스 이용자의 2차 인증을 위한 보안값을 직접 입력하게 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63)에 서비스 서버(143)에서 요구하는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겸 마이크로 프로세서(163)의 티켓 검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으로 채택된다. 상기 출력수단으로는 상기 티켓 검표 결과를 음성 또는 문서로 출력하기 위하여 스피커(164)와 프린터(165)가 채택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63)는 티켓 코드 리더(161) 또는 터치 스크린(162)으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정보를 통신 모듈(166)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43)로 전송하여 해당 티켓의 검표를 요청하며, 서비스 서버(143)로부터 전달된 검표 결과를 터치 스크린(162)을 통한 시각적 인지와 스피커(164)를 통한 음성 및 프린터(165)를 통한 지면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인증기(160)는 통신 모듈(166)과 서비스 서버(143)와의 통신 방식에 따라 고정형 또는 휴대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 이용자는 개인용 컴퓨터(11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21)를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43)에 접속한다(S301).
서비스 서버(143)는 서비스 이용자, 즉 개인용 컴퓨터(11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21)에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하여 티켓팅 서비스의 이용 요청이 가능하도록 티켓 구매 메뉴가 포함된 초기 화면을 제공한다(S302).
그러면,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서버(143)에 의하여 제공된 초기 화면에서 티켓 구매 메뉴를 선택하여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며, 이를 전달받은 서비스 서버(143)는 제휴업체 DB(145)에 저장된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제휴업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다시 제공한다(S303∼S304).
이후, 서비스 이용자가 제휴업체 선택 화면을 통하여 자신이 요망하는 제휴업체를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43)는 제휴업체 DB(145)에 저장된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업체의 티켓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한다(S305∼S306).
해당 업체의 티켓 정보를 제공받은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이 구매 요망하는 티켓의 정보를 입력하며, 서비스 서버(143)는 제휴업체 DB(145)에 저장된 티켓 관련 정보를 다시 읽어와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티켓 정보와 비교·대조하여 해당 티켓의 발행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307∼S308).
티켓의 발행 가능 여부를 확인한 결과가 발행 가능으로 판정되면 서비스 이용자에게 화면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통신 사용요금에 추가 또는 신용카드나 전자화폐와 같은 이용 대금의 결제를 위한 정보와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 받을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고유 정보를 요청하며(S310), 티켓의 발행 불가로 판정되면 역시 화면상으로 티켓을 발행할 수 없다고 알리는 발행 불가 통보를 수행한다(S309).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이용 대금 결제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21) 고유 정보의 입력 작업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143)는 입력된 대금 결제 정보를 신용 조회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판정하는데, 이러한 신용 조회는 해당 제휴업체, 즉 철도청(151), 항공사(152), 백화점(153) 등에 각기 개별 요청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통합 조회기관이 이용될 수도 있다(S311∼S312).
서비스 서버(143)는 신용 조회 결과가 거래 승인으로 판정되면 응용 프로그램(144)을 구동시켜 해당 티켓을 그래픽 등의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데, 바코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티켓을 선으로 표현되는 1차원 바코드 또는 점으로 표현되는 2차원 바코드로 변환시키며, 서비스 제공자의 자체 코드생성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티켓을 선과 점을 조합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자의 별도 코드로 변환시킨다.
그러나, 신용 조회 결과 어떠한 이유로든지 거래가 승인되지 않으면 단계 S310을 재수행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이용 대금 결제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21) 고유 정보의 입력 작업을 재요청하며, 이러한 불승인이 소정 회수 이상 발생되면 오류 표시를 위한 오류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21)로 전송한 후 더 이상 티켓팅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S314∼S315).
한편, 서비스 서버(143)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를 이용자 DB(146)에 저장하며, 서비스 이용자가 단계 S310에서 입력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21)로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한다(S313).
그러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21)를 휴대한 서비스 이용자는 전송 받은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티켓을 사용하거나 사전 인증을 받고자 하면 인증기(160)가 설치된 장소에서 표시창에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띄운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43)는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하지 않고 비밀번호 등의 형태를 갖는 인증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2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서비스 이용자는 해당 티켓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서비스 서버(143)에 재접속하여야 하며, 전송 받은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통과한 후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다운로드 받는다.
검표를 위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표시창 부분을 인증기(160)의 티켓 코드 리더(161)에 가까이 하면 티켓 코드 리더(161)는 레이저 광원등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티켓 코드를 인식하며(S401), 마이크로 프로세서(163)는 인식된 코드 정보를 통신 모듈(166)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43)로 전송하여 검표를 요청한다(S402).
서비스 서버(143)는 전달된 티켓 코드 정보와 이용자 DB(146)에 저장된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티켓을 검표하며, 검표 결과를 인증기(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43)는 해당 티켓의 검표 중 기 설정된 소정 회수 이상 오류가 판단되면 오류 표시를 위한 신호를 인증기(160)로 전달하며, 소정 회수 이내에 정상적인 검표가 이루어지면 정상 검표 표시를 위한 신호를 인증기(160)로 전달한다(S404∼S406).
상기에서는 인증 절차가 인증기(160)와 서비스 서버(143)에 의하여 수행되는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용자 DB(146)의 해당 블록을 해당 제휴업체(철도청, 항공사, 백화점 등)와 공유하는 경우라면 서비스 서버(143)의 역할을 각 제휴업체의 서버에서 수행하여 모든 인증 절차가 인증기(160)와 제휴업체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티켓 발매에 따르는 과금 처리는 이용자 DB(146)에 저장된 서비스 이용 정보에 의거하는 과금 정보에 따라 이용요금이 산출된다.
아울러, 서비스 이용 및 티켓 요금은 서비스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전화 이용요금과 함께 청구되기도 한다. 물론 기존의 상거래에서 대금 결제 방식으로 주로 이용되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와 무통장 입금 방식 또한 본 발명의 과금 처리 과정에 적용되나,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금 처리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서비스 서버(143)는 제휴 업체(151,152,153) 중에서 발매된 티켓의 발행 주체인 제휴 업체에게 발행 티켓에 대한 과금 정보를 요청한다(S501∼S502).
제휴 업체로부터 과금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43)는 이용자 DB(146)에 과금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과금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21)의 가입자 관련 정보를 취합한 후 전용회선 및 과금 게이트웨이(147)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1)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 전달한다(S503∼S505).
그러면,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과금 정보에 의거하는 티켓 요금과 가입자의 전화 이용요금을 통합 청구서로 발행하여 해당 주소지로 발송한다(S506).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티켓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 티켓의 판매처를 방문할 필요 없이 온라인으로 티켓 발행 및 수령까지의 모든 절차가 수행되며, 휴대성이 매우 높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결국 실체적인 티켓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티켓 구매를 위한 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되며 별도의 티켓을 휴대할 필요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만을 휴대하여도 검표를 받을 수 있는 등 높은 편리성이 제공된다.
아울러, 티켓 요금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이용요금 또는 신용카드 이용대금과 함께 통합 청구되는 편리성이 제공된다.

Claims (13)

  1. 각종 티켓을 전산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티켓팅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에게 발매 가능한 상기 티켓의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티켓 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가 저장되는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티켓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해당 티켓을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티켓 발매수단과,
    상기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수단과,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 받아 표시창에 표시 가능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티켓의 전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티켓을 검표하는 티켓 인증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인증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레이저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티켓 코드 리더와,
    상기 티켓 코드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정보를 상기 티켓 발매수단으로 전송하여 해당 티켓의 검표를 요청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상기 검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스피커 및 프린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에 표시된 티켓은 선으로 표현되는 1차원 바코드 또는 점으로 표현되는 2차원 바코드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자체 생성하는 특수한 형태의 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6. 각종 티켓을 전산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티켓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티켓 발매수단에 접속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티켓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발매 가능한 티켓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 발매 요청에 따라 해당 티켓을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를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판독하여 상기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티켓을 검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검표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티켓의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와 상기 이용자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티켓팅 서비스 이용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 정보와 서비스 이용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해당 티켓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에 의거하는 과금 정보에 따라 이용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이용요금 또는 서비스 이용자의 신용카드 이용대금과 함께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 단계는 상기 발매된 티켓의 발행 주체인 제휴 업체로부터 과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과금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상기 과금 정보에 의거하는 티켓 구매대금과 전화 이용요금을 통합 청구서로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11. 제 6 항과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티켓 데이터 가공단계는 상기 해당 티켓을 선으로 표현되는 1차원 바코드와 점으로 표현되는 2차원 바코드 및 서비스 제공자가 자체 생성하는 코드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12. 제 6 항과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상기 티켓팅 서비스의 이용 요청이 가능한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화면을 통한 상기 서비스 이용 요청에 따라 상기 티켓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제휴업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휴업체 선택 화면을 통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임의 제휴업체 선택에 따라 상기 티켓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티켓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업체의 티켓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13. 제 6 항과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티켓 데이터 가공단계는 상기 티켓 발매 요청에 포함된 구매 요망하는 티켓의 정보와 상기 티켓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티켓 관련 정보와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티켓의 발행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행 가능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이용자에게 이용 대금 결제를 위한 정보와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의 티켓을 전송 받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입력된 대금 결제 정보를 신용 조회하여 거래 승인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승인 판정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티켓을 상기 전산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KR1020000053176A 2000-09-07 2000-09-0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19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76A KR20020019824A (ko) 2000-09-07 2000-09-0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76A KR20020019824A (ko) 2000-09-07 2000-09-0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24A true KR20020019824A (ko) 2002-03-13

Family

ID=1968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176A KR20020019824A (ko) 2000-09-07 2000-09-0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8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12A (ko) * 2000-10-04 2001-01-05 진교영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방법과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1893A (ko) * 2001-04-20 2002-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티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647B1 (ko) * 2006-08-24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고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867644B1 (ko) * 2007-02-22 2008-1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승차권 예약 시스템
KR102496996B1 (ko) * 2022-10-05 2023-02-07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12A (ko) * 2000-10-04 2001-01-05 진교영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방법과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1893A (ko) * 2001-04-20 2002-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티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647B1 (ko) * 2006-08-24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고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867644B1 (ko) * 2007-02-22 2008-1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승차권 예약 시스템
KR102496996B1 (ko) * 2022-10-05 2023-02-07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95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lcd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결제시스템, 그 전자 결제 방법 및 현금지급 방법
CN101354770B (zh) 使用五方协议实现银行卡支付的系统和方法
US7086590B2 (en) Pay-by-card method and pay-by-card system for home delivery service
US83367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s
CN102844776A (zh) 返回有限使用的代理动态值的支付渠道
EP1914675A1 (en) Electronic settlement system, method therefor, settlement server used there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US20080230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s
KR20020007973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방법
KR1003543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110032735A (ko)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인출 방법, 현금 인출 기능이 내장된 휴대 단말 및 모바일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인출 시스템
KR2002001982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32597B1 (ko)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을 이용한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40094249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98521B1 (ko) 휴대 통신 단말을 이용한 유가증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8073A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210529A1 (en) Method of making a monetary transaction between a customer and a merchant
KR101191820B1 (ko) 핸디형 인터넷 전화기〔voip〕를 이용한 전자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106795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활용한 유무선 인터넷 상의신용카드 결제 재확인 서비스
KR20050049312A (ko) 현금영수증 단말장치
KR1008223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방법
KR20030052595A (ko) 네트워크형 전자화폐 시스템에서의 유가증권 서비스 장치및 방법
KR2002007453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KR20040036503A (ko) 전자금융거래 및 전사적자원관리용 금융복합 pda단말기 및 그 이용방법
KR100981067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통한 온라인 티켓 예약(또는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9261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카드 포인트 사용 및 카드 발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