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823A -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823A
KR20020014823A KR1020017016816A KR20017016816A KR20020014823A KR 20020014823 A KR20020014823 A KR 20020014823A KR 1020017016816 A KR1020017016816 A KR 1020017016816A KR 20017016816 A KR20017016816 A KR 20017016816A KR 20020014823 A KR20020014823 A KR 2002001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units
mobile unit
master
master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르하르트 지멘스
부베 시돈
파울루스 사스트로드조조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인포메이션 앤드 커뮤니케이션 모빌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인포메이션 앤드 커뮤니케이션 모빌 엘엘씨 filed Critical 지멘스 인포메이션 앤드 커뮤니케이션 모빌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2001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82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네개의 단계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다수의 이동 유니트(14-17)가 제공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각각의 이동 유니트(14-17)와 통신하는 하나의 고정된 기지국(12)이 제공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14-17)가 마스터로서 설정된다. 네번째 단계에서는 기지국(12)이 각각의 이동 유니트 마스터(14-17)에 대한 슬레이브로서 설정된다.A method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comprising four steps is disclosed. In the first stage a number of mobile units 14-17 are provided. In the second stage, one fixed base station 12 is provided which communicates with each mobile unit 14-17. In a third step, one or more mobile units 14-17 are set up as masters. In the fourth step, the base station 12 is set up as a slave for each mobile unit master 14-1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들(14)을 마스터 제어기로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로직(19)를 가진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14)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14)를 조정하는 응답 로직(13)을 가진 기지국(12)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is disclosed. The system includes one or more mobile units 14 with control logic 19 for setting one or more mobile units 14 as a master controller. The system also includes a base station 12 with response logic 13 that coordinates each master mobile unit 14.

Description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통상적인 이동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이동 유니트 또는 핸드셋을 지원하는 하나의 기지국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기지국은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며,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모든 이동 유니트를 가진 마스터로서 동작한다. 고정된 마스터 기지국은 각각의 이동 유니트와 통신 링크를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하여 전송특성을 제어 및 선택한다. 기지국의 한 기능은 기지국과 이동 유니트를 동기화하여 모든 유니트들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주기적인 동기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여러 통신 링크에서 동일한 전송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In a typical mobile system, there is usually one base station supporting multiple mobile units or handsets. The base station of such a system resides in a fixed location and acts as a master with all mobile units acting as slaves. The fixed master base station controls and select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and maintain a communication link with each mobile unit. One function of the base station is to synchronize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unit so that all units use the sam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n each of the various communication links in response to a periodic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시간영역에서 기지국과 이동 유니트 사이의 통신 링크를 조절하도록 기지국을 마스터로 이용하는 것은 공지된 것이다. 고정된 기지국은 모든 이동 유니트에 의하여 이용된 전송 특성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방송(broadcast)하여 통신 링크를 제어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및 시간 기준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동기 신호에 적합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스캐닝하여 시간 기준을일정하게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동 유니트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은 긴 시간에 대한 수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이동 유니트를 필요로 한다. 어떤 이동 유니트들은 결과적으로 높은 전력소비로 인한 배터리 방전과 같은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를 당혹스럽게 하며, 이동 통신장비의 개발자에게도 장기적인 과제이다.It is known to use a base station as a master to regulate th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unit in the time domain. The fixed base station broadcasts parameters related to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used by all mobile units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link. These parameters generally include frequency and time reference information. Such a system requires each mobile unit to constantly update the time reference by scanning a frequency spectrum suitable for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is type of system requires each mobile unit to be able to operate in a receive mode for long periods of time. Some mobile units may eventually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battery discharge due to high power consumption. This problem embarrasses the user and is a long term challenge for the developer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그러므로 종래기술의 단점 및 결함을 극복하도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유니트를 동기화하는 새로운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mobile uni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and deficiencie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유니트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따르는 기지국을 조정하는 조정된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에 의하여 이용된 요청 프레임의 도면이다.2 is a diagram of a request frame used by each coordinated master mobile unit coordinating a base s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이점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adjusting a mobile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슬레이브 기지국에 대하여 마스터 제어기로서 이동 유니트를 설정하는 마스터 이동 유니트와 슬레이브 기지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 master mobile unit and a slave base station for setting a mobile unit as a master controller for a fixed slave base station are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네개의 단계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첫째, 다수의 이동 유니트가 제공된다. 둘째, 각각의 이동 유니트와 통신하는 하나의 기지국이 제공된다. 셋째,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가 마스터로서 설정된다. 넷째, 기지국은 각각의 이동 유니트 마스터에 대하여 슬레이브로서 설정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method is disclosed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comprising four steps. First, a number of mobile units are provided. Second, one base station is provided that communicates with each mobile unit. Third, one or more mobile units are set up as masters. Fourth, the base station is set up as a slave for each mobile unit mast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마스터 제어기로서 이동 유니트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어 로직을 가진다. 이 시스템은 또한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기 위하여 응답 로직을 가진 고정된 기지국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is disclosed. The system includes one or more mobile units. Each mobile unit has control logic to set up the mobile unit as a master controller. The system also includes a fixed base station with response logic to coordinate the master mobile uni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 유니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마스터 제어기로서 각각의 이동 유니트를 설정하는 제어 로직을 가진다. 이 시스템은 또한 각각의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기 위한 응답 로직을 가진 기지국을 포함한다.In yet another embodiment, a system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is disclosed. The system includes a number of mobile units. Each mobile unit has control logic that sets up each mobile unit as a master controller. The system also includes a base station with response logic to coordinate each mobile unit.

본 발명의 기술적 이점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가 마스터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를 조정할 수 있다.The technical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t least one mobile unit is automatically set as a mas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 can coordinate one or more mobile units.

다른 기술적 이점은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의 견지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Other technical advantage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iew of the specification, drawings, and claim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이점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가장 잘이해될 것이며, 유사한 번호들은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으로 이용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thereof will be best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herein like numerals are used for like parts in the various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10)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시스템(10)은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다수의 이동 유니트 또는 핸드셋(14-17)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12)을 포함한다. 기지국(12) 및 이동 유니트(14-17)는 무선 신호가 이동하는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하여 결합된다. 네개의 이동 유니트가 도식적으로 개시되었지만, 당업자는 추가의 이동 유니트가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다수의 이동 유니트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개별 통신 링크(14a-17a)를 통하여 기지국(12)에 결합될 수 있다. 기지국(12)은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이동 유니트(14-17)와 통신하도록 동작하며, 그에 대한 여러 방법 및 프로토콜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기지국(12)은 국부적으로 고정된 임의의 플랫폼일 수 있으며, 이동 유니트(14-17)는 기지국(12)과 통신하는 임의의 이동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2)은 다수의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모뎀 또는 서버 플랫폼일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10 includes a base station 12 that supports communication with a number of mobile units or handsets 14-17 using wireless signals. Base station 12 and mobile units 14-17 are coupled via an air interface through which wireless signals travel. Although four mobile units are diagrammatically disclos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dditional mobile units may be added. Each of a number of mobile units may be coupled to base station 12 via corresponding respective communication links 14a-17a to support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ies. Base station 12 operates to communicate with mobile units 14-17 using wireless signals, and various methods and protocols thereof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 station 12 may be any platform that is locally fixed, and mobile units 14-17 may be any mobile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base station 12. For example, base station 12 may be any modem or server platform that supports communication with multipl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개별 통신 링크(14a-17a)에서 각각의 다수의 이동 유니트(14-17)와 기지국(12)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이동 유니트를 마스터 제어기로 설정하는 제어 로직(19)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기지국(12)은 각각 다수의 이동 유니트(14-17)에 기지국(12)을 동기시키는 응답 로직(13)을 가진다. 이러한 로직의 동작은 도 2-3을 참조로 논의된다. 이러한 로직은 당업자에 공지된 여러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로직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로직은 시스템(10)에 의하여 마주친 상황을 변경하도록 다이나믹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10)은 가장 적당한 로직을 이용함으로써 기지국(12)과 이동 유니트(14-17) 사이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기술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establish communication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14-17 and the base station 12 in separate communication links 14a-17a, each mobile unit has control logic 19 which sets the mobile unit as the master controller. ) As a result, the base station 12 has response logic 13 for synchronizing the base station 12 with a plurality of mobile units 14-17, respectively. The operation of this logic i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S. 2-3. Such logic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techniqu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such logic may be performed in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 addition, this logic can be changed dynamically to change the situation encountered by the system 10. In this way, system 10 may maintain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 12 and mobile units 14-17 by using the most appropriate logic. System 10 may include digital or analog technology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을 조정하는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에 의하여 이용된 요청 프레임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선은 각각의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요청 프레임(41,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요청 프레임은 500밀리초의 미리 결정된 프레임 길이를 가진다. 각각의 프레임은 시간영역에서 이전 프레임 바로 다음에 이어진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네개의 이동 유니트(14-17)가 전체 시간선과 연관되며, 각각의 네개의 이동 유니트에 대해 기지국(12)을 동기시키는 시간선동안 이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의 시간선은 2초의 시간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니트(14)에 대한 새로운 요청 프레임(45)은 이동 유니트(17)에 대한 요청 프레임(44)이 완료된 바로 이후에 시작되며, 따라서 새로운 2초의 시간선이 시작된다. 시스템(10)의 각각의 다수 이동 유니트와 기지국(12) 사이의 통신방법은 도 3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2 is a diagram of a request frame used by each master mobile unit coordinating a base s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imeline includes a plurality of request frames 41, 44 having respective frame lengths. In this embodiment, each request frame has a predetermined frame length of 500 milliseconds. Each frame follows immediately after the previous frame in the time domain. In the embodiment of Fig. 2, four mobile units 14-17 are associated with the entire timeline and are used during the timeline for synchronizing base station 12 for each of the four mobile units. Therefore, the timeline of this embodiment has a time of 2 seconds. As shown in FIG. 2, the new request frame 45 for the mobile unit 14 starts immediately after the request frame 44 for the mobile unit 17 is completed, thus starting a new two-second timeline. do.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each of the multiple mobile units of the system 10 and the base station 1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이점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기지국과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3의 방법은 이동 유니트가 유휴상태에서 기지국(12)으로부터 입력되는 호출에 대한 접속을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이동 유니트가 기지국에게 질문하고, 기지국의 호출을 이동 유니트에 접속하며, 다수의 이동 유니트의 상태를 변경하며, 이동 유니트를 단절시키는 호출을 종료하며, 이동 유니트를 단절시키는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만일 필요하다면 다수의 이동 유니트를 기지국과 다시 동기시키는 단계 및 시스템의 다른 이동 유니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ordinating a slave base station and a master mobile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the method of FIG. 3 includes the mobile unit waiting for a connection to a call coming from the base station 12 in an idle state. The method also changes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unit asks the base station, connects the base station's call to the mobile unit, changes the state of multiple mobile units, terminates the call that disconnects the mobile unit, and disconnects the mobile unit. It includes a step. The method also further includes resynchronizing the plurality of mobile units with the base station if necessary and changing the state of other mobile units in the system.

도 3의 방법은 단계 50에서 시작하는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다수의 이동 유니트(14-17)는 유휴 상태를 대기한다. 단계 51에서, 이동 유니트(14)와 같은 이동 유니트가 기지국(12)에게 질문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 질문은 기지국이 그 이동 유니트에 대한 입력 호출과 같은 새로운 정보를 가지는가를 기지국으로부터 요청하는 이동 유니트를 포함한다. 만일 어떠한 새로운 정보도 없다면, 이동 유니트는 유휴 상태로 복귀한다.The method of FIG. 3 includes several steps beginning at step 50. Many mobile units 14-17 wait for an idle state. In step 51, a mobile unit such as mobile unit 14 queries base station 12. In this embodiment, the question includes the mobile unit requesting from the base station whether the base station has new information such as an input call to that mobile unit. If there is no new information, the mobile unit returns to the idle state.

이러한 질문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방식에 의하여 이동 유니트로부터 기지국(1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 유니트는 요청 코드 또는 요청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지국(12)에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는 동기 패턴 또는 식별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12)은 이 경우 기지국(12)이 이동 유니트에 대한 입력 호출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기지국(12)이 이동 유니트와 동기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승인 신호에 따라 응답한다. 다른 승인 신호는 예를 들면 호출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500밀리초에 상기 이동 유니트에 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프레임내에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This question can be communicated from the mobile unit to the base station 12 by various way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unit sends to the base station 12 a signal containing a request code or request data. Other embodiments may use sync patterns or identification codes. The base station 12 responds in this case with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base station 12 does not have an input call to the mobile unit and that the base station 12 is in sync with the mobile unit. Another acknowledgment signal may, for example, indicate a call transfer. In this embodiment, in 500 milliseconds the exchange can be made in the request frame as shown in FIG. 2 for the mobile unit.

기지국(12)이 이동 유니트에 대한 입력 호출을 가지는 경우, 기지국(12)은 단계 54에서 요청 프레임의 신호를 이동 유니트(14)에 전송할 것이다. 상기 신호는 이동 유니트(14)가 입력 호출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 유니트(14)가 현재의 입력 호출을 이용하여 기지국(12)에 접속되기 전에, 다른 이동 유니트(15-17)는 단계 54에서 슬립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 다른 이동 유니트를 위치시킴으로써, 다른 이동 유니트는 기지국(12)이 각각의 요청 프레임동안 요청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동 유니트(15-17)는 각각의 요청 프레임동안 슬립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에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유니트(14)는 요청 프레임(41)동안 입력 호출을 수신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며, 기지국(12)은 단계 54에서 이동 유니트(14)에게 입력 호출을 수신하도록 그 상태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시할 것이다. 연속된 요청 프레임(42,44)동안, 기지국(12)은 그 상태를 슬립상태로 변경시켜야함을 지시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다른 이동 유니트의 각각의 요청에 응답할 것이다. 이후에, 이동 유니트(14)의 바로 다음 요청 프레임(45)동안, 기지국(12)은 이동 유니트(14)를 접속함으로써 이동 유니트(14)로부터의 입력 호출에 대한 요청에 응답할 것이다.If the base station 12 has an input call to the mobile unit, the base station 12 will transmit a signal of the request frame to the mobile unit 14 in step 54. The signal indicates that the mobile unit 14 needs to change the state in which it can receive the input call. In this embodiment, before the mobile unit 14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2 using the current input call, the other mobile units 15-17 are placed in a sleep state at step 54. By placing another mobile unit in this state, the other mobile unit does not prevent the base station 12 from making a request during each request frame. The mobile units 15-17 may be in a sleep state during each request fram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unit 14 knows that it should receive an input call during the request frame 41, and the base station 12 receives the input call to the mobile unit 14 in step 54 to receive it. It will indicate that the state should be changed. During successive request frames 42 and 44, the base station 12 will respond to each request of the other mobile unit for information by indicating that it should change its state to sleep. Thereafter, during the next request frame 45 of the mobile unit 14, the base station 12 will respond to the request for an input call from the mobile unit 14 by connecting the mobile unit 14.

이동 유니트(14)는 단계 56에서 이후에 호출이 접속될 때까지 호출이 유지되는 동안 기지국(12)과 일정한 접속을 유지한다. 이동 유니트(14)는 단계 56에서 호출과의 단절을 나타내는 기지국(12)에 단절 메세지를 전송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지국(12)은 단계 58에서 이후에 이동 유니트(14)가 유휴 상태로 복귀한다는 승인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The mobile unit 14 maintains a constant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12 while the call is maintained until the call is subsequently connected in step 56. The mobile unit 14 will send a disconnect message to the base station 12 indicating disconnect from the call in step 56. In this embodiment, the base station 12 will send an acknowledgment signal that the mobile unit 14 will return to an idle state later in step 58.

이동 유니트(14)가 단계 60에서 단절된 후에, 이동 유니트(15-17)는 그 시간이 슬립 상태에서 소실된 후에 자기 자신을 기지국(12)과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 유니트(15-17)은 이동 유니트(14)에 접속된 호출동안 슬립상태로 남아있는다. 상기 슬립 상태는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예를 들어 2초의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각각의 이동 유니트가 슬립 상태에 남아있는 것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이후에 내부 시간 프레임 클로과 기지국(12)의 그것을 동기시키도록 재동기 시간동안 활성화될 것이다. 비트 동기화를 포함하며, 기지국(12)을 각각의 이동 유니트에 동기시키는 여러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활설화 상태동안,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시스템(10)에 의하여 이용된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는지, 즉 이동 유니트(14)가 호출을 단절시키지 않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활성화를 결정하는 여러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캐리어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After the mobile unit 14 is disconnected in step 60, the mobile unit 15-17 needs to synchronize itself with the base station 12 after the time is lost in the sleep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units 15-17 remain in sleep state during the call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14. The sleep state can be performed in several ways. One method includes, for example, each mobile unit remaining in a sleep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f 2 seconds. Each mobile unit will then be activated during the resynchronization time to synchronize its internal time frame claw with that of base station 12. Several methods of synchronizing the base station 12 to each mobile unit, including bit synchronization,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uring the active state, each mobile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used by the system 10 has been activated, that is, the mobile unit 14 has not disconnected the call. Several methods of determining such activation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embodiment, each mobile unit can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이러한 과정동안, 각각의 이동 유니트(15-17)는 각각의 요청 프레임 스케쥴에 남아있도록 자신의 내부 시간 프레임 클록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이동 유니트(14)가 단계 54에서 요청 프레임(41)동안 입력 호출을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된 후라면, 이동 유니트(15-17)는 각각 자신의 상태를 슬립상태로 변경하도록 보고받는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동 유니트(41)는 단절되고, 각각의 개별 이동 유니트(15-17)는 2초동안 슬립(sleep)될 것이며, 이후에 재동기 시간에 활성화될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의 스케쥴은 도 2에 개시된 요청 프레임 스케쥴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동 유니트(14)가 단절된 후에, 기지국(12)은 상기 요청 프레임과 연관된 이동 유니트로부터의 질문을 받을 것이다. 만일 어떠한 클록 드리프트(clock drift)도 없다면, 이동 유니트는 자신을 기지국(12)과 다시 동기시킬 필요가 없다.During this process, each mobile unit 15-17 maintains its internal time frame clock so that it remains in each request frame schedule. Thus, for example, after the mobile unit 14 knows that it should receive an input call during the request frame 41 in step 54, the mobile units 15-17 are each reported to change their state to sleep. . In this respect, the mobile unit 41 will be disconnected and each individual mobile unit 15-17 will sleep for 2 seconds and then be activated at the resynchronization time. The schedule in the above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request frame schedule disclosed in FIG. Therefore, after mobile unit 14 is disconnected, base station 12 will receive a query from the mobile unit associated with the request frame. If there is no clock drift, the mobile unit does not need to resynchronize itself with the base station 12.

다른 한편, 클록 드리프트가 있다면, 이동 유니트는 슬립 상태에서 보낸 그 시간후에 기지국(12)에 자신을 다시 동기시킬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62에서 이동 유니트(15-17)는 각각의 개별 요청 프레임에 대하여 기지국(12)에 요청을 전송할 것이다. 기지국(12)은 이 경우 조정값을 각각의 이동 유니트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12)과 다시 동기하도록 각각의 이동 유니트가 필요한 데이터에 응답한다. 이러한 조정값은 각각의 이동 유니트(15-17)에 대하여 기지국(12)에서 계산된 데이터이다. 이러한 조정값은 기지국(12)과 재동기를 위하여 그 클록을 적절하게 리셋하도록 각각의 이동 유니트(15-17)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값은 이동 유니트(15)가 기지국(12)으로부터 오프셋된 시간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유니트(15)는 이러한 조정값을 기지국(12)에 다시 동기시키도록 내부 클록시간으로부터 감산할 것이다. 기지국(12)은 단계 64에서 이후에 이동 유니트(15-17) 상태를 다시 유휴 상태로 변경하는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조정값은 하나의 요청 프레임동안 하나의 값이 전송되거나 이동 유니트에 대한 연속적인 요청 프레임동안 점진적으로 전송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clock drift, the mobile unit will resynchronize itself with the base station 12 after that time spent in sleep.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unit 15-17 in step 62 will send a request to the base station 12 for each individual request frame. The base station 12 then responds to the data necessary for each mobile unit to resynchronize with the base station 12 by sending an adjustment value to each mobile unit. This adjustment is the data calculated at base station 12 for each mobile unit 15-17. This adjustment may be used by each mobile unit 15-17 to properly reset its clock for resynchronization with base station 12. For example, the adjustment value may be a time value at which the mobile unit 15 is offset from the base station 12. Therefore, the mobile unit 15 will subtract this adjustment value from the internal clock time to resynchronize with the base station 12. The base station 12 then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that changes the mobile unit 15-17 state back to an idle state after step 64. These adjustments will either be sent during one request frame or progressively sent during successive request frames for the mobile unit.

이것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대한 여러 실시를 이용하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각각 다수의 이동 유니트(14-17)는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동작할 것이다. 이 경우, 기지국(12)은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14-17)에 의하여 이동된 마지막 활성 캐리어 주파수를 나타내는 값을 저장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12)은 이후에 상기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이동 유니트(14-17)에 응답할 것이다. 유사하게 각각의 이동 유니트는 상기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지국(12)과 통신할 것이다.Thi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tiliz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method shown in FIG. For example, each of the multiple mobile units 14-17 will operate using different carrier frequencies.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2 needs to store a value representing the last active carrier frequency moved by each master mobile unit 14-17. Base station 12 will then respond to each mobile unit 14-17 using the carrier frequency. Similarly each mobile unit will communicate with base station 12 using the carrier frequency.

그러므로 이동 유니트(14)가 단계 52에서 기지국(12)로부터 입력 호출을 수신할 때, 다른 세트의 다수 이동 유니트(15-17)는 단계 54에서 슬립 상태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다른 이동 유니트(15-17)가 각각의 요청 프레임(42-44)동안 기지국(12)에게 요청을 전송할 때, 기지국(12)은 단순하게 호출의 나머지동안 응답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동 유니트(14)와 기지국(12) 사이의 입력 호출이 자신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인터럽트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동 유니트(14)가 단계 56에서 호출을 종료할 때, 이동 유니트(14)는 단계 58에서 유휴상태로 복귀한다. 단계 60에서 기지국(12)은 단계 62를 완료함으로써 이동 유니트(15-17)에 재동기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12)은 단계 64에서 이후에 각각의 이동 유니트에 대한 마지막 활성 캐리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요청 프레임에서 이동 유니트(15-17)에 응답할 것이다. 이동 유니트(15-17)는 이후에 유휴 상태로 남아 있는다.Therefore, when mobile unit 14 receives an input call from base station 12 in step 52, another set of multiple mobile units 15-17 need not be in a sleep state in step 54. In this case, when another mobile unit 15-17 sends a request to the base station 12 during each request frame 42-44, the base station 12 simply does not respond for the remainder of the call. This allows the input call between mobile unit 14 and base station 12 to be interrupted at its carrier frequency. When the mobile unit 14 ends the call in step 56, the mobile unit 14 returns to the idle state in step 58. In step 60 the base station 12 does not need to resynchronize with the mobile unit 15-17 by completing step 62. The base station 12 will respond to the mobile units 15-17 in each request frame with the last active carrier for each mobile unit later in step 64. The mobile unit 15-17 then remains idle.

이것은 단계 54에서 그 상태를 수신 상태로 변경하기 위하여 다른 이동 유니트(15-17)에 대한 본 발명의 영역내에 존재하는 것이다. 슬립상태와 반대인 상기와 같은 수신상태는 이동 유니트(15-17)가 수신 모드에서 이동 유니트(14)에 대한입력 호출동안 동작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후에, 단계 58에서 이동 유니트(14)가 기지국(12)와 단절된 후, 이동 유니트(15-17)는 자신을 단계 60-62에서 지기국(12)에 재동기시킬 필요가 없다. 대신 단계 64에서, 각각의 요청 프레임(42-44)동안 이동 유니트(15-17)는 자신의 상태를 유휴 상태로 다시 변경시키기 위하여 그 요청에 응답하여 기직구(1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Thi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other mobile units 15-17 to change its state to the receive state in step 54. This reception state, as opposed to the sleep state, requires the mobile unit 15-17 to operate during an input call to the mobile unit 14 in the receive mode. Thereafter, after the mobile unit 14 is disconnected from the base station 12 in step 58, the mobile unit 15-17 does not need to resynchronize itself with the base station 12 in steps 60-62. Instead, at step 64, during each request frame 42-44 the mobile unit 15-17 will receive a signal from the instrument 12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change its state back to the idle state. .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과 슬레이브 기지국을 조정하는 시스템으로서:As a system to coordinate master mobile units and slave base stations: a) 상기 이동 유니트들중 하나를 마스터 이동 유니트로서 설정하는 제어 로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 그리고a) one or more mobile units having control logic for setting one of the mobile units as a master mobile unit; And b) 상기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을 조정하는 응답 로직을 가진 고정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장치.b) a fixed base station with response logic to adjust each of said master mobile uni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 유니트들은 마스터 이동 유니트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 로직은 상기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said mobile units can operate as a master mobile unit and said response logic operates to adjust each said master mobile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은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에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each master mobile unit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at a different carrier frequenc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동기할 수 있는 마스터 이동 유니트 데이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master mobile unit data capable of synchronizing the base station and each master mobile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은 연속적으로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said master mobile units are in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과 상기 기지국을 조정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시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coordinating the respective master mobile units and the base station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과 상기 기지국을 조정하는 것은 각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coordinating the respective master mobile units and the base station changes the state of each master mobile unit.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과 슬레이브 기지국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As a way to coordinate master mobile units and slave base stations: a) 다수의 이동 유니트들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a plurality of mobile units; b) 상기 각각의 이동 유니트들과 통신하는 하나의 기지국을 제공하는 단계;b) providing one base station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said mobile units; c)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들을 마스터로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c) establishing one or more mobile units as a master; And d) 상기 기지국을 임의의 이동 유니트 마스터에 대한 슬레이브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d) setting the base station as a slave to any mobile unit mast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 유니트들과 통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mobile units is performed at different carrier frequenci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 유니트들과 통신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aid communicating with each of said mobile units is performed continuousl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들을 마스터로서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유니트들중 하나에 대한 입력 호출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가 기지국에게 질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thod of setting up one or more mobile units as a master comprises the step of the one or more mobile units asking the base station to determine if there is an input call to one of the mobile units. How to.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슬레이브로서 설정하는 단계는 승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니트에 의하여 질문에 응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etting the base station as a slave comprises a base station that answers a question by the one or more mobile units using an grant sig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ster mobile unit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과 슬레이브 기지국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As a way to coordinate master mobile units and slave base stations: a) 하나 이상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로부터 하나의 고정된 슬레이브 기지국으로 질문을 전달하는 단계;a) forwarding the query from one or more master mobile units to one fixed slave base station; b) 상기 질문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지국과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중 하나 사이에 액티브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b) in response to the question, establishing an activ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slave base station and one of the master mobile units; c) 상기 슬레이브 기지국과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 사이의 액티브 통신링크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기지국에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c) sending a message from the master mobile unit to the slave base station to deactivate an activ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slave base station and the master mobile units; And d)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지국과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를 동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master mobile unit, synchronizing the slave base station with the master mobile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마스터 이동 유니트와 상기 슬레이브 기지국 사이의 액티브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유일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establishing an activ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one master mobile unit and the slave base station is performed at a unique carrier frequency.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중 하나로부터 질문을 전달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communicating the question from one of the master mobile units is performed continuously.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에 상기 기지국을 동기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 유니트중 하나에 조정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ynchronizing the base station to the master mobile unit comprises transmitting an adjustment value to one of the mobile units. 제 14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상기 단계(a)-(d)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the steps (a)-(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중 하나와 상기 기지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coordinating the base station with one of the master mobile units changes the state of the mobile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이동 유니트들중 하나는 새로운 정보를 요청하는 기지국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one of the master mobile units transmits a signal to a base station requesting new information.
KR1020017016816A 1999-06-29 2000-04-18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KR200200148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315999A 1999-06-29 1999-06-29
US09/343,159 1999-06-29
PCT/US2000/010422 WO2001001635A1 (en) 1999-06-29 2000-04-18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823A true KR20020014823A (en) 2002-02-25

Family

ID=2334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816A KR20020014823A (en) 1999-06-29 2000-04-18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92756A1 (en)
JP (1) JP2003503898A (en)
KR (1) KR20020014823A (en)
CN (1) CN1359575A (en)
BR (1) BR0012049A (en)
CA (1) CA2377182A1 (en)
WO (1) WO200100163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7847B2 (en) * 2006-01-17 2011-08-17 ヤマハ株式会社 Performance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program
US7899495B2 (en) * 2006-07-14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US8483196B2 (en) 2010-03-12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nchronization between groups of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6603B2 (en) * 1986-04-26 1989-07-13 Nec Corporation Radio key telephone system having a common signaling channel
US4785450B1 (en) * 1987-08-06 1999-10-12 Interdigital Tech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frequency agility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4972507A (en) * 1988-09-09 1990-11-20 Cellular Data, Inc. Radio data protoco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5528621A (en) * 1989-06-29 1996-06-18 Symbol Technologies, Inc.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JP2822721B2 (en) * 1991-10-08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Channel assignment method
US5560021A (en) * 1994-04-04 1996-09-24 Vook; Frederick W. Power management and packet delivery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CA2149006C (en) * 1994-06-07 2003-07-15 Cecil Henry Bannister Synchronous voice/data messaging system
IL112939A (en) * 1995-03-08 1998-06-15 Powerspectrum Technology Ltd Subscriber unit having a sleep mode and a dormant mode
US5737328A (en) * 1995-10-04 1998-04-07 Aironet Wireless Communications, Inc.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ith information rerouting capabilities
US6118996A (en) * 1996-12-11 2000-09-12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038448A (en) * 1997-07-23 2000-03-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and-off based upon relative pilot signal streng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7182A1 (en) 2001-01-04
JP2003503898A (en) 2003-01-28
WO2001001635A1 (en) 2001-01-04
BR0012049A (en) 2002-03-12
EP1192756A1 (en) 2002-04-03
CN1359575A (en)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5425B2 (en) Communication network
US6674737B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LA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LAN
JP3545708B2 (en) Communication network
CN101313499B (en) Group call management through receive/transmit synchronization
JPH10507615A (en) Synchronization method of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2252616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t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0800436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aving time for mutual data communication in sniff mode
JPH07303278A (en) Radio base station operating in radiocommunication system and its control
RU2004119953A (en) PROVISION AND SYNCHRONIZATION OF THE LIST OF PREFERRED ROAMING AND THE ROAMING INDICATOR
JPH07303060A (en) Hop clock synchronizing method
JP3344043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KR10042349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happening interface and cut off of communication in one-to-muti wireless communication
KR20040071301A (en) Rescue beacon
JP2606595B2 (en)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775165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20014823A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aster mobile units with a slave base station
JP3254874B2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WO2002058334A3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wirelessly exchang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unit
JP2000307499A (e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H01154635A (en) Privat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3584561B2 (en) Intermittent communication system
JP3246477B2 (en) Radio frame resynchronization system and radio frame resynchronization method
JPH10209957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JPH0685891A (en) Cordless phone
JPH07245598A (en) Low speed frequency hopping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