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714A -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714A
KR20020011714A KR1020000045177A KR20000045177A KR20020011714A KR 20020011714 A KR20020011714 A KR 20020011714A KR 1020000045177 A KR1020000045177 A KR 1020000045177A KR 20000045177 A KR20000045177 A KR 20000045177A KR 20020011714 A KR20020011714 A KR 2002001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aling
portable communication
input device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한나
Original Assignee
배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한나 filed Critical 배한나
Priority to KR102000004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1714A/ko
Publication of KR2002001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폰, PDA단말기와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숫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추세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서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스위칭소자; 상기 스위칭소자들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소자 선택구동수단;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온/오프 상태값을 0 ~ 9의 숫자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숫자변환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큰 면적을 차지하는 숫자키 어레이 대신에 좁은 공간내에 숫자입력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A DIALING NUMBER INPUT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셀룰러폰, PDA단말기와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숫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추세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셀룰러폰이나 PDA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통신단말기의 이용이 현대인들의 필수적인 생활이 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통신단말기 특히, 휴대용 전화기(셀룰러폰, PCS폰 등)은 개인이 항상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또한 휴대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하여야 하는 특징이 있어 휴대의 간편성이 필요하였다. 이에 제조업자들에 의해 셀룰러폰의 경량화와 소형화가 진행되었고, 좀더 가벼운 휴대용 전화기가 제조되었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는 필히 정해진 숫자(0 ~ 9)를 다이얼 할 수 있어야만 한다. 즉, 어떠한 곳으로 전화를 걸어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를 입력해야만 하고, 이러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필히 10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키버튼이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일반 유선전화기의 경우는 전화기 본체 크기의 제한을 크게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술한 숫자키 버튼이 있더라도 사용상에 큰 불편이 없었으나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는 상술한 숫자 키버튼이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 전화기의 소형화에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전화기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내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1)의 본체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어레이(3)와 이 숫자키 어레이(3)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표시부(2)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 키들의 입력은 휴대용 전화기의 주제어유닛(main processing unit)에 의해 스캔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 소형화를 진전시키는데에는 숫자 키버튼이 차지하는 면적을 유지해야 하므로 그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통신단말기의 숫자 또는 문자 입력부를 단일 키, 트랙볼 또는 터치패드로 대체함으로써 휴대통신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명세서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숫자키 배열형태를 갖는 셀룰러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가 부착된 셀룰러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4스위치 방식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에 대한 평면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숫자입력장치를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j는 상기 도 3의 숫자입력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6은 5스위치 방식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에 대한 평면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숫자입력장치를 B-B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가 부착된 셀룰러폰의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상기 도 9의 숫자입력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블럭도이다.
도 12는 터치패드의 터치온 지점 및 터치오프 지점의 좌표값으로부터 다이얼링 숫자를 연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가 부착된 셀룰러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버튼스위치 33: 접촉부재
33a: 중심부 33b: 날개부
34: 탄성부재 35: 터치판
36: 베이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서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스위칭소자; 상기 스위칭소자들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소자 선택구동수단;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온/오프 상태값을 0 ~ 9의 숫자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숫자변환수단을 포함하는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선택구동수단을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원하는 숫자를 발생시키고, 이를 소정의 입력하에 다이얼링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 선택구동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외부압력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를 하강시켜스위칭소자와 접촉시키고, 외부압력이 사라지면 상기 접촉부재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소자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칭소자는 온/오프형의 버튼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재는 그 중심부가 상하로 볼록하고, 이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커버하는 날개부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날개부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면, 이 국부적 외부압력이 가해지는 하단 스위칭소자들만 작동되고, 외부압력이 상기 중심부에 가해지면 스위칭소자 전체가 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국부적 압력을 상기 접촉부재에 전달하고, 그 중심부가 천공되어 상기 접촉부재의 중심부를 외부로 가이드하는 터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숫자변환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온/오프에 따른 개별 논리값과 0 ~ 9중의 특정 한 숫자를 매칭시키고, 이 매칭테이블에 근거하여 입력할 숫자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는 좌표타입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드(touch pad); 상기 터치패드에서의 터치온 또는 터치오프 지점의 X, Y좌표값을 검출하는 좌표검출수단; 상기 좌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최초 터치온 지점의 제 1 좌표값과, 최후 터치오프 지점의 제 2 좌표값으로부터 터치벡터를 연산하기 위한 터치벡터 연산수단; 특정 방향의 터치벡터와 0 ~ 9의 다이얼링 숫자를 매칭시켜 기억하는 숫자메모리; 및 상기 터치벡터 연산수단으로부터 계산된 터치벡터와 이 터치벡터에 매칭되는 숫자를 상기 숫자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렇게 판독한 숫자를 다이얼링 숫자로 설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로서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는 트랙볼;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위치신호에 근거하여 볼의 궤적벡터를 연산하는 궤적벡터 연산수단; 특정 방향의 궤적벡터와 0 ~ 9의 다이얼링 숫자를 매칭시켜 기억하는 숫자메모리; 및 상기 궤적벡터 연산수단으로부터 계산된 궤적벡터와 이 궤적벡터에 매칭되는 숫자를 상기 숫자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렇게 판독한 숫자를 다이얼링 숫자로 설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설명될 것이며, 그 이외의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방식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30)는 휴대통신단말기, 특히 휴대용 전화기 본체(10)의 상단부 일 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액정 표시부(2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는 IMT-2000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기기에 적용하는데 있어 보다 적합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30)는 베이스판(34) 위에 배치되는 4개의 버튼스위치(31), 외부압력이 가해지는 터치판(35), 터치판(35)에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따라 상기 버튼스위치(31)를 온/오프시키는 키뭉치(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스위치(31)는 스위치몸체상에 버튼이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 버튼이 외부압력에 의해 눌려지면 스위치몸체내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칭회로가 구동된다. 이 버튼스위치는 당해 출원시점의 기술수준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특별한 지식없이도 상업적인 구입이나 제작이 가능하므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터치판(35)은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국부적인 외부압력이 가해지면, 이 외부압력을 상기 키뭉치(33)에 전달한다.
상기 키뭉치(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부(33a)가 상하로 돌출되어 있고, 이 중심부 주위에 상기 버튼스위치(31)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박막형태의 날개부(33b)를 가진다. 상기 키뭉치(33)의 중심부(33a) 하단에는 스프링소자와 같은 탄성부재(34)가 연결된다. 이 탄성부재는 4개의 스위칭소자(31)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터치판(35)은 키뭉치(33)의 중심부(33a)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6)위에 배치되는 버튼스위치(31)는 도 3과 같이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스위치(31)가 위치하는 지점의 터치판(35)을 누르게되면, 해당 부위의 터치판(35)이 외부압력에 따라 함몰되고, 이 함몰에 의한 하강력이 키뭉치의 날개부(33b)에 전달된다. 키뭉치의 날개부(33b)에 외부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해당 부위의 날개부(33b)측 스프링이 압축되어 그 하단에 존재하는 스위칭소자(31)의 버튼을 누르게된다.
또한, 사용자가 두개의 버튼스위치를 잇는 변의 중심지점의 터치판을 누르게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매카니즘에 따라 그 변에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버튼스위치가 작동된다.
사용자가 키뭉치의 중심부(33a)를 누르게되면, 키뭉치(33) 전체가 아래로 하강하여 스프링소자(34)를 압축하고, 키뭉치의 날개부(33b)는 전체 스위칭소자(31)의 버튼과 접촉되어 4개의 스위칭소자 모두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키뭉치(33)는 외부압력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의 버튼과 접촉되는 일종의 접촉부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j를 참조하여 0 ~ 9의 숫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사용자가 그 하단에 1번 스위칭소자가 위치되는 지점의 터치판을 눌러 1이라는 숫자를 입력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사용자가 1번 스위칭소자와 2번 스위칭소자를 연결하는 지점의 터치판을 눌러 "2"라는 숫자를 입력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c는 "3", 도 5d는 "4", 도 5f는 "6", 도 5g는 "7", 도 5h는 "8", 도 5i는 "9"라는 숫자를 입력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5"라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5e와 같이 키뭉치의 중심부를 한번 누르면 된다. 또한, "0"이라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5j와 같이 키뭉치의 중심부를 두번 누르면 된다.
본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회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41)는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44)는 통상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며, 상기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상태 및 입력되는 전화번호 등을 표시한다. 음성부(47)는 스피커(47a)와 마이크(47b)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직접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RF부(45)는 외부와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전화기가 무선통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소정의 디코딩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RF부(45)에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는 안테나(ANT)(46)를 통해 송수신된다.
상기 스위칭부(4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버튼스위치(31)를 나타낸다. 숫자변환부(42)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되는 매칭테이블에 따라 0 ~ 9중 어느 한 숫자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41)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숫자 스위칭소자 상태 터치판 조작상태
SW1 SW2 SW3 SW4
1 ON OFF 0FF OFF 좌상
2 ON ON 0FF OFF
3 OFF ON 0FF OFF 우상
4 ON OFF 0N OFF
5 ON ON 0N ON 중앙(한번)
6 OFF ON 0FF ON
7 OFF OFF 0N OFF 좌하
8 OFF OFF 0N ON
9 OFF OFF 0FF ON 우하
0 ON ON 0N ON 중앙(2회연속)
여기서, 스위칭소자가 ON되었다는 것은 스위칭소자의 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의미하고, OFF는 스위칭소자의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상기 숫자변환부(42)는 버튼스위치(31)의 작동에 따른 논리값 조합에 0 ~ 9의 숫자를 매칭시키고, 버튼스위치(31)의 동작에 근거하여 숫자를 발생시켜 이를 제어부(41)에 입력시킨다. 숫자를 입력받은 제어부(41)는 이 숫자를 상기 표시부(44)에 디스플레이하고, 숫자가 통신을 위한 조합을 완성하면 특정 키를 조작시키는 것에 의해 다이얼링을 실행한다.
상술한 숫자입력장치는 4스위치 방식으로서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는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5스위치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 5스위치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술한 4스위치 방식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베이스판(36)위에 놓이는 버튼스위치(31)의 배치와, 터치판(35)의 조작상태 및 숫자변환부(42)의 매칭테이블만이 상기 4스위치 방식과 상이하다. 따라서, 상술한 4스위치 방식에 대한 구성과 작용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5스위치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스위치 방식에 있어, 5개의 버튼스위치(31)는 정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고, 스위칭소자의 온/오프 논리값과 매칭되는 숫자 테이블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숫자 스위칭소자 상태
SW1 SW2 SW3 SW4 SW5
1 ON OFF OFF OFF OFF
2 ON ON OFF OFF OFF
3 OFF ON OFF OFF OFF
4 OFF ON ON OFF OFF
5 OFF OFF ON OFF OFF
6 OFF OFF ON ON OFF
7 OFF OFF OFF ON OFF
8 OFF OFF OFF ON ON
9 OFF OFF OFF OFF ON
0 ON OFF OFF OFF ON
이와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는 터치판의 특정지점이나 키뭉치의 중심부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기존 휴대전화기의 숫자키 버튼을 누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큰 면적을 차지하는 숫자키 어레이 대신에 좁은 공간내에 숫자입력장치를 상기 도 2와 같이 설치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터치패드 방식의 숫자입력장치를 설명한다.
터치패드는 좌표타입의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쓰이는 일종의 입력장치이다. 터치패드는 전형적으로 그 표면에서 국부적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압력에 감응하는 경계평면이다. 사용자가 터치패드의 표면을 손가락, 철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접촉하면, 터치패드는 접촉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의 좌표를 어떤 형태의 발생된 신호를 통해 제어부에 보고한다.
도 9에는 터치패드를 숫자입력장치로 사용하는 제 2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폴더형 휴대전화기(100)는 액정화면(110)이 위치하는 제 1 몸체와 터치패드(120)와 기능키 어레이(130)가 위치하는 제 2 몸체가 힌지부를 통해 접속되어 구성된다.
이 터치패드(120)는 도 11과 같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터치패드 센서를 통해 좌표검출부(141, 142) 및 벡터연산부(160)를 거쳐 제어유닛(170)과 접속된다.
상기 좌표검출부는 X좌표 검출부(141)와 Y좌표 검출부(142)로 이루어지고, 이 좌표검출부는 사용자가 터치패드(120)를 터치온 했을 때, 이 터치온 지점의 X좌표와 Y좌표를 읽어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좌표검출부는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터치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터치오프 했을때, 이 터치오프 지점의 X좌표와 Y좌표도 읽어들인다.
상기 벡터연산부(160)는 최초 사용자가 터치온한 지점의 X좌표값, Y좌표값 및 연속적인 터치온 상태에서 터치오프가 이루어졌을때, 이 터치오프한 지점의 X좌표값, Y좌표값을 상기 좌표검출부(141, 142)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내부 메모리에 기억한다. 벡터연산부(160)는 내부 메모리에 일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터치오프 지점의 X,Y좌표값과 최초 터치온 지점의 X,Y좌표값으로부터 터치벡터를 연산한다. 이렇게 연산된 터치벡터는 상기 제어유닛(170)에 입력된다. 제어유닛(170)은 벡터연산부(16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벡터에 대응하는 숫자를 상기 숫자메모리(180)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된 숫자를 10진수로 변환하여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진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한다.
아래의 표 3은 숫자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터치벡터-숫자 매칭테이블을 나타낸다.
숫자 터치벡터 비고
1
2
3
4
5 터치 온/오프 시점이 일치
6
7
8
9
0 ㆍㆍ 터치 온/오프 시점이 일치(연속 2회터치)
상기 표 3에서 숫자 "5"는 벡터연산부로부터 전달되는 터치벡터가 0의 값을 가질때를 나타내고, 숫자 "0"은 벡터연산부로부터 전달되는 터치벡터가 연속적으로2회에 걸쳐 0의 값을 가질때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는 터치벡터의 방향으로 터치패드(120)를 터치시키면 제어유닛(170)은 상기 숫자메모리(180)로부터 대응하는 숫자를 판독하여 이를 상기 표시부(190)에 표시시킨다. 이와같이, 표시부(190)상에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숫자의 조합이 완성되면, 사용자는 도 11의 키입력부(150)상에 있는 특정 기능키를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실행시키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d에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사용하여 특정한 숫자에 대응하는 터치벡터를 형성하는 조작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수직 상향으로 터치하는 것에 의해 "2"를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b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좌상향으로 터치하는 것에 의해 "1"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c는 우상향 터치에 의해 "3"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d는 수직 하향 터치에 의해 "8"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터치벡터의 배치는 기존 휴대전화기의 숫자키 배열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벡터연산부가 터치벡터를 연산하고, 이렇게 연산된 터치벡터로부터 다이얼링 숫자를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터치패드상에 손가락, 철필,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터치온을 실행하면(S10), 좌표검출부는 이 터치온 지점의 X,Y좌표값을 읽어 들인다.(S12)
좌표검출부는 이렇게 읽어들인 제 1 좌표값을 벡터연산부에 입력처리한다. 벡터연산부는 이 제 1 좌표값을 내부메모리에 저장한다. (S14)
터치오프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적인 터치온 상태가 지속되면, 좌표검출부는 그 X,Y좌표값을 읽어 벡터연산부에 계속적인 입력처리를 실행한다.(S18)
반면에, 연속적인 터치온 상태에서 터치오프가 이루어지면(S16), 좌표검출부는 이 터치오프 지점의 X,Y좌표값을 읽어들여 벡터연산부에 입력처리한다.(S20)
벡터연산부는 이 제 2 좌표값과 내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좌표값을 비교하여 터치벡터를 연산한다.(S22)
이렇게 연산된 터치벡터는 제어유닛에 전달되고, 제어유닛은 숫자메모리를 참조하여 입력된 터치벡터에 대응하는 다이얼링 번호를 연산한다.(S24)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숫자입력을 통한 다이얼링을 초소형의 터치패드내에서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엄지손가락 하나만으로도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 입력이 가능하다.
실시예 3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트랙볼 방식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를 개시한다.
도 13에는 기존 액정표시화면 보다 큰 액정표시부(210)와 트랙볼 입력장치(220)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숫자입력장치로서 트랙볼을 사용하게 되면, 차지하는 면적을 기존의 숫자키 어레이 보다 줄일 수 있어 휴대용 전화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숫자입력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14의 트랙볼(220)을 움직이게 되면, 이 트랙볼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볼센서(230a 및 230b)가 트랙볼(2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위치정보를 궤적벡터 연산부(240)에 전달한다. 이 궤적벡터 연산부(240)는 트랙볼(220)이 움직이기 시작한 지점과 움직임이 종료된 지점의 위치정보로부터 전체적인 트랙볼의 궤적벡터를 연산하는 곳이다.
궤적벡터 연산부(240)는 이렇게 연산된 궤적벡터를 제어유닛(250)에 전달하고, 제어유닛(250)은 숫자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는 궤적벡터-숫자 매칭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다이얼링 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표시부(270)에 디스플레이한다.
아래의 표 4에는 상기 궤적벡터-숫자 매칭테이블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숫자 궤적벡터 비고
1
2
3
4
5 트랙볼을 한번 눌렀을때
6
7
8
9
0 ㆍㆍ 트랙볼을 연속해서 두번 눌렀을때
트랙볼(220)의 하단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볼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사용자가 트랙볼을 움직이지 않고, 직접 트랙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볼 스위치가 온되고, 이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어유닛(250)에 전달된다. 상기 표 4와 같이 제어유닛(250)은 궤적벡터가 전달되지 않고, 스위칭신호만 입력되는 경우 숫자메모리(260)로부터 스위칭신호의 입력횟수에 따라 다이얼링 번호 "5"와 "0"번을 판독하고, 이를 표시부(27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표시부(270)상에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숫자의 조합이 완성되면, 사용자는 도 14의 키입력부(280)상에 있는 특정 기능키를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숫자입력을 통한 다이얼링을 초소형의 트랙볼을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엄지손가락 하나만으로도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 입력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기존 휴대전화기의 숫자키 어레이에 비해 점유면적이 작은 스위칭소자, 터치패드 및 트랙볼을 이용하여 다이얼 입력장치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숫자키 및 문자키 입력에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도 휴대용 통신기기의 소형화에 부응할 수 있다.

Claims (9)

  1.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서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스위칭소자;
    상기 스위칭소자들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칭소자 선택구동수단;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온/오프 상태값을 0 ~ 9의 숫자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숫자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이로인해, 상기 선택구동수단을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원하는 숫자를 발생시키고, 이를 소정의 입력하에 다이얼링 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 선택구동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며, 외부압력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를 하강시켜 스위칭소자와 접촉시키고, 외부압력이 사라지면 상기 접촉부재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소자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온/오프형의 버튼 스위치이고,
    상기 접촉부재는 그 중심부가 상하로 볼록하고, 이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커버하는 날개부는 평평한 플레이트이며;
    이로인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날개부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면, 이 국부적 외부압력이 가해지는 하단 스위칭소자들만 작동되고, 외부압력이 상기 중심부에 가해지면 스위칭소자 전체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국부적 압력을 상기 접촉부재에 전달하고, 그 중심부가 천공되어 상기 접촉부재의 중심부를 외부로 가이드하는 터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총 4개이고, 이 4개의 스위칭소자들이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총 5개이고, 이 5개의 스위칭소자들이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변환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들의 온/오프에 따른 개별 논리값과 0 ~ 9중의 특정 한 숫자를 매칭시키고, 이 매칭테이블에 근거하여 입력할 숫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8.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좌표타입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드(touch pad);
    상기 터치패드에서의 터치온 또는 터치오프 지점의 X, Y좌표값을 검출하는 좌표검출수단;
    상기 좌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최초 터치온 지점의 제 1 좌표값과, 최후 터치오프 지점의 제 2 좌표값으로부터 터치벡터를 연산하기 위한 터치벡터 연산수단과;
    특정 방향의 터치벡터와 0 ~ 9의 다이얼링 숫자를 매칭시켜 기억하는 숫자메모리와;
    상기 터치벡터 연산수단으로부터 계산된 터치벡터와 이 터치벡터에 매칭되는 숫자를 상기 숫자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렇게 판독한 숫자를 다이얼링 숫자로설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9.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트랙볼;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위치신호에 근거하여 볼의 궤적벡터를 연산하는 궤적벡터 연산수단;
    특정 방향의 궤적벡터와 0 ~ 9의 다이얼링 숫자를 매칭시켜 기억하는 숫자메모리; 및
    상기 궤적벡터 연산수단으로부터 계산된 궤적벡터와 이 궤적벡터에 매칭되는 숫자를 상기 숫자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렇게 판독한 숫자를 다이얼링 숫자로 설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KR1020000045177A 2000-08-04 2000-08-04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KR20020011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77A KR20020011714A (ko) 2000-08-04 2000-08-04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77A KR20020011714A (ko) 2000-08-04 2000-08-04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714A true KR20020011714A (ko) 2002-02-09

Family

ID=1968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77A KR20020011714A (ko) 2000-08-04 2000-08-04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7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82B1 (ko) * 2000-11-08 2003-08-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
KR100951193B1 (ko) * 2009-08-20 2010-04-06 정진년 부동형 문자입력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US8059094B2 (en) 2006-01-06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8149A (ja) * 1990-01-24 1991-09-25 Nec Corp 携帯無線電話機
JPH09116605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電話装置
JPH1132113A (ja) * 1997-07-08 1999-02-02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US6031525A (en) * 1998-04-01 2000-02-29 New York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KR20000026146A (ko) * 1998-10-17 2000-05-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부 생성 및 검색방법
KR20000013576U (ko)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00014926U (ko) * 1998-12-31 2000-07-25 서평원 모션 인식에 의한 전화 단말기의 번호 입력장치
KR20010026403A (ko) * 1999-09-06 2001-04-06 김재명 휴대폰의 터치 방식 버튼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8149A (ja) * 1990-01-24 1991-09-25 Nec Corp 携帯無線電話機
JPH09116605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電話装置
JPH1132113A (ja) * 1997-07-08 1999-02-02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US6031525A (en) * 1998-04-01 2000-02-29 New York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KR20000026146A (ko) * 1998-10-17 2000-05-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부 생성 및 검색방법
KR20000013576U (ko)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단일화된 데이터 입력장치
KR20000014926U (ko) * 1998-12-31 2000-07-25 서평원 모션 인식에 의한 전화 단말기의 번호 입력장치
KR20010026403A (ko) * 1999-09-06 2001-04-06 김재명 휴대폰의 터치 방식 버튼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82B1 (ko) * 2000-11-08 2003-08-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
US8059094B2 (en) 2006-01-06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951193B1 (ko) * 2009-08-20 2010-04-06 정진년 부동형 문자입력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WO2011021888A2 (ko) * 2009-08-20 2011-02-24 Jung Jinn Yon 부동형 문자입력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WO2011021888A3 (ko) * 2009-08-20 2011-07-07 Jung Jinn Yon 부동형 문자입력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429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US6630925B1 (en) Double-sided keyboard having two keymats and one activation mat
US7280101B2 (en) Fingertip tactile-sense input devic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it
JP4149930B2 (ja)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両面キーボード
JP3314276B2 (ja) 回路板へのデータ又は信号入力用のマルチ状態マルチ機能キー及びキーボード
US651895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lural entry switches
US5841374A (en) Micro word-pad with tactile multifunctional keys
US20030119543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terchangeable user input module
JP2003536307A (ja) 入力装置とその入力方法
US6477274B1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RU2267183C2 (ru) Устройства ввода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KR20060123099A (ko) 전자 기기용 키 패드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20020011714A (ko) 휴대형 통신기기의 다이얼링 숫자입력장치
KR101072026B1 (ko) 가동형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18988B1 (ko)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200412587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0607109B1 (ko)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JPH10224441A (ja) ペンシル型携帯電話端末装置
KR20070041094A (ko) 방향 감지용 버튼 구조
US7264170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531293B2 (ja) 携帯端末及び機能選択方法
KR20090037652A (ko) 데이터입력장치
JP2003036132A (ja)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30019525A (ko)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