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420A -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420A
KR20020009420A KR1020010042801A KR20010042801A KR20020009420A KR 20020009420 A KR20020009420 A KR 20020009420A KR 1020010042801 A KR1020010042801 A KR 1020010042801A KR 20010042801 A KR20010042801 A KR 20010042801A KR 20020009420 A KR20020009420 A KR 2002000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lexible insulating
hole
conductive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928B1 (ko
Inventor
와따나베야스시
시나노겐이찌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2000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05K3/4053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thick-film techniques
    • H05K3/4069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thick-film techniques for via connections in 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2Adaptations for fluid transport, e.g. channels,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477Inver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78Means for venting or for letting gases esc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4Related to the order of processing steps
    • H05K2203/1461Applying or finishing the circuit pattern after another process, e.g. after filling of vias with conductive paste, after making printed re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72Processing both sides of a PCB by the same process; Providing a similar arrangement of components on both sides; Making interlayer connections from two s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3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circuit boards having internal via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ircuit layers before lamination, e.g. double-sid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05K3/4635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laminating flexible circuit boards using additional insulating adhesive materials between the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있어서,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에 형성한 제 1 도전패턴 (5)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에 형성한 제 2 도전패턴이 제 1 스루 홀 (2a) 에 충전된 제 1 도전재 (23) 에 의해 도통하도록 하였다. 그럼으로써, 생산성이 양호하고 저렴함과 동시에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Flexible Multi-level Wiring Substrate}
본 발명은 차재용 또는 가정용 전기기기 등의 박형 패널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시트형상 스위치 등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구성을 도 19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은 주로 평판형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110) 과 평판형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0) 이 접착제 (130) 에 의해 접합되고, 비접착면에는 각각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110) 측에 제 1 도전패턴 (111)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0) 측에 제 2 도전패턴 (12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110) 에는 스루 홀 (113) 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0) 에는 스루 홀 (123) 이 형성되어 양 스루 홀 (113,123) 이 서로 연이어 통해진 상태로 되어 있고, 그 내벽에 금도금 (140) 이 형성되어 제 1 도전패턴 (111) 과 제 2 도전패턴 (121) 이 도통하고 있다.
또한,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110) 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평판형 필름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면에는 동박으로 이루어진 제 1 도전패턴 (111) 이 에칭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 1 도전패턴 (111) 에는 적층하도록 금도금 (112) 이 전해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0) 도 마찬가지로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평판형 필름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동박으로 이루어진 제 2 도전패턴 (121) 이 에칭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 2 도전패턴 (121) 에는 적층하도록 금도금 (122) 이 전해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110)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0) 은 그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 (130) 에 의해 접착, 접합되어 있다.
이 때, 스루 홀 (113 과 123) 이 대향함과 동시에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되고, 이 스루 홀 (113,123) 의 내벽에는 금도금 (140) 이 실시되어 있으며, 스루 홀 (113,123) 의 비접착면측으로도 삐져나와 있다.
이 금도금 (140) 에 의해 제 1 도전패턴 (111) 과 제 2 도전패턴 (121) 이 도통하고 있다.
종래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는,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110) 에 제 1 도전패턴 (111) 을 에칭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해도금에 의해 금도금 (112) 을 적층하고, 그 후 스루 홀 (113) 을 프레스에 의해 블랭킹 가공한다.
또한,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0) 도 마찬가지로 제 2 도전패턴 (121) 과 금도금 (122) 과 스루 홀 (123) 을 형성한다.
그 후, 적어도 일측 배선기판에 접착제 (130) 를 인쇄 등의 원하는 수단으로 형성하여 양 절연기판을 맞붙인다.
그 후, 연이어 통하는 상태에 있는 스루 홀 (113,123) 의 내벽에 전해도금 등에 의해 금도금 (140) 을 실시하여 제 1 도전패턴 (111) 과 제 2 도전패턴 (121) 을 도통하게 하면, 종래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이 완성된다.
종래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은, 제 1, 제 2 도전패턴 (111,121) 을 에칭에 의해 형성하여 전해도금에 의해 제 1, 제 2 도전패턴 (111,121) 에 금도금 (112,122) 을 적층함과 동시에 스루 홀 (113,123) 에도 금도금을 실시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금도금을 사용하는 점에서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루 홀 (113,123) 의 내벽에 금도금 (14) 을 실시하기 때문에, 그 부착상태에 따라서는 제 1, 제 2 도전패턴 (111,121) 의 도통의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성이 양호하고, 저렴함과 동시에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요부의 확대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1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2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3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4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5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6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7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1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2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3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4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5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6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의 제 7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8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9 는 종래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2 :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a : 스루 홀 (제 1 스루 홀) 2b : 스루 홀
2c : 장착공 2d : 외주단부
3 : 도전재 4 : 도전패턴
5 : 도전패턴 (제 1 도전패턴) 5a : 접속부
6 : 레지스트층 7 : 레지스트층
11 :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2 :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a : 스루 홀 (제 2 스루 홀) 12b : 장착공
12c : 외주단부 13 : 도전재 (제 2 도전재)
14 : 도전패턴 (제 2 도전패턴) 15 : 도전패턴 (제 2 도전패턴)
16 : 레지스트층 17 : 레지스트층
21 : 접착제 21a : 기도 (비형성부)
21b : 기도구 22 : 공간부
23 : 도전재 (제 1 도전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일면 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 1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과,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비접착면에 형성된 제 1 도전패턴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전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은 제 1 스루 홀과, 비접착면측에서 상기 제 1 스루 홀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패턴과 도통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상기 제 1 스루 홀의 접착면측에 있어서의 주변부와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의 공기를 유출할 수 있는 기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재를 구성하는 도전 페이스트가 상기 제 1 스루 홀로부터 상기 공간부에 충전되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 2 도전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로의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충전시,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기도를 통과하여 유출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도가 상기 접착제의 비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도의 기도구를,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외주단부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도의 기도구를, 상기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장착공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2 도전패턴이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접착면측에 형성되고, 이 제 2 도전패턴의 적어도 일부상에 상기 제 1 도전재가 접촉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2 도전패턴이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비접착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에는 상기 제 1 스루 홀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스루 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 2 스루 홀내에 제 2 도전재가 충전되어 이 제 2 도전재에 의해 상기 제 1 과 제 2 도전패턴을 도통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도전재가 도전 페이스트의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접착면측에는 각각 절연성 레지스트층이 형성되고, 이 레지스트층 끼리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요부의 확대평면도, 도 3 ∼ 도 9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 ∼ 도 16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8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구성을 도 1, 도 2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은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과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 을 갖고 있다.
우선,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은 폴레에스테르 필름 등의 가요성을 갖는 평판형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스루 홀로 되는 비교적 큰 원형의 스루 홀 (관통공) (2a) 과, 이 스루 홀 (2a) 에서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비교적 작은 원형 등의 스루 홀 (2b) 과, 이 스루 홀 (2a) 에서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장착공 (2c) 을 갖는다.
그리고, 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스루 홀 (2b) 에는, 은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도전 페이스트가 충전, 즉 도전 페이스트가 스크린인쇄되어 형성된 도전재 (3) 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도전재 (3) 의 일부는 스루 홀 (2b) 에서 삐져나와 스루 홀 (2b) 의 주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에는, 접착면측인 하면과 비접착면측인상면의 각각에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성된 도전패턴 (4,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면에 형성된 도전패턴 (4) 은 도전재 (3) 상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상면에 형성된 도전패턴 (5) 도 도전재 (3) 상에 걸쳐 형성됨과 동시에, 제 1 도전패턴으로 되는 도전패턴 (5) 은 일단이 스루 홀 (2a) 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스루 홀 (2a) 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접속부 (5a) 를 갖고 있다.
그 결과,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상하면에 형성된 도전패턴 (4,5) 은 도전재 (3) 에 의해 도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전패턴 (4,5) 의 재료로 되는 은 페이스트는, 유기용제에 바인더 수지와 도전성 필러를 섞어 잉크상 (페이스트상) 으로 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필러는 도전성 입자를 말하며,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은분말을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금속분말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분말 (예컨대, 은분말에 도전성을 해치지 않을 정도의 카본분말을 섞은 것) 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전성 필러가 분산되는 바인더수지는, 주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접착면측인 하면과 비접착면측인 상면의 각각의 위와, 및 도전패턴 (4,5) 상에는, 접속부 (5a) 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에 레지스트층 (6,7) 이 절연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레지스트층 (6,7) 은 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플라스티졸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DOP (디옥틸프탈레이트) 등의 액상 가소성제에 염화비닐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분말을 분산시키고, 필요에 따라 안정제, 증점제, 안료 등을 더욱 첨가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 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가요성을 갖는 평판형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스루 홀인 비교적 작은 원형의 스루 홀 (관통공) (12a) 과, 이 스루 홀 (12a) 에서 멀어진 위치에 형성된 장착공 (12b) 을 갖는다.
그리고, 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스루 홀 (12a) 에는, 은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도전 페이스트가 충전, 즉 도전 페이스트가 스크린인쇄되어 형성된 제 2 도전재인 도전재 (13) 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도전재 (13) 의 일부는 스루 홀 (12a) 에서 삐져나와 스루 홀 (12a) 의 주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에는, 접착면측인 상면과 비접착면측인 하면의 각각에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성된 제 2 도전패턴으로 되는 도전패턴 (14,1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에 형성된 도전패턴 (14) 은 도전재 (13) 상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하면에 형성된 도전패턴 (15) 도 도전재 (13) 상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패턴 (14,15) 의 재료로 되는 은 페이스트는, 상기 도전패턴 (4,5) 과 동일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착면측인 상면과 비접착면측인 하면의 각각의 위와 도전패턴 (14,15) 상에는, 레지스트층 (16,17) 이 절연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도전패턴 (14) 의 일부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출시키고 있다.
이 레지스트층 (16,17) 의 재료는 상기 레지스트층 (6,7) 과 동일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절연성 접착제 (21) 가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착제 (21) 에 의해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이 접착,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접착제 (21) 가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의 레지스트층 (6) 또는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 의 레지스트층 (16) 에 도포된 후,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의 스루 홀 (2a 와 12a) 을 대향시킴과 동시에,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의 장착공 (2c 와 12b) 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양자를 중첩하여 접착제 (21) 에 의해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이 접착,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 접착제 (21) 는, 레지스트층 (6,7,16,17) 의 주성분인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에 가소제와, 필요에 따라 안정제와 증점제를 첨가한 열가소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플라스티졸로 구성된다.
또한, 이 접착제 (21) 는 접착가능온도가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의 열변형온도보다 낮은 플라스티졸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로서,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의 혼합물을 유화제 및 수용성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유화, 중합한 페이스트 레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로서는, DOP 등의 프탈산계 가소제, 아디프산 디-2-에틸헥실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제로서는, 염기성 탄산염이나 염기성 규소 등의 무기금속화합물, 라우르산이나 각종 금속염 등의 유기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이 접착, 접합되었을 때,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사이에 있어서 스루 홀 (2a) 의 근방에는 공간부 (22) 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21) 는 접착제를 형성하지 않은 띠형상의 비형성부 (기도) (21a)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비형성부 (기도) (21a) 는 공간부 (22) 와 장착공 (2c,12b) 사이 및 공간부 (22) 와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의 외주단부 (2d,12c) 사이에 연이어 통해져 형성되어 잇다.
그리고, 공간부 (22) 의 공기가 기도 (21a) 를 통과하여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의 외주단부 (2d,12c) 및 장착공 (2c,12b) 에서 외부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외주단부 (2d,12c) 및 장착공 (2c,12b) 에 위치하는 기도 (21a) 의 종단이 기도구 (12b)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도 (21a) 는 외주단부 (2d,12c) 또는 장착공 (2c,12b) 중 어느 일측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기도 (21a) 는 접착제 (21) 의 비형성부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접착제 (21) 상에 테이프 등을 부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이 접착, 접합된 후,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의 스루 홀 (2a) 에는 은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도전 페이스트가 충전, 즉 도전 페이스트가 접속부 (5a) 에 겹치도록 스크린인쇄되어 형성된 큰 도전재인 도전재 (23) 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재 (23) 를 구성하는 도전 페이스트가 스루 홀 (2a) 에 충전되었을 때, 도전 페이스트는 스루 홀 (2a) 을 막은 상태에서 충전되는데, 이 때 공간부 (22) 의 공기가 도전 페이스트에 의해 눌려서 공기가 기도 (21a) 를 통과하여 기도구 (21b) 에서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공간부 (22) 내로의 도전 페이스트의 흐름이 원활해져서 도전 페이스트가 도전패턴 (14) 상으로 확실하게 흐른다.
그리고, 이 도전재 (23) 가 형성되었을 때, 도전재 (23) 는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비접착면측에 위치한 도전패턴 (5) 의 접속부 (5a) 와,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착면측에 위치한 도전패턴 (14) 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도전패턴 (5,14) 을 도통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을 도 3 ∼ 도 17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3 ∼ 도 9 는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우선 이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제 1 공정으로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을 블랭킹가공하여 스루 홀 (2a,2b) 및 장착공 (2c) 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어서, 제 2 공정으로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비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스루 홀 (2b) 에 충전한 후, 건조시켜 상부의 도전재 (3) 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 3 공정으로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을 뒤집어서 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스루 홀 (2b) 에 충전한 후, 건조시켜 하부의 도전재 (3) 를 형성함으로써 도전재 (3) 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어서, 제 4 공정으로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비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소성함으로써 도전패턴 (5) 과 접속부 (5a) 를 형성한다.
이 때, 스루 홀 (2a) 의 근방에 인쇄되는 접속부 (5a) 는, 도전 페이스트가 스루 홀 (2a) 에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루 홀 (2a) 에서 약간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 5 공정으로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을 뒤집어서 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소성함으로써 도전패턴 (4) 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6 공정으로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비접착면측에서 절연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레지스트층 (7) 을 형성한다.
이 때, 스루 홀 (2a) 의 근방에 형성된 접속부 (5a) 는 노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 7 공정으로서,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을 뒤집어서 접착면측에서 절연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레지스트층 (6) 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이 제조된다.
이어서,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 의 제조방법을 도 10 ∼ 도 16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제 1 공정으로서,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을 블랭킹가공하여 스루 홀 (12a) 및 장착공 (12b) 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어서, 제 2 공정으로서,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스루 홀 (12a) 에 충전한 후, 건조시켜 상부의 도전재 (13) 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 3 공정으로서,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를 뒤집어서 비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스루 홀 (12a) 에 충전한 후, 건조시켜 하부의 도전재 (13) 를 형성함으로써 도전재 (13) 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어서, 제 4 공정으로서,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소성함으로써 도전패턴 (14) 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5 공정으로서,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을 뒤집어서 비접착면측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소성함으로써 도전패턴 (15) 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6 공정으로서,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착면측에서 절연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레지스트층 (16) 을 형성한다.
이 때, 스루 홀 (12a) 상에 형성된 도전패턴 (14) 은 노출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 7 공정으로서,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을 뒤집어서 비접착면측에서 절연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레지스트층 (17) 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 이 제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접착제 (21) 가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의 스루 홀 (2a 과 12a) 을 대향시킴과 동시에,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의 장착공 (2c 와 12b) 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양자를 중첩하여 접착제 (21) 에 의해 제 1, 제 2 플렉시블 배선기판 (1,11) 이 접착, 접합되어 일체화된다.
그 후, 제 1 플렉시블 배선기판 (1) 의 스루 홀 (2a) 에서 도전 페이스트를 접속부 (5a) 에 겹치도록 스크린인쇄함으로써 충전하고, 건조시켜 도전재 (23) 를 형성하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재 (23) 에 의해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비접착면측에 위치한 도전패턴 (5) 의 접속부 (5a) 와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착면측에 위치한 도전패턴 (14) 을 도통한다.
그리고, 도전재 (23) 를 구성하는 도전 페이스트가 스루 홀 (2a) 에 충전되었을 때, 도전 페이스트는 스루 홀 (2a) 을 막은 상태에서 충전되는데, 이 때 공간부 (22) 의 공기가 도전 페이스트에 의해 눌려서 공기가 기도 (21a) 를 통과하여 기도구 (21b) 에서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이 제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재 (13) 상에는 접착면측에 형성한 도전패턴 (14) 의 일부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전패턴 (14) 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도전체여도 되고, 또한 이 도전체 및 도전패턴 (14) 의 일부를 도전재 (13) 상에서 제거하여 이 도전재 (13) 에 직접 도전재 (23) 를 도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8 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루 홀 (12a) 및 도전재 (13) 등을 없애서 접착면측에 형성한 도전패턴 (14) 에 도전재 (23) 를 도통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품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에 있어서,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에 형성한 제 1 도전패턴 (5)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에 형성한 제 2 도전패턴이 제 1 스루 홀 (2a) 에 충전된 제 1 도전재 (23) 에 의해 도통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금도금하는 것에 비하여 생산성이 양호하고 저렴함과 동시에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의 제 1 스루 홀 (2a) 의 접착면측에 있어서의 주변부와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사이에는 공간부 (22) 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 1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사이에는 공간부 (22) 의 공기를 유출할 수 있는 기도 (21a) 가 형성되고, 공간부 (22) 로의 도전 페이스트의 충전시, 공간부 (22) 의 공기가 기도 (21a) 를 통과하여 유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전 페이스트에 의해 눌린 공기가 기도 (21a) 를 통과하여 기도구 (21b) 에서 외부로 유출되고, 따라서 공간부 (22) 내로의 도전 페이스트의 흐름이 원활해져서 도전 페이스트가 도전패턴 (14) 상으로 확실하게 흐름과 동시에 제 1, 제 2 도전패턴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기도 (21a) 가 접착제 (21) 의 비형성부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용이하게 기도 (21a)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도 (21a) 의 기도구 (21b) 를,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 (2) 또는/및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외주단부 또는/및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을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장착공 (2c,12b) 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기도구 (21b) 를 위하여 별도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도전패턴 (14) 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접촉면측에형성되고, 이 제 2 도전패턴 (14) 의 일부상에 제 1 도전재 (23) 가 접촉하였기 때문에, 제 1, 제 2 도전패턴 (5,14)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도전패턴 (14) 을 배선용 패턴으로 하면, 보다 고밀도의 패턴화가 가능해서 다층배선기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도전패턴 (15) 이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의 비접착면측에 형성되고,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12) 에는 제 1 스루 홀 (2a) 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스루 홀 (12a) 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 2 스루 홀 (12a) 내에 제 2 도전재 (13) 가 충전되어 이 제 2 도전재 (13) 에 의해 제 1 과 제 2 도전패턴 (5,15) 을 도통하였기 때문에, 보다 고밀도의 패턴화가 가능해서 다층배선기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도전재 (23) 가 도전 페이스트의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스루 홀의 수가 많아도 스크린인쇄의 한 번의 공정으로 제 1 도전재 (23) 를 형성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양호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2,12) 의 접착면측에는 각각 레지스트층 (6,16) 이 형성되고, 이 레지스트층 (6,16) 끼리가 접착제 (21) 에 의해 접착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절연기판의 접착면에 형성된 제 1, 제 2 도전패턴 (4,14) 끼리가 대향하는 경우에도, 제 1, 제 2 도전패턴 (4,14) 사이에는 레지스트층 (6,16) 및 접착제 (21) 의 3 층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양자간의 절연저항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일면끼리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제 1 및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과,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비접착면에 형성된 제 1 도전패턴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에 형성된 제 2 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도전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은 제 1 스루 홀과, 비접착면측에서 상기 제 1 스루 홀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패턴과 도통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상기 제 1 스루 홀의 접착면측에 있어서의 주변부와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과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의 공기를 유출할 수 있는 기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재를 구성하는 도전 페이스트가 상기 제 1 스루 홀로부터 상기 공간부에 충전되어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제 2 도전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로의 상기 도전 페이스트의 충전시,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기도를 통과하여 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가 상기 접착제의 비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의 기도구를, 상기 제 1 플렉시블 절연기판과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외주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도의 기도구를, 상기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을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장착공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패턴이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접착면측에 형성되고, 이 제 2 도전패턴의 적어도 일부상에 상기 제 1 도전재가 접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패턴이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비접착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에는 상기 제 1 스루 홀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스루 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 2 스루 홀내에 제 2 도전재가 충전되어 이 제 2 도전재에 의해 상기 제 1 과 제 2 도전패턴을 도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재가 도전 페이스트의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플렉시블 절연기판의 접착면측에는 각각 레지스트층이 형성되고, 이 레지스트층 끼리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KR10-2001-0042801A 2000-07-21 2001-07-16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KR100437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6209A JP3813418B2 (ja) 2000-07-21 2000-07-21 フレキシブル多層配線基板
JPJP-P-2000-00226209 2000-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420A true KR20020009420A (ko) 2002-02-01
KR100437928B1 KR100437928B1 (ko) 2004-06-30

Family

ID=1871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801A KR100437928B1 (ko) 2000-07-21 2001-07-16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59044B2 (ko)
JP (1) JP3813418B2 (ko)
KR (1) KR100437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1869B2 (en) * 2001-09-26 2005-07-26 Fujikura Ltd. Interlayer connection structure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method of forming land thereof
US6954987B2 (en) * 2003-05-22 2005-10-18 Powerwave Technologies, Inc. Method of interconnecting a circuit board to a substrate
US20050092519A1 (en) * 2003-11-05 2005-05-05 Beauchamp John K. Partially flexible circuit board
US7427717B2 (en) * 2004-05-19 2008-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340385A (ja) 2004-05-25 2005-12-08 Nitto Denko Corp 配線回路基板および配線回路基板の接続構造
US20050265650A1 (en) * 2004-05-27 2005-12-01 Sunil Priyadarshi Small profile,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subassembly
JP4468464B2 (ja) * 2008-03-28 2010-05-26 株式会社東芝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電子機器
US20100134995A1 (en) * 2008-12-02 2010-06-03 Raytheon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JP5578808B2 (ja) * 2009-05-15 2014-08-27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
US8354595B2 (en) 2010-04-21 2013-01-15 Raytheon Company Adhesive reinforced open hole interconnect
WO2013106773A2 (en) 2012-01-12 2013-07-18 Synaptics Incorporated Single layer capacitive imaging sensors
JP5889718B2 (ja) * 2012-05-30 2016-03-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構造体及び入力装置、ならびに、前記実装構造体の製造方法
US9552089B2 (en) 2013-08-07 2017-01-24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ing using a matrix electrode pattern
US9298325B2 (en) 2013-09-30 2016-03-29 Synaptics Incorporated Processing system for 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10042489B2 (en) 2013-09-30 2018-08-07 Synaptics Incorporated Matrix sensor for image touch sensing
US20150091842A1 (en) 2013-09-30 2015-04-02 Synaptics Incorporated Matrix sensor for image touch sensing
JP5681824B1 (ja) * 2013-10-01 2015-03-11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459367B2 (en) 2013-10-02 2016-10-04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or driving technique that enables hybrid sensing or equalization
US9274662B2 (en) 2013-10-18 2016-03-01 Synaptics Incorporated Sensor matrix pad for performing multiple capacitive sensing techniques
US9081457B2 (en) 2013-10-30 2015-07-14 Synaptics Incorporated Single-layer muti-touch capacitive imaging sensor
DE102014102519A1 (de) * 2014-02-26 2015-08-27 Schreiner Group Gmbh & Co. Kg Folienverbund mit elektrischer Funktionalität zum Aufbringen auf ein Substrat
US9798429B2 (en) 2014-02-28 2017-10-24 Synaptics Incorporated Guard electrodes in a sensing stack
US10133421B2 (en) 2014-04-02 2018-11-20 Synaptics Incorporated Display stackups for matrix sensor
US9927832B2 (en) 2014-04-25 2018-03-27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having a reduced border region
US9690397B2 (en) 2014-05-20 2017-06-27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ctive pen with a matrix sensor
US10175827B2 (en) 2014-12-23 2019-01-08 Synaptics Incorporated Detecting an active pen using 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9778713B2 (en) 2015-01-05 2017-10-03 Synaptics Incorporated Modulating a reference voltage to preform capacitive sensing
US9939972B2 (en) 2015-04-06 2018-04-10 Synaptics Incorporated Matrix sensor with via routing
US9715304B2 (en) 2015-06-30 2017-07-25 Synaptics Incorporated Regular via pattern for sensor-based input device
US10095948B2 (en) 2015-06-30 2018-10-09 Synaptics Incorporated Modulation scheme for fingerprint sensing
US9720541B2 (en) 2015-06-30 2017-08-01 Synaptics Incorporated Arrangement of sensor pads and display driver pads for input device
CN205028263U (zh) 2015-09-07 2016-02-10 辛纳普蒂克斯公司 一种电容传感器
US10037112B2 (en) 2015-09-30 2018-07-31 Synaptics Incorporated Sensing an active device'S transmission using timing interleaved with display updates
US10067587B2 (en) 2015-12-29 2018-09-04 Synaptics Incorporated Routing conductors in an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sensing device
CN106933400B (zh) 2015-12-31 2021-10-29 辛纳普蒂克斯公司 单层传感器图案和感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374U (ko) * 1985-03-08 1986-09-18
US5448020A (en) * 1993-12-17 1995-09-05 Pendse; Rajendra 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rolled impedance flex circuit
EP0700630B1 (de) * 1994-03-23 2003-02-05 Dyconex AG Folienleiterplatt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499444A (en) * 1994-08-02 1996-03-19 Coese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rigid flex printed circuit board
DE69634597T2 (de) 1995-11-17 2006-02-09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Mehrschichtige leiterplatte, vorgefertigtes material für diese leiterplatt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schichtigen leiterplatte, packung elektronischer bauelemen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tikaler, elektrisch leitender verbindungen
US5997983A (en) * 1997-05-30 1999-12-07 Teledyneindustries, Inc. Rigid/flex printed circuit board using angled prepre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3418B2 (ja) 2006-08-23
JP2002043761A (ja) 2002-02-08
US6459044B2 (en) 2002-10-01
US20020009578A1 (en) 2002-01-24
KR100437928B1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928B1 (ko) 플렉시블 다층배선기판
US3501831A (en) Eyelet
JPH0239877B2 (ko)
US5914534A (en) Three-dimensional multi-layer mold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03283594A (ja) 回路基板
CN103635006B (zh) 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3871487B2 (ja) フレキシブル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139790A (ja) 多層配線基板
JPH0342714B2 (ko)
CN109168249A (zh) 一种电路板及其制作方法
JP3812741B2 (ja) 多層配線板
JP2547650B2 (ja) 抵抗体を内層した多層基板
JPS593879B2 (ja) 印刷配線板の製造法
JPS5917997B2 (ja) 印刷配線板
US20030072142A1 (en) Wiring board with termin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216796A (ja) 可撓性多層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99189A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接続構造
EP0908077A1 (en) Multi-layer stamped electrically conductive circui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347341Y2 (ko)
JPS5922388B2 (ja) 配線基板へのフレキシブル基板接着方法
JPS6348156B2 (ko)
JPS6030116B2 (ja) 印刷配線板
JPH11186732A (ja) 多層基板の製造方法
JPH0439991A (ja) 多層プリント基板
JPH04164391A (ja) 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