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987Y1 -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 Google Patents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987Y1
KR200198987Y1 KR2020000012485U KR20000012485U KR200198987Y1 KR 200198987 Y1 KR200198987 Y1 KR 200198987Y1 KR 2020000012485 U KR2020000012485 U KR 2020000012485U KR 20000012485 U KR20000012485 U KR 20000012485U KR 200198987 Y1 KR200198987 Y1 KR 200198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se
finger
seating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4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2020000012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9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987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마우스를 동작시킬 때 뿐만 아니라 동작시키지 않을 때의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마우스가 게시된다. 상기 마우스는 기능위치(functional position) 상태로 움켜쥘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버튼,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곡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각 해당 손가락 위치에 홈이 마련되어진다. 손의 근육과 뼈에 가장 부담을 주지 않는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마우스를 사용하므로 손가락과 손목에 거의 피로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마우스 버튼을 동작시키지 않을 때 검지와 중지를 안착해 둘 수 있는 안착부를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마우스 버튼 상에 검지와 중지를 안착할 때 항상 동반되던 손가락의 긴장감이 해소된다. 더욱이, 마우스 파지시에 모든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통하여 더욱 편한 상태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다.An ergonomic mouse has been published that can minimize finger fatigue when not only operating the mouse. The mouse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being grasped in a functional position,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roove at each corresponding finger position to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user's finger. Since the mouse is used in the functional position that does not put the most burden on the muscles and bones of the hand, little fatigue is applied to the fingers and wrists. In addition, by providing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when the mouse button is not operated, the tension of the finger that is always accompanied wh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is seated on the conventional mouse button is eliminated. Moreover, the mouse can be operated in a more comfortable state through the groove that can naturally accommodate all the fingers when holding the mouse.

Description

인체공학적 마우스{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본 고안은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를 파지할 때 각 손가락과 손바닥이 편안하게 안착되고 마우스를 동작시킬 때에는 손가락에 피로감이 최대한 덜 느껴지는 구조를 가진 인체공학적인 마우스가 게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and more particularly, an ergonomic mous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each finger and palm are comfortably seated when the mouse is gripped and the finger feels fatigue as little as possible when the mouse is operated.

최근 시판되는 멀티미디어 퍼스털 컴퓨터의 입력장치로서 반드시 필요한 마우스는 볼(ball)을 내장한 케이스를 평면상에서 움직이면 볼의 회전에 의해서 X 또는 Y 방향의 신호가 발생되어지고 이러한 신호에 의해서 모니터상의 커서가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A mouse necessary as an input device of a multimedia personal computer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in recent years, when a case in which a ball is embedded is moved on a plane, a signal in the X or Y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all, and the cursor on the monitor is generated by this signal. Can be moved to any position.

컴퓨터 사용시 매우 빈번하게 사용하는 마우스는 장시간 동안 사용하다보면 특히 검지손가락과 손목에 큰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것은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한 피로도 있겠지만 그 주요인은 마우스의 구조 및 버튼 장착위치 등이 사용자의 손 구조와 맞지 않아 부자연스러운 손가락 동작이 반복되어지기 때문이다.The mouse, which is used very frequently when using a computer, feels great fatigue especially on the index finger and wrist when used for a long time. This may cause fatigue due to prolonged use, but the main reason is that the mouse's structure and the button mounting position do not match the structure of the user's hand and the unnatural finger motion is repeated.

도 1은 종래 마우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마우스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us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mouse shown in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5)의 일측면에 버튼(1)이 마련되어지고 버튼(1)의 내측면으로부터는 하부하우징(2)에 설치되어 있는 푸쉬스위치(3)을 스위칭 할 수 있도록 누름편(4)이 마련된다.1 and 2, the button 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5, and the push switch 3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 is switch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1. The pressing piece 4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made.

버튼(1)을 동작시키려면 마우스 직상부로부터 힘이 가해져야 하고 누름편(4)을 통하여 푸쉬스위치(3)가 스위칭 되어진다.To operate the button 1 a force must be applied from the top of the mouse and the push switch 3 is switched via the pressing piece 4.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마우스는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use described above has some problems.

먼저, 종래의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검지와 중지 등의 손가락을 거의 곧게 펼 수 밖에 없다. 즉, 마우스 본체의 상부면이 약간의 곡률만을 가지고 둥글게 형성되어 있고, 버튼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부면과 거의 같은 곡률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검지와 중지의 마디를 거의 편 채로 마우스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손가락을 움직이려면 손가락 뿌리부분(손등에 가까운 손가락부분)을 중심으로 손가락 전체를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그만큼 피로가 유발된다.First, in order to use a conventional mouse, the fingers such as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are almost straightened out. That is,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mouse body is rounded with only a slight curvature, and the button is naturally connected to the same curvatur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ouse body, the user can use the mouse with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almost flat. do. In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entire finger must be moved at the same time around the root portion of the finger (finger portion close to the back of the hand) to move the finger, the fatigue is caused.

또한, 마우스 버튼은 조그마한 힘만 가해져도 신호입력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신호입력을 원치 않을 때는 마우스 버튼을 누르지 않으려고 검지와 중지를 위로 들어올리려는 힘을 의식적으로 계속 손가락에 가하게 된다. 이 또한 손가락을 피로하게 하는 주 요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use button is a signal input even if a small force is applied, the user consciously applies a force to lift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upward to avoid pressing the mouse butto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input the signal. This is also a major factor in finger fatigue.

더욱이, 종래의 마우스에서는 약지 마디중 일부분은 마우스 모서리에 지속적으로 접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하고, 엄지는 항상 펴져 있어야 하므로 이 또한 사용상 불편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mouse, part of the ring finger must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mouse corner,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and the thumb must be open at all times, which is also inconvenient to use.

상술된 종래의 마우스 버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은 마우스 사용시, 손가락을 가장 편한 상태 즉, 약간 구부린 상태로 두게 하고, 버튼 동작시에는 손가락 전체가 아니라 손가락 끝 마디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The basic concept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mouse button described above is to allow the finger to be in the most comfortable state, that is, slightly bent when using the mouse, and to move only the tip of the finger rather than the entire finger when the button is operated.

본 고안은 종래의 마우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검지와 중지로 마우스 버튼 또는 마우스휠을 동작시킬 때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use,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use that can minimize the fatigue when operating the mouse button or mouse wheel with the index and middle fing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 버튼을 동작시키지 않을 때 검지와 중지를 안착해 둘 부위를 마련함으로써, 종래 마우스의 경우 버튼 상에 검지와 중지를 안착시킬 때 수반되던 의식적인 힘을 주지 않아도 되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 for restraining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when the mouse button is not operated, thereby providing a mouse that does not need to give the conscious force involved in resting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n the button. To prov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매우 용이하고도 편안하게 마우스를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인체공학적인 구조의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se of an ergonomic structure having a shape that can grip the mouse very easily and comfortably.

도 1은 종래 마우스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us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의 정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se shown in FIG.

도 3은 기능위치(functional posit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al posi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마우스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mouse shown in FIG. 3;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휠이 구비된 마우스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se provided with a mouse whe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휠이 구비된 마우스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se provided with a mouse whe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본체 15;중지로 작동되는 버튼12; body 15; button to stop operation

17;검지로 작동되는 버튼 20;안착부17; detective button 20; seat

21;검지안착부 22;중지안착부21; Detection seat 22; Stop seat

25;관절지지부 30;엄지파지부25; joint support part 30; thumb grip part

40;약지수용홈 50;소지수용홈40; medicine accommodation groove 50; possession accommodation groove

65;검지수용홈 70;중지수용홈65; Detecting groove 70; Detecting groove

80;제1돌출부 82;제2돌출부80; first projection 82; second projection

84;제3돌출부 86;제4돌출부84; third projection 86; fourth projection

90;마우스휠90; Mouse wheel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위치(functional position) 상태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가 게시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of a shape that can be gripped in a functional position (functional position) state,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ody and the body The ergonomic mou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in front of the.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마우스의 기본개념은 사용자의 손에 가장 피로감을 덜 주는 인체공학적 구조의 마우스이다.The basic concept of the mous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use of the ergonomic structure that gives the user the least fatigue.

상기와 같은 마우스는 손가락의 뼈와 손가락 근육이 가장 편안한 상태, 즉, 의학적으로는 기능위치(functional position) 상태의 손 위치를 취하며 움켜쥘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Such a mous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nes of the fingers and the finger muscles can be grasped while taking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that is, the medical position of the hand.

이하, 손가락에 관한 설명에서 손가락 끝에 위치한 마디를 손가락 끝마디, 손가락 가운데 위치한 마디를 손가락 중간마디, 그리고 손의 뿌리 쪽에 위치한 마디를 손가락 뿌리마디로 각각 호칭하기로 한다. 단, 엄지의 경우, 손톱이 위치하는 마디는 엄지 끝마디 그리고 상기 엄지 끝마디와 연결된 마디를 뿌리마디로 호칭한다. 즉, 엄지의 경우 상기 엄지 끝마디와 뿌리마디만을 거론하도록 한다.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finger, the node located at the end of the finger is referred to as the fingertip node, the nod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inger, the middle node of the finger, and the node located at the root of the hand. However, in the case of a thumb, the node where the nail is located is called the tip of the thumb and the node connected to the tip of the thumb as the root node. That is, in the case of a thumb, only the tip of the thumb and the root node are discussed.

도 3은 상기 기능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posi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위치라 함은 손 근육에 장력이 거의 유발되지 않는 상태의 손의 위치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목 관절을 꺽지 않고 편 상태에서, 엄지의 경우 지절(7)에서 15도 내지 25°정도를 가지고, 중수지간 관절(6)에서는 20도 내지 30°정도의 굴곡도를 가진다. 여기서 지절(7)이란 엄지 끝마디와 엄지 뿌리마디 사이의 관절을 말하고, 중수지간 관절(6)은 엄지 뿌리마디와 손뼈몸체 사이의 관절을 말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functional position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hand in a state that hardly causes tension in the hand muscles. More specifically, in a flat state without bending the wrist joint, the thumb has a degree of about 15 degrees to 25 degrees in the joint 7, and the mesoprosthesis joint 6 has a degree of flexion of about 20 degrees to 30 degrees. Here, the branch (7) refers to the joint between the end of the thumb and the root of the thumb,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6) refers to the joint between the root of the thumb and the hand bone body.

또한, 상기 기능위치에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의 경우, 중수지간 관절(8)은 20°내지 30°, 근위지절(9)은 40°내지 50°, 원위지절(10)은 10°내지 20°정도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중수지간 관절(8)은 손의 손뼈몸체와 손가락 뿌리마디 사이의 관절이고, 근위지절(9)은 손가락의 중간마디와 손가락 뿌리마디 사이의 관절이며, 원위지절(10)은 손가락 중간마디와 손가락 끝마디 사이의 관절을 말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in the functional position, the intermediary metacarpal joint 8 is 20 ° to 30 °, the proximal limb 9 is 40 ° to 50 °, and the distal limb 10 is 10 ° to 20 Take a degree. Here,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8) is a joint between the knuckle body of the hand and the root of the finger, the proximal limb (9) is a joint between the middle node of the finger and the root of the finger, and the distal finger joint (10) is the middle finger. And joint between the fingertip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본체는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를 움켜쥐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바닥면과 손바닥면의 곡률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Mous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palm of the user's finger when grasp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엄지 손가락 끝마디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한 홈인 엄지 파지부가 마련되어진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humb gripping portion that is a concave groove in which a thumb tip can be accommodated in a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humb is locat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또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검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검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검지 수용홈, 중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중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중지 수용홈, 약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약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약지 수용홈 및 소지(새끼손가락)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소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소지 수용홈이 마련되어진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an index receiv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ex finger in the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ex finger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the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finger is located Stop receiving groove which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receiv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finger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finger is located A holding accommodation groove is provided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body can be accommodated.

또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검지와 중지의 끝마디와 둘째마디 사이의 관절부위가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관절지지부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관절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동작시킬 때, 상기 관절지지부에 중지 또는 검지의 끝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관절을 축으로 하여 손가락 끝마디 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거의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도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joint support part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is a portion where the joint between the end of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and second stops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is provided do. By providing the joint support, when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only the fingertip is used as the axis between the end and middle nodes of the middle finger or the index finger on the joint suppor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ouse for a long time without almost feeling fatigue. .

한편, 상기 버튼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검지의 끝마디와 중지의 끝마디가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어져 버튼 동작이 최대한 용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index and the end of the stop contact the main body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the button operation is as easy as possible.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버튼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om the lower position of the butt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는 검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높이가 중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높이보다 더 높게 마련되고, 중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돌출정도가 검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돌출정도 보다 더 크게 마련되어져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 검지와 중지의 위치를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안착부로 자연스럽게 옮겨 놓아 둘 수 있어, 손가락의 피로도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Preferably,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te for seating the middle finger,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site for seating the middle finger is provided greater than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ite for seating the index finger. When the mouse is not used, the position of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can be naturally moved from the button to the seating portion, which serves to reduce finger fatigue.

또한,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은 상기 버튼의 전면 위치에 검지안착홈과 중지안착홈이 마련되어져 검지와 중지 끝을 보다 편하게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ating groove and a stop seating groove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button can be more comfortable to seat the end of the detection and the stop.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우스는 엄지파지부 위치 또는 복수의 버튼 사이에 마우스 휠을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se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mouse wheel between the thumb grip position or a plurality of buttons.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우스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마우스 파지시, 마우스 상부면과 손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이 거의 완전밀착 상태로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손의 하중이 손바닥 전체로 골고루 분산되어 손에서 느끼는 피로감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The mo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o that when the mouse is gripped, the mouse is used in almost perfect contact with littl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se and the palm surface, so that the load of the palm of the hand is increased. I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so there is little fatigue in the hand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우스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mous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우스의 평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mouse shown in FIG.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2)는 사용자가 기능위치 상태(도 3 참조)로 본체(12)를 파지했을 때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엄지 손가락 끝마디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한 홈인 엄지파지부(30)가 마련되어진다.4 and 5,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12 in a functional position state (see FIG. 3), the tip of the thumb may be accommodated in a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humb is located. A thumb gripping portion 30 that is a recessed groove is provided.

또한, 본체(12)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본체(12)를 파지했을 때 검지의 바닥면(손가락 외부면 중 마우스 파지시 본체와 접촉하는 부위)이 위치하는 부위에 검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검지수용홈(65), 중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중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중지 수용홈(70), 약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약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약지수용홈(40, 도 5 참조) 및 소지(새끼손가락)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소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소지수용홈(50, 도 5 참조)이 마련되어진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2 has a bottom surface of the index finger at a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ex fing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nger that contacts the main body when the mouse is held) is locat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12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Index accommodating groove 65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stop receiving groove 70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finger in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in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finger is located Retaining grooves 50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40, Fig. 5) and the holding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in the plac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little finger) 50 , See FIG. 5).

또한, 엄지파지부(30)과 검지수용홈(65)의 사이와, 검지수용홈(65)과 중지수용홈(70)의 사이와, 중지수용홈(70)과 약지수용홈(40)의 사이와, 약지수용홈(40)과 소지수용홈(50)의 사이에는 각각 본체(12)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돌출부(80), 제2돌출부(82), 제3돌출부(84), 제4돌출부(86)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체(12)를 움켜쥘 때 손가락이 좀더 편안히 본체(12)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thumb holding portion 30 and the index receiving groove 65, between the index receiving groove 65 and the stop receiving groove 70, and the stop receiving groove 70 and the medicine receiving groove 40 Between the medicament receiving groove 40 and the holding groove 50, the first projection 80, the second projection 82, the third projection 84, which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12, respectively, The fourth protrusion 86 is provided to allow the fingers to rest more comfort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 when the user grabs the body 12.

본체(12)는 상기의 형상을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의 상태로 본체(12)를 파지할 때, 본체(12) 상부면과 손바닥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이 완전밀착에 가깝게 파지할 수 있어서 손 하중이 손바닥 전체면에 골고루 분산되어 손바닥에 피로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The main body 12 can hold the main body 12 in such a state that the user can grip the main body 12 in the state of the functional position, so that the main body 12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almost no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 and the palm. Hand load i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palm of the palm, which makes the palm hardly fatigued.

또한, 본체(12)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본체(12)를 파지했을 때 검지와 중지의 끝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관절부위가 위치하는 본체(12)상의 부위가 본체(12)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관절지지부(25)를 더 포함하게 된다. 관절지지부(25)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15,17)을 동작시킬 때, 관절지지부(25)에 중지 또는 검지의 끝마디와 중간마디 사이의 관절을 축으로 하여 손가락 끝마디 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거의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도 장시간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2 has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2 in which a portion on the main body 12 where the joint between the end and middle nodes of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is locat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12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It further includes a joint support 25 is provided to protrude. By providing the joint support 25, when the user operates the buttons 15 and 17, almost fatigue is felt because only the fingertip node is used as the axis between the end and middle nodes of the middle finger or the index finger on the joint support 25. You can use the mouse for a long time without feeling it.

한편, 버튼(15,17)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본체(12)를 파지했을 때 검지의 끝마디와 중지의 끝마디가 본체(12)에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어져 버튼(15,17) 동작이 최대한 용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s (15, 17) are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index finger and the end of the stop contact the main body 12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12 in the state of the functional position to operate the buttons (15, 17) This is as easy as possible.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지로 작동되는 버튼(15)이 검지로 작동되는 버튼(17) 보다 본체(12)의 더 앞쪽으로 마련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중지와 검지의 길이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서 버튼 작동시에 손가락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5, the button 15 actuated by the stop is provided further to the front of the body 12 than the button 17 actuated by the index finger. Such a structure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index finger and does not burden the finger at all when the button is operated.

안착부(20)는 버튼(15,17)의 하부 위치로부터 본체(12)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중지와 검지의 길이 차이를 고려하여, 검지를 안착하는 부위인 검지안착부(21)의 높이가 중지를 안착하는 부위인 중지안착부(22)의 높이보다 더 높게 마련되고, 중지안착부(22)의 돌출정도가 검지안착부(21)의 돌출정도 보다 더 크게 마련되어져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 검지와 중지를 버튼(15,17)으로부터 안착부(20)로 옮겨 놓아 둘 수 있어 손가락의 피로도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eating portion 20 protrudes from the lower positions of the buttons 15 and 17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2. Preferably,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index finger, the height of the index seating portion 21, which is a portion for seating the index finger, is provid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seating portion 22, which is a portion for seating the middle finger,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seating part 22 is greater than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detecting seat 21, so that when the mouse is not used,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are moved from the buttons 15 and 17 to the seating part 20. It can help reduce finger fatigue.

바람직하게는, 검지안착부(21)과 중지안착부(22)의 상부면에는 검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인 검지안착홈과 중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인 중지안착홈이 각각 마련되어져 검지와 중지 끝을 보다 편하게 놓아둘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ction seat 21 and the stop seating part 22 is provided with a stop seating groove which is a groove for seating the finger and a stop seating groove which is a groove for seating the middle finger. You can put more comfortably.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우스에 부가하여 마우스휠이 더 부착되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se wheel is further attached to the mouse.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휠이 부착된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휠이 부착된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mouse with a mouse wheel attach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shows a mouse with a mouse wheel attach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마우스휠(90)은 엄지를 파지하는 위치에 본체(12) 바닥에 평행하게 누운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우스휠(90)을 구비함으로써 마우스를 파지한 엄지를 제외한 다른 손가락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엄지만을 사용하여 마우스휠(90)을 조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ouse wheel 90 is provided in a form of lying down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2 at a position where the thumb is gripped. By providing the mouse wheel 90 as described above, the mouse wheel 90 can be operated using only the thumb without mov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fingers except the thumb holding the mouse.

도 7을 참조하면, 통상의 마우스휠처럼 마우스휠(90)은 두 버튼(15,17) 사이에 마련되어진다.Referring to FIG. 7, the mouse wheel 90 is provided between two buttons 15 and 17, as in a conventional mouse wheel.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손가락 끝마디 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손가락에 거의 피로감을 주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m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uses only the fingertips, the user hardly feels fatigue.

또한, 마우스 파지시, 마우스 상부면과 손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이 거의 완전밀착 상태로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손의 하중이 손바닥 전체로 골고루 분산되어 손바닥에서 느끼는 피로감이 거의 없다.In addition, when the mouse is gripped, the mouse is used almos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littl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se and the palm surface, so that the hand load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alm and there is little fatigue feeling in the palm.

또한, 마우스 버튼을 동작시키지 않을 때 검지와 중지를 안착해 둘 수 있는 안착부를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마우스 버튼 상에 검지와 중지를 안착할 때 항상 동반되던 손가락의 긴장감이 해소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when the mouse button is not operated, the tension of the finger that is always accompanied wh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is seated on the conventional mouse button is eliminated.

더욱이, 마우스 파지시에 모든 손가락과 손바닥을 자연스럽게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을 통하여 거의 피로를 느끼지 않는 상태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다.Moreover, the mouse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little fatigue is felt through the groove that can naturally rest all fingers and palms when holding the mous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우스에 대해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the mous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is field can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Claims (13)

기능위치(functional position) 상태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의 본체;A main body shaped to be gripped in a functional position;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버튼; 및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An ergonomic mouse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손목 관절을 꺽지 않고 편 상태에서, 엄지의 경우 지절에서 15°내지 25°로 굴곡되고, 중수지간 관절에서는 20°내지 30°로 굴곡되며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경우, 중수지간 관절은 20°내지 30°로 굴곡되고, 근위지절은 40°내지 50°로 굴곡되며, 원위지절은 10°내지 20°정도로 굴곡된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의 상부를 움켜쥐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바닥면과 손바닥면의 곡률을 수용하여 손바닥면과 상기 본체 상부면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user unfolds the wrist joint, is bent 15 ° to 25 ° in the case of the thumb, bends 20 ° to 30 ° in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and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fingers except the thumb,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bends 20 ° to 30 °, the proximal limb is bent 40 ° to 50 °, and the distal limb is bent 10 ° to 20 °. When receiving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palm of the user's finger, the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a shape with almost no space between the palm surface and the upper body surfa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엄지손가락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엄지 손가락 끝마디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한 홈인 엄지 파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is an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umb is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end of the thumb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where the thumb of the thumb is locat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검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검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검지 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is an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receiving groove which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ex finger is provid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중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중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중지 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is an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receiving groov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of the stop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약지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약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약지 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is an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finger receiv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finger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is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소지(새끼손가락)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 소지의 바닥면의 곡률이 수용될 수 있는 소지 수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olding receiving groove which can accommodate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t the sit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little finger) is locat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Ergonomic Mous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검지와 중지의 끝마디와 둘째마디 사이의 관절부위가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관절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ain body may include a joint supporting part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joint position between the end and second nodes of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is locat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Ergonomic mous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버튼은 사용자가 상기 기능위치 상태로 상기 본체를 파지했을 때 검지의 끝마디와 중지의 끝마디가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button is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in the functional position state that the end of the index finger and the end of the stop contact the main body.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9,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버튼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seating part is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ower position of the butt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안착부는 검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높이가 중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높이보다 더 높게 마련되고, 중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돌출정도가 검지를 안착하는 부위의 돌출정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ight of the site for seating the index finger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te for seating the middle finger,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ite for seating the middle finger is greater than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ite for seating the index finger. mous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은 상기 버튼의 전면 위치에 검지안착홈과 중지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ergonomic m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seating groove and the stop seat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butt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마우스는 상기 엄지파지부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버튼 사이에 마련되는 마우스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공학적 마우스.The mouse further comprises a mouse wheel provided between the thumb grip position or the plurality of buttons.
KR2020000012485U 2000-05-02 2000-05-02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KR2001989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485U KR200198987Y1 (en) 2000-05-02 2000-05-02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485U KR200198987Y1 (en) 2000-05-02 2000-05-02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987Y1 true KR200198987Y1 (en) 2000-10-02

Family

ID=1965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485U KR200198987Y1 (en) 2000-05-02 2000-05-02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98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540B1 (en) * 2014-06-12 2015-08-13 손정만 A notebook device including finger m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540B1 (en) * 2014-06-12 2015-08-13 손정만 A notebook device including finger m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2165A (en) Ergonomically-shaped hand controller
CA2529466C (en) Ergonomic pointing device
US4035865A (en) Implements usable by persons afflicted with arthritis
EP1159706B1 (en) Safe and handy pointing device
US6124846A (en) Pointing device with ergonomic features
JP4414101B2 (en) Shaping computer mouse
US7701443B2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030098851A1 (en) Pointing means for a computer
TW554282B (en) Ergonomic computer mouse
EP0843847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6847352B2 (en) Stress relieving mouse
US20060007152A1 (en) Computer finger mouse
EP1063609A3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090213068A1 (en) Ergonomic Pointing Device
EP1500073A1 (en) Ergonomically shaped computer pointing device
KR200198987Y1 (en) Mouse having biomechanical structure
US6781573B1 (en) Ergonomic mouse
WO2000029933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KR200260281Y1 (en) Subsidiary Glove for Computer Mouse
KR200209274Y1 (en) mouse
JP2001243013A (en) Mouse to be gripped only with tip of finger so as to be operated and wrist placing stand for reducing load of wrist
NL1023173C2 (en) Ergonomic computer mouse is for exchange effects with computer and comprises housing and at least one mainly flat support side which in use supports housing on base
KR200215330Y1 (en) Upright pointer device
KR200181260Y1 (en) Finger pressure mouse of personal computer
KR200360662Y1 (en) The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