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274Y1 -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 Google Patents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274Y1
KR200196274Y1 KR2020000011437U KR20000011437U KR200196274Y1 KR 200196274 Y1 KR200196274 Y1 KR 200196274Y1 KR 2020000011437 U KR2020000011437 U KR 2020000011437U KR 20000011437 U KR20000011437 U KR 20000011437U KR 200196274 Y1 KR200196274 Y1 KR 200196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ound card
jack
headphone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민선
Original Assignee
조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선 filed Critical 조민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274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증폭스피커와 헤드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 sound card sound output switch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computer sound card to one of an amplified speaker and headphon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의 전면부 또는 상부나 컴퓨터 모니터의 일측에 부착 설치 가능하도록 상자(30)형태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는 외부 스피커 접속용 증폭스피커 잭(23)과 헤드폰 접속용 헤드폰 잭(17)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내부적으로 병렬 접속하고 그 병렬 접속점에는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출력 잭에 삽입하기 위한 스피커 플러그(25)를 가지는 와이어를 다시 병렬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상기 헤드폰 잭(17)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마이크 잭(16)의 단자에는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입력 잭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 플러그(24)를 가지는 와이어를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상기 헤드폰 잭(17)과 상기 병렬접속점 사이에는 헤드폰 음량조절을 위한 음량조절기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in the form of a box 30 to be attached to the front or top of the computer main body or one side of the computer monitor, the inside of the amplified speaker jack 23 and headphones for connecting external speakers therein The connection headphone jacks 17 are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internally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wires having speaker plugs 25 for insertion into the audio output jacks of the sound card are connected in parallel again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a wire having a microphone plug 24 for insertion into an audio input jack of a sound card is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microphone jack 16 installed adjacent to the headphone jack 17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17) and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inserting a volume controller for volume control of the headphones.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컴퓨터 이용자가 음악청취시나 음성/영상 채팅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통화시, 원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음량조절도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omputer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audio output mode and also the volume control when listening to music, voice / video chat or telephone calls using a computer.

Description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장치{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Switch device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 내부의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출력통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스위치 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스크 탑 컴퓨터 케이스의 전면부나 상면부 또는 모니터의 일측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switching the audio output path of the sound card in the computer as desired by the user, in particular, it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or top of the desktop computer case or to one side of the moni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sound card sound output switch device.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조를 보면 그 내부의 샤시에 다수의 베이를 갖는 메인보드가 장착되고 이 메인보드에 마련된 각각의 베이에는 그래픽카드, 통신카드, 사운드카드 등 다수의 카드가 삽입 설치된다. 이 중에서 통신카드인 경우 외부의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컨넥터 잭이 바깥쪽, 즉 컴퓨터 본체의 후방 측으로 마련되어 있어 여기에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 접속구가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있다.In the structure of a general computer, a main board having a plurality of bays is mounted in a chassis therein, and a plurality of cards such as a graphics card, a communication card, and a sound card are inserted into each bay provided in the motherboard. Among them, 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card, a cable connector jack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cabl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computer main body, so that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ports such as telephone lines can be coupled thereto.

또, 사운드 카드의 경우도, 외부 음성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마이크 입력 잭과 라인 입력 잭, 그리고 스피커 출력 잭이 컴퓨터 본체의 후방을 향해 노출되게 설치되고 있다.Also, in the case of a sound card, a microphone input jack, a line input jack, and a speaker output jack for receiving an external audio signal are provided to be exposed toward the rear of the computer main body.

한편, 컴퓨터의 후방을 보면 종류와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케이블이 복잡하게 결선되고 있다. 이것은 마우스 케이블, 키보드 케이블, 모니터 케이블, 나아가서는 스캐너, 프린터 등을 연결하는 케이블 등에 기인한다. 여기에 더불어 통신모뎀 등을 접속하기 위한 통신케이블과 음성을 입출력시키기 위한 사운드 케이블이 설치될 경우 그 복잡성은 더욱 증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rear of the computer, various types of cables having different types and lengths are complicatedly connected. This is due to a cable connecting a mouse cable, a keyboard cable, a monitor cable and even a scanner, a print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lexity is further increased when a communication cabl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modem and the like and a sound cable for inputting / outputting voice are installed.

통상 사운드카드는 자체의 사운드 출력이 약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분한 음량을 얻을 수 있도록 대부분의 컴퓨터 메이커 측에서는 별도의 증폭스피커를 패키지로 묶어서 소비자들에게 판매한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자는 증폭스피커를 컴퓨터 결합시켜둔 채로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the sound card has a weak sound output, so most computer makers package amplified speakers in a package to sell to consumers so that the user can obtain sufficient volume. Therefore, a computer user may use the amplified speakers in a computer-coupled manner.

특히, 한번의 컴퓨터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대부분의 컴퓨터 사용자들은 그 설치조건이 그대로 장기간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컴퓨터 본체의 설치(세팅)위치를 가급적 후미진 곳이나 책상이 모퉁이 부근으로 정하게 된다.In particular, once a computer installation is completed, most computer users consider the installation condition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and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mputer main body as near as possible to the corner or the desk.

이렇게 컴퓨터 본체의 설치위치가 후미진 곳으로 한정되게 되는 이유중의 하나는 컴퓨터의 후면부의 복잡하고 통일되지 못한 케이블 결선에 있다. 따라서 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은 컴퓨터 본체의 후면부 케이블들을 단정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기보다는 설치위치를 조정하여 감추어버리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One of the reasons wh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limited to the rear part is due to the complicated and uneven cable connection of the rear part of the computer. Therefore, many computer users choose to hide the rear panel cables of the computer body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rather than keeping the cables neat and tidy.

최근에는 MP3와 같은 음악파일의 서비스 및 이용이 대중화되어 많은 음악애호가 들이 컴퓨터 사운드카드의 미약한 출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스피커를 이용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무료(화상)전화통화 서비스 등의 증가 및 대중화로 인하여 마이크 기능이 내장된 헤드폰 세트의 이용도 널리 확산되고 있다.Recently, the service and use of music files such as MP3 has become popular, and many music lovers use amplification speakers to amplify the weak output of computer sound cards.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increase and popularization of free (video) telephone call service, the use of a headphone set with a built-in microphone function is widely spreading.

따라서, 컴퓨터 이용자는 사운드 출력의 증폭 여부를 그 용도별로 선택할 필요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MP3와 같은 음악파일을 크게 재생시켜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 내장 사운드카드의 출력이 별도의 증폭스피커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게 하고, 이러한 음악파일을 컴퓨터 이용자 혼자서 조용히 청취하고자 한다든지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통신 등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헤드폰(마이크가 내장된)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Therefore, the computer user needs to select whether to amplify the sound output for each purpose. For example, if you want to listen to music files such as MP3 by playing them loudly, the output of the computer's built-in sound card is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a separate amplified speaker, and you want to listen to these music files silently by a computer user. If you want to perform telephony, etc. using a headphone (with a built-in microphone) will be used.

그러나, 컴퓨터 내장 사운드카드의 출력 형태를 바꾸어 주기 위해서는 사운드카드에 마련된 오디오 입출력 잭에 증폭스피커 플러그를 삽입시키거나 마이크 내장 헤드폰의 플러그를 삽입시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앞에서 언급한 대로, 대부분의 컴퓨터는 그의 후방 케이블이 복잡하게 얽혀있고 또한 오디오 출력계통을 바꾸고자하는 경우 컴퓨터 본체의 이동이 수반되므로, 컴퓨터 사용자가 사운드카드의 출력에 접속될 장치를 바꾸게 될 경우 자칫 컴퓨터와 주변기기간 접속분리 또는 케이블 접촉불량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change the output form of a computer built-in sound card, either the amplified speaker plug or the microphone headphone plug is inserted into the audio input / output jack provided in the sound card. Most computers have their back cables intertwined, and if you want to change the audio output system, you'll have to move the computer, so if you change the device that will be connected to the sound card's output, you'll have a hard time connecting to the computer and peripherals.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or poor cable contact may occur.

특히, 컴퓨터의 구조에 익숙하지 못한 컴퓨터 이용자들에게는 사운드카드의 입출력 모드를 증폭스피커로 선택하든지 아니면 마이크 헤드폰으로 선택해서 고정식으로 이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컴퓨터의 매우 유용한 기능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computer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structure of the computer can not use the sound card input / output mode as an amplified speaker or microphone headphone to use a fixed, so the utilization of the very useful functions of the computer is less.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증폭스피커와 헤드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 sound card sound output switch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computer sound card to one of an amplified speaker and headphone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 결선도이다.1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이다.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6 : 마이크 잭 17 : 헤드폰 잭16: microphone jack 17: headphone jack

23 : 증폭스피커 잭 24 : 마이크 플러그23: amplified speaker jack 24: microphone plug

25 : 스피커 플러그 30 : 상자25: speaker plug 30: bo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의 전면부 또는 상부나 컴퓨터 모니터의 일측에 부착 설치 가능하도록 상자형태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는 외부 스피커 접속용 증폭스피커 잭과 헤드폰 접속용 헤드폰 잭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내부적으로 단자별로 접속시키고 그 접속점에는 스피커 플러그를 가지는 와이어를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상기 헤드폰 잭에 인접하여서는 마이크 잭을 설치하고 이 마이크 잭의 단자에는 마이크 플러그를 가지는 와이어를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이들 스피커 플러그와 마이크 플러그는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마련된 스피커 출력 잭과 외부 마이크 입력 잭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in the form of a box to be attached to the front or top of the computer main body or one side of the computer monitor, the inside of the amplified speaker jack for connecting external speakers and headphone jack for connecting headphones to each other It is inst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onnected internally for each terminal. Connect the wire having speaker plug to the connection point and draw it to the outside, and install the microphone jack adjacent to the headphone jack, and connect the wire having the microphone plug to the terminal of the microphone jack. The speaker plug and the microphone plug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speaker output jack and the external microphone input jack provided in the sound card of the computer.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내부회로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사운드카드(또는 메인보드의 오디오 입출력부)의 내부에서 처리된 오디오 출력신호는 사운드카드의 외부 잭에 접속되는 스피커 플러그(25)를 통해 인출되는 오디오 사운드가 좌우 분리된 스테레오 모드인 경우 R채널과 L채널로 분리되어 증폭스피커 잭(23)으로 출력되게 되고 또한 헤드폰 잭(17)을 통하여 마이크를 가지는 헤드폰으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증폭스피커 잭(23)에는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스피커의 플러그가 삽입되게 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referred to herein, the audio output signal processed inside the sound card (or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of the motherboard) is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audio sound drawn through the speaker plug 25 connected to the external jack of the sound card. In the stereo mode, the R channel and the L channel are separated and output to the amplified speaker jack 23, and the headphone jack 17 is output to the headphone having a microphone. The amplified speaker jack 23 is a plug of the amplified speaker for amplifying the audio output of the sound card.

외부에서 마이크 잭(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사운드카드의 마이크 입력단으로 인가되어 처리되게 된다. 즉, 사운드카드의 마이크 잭에 접속되는 마이크 플러그(24)를 통하여 입력되는 헤드폰 착용자의 음성신호는 사운드카드에 입력되어 처리되게 된다. 상기 마이크 잭(16)에는 마이크를 가지는 헤드폰 일체형 마이크의 플러그가 삽입되게 된다.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jack 16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of the sound card to be processed. That is, the voice signal of the headphone wear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plug 24 connected to the microphone jack of the sound card is input to the sound card and processed. The microphone jack 16 is a plug of the headphone integrated microphone having a microphone is inserted.

도 2는 상기 도 1의 회로가 장착된 상자(30)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자(30)는 그의 한쪽 면에 양면접착 스티커를 부착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개소에 고정시켜놓고 사용할 수 있다.2 shows the outline of the box 30 in which the circuit of FIG. 1 is mounted. Such a box 30 can be used by attaching a double-sided adhesive sticker on one side thereof and fixing it at a convenient place for a user using a comput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고안의 상자(30)에 마련된 헤드폰 잭(17)에 어떠한 플러그도 꽂혀있지 아니한 경우라면 그 헤드폰 잭(17)의 상시 온 내부 스위치 접점을 통하여 사운드카드의 오디오출력은 증폭스피커 잭(23)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크 잭(16)에 마이크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가 여부는 단지 음성신호를 사운드카드에 음성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건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요소이다.If no plug is plugged into the headphone jack 17 provided in the box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of the sound card is always amplified by the amplified speaker jack 23 through the always-on internal switch contact of the headphone jack 17. Is output. At this time, whether the microphone plug is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jack 16 is a facto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ice signal is a condition for in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sound card.

그러나, 상자(30)에 설치되어 있는 헤드폰 잭(17)에 헤드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헤드폰 잭(17)의 상시 온 내부 스위치 접점이 오픈되어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출력은 증폭스피커로 전달되지 않고 헤드폰으로만 전달되게 된다.However, when the headphone plug is inserted into the headphone jack 17 installed in the box 30, the always-on internal switch contact of the headphone jack 17 is opened so that the audio output of the sound card is not transmitted to the amplified speaker. It will only be delivered to the headphones.

따라서, 사운드카드에 대한 음성 입출력은 상자(30)의 마이크 잭과 헤드폰 잭(17)에 삽입된 마이크와 헤드폰에 의존하게 된다.Thus, the voice input and output to the sound card will depend on the microphone and headphones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jack and headphone jack 17 of the box 30.

이때, 상자(30)내부의 오디오신호 라인 상에 가변 저항의 음량조절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음량조절기의 조절 놉은 상기 상자(30)의 외부로 돌출시켜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음량조절기의 조절 놉을 좌우로 돌려 최적의 음량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lume controller of the variable resistor may be installed on the audio signal line inside the box 30. The adjustment knob of the volume controller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x 30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optimal volume by turning the control knob of the volume controller to the left or right, if necessa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컴퓨터 이용자가 음악 청취시나 음성/영상 채팅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 통화시마다 오디오 입출력 모드를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을 때, 이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uter user needs to set the audio input / output mode differently every time a user listens to music, voice / video chat, or a phone call using a computer, a uniqu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select the same occurs.

또한, 본 고안은 헤드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헤드폰 출력음량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optimum headphone output volume by allowing to adjust the volume output through the headphones.

Claims (2)

사운드 카드가 설치되는 컴퓨터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의 전면부 또는 상부나 컴퓨터 모니터의 일측에 부착 설치 가능하도록 상자(30)형태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는 외부 스피커 접속용 증폭스피커 잭(23)과 헤드폰 접속용 헤드폰 잭(17)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내부적으로 병렬 접속하고 그 병렬 접속점에는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출력 잭에 삽입하기 위한 스피커 플러그(25)를 가지는 와이어를 다시 병렬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하고, 상기 헤드폰 잭(17)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마이크 잭(16)의 단자에는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입력 잭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 플러그(24)를 가지는 와이어를 접속하여 외부로 인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장치.In the computer in which the sound card is installed, the box is made in the form of a box 30 so as to be attached to the front or top of the computer main body or to one side of the computer monitor, and an amplified speaker jack 23 and headphones for connecting an external speaker therein. The connection headphone jacks 17 are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internally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wires having speaker plugs 25 for insertion into the audio output jacks of the sound card are connected in parallel again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a wire having a microphone plug 24 for insertion into an audio input jack of a sound card is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microphone jack 16 provided adjacent to the headphone jack 17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Sound card sound output switch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잭(17)과 상기 병렬접속점 사이에는 헤드폰 음량조절을 위한 음량조절기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사운드카드 음성출력 스위치장치.The computer sound card audio output switch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olume controller for volume control of a headphone is inserted between the headphone jack and the parallel connection point.
KR2020000011437U 2000-04-21 2000-04-21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KR200196274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190A KR20000037390A (en) 2000-04-21 2000-04-21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190A Division KR20000037390A (en) 2000-04-21 2000-04-21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274Y1 true KR200196274Y1 (en) 2000-09-15

Family

ID=196660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190A KR20000037390A (en) 2000-04-21 2000-04-21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KR2020000011437U KR200196274Y1 (en) 2000-04-21 2000-04-21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190A KR20000037390A (en) 2000-04-21 2000-04-21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0003739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27A (en) * 2001-10-30 2003-05-09 (주)알토텍 Sound terminal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390A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915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5775939A (en) Interface assembly for peripheral accessories
KR200196274Y1 (en) Switch apparatus of audio sound card output for attachment to computer
KR200196275Y1 (en) Sound card device having a dual output port
KR200197843Y1 (en) A computer prepared microphone and headphone jack in the front
US20060239745A1 (en) Keyboard structure
EP0812093A2 (en) Telephone set
KR200251045Y1 (en) The ear handfree multiplex connection equipment
KR100392124B1 (en) Signal cable controlled apparatus provided at front of computer
KR200212502Y1 (en) Signal cable controlled apparatus provided at front of computer
KR200208021Y1 (en) Connector with amplifier for computer
CN218124914U (en) Built-in loudspeaker and earphone self-adaptation switching circuit and computer
KR200218635Y1 (en) Speaker With Micjack
KR200185670Y1 (en) Multi functional earphone-mic set
KR200208090Y1 (en) Signal apparatus capable of moving
KR200284742Y1 (en) Headset / Speaker Combined Sound Signal Switching System
KR200208113Y1 (en) Signal cable apparatus provided at below of computer
KR200234774Y1 (en) Computer external speaker in connected with headset
KR0127158Y1 (en) Monitor stand
KR200292160Y1 (en) Adapter for Mobile Terminal
KR200239097Y1 (en) kit for p.c with connection tap to headset and microphone
KR200197371Y1 (en) Terminal adapter for personal computer
KR200193821Y1 (en) Sound-card assembly
KR200208089Y1 (en) Signal cable controlled apparatus provided at under of moniter
KR200189848Y1 (en) Multi-connecter for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