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711Y1 -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 Google Patents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711Y1
KR200188711Y1 KR2020000005505U KR20000005505U KR200188711Y1 KR 200188711 Y1 KR200188711 Y1 KR 200188711Y1 KR 2020000005505 U KR2020000005505 U KR 2020000005505U KR 20000005505 U KR20000005505 U KR 20000005505U KR 200188711 Y1 KR200188711 Y1 KR 200188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ransmitting
gpr
signal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5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경수
김영근
박경완
조용범
이선엽
조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Priority to KR2020000005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7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71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4Adaptation for subterranean or subaqueous use

Landscapes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최선의 지하매설물 탐측기법을 확립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킨 GPR을 제작하고, 또한 소형 일체화를 통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가 대폭 절감된 경제적이고 간편화된 GPR을 개발·보급하여 배관의 안전성을 확보한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하되, 중심주파수가 대략 200㎒정도의 안테나를 사용하고, 또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성하여 이 안테나로부터 나란히 균등하게 매질에 송신하면서 1점의 목표물을 빠르게 통과하여 수신되는 펄스의 반향이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여러개의 쌍곡선으로 나타나도록 하고, 이 여러 쌍곡선의 꼭지점을 취하여 1점의 목표물을 찾도록 하며,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 저항성 종단장치를 더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the best underground buried surveying method to manufacture GPR which improves its performance, and also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through small integration and develops and distributes economical and simplified GPR with greatly reduced cost. In order to provide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probe using the GPR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ground, in the underground buried probe using the GPR system, the transmitting antenna uses a dipole antenna, the center frequency of about 200MHz An antenna is used, and a plurality of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s are formed so that the echoes of the received pulses are rapidly represented by several hyperbolas with respect to space and time while quickly passing through the target of one point while transmitting to the medium evenly side by side. Take the vertices of these hyperbolic curves to find the target of one point, Further configure a resistive terminator in the receiving antenna.

Description

지피알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본 고안은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의 파이프 로케이터(Pipe locator)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지중탐사레이더(GPR; Ground Penetration Radar, 이하 GPR이라고 칭함)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ground det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ground penetration radar (GPR), which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ipe locator of the prior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GPR) It relates to an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surface detection device used.

우리가 살고 있는 주거지의 지하에는 가스관, 상·하수도관, 송유관, 통신 및 전력 케이블(cable)관, 각종 덕트(duct) 및 저장 탱크 등과 같은 수많은 지하구조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경제 발전 및 인구 증가에 따라 지하시설물과 연관된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추세는 향후 계속하여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하시설물들에 대한 세심한 관리와 유지가 시급한 실정이다.In the basement of our residence, there are numerous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gas pipes, water and sewage pipes, oil pipes, communication and power cable pipes, various ducts and storage tanks. Accordingly, safety accidents associated with underground facilities are frequent. This trend is also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careful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se underground facilities is urgent.

우리나라의 경우 10~70㎏/㎠의 고압 배관망을 1997년말 현재 1,300여 ㎞를 운영하고 있으며 수년 내에 2,000㎞에 이를 예정이다. 고압 배관의 특성상 유사시 '94년의 아현동 사고와 같은 대형사고가 발생하므로 어느 시설물보다도 철저한 관리와 안전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In Korea, the high-pressure pipe network of 10 ~ 70㎏ / ㎠ operates over 1,300 km as of the end of 1997 and is expected to reach 2,000 km within a few years. Due to the nature of the high-pressure pipes, large-scale accidents such as the Ahyeon-dong accident in 1994 occur, which requires thorough management and safety measures.

배관의 안전성에 위해를 주는 요소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1)타공사(굴삭기, 천공기)에 의한 배관 파손, 2)지반침하 혹은 유동에 따른 배관 변형, 3)지하철 혹은 타 지하시설물로부터의 미주전류에 의한 전기부식을 3대 위해요소로 꼽을 수 있다.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an cause the safety of the pipe, but among them, 1) pipe breakage by other construction (excavator, drilling machine), 2) pipe deformation due to ground subsidence or flow, 3) subway or other underground The three major hazards are electrical corrosion caused by vagus currents from the facility.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배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타공사의 위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사전 인허가시에 가스배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통보해 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또한 배관의 침하나 유동에 따른 변형량을 알기 위해서도 배관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필수적이다.In order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it is essential to first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pipe.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other constructions, it is best to identify and notify the exact location of the gas piping when permitting before construction. In addition, accurate positioning of the pipe is essential to know the amount of deformation due to settlement or flow of the pipe.

현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배관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Currently, the following methods are mainly used to locate the pipes.

1) 표석을 배관 직상부 중요 지점(곡관부, 횡단전후 등)에 설치한다.1) The surface of stone is installed at the critical point (pipe section, before and after crossing).

2) 배관 표지판을 배관 직상부나 주변 도로 갓길에 설치한다.2) Place plumbing signs directly above the plumbing or on the side road shoulders.

3) Pipe locator를 이용한다.3) Use pipe locator.

표석을 사용하는 방법은 표석간의 설치 간격이 너무 멀고 때때로 원 위치에서 벗어나 있어 실효가 없으며, 표지판에 의한 방법은 배관의 정확한 위치에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고압배관이 있음을 알리는 수준이라 매우 부정확한 방법이다.The use of paving stones is ineffective because the installation intervals between the paving stones are too long and sometimes out of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signing method does not indicate the exact position of the pipes, but it indicates the presence of high-pressure pipes around. to be.

파이프 로케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비교적 정확하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심지와 같이 배관이 복잡하게 매설된 곳에서는 간섭으로 인해서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method of using a pipe locator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accurate and simple. However, the accuracy of the pipe locator is greatly reduced due to interference in the place where the pipe is complicated.

상기 파이프 로케이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가 GPR을 이용한 방법이다.One of the methods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pipe locator is a method using the GPR.

GPR은 물체의 위치 탐지를 위해 고주파 전자파와 수신신호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에 존재하는 각종 구조물과 지층구조 등을 탐지하는 장비로서 원래는 물리탐사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최근에 지하배관 탐지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GPR is a device that detects various structures and layers in the ground using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 and received signal processing metho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It was originally used for the purpose of physics exploration and recently applied to underground pipe detection. It wa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GPR은 장비구성이 복잡하고, 탐측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경험과 숙련도를 쌓아야 하며, 토양의 물성에 따라 탐측결과가 매우 민감하게 달라지기 때문에 매설배관 탐측에 상용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GPR is complicated in equipment configuration and requires considerable experience and proficiency to accurately analyze the detection results, and the detection results are very sensitive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soil. It is a difficult situation.

즉, 전술한 것처럼 종래의 GPR은 그 정밀성에도 불구하고 탐측결과가 토양의 전기적인 물성에 크게 좌우되고, 탐측결과해석을 위해서는 상당한 숙련도가 필요한 점, 또한, 고가의 장비인 점 등에 단점으로 작용하여 광범위한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메인 콘솔(main console), 송수신안테나, 휴대용 PC, 케이블(cable)등으로 구성되어 작업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며, 유지관리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PR, despite its precis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tection result greatly depend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oil, and requires considerable skill in analyzing the detection result, and also is expensive equipment. Wide spread is difficult.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main console (transmission console), a transmission antenna, a portable PC, a cable (cable), etc., takes up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during work and is inefficient in terms of maintenanc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원리 및 장,단점을 비교하여 최선의 지하매설물 탐측기법을 확립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킨 GPR을 제작하고, 또한 소형 일체화를 통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가 대폭 절감된 경제적이고 간편화된 GPR을 개발·보급하여 배관의 안전성을 확보한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compare the principl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establishing the best underground landfill detection techniqu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PR In addition,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through compact integration, and to develop and distribute economical and simplified GPR with greatly reduced cost, it provides antenna structure of underground buried probe using GPR system which secured the safety of piping. have.

도 1은 본 고안의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underground landfill detection device using a GP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FIG. 1 in more detail.

도 3은 본 고안을 장착한 카트의 측면 투시도.Figure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cart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지하매설물의 단면화상을 얻는 기본방법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basic method of obtaining a cross-sectional image of the underground buri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이미지의 형상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shaping an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탐측결과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탐측할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when the gas is pro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매설깊이 측정원리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measuring the depth of embed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100㎒ 중심주파수와 50㎒ 중심주파수를 가진 안테나를 각각 사용하였을 경우의 탐측결과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e detection results when using an antenna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100 MHz and a center frequency of 50 MHz, respectively.

도 11은 다이폴 안테나의 지향성 특성을 나타낸 도면.11 shows the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f a dipole antenna;

도 12는 다이폴 안테나의 공명 특성을 나타낸 도면.12 shows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a dipole antenna.

도 13은 본 고안의 송신 안테나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1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의 수신 안테나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1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showing a receiving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어장치 110 : 수신 전치 증폭기100: control device 110: receiving preamplifier

120 : A/D 컨버터 130 : 펄스 발생기120: A / D converter 130: pulse generator

140 : 펄스 송신 회로 150 : CPU140: pulse transmission circuit 150: CPU

200 : 송신 안테나 300 : 수신 안테나200: transmit antenna 300: receive antenna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전원 공급부400: display unit 500: power supply unit

900 : 전송선900 transmission l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의 특징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수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록, 저장하여 실내에서의 자료처리를 위해 필요한 PC로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제어장치에서 신호가 기록되는 최초 시간, 아날로그(analog)신호인 수신신호의 디지털 샘플링 간격, 신호가 기록되는 전체시간범위, 스태킹(stacking)횟수 등 탐사에 필요한 여러 변수들을 결정하며, 결정된 변수에 적합한 송수신 펄스를 발생시켜 증폭시킨 후 송신 안테나를 통해서 방사하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켜서 기록함과 아울러, 샘플링 간격 및 트레이스(trace) 당 샘플링 간격 및 개수를 결정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에서 발생한 펄스를 방사시키며 매질을 통과한 후 매설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송신 및 수신 안테나; 상기 제어장치에서 획득한 펄스 자료를 영상으로 구현시키며, 처리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고해상도의 화면을 다양한 구현 색상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해능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장치와 송신 및 수신 안테나 사이의 자료 전송을 담당하고, 레이다파의 송신 및 반사파의 수신을 최저의 잡음 상태에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로 된 전송선; 및 상기 각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되, 전자파 펄스의 발생, 자료의 송수신을 위한 필요동력으로 양질의 펄스와 노이즈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DC전원을 사용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하되, 중심주파수가 대략 200㎒정도의 안테나를 사용한다.The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surface detection device using the GP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to record and stor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antenna to process the data in the room It is responsible for transferring data to the PC necessary for the purpose.The first time the signal is recorded in the control device, the digital sampling interval of the received signal, which is an analog signal, the total time range in which the signal is recorded, the stacking frequency, etc. Determining various variables required for the exploration, generating and amplifying pulses suitable for the determined variables, amplifying them, radiating them through the transmitting antenna, amplifying and recording th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and per sampling interval and trac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sampling interval and number;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for emitting a pulse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and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buried object after passing through the medium; A display unit for realizing the pulse data acquired by the control device as an image, and displaying a sectional view of a higher resolution by applying various implementation colors to a high-resolution screen for the processed data; A transmission line made of a coaxial cable or an optical cable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nd to transmit a radar wave and receive a reflected wave in a minimum noise state; And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parts, and using the GPR system, the underground buried property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using a DC power sourc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high-quality pulses and noise as a necessary power for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pulses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 the transmitting antenna, a dipole antenna is used, but an antenna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about 200 MHz is used.

또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성하여 이 안테나로부터 나란히 균등하게 매질에 송신하면서 1점의 목표물을 빠르게 통과하여 수신되는 펄스의 반향이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여러개의 쌍곡선으로 나타나도록 하고, 이 여러 쌍곡선의 꼭지점을 취하여 1점의 목표물을 찾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re constructed so that the echoes of pulses received by rapidly passing through a single target and appearing in multiple hyperbolas with respect to space and time are transmitted equally and side by side from the antenna. It is desirable to take a vertex and find one target.

또한,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 저항성 종단장치를 더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configure a resistive termination device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약 1~1800㎒ 주파수 범위의 전자파(electromagnetic radio wave)를 송신기(transmitter)로부터 지하로 방사시켜 서로 전기적 특성이 다른 지하매질간의 경계면(예를 들어서 매설구조물과 토양의 접촉면)에서 반사되어 지상으로 돌아오는 전자파를 수신기(receiver)로 수집, 기록한 뒤 PC에 의한 자료처리와 해석과정을 거쳐 지하매설물의 구조와 상태를 규명하여 영상화하는 비파괴 탐측장비이다.The present invention radiates an electromagnetic radio wave in the frequency range of about 1 to 1800 MHz from the transmitter to the ground, and is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underground media (for example, the buried structure and soil contact)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It is a non-destructive detection equipment that collects and records the electromagnetic waves returning to the ground and analyzes the image and structure of underground buried materials through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process by PC.

도 1에는 본 고안의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장착한 카트의 측면 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the underground buried surface detection device using a GP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Figure 1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cart equipped with the subject innova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어장치(100), 송신 안테나(200), 수신 안테나(300), 디스플레이부(400), 전원 공급부(500) 및 전송선(9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ubject innovation consists of the control device 100,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the receiving antenna 300, the display unit 400,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transmission line 900.

제어장치(main console)(10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수신 안테나(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록, 저장하여 실내에서의 자료처리를 위해 필요한 PC로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제어장치(100)에서 신호가 기록되는 최초 시간, 아날로그(analog)신호인 수신신호의 디지털 샘플링 간격, 신호가 기록되는 전체시간범위, 스태킹(stacking)횟수 등 탐사에 필요한 여러 변수들을 결정하며, 결정된 변수에 적합한 송수신 펄스를 발생시켜 증폭시킨 후 송신 안테나(200)를 통해서 방사하며,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켜서 기록한다. 또한, 샘플링 간격 및 트레이스(trace) 당 샘플링 간격 및 개수를 결정한다.The main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entire system, and records and stor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300 to transmit data to a PC necessary for data processing indoors.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various variables required for the exploration, such as the initial time at which the signal is recorded, the digital sampling interval of the received signal, which is an analog signal, the total time range at which the signal is recorded, and the stacking frequency. After generating and amplify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ulse suitable for the determined variable, the radi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tenna 200, and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antenna 300 is amplified and recorded. In addition, the sampling interval and the number and sampling intervals per trace are determined.

송신 및 수신 안테나(transmitter & receiver)(200)(300)는 GPR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서 제어장치(100)에서 발생한 펄스를 방사시키며 매질을 통과한 후 매설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장치로서, 탐사한계깊이를 맞춰서 선택한 방출주파수를 따라 다른 안테나를 사용한다.Transmitter and receiver antenna (200) (300) is the most essential part of the GPR to emit a pulse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and receives the signal reflected back from the buried object after passing through the medium Is a device that uses different antennas depending on the emission frequency selected to match the exploration limit depth.

디스플레이부(400)는 획득한 펄스 자료를 영상으로 구현시키는 장치로서 처리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고해상도의 화면을 다양한 구현 색상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해능의 단면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0 is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cquired pulse data as an image, and may display a sectional view of higher resolution by applying various implementation colors to a high resolution screen on the processed data.

전송선(cable)(900)은 제어장치(100)와 송신 및 수신 안테나(200)(300) 사이의 자료 전송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레이다파의 송신 및 반사파의 수신을 최저의 잡음(nose) 상태에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ssion line 900 is responsibl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200 and 300. The transmission line 900 receives the transmission of the radar wave and the reception of the reflected wave in the lowest noise stat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axial cable or an optical cable in charge of the transmission function.

전원 공급부(500)는 전자파 펄스의 발생, 자료의 송수신을 위한 필요동력으로 양질의 펄스와 노이즈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DC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500 preferably uses a DC power source in order to reduce the generation of high-quality pulses and noise as the necessary power for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pulses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상기 제어장치(100)는 펄스 발생기(130) 및 펄스 송신 회로(140)를 통하여 초광대역폭의 펄스를 발생시켜 이를 송신하는 송신수단; 상기 수신 안테나(3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 전치 증폭기(110); 상기 수신 전치 증폭기(110)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20); 및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며 송신에서부터 수신까지의 전파소요시간이 측정되는 CPU(150)를 포함한다.The control device (100) comprises: transmitting means for generating a pulse of ultra wide bandwidth through a pulse generator (130) and a pulse transmitting circuit (140); A reception preamplifier (110) for amplifying a signal input from the reception antenna (300); An A / D converter 120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amplified by the reception preamplifier 110 into a digital signal; And a CPU 150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collecting raw data, and measuring propagation time from transmission to reception.

또한,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100), 송신 안테나(200), 수신 안테나(300), 디스플레이부(400), 전원 공급부(500) 및 전송선(900) 등을 이동 바퀴(830)와 손잡이(820)가 구비된 카트(cart)(800)상에 적재되어 장비의 특성상 이동성이 좋아지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control device 100,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the receiving antenna 300, the display unit 400,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transmission line 900 ) Is loaded on a cart 800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830 and a handle 820 to reduce mobility of the worker because of improved mobility.

송수신 안테나(200)(300)는 송수신 시그널(signal)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단부 카트(810)에 설치되어 지표와 밀착하여 앞, 뒤로 부착함으로써 전자파가 공기중으로 손실되지 않으며, 무게가 가벼워 작업성이 좋다.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200 and 300 are installed in the lower cart 810 in order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signal) loss, close to the surface and attached to the front, back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are not lost in the air, light weight and workability good.

또한, 전원 공급부(500)는 경량의 전지(battery)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재충전이 가능하고, 전지교체가 쉽다. 작업자의 신속하고도 원활한 탐측을 돕기 위하여 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00)는 CRT 모니터 또는 LCD패널로 이루어지고 야외의 직사광선 하에서도 충분한 판독이 될 수 있도록 고해상도와 높은 명암 대비율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unit 500 can be driven by a lightweight battery, the power supply unit 500 can be recharged, and battery replacement is easy. The display unit 400, which can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help the operator to quickly and smoothly detect, is made of a CRT monitor or LCD panel and has high resolution and high contrast ratio for sufficient reading even in direct sunlight in the open air. Hav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탐측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 안테나(200)에서 방출된 전자파가 매질중으로 전파해 나가다가 어떤 물체에 부딪친 후 반사해 오는 파를 검출, 전자파의 비행시간과 전파속도로부터 물체와 송신기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incipl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First, the electromagnetic wave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propagates in the medium and detects a wave reflected after hitting an object,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transmitter from the flight time and propagation spee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그러나, 지하매질의 경우 레이더가 전파되는 공기보다 물리적으로 매우 불균질(non-homogeneous)하므로 레이더와 같이 정보를 쉽게 알아내기는 곤란하다. 즉, 물리적 불균질성으로 인해서 지하에서 반사되어 온 신호중에는 많은 잡음(noise)이 포함되어 판독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탐사데이터는 적절한 처리를 거쳐야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underground media, since the radar is physically non-homogeneous than the air propagated, it is difficult to easily find information such as radar. In other words, due to the physical heterogeneity, the signal reflected from the basement contains a lot of noise, which is difficult to read. Therefore, the exploration data must go through appropriate processing.

본 고안을 이용하여 지하매설물의 단면화상을 얻는 기본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서 (a)는 전자파의 송수신, (b)은 획득한 펄스자료를 나타낸다.Basic method for obtaining a cross-sectional image of the underground buri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In FIG. 5, (a) show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b) shows acquired pulse data.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radio transmitter;XMIT)와 수신기(receiver)가 한 쌍의 송수신 안테나(200)(300)를 이루면서 지상에서 접촉하게 된다. 송신기로부터 방출된 신호는 지중으로 짧은 거리를 침투한다. 지하에서 전파되는 신호(radio wave)는 주변 토양과 전기적 물성이 다른 어떤 물질과 부딪치면 반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매설배관이나 지하 공동(空洞; void)으로부터 신호가 반사된다. 지하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radio signal)는 도 5의 (b)와 같이 방출된 후 시간이 조금 경과한 후에 도착하게 된다.As illustrated, a radio transmitter (XMIT) and a receiver form a pair of transmit / receive antennas 200 and 300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ground.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penetrates a short distance into the ground. Radio waves, which propagate underground, will reflect when they collide with other materials with nearby soil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example, signals are reflected from buried pipes and underground voids. The signal reflected from the underground object (radio signal) arrives after a short time after being emitted as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의 이미지의 형상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탐측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PC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400)에 매설물체로부터 반사된 펄스 에코(pulse echo)를 형상화시킨다. 레이더는 지상에서 도 6의 (a)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동하며(1→2→3), 이에 따라 도6의 (b)에서 처럼 새로운 에코(echo)가 이전 에코의 옆에 그려진다. 이 펄스패턴이 PC의 화면에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충분한 양의 신호를 검출하면 작업자는 화면의 에코 패턴을 보고 지하에 매설된 물체가 있다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shaping an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asily recognize a detector, a pulse echo reflected from a buried object is generally formed on a display unit 400 such as a PC screen. The radar moves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6 (a) (1 → 2 → 3), so that a new echo is drawn next to the previous echo as in Fig. 6 (b). This pulse pattern is continuously output on the screen of the PC. When a sufficient amount of signal is detected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see the echo pattern on the screen and recognize that there is an object buried underground.

상기와 같은 탐측결과는 도 7의 오른쪽 그림(b)의 하단부 반사파(reflected pulse)를 연결하면 쌍곡선(hyperbola)의 형태로 나타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배관이 매설된 경우, 배관을 가로질러 탐측하는 경우 매설물체가 송수신 안테나(200)(300)의 전면에 있을 경우 방출된 에코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The above detection results are shown in the form of a hyperbola when the reflected pulses of the lower part of FIG. 7 (b) are connected. When the pipe is buried underground 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buried object is located in front of the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s 200 and 300 when it is detected across the pipe, the emitted echo is reflected back to the object. It will take some time to come.

송수신 안테나(200)(300)가 물체에 접근함에 따라 이 시간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매설물체의 직상부에 안테나(200)(300)가 있을 경우 에코의 반사시간이 가장 짧다. 이후 매설물체를 지남에 따라 다시 반사파가 수신 안테나(300)에 도달하는 시간은 늘어난다. 이로 인해 '쌍곡선'이 나타난다. 숙달된 작업자라면 이것이 배관과 같은 작은 물체임을 알 수 있다. 매설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패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지하에 매설된 직육면체 저장탱크라면 반사파 곡선의 양끝이 아래로 내려가는 평평한 곡선으로 나타날 것이다.This time is gradually reduced as th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200 and 300 approach the object. If there are antennas 200 and 300 directly above the buried object, the echo reflection time is the shortest. Afterwards, the time for the reflected wave to reach the receiving antenna 300 increases as the buried object passes again. This results in a hyperbola. Experienced workers can see that this is a small object, such as a pipe. Different patterns appear depending on the type of buried structure. For example, a cuboid storage tank buried underground would appear as a flat curve with both ends of the echo curve descending downwards.

그런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탐측을 한다면 그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을 것이다. 즉, 송수신 안테나(200)(300)와 배관의 거리가 항상 같기 때문에 수신되는 반사파의 펄스를 이으면 직선으로 나타나게 된다. 문제는 다른 조건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특히, 점토(clay)/암반(bedrock)층과 같이 지층이 나뉘는 지역을 탐측을 했다고 가정하면 두 지층의 징계부분에서도 탐측 결과는 도 8과 같은 직선으로 나타나므로 탐측결과 지하에 배관이 매설되어 있다고 말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매설배관의 탐측시에는 배관을 가로질러 탐측해야 한다.However, if the pro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result will be as shown in FIG. That is,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200 and 300 and the pipe are always the same, when the pulse of the received reflected wave is followed, it appears as a straight line. The problem is that the same results occur under different condition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geological divisions such as the clay / bedrock layer are divided, the detection results are shown as straight lines as shown in FIG. 8 even in the disciplinary areas of the two layers.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buried. Therefore, when burying the buried pipe, it should be detected across the pipe.

본 고안에 의한 매설깊이 측정원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주변 토양에 관한 어느 정도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매설물의 매설깊이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원칙적으로 GPR시스템은 전자파 및 펄스의 방출/도달시간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한다. 다시 말해서, 토양 중에서 전자파의 이동속도를 안다면, 도 9(b)의 송신파(directed pulse)와 수신파(reflected pulse) 사이의 시간을 알고 있으므로 매설깊이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을 내부적으로 거쳐서 PC에 나타나는 영상에 매설 깊이가 표시된다.Buried depth measurement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depth of burial if you do not have som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soil. In principle, the GPR system measures the emission / arrival time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pulses very accurately. In other words, if the moving spee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n the soil is known, the depth of embedding can be calculated because the time between the transmitted pulse and the reflected pulse of FIG. 9 (b) is known. Therefore, the embedding depth is displayed on the image appearing on the PC through such a process.

그러나, 레이더 신호의 속도는 토양종류에 따라서 민감하게 변한다. 공기중에서 레이다파는 297,600㎞/sec의 속도로 전파된다. 그러나, 토양 중에서는 토양의 수분함량, 공극률 등에 따라 속도가 매우 민감하게 변한다. 따라서, 경험적으로 토양의 전기적 특성, 전기전도도 및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를 알고 있거나, 매설깊이를 알고 있는 매설물체가 있다면, GPR탐측으로 측정한 매설심도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GPR을 통해서 정확한 매설심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다음의 표 1은 일반적인 토양종류에 따른 전자파의 전파특성을 나타낸 것이다.However, the speed of the radar signal varies sensitively with the soil type. In the air, radar waves propagate at a rate of 297,600 km / sec. However, in the soil, the speed is very sensitive to the moisture content, porosity, etc. of the soil. Therefore, empirically know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constant) of the soil, or if there is a buried object that knows the depth of embedding,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rrect the depth of embedding measured by GPR detection. Therefore, soil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accurate depth measurement through GPR. Table 1 show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s according to the general soil types.

재료material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속도(m/㎱)Speed (m / ㎱) 감쇄계수(㏈/m)Attenuation Coefficient (㏈ / m) airair 1One 0.300.30 00 distilled waterdistilled water 8080 0.0330.033 0.0020.002 fresh waterfresh water 8080 0.0330.033 0.10.1 sea watersea water 8080 0.010.01 10001000 dry sanddry sand 3~53 ~ 5 0.150.15 0.010.01 saturated snadsaturated snad 20~3020-30 0.060.06 0.03~0.30.03-0.3 limestonelimestone 4~84 ~ 8 0.120.12 0.4~10.4 ~ 1 siltsilt 5~305-30 0.090.09 1~1001-100 clayclay 5~405-40 0.070.07 1~1001-100 granitegranite 4~64 ~ 6 0.130.13 0.01~10.01 ~ 1 dry saltdry salt 5~65 ~ 6 0.130.13 0.01~10.01 ~ 1 iceice 3~43 ~ 4 0.160.16 0.010.01

한편, 탐측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GPR탐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가 운용주파수 선정이다. 적절한 주파수 선정은 탐사의 성공여부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주파수 선정은 탐사 대상체를 명확히 정의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탐측에 앞서서 현장 탐사를 실행해야함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GPR survey is the selection of operating frequency. Appropriate frequency selec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exploration is successful. Frequency selection may be made by clearly defining the subject to be explored. This means that field exploration should be carried out prior to the survey.

주파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점은 현장의 지질상태, 표면장애물, 토양의 전기적 특성, 대상체의 매설깊이 등이다. 이중 주파수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탐측심도로서, 이는 고주파일수록 탐측심도가 낮아지는 반비례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표물의 심도 및 크기에 따라 주파수를 적절하게 선정해야 한다.Considerations for frequency selection include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site, surface obstructions,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and depth of burial of the objec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ual frequency selection is the depth of detection, because the higher the frequency, the lower the detection depth. Therefore, the frequency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epth and size of the target.

도 10은 100㎒ 중심주파수와 50㎒ 중심주파수를 가진 안테나를 각각 사용하였을 경우의 탐측결과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탐사대상체의 매설깊이에 따라 50㎒의 저주파안테나를 사용한 경우에는 심도가 큰 매설물에 대한 정보가, 100㎒의 안테나를 사용한 경우에는 심도가 작은 매설물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자세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FIG. 10 is a detection result when an antenna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100 MHz and a center frequency of 50 MHz is used, respectively. As can be seen, the information about the deep-depth buried material is relatively detailed when the low-frequency antenna of 50 MHz is us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object to be explor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deep-depth buried material is used when the 100 MHz antenna is used. It can be seen that.

또한, 아래 표2에는 중심주파수에 따른 대략적인 탐측가능깊이를 나타내었다.In addition, Table 2 below shows the approximate detectable depth according to the center frequency.

깊이(m)Depth (m) 중심주파수(㎒)Center frequency (MHz) 0.50.5 1,0001,000 1.01.0 500500 2.02.0 200200 7.07.0 100100 10.010.0 5050 30.030.0 2525 50.050.0 1010

가스배관의 매설심도탐측시에는 현재, 225㎒의 중심주파수를 가진 안테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여러 배관이 교차되는 지점등에서 가스배관보다 매설심도가 낮은 타배관등의 탐측을 위해서 400㎒의 안테나도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가스배관의 매설심도가 대략 2m정도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중심주파수가 200㎒정도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When detecting the depth of gas pipelines, antennas with a center frequency of 225 MHz are mainly used.In addition, 400 MHz antennas are also used for the detection of other pipelines having a lower depth of field than gas pipelines at points where several pipes cross. However, since the depth of embedding of a general gas pipe is about 2m,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n antenna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about 200MHz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타임 윈도우(Time window)란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자료를 받을 것인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탐측대상물체의 매설심도와 관계가 있다. 즉, 전자파가 매설물체까지 전파되었다가 다시 되돌아오는 시간이상의 충분한 시간동안 데이터를 받아야 한다. 이는 토양중의 전자파 전파속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타임 윈도우 선택시에는 대상물체의 매설깊이뿐만 아니라 토양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In addition, a time window means how long a data is to be received, which is related to the depth of burial of the object to be detected. That is, the data must be received for a sufficient time more than the tim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es to the buried object and then returns again. This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propagation rate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soil. Therefore, when selecting the time window, it is necessary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oil as well as the depth of embedding of the object.

샘플링 인터벌(Sampling interval)은 반사되어 돌아오는 파형을 얼마만큼의 시간간격으로 수집할 것인가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안테나의 중심주파수에 따라 그 값이 다르다. 상기의 두가지 변수는 송수신 안테나(200)(300)의 종류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값들을 주파수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ampling interval (Sampling interval) means how much time interval to collect the reflected waveform to return, the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center frequency of the antenna used in general. The two variables are preferably u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most suitable valu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200, 300).

또한,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높다면 전자파의 전파는 어려워진다. 일반적으로 전지전도도가 0.01Ω-1·㎝-1이상이면 GPR탐사가 어렵다고 본다. 따라서, 탐측전에 탐측할 지역의 전기적인 특성을 미리 파악, 또는 예측하는 것은 탐측결과의 질을 높이는데 필수적이다. 아래의 표 3에 전기 전도도에 따라 매질을 분류하였다.In addition, i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il is high, the propag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becomes difficult. In general, if the cell conductivity is 0.01Ω -1 · cm -1 or more,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detect GPR.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or predic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o be detected before the detection in advance. In Table 3 below, the medi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탐사조건Exploration conditions 전기전도도(σ)(Ω-1·㎝-1)Electrical Conductivity (σ) (Ω -1 · cm -1 ) 매질medium 좋음good σ<10-7 σ <10 -7 공기, 건조한 화강암, 건조한 석회암, 콘크리트, 아스팔트Air, Dry Granite, Dry Limestone, Concrete, Asphalt 나쁘지 않음Not bad 10-7<σ<10-2 10 -7 <σ <10 -2 fresh water, 얼음, 눈, 모래, sit, 건조한 점토, 현무암fresh water, ice, snow, sand, sit, dry clay, basalt 나쁨Bad σ>10-2 σ> 10 -2 젖은 점토, 젖은 현무암, 해수, 해빙Wet clay, wet basalt, sea water, thaw

다음으로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특징을 통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eatures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송수신용 다이폴 안테나(200)(3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고주파수(수 ㎓) 영역에서는 혼(나팔모양으로 생긴) 안테나, 또는 평면상의 어레이타입 안테나가 잘 사용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225㎒대역의 범위에서는 다이폴(dipole) 타입의 안테나를 적용한다.Looking at the dipole antenna 200, 300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n general,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a horn antenna or a planar array type antenna is used. However, the dipole type antenna is used in the range of 225MHz that is the targe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이폴 안테나는 낮은 지향성, 안테나 공명(RINGING), 불안정한 특성 임피던스, 불요 주파수 확산, 기구적인 대형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으나, 저항성 종단장치의 사용에 의한 가격대 효과에 대한 안테나 공명의 감소, 여러 개의 반사기의 채택에 의한 안테나 지향성의 확대, 완충재의 적절한 사용에 의한 불요 주파수 확산의 감소 및 그 크기와 무게의 감소 등이 가능하다.Dipole antennas have various problems such as low directivity, antenna ringing, unstable characteristic impedance, undesired frequency spread, and mechanical enlargement.However, the use of resistive termination reduces antenna resona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antenna directivity by adopting a reflector, to reduce unnecessary frequency spread by appropriate use of a buffer, and to reduce its size and weight.

도 11 및 도 12에 이러한 개선실험을 위한 다이폴 안테나의 특성 조사기록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도 11은 다이폴 안테나의 지향성 특성을 나타내며, 도 12는 다이폴 안테나의 공명(ringing) 특성을 나타낸다.11 and 12 show the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record of the dipole antenna for this improvement experiment. Here, FIG. 11 shows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dipole antenna, and FIG. 12 shows ringing characteristics of the dipole antenna.

수신 안테나(300)로부터 입력되어 수신 전치 증폭기(110)에서 증폭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용 A/D 컨버터(converter)(12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때 CPU(150)에서는 송신에서부터 수신까지의 전파소요시간이 측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매우 짧은 시간에 대한(나노초 또는 필요에 따라 피코초)의 측정기술을 필요로 하고 또한 고속의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storage oscilloscope)에 이용되는 최신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송신 안테나(200)와 수신 안테나(300)의 상세 회로도를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였다.The signal input from the receiving antenna 300 and amplified by the receiving preamplifier 1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n analog-to-digital converting A / D converter 120, where the CPU 150 receives the transmission from the transmission. The propagation time up to is measured. This requires measurement techniques for very short time periods (nanoseconds or picoseconds as needed) and the latest technology used in high-speed digital storage oscilloscopes. 14 and 15 show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and the receiving antenna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는 목표물의 방향을 정확히 찾을 수 있도록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200)(300)를 사용하여 안테나(200)(300)로부터 나란히 균등하게 매질에 송신하면서 1점의 목표물을 빠르게 통과하면 수신되는 펄스의 반향은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여러개의 쌍곡선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여러 쌍곡선의 꼭지점을 취하면 1점의 목표물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렇게 얻은 펄스의 반향을 적합한 알고리즘에 의해 가공하고 연속적인 송/수신 펄스를 나열한다면 3차원에 근접한 시각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매설물체에 대한 정보습득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200, 300) us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200, 300 side by side evenly transmitted to the medium while passing through the target of one point quickly received pulses The echoes of will appear as multiple hyperbolas for space and time. In this case, it is judged that one target can be easily found by taking the vertices of several hyperbolas. If the echoes of these pulses are processed by a suitable algorithm and the continuous transmit / receive pulses are arranged, a visual effect close to 3D can be obtai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exact buried object.

따라서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에 의하면, 저항성 종단장치의 사용에 의한 가격대 효과에 대한 안테나 공명의 감소, 여러 개의 반사기의 채택에 의한 안테나 지향성의 확대, 완충재의 적절한 사용에 의한 불요 주파수 확산의 감소 및 그 크기와 무게의 감소 등이 가능하며,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매설물체에 대한 정보습득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surface detector using the GP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resonanc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antenna resonance for the price effect by the use of the resistive termination device, the antenna directivity by adopting multiple reflecto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read of unnecessary frequency by the proper use of the buffer material and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buffer material, and to use the multiple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s to acquire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buried object. There is.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Claims (3)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수신 안테나(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록, 저장하여 실내에서의 자료처리를 위해 필요한 PC로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제어장치(100)에서 신호가 기록되는 최초 시간, 아날로그(analog)신호인 수신신호의 디지털 샘플링 간격, 신호가 기록되는 전체시간범위, 스태킹(stacking)횟수 등 탐사에 필요한 여러 변수들을 결정하며, 결정된 변수에 적합한 송수신 펄스를 발생시켜 증폭시킨 후 송신 안테나(200)를 통해서 방사하며, 수신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켜서 기록함과 아울러, 샘플링 간격 및 트래이스(trace) 당 샘플링 간격 및 개수를 결정하는 제어장치(100); 상기 제어장치(100)에서 발생한 펄스를 방사시키며 매질을 통과한 후 매설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송신 및 수신 안테나(200)(300); 상기 제어장치(100)에서 획득한 펄스 자료를 영상으로 구현시키며, 처리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고해상도의 화면을 다양한 구현 색상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해능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400); 상기 제어장치(100)와 송신 및 수신 안테나(200)(300) 사이의 자료 전송을 담당하고, 레이다파의 송신 및 반사파의 수신을 최저의 잡음 상태에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로 된 전송선(900); 및 상기 각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되, 전자파 펄스의 발생, 자료의 송수신을 위한 필요동력으로 양질의 펄스와 노이즈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DC전원을 사용하는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하는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200)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하되, 중심주파수가 대략 200㎒정도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It controls the whole system, records and stor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antenna 3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PC necessary for data processing indoors, the first time the signal is recorded in the control device 100 Determin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time, digital sampling interval of analog signal, total time range in which signal is recorded, stacking frequency, etc., and amplifying by generating transmit / receive pulse suitable for the determined variable. A control device (100) that radiates through the transmit antenna (200), amplifies and record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 antenna (300), and determines sampling intervals and the number and number of sampling intervals per tra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200) (300) for radiating pulses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100) and receiving signals returned from the buried object after passing through the medium; A display unit 400 for implementing a pulse data obtained by the control apparatus 100 as an image, and display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er resolution by applying various implementation colors to a high-resolution screen for the processed data; Coaxial cable or optical cable is responsibl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200 and 300, and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adar wave and the reception of the reflected wave in the lowest noise state. Transmission line 900; And a power supply unit 50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power units, using a DC power supply to reduce the generation of high-quality pulses and noise as the power required for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pulses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 the buried ground detection device, the transmitting antenna (200) uses a dipole antenna,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ground detection device using a GP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using a center frequency of approximately 200MHz.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200)(300)를 구성하여 이 안테나(200)(300)로부터 나란히 균등하게 매질에 송신하면서 1점의 목표물을 빠르게 통과하여 수신되는 펄스의 반향이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여러개의 쌍곡선으로 나타나도록 하고, 이 여러 쌍곡선의 꼭지점을 취하여 1점의 목표물을 찾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200, 300) ar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ame side by side from the antennas (200, 300) to the medium while quickly passing through the target of one point, the echo of the received pulse is space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probe using the GP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appears as a number of hyperbolas with respect to time and to take the vertices of these hyperbolas to find one targ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200)(300)에 저항성 종단장치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R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안테나 구조.According to claim 1, Antenna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surface detection device using a GP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further configure a resistive termination device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200, 300).
KR2020000005505U 2000-02-28 2000-02-28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KR2001887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505U KR200188711Y1 (en) 2000-02-28 2000-02-28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505U KR200188711Y1 (en) 2000-02-28 2000-02-28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711Y1 true KR200188711Y1 (en) 2000-07-15

Family

ID=1964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505U KR200188711Y1 (en) 2000-02-28 2000-02-28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71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5162A (en) * 2019-07-25 2019-09-24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Earth-probing radar
KR102145558B1 (en) 2019-07-31 2020-08-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Ultrawideband v-fed antenna for deep ground penetrating rad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5162A (en) * 2019-07-25 2019-09-24 北京市市政工程研究院 Earth-probing radar
KR102145558B1 (en) 2019-07-31 2020-08-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Ultrawideband v-fed antenna for deep ground penetrating rad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017B1 (en) Detection system for the survey of buriedstructures by used gpr unit
US5420589A (en) System for evaluating the inner medium characteristics of non-metallic materials
Hao et al. Condition assessment of the buried utility service infrastructure
US66677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buried pipes by using a selected combination of geophysical instruments
KR102177812B1 (en) System for detecting underground facilities by performing hybrid multi-exploration
Yelf Applic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to civi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US6725161B1 (en) Method for locating and identifying underground structures with horizontal borehole to surface tomography
KR101267016B1 (en) Singnal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structures by used gpr unit
KR100365140B1 (en)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KR100365141B1 (en) Detection techniques method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KR100399984B1 (en) Electromagnetic Underground Detecting Method and The Same System
KR200188711Y1 (en) Antenna structur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Solla et al. Ground penetrating radar: Fundamentals, methodologies and applications in structures and infrastructure
KR200194861Y1 (en) Receive signal analysis devic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US6949930B2 (en) Time domain in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buried objects in a medium by inducing and measuring transient eddy currents
KR200194862Y1 (en) Uniformity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KR200194860Y1 (en) Receive pre-amplifier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KR200194863Y1 (en)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having receive signal saved device by used gpr system
JP3717835B2 (en) Buried object exploration equipment
KR200194864Y1 (en) Signal management device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having receive signal saved device by used gpr system
Cintra et al. Evaluation of the GPR (1.2 GHz) technique in the characterization of masonry shells of the Theatro Municipal do Rio de Janeiro
KR200194859Y1 (en) Pulse generator of detection apparatus for the survey of buried structures by used gpr system
KR102189112B1 (en)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using gpr
Zhou et al. Applic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in detecting deeply embedded reinforcing bars in pile foundation
JP2017032455A (en) Underground analys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