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095Y1 -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095Y1
KR200180095Y1 KR2019990026116U KR19990026116U KR200180095Y1 KR 200180095 Y1 KR200180095 Y1 KR 200180095Y1 KR 2019990026116 U KR2019990026116 U KR 2019990026116U KR 19990026116 U KR19990026116 U KR 19990026116U KR 200180095 Y1 KR200180095 Y1 KR 200180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con
signal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송광섭
Original Assignee
김영덕
송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송광섭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2019990026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난경보에 관한 것으로, 현재 차량의 동적 상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단말기상으로 표시되는 LCD에 차량을 형상화시킨 차량 아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본넷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본넷 이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트렁크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트렁크 이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도어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도어열림 아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충격아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차량의 뒷 부분 충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후드충격 아이콘; 차량의 시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시동아이콘; 및 상기 단말기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수신전계 아이콘을 구성하고, 차량의 현재 상황에 따른 다수의 아이콘이 점멸토록 함에 따라, 차량의 현 상태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기존 도난 경보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며, 차량의 충격으로 인한 경보음으로부터 사용자가 차량확인을 하지 않고도 충격부위를 알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A CAR MONITORING INSTALLATION}
본 고안은 차량의 도난경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현재 차량의 동적 상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동을 동작시키는 휴대용 시동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장거리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시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차량내에 장착되어 도어의 록/언록을 제어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량의 외부 충격시에는 별도의 경보음이 발신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시동 단말기를 통해 실내에서 간편하게 시동을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경보음이 발신되어 차량의 도난사고를 방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시스템은 단말기에서 차량으로의 통신에 의한 동작 즉, 사용자가 차량으로 송신만 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시 차량을 주시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일예로 차량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경보음이 발신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인지를 확인해야 하며, 또한 자신의 차량일 경우에는 어느 부위에 충격이 가해졌는지 내지 경보음의 발생원인 등을 관찰해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원격 송신에 의한 차량의 시동 기능만을 구비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상태를 주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서 차량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관점에 따른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는, 주차된 차량의 충격유무를 검출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충격센서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알리는 시동센서부;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센서부; 상기 차량의 보넷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후드센서부; 상기 차량의 트렁크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트렁크센서부;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코드화된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코더; 상기 인코더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검출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시리얼포트를 통해 직렬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직렬 신호를 무선 송출하기 위한 RF송신부; 상기 제어부의 입력포트에는 상기 송신장치의 고유번호내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키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 포트에는 코드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구성된 송신장치와,
상기 RF송신부에서 방사한 주파수에 동조하고 동조된 주파수에 포함된 코드 신호를 복조시키는 RF수신부; 상기 RF수신부에서 복조된 코드신호를 데이터화된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코더; 상기 RF수신부에서 동조되는 주파수 신호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수신전계강도 측정부; 상기 디코더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를 해독하여 LCD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온/오프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상기 디코더에서 입력되는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른 다수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상기 마이컴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송신장치와 동조를 이루기 위해 동일 코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키 입력부; 상기 코드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구성된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2관점에 따른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는, 상기 LCD는 차량을 형상화시킨 차량아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본넷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본넷 이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트렁크의 열림 상태를 알리기 위한 트렁크 이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도어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도어열림 아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충격아이콘; 상기 차량아이콘상으로 차량의 뒷 부분 충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후드충격 아이콘; 차량의 시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차량아이콘의 헤드램프를 점멸시키는 시동아이콘; 외부인으로부터 차량을 통해 호출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아이콘및 상기 단말기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수신전계 아이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송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신장치인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LCD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송신장치 101 : 제어부
103 : RF송신부 105 : 엔코더
111-119 : 센서부 201 : 마이컴
203 : RF수신부 205 : 디코더
207 : LCD 211 : 수신전계강도 측정부
301 : 본넷 아이콘 303 : 트렁크 아이콘
305 : 후드충격 아이콘 309 : 도어열림 아이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송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한 송신장치(100)는, 주차된 차량의 충격유무를 검출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충격센서부(111), 차량의 시동상태를 알리는 시동센서부(113), 차량의 도어열림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센서부(115), 차량의 보넷(Bonnet)의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후드센서부(117)및 차량의 트렁크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트렁크센서부(119)가 상기 차량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코드화된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코더(105)와, 상기 인코더(105)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검출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시리얼포트를 통해 직렬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제어부(101)와, 상기 제어부(101)에서 출력된 직렬신호를 무선 송출하기 위한 RF송신부(10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의 입력포트에는 상기 송신장치(100)의 고유번호내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키 입력부(109)가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101)의 입출력 포트에는 코드키 입력부(109)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7)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송신장치(100)는, 먼저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통해 시동 상태에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을 통해 사용자는 개인ID 또는 비밀번호를 코드키 입력부(109)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1)는 입력된 코드를 메모리(107)에 저장하며, 별도의 제어루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메모리(107)에 저장된 코드를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다수 센서는 현재 차량의 동작상태를 검출한다. 일예로, 정지된 차량이 외부로부터 기준치(충격센서부(111)가 감지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거나, 시동센서부(113)에 의해 검출된 결과 차량의 시동상태이거나, 도어센서부(115)로부터 차량의 일측 도어가 열려 있음이 검출되거나, 또는 차량의보넷이 열려 있음이 후드센서부(117)에 의해 감지되거나 트렁크의 열림상태가 트렁크센서부(119)에 의거 감지될 경우, 각각의 센서로부터 유입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엔코더(105)의 입력측으로 인가된다.
엔코더(105)는 상기의 센서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상응한 코드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엔코더(105)의 입력비트별 2진화된 비트신호를 생성함을 그 일예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코더(105)가 충격센서부(111)로부터 유입되는 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되, 충격센서부(111)에서 출력된 감지신호가 있으면 10진수 '5'로 판단하여 이에 상응한 2진수 '101'을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엔코더(105)가 시동센서부(113)로부터 유입되는 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시동센서부(113)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있을 경우 이는 10진수 '4'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2진수 '100'을 출력하며, 순차적으로 다수의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2진화된 코드로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1)는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코드를 해독하여 현재의 차량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에 상응한 시리얼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모리(107)에 저장된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시리얼 신호와 함께 RF송신부(103)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RF송신부(103)는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에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출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송신장치(100)에서 출력하는 소정의 코드신호를 입력받는 수신장치 즉, 휴대용 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수신장치로써 사용자가 휴대할 수있는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한 단말기(200)는, 상기 RF송신부(103)에서 방사한 주파수에 동조하고 동조된 주파수에 포함된 코드신호를 복조시키는 RF수신부(203), 상기 RF수신부(203)에서 복조된 코드신호를 데이터화된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코더(205), 상기 RF수신부(203)에서 동조되는 주파수 신호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수신 전계강도 측정부(211), 상기 디코더(205)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를 해독하여 LCD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의 검출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온/오프 제어하는 마이컴(20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201)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디코더(205)에서 입력되는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른 다수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17)와, 상기 마이컴(201)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송신장치(100)와 동조를 이루기 위해 동일 코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키 입력부(215)및 상기 코드키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단말기(2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RF송신부(103)에서 송출된 주파수는 RF수신부(203)에서 동조되며, 동조된 주파수신호에 포함된 코드를 복조시킨다. 따라서 상기 RF수신부(203)는 상기 RF송신부(103)에서 송출한 코드신호만을 출력하며, 이는 디코더(205)를 거쳐 입력코드를 해독한다. 즉, 송신장치(100)와 단말기(200)간의 프로토콜을 위한 다수의 제어데이터를 제외한 순수 정보 데이터만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201)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마이컴(201)은 RF수신부(203)를 통해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에서 판단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데,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는 RF수신부(203)로부터 수신된 주파수의 수신전계의 강도를 검출하여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따라서 마이컴(201)은 디코더(205)를 통해 디코딩된 신호와 더불어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입력받아, 이미 프로그램화된 제어동작에 따라 그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에서 현재 수신되는 전계의 강도가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면 즉, 차량(송신장치:100)과 단말기(200)간의 거리가 먼 상태(최소 1~2미터 이상)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판단되면, 단말기(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에서 검출된 전계의 강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일예로서 차량과 단말기간의 거리가 1~2미터 이하에서 검출되는 수신전계)되면, 마이컴(201)은 현재의 단말기(200)의 위치 즉, 사용자와 차량간의 거리가 극히 근접되어 있음으로 판단하여 상기의 단말기(200)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는 차량과 단말기(200)간의 거리가 극히 근접되어 단말기(200)의 기능이 불필요함에 따른 것이다.
한편,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에서 수신되는 전계의 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디코더(205)에서 디코딩된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마이컴(201)은 이에 상응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디코더(205)에서 출력된 정보 데이터가 상기 도어센서부(115)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거한 정보일 경우에는 상기 LCD(207)로 차량의 도어가 열려있음을 표시토록 LCD를 디스플레이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마이컴(201)으로 유입된 디코딩 신호가 후드센서부(117)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거한 정보일 경우 LCD(207)에 도시된 차량의 본넷을 점멸시켜 본넷이 열려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며,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의 트렁크, 차량의 시동상태 및 차량의 충격여부 등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기능을 본 고안에 따른 표시장치를 통해 일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단말기(200)의 표시장치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LCD(207) 그래픽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CD(207)상에 차량을 형상화시킨 차량아이콘(313)이 디자인되며,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본넷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본넷 이이콘(301),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트렁크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트렁크 이이콘(303),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도어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도어열림 아이콘(309),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충격아이콘(307) 및 차량의 시동상태시 상기 차량의 헤드램프를 점멸시키는 시동아이콘을 포함한 상기 차량의 뒷 부분 충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후드충격 아이콘(30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수신전계 아이콘(311) 내지 배터리, 시계, 알람표시, 알람예약 표시 및 진도모드 표시에 따른 아이콘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면 일측부에 호출용 스위치를 구비하여 외부인으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생성될 때 이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아이콘(본 발명의 일예로 전화기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등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LCD(207)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신전계 이이콘(311)는 상기 수신전계 강도측정부(211)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에 의거 디지트화된 출력표시가 이루어지며, 상기 RF수신부(203)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송신장치(100)의 충격센서부(111)로부터 감지된 신호일 경우에는 상기 충격이이콘(207)이 점멸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RF수신부(203)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도어센서부(113)로부터 감지된 신호일 경우에는 상기 LCD(207)의 도어열림 이이콘(309)이 점멸한다.
물론, RF수신부(203)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후드센서부(117)내지 트렁크센서부(119)에서 감지된 신호일 경우에는 후드충격 아이콘(305)내지 트렁크 아이콘(303)이 점멸을 수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현 상태를 원거리에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격센서부(111)로부터 감지될 경우에는 진동아이콘(315)이 점멸하고, 상기 송신장치(100)에 외부인이 호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경우, 상기 RF수신부(203)를 통해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신호를 검출하면 외부인 호출아이콘(317)이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시각적인 효과와 더불어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마이컴(201)은 디코더(205)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사운드 출력부(217)에서 발생하는 톤을 달리한다. 즉, 도어가 열린상태 또는 본넷이 열린상태내지 트렁크가 잠기지 않았을 때 등에 따라 마이컴(201)은 사운드 출력부(217)로 인가하는 사운드 주파수를 달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주파수는 이미 마이컴(201)에 내장되고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단말기(200)의 기능에 기존 도난 경보기를 결합시켜 차량과 단말기간의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사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차량의 상황을 사용자 단말기의 LCD를 통해 실제 상황대로 구현하도록 하여, 차량의 현 상태를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기존 도난 경보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차량의 충격으로 인한 경보음으로부터 사용자가 차량확인을 하지 않고도 충격부위를 알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2)

  1. 주차된 차량의 충격유무를 검출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충격센서부(111);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알리는 시동센서부(113);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센서부(115);
    상기 차량의 보넷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후드센서부(117);
    상기 차량의 트렁크 열림상태를 검출하는 트렁크센서부(119);
    상기 다수의 센서(111)(113)(115)(117)(119)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코드화된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코더(105);
    상기 인코더(105)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검출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시리얼포트를 통해 직렬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제어부(101);
    상기 제어부(101)에서 출력된 직렬신호를 무선 송출하기 위한 RF송신부(103);
    상기 제어부(101)의 입력포트에는 상기 송신장치(100)의 고유번호내지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키 입력부(109); 및
    상기 제어부(101)의 입출력 포트에는 코드키 입력부(109)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7)로 구성된 송신장치(100)와,
    상기 RF송신부(103)에서 방사한 주파수에 동조하고 동조된 주파수에 포함된코드신호를 복조시키는 RF수신부(203);
    상기 RF수신부(203)에서 복조된 코드신호를 데이터화된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코더(205);
    상기 RF수신부(203)에서 동조되는 주파수 신호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
    상기 디코더(205)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를 인가받아 입력 데이터를 해독하여 LCD(207)에 구비된 다수의 아이콘을 각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전계강도 측정부(211)의 검출결과에 따라 시스템을 온/오프 제어하는 마이컴(201);
    상기 마이컴(201)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디코더(205)에서 입력되는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른 다수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17);
    상기 마이컴(201)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송신장치(100)와 동조를 이루기 위해 동일 코드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코드키 입력부(215);
    상기 코드키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3)로 구성된 단말기(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CD(207)는 차량을 형상화시킨 차량아이콘(313);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본넷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본넷 이이콘(301);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트렁크의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트렁크 이이콘(303);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도어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도어열림 아이콘(309);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충격아이콘(307);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차량의 뒷 부분 충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후드 충격 아이콘(305);
    상기 차량아이콘(313)상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알리기 위해 헤드램프를 점멸시키는 시동아이콘;
    외부인이 차량을 통해 호출한 신호를 알리기 위한 호출아이콘; 및
    상기 단말기(200)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수신전계 아이콘(31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KR2019990026116U 1999-11-19 1999-11-19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KR200180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16U KR200180095Y1 (ko) 1999-11-19 1999-11-19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16U KR200180095Y1 (ko) 1999-11-19 1999-11-19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95Y1 true KR200180095Y1 (ko) 2000-04-15

Family

ID=1959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116U KR200180095Y1 (ko) 1999-11-19 1999-11-19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268A (ko) * 2014-08-22 2016-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268A (ko) * 2014-08-22 2016-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81227B1 (ko) * 2014-08-22 2020-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524B1 (ko) 통신 장치 및 거리 산출 시스템
US20070262853A1 (en) Vehicle alarm
JP201013862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0222068Y1 (ko) 방범 창호 시스템
KR200180095Y1 (ko) 차량의 상태표시 장치
KR200362297Y1 (ko) 주차 차량의 상황 인식장치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KR1002340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상태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534305B1 (ko) 차량의 무선도어 잠금장치
KR100936773B1 (ko)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형 전자식 잠금장치
KR20100073586A (ko) 건설기계의 도난 방지장치
JP3546109B2 (ja) 不正使用自動通報装置
WO2005020622A1 (en) Antenna module for remote engine starting of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antenna module
JPH1130064A (ja) 車両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GB2218553A (en) Security system
KR200246357Y1 (ko) 가방의 안전 시스템
KR100353495B1 (ko) 유무선 방범 창호 시스템
KR1999006498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상태 점검시스템 및 방법
KR100558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에 의한 도어 해정 기능을갖는 도어 시스템
KR200225966Y1 (ko) 차량용 양방향 원격시동 및 도난경보장치
RU2674325C2 (ru) Судовая система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19990033895A (ko)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
KR200162193Y1 (ko) 도난차량 알림장치
JP3735349B2 (ja) 自動車盗難防止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5484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