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303Y1 -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 Google Patents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303Y1
KR200166303Y1 KR2019990013577U KR19990013577U KR200166303Y1 KR 200166303 Y1 KR200166303 Y1 KR 200166303Y1 KR 2019990013577 U KR2019990013577 U KR 2019990013577U KR 19990013577 U KR19990013577 U KR 19990013577U KR 200166303 Y1 KR200166303 Y1 KR 200166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music
user
telephone network
s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5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중
Original Assignee
김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중 filed Critical 김태중
Priority to KR2019990013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3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3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망을 통해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해 인가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통화루프를 형성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선곡 정보를 제공받아 반주기에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된 곡일 시 반주기에 예약곡으로 등록하는 선국장치를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karaoke function through a cable network, and detects a ring signal applied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to form a call loop,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o register in half a cycle by receiving music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ddition, the tuner is registered as a reserved song at half-hour period.

Description

공중전화망을 통한 선곡장치{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Selection device through public telephone network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케이블망을 통해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전화망을 통해 노래 선곡이 가능한 노래 선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karaoke function through a cable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ng selection device capable of song selection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통상적으로 노래방 기능이라함은 이용자에 의해 선곡되는 노래에 따른 반주를 음향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반주에 대응하는 노래 가사를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여 줌으로서 이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반주와 가사에 맞춰 노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In general, a karaoke function provides accompaniment accor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sound system, and displays the lyrics of a song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on a monitor so that the user can match the accompaniment and lyrics using a microphone. This is a feature that allows you to sing.

초기에는 앞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는 노래방 기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작함으로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값비싼 노래방 기기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노래방과 같이 일정한 사용료를 지불하고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itial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karaoke service can be used by installing a karaoke device that provides the karaok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use the karaoke service. .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방안으로 제안된 것이 가정에서 유선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설치된 케이블망을 이용하여 노래방 기능을 제공받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방송국으로부터 가정으로 인입되는 케이블망을 통해 반주와 가사 정보를 전송하면, 가정에 설치된 모니터와 음향시설을 통해 노래방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었다.Therefore, one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as to provide a karaoke function using a cable network installed to watch cable broadcasting at home. In this way, when accompaniment and lyric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to the home through the cable network, the karaoke func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monitor and sound facilities installed in the home.

하지만, 종래 제안되었던 케이블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노래방 기능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노래를 선곡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방송국 또는 서비스 업체에서 선곡하여 제공하는 곡만을 서비스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karaoke function provided using a cable network, which has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a function of selecting a song directly by the user is not provided, causing a problem that only a song provided by a broadcasting station or a service company needs to be servic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원하는 노래를 선곡하여 노래방 기능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선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selection device that can receive a karaoke function by selecting a desired song using a public telephone network.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을 예약할 수 있는 선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 selection device that can reserve a desired song using a public telephone net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인가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통화루프를 형성하는 통화연결부와, 상기 통화루프를 통해 인가되는 톤신호에 의해 선곡 정보를 발생하는 톤검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재생하는 음성재생부와, 상기 링 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통화연결부를 제어하여 통화루프를 형성한 후 상기 톤검출부로부터 선곡 정보를 제공받아 반주기에 등록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된 곡일 시 상기 반주기에 예약곡으로 등록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된 선국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pplied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a call connection unit forming a call loop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and a tone signal applied through the call loop. A tone detection unit for generating selection music information, a voice reproduction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call loop by controlling the call connection unit when the ring signal is detected, and then selecting the song selection unit from the tone detection unit. It is proposed a tuning device implemented to include the control unit to receive inform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registered in the half-period to register as a reserved song in the half-perio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노래 송국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ng transmit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래 선곡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performing song se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의 요지와 관계없이 구성 또는 동작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r operation regardless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선곡시스템의 개념을 살펴보면, 중앙에 선곡/재생장치를 설치하고, 공중전화망 또는 내선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를 기존의 유선방송사, 케이블 텔레비젼 및 아파트 단지 방송 등을 위해 설치된 케이블망을 통해 선곡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First, the concept of the music selection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music selection / playback device in the center, and the accompaniment and lyrics corresponding to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or extension to the existing cable TV, cable TV And it is to provide to the user selected through the cable network installed for the apartment complex broadcasting.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선곡시스템의 일 예에 따른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선곡시스템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선곡하도록 하며, 중앙에 설치한 선곡/재생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을 유선방송사, 케이블 텔레비젼 등을 위해 설치된 케이블망을 통해 제공하는 구성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viously selected music selection system is as shown in FIG. 1. The music selection system shown in FIG. 1 allows the user to select music using a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the music selection / reproducing apparatus 20 installed at the center selects a cable network installed by a user for a cable broadcasting company or a cable TV. Provided through the configura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선곡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a,b)는 통상적으로 가정 등에서 음성 통화를 위해 사용하는 전화기이며, 본 고안에서는 유선 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10)는 상기 단말기(a,b)의 요구에 의해 통상적인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선곡/재생장치(20)는 상기 교환기(1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곡되는 곡을 예약받아 예약된 순서에 의해 예약된 곡에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를 케이블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모니터(c,d)는 텔레비젼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 등이라 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망을 통해 제공되는 반주 및 가사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면상에는 상기 반주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기기를 개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모니터(c,d)가 음향기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그 외에도 도면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마이크 등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 each component of the selec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erminals (a, b) is typically a telephone used for voice calls at home,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a wired remote control. The exchange 10 performs a normal exchange function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s a and b. The music selection / reproducing apparatus 20 receives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witch 10 and provides accompaniment and lyrics corresponding to the music to be reserved according to the reserved order to the user through the cable network. The monitors c and d may be assumed to be monitors of televisions or computers, and provide accompaniment and lyrics provided through the cable network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coustic device for providing the accompaniment is not disclosed on the drawing, it is assumed that the monitor (c, d) performs a function as an acoustic devic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hat a microphone or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implemented.

도 2에서는 앞에서 개시한 도 1의 구성인 선곡/재생장치(2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곡/재생장치(2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usic selection / reproducing apparatus 20, which is the configuration of FIG.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usic selection / playback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링검출부(214)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공급되는 착신 링의 수신을 감지하여 링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통화연결부(212)는 링 검출 또는 연결 종료에 따른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공중전화망을 스위칭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톤 검출부(216)는 상기 통화연결부(212)를 거쳐 공급되는 각 종 톤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10)로 제공한다. 상기 톤 신호는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모든 톤 신호를 포함하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a,b)로부터 키 신호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키 신호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신호는 단말기(a,b)의 방식에 따라 다이얼 펄스이거나 다중주파수(DTMF)로 구분할 수 있다. 음성재생부(218)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된 음성메시지를 재생하여 상기 통화연결부(212)를 통해 공중전화망으로 송출함으로서 상기 단말기(a,b)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음성메시지로는 선곡 요구 음성메시지, 선곡 안내 음성메시지, 에러 음성메시지, 예약된 곡을 알리는 음성메시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음성재생부(218)은 운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을 사용하거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인 장치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처리부와, 2진 부호화 데이터를 디지털신호 처리한 후 아날로그신호의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DSP)와, 상기 2진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현이 가능하다. 반주기(220)는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예약된 곡 번호를 제공받아 예약된 순서에 따라 대응하는 곡의 반주와 가사 정보를 재생한다. 전송부(222)는 상기 반주기(220)로부터 재생된 반주와 가사 정보를 케이블망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선곡/재생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The ring detector 214 detects the reception of an incoming ring suppli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generates a ring detection signal. The call connection unit 212 perform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according to ring detection or connection termination. The tone detector 216 detects various tone signals supplied through the call connection unit 212 and provides them to the controller 210. The tone signal includes all tone signals that can be provided from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 to a key signal from the terminals (a, b) by a user's operation. The signal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may be classified into a dial pulse or a multi-frequency DTMF according to the scheme of the terminals a and b. The voice reproducing unit 218 reproduces the voice message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and transmits the voice message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hrough the call connection unit 212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s (a, b). The voice messag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on request voice message, a selection guide voice message, an error voice message, and a voice message informing of a reserved song. Meanwhile, the voice reproducing unit 218 may be implemented using a voice recorded by an operator or using a mechanical device. 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device, a voice processor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for converting binary coded data into a voice signal of an analog signal, and the binary coded data It can be implemented as a memory that stores. The half cycle 220 receives the reserved song number from the controller 210 and reproduces accompaniment and lyric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ong in the reserved order. The transmitter 222 transmits the accompaniment and lyrics information reproduced from the half cycle 220 to the cable network. The controller 21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music selection / playback apparatus 20 by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3.

이하 상기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사용자는 노래방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a,b)를 이용하여 중앙에 위치한 선곡/재생장치(20)를 호출하게 된다. 상기 호출은 통상적인 전하 통화를 위해 수행하는 수순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며, 이때에도 전화 통화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a,b)로부터 송출된 신호(DP, DTMF)는 교환기(10)로 제공될 것이다. 상기 교환기(10)는 상기 단말기(A,B)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선곡/재생장치(20)를 호출하는 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교환기(10)에 의해 발생된 링 신호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성인 링 검출부(214)에 의해 검출되며, 링 검출신호에 의해 제어부(210)로 링 착신이 있음을 통보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도 3의 310단계에서 착신 링이 있는 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중에 상술한 동작에 의해 공급되는 링 검출신호에 의해 3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통화연결부(212)를 제어하여 링 신호가 검출된 공중전화망을 내부 장치로 연결함으로서 통화루프를 형성한다.In order to use the karaoke function, the user calls the music selection / playback device 20 located at the center using the terminals a and b. The call is performed by the same operation as that performed for a normal charge call, and it will also use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as with a phone call. In response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signals DP and DTMF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s a and b will be provided to the exchange 10. The switch 10 generates a ring signal for calling the music selection / reproducing apparatus 20 by the signals supplied from the terminals A and B. The ring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 10 is detected by the ring detection unit 214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210 of the ring arrival by the ring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210 proceeds to step 312 by the ring detection signal supplied by the above operation while continuously monitoring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ring in step 310 of FIG. In step 312,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call connection unit 212 to connect a public telephone network where a ring signal is detected to an internal device to form a call loop.

상기한 동작에 의해 통화루프가 형성되면 상기 교환기(10)는 교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a,b)를 상기 선곡/재생장치(20)로 연결한다. 상기 통화루프가 형성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재생부(218)를 제어하여 선곡 요구 음성메시지가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선곡 요구 음성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선곡하거나 곡 안내를 요구하라는 음성 메시지이다. 상기 선곡 요구 음성메시지의 예를 들면, '원하는 곡이 있으면 곡번호를 누르시고, 곡번호를 모르시면 0번을 눌러주십시오.'로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currency loop is form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switch 10 performs an exchange function to connect the terminals a and b to the selection / playback device 20. When the call loop is formed,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14 to control the voice reproducing unit 218 to play the music selection request voice message. The song selection request voice message is a voice message for selecting a song or requesting a song guide. For example, the music selection request voice message may be embodied as 'Press a song number if there is a desired song, and press 0 if you do not know the song number.'

상기 선곡 요구 음성메시지를 송출한 후 상기 제어부(210)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기(a,b)로부터 선곡 안내를 요구하는 신호 또는 곡번호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가를 감시한다. 상기 신호는 톤 신호의 형태를 가지며, 도 2에서 개시하고 있는 톤검출부(216)에 의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210)로 제공된다.After transmitting the music selection request voice message, the control unit 210 proceeds to step 316 to determine whether a signal for requesting a music selection guide or a signal for selecting a music number is input from the terminals a and b in response to the voice message. Watch. The signal has a form of a tone signal, and is detected by the tone detector 216 shown in FIG. 2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210.

만약, 상기 316단계에서 선곡 안내를 요구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선곡 안내 음성메시지가 상기 단말기(a,b)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음성재생부(218)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에 의해 재생된 음성메시지는 상기 통화 연결부(212)와 공중전화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a,b)로 공급된다. 상기 선택 안내 음성메시지는 일정한 형식에 의해 곡목과 곡번호를 매칭시켜 순차적으로 안내되는 음성메시지로서 그 구현방법은 다양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318단계에서 선곡 안내 음성메시지를 제공한 후 32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이루어지는 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한편, 상기 316단계에서 선곡 안내 요구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앞에서 개시한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이루어지는 가를 감시한다.If the signal for requesting the selection guide is detected in step 316,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18 so that the voice selection guide voice message can be supplied to the terminals a and b. To control. The voice message reproduced by the control is supplied to the terminals (a, b) through the call connection unit 212 and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The selection guide voice message is a voice message that is sequentially guided by matching a piece number and a song number in a predetermined format, and its implementation may var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10 continues to monitor whether the selec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proceeds to step 322 after providing the selection guide voice message in step 318. 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ion of the selection guide request in step 316,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20 and monitors whether the selection by the user described above is made.

만약, 상기 320단계 또는 32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1)는 324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3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314단계로 리턴하여 앞서 기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상기 322단계에서 선곡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318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반복 수행하는 단계는 무한정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일정한 회수 또는 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If the selection of music by the user is detected in step 320 or step 322, the controller 21 proceeds to step 324. However, if the selection of music by the user is not detected in step 32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14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steps. If the selection of music is not detected in step 322, the operation 318 is repeated. The repetitive step may be implemented to be performed indefinitely, and may be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time.

상기 32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번호와 이미 사를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곡번호를 비교한다. 상기 곡번호의 비교 방법은 상기 제어부(210)의 메모리(224) 구비 여부에 의해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상기 제어부(210)가 메모리(224)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224)에 예약된 곡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번호를 비교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하여 두 번째로는 상기 제어부(210)가 메모리(224)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인데, 이때에는 반주기(220) 내에 예약된 곡번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번호를 비교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In step 324, the controller 210 compares the music number selected by the user with the music number already reserved by the user. The music number comparison method may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roller 210 includes the memory 224. First, when the control unit 210 includes the memory 224 therein, the control unit 210 compares the song number reserved in the memory 224 with the song number selected by the user. On the contrary, in the second case, the control unit 210 does not include the memory 224.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song number reserved in the half cycle 220 and compares the song number selected by the user. .

상기 324단계에서 비교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번호가 이미 예약되어 있는 곡번호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326단계에서 이미 예약된 곡번호라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328단계로 진행하여 에러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에러를 알리는 음성메시지 또한 앞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사용자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제어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번호를 서비스 가능한 곡번호, 즉 등록된 곡번호인가를 판단하여 등록되지 않는 곡번호라 판단되는 경우에도 에러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mparison is completed in step 324, the control unit 210 proceeds to step 326 to determine whether the song number selected by the user is already reserved music numb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26 that the song number is already reserved,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28 and provides a voice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error. The voice message notifying the error is also supplied to the user by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ler 210 determines whether the song number selected by the user is a serviceable song number, that is, a registered song number. Can be supplied to the user.

이에 반하여, 상기 326단계에서 이미 예약된 곡번호가 없으며, 선곡된 곡번호가 등록된 곡번호라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곡된 곡번호를 예약곡으로 등록한다.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210)가 내부에 메모리를 구비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330단계에서 선곡에 대한 예약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33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선곡 종료를 요구하는 신호가 제공되는 가를 상기 톤 검출부(216)를 통해 감시한다.In contrast, if there is no song number already reserved in step 326 and the selected song number is a registered song number,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30 and registers the selected song number as a reserved son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0 may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ler 210 has a memory therein. When the reservation for the music selection is completed in step 330,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32 and monitors whether the signal for requesting the music selection is provided from the user through the tone detector 216.

상기 톤 검출부(216)에 의해 선곡 종료 요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314단계로 리턴하여 선곡 기능을 재 수행하게 될 것이며, 그렇지 않고 선곡 종료 요구가 감지되면 334단계로 진행하여 예약된 곡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예약곡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메시지는 '귀하가 예약한 곡은입니다.'라는 기본 메시지에 선곡된 곡번호에 대응하는 합성된 음성을 앞의 기본 메시지에 삽입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If the music selection end request is not detected by the tone detector 216, the control unit 210 returns to step 314 to perform the music selection function again. A voice message is sent to the user to confirm the song. The voice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reserved song is, This can be implemented by inserting the synthesized voice corresponding to the song number selected in the basic message into the previous basic message.

상술한 동작에 의해 선곡이 완료되면 반주기(220)는 예약된 순서에 따라 해당 곡의 반주와 가사 정보를 재생하여 전송부(2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고유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전송한 후 해당 단말기만이 자신의 고유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music selection is complet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semi-period 220 reproduces the accompaniment and lyrics information of the song in the reserved order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222.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service for a fee, after encrypting and transmitting using a user unique code may be implemented so that only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n be used by using its own code.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곡을 선곡할 수 있도록 함으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기존의 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user's satisfaction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rbitrary songs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but also enables users to use satisfactory services at low cost by using existing equip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Claims (1)

내부에 반주기와 상기 반주기로부터 재생되는 반주 및 가사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한 선곡/재생장치에 있어서,In the music selection / playback apparatus having a half cycl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ccompaniment and lyrics information reproduced from the half cycle, 공중전화망을 통해 인가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부와,A ring detector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pplied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통화루프를 형성하는 통화연결부와,A call connection unit forming a call loop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상기 통화루프를 통해 인가되는 톤신호에 의해 선곡 정보를 발생하는 톤검출부와,A tone detection unit generating selection music information by a tone signal applied through the call loop;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재생하는 음성재생부와,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링 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통화연결부를 제어하여 통화루프를 형성한 후 상기 톤검출부로부터 선곡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반주기에 등록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된 곡일 시 상기 반주기에 예약곡으로 등록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망을 통한 선곡장치.When the ring signal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o form a call loop,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tone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o register in the half cycle, and registers as a reserved song in the half cycle when the music is registered. Selection device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2019990013577U 1999-07-06 1999-07-06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KR2001663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577U KR200166303Y1 (en) 1999-07-06 1999-07-06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577U KR200166303Y1 (en) 1999-07-06 1999-07-06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303Y1 true KR200166303Y1 (en) 2000-02-15

Family

ID=1958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577U KR200166303Y1 (en) 1999-07-06 1999-07-06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30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167B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a multimedia alarm call massage
US6058172A (en) Telephone with novel FSK decoding means, simultaneous off-hook caller ID reception means, and set of configurable function key means
JPH10150505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GB2308953A (en) Generating a ring tone in a cordless telephone dependent on the base station ID
US5715301A (en) In-hous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oth voice and digital data, and communication terminals used in this system
KR200166303Y1 (en) Choice music device for an air telephone network
US62263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clock using caller ID information
US5991397A (en) Voice paging service control method in a switching system
US5953397A (en) Computer system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06188847A (en) Catv system
JP3692582B2 (en) Voice eraser
JPH10215314A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KR100405591B1 (en) Internet phone exchanger with gateway feature
JPH0946445A (en) Telephone number notice calling method by television broadcast
KR100498913B1 (en) How to guide dial tone in keyphone system
KR19990041535A (en) An automatic response device and its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over the Internet
JPH0528191U (en) External selection compatible image providing device
JP2831701B2 (en) One-way communication system
KR100221846B1 (en) Keyphone system having karaoke function
JPS60172898A (en) Subscriber line signal system
JPH04109742A (en) Mutual converter for digital tv telephone message/ analog still picture tv telephone message
WO1998001986A2 (en) Information message line condition signaling technique
JP3502494B2 (en) Karaoke equipment
KR19980054679A (en) On-premises broadcasting system using exchange
JP2000125354A (en) Radio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