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246Y1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246Y1
KR200150246Y1 KR2019930010969U KR930010969U KR200150246Y1 KR 200150246 Y1 KR200150246 Y1 KR 200150246Y1 KR 2019930010969 U KR2019930010969 U KR 2019930010969U KR 930010969 U KR930010969 U KR 930010969U KR 200150246 Y1 KR200150246 Y1 KR 200150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magnets
deflection yoke
distortion
electr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207U (ko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30010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246Y1/ko
Publication of KR950002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배열의 전자총을 구비하며, 수평 편향코일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가 핀쿠션형으로,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수직 편향자계가 배럴형으로 되는 셀프 컨버젼스방식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경우 보정량의 불충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걸윙디스토션을 유효하게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세퍼레이터의 플레어부 상하 양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를 일렬로 배치한 자계조정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편향요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
제2a, 2b도는 본 고안의 자계조정장치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라스터 디스토션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제6a, 6b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걸윙 디스토션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수평편향코일 5 : 세퍼레이터
10 : 편향요크 20 : 자계조정장치
23, 24, 24', 25 : 마그네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형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상ㆍ하 양측의 편향요크에 자계조정장치를 설치하므로서, 화면의 라스터 디스토션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셀프 컨버젼스 방식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음극선관의 편향요크는, 벌브를 구성하는 네크에 장착되어 수평ㆍ수직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되는 수평ㆍ수직 자계에 의해,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부라운관의 패널 내측에 형성된 R, G, B 형광체에 양호하게 랜딩되도록 상하좌우로 편향시키는 장치이다.
통상 3개의 전자빔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한 음선관의 편향요크는, 수평 편향코일을 새들(Saddle)형으로 수직 편향코일을 트로이달(Toroidal)형으로 권선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의 권선분포를 조정하여 스평 편향코일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가 핀쿠션형으로 되고,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수직 편향자계가 배럴형으로 되도록 하므로서 셀프 컨버젼스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셀프 컨버젼스방식의 편향요크는 수평 편향자계가 핀쿠션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상하의 라스터 디스토션이 유효하게 보정된다. 그렇지만, 좌우의 라스터 디스토션에 대해서는 수직 편향자계가 컨버젼스 특성상 배럴형으로 되기 위해 역으로 라스터 디스토션을 조장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좌우 디스토션을 갖는 라스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라스터 디스토션을 편향요크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수직 편향자계의 화면측 자계 형상을 핀쿠션으로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 공지된 것으로서 컨버젼스와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한 편향요크가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화면을 보다 평탄화 또는 광 편향각화한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상하 및 좌우 라스터 디스토션이 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의 화면측 편향자계 형상을 보다 강하게 핀쿠션형으로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 방식으로는 이를 실현하기가 곤한하였다.
상기한 라스터 디스토션을 용이하게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8-220342호에는 인라인형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양 화면측으로 자극의 길이가 다른 2종의 자계조정장치를 저마다 배치한 편향요크가 개재되어 있다.
제3도는 상기한 종래에 공지된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인라인형 전자총의 배열방향의 기준선 H-H는 지면의 수평 방향에 상당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의 기준선 H-H의 상하에 배치된 수평 편향코일(3)과 동일측 즉, 기준선의 화면측 상하에 자극의 길이가 다른 2종의 마그네트(21,22)로 구성되는 자계조정장치가 저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자계조정장치의 작용상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자극의 길이가 긴 마그네트(21)에 의해 형성된 핀쿠션형의 자계는 좌우 라스터 디스토션을 제4도에 도시된 실선(4)과 같이 보정하게 되는데, 이때 화면 상하의 수평선도 마그네트(21)의 자계의 영향을 받아 보정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자극의 길이가 짧은 마그네트(22)는 라스터의 수직측 부근을 상하로 잡아 당기도록 작용하며, 이는 주로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의 보정을 행하게 되어 제5도에 도시된 실선(4')과 같은 유효한 라스터가 얻어진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상술한 종래 기술의 편향요크에 수반하는 문제점은, 화면을 보다 평탄화 또는 광 편향각화한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보정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종래의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이 잔존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걸윙(Gull Wing)디스토션(화면상의 라스터가 갈매기 형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데 있다.
즉, 음극선관의 패널 곡률에 기인하는 상하 핀쿠션형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해 편향요크의 상하측에 자극의 길이가 다른 2종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자계조정장치를 부착하여 보정을 행하게 되는 바, 이때 자극의 길이가 짧은 마그네트에 의해 자계 조정 즉, 보정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제6도(a, b)에 도시된 실선(7,7')과 같이 걸윙 디스토션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의한 자계조정장치는 2종의 마그네트를 상하에 각각 또는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구조가 복잡하여 장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세퍼레이터의 설계 및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라인 배열의 전자총을 구비하며, 수평 편향코일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가 핀쿠션형으로,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수직 편향자계가 배럴형으로 되는 셀프 컨버젼스방식의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본 고안의 편향요크는 상기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세퍼레이터의 플레어부 상하 양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를 일렬로 배치한 자계조정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플레어부 상하측 돌출부에 수납 설치되는 상기 자계조정장치는 자극방향이 동일하게 배치된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세퍼레이터의 플레어부 상하측 돌출부에 수납 설치되는 상기 자계조정장치는, 중앙부에 배치된 마그네트와 좌우 마그네트의 자극방향이 서로 대향되어 역으로 배치된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계조정장치를 구성하는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는 서로 다른 착자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부의 마그네트가 좌우에 배치된 마그네트 보다 크게 또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작용]
본 고안의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전자총의 배열 방향을 기준선으로 세퍼레이터의 플레어부 상하 양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자계조정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 기술에서의 자계 보정량의 부족에 의한 상하 라스터 디스토션의 잔존과 이로 인한 걸윙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패널 곡률에 기인하는 상하 핀쿠션형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해 편향요크의 상하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자계조정장치를 부착함과 아울러, 동시에 상기 자계조정장치를 중앙에 있는 마그네트와 그것의 좌우에 위치하는 마그네트의 착자량 또는 방향을 저마다 적절하게 조정하므로서, 종래 기술의 상하 핀쿠션형의 라스터 디스토션의 보정시 발생하였던 걸윙 디스토션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상기 자계조정장치는 제6도(a, b)에 도시된 걸윙 디스토션의 상태에 따라, 중앙의 마그네트와 그것의 좌우에 배치된 마그네트의 착자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작게함과 아울러, 자극의 방향을 동일하게 또는 역으로 배치하므로서, 전자빔에 작용하는 자계의 힘을 중앙부는 크게 혹은 작게하여 갈매기 형성의 걸윙 디스토션을 적절하게 보정하게 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3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인라인 배열의 전자총을 구비한 셀프 컨버젼스방식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면의 수평방향에 상당하는 기준선 H-H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편향요크(10)는, 상기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세퍼레이터(5)의 플레어부 상하 양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자계조정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자계조정장치(20)는 인라인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평행하게 대응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는 기준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세퍼레이터(5)의 플레어부 상하측 돌출부에 수납 설치되는 상기 자계조정장치(20)는 자극방향이 동일하게 배치된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세퍼레이터(5)의 플레어부 상하측 돌출부에 수납 설치되는 상기 자계조정자치(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배치된 마그네트(24,24')와 좌우 마그네트(23,25)의 자극방향을 서로 대향되도록 역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자계조정장치를 구비한 편향요크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초래하는 바, 제2도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계조정장치(20)는, 중앙의 마그네트(24,24')와 그것의 좌우에 배치된 마그네트(23,25)의 착자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함과 아울러, 자극의 방향을 동일하게 또는 역으로 배치하므로서,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걸윙 디스토션을 적절하게 보정하게 된다.
본 고안의 자계조정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종으로 구성된 마그네트를 편향요크의 상하에 부착하여, 전체적인 마그네트의 자계로 종래의 상하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자계조정장치(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계는, 중앙의 마그네트(24,24')와 그것의 좌우에 배치된 마그네트(23,25)의 착자량을 상대적을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자극의 방향을 동일하게 또는 역으로 배치하므로서, 제2도(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전자빔(G)가 주변부의 전자빔(R,B)에 작용하게 되는 영향력을 적절하게 조정하면서 걸윙 디스토션을 보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6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윙 디스토션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2도(a)와 같이 중앙부 마그네트(24)의 착자량을 크게 형성하여, 중앙부에 형성되는 자계의 영향력을 크게 구성하여 걸윙 디스토션을 보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6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윙 디스토션이 발생할 경우에는 제2도(b)와 같이 주변부 마그네트(23,25)의 착자량을 크게 형성하여, 중앙부에서 보다 주변부의 전자빔(R,B)에 미치는 자계의 영향력을 크게 구성하여 걸윙 디스토션을 보정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셀프 컨버젼스방식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세퍼레이터의 플레어부 상하 양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자계조정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자계조정장치를 중앙에 있는 마그네트와 그것의 좌우에 위치하는 마그네트의 착자량 또는 방향을 저마다 적절하게 조정하므로서, 종래 기술의 상하 핀쿠션형의 라스터 디스토션의 보정시 발생하였던 걸윙 디스토션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자계조정장치는 종래와 달리 3종의 마그네트를 일직선으로 배열하여 편향요크의 플레어부 상하 돌출부에 각각 수납되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종래의 장착성이 불량하였던 것과 달리, 구조가 간단하여 통상의 세퍼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인라인 배열의 전자총을 구비한 셀프 컨버젼스방식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배열방향을 기준선으로 세퍼레이터(5)의 상하 양측에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를 일렬로 배치한 자계조정장치(20)를 제공하고, 이 자계조정장치는 중앙부의 마그네트(24,24')가 좌우에 배치된 마그네트(23,25)보다 착자량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자계조정장치(20)는 동일 자극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23,24,2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1항에 있어서, 자계조정장치(20)는 자극 방향이 서로 역으로 배열된 적어도 3종의 마그네트(23,24'2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4. 제1항에 있어서, 자계조정장치(20)는 중앙부의 마그네트(24,24')가 좌우에 배치된 마그네트(23,25)보다 작은 착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2019930010969U 1993-06-21 1993-06-21 편향요크 KR200150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969U KR200150246Y1 (ko) 1993-06-21 1993-06-21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969U KR200150246Y1 (ko) 1993-06-21 1993-06-21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07U KR950002207U (ko) 1995-01-04
KR200150246Y1 true KR200150246Y1 (ko) 1999-07-01

Family

ID=1935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969U KR200150246Y1 (ko) 1993-06-21 1993-06-21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2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014A (ko) * 2000-03-10 2001-09-26 이형도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07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4304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PL130484B1 (en) Deflection yoke for colour picture tube
US4882521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4041428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cathode ray tubes
WO1992002033A1 (en) A deflection system with a pair of quadrupole arrangements
US5378961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KR850001389B1 (ko) 컬러텔레비전 수상기의 편향 요오크장치
CA1191883A (en) Self-converging television display system
KR200150246Y1 (ko) 편향요크
US6031345A (en) Color CRT hav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US6984929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with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US4305055A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a coma corrected deflection yoke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US4654615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or for cathode ray tubes
KR20020000378A (ko) 편향 요크
JP3041892B2 (ja) 陰極線管の偏向ヨーク
KR200147265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S5854777Y2 (ja) インライン形カラ−陰極線管の偏向装置
KR100731625B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KR100693828B1 (ko) 편향요크
KR900005933B1 (ko) 화상표시 장치 및 편향장치
KR100270364B1 (ko) 음극선관의인너디스토션보정장치
KR0120935Y1 (ko) 컬러브라운관용 편향요크
JP3825212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