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73Y1 -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 Google Patents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73Y1
KR200147773Y1 KR2019950032200U KR19950032200U KR200147773Y1 KR 200147773 Y1 KR200147773 Y1 KR 200147773Y1 KR 2019950032200 U KR2019950032200 U KR 2019950032200U KR 19950032200 U KR19950032200 U KR 19950032200U KR 200147773 Y1 KR200147773 Y1 KR 200147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ssette
side wall
rack
casset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2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25358U (en
Inventor
김의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32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73Y1/en
Publication of KR970025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35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7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측벽(33) 및 제2측벽(34)과, 카세트 홀더(35)와, 상기 카세트 홀더(35)에 카세트 테이프(41)를 삽입하거나 취출시킬 수 있는 투입구(42)가 형성된 전면(32)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벽(33)의 측면에, 제1랙(53) 및 제2랙(54)이 형성된 랙 기어(36), 상기 제1랙(53)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7), 상기 피니언 기어(37)에 맞물리는 이중 기어(38), 상기 이중 기어(38)와 맞물리며 아암(51)과 일체로 형성된 제1아암 기어(39) 및 샤프트 기어(40)가 마련된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기어(38)는, 복수개의 결합 돌기(64)와 하부 걸쇠(63)와 중심부의 샤프트(69)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기어(61), 당기 결합 돌기(64)에 끼워지는 결합홈(66)과 상부 걸쇠(65)와 상기 샤프트(69)에 끼워지는 통공(68)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 기어(62) 및, 상기 하부 기어(61)의 하부 걸쇠(63)와 상기 상부 기어(62)의 상부 걸쇠(65) 사이에서 상기 하부 기어(61)와 상부 기어(6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편향 시키는 스프링(6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삽입 및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는 카세트 홀더에 가해지는 부적절한 힘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wall 33 and the second side wall 34, the cassette holder 35, and the cassette holder 35 in the cassette tape ( A rack having a front surface 32 having an insertion opening 42 through which 41 can be inserted or taken out, and a rack having a first rack 53 and a second rack 54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side wall 33. Gear 36, pinion gear 37 meshing with the first rack 53, dual gear 38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37, meshing with the dual gear 38 and integral with the arm 51; In the cassette tape insertion and take-out device provided with the first arm gear 39 and the shaft gear 40 formed of the double gear 38, the double gear 38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64, a lower clasp 63, and a central portion. The shaft 69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gear 61, the coupling groove 66 and the upper clasp 65 and the shaft 69 to be fitted to the pull engaging projection (64) The lower gear 61 and the upper part between the upper gear 62 formed integrally with the through-hole 68 and between the lower latch 63 of the lower gear 61 and the upper latch 65 of the upper gear 62. A cassett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spring 67 for rotationally deflecting the gear 62 in the opposite direction.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mproper force applied to the cassette holder can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Cassette tape insertion and ejection device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부분적인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FIG.

제3도는 본 고안의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제1측벽에 설치된 기어 조립체 및 주요체 및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정면 투시도.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ar assembly and a main body and main component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wall of the FIG. 3 apparatus.

제5도는 제4도의 기어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ear assembly of FIG.

제6도(a) 및 제6도(b)는 이중 기어의 화전 상태에 따른 평면도.6 (a) and 6 (b) are plan views according to the fire state of the dual gea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상판 33 : 제1측벽31: top plate 33: first side wall

34 : 제 2측벽 35 : 카세트 홀더34: second side wall 35: cassette holder

38 : 이중 기어 61 : 하부 기어38: double gear 61: lower gear

62 : 상부 기어 63 : 하부 걸쇠62: upper gear 63: lower clasp

64 : 결합 돌기 65 : 상부 걸쇠64: engaging projection 65: upper clasp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 홀더의 구동에 있어 자동 삽입 작용이 개시되지 전에 카세트 홀더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해질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capable of applying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cassette holder before the automatic insertion action is started in driving the cassette holder.

통상적으로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용하는 비데오 카메라나 비데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하거나 취출할때 수동 작용과 자동 작용이 병행된다 사용자는 카세트 테이프를 카세트 하우징으로 통하는 투입구에 밀어 넣음으로써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홀더에 거치되게 하며, 카세트 테이프가 완전히 카세트 홀더에 거치되면 카세트 테이프 자체가 하우징내의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카세트 홀더가 자동적인 삽입 작용을 받게 된다. 카세트 홀더는 최종적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덱크상의 로딩(loading)위치 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삽입 작용이 종료된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의 취출시에는 이와 반대의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In a video camera 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employing a front loading method, manual and automatic action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when a user inserts or ejects a cassette tape. Is mounted on the cassette holder, and when the cassette tape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cassette holder, the cassette tape itself operates a switch in the housing so that the cassette holder is automatically inserted. The cassette holder finally terminates the insertion action by moving the cassette tape to the loading position on the deck. In addition, when the cassette tape is taken out, the opposite effect occurs.

그런데 이러한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 작용에 있어, 사용자가 손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홀더에 밀어넣는 동작이 일어나는 동안 카세트 홀더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완충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무리한 힘이나 부적절한 힘을 장치에 가함으로써 장치 작동이 수행되는 동안 카세트가 홀더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홀더에 걸리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탄성력 발생 수단으로서 측벽에 설치된 판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판 스프링은 적절한 탄성력을 카세트 홀더에 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inserting action of the cassette tape, it is necessary to buffer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by applying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cassette holder while the user pushes the cassette tape into the holder by hand.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that the cassette is detached from the holder or caught on the holder while the devic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applying an excessive force or an improper force to the device. Conventionally, a leaf spring provided on the side wall is used as the elastic force generating means, but this leaf spring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apply an appropriate elastic force to the cassette holder.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의 하우징은 상판(1)과, 제1측벽(2) 및 제2측벽(3)과, 카세트 테이프(11)를 삽입 및 취출할 수 있는 투입구(9)가 형성된 전면(10)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투입구(9)를 통해 카세트 테이프(11)를 삽입하게 되며, 카세트 테이프(11)는 카세트 홀더(12)에 안치된다. 일단 카세트 테이프가 홀더(12)에 안치되면, 카세트 테이프는 하우징내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도시되지 아니함)를 작동시킴으로써 구동 모터(13)가 작동한다. 구동 모터(13)는 제1측벽f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터 샤프트는 제1측벽(2)을 관통하여 그 단부에 모터 기어(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측벽(2)의 외측에는 상기 모터 기어(14)의 구동력을 아암 기어(7) 및 샤프트 기어(8)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1기어(5), 제2기어(5), 캠 기어(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측벽(2)의 외부는 분리 형성된 커버(8)로 덮이게 된다. 아암 기어(7)의 아암 부분에는 카세트 홀더(12)의 보스(15)가 끼워져 있는데, 상기 보스(15)는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카세트 홀더(12)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1측벽(2)을 통해 외측으로 관통된 것이다. 아암 기어(7)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아암 기어(7)의 회전에 따라서 보스(15)는 제1측벽(2)에 관통 형성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측벽(3)의 외측에도 아암 기어(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세트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 보스가 제2측벽(3)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 기어(8)는 아암 기어(7)와 맞물리는데, 제1측벽(2)의 샤프트 기어(8)는 제2측벽(3)의 외측의 대향 위치에 설치된 샤프트 기어와 샤프트(5)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이 전달된다. 제2측벽의 샤프트 기어는 제2측벽의 아암 기어를 구동하게 되며, 따라서 제1측벽(2)의 아암 기어(7) 및 제2측벽(3) 외측의 아암 기어는 카세트 홀더(12)를 소정의 경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housing of the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has a front surface formed with an upper plate (1), a first side wall (2) and a second side wall (3), and an inlet (9) into which the cassette tape 11 can be inserted and taken out. 10). The user inserts the cassette tape 11 through the inlet 9, and the cassette tape 11 is placed in the cassette holder 12. Once the cassette tape is placed in the holder 12, the drive motor 13 operates by operating a switch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cassette tape. The drive motor 13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ide wall f2, and the motor shaft penetrates the first side wall 2, and the motor gear 14 is attached to the end thereof.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wall 2, the first gear 5, the second gear 5, the cam gear so a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gear 14 to the arm gear 7 and the shaft gear 8; 6) is installed.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wall 2 is covered with a cover 8 formed separately. The boss 15 of the cassette holder 12 is fitted in the arm portion of the arm gear 7, which boss 1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sette holder 12 inside the housing. It penetrates outward through). The arm gear 7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oss 15 mov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formed through the first side wall 2 as the arm gear 7 rotates. An arm gear (not shown) is provided outside the second side wall 3, and a bos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sette holder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second side wall 3. The shaft gear 8 meshes with the arm gear 7, wherein the shaft gear 8 of the first side wall 2 is provided with the shaft gear and the shaft 5, which are installed at opposite positions outside the second side wall 3.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by the connection. The shaft gear of the second side wall drives the arm gear of the second side wall, so that the arm gear 7 of the first side wall 2 and the arm gear outside the second side wall 3 define the cassette holder 12. Can be moved to the path of.

제2도에는 제1도의 장치의 제2측벽 내측에 설치된 판 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판 스프링(21)은 제2측벽(3)의 내측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측벽(2)의 내측에도 설치된다. 판 스프링(21)은 힌지(24)에 의해 제2측벽(3)의 내측에 설치된다. 판 스프링(21)은 고정부(22)와 탄성부(23)를 구비하며, 고정부는 제2측벽(3)의 내측에 고정되는 반면에, 탄성부(23)는 단부가 측벽(3)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이다. 카세트 홀더(12)가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카세트 홀더(12)의 측벽(25) 외측면은 상기 판 스프링(21)의 탄성부(23)를 누르게 되며, 따라서 탄성력이 카세트 홀더의 측벽(25)에 가해진다. 이러한 탄성력은 카세트 홀더(12)가 제1도에 도시된 구동 모터(13)에 의해 작동이 개시될때까지 사용자가 홀더(12)에 가하는 힘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장치는 탄성력을 홀더에 제대로 전달해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카세트 홀더(12)의 측벽(25)과 하우징의 제2측벽(3)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므로 판 스프링(21)의 두께에 제한이 있으며, 그에 따라 충분한 탄성을 가할 수 있는 판 스프링(12)의 설계가 불가능하다2 schematically shows a leaf spring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ide wall of the device of FIG. The leaf spring 21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side wall 3 and also inside the first side wall 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eaf spring 21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side wall 3 by the hinge 24. The leaf spring 21 has a fixing portion 22 and an elastic portion 23,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ixed inside the second side wall 3, while the elastic portion 23 has an end portion at the side wall 3. It is not fixed and is spaced apart. When the cassette holder 12 is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5 of the cassette holder 12 presses the elastic portion 23 of the leaf spring 21,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sidewall of the cassette holder. 25). This elastic force functions to cushion the force exerted by the user on the holder 12 until the cassette holder 12 is started to operate by the drive motor 13 shown in FIG. The prior art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elastic force is not properly transmitted to the holder. That is, since the space between the side wall 25 of the cassette holder 12 and the second side wall 3 of the housing is narrow, the thickness of the leaf spring 21 is limited, and accordingly, the leaf spring capable of applying sufficient elasticity ( 12) The design is impossible

본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 홀더에 적정 수준의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in which an appropriate level of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to a cassette hold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카세트 홀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which can apply elastic force to a cassette holder using a coil spr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시에는 카세트 홀더에 탄성력이 가해지는 반면에, 카세트 테이프의 취출시에는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take-out apparatus in which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cassette holder when the cassette tape is inserted, while elastic force is not applied when the cassette tape is taken ou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카세트 홀더와, 상기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하거나 취출시킬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전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벽의 측면에, 제1랙 및 제2랙이 형성된 랙 기어, 상기 제1랙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이중 기어, 상기 이중 기어와 맞물리며 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제1아암 기어 및 샤프트 기어가 마련된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기어는, 복수개의 결합 돌기와 하부 걸쇠와 중심부의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기어, 상기 결합 돌기에 끼워지는 결합홈과 상부 걸쇠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통공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 기어 및, 상기 하부 기어의 하부 걸쇠와 상기 상부 기어의 상부 걸쇠 사이에서 상기 하부 기어와 상부 기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편향 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삽입 및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 cassette holder, and a front surface formed with an inlet for inserting or ejecting a cassette tape into the cassette holder,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a rack gear having a first rack and a second rack formed therein,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first rack, a dual gear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a first arm gear meshing with the dual gear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arm. And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provided with a shaft gear, wherein the double gear comprises: a lower gear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 lower clasp, and a central shaft integrally formed; a coupling groove and an upper clasp fitt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An upper gear integrally formed with a through hole fitted into the lower gear; A cassett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 spring for rotationally deflecting the secondary gear and the upper gear in opposite directions.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하부 기어는 상기 아암 기어와 맞물린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ear meshes with the pinion gear and the lower gear meshes with the arm gear.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카세트 홀더의 이동 부하 및 전체 기어의 회전 부하를 합한 것보다 크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moving load of the cassette holder and the rotating load of the entire gear.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카세트 홀더의 이동 부하, 전체 기어의 회전 부하 및, 상기 카세트 홀더 구동용 모터의 정지 부하를 합한 것보다 작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moving load of the cassette holder, the rotational load of the entire gear, and the stationary load of the cassette holder driving motor.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홈(43)이 형성된 상판(31)과, 제1측벽(33) 및 제2측벽(34)과, 카세트 테이프(41)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42)가 형성된 전면(32)을 구비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제1측벽(33)의 외측에는 랙 기어(36), 피니언 기어(37), 이중 기어(38), 제1아암 기어(39) 및 제1샤프트 기어(40)가 설치되는데, 조립이 완료된 후에 상기 기어들은 외부 커버에 의해 가려진다. 비록 제2도에는 상판(31)만이 도시되고 제1측벽(33)의 외부를 덮은 커버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커버는 상판(31)으로부터 연장된 일체형의 섀시인 것이 바람직스러우며, 이것은 제1측벽의 기어 조립체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의 제2측벽 외측에도 샤프트 기어와 아암 기어가 설치되는데, 이들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 내부에는 카세트 홀더(35)가 구비되며, 카세트 홀더(35)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로서 카세트 테이프(41)를 덱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경로를 통해 이동하거나, 역으로 덱크에 안착된 카세트 테이프를 투입구(42)를 통해 취출할 수 있게 한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sette tape insertion and take-ou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31 having a groove 43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side wall 33 and a second side wall 34,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cassette tape 41 can be inserted. 42 is formed of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32 formed there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33 is a rack gear 36, a pinion gear 37, a double gear 38, a first arm gear 39 and A first shaft gear 40 is installed, after which the gears are covered by the outer cover. Although only the top plate 31 is shown in FIG. 2 and the cove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wall 33 i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over is an integral chassis extending from the top plate 31, which is the first side wall. It is formed to cover all of the gear assembly. Shaft gears and arm gears are also installed outside the second side wall of the housing,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A cassette holder 35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cassette holder 35 moves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or vice versa so that the cassette tape 41 can be s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eck as described later. The cassette tape seated on the deck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inlet 42.

제4도는 제1측벽(33)의 외측에 설치된 기어 조립체와 카세트 홀더(35)와 기타 주요 구성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랙 기어(36), 피니언 기어(37), 이중 기어(38), 제1아암 기어(39)는 제1측벽(33)의 외측에 설치된다. 랙 기어(36)는 제1랙(53)과 제2랙(54)이 각각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랙(53)은 피니언 기어(37)와 맞물려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반면에, 제2랙(54)은 덱크상에 설치된 로딩 모터 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덱크상의 다른 기어 열(도시되지 아니함)과 맞물린다.4 schematically shows the gear assembly and cassette holder 35 and other main component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wall 33. The rack gear 36, the pinion gear 37, the double gear 38, and the first arm gear 39 are provided outside the first side wall 33. In the rack gear 36, the first rack 53 and the second rack 54 are formed on different sides. The first rack 53 meshes with the pinion gear 37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while the second rack 54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loading motor installed on the deck, so that the other gear train on the deck (not shown). No).

피니언 기어(37)는 랙 기어(36)와 이중 기어(38) 사이에 배치된다. 이중 기어(38)는 동일한 축선상에 반경이 다른 상부 기어와 하부 기어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기어에는 피니언 기어(37)가 맞물리고, 하부 기어에는 제1아암 기어(39)가 맞물린다. 상기 이중 기어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아암 기어(39)는 아암(51)을 구비하며, 아암(51)에는 스프링(56)이 설치되어 있다. 제1아암 기어(39)는 제1측벽(3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아암(51)은 제1측벽(33)의 내측에서 연장될 수 있도록 제1측벽(33)의 형상이 구비된다. 제1아암 기어(39)는 다시 제1샤프트 기어(40)와 맞물려 있으며, 샤프트(40)의 중심부에는 샤프트(S)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2측벽의 샤프트 기어와 연결된다.The pinion gear 37 is disposed between the rack gear 36 and the double gear 38. The double gear 38 is formed with the upper gear and the lower gear having different radii on the same axis, the pinion gear 37 meshes with the upper gear, and the first arm gear 39 meshes with the lower gear. The dual gear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first arm gear 39 has an arm 51, and a spring 56 is provided on the arm 51. The first arm gear 39 is provided outside the first side wall 33, while the arm 51 has a shape of the first side wall 33 so as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wall 33. It is provided. The first arm gear 39 is again engaged with the first shaft gear 40, and a shaft S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40, which is connected to the shaft gear of the second side wall.

카세트 홀더(35)는 제1측벽(33)과 제2측벽(34) 사이에 배치된다. 제1측벽(33)의 내측에는 카세트 홀더(3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5,46)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 레버(48)는 카세트 홀더(35)에 대하여 레버 힌지(5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 록킹 레버(49)는 카세트 홀더(35)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제4도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록킹 레버(49)의 갈고리 부분은 제3도에 도시된 홈(43)에 걸리므로, 카세트 홀더(35)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록킹 레버(49)에는 카세트 홀더(35)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세트 테이프(41)가 상기 돌출부(58)를 밀게 되면 록킹 레버(49)의 갈고리가 홈(43)으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카세트 홀더의 이동이 가능해진다.The cassette holder 3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33 and the second side wall 34. Inside the first side wall 33, guides 45 and 46 which guide the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35 are formed. The locking lever 4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sette holder 35 via the lever hinge 50.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ocking lever 49 maintains the state shown in FIG. 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5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cassette holder 35. At this time, since the hook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49 is caught by the groove 43 shown in FIG. 3, the cassette holder 35 is prevented from moving. The locking lever 49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58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sette holder 35. When the cassette tape 41 pushes the protrusion 58, the hook of the locking lever 49 is grooved. By disengaging from 43), the cassette holder can be moved.

카세트 홀더(35)의 측면에는 2개의 보스(47,4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스(47,48)는 제1측벽(43)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45,46)를 따라 카세트 홀더(35)를 이동시킨다. 보스(47)는 아암(51) 사이에 삽입되므로, 제1아암 기어(39)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아암 기어(39)가 시계 방향이나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세트 홀더(35)의 이동이 가능해진다.Two bosses 47 and 48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cassette holder 35. The bosses 47 and 48 move the cassette holder 35 along the guides 45 and 46 formed inside the first side wall 43. Since the boss 47 is inserted between the arms 51,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rm gear 39 so that the first arm gear 39 rotates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cassette holder 35. It is possible to move.

제5도에는 제4도의 기어 조립체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이중 기어(38)는 상부 기어(62)와 하부 기어(61) 및 스프링(67)을 포함한다. 상부 기어(62)에는 복수개의 결합홈(66)과 상부 걸쇠(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통공(68)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기어(61)에는 상기 상부 기어(62)의 결합홈(66)에 결합될 수 있는 갈고리 형상의 결합 돌기(64)와 상기 통공(68)에 삽입될 샤프트(69)와, 하부 걸쇠(63)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67)은 상기 샤프트(69)에 끼워져서 상부 걸쇠(65)와 하부 걸쇠(63) 사이에서 탄성력을 가하고 있다.5 shows the gear assembly of FIG. 4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Dual gear 38, which may b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gear 62, a lower gear 61, and a spring 67. The upper gear 6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66 and the upper clasp 65 integrally, the through hole 68 is formed in the center. The lower gear 61 has a hook-shaped engaging protrusion 64 that can be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66 of the upper gear 62, a shaft 69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8, and a lower clasp 63. ) Is formed. The spring 67 is fitted to the shaft 69 to exert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upper clasp 65 and the lower clasp 63.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때, 상부 기어(62)의 결합홈(66)과 하부 기어(61)의 결합 돌기(64)의 상대적인 위치는 제6도(a)에 도시되어 있다. 즉,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기어(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편향되며, 하부 기어(61)는 시계 방향으로 편향된다.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ngaging groove 66 of the upper gear 62 and the engaging projection 64 of the lower gear 61 is shown in FIG. 6 (a). That is, the upper gear 62 is deflected counter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7, and the lower gear 61 is deflected clockwise.

이중 기어(38)에 대한 외력은, 그 개시 지점에 따라서 아암 기어(39)를 통해 상부 기어(62)에 가해지는 경우와, 랙 기어(36)와 피니언 기어(37)를 통해 하부 기어(61)에 가해지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아암 기어(39)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는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시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때 아암 기어(3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41)를 카세트 홀더(35)에 밀어넣는 수동 과정이 종료되면, 카세트 테이프가 장치내에 별도로 형성된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로딩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카세트 홀더(35)가 이동하는 자동 과정으로 이행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수동 과정에서는,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로딩 모터가 구동되지 않으며, 따라서 랙 기어는 모터의 정지 부하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아암 기어(3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여기에 맞물린 하부 기어(61)는 상부 기어(62)를 회전시키지 못하며, 단지 하부 기어(61)의 결합 돌기(64)가 결합홈(66)내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는 공회전이 이루어질 뿐이다. 이러한 공회전 상태는 제 6(b)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카세트 테이프(41)가 장치내의 자동 삽입 스위치를 작동시키기까지 계속된다.The external force on the double gear 38 is applied to the upper gear 62 via the arm gear 39 according to its starting point, and the lower gear 61 via the rack gear 36 and the pinion gear 37. )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s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rm gear 39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user manually applies a force when the cassette tape is inserted, and the arm gear 39 rotates clockwi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ends the manual process of pushing the cassette tape 41 into the cassette holder 35, the cassette holder 35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loading motor by activating a switch separately formed in the apparatus. ) Moves to an automated process of moving. However, in the manual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loading motor is not driven because the switch is not in operation, and thus the rack gear is under a static load of the motor. Therefore, even if the arm gear 39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ower gear 61 meshed thereto does not rotate the upper gear 62, and only the engaging projection 64 of the lower gear 6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66. Only idling against the spring's elastic force is achieved. This idle state is shown in FIG. 6 (b) and continues until the cassette tape 41 activates the automatic insertion switch in the apparatus.

일단 내장된 스위치가 작동되면 자동 삽입 모드로 전환된다. 랙 기어(53)는 로딩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피니언 기어(37)를 통해 상부 기어(62)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부 기어(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부 기어(62)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결합홈(66)의 내측면이 결합 돌기(64)를 밀어서 하부 기어(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하부 기어(61)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아암 기어(39)에 시계 방향 회전력을 전달한다. 아암 기어(39)는 그 사이에 끼워진 카세트 홀더(35)의 보스(47)를 통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카세트 홀더(35)를 소정의 경로에 따라 덱크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자동 삽입 모드에서의 동력 전달은 즉각적이며, 이중 기어(38)는 동력 전달을 지체시키지 아니한다.Once the built-in switch is activated, it enters auto insert mode. The rack gear 53 is moved to the left side by the driving of the loading motor as seen in the drawing,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upper gear 62 through the pinion gear 37. The upper gear 62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upper gear 62 causes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66 to push the coupling protrusion 64 so that the lower gear 61 counterclockwise. Rotat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lower gear 61 transmits clockwise rotational force to the arm gear 39. The arm gear 39 transmits power through the boss 47 of the cassette holder 35 sandwiched therebetween, thereby seating the cassette holder 35 on the deck along a predetermined path. Power transmission in this automatic insertion mode is instantaneous and the dual gear 38 does not delay power transmission.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 작용은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를 밀어넣는 수동 삽입 모드와, 자동 삽입 모드가 개시되기 직전까지의 시간적인 지체와 완충 작용 및, 자동 삽입 모드의 개시와 함께 즉각적인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ng action of the cassette tape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al inserting mode in which the user pushes the cassette tape, a time delay and a buffering action just before the automatic inserting mode is started, and an automatic inserting mode. With the onset of the instantaneous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takes place.

카세트 테이프를 취출하는 작용은 사용자가 외부의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개시되며, 이때 랙 기어(36)는 로딩 모터의 구동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랙 기어(36)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피니언 기어(37)의 반시계 방향 회전, 이중 기어(38)의 상부 기어(62)와 하부 기어(61)의 시계 방향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부 기어(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걸쇠(65)와 하부 걸쇠(63) 사이에 지지되고 있는 스프링(67)의 탄성력은 하부 기어(61)를 지체없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카세트 테이프의 수동 삽입시와는 달리, 취출시에는 전체 기어 시스템 및 카세트 홀더(35)의 이동에 있어 스프링(67)의 탄성력에 반발할 정도의 부하가 걸려 있지 않으므로 위와 같이 상부 기어(62)로부터 하부 기어(61)로 즉각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이후에 하부 기어에 맞물린 아암 기어(39)는 반시계 받향으로 회전하며, 아암(51)은 카세트 홀더(35)를 소정의 경로에 따라 이동시켜서 카세트 테이프를 취출 가능하게 한다.The action of taking out the cassette tape is started by the user operating an external switch, where the rack gear 36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driving of the loading motor. When the rack gear 36 moves to the right,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7 and clockwise rotation of the upper gear 62 and the lower gear 61 of the double gear 38 are made. When the upper gear 62 rotates clockwis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7 supported between the upper clasp 65 and the lower clasp 63 rotates the lower gear 61 clockwise without delay. Unlike the manual insertion of the cassette tape, when taking out, the load of the repelling forc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7 is not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entire gear system and the cassette holder 35, and thus from the upper gear 62 as above. Immediate power transfer is possible with the lower gear 61. The arm gear 39, which is then engaged with the lower gear,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arm 51 moves the cassette holder 35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take out the cassette tape.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는 카세트 홀더에 가해지는 부적절한 힘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있을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외력 부가라는 환경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일정한 완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assette tap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mproper force applied to the cassette holde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enerate a constant buffering force that can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ddition of various types of external force, as well as simple and reliable compared to the prior art device.

Claims (4)

제1측벽(33) 및 제2측벽(34)과, 카세트 홀더(35)와, 상기 카세트 홀더(35)에 카세트 테이프(41)를 삽입하거나 취출시킬 수 있는 투입구(42)가 형성된 전면(32)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벽(33)의 측면에, 제1랙(53) 및 제2랙(54)이 형성된 랙 기어(36), 상기 제1랙(53)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7), 상기 피니언 기어(37)에 맞물리는 이중 기어(38), 상기 이중 기어(38)와 맞물리며 아암(51)과 일체로 형성된 제1아암 기어(39) 및 샤프트 기어(40)가 마련된 카세트 테이프 삽입 및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기어(38)는, 복수개의 결합 돌기(64)와 하부 걸쇠(63)와 중심부의 샤프트(69)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기어(61), 상기 결합 돌기(64)에 끼워지는 결합홈(66)과 상부 걸쇠(65)와 상기 샤프트(69)에 끼워지는 통공(68)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 기어(62) 및, 상기 하부 기어(61)의 하부 걸쇠(63)와 상기 상부 기어(62)의 상부 걸쇠(65) 사이에서 상기 하부 기어(61)와 상부 기어(6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 편향 시키는 스프링(6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삽입 및 취출 장치.The front surface 32 on which the first side wall 33 and the second side wall 34, the cassette holder 35, and the inlet 42 through which the cassette tape 41 can be inserted or ejected into the cassette holder 35 are formed. A rack gear 36 having a first rack 53 and a second rack 54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33, and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first rack 53; 37), a cassette provided with a double gear 38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37, a first arm gear 39 and a shaft gear 40 meshing with the dual gear 38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arm 51; In the tape insertion and take-out device, the double gear 38 includes a lower gear 61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64, a lower clasp 63, and a shaft 69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 An upper gear 62 integrally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66 fitted into the 64, an upper clasp 65, and a through hole 68 fitted into the shaft 69, and a lower clasp of the lower gear 61 63) and Cassette insertion and take-out apparatus comprising a spring (67) for rotating the deflection of the lower gear 61 and upper gear 62 in the opposite direction between the groups upper latch portion 65 of the upper gear 6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어(62)는 상기 피니언 기어(37)와 맞물리고, 상기 하부 기어(61)는 상기 아암 기어(39)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삽입 및 취출 장치.A cassette insertion and ej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gear (62)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37) and the lower gear (61) is engaged with the arm gear (3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7)의 탄성력은 상기 카세트 홀더(35)의 이동 부하 및 전체 기어(36,37,38,39,40)의 회전 부하를 합한 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삽입 및 취출 장치.3. The cassett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7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moving load of the cassette holder 35 and the rotating load of the entire gears 36, 37, 38, 39, and 40. Insertion and eje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7)의 탄성력은 상기 카세트 홀더(35)의 이동 부하, 전체 기어(36,37,38,39)의 회전 부하 및, 상기 카세트 홀더(35) 구동용 모터의 정지 부하를 합한 것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삽입 및 취출 장치.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load of the cassette holder (35), the rotational load of the entire gears (36, 37, 38, 39) and the motor for driving the cassette holder (35). A cassette insertion and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sum of the static loads.
KR2019950032200U 1995-11-02 1995-11-02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KR2001477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200U KR200147773Y1 (en) 1995-11-02 1995-11-02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200U KR200147773Y1 (en) 1995-11-02 1995-11-02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58U KR970025358U (en) 1997-06-20
KR200147773Y1 true KR200147773Y1 (en) 1999-06-15

Family

ID=1942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200U KR200147773Y1 (en) 1995-11-02 1995-11-02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773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17B1 (en) * 1996-09-13 200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leep-type dynamic force transmission device having backlash remov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58U (en)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61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H0356901Y2 (en)
US20020135279A1 (en) Electronic equipment
KR200147773Y1 (en) Cassette tape loading/unloading device
KR100221199B1 (en) Card and disk carrier loading mechanism for an internet setop box
JPH0773565A (en) Disk-player
KR100340837B1 (en) Tray eject apparatus for disk driver
JPS5894158A (en) Misloading preventing device for tape housing case
JPH01315059A (en) Cassette loading mechanism
JPH0373946B2 (en)
JPH0335742B2 (en)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60291092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clutch member with a controllable play
US20010012173A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CN214260645U (en) Spinning top toy
JPH048511Y2 (en)
US618854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H03286460A (en) Cassette loading device
KR920000448Y1 (en) Inserting safety apparatus for casette tape
KR910002335Y1 (en) Cassette loading gear apparatus
US4665452A (en) Cassette ejector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910000964Y1 (en) Cassette loading device
KR0146598B1 (en) Eject lever of vcr
KR900010900Y1 (en) Driving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front-loading system
JPH0320922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