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074A -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074A
KR20010111074A KR1020010071121A KR20010071121A KR20010111074A KR 20010111074 A KR20010111074 A KR 20010111074A KR 1020010071121 A KR1020010071121 A KR 1020010071121A KR 20010071121 A KR20010071121 A KR 20010071121A KR 20010111074 A KR20010111074 A KR 2001011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earphon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홍
Original Assignee
박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홍 filed Critical 박기홍
Priority to KR102001007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074A/en
Publication of KR2001011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074A/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통화기능이외에 확장된 기능을 가지며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정 길이의 코드;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신가능하게 휴대폰의 연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화상대방의 전기적 음성신호를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어폰; 그리고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적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어폰, 마이크 및 조작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 및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처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having an extended function in addition to the general call function and easy to use and carr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de of a predetermined length capable of bidirectional movement of the electrical signal; A plug which is connected to the cord and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jack of a mobile phon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rd;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cord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nto a voice that can be recognized; And connected with the code, the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to a timely voice signal and the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earphone and the microphone and the operation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and recording of the call and the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between the other party Provides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which is composed of a voice processor including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for playback.

Description

핸드폰용 핸즈프리 이어폰{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Hands-free earphones for mobile phones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용 주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어 핸드폰 자체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ipheral device for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enable a call without directly using the mobile phone itself.

핸드폰은 사용자가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 가능하게 해주며 이와 같은 사용상 편리성으로 인하여 핸드폰 사용은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대중적인 보급으로 인해 상기 핸드폰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해주는 여러 가지 주변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어마이크폰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Mobile phones enable users to talk anywhere and anytime, and mobile phone usage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such convenience. Due to the popular dissemination, various peripher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make the use of the mobile phone more convenient, and an ear microphon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상기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eneral mobile phone ear microphone 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코드(1), 상기 코드(1)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2) 및 이어폰(4), 그리고 상기 플러그(2) 및 이어폰(4) 중간에 연결되는 마이크(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드(1)에는 상기 이어마이크폰 자체를 사용자에게 부착시키기 위한 클립(5)이 연결된다.The ear microphone is a cord (1)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plug (2) and earphones (4)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rd (1) as shown, and the middle of the plug (2) and earphone (4) It consists of a microphone (3)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cord 1 is connected to the clip 5 for attaching the ear microphone itself to the user.

이와 같은 이어마이크폰 사용시 전화를 받거나 거는 경우 둘 다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a)를 누름으로서 통화가 개시된다. 이 후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상기 이어폰(4)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마이크(3)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핸드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또한 통화종료는 마찬가지로 상기 스위치(3a)를 누름으로서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폰 자체에 내장된 마이크나 스피커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즉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다.When using such an ear microphone, a call is initiated by pressing the switch 3a in both cases of answering or making a call. Thereafter,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voice through the earphone 4 and output to the user, and the voice of the user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3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obile phone. The call termination is likewise carried out by pressing the switch 3a. Therefore, the user can make a call without using a microphone or speaker built in the mobile phone itself, that is, without using a hand.

하지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폰 이용의 확산으로 인해, 핸드폰 뿐만 아니라 각종 주변장치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시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통화기능이외에도 부가적인 기능들이 상기 이어마이크폰에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obile phone use, the demands of the users for not only mobile phones but also various peripheral devices are also diversified.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marketability, in addition to the basic call function, additional functions are required for the ear microphone.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기능이외에 보다 확장된 기능을 갖는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re extended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all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typical mobile phone ear micropho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음성처리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voice processor of the ea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코드 20 : 플러그10: code 20: plug

30 : 이어폰 40 : 음성처리기30: earphone 40: voice processor

41 : 마이크 42 : 조작부41: microphone 42: control panel

42a : 통화 스위치 42b : 녹음 스위치42a: call switch 42b: recording switch

42c : 재생 스위치 43 : 신호처리부42c: playback switch 43: signal processing unit

43a : 마이크 합성부 43b : 이어폰 합성부43a: microphone synthesis unit 43b: earphone synthesis unit

43c : 논리/메모리부 43d : 제 1 증폭부43c: logic / memory section 43d: first amplifier section

43e : 제 2 증폭부 44 : 전지43e: second amplifier 44: battery

50 : 클립 61 : 목걸이 끈50: clip 61: necklace strap

62 : 밴드 63 : 연결부62: band 63: conn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정 길이의 코드;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신가능하게 휴대폰의 연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화상대방의 전기적 음성신호를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어폰; 그리고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적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어폰, 마이크 및 조작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 및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처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de of a predetermined length capable of bidirectional movement of the electrical signal; A plug which is connected to the cord and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jack of a mobile phon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rd;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cord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nto a voice that can be recognized; And connected with the code, the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to a timely voice signal and the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earphone and the microphone and the operation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and recording of the call and the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between the other party Provides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which is composed of a voice processor including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for playback.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착신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개시하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스위치; 통화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거나 사용자의 음성메모를 상기 음성처리기에 녹음시키기 위한 녹음 스위치; 그리고 상기 녹음된 통화내용 또는 음성메모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call switch for initiating or ending a call with a counterpart when the call is received; A recording switch for recording a conversation during a call or recording a voice memo of the user to the voice processor; And a play switch for playing the recorded call content or voice memo.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 입력된 음성을 상기 마이크와 함께 처리가능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합성부;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이어폰에서 출력가능한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 합성부;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이어폰 합성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고 소정의 음성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논리 및 메모리부;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논리/메모리부사이에 연결되며 녹음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 증폭부; 그리고 상기 논리/메모리부 및 이어폰 합성부사이에 연결되며 재생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 증폭부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 microphone synthesizer configured to convert the input voice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that may be processed together with the microphone; An earphone synthesizing unit for converting the input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 voice output from the earphone; A logic and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and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respectively, for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and stor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ice signal; A first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synthesis unit and the logic / memory unit to amplify and outpu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put during recording; And a second amplify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logic / memory unit and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to amplify and output the electrical voice signal input during reproduc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사용자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음성처리기에 부착되는 목걸이 끈 및 상기 음성처리기 및 상기 핸드폰을 연결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phone ea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necklace to hang on the user's neck. It is made to include.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s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어마이크폰의 음성처리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plan view showing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voice processor of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은 소정길이를 갖는 코드(10), 상기 코드(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플러그(20), 상기 코드(1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이어폰(30), 그리고 상기 코드(10)를 통해 상기 플러그(20) 및 이어폰(30)사이에 연결되며 마이크(41)등을 내장하여 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처리기(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드(10)에는 사용자 의복에 물려서 상기 이어마이크폰을 사용자에게 부착시키기는 클립(50)이 장착된다.Earphones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cord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plug 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d 10,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d 10 And a voice processor connected between the plug 20 and the earphone 30 through the cord 10, and having a built-in microphone 41 to perform recording and reproducing functions of a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as well as a call function. 40). In addition, the cord 10 is equipped with a clip 50 for attaching the ear microphone to the user by being bitten by the user's clothing.

여기서 상기 코드(10)는 일반적인 전기도선에 보호 피복을 입힌 형태를 가지며, 통화를 위한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플러그(20)는 핸드폰에 내장된 잭(jack)에 삽입되어 이어마이크폰 자체를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이에 따라 코드(10)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들(즉, 이어폰(30), 음성처리기(40)등)과 핸드폰사이에서 전기신호가 상호 교환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30)은 전달된 통화 상대방의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cord 10 has a form in which a protective coating is coated on a general electric wire, and enables bidirectional movement of an electric signal for a call. The plug 20 is inserted into a jack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ar microphone itself to the mobile phone. Accordingly, each component connected to the cord 10 (ie, earphone 30, voice) Processor 40 and the like) to allow electrical signals to be exchanged between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earphone 30 plays a role of outputting an electric voice signal of the transferred communication counterpart as a voice that a user can recognize.

이러한 본 발명의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코드(10), 플러그(20), 이어폰(30) 및 클립(50)등은 앞서 설명된 일반적인 이어마이크폰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음성처리기(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 10, the plug 20, the earphone 30, the clip 50,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e general ear microphon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ound processor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음성처리기(4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화기능 및 녹음/재생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일정 형태의 케이스 외부에 장착된 마이크(41) 및 조작부(42)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회로인 신호처리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oice processor 40 performs a call function and a recording / playback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for this purpose, a microphone 41 and an operation unit 42 and a circuit which are built in the case are mounted outside the case of a predetermined form. It comprises a processing unit 43.

먼저 상기 마이크(41)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신호처리부(43)에서 처리가능하며 상기 핸드폰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First, the microphone 41 converts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43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obile phone.

상기 조작부(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처리기(40) 외부에 노출된 버튼형태이며 통화 스위치(42a), 녹음 스위치(42b), 재생 스위치(42c)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화스위치(42a)는 착신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개시하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녹음 스위치(42b)는 소정의 음성정보를 음성처리기(40) 내부에 녹음시킬 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 스위치(42c)는 이러한 녹음된 음성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버튼형태의 각 스위치(42a,42b,42c)를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 상기 내장된 신호처리부(43)가 작동되도록 일정 제어신호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앞서 언급된 각 스위치별(42a,42b,42c)로 지정된 기능들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각스위치(42a,42b,42c)들이 토글(toggle) 될 때마다 해당 기능이 온/오프된다.The operation unit 42 is a button ty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oice processor 40 as shown, and is composed of a call switch 42a, a recording switch 42b, and a reproduction switch 42c. More specifically, the call switch 42a is used to start or end a call with the other party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the recording switch 42b is used to record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in the voice processor 40. Used. The reproduction switch 42c is used to reproduce this recorded voice information. When the user presses each switch 42a, 42b, 42c in the form of a butto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operate the built-in signal processor 43. Accordingly, each switch 42a, 42b 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switches is generated. 42c) are performed. In addition, each time the switches 42a, 42b, 42c are toggl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turned on / off.

끝으로, 상기 신호처리부(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처리기(40) 내부의 회로부이며, 상기 이어폰(30), 마이크(41) 및 조작부(42)와 연동하여 각종 기능(즉, 통화, 녹음 및 재생기능)이 수행되도록 관련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처리부(43)는 상기 마이크(41) 및 이어폰(30)과 각각 직결되며 상기 코드(10) 및 플러그(20)를 통해 핸드폰과 연결되는 마이크 합성부(43a) 및 이어폰 합성부(43b),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 및 이어폰 합성부(43b)사이에 연결되는 논리 및 메모리부(43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 및 논리/메모리부(43c)사이에는 제 1 증폭부(43d)가 연결되며, 상기 논리/메모리부(43c) 및 이어폰 합성부(43b)사이에는 제 2 증폭부(43e)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부(43)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지(44)가 또한 상기 음성처리기(40)내부에 내장된다.Finally,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ignal processor 43 is a circuit unit inside the voice processor 40, and func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arphone 30, the microphone 41, and the operation unit 42. Process the relevant voice signal so that calls,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can be performed. To this end, the signal processor 4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41 and the earphone 30,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the cell phone via the cord 10 and the plug 20, the microphone synthesizer 43a and the earphone synthesizer ( 43b), a logic and memory unit 43c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and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43b. A first amplifier 43d is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and the logic / memory unit 43c, and a second amplifier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logic / memory unit 43c and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43b. 43e is connected.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44 is also embedded in the voice processor 40 to suppl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signal processor 43.

여기서 먼저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는 상기 마이크(41)와 더불어 이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처리가능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조작부(42)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전기적 음성신호를 상기 논리/메모리부(43c) 또는 상기 플러그(20)를 통해 핸드폰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는 상기 조작부(42)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상기 논리/메모리부(43c) 또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이러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이어폰(30)에서 출력가능한 음성으로 변환시킨다.Here,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converts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41 into a processable electric voice signal, and converts the electric voice signal according to a function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42 into the logic / memory. Output to the mobile phone via the unit 43c or the plug 20. In addition,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43b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logic / memory unit 43c or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42, and outputs the input electric voice signal from the earphone 30. Convert it to possible voice.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는 일차적으로 직결된 조작부(42)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다른 구성부(43a,43b,43e,43d)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는 상기 조작부(42)에서 녹음기능 선택시 소정의 음성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며, 재생기능 선택시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는 통화중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내용 또는 사용자 자신의 음성메모가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 1 증폭부(43d)는 녹음시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로 출력하며 상기 제 2 증폭부(43e)는 재생시 상기 논리/메모리부(43c)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이어폰 합성부(43b)로 출력한다.The logic / memory unit 43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ther components 43a, 43b, 43e, 43d so that a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42 directly connected directly. In addition, the logic / memory unit 43c stores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therein when the recordi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42 and outputs stored voice information when the playback function is selected.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a content of a call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or a voice memo of the user during a call. In addition, the first amplifier 43d amplifies the electric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during recording and outputs it to the logic / memory unit 43c, and the second amplifier 43e is reproduced. At this time, an electric voice signal input from the logic / memory unit 43c is amplified and output to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43b.

한편, 보다 편리하게 착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이어마이크폰은 사용자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는 이러한 목걸이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to be more convenient to wear and use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necklace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necklace form.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음성처리기(40)에 부착되는 목걸이 끈(61) 및 상기 음성처리기(40) 및 핸드폰을 연결하는 밴드(6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th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necklace strap 61 attached to the voice processor 40 and a band 62 connecting the voice processor 40 and the mobile phone. have.

상기 목걸이 끈(61)은 착용시 사용자의 목에 걸리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폰(30)이 사용자의 귀에 분리되어도 거추장스럽지 않게하고 또한 비교적 연약한 코드(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음성처리기(40) 및 이어폰(30)사이의 코드(10)를 부분적으로 내장한다.The necklace strap 61 is worn around the user's neck when worn. Preferably, the earphone 30 is not cumbersome even when the earphone 30 is separated from the user's ear and the voice processor 40 and to protect the relatively soft cord 10. The cord 10 between the earphones 30 is partially embedded.

여기서 소정의 연결부(63)가 상기 음성처리기(4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상기 밴드(62)가 이러한 연결부(6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63)를 음성처리기(40)로부터 분리함으로서 상기 이어마이크폰 전체가 용이하게 핸드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실질적인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Here, a predetermined connection part 63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voice processor 40, and the band 6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63. In this case,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portion 63 from the voice processor 40, the entire ear microphon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which provides more practical convenience to the user.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부가적인 음성정보의 녹음/재생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 및 휴대상의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 이어마이크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ea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convenience of use and portability as well as recording / playback function of additional voic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s as follows.

상기 이어마이크폰 사용시 플러그(20)를 사용자의 휴대폰에 삽입 연결시키고 이어폰(30)을 사용자의 귀에 꽂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은 사용자의 의복포켓이나 가방등과 같은 곳에 적절히 휴대되며, 상기 이어마이크폰도 또한 클립(50)을 사용하여 사용자 의복에 장착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이에 일체화된 목걸이 끈(61)을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다.When the ear microphone is used, the plug 20 is inserted into the user's mobile phone and the earphone 3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The mobile phone is suitably carried in a place such as a user's clothing pocket or a bag, and the ear microphone It is also mounted to the user's garment using the clip 50.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a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microphone can be more conveniently worn around the neck using a necklace strap 61 integrated therein.

여기서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통화 스위치(42a)를 누르면 소정의 제어신호가 상기 논리/제어부(43c)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논리/제어부(43c)는 먼저 상기 통화가능상태가 되도록 휴대폰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동시에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마이크 합성부(43a)거쳐 마이크(41)까지 이어지는 사용자 음성전달채널 및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이어폰 합성부(43b)거쳐 이어폰(30)까지 이어지는 상대방 음성전달채널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2개의 독립적 음성채널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41) 및 마이크 합성부(43a)를 통해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대방에 전달되며,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이어폰 합성부(43b) 및 이어폰(30)을 거쳐 음성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화기능 사용시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도 상대방과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call function is used her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switch 42a,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ogic / control unit 43c. In this case, the logic / control unit 43c first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so as to be in the callable state. At the same time, a user voice transmission channel extending from the mobile phone to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to the microphone 41 and the other voice transmission channel extending from the mobile phone to the earphone 30 via the earphone synthesis unit 43b are formed. Through these two independent voice channels, the user's voic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41 and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30) is converted to voice and delivered to the user. Therefore, when using the call function, the user can basically proceed with the call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마이크폰은 사용자에게 부가기능인 음성정보의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녹음 기능은 세부적으로 상대방과의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통화녹음기능 및 사용자 자신의 음성만을 저장하는 음성메모녹음기능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user with a recording and reproducing function of voice information, which is an additional function, wherein the recording function includes a call recording function for storing details of a call with the other party and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that stores only the user's own voice.

통화 녹음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중에 상기 녹음 스위치(42b)를 누르면 이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논리/제어부(43c)는 상대방 음성 전달 채널을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 뿐만 아니라 마이크 합성부(43a)도 경유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먼저 상기 마이크 합성부(43a)에 전달되고 상기 제 1 증폭부(43d)에서 소정크기로 증폭된 후, 상기 논리/메모리부(43c)에 저장된다. 이와 동시에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에 전달된 상대방 음성신호는 이어폰(30)을 거쳐 사용자에게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41) 및 마이크 합성부(43a)를 통해 음성신호화된 사용자 음성은 상기 핸드폰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제 1 증폭부(43d)에서 증폭되어 상기 논리/메모리부(43c)에 저장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call recording fun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recording switch 42b dur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e logic / control unit 43c receiv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herefrom sends the other party's voice transmission channel to the earphone synthesis unit ( 43b) as well as the microphone synthesizing section 43a. Accordingly,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is firs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to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first amplifier 43d, and then stored in the logic / memory unit 43c.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43b is transmitted as a voice recognizable to the user via the earphone 30. In addition, the user's voice signaled through the microphone 41 and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is transmitted to the cellular phone and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43d and stored in the logic / memory unit 43c. .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중이 아닐 때 상기 녹음스위치(42b)를 누르면, 사용자의 음성만이 상기 통화기능 사용시와 유사하게 상기 마이크(41) 및 마이크 합성부(43a)에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제 1 증폭부(43d)를 거쳐 상기 논리/메모리부(43c)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 종이 및 펜을 이용하지 않고도 이와 같은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사용하여 중요한 사항을 즉시 음성으로 저장해놓을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recording switch 42b when the user is not in a call, only the user's voice is used in the microphone 41 and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43a. 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stored in the logic / memory section 43c via the first amplifier section 43d.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o instantly store important matters as a voice without using a paper and a pen.

끝으로 상기 재생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재생 스위치(42c)를 누르면,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논리/메모리부(43c)는 기저장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 2 증폭부(43e)로 출력한다. 이러한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제 2 증폭부(43e)는 이를 증폭시켜 상기 이어폰 합성부(43b)로 전달하며 상기 이어폰(30)을 거쳐 음성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어마이크폰을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녹음기능을 사용하여 저장된 음성정보(통화내용 또는 음성메모)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Finally, when the user uses the playback fun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back switch 42c, the logic / memory unit 43c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utputs the pre-stored audio signal to the second amplifier 43e. . The second amplifying unit 43e receiving the voice signal is amplified and transferred to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43b. The second amplifying unit 43e is converted into voice through the earphone 30 an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at is,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stored voice information (call contents or voice memo) using the recording function in the state of operating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된 본 명세서에서 단지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erein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earpie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follow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제 1 및 제 2 증폭기와 논리/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를 내장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일반적인 통화기능 이외에도 음성정보의 녹음 및 재생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즉, 상기 녹음 및 재생기능을 이용함으로서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화내용 및 자신의 음성메모를 자유롭게 녹음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어마이크폰 기능의 확장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가 만족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편리함이 제공되는 효과를 가져온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microphone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ing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nd a logic / memory unit,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recording and reproducing function of 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to a general call function. That is, by using the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 the user can freely record and play back the contents of the call with the other party and his or her voice memo.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ear microphone function not only satisfies various needs of the user, but also brings the effect of providing practical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통화, 녹음 및 재생기능을 위한 구성부품들이 하나의 음성 처리기에 통합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형 저중량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통합 설계로 인해 모든 기능등이 음성처리기 조작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와 더불어 목걸이 일체형 설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휴대성을 더욱 확장시키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가져온다.Also in the ea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for the above mentioned call,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are integrated in one voice processor. Therefore, it can be designed as a compact and low weight as a who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portable. In addition, due to the integrated design, all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oice processo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practical use. In addition, the necklace integrated design additionally brings the effect of further extending the portability of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전기신호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정 길이의 코드;A cord of a predetermined length capable of bidirectional movement of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신가능하게 휴대폰의 연결잭에 삽입되는 플러그;A plug which is connected to the cord and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jack of a mobile phon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rd;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통화상대방의 전기적 음성신호를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는 이어폰; 그리고An earphone connected to the cord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nto a voice that can be recognized; And 상기 코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적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각종 기능의 수행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이어폰, 마이크 및 조작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사이의 통화 및 소정의 음성정보의 녹음/재생을 위해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성처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Connected to the code, the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user's voice into a timely voice signal, the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earphone, the microphone and the operation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recording of the call and the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voice processor including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for reprodu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작부가:The operation unit: 착신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개시하거나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스위치;A call switch for initiating or end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 when the call is received; 통화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거나 사용자의 음성메모를 상기 음성처리기에 녹음시키기 위한 녹음 스위치; 그리고A recording switch for recording a conversation during a call or recording a voice memo of the user to the voice processor; And 상기 녹음된 통화내용 또는 음성메모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Earphones for mobile phones comprising a playback switch for playing the recorded call or voice memo.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처리부가The signal processing unit 입력된 음성을 상기 마이크와 함께 처리가능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합성부;A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converting the input voice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which can be processed together with the microphone;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이어폰에서 출력가능한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이어폰 합성부;An earphone synthesizing unit for converting the input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 voice output from the earphone;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이어폰 합성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고 소정의 음성신호를 저장 및 출력하는 논리 및 메모리부;A logic and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ynthesizing unit and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respectively, for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and stor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voice signal; 상기 마이크 합성부 및 논리/메모리부사이에 연결되며 녹음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1 증폭부; 그리고A first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synthesis unit and the logic / memory unit to amplify and outpu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put during recording; And 상기 논리/메모리부 및 이어폰 합성부사이에 연결되며 재생시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 2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And a second amplify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logic / memory unit and the earphone synthesizing unit to amplify and output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put during reprodu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Mobile phone ear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necklace so that the user can hang on the neck.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음성처리기에 부착되는 목걸이 끈 및 상기 음성처리기 및 상기 핸드폰을 연결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Earphones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nd for connecting the voice strap and the voice processor and the mobile phone attached to the voice processor.
KR1020010071121A 2001-11-15 2001-11-15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KR200101110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121A KR20010111074A (en) 2001-11-15 2001-11-15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121A KR20010111074A (en) 2001-11-15 2001-11-15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144U Division KR200262904Y1 (en) 2001-11-15 2001-11-15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074A true KR20010111074A (en) 2001-12-15

Family

ID=4592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121A KR20010111074A (en) 2001-11-15 2001-11-15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07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06A (en)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peaker phone with removable out mike for hand-free
CN108712700A (en) * 2018-07-25 2018-10-26 刘赛赛 A kind of earphone cord holder being suitable for taking out jocke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06A (en)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peaker phone with removable out mike for hand-free
CN108712700A (en) * 2018-07-25 2018-10-26 刘赛赛 A kind of earphone cord holder being suitable for taking out joc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296B (en) Hands-free function
KR100703327B1 (en) Wireless stereo head set system
US20060262949A1 (en) Cable-connectable stereo headset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US2002006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ource device and content delivery via wireless connection
US20080267440A1 (en) Article of manufacture integrated with music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devices
US7616760B2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JP2001197173A (en) Cordless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integrating digital bit stream music player into the same
KR20010092569A (en) a cellular phon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
US20080298613A1 (en) Wireless headset with mic-side driver cut-off
USRE43872E1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JP439600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359664B1 (en) Portable digital media playback apparatus
KR200262904Y1 (en)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KR20010111074A (en)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KR101664195B1 (en) Bluetooth headset with built-in speakers
KR200438262Y1 (en) Mp 3 device
JP2002027029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60090112A (en)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sing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JPH1174951A (en) Slave set connected to radio portable telephone set
JP2002084347A (en) Earphone microphone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2004254023A (en) Music reproduction system
CN207474077U (en) Play box
KR200191769Y1 (en) Hands free
KR100385018B1 (en) Portable digital media playba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