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447A - 식품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447A
KR20010110447A KR1020017010847A KR20017010847A KR20010110447A KR 20010110447 A KR20010110447 A KR 20010110447A KR 1020017010847 A KR1020017010847 A KR 1020017010847A KR 20017010847 A KR20017010847 A KR 20017010847A KR 20010110447 A KR20010110447 A KR 2001011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mixing
drive
mix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인 로버트 맥길
Original Assignee
세인 로버트 맥길
맥길 테크놀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904347.3A external-priority patent/GB990434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906650.8A external-priority patent/GB9906650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911874.7A external-priority patent/GB991187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917075.5A external-priority patent/GB991707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000297A external-priority patent/GB0000297D0/en
Application filed by 세인 로버트 맥길, 맥길 테크놀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인 로버트 맥길
Publication of KR2001011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4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06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for either storing and preparing or for preparing food on serving trays, e.g. heating, thawing,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식품, 특히 밀크 쉐이크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가 제공된다. 용기(1)에는 혼합되어 대체로 마셔지는 소비 지점까지 식품이 미리 충진되며, 용기는 사용후 폐기되도록 의도된다. 용기는 베이스(3A), 및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에서 개구부를 갖는 배치 부재(3E)를 갖는다. 회전가능한 혼합 요소(7)가, 배치 부재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식품을 혼합하기 위해, 용기내에서 배치 부재상에 배치된다. 상기 혼합 요소는 사용시 그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계합되는 외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특정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식품은 소비 지점까지 동결된 상태로 이송되며 혼합전에 마이크로파 복사량에 의해 가열된다.

Description

식품 혼합 장치{Food Blending Apparatus}
선행기술에 따른 PCT/GB98/03193 호를 참조하면, 식품 혼합 장치 및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식품 믹싱/혼합 장치, 및 용기내에서 식품을 믹싱/혼합하고 가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밀크 쉐이크에 적용되지만 믹싱 및/또는 혼합이 필요한 다른 식품들, 특히 믹싱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또는 근처에서 소비 준비상태로 공급되어야 하는 식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용기 조립체를 관통한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조립체의 용기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A는 도 1의 조립체용 혼합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혼합 수단을 나타내는, 도 3A의 3의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4A는 도 1의 용기 조립체용 폐쇄구를 관통한 횡간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4의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용기 조립체를 조립하고 충진하기 위한 작동들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용기 조립체용 혼합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A는 혼합 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용기 조립체들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A는 개조된 장치를 나타내는, 도 10에 대응하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장치용 회전저장 배열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용기 조립체용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평면도;
도 14는 용기 조립체의 다른 택일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5는 도 14의 조립체의 혼합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다른 택일적인 혼합 요소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의 17의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18은 도 1의 용기에 있어서 하나의 위치에서 식품을 가열하고 혼합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9는 다른 위치에서의 도 18에 대응되는 도면;
도 20은 하나의 위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다른 위치에서의 도 20에 대응되는 도면;
도 22A 및 도 22B는 용기의 로딩에 수반되는 두 개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다른 용기 로딩 배열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배열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5, 도 26 및 도 27은 가열 및 혼합 작동에 있어서 세 개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8은 도 25의 28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29는 가열 및 혼합 작동을 위한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0 내지 도 34는 다른 장치의 다양한 사용 단계들을 나타내는 도식적인 도면;
도 35는 혼합 요소를 갖는 혼합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
도 36은 도 35의 용기를 사용하는 혼합 장치를 관통한 수직 단면도;
도 37은 혼합 위치에 있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 36에 대응되는 수직 단면도;
도 38은 혼합 용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9는 혼합 요소들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0은 용기 뚜껑들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지지 부재들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2는 도 38 용기의 부재들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3은 혼합 및 가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4는 메인 하우징이 생략된 도 43에 대응되는 도면;
도 45는 하우징 커버가 생략된 도 43 및 도 44에 대응되는 도면;
도 46은 하우징용 내부 로케이터를 나타내는 도 43, 도 44 및 도 45에 대응하는 도면;
도 47은 도 43 내지 도 46의 장치에 사용되는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8은 폐쇄 부재가 생략된 도 47의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9는 도 47 및 도 48의 용기를 관통한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믹싱/혼합 장치, 용기내에서 식품을 믹싱/혼합하기 위한 방법, 및 믹싱/혼합전에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혼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바, 이는 식품의 믹싱을 포괄하는 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식품 혼합 용기가 제공되며: 이러한 식품 혼합 용기는, 용기내의 식품에 대한 도달을 허용하는 상부 개구부,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직립되고 그 하단부에서 개구부를 갖는 배치 부재, 및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용기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치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배치 부재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는 회전가능한 혼합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혼합 요소가, 회전시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도록 배열되고 혼합 요소의 상단부에 구동적으로 계합될 수 있는 외부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치 부재는 베이스로부터 용기의 상단부에 근접한 지점까지 연장되며; 배치 부재는 중공형으로 될 수 있으며, 배치 부재의 외면은 테이퍼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혼합 요소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고; 혼합 요소의 내면은 상기 배치 부재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테이퍼되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편리하게는, 혼합 요소는 용기의 베이스에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용기의 상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혼합 요소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격설된 위치들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혼합용 블레이드들을 갖고, 혼합용 블레이드들은 식품상에 작용하여 그 회전중 상기 식품을 혼합하도록 배열된다.
하나의 배열에 있어서, 배치 부재는 중공형으로 되고; 배치 부재의 내면은 비원형 단면 부분을 가져서, 혼합중 상기 혼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용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치 부재내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대응적으로 형상화되는, 지지 부재의 배치를 허용한다.
용기는 상기 상부 개구부에의 밀봉 계합을 위해 배열되는 상부 개구부용 폐쇄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폐쇄 부재는 혼합후 식품에의 도달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가능한 도달 허용 수단을 갖는다. 혼합 요소는, 그 상단부에서 그리고 용기의 최상단에 근접하여, 상기 구동 수단과의 분리가능한 구동 계합을 위해 배열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배치 부재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혼합 요소와 구동적으로 계합되기 위해 상기 배치 부재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택일적으로, 상기 구동 수단은, 그 상단부에서 상기 혼합 요소와 계합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식품 혼합 장치가 제공되고: 이러한 식품 혼합 장치는, 본 발명의 용기, 혼합중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 구동 모터, 구동 모터로부터의 출력 구동 샤프트, 및 혼합중 용기를 상기 지지체상에 고정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배치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 샤프트가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혼합 요소와 구동적으로 계합가능하고, 구동 모터의 작동시 상기 혼합 요소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샤프트는 혼합 요소와의 구동 계합을 위해 배치 부재를 따라 연장되도록 지지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택일적으로, 구동 샤프트는 상기 혼합 요소와의 구동 계합을 위해 상부 개구부를 관통하여 용기내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 샤프트 및 용기는 이러한 계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직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하나의 배열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를 배치시키기 위한 하우징, 혼합전에, 혼합중 또는 혼합후에 용기내 식품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용기들로 마이크로파 복사량을 지향시키도록 배치되는 마이크로파 가열 수단, 및 배치 부재내에서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과 통신되는 안테나 수단을 구비하며; 마이크로파 에너지는 상기 안테나 수단으로부터 용기내의 식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지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용기내에 배치되는 혼합 요소가 용기에 끼워지고, 용기는 식품으로 충전되며, 폐쇄 부재가 상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의 최상부에 인가되고, 식품은 냉각 및/또는 가열되므로써 요구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처리되며, 용기는 그 내부에서 상기 식품을 혼합하기 위해 구동 수단과 구동 계합되도록 배치되고, 혼합된 식품은 상기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식품은 용기내로 넣어진 후에 저장 온도로 냉각되며 그리고나서 혼합 작동전에 공급 위치에서 마이크로파 에너지에 의해 공급 온도로 가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식품 혼합 장치가 제공되고: 이러한 장치는, 식품용 용기, 상기 용기내에 배치되는 혼합 요소, 식품을 혼합시키기 위해 용기내에서 상기 혼합 요소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 용기가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용기용 하우징, 및 하우징과 연관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에 의해 혼합 작용을 일으키기 전에 용기내에서 식품을 가열시키기 위해 하우징내로 그리고 하우징내의 용기를 향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지향시키도록 배열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 방출 수단과 연관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 발생 수단을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식품 혼합 장치에 사용되는 용기 조립체(1)를 도시하며; 용기 조립체(1)는, 용기의 베이스(3A), 상방향으로 확계되면서 원형 횡간 단면형상을 갖는 측벽들(3B), 및 상연부(3C)를 갖는 비이커 형태의 플래스틱 베슬로 구성되는 본체 부분(3)(도 2 참조)을 구비한다. 용기는 빈 상태일 때 다른 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그 베이스를 배치시킴으로써 다른 용기와 서로 끼워질 수 있다. 핸들이, 용기가 다른 용기에 끼워지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측벽(3B)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핸들도 또한 서로 끼워질 수 있다.
그 베이스(3A)에서, 용기에는 원주방향 하방향 돌출부(3D)가 형성되고; 베이스(3A)의 중심부분에는 중공형의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치 부재(3E)가 형성된다. 배치 부재(3E)는 그 상단부에서 폐쇄되며 용기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한 그 하단부에서 개구부(3F)를 갖는 원뿔대형의 형상을 취한다. 상기 개구부(3F)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상에서의 용기의 배치를 위해 도 2의 하부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방형의 형상을 취하지만 특정의 다른 적당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환형 리세스(recess)(3G)가 부재(3E)의 둘레에서 연장되고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된다. 배치 부재(3E)는 중공형으로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특정의 용도들에 있어서는 발포 플래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용기 본체 또는 베슬(3)에는 폐쇄 부재(2)(도 4A 및 도 4B 참조)가 제공되고; 폐쇄 부재(2)는, 상기 상연부(3C)에서 본체(3)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그리고 본체의 최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시키도록 배열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뚜껑(2)은 대체로 외부 부분(2A)을 갖는 원형의 형상을 취하며, 외부 부분(2A)은 상기 개구부에 밀봉적으로 계합되도록 본체의 상연부(3C)상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끼워맞춤은 클립 배열체, 열 밀봉, 또는 본체(3)상에 뚜껑(2)을 고정시키기 위한 특정의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용기 본체(3)는 또한 다이어프램 또는 필름으로 밀봉되는 상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끼워맞춤되었을 때) 상기 뚜껑은 스트로용 다이어프램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그 하면에 커터(도시안됨)를 가질 수 있다.
뚜껑의 중심에는 개구부(5)가 형성되며, 혼합 작동중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동 수단이 상기 개구부(5)를 통하여 연장된다. 용기가 식품으로 충진된 후에 그리고 혼합 작동전의 이송중, 상기 개구부는 뚜껑(2)에 대체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면서 박리용 탭(5B)을 갖는 제거가능한 밀봉체(5A)에 의해 밀봉된다. 밀봉체(5A)를 대신하여, 뚜껑은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제거가능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부재(5A)가 제거된 후에 그리고 혼합 작동후에, 마개(5C)가 상기 개구부(5)내에 배치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제거가능한 부분은 혼합후 개구부내에 재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또한 용기내에서 상기 배치 수단(3E)상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용기 및 배치 수단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배열되는 혼합 요소(7)(도 3A 및 도 3B 참조)를 포함한다. 혼합 요소(7)는, 그 하단부(9)에서 개방되고 대응적으로 형상화되는 배치 부재(3E)상에 끼워맞춤되도록 배열되는 대체로 절두 원추형의 형상을 취하는, 본체(8)를 구비하며; 본체(8)는 중공형의 원형 횡간단면을 갖는다. 임펠러 블레이드들(12)이 요소(7)를 따라 축방향으로 격설된 상태에서 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블레이드들(12)은 요소(7)의 대향되는 측면들로부터 연장되고 수평에 대하여 각도를 이룸으로써 용기의 내용물에 대해 혼합 작용을 일으킨다. 혼합 요소(7)의 대향 측면들에는 종방향 슬로트들이 마련되며, 이러한 종방향 슬로트들은 혼합 요소(7)의 하단부로부터 혼합 요소(7)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혼합 요소(7)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요소들에 끼워졌을 때 상기 블레이드들(12)이 상기 슬로트들에 수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되는 블레이드들(12)을 대신하여, 다른 위치들에 있는 블레이드들은 예컨대 혼합 및 순환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위해 다른 형상들 및 방위(orientation)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12)은 서로 중첩되어 요소들을 서로 끼우기 위해 슬로트들을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고, 또는 블레이드들이 다른 요소의 내부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도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식품이 격렬한 혼합보다는 교반을 필요로 하면, 블레이드들이 교반 패들들(paddles)로 교체될 수 있다.
요소(7)의 상단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되며, 개구부(13)를 마련하는 내면들은 혼합 작동중 혼합 요소(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동 계합식으로 수납하도록 형상화된다.
특히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조립체를 조립하고 충진시키기 위한 작동들을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5 의 상부에는 하부 용기 본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끼워지는 용기 본체(3)들의 적층체를 나타낸다. 도 5의 본체는 그리고나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끼워지는 혼합 요소(7)들의 적층체로부터 공급되는 혼합 요소(7)와 조립된다. 혼합 요소(7)는 용기 본체(3)의 배치 부재(3E)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을 행함에 있어서, 요소(7)의 하연부는 환형 리세스(3G)로 넣어지며, 이에 따라, 리세스내에서 체결되어 요소(7)의 축방향 이동은 억제하면서 용기 본체(3)에 관하여 회전될 수 있는 요소(7)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조립된 용기 본체(3) 및 요소(7)는 그리고나서, 도 7에 도면부호 15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충진 수단에 의해, 공급될 식품으로 충전되거나 충진된다. 상기 충진 수단(15)은 특정의 통상적인 종류의 것일 수 있고 본체(3)내에서 요구되는 높이까지 본체(3)를 식품(P)으로 충진시키는 공지된 형태의 충진기일 수 있다.
충진후에, 폐쇄 부재(2)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폐쇄 부재들의 적층체로부터 분리되어 본체(3)의 상부 개구부에 고정되어 용기의 내용물을 밀봉시킨다. 폐쇄 부재(2)는 다른 뚜껑을 가지면서 또는 다른 뚜껑을 갖지 않으면서 용기 본체의 상연부에 열-밀봉되는 막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은 구동 수단 및 스트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펀칭될 수 있다. 뚜껑과 함께 사용되는 막의 경우, 막은 뚜껑 끼워맞춤 단계 이전에 인가될 수 있다.
폐쇄 부재의 충진 및 끼워맞춤후에, 용기는 용기의 일부분 또는 전체 둘레를 따라 열수축될 수 있는 필름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필름은 인쇄물을 수반하고 구동부 및 스트로의 용기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천공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의 조립 및 식품 충전이 완료되고, 용기는 무균적으로 충진되며 그리고/또는 충진 후에 동결되거나 또는 반-동결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충진된 용기는 냉각될 수 있다.
충진된 용기들은, 식품이 소비될 때까지, 냉동되거나 냉각된 상태에서 또는 주위 온도하에서 이송되고 저장된다. 소비전에, 용기 본체내에서 냉동되거나 반-냉동된 식품은 템퍼링될 수 있고, 즉 예컨대 템퍼링 캐비닛내에서 높은 혼합 온도를 갖도록 처리될 수 있고, 그리고나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혼합 장치내에서수행되는 혼합 작동에 처하여진다.
혼합 장치는 용기 조립체용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지지체는 안착 표면(21)을 포함하며, 안착 표면(21)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치 요소(22)가 안착되고, 배치 요소(22)는 용기 본체(3)의 배치 부재(3E)의 개구부(3F)내에 배치된다. 배치 요소(22)는 상기 개구부(3F)의 윤곽에 대응하는 외부 윤곽을 가져서 용기 조립체가 상기 배치 요소(22)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배치 요소(22)는 상기 개구부(3F)의 상단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도 9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치 요소(22)는 개구부(3F)의 하단부를 따라서만 연장될 수 있다. 배치 요소(22)의 설치에 따라, 용기 조립체가 혼합중 장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요소(22)가 생략될 수 있으며, 용기 조립체는 구동 수단의 계합에 의해 또는 상기 안착 표면(21)과 상기 용기 베이스 부분들의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요소(22)는 용기내에서 식품을 가열시키기 위해 그리고 혼합 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가열될 수 있다.
일단 적소에 위치되면, 용기 조립체는 구동 출력 샤프트(26)를 갖는 구동 모터(25)의 바로 아래에 유지되며, 구동 출력 샤프트(26)는 상기 개구부(13)내에 배치되므로써 상기 혼합 요소(7)와 구동 계합되도록 배열된다. 모터(25) 및 연관되는 샤프트(26)는 아암(27)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아암(27)은 도 9에 도시한 작동 위치와 용기 조립체로부터 샤프트(26)가 제거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안내 로드(28)를 따라 안내된다. 이러한 위치들 사이에서의 이동은 다른 구동 모터(29)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 모터(29)에 의해 샤프트(28)는 선형구동부와의 나사 계합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그를 따라 아암(27)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택일적으로, 아암(27)은 작동 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수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택일적인 예로서, 용기는 구동부와 함께 배치되도록 상승될 수 있다.
구동 모터(25) 및 샤프트(26)는, 블레이드(12)들이 용기내에서 식품(P)을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당한 속도로 적당한 시간동안 본체(3)에 관하여 혼합 요소(7)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 용기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는 블레이드(12)들에 기인하여, 용기의 전체 내용물은 신속하게 혼합된다. 회전 속도는 혼합 과정중 변화될 수 있고 구동 방향도 가역적으로 될 수 있다. 구동 모터에 의하지 않고, 상기 요소(7)는 수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나의 배열에 있어서, 혼합후 용기들은, 배치 요소(22)로부터의 제거 및 그에 따른 후속적인 소비를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 위치로부터 근접 위치로 이동된다. 소비는 폐쇄구(2)의 약화된 구역을 관통하여 용기내로 삽입되는 스트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폐쇄구(2)가 용기 본체(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로서, 다른 뚜껑이 이 시점에서 용기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혼합 기구는 회전저장체(carousel)(30)(도 11 참조)를 통합할 수 있으며, 회전저장체(30)상에는 다수의 충진된 용기들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회전저장체(30)상에서의 용기들의 하나의 위치(31)에서, 용기들은 혼합 위치에 있고, 즉 구동 샤프트와 구동 계합되도록 배열된다. 혼합후, 혼합된 용기는 스트로 공급기(33)에 근접 위치되는 이송 또는 수거 지점(32)으로 이동된다. 상기 회전 저장체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34) 및 셀프 서비스 상황하에서의 공급 기구도 제공될 수 있다. 용기가 지점 31에서 혼합된 후에, 상기 회전저장체는 다른 용기를 혼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며, 혼합된 용기가 방출된 장소에는 새로운 충진된 용기가 공급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도 9와 유사한 혼합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용기 조립체는 혼합중 핸들(35A)을 갖는 지지체(35)내에 배치되고, 혼합후 조립체는 장치의 지지체(35)와 함께 상승된다. 지지체(35)는 용기내 식품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열될 수 있다. 지지체는 또한 상기 베이스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용기의 삽입 및 제거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2의 회전저장 배열체를 통합하는 배열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충진된 용기들은 회전저장체(30)에 의해 지지된다. 용기들이 지점 31에서 혼합될 때, 맨드릴(36)이 용기의 하방 개구부(3F)내로 삽입되며, 샤프트(26)가 임펠러(7)와 구동 계합될 때까지, 용기 상부에 배치되는 모터(25) 및 연관되는 상기 샤프트(26)를 향하여 용기를 상승시킨다. 모터(25)는 용기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도록 작동되고, 맨드릴(36)은 하방으로 후퇴되며, 용기는 그리고나서 맨드릴(36)의 후퇴후 이송 지점(32)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송 지점(32)으로부터 용기에 대한 접근 또는 도달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저장체(30)상의 각각의 위치에는 수직방향 행을 이루는 충진된 용기들이 놓여진다. 이러한 용기들은, 기계적인 방출 기구에 의해 혼합된 용기가 방출됨에 따라 비워지는 회전저장체상의 공간으로 중력의 작용하에 낙하된다. 봉입물(enclosure)(37)이 제공되며, 봉입물(37)내에는 행들을 이루는 용기들 및 상기 혼합 기구가 배치된다. 봉입물(37)은 용기들이 요구되는 온도 레벨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각되거나 또는 가열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한 배열은, 행들을 이루는 용기들이 경사되어 봉입물(37)내의 전방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행들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과 유사한 배열을 이룬다. 이중 채널 전자 제어기가,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가열 수단 및 냉각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므로써 봉입물(37)내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송 지점(32)에는 식품을 가열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 유니트가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의 혼합은 이 지점에서 이루어진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충진된 용기 조립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3에는 절연된 하우징(42)을 구비하는 저장 유니트를 도시하며, 저장 유니트내에는 플랫폼(43)들이 상하방향으로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플랫폼(43)은 대체로 원형의 형상을 취하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치 맨드릴(22)들의 어레이를 갖는다. 배치 맨드릴(22)들은 그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 조립체들의 내부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랫폼(43) 및 맨드릴(22)들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되어, 열이 용기 내용물과 하우징 내부 사이에서 전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들의 내용물의 온도가 하우징내의 온도에 따라 조절되며, 용기 내용물은 예정된 온도로 가열(템퍼링)되거나 또는 냉각될 수 있다. 맨드릴들이 용기들의 내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용기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그리고 용기 내부로부터 용기 외부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가열/냉각 수단에 의해 요구되는 템퍼링 온도에 또는 예정된 템퍼링 온도 범위에 유지된다. 강제 공기 순환 시스템이 가열/냉각 수단과 함께 사용되어 식품의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맨드릴(22)들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플랫폼(43)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저장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연관되는 용기들과 함께 하우징으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된다. 내용물을 갖는 용기 조립체들이 공급된 후에, 상기 플랫폼들에는 템퍼링을 위해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충진된 조립체들이 채워진다. 회전저장체는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혼합 요소(7) 및 폐쇄구(2)의 상단부에 대한 택일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혼합 요소(7)에는 혼합 요소용 구동 샤프트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13)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13)에는 구동 돌리개(13A)들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 도그(13A)들의 외측면들은 뚜껑(2)의 하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는 원형 부분(13B)내에 배열된다.
구동 돌리개(13A)들은 상단부를 폐쇄시키는 캡(7A)을 갖는 요소(7)의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캡(7A)의 하면에는 반구형 부재(7B)가 형성된다. 반구형 부재(7B)는 하방향으로 지향되며,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부재(3E)의 상단부에 계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부재(7B) 및 상기 함몰부는 요소(7)의 회전중 베어링 표면들을 제공한다. 도 14에는, 뚜껑(2)내의 파열형성식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트로(40)를 도시한다.
상기 용기 조립체는 식품의 혼합 및 소비후 폐기되도록 의도된 것이지만, 상기 조립체의 구성품들은 재활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래스틱 성형물들로 정상적으로 제조되는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고, 세 개의 메인 구성품들이 존재되며 이러한 구성품들은 정상적으로 조립된다. 또한, 조립전에, 상기 구성품들은 서로 끼워질 수 있게 되므로써 컴팩트한 양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혼합 임펠러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기인하여, 식품이 용기 전체를 통하여 일관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식품이 비교적 점성을 갖는 성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식품에 대한 효율적인 혼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혼합 작용은 다양한 식품들에 대해 효율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기는 하지만, 상기 혼합 임펠러는 비교적 작은 공간을 차지하며 용기의 용적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필요한 경우, 용기는 용적의 손실분을 보전하기 위해 직경 및/또는 깊이가 약간 증가될 수 있다.
용기의 종방향 개구부(3F)의 마련에 기인하여, 충진된 용기들의 혼합 온도로의 특정의 템퍼링이 더욱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동결된 용기들의 템퍼링은 또한 하우징(37)을 통한 템퍼링 공기의 순환을 통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저장 시스템내에서 정상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공급자로부터 구성품들을 선적하기 전에 또는 용기들이 충진되는 장소에서 구성품들의 특정의 초기적인 조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뚜껑(2)용 밀봉체(5A)는 충진 영역으로의 분배전에 또는 분배후에 뚜껑에 부착될 수 있다. 부가하여, 용기에는 기존의 충진용 기계들에 의해 식품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혼합 작동 전에, 중에 또는 후에 부가적인 성분들이 용기에 부가될 수 있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향미료 혼입 수단, 탄산화수단, 증기와 같은 가열 수단 및/또는 얼음, 너트, 초콜릿 등과 같은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폐쇄구에는, 튜브 삽입용 개구부와 같은, 상기 성분들이 부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구의 연부에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에 상기 성분들을 부가함에 있어서, 이러한 부가를 위해 사용되는 튜브 또는 다른 수단이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용기에 접근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는 상기 성분들의 도입중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가열된 식품에도 적용될 수 있고, 혼합/공급 단계에서, 상기 식품은 예컨대 마이크로파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전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특히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용기(1)내의 식품을 소비 전에 가열 및 혼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용기 본체(3)에는 뚜껑 또는 폐쇄구(2)가 존재되지 않는 상태에서 그리고 혼합 요소(7)가 용기내의 적소에 위치된 상태에서 식품이 충전되며 식품은 용기 본체를 대체로 충진시키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충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뚜껑(2)은 그리고나서 용기 본체(3)상에 배치되어용기내의 식품을 밀봉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진된 용기는 그리고나서 식품이 상당 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온도로 동결된다. 이러한 온도는 -20℃일 수 있으며 식품이 정상적으로 혼합될 수 없는 온도이다. 혼합 작동전에 식품을 혼합 온도에 유지시키기 위해, 식품은 템퍼링 캐비닛내에서 혼합 온도로 템퍼링될 수 있고, 이러한 혼합 온도는 -4℃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장치는 식품을 템퍼링 캐비닛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게 혼합 온도에 도달시키도록 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가열 및 혼합 장치는 메인 하우징(50)을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50)은 그 내부에 구획실(51)을 마련하며, 구획실(51)내에서 가열 및 혼합 작동이 발생된다. 홀더(52)가 제공되고, 홀더(52)내에는 용기(1)가 배치가능하다. 홀더(52)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며, 용기는 그 측벽들이 홀더의 벽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공간내에 안착된다. 필요한 경우, 홀더(52)는 중심의 상방향으로 지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러한 부분은 용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중공형 배치 부재(3E)내로 배치되도록 형상화된다.
홀더(52)는, 용기가 홀더(52)내로 로딩되거나 홀더(52)로부터 언로딩될 수 있는 도 18에 도시한 위치 및 홀더(52)와 용기(1)가 구획실(51)내에 유지되는 도 19에 도시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위치들 사이에서의 이동은 구동 수단(53)에 의해 달성되고, 구동 수단(53)은 편리하게는 피스톤 및 실린더 배열체를 포함하며, 실린더(54)는 하우징(50)내에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55)는 실린더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실린더(54)로부터 연장된다. 택일적으로, 선형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획실(51)은, 마이크로파 복사량이 용기(1)내의 식품으로 지향되어 식품을 낮은 냉동된 온도로부터 높은 혼합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는, 구역을 마련한다. 상기 마이크로파 복사량은 집속된 복사량을 이용하는 공지된 수단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도록 배열되며, 식품에 의해 점유되는 체적은 상기 복사량을 직접적인 방식으로 수납한다. 홀더(52)에는 바람직하게는 온도 검출 수단(도시안됨)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용기가 홀더(52)내에 위치되었을 때, 식품의 온도가 검출된다. 이러한 온도 검출은 구획실(51)의 외부에 배치되는 온도 검출 수단 또는 구획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예컨대 적외선 온도 검출 수단과 같은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된 온도는 변화될 수 있고, 그러므로 가열 지속시간도 식품이 혼합 작동을 위해 유지되어야 하는 온도와 비교하여 용기내의 식품 온도에 따라 변화되어야 한다. 가열 수단이 또한 마이크로파 가열 수단의 전력 및 용기의 크기에 따라 10 내지 30 초일 수 있는 예정된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상기 가열 지속시간은 계산된다. 대체로, 식품의 혼합 온도는 약 -20℃의 초기 온도와 비교하여 -3℃ 내지 -4℃가 된다.
폐쇄되었을 때 상기 구획실(51)이 마이크로파 복사량에 대한 차폐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홀더(52)가 구획실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구획실(51)을 폐쇄시키기 위해 적당한 위치로 하강되는 도어(56)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기내의 식품에 대한 가열이 완료되면, 용기내의 식품은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은 구동 모터(6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구동 모터(60)는 상기 구획실(51)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구획실(51)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61)를 갖는다. 구동 샤프트(61)를 혼합 요소(7)에 결합시키기 위해, 샤프트(61)는 개구부(13)내로 삽입되어 상기 요소(7)와 구동적으로 계합되도록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모터(60)에 관한 샤프트(61)의 이동은 스플라인 연결부(63)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되고; 스플라인 연결부는, 선형 구동부(6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U형 아암(64)에 의해, 혼합기 모터의 출력 스플라인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샤프트(61)가 혼합 요소(7)와 계합된 후에 그리고 혼합 작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샤프트(61)는 상방향으로 후퇴되어 그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도어(56)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며, 연관되는 홀더(52)를 갖는 용기는 상기 구획실(51)로부터 도 18에 도시한 위치로 방출된다. 혼합된 식품을 갖는 용기는 홀더(52)로부터 상승되어 소비 준비상태에 유지될 수 있다.
용기의 부분품들 및 상기 구획실(51)로 넣어지는 홀더가 마이크로파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용기가 가열 및 혼합 위치로 도입되기 전에 상기 탭(5A)이 용기로부터 제거되지만, 이러한 탭의 제거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구동 샤프트가 밀봉체를 파열시키면서 개구부(13)내로 삽입되도록 개구부용 폐쇄구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홀더(52)는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그 내부로 용이하게 지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의 전달은 홀더내에서, 홀더의 외부에서, 또는 홀더의 외부 및 내부 모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50)은 하나를 초과하는 구획실(51)들, 예컨대 두 개 내지 네 개의 구획실들을 수용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다중 용기들을 위한 공통의 구획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택일적인 예로서, 용기내에서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복사량을 사용하는 것을 대신하여, 상기 홀더(52) 및 홀더(52)내에서 상방향으로 지향되는 맨드릴이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어 방열판(heat sink)을 제공할 수 있다. 식품이 일단 홀더(52)내에 위치되면 식품은 상기 방열판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이 용기내에서 전체 식품의 온도를 상승시키기에 불충분할 수도 있지만, 혼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에는 충분할 수 있다.
식품에 대한 향미료 첨가 및 공기 부화는, 샤프트(61)의 상하방향 이동과 연관되는 용기내로 상기 성분들을 도입시키기 위한, 유입 튜브들(도시안됨)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는, 동결된 밀크 쉐이크 식품을 가열 및 혼합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사용되는 이러한 혼합 배열체는, 저장 및 소비 지점으로의 이송을 위해 식품이 내부에 충전될 수 있는 용기(130)를 갖는 전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따를 수 있다. 식품은 저장을 위해 상기 용기내에서 동결될 수 있다. 용기는 구동 수단과의 구동적인 계합을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 요소(7)를 갖는다. 식품에 대한 혼합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동결된 식품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기 전에, 상기 식품은 저장 온도로부터 혼합 및 소비 온도로 그 온도가 상승되기 위해 가열되어야 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장치는, 가열 및 혼합 작용들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용기(130)내의 동결된 식품에 대한 가열은 장치의 다른 부분상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의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열 및 혼합 작용을 위해, 아암(133)상에 장착되는 홀더(132)가 제공되며; 상기 아암(133)은 순차적으로, 지지체들(135 및 136)상에서 그 단부들이 지지되는, 안내 로드(134)를 따라 수직방향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아암(133)은 구동 로드(138)를 갖는 구동부(137)에 의해 수직방향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동결된 식품으로 충진된 용기(130)는 장치의 구획실(140)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는 상기 구획실내에서 마이크로파 복사량에 처하여지게 되어 식품을 혼합 온도로 가열시킨다. 마이크로파 복사량은 용기(130)내에서 식품상에 집속되어 전력 낭비를 방지하며, 가열 지속시간은 식품을 낮은 온도로부터 요구되는 혼합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가열후에, 용기(130)는 홀더(132)내에 위치되고 구동 샤프트(143)를 갖는 구동 모터(142)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상승된다. 용기(130)가 그 최상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구동 샤프트(143)는 용기(130)내에서 혼합 요소(도시안됨)와 계합되어 혼합 작용을 수행한다. 그 후, 홀더(132)는, 홀더(132)로부터의 혼합된 식품을 갖는 용기의 제거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그 초기 위치로 다시 하강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아암(133)은, 홀더(132)를 구획실(140)을 벗어난 전방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수평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32)에 대한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홀더(132)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홀더내의 용기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가열 구획실(150)내에서 가열될 식품을 갖는 용기들을 배치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을 도시한다. 이 경우, 홀더(132)는 수직방향 피벗점(141)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도어(140)의 일측면상에 장착된다. 도어(14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도 22B 참조), 식품 용기는 홀더(132)내에 배치된다. 그리고나서, 도어(140)는 폐쇄 위치(도 22A 참조)로 선회되고, 폐쇄 위치에서 홀더(132) 및 그에 수반되는 용기는 상기 구획실(150)내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파 가열에 처하여진다. 가열이 완료되었을 때, 도어는 용기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가열 구획실(150)에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피벗점 또는 힌지점(141)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되는 도어(140)를 다시 포함하는 가열 유니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들(151 및 152)이 상기 가열 구획실(150)내에 위치된다. 용기 및 홀더(132)가 구획실(150)내에 위치될 때, 용기 및 홀더(132)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들(151 및 15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들(151 및 152)은 마이크로파 안내부들을 하우징한다. 마이크로파 안내부들을 관통하여 마이크로파 복사량이 용기로 지향되며, 마이크로파 안내부들은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전체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봉입된(enclosed) 실린더를 형성한다.
다른 택일적인 예로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축을 갖는 실린더(155)가, 구획실(150)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하나의 실린더 반편(155A) 및 도어(140)상에 장착되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 반편(155B)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두 개의 반편들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용기를 봉입시키는 실린더를 형성한다.
도 25,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가열 및 혼합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배열체를 도시하며, 이들 도면에 있어서 선행 실시예들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가열 구획실(140)은 구획실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용기를 홀더(132)내로 도입시키기 위해 접근가능하게 된다. 구획실(140)은 상기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도어(120)를 갖는다. 홀더(132)는 홀더내로의 용기(130)의 배치를 위해 경사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 축(15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용기의 배치후 홀더의 이동은 수직 위치를 향하여 상기 수평방향 축(156)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는 가열 및 혼합 작동중 수직적으로 배치된다.
홀더(132)는 베이스 부분(157)상에 장착되고 도 25에 도시한 배치 위치로부터 도 26에 도시한 가열 위치를 통하여 도 27에 도시한 혼합 위치까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혼합 위치에서, 혼합 요소(31)를 갖는 용기(30)는 구동샤프트(142A)를 갖는 구동 모터(142)에 의해 계합가능하며, 구동 샤프트(141A)는 상기 혼합 요소와 구동적으로 계합되어 용기(130)내의 식품을 혼합시킨다. 혼합후에는, 용기가 도 25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되므로써, 용기 및 혼합된 식품은 홀더(1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위치를 향한 용기의 상승 및 하강은 구동 수단(158)을 이용한 수직방향 왕복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132)는 상기 구동 수단(158)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홀더(132)내로의 용기의 배치 및 홀더(132)로부터의 용기의 이탈은 예컨대 셀프 서비스 용도에의 적용을 위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안착체(seating)는, 홀더를 구획실(140)의 외부에 위치시켜 용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평방향에서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가열 및 혼합후에, 상기 용기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거나 상기 구획실로부터 다른 개구부를 관통하여 대향되는 측면으로 복귀된다. 용기 배출 위치에서, 용기는 홀더로부터 자동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도 29에는 용기(130)의 수동적인 또는 자동적인 배치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홀더(132)가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는, 도 25 내지 도 27과 유사한 배열을 도시한다. 홀더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획실(140) 외부의 위치 및 구획실 내부의 위치 사이에서의 수평적인 이동을 위해 왕복 아암(132A)상에 장착된다.
다른 배열(도시안됨)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서 마이크로파 가열이 이루어지는 구획실이 혼합/방출 단계를 위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복사량의 공급원은 장치내에서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30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도 25 내지 도 27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 있는 장치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합된 가열 및 혼합 장치를 도시하고; 이들 도면을 통하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었던 부품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는, 장치내에 용기(130)를 수동적으로 로딩하고 용기(130)내의 식품을 가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식품을 혼합하는 단계적인 과정을 도시한다.
도 30에는 사용 준비 상태에 있는 장치를 도시하고, 도어(120)는 폐쇄 위치에 유지되며 용기 홀더(132)는 구획실(140)의 외부에 배치된다. 도 31에 있어서, 도어(120)는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도 32에 있어서, 용기(130)는 홀더(132)내에 배치되고, 홀더(132)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재(132A)를 갖는다. 부재(132A)는 용기(130)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대응되는 개구부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용기(130)는 부재(132 및 132A)상에 착지된다. 홀더(132)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용기(130)를 수평방향에서 구획실(140)내로 이동시킨다. 도 33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하면, 도어(120)는 도 34에 도시한 위치로 폐쇄되며, 용기의 내용물은 구획실(140)의 마이크로파 환경내에서 가열에 처하여진다. 요구되는 온도로의 가열이 이루어진 후에, 용기(30)의 내용물은, 장치내의 구동 수단과 용기(130)내의 혼합 요소의 계합에 의해, 혼합된다.
가열 및 혼합후에, 도어(120)는 개방되며, 홀더(132)는 그 초기 위치를 향하여 외측으로 이동되고, 용기는 식품이 소비 준비 상태로 용기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거된다.
식품의 공급 직전에 사용되는 가열 수단을 제공하므로써, 더 이상 템퍼링 캐비닛내에서 식품을 가열하거나 템퍼링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템퍼링 캐비닛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문제점들의 하나는 달성하기 어려운 "후입 선출" 원칙에 따라 작동되어야 하는 재고품 회전과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템퍼링 캐비닛들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된다. 또한, 템퍼링 캐비닛들을 사용하는 것은 대체로 캐비닛에 대한 열의 인가를 허용하는 접근용 도어들의 개방 및 폐쇄를 포함한다. 부가하여, 템퍼링 캐비닛들은, 캐비닛내의 모든 식품들에 대한 식품 공급 온도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한 경우에만, 대체로 만족스럽게 사용될 수 있다. 동결된 식품을 템퍼링하거나 가열하지 않고서는, 표준적인 식품 처리물의 방출 또는 혼합은 달성하기 어렵다.
템퍼링 캐비닛들에 있어서 발생되는 다른 문제점은 캐비닛내에 얼음이 생성되어 얼음의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비록 이러한 문제점들이 극복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극복을 위해서는 때때로 특별한 식품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 각 용기의 가열 작동에 대한 개개적인 제어 가능성을 제공하기 전에 가열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표준적인 기존의 식품 처리기법이 사용될 수 있고 템퍼링 캐비닛들은 불필요하게 된다.
식품 용기에는 요청되는 가열량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용기 내용물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정상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각각의 식품을 위해, 다른 가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 환경으로 용기가 인입되기 전에 식품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설치물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식품 용기에 대해 마이크로파 가열방법을 사용하므로써, 마이크로파 복사량은 특히 식품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으로 지향될 수 있고 매우 한정되므로써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홀더는 각각의 혼합 또는 방출 단계후에, 마이크로파 복사량에 의해 위생화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복사량은 홀더에 대한 물 스프레이에 의해 보조되며, 따라서 홀더는 마이크로파 복사량에 노출되면서 살균된다.
식품, 및 가격과 판매 유효 기간과 재고 제어 정보와 같은 작동자에게 유용할 수 있는 다른 특성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식품 용기들상에 바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자동적으로 계산되는 식품용 가열 시간을 대신하여, 푸시 버튼들 또는 터치 패드들과 같은 제어부들을 제공하므로써, 작동자는 용기내의 식품 및 식품의 온도에 따라 타이머를 작동시켜 가열되는 식품에 대한 목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입력 온도들에 따라 그리고 출력 온도들을 위해 제어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온도 스캐너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될 수 있다. 다른 배열에 있어서, 가열 시간은 마이크로파 가열 유니트에 대한 전원 입력을 조절하므로써 변화될 수 있다.
다른 배열에 있어서, 달성되는 가열 효과는 혼합 개시시 테스팅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팅은 혼합의 개시 시점에서 (혼합용 모터에서 검출되는 전류에 의해)전력을 측정하므로써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전력이 예정된 값을 초과하면, 식품이 불충분하게 가열되었고 따라서 추가적인 가열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인 마이크로파 가열이 있은 후에, 다시 혼합 작업이 시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적당한 가열이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가열 지속시간을 기억하는 회로가 작동되므로써, 다음 용기도 이전의 용기와 동일한 정도의 가열량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그리고 다른 가열 시간들을 필요로하는 다른 식품들에 대한 가열을 초기에 세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가열 지속시간들을 갖는 다른 식품들에 대해, 작동자에 의해 선택되는 또는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서로 다른 작동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가열 구획실을 위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용기가 가열을 위해 도입될 때 다른 용기는 공급을 위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품 또는 다른 구성품들로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지향시키는 공통의 마이크로파 복사량 발생 유니트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용기는 라벨 또는 다른 것에 의해 칼라 코딩될 수 있고, 각각의 칼라는 요청되는 식품 온도를 표시한다. 칼라 코드 판독기가 제공되어 칼라를 검출하고 요청되는 식품 온도 및 그 식품에 대한 가열 지속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수단은 동결기내에 또는 동결기에 매우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동결기내에서 용기는 상기 낮은 온도로 저장되고, 용기를 저장소로부터 가열 수단으로 자동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식품의 가열은 식품의 중심부를 식품의 잔여부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지향될 수 있다. 소스 및 토핑들은 식품을 용기내에 충진시키기 위한 충진기에서 식품의 중심부로 분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로부터의 식품의 압출시, 식품의 중심부는 더욱 뜨겁게 되고 액체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식품 최상부의 토핑들도 식품의 잔여부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한 장치에는 상기 장치가 자가 공급식 작동부로서 또는 다른 작동부로서 간단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기능들이 제공된다.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 소형의 가시적인 디스플레이 유니트 형태를 취하는 디스플레이가 장비의 전방 부분상에 제공될 수 있다. 유니트상의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소싱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CD ROM 또는 DVD 디스크를 사용하므로써 RAM 칩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교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는 기계의 작동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제공하므로써 다양한 필요한 조치들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필요한 조치들은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취하여져야 하고, 이에 따라 공급 작동이 언제 이루어져야 하는 가를 검출하는 기계상의 검출기들이 디스플레이와 연결된다. 부가하여, 디스플레이는 환영 사인(welcome sign) 및 마케팅 정보와 판매 정보와 같은 판매 촉진책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들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들에 의해 영양 데이터, 가격, 레크레이션 정보, 향미료 선택, 일기 예보 등과 같은 정보가 시스템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은 사용자가 장치에 작동할 때에만작동될 수 있는 음악을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에 의해 수반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사용자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장치를 로딩시키고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이 제공된다.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용기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선택된 식품에 공급되는 정보를 재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게는 접근하는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스테이지와 연관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경과된 시간 및 식품이 소비 준비 상태에 있기 전에 경과되어야 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코인 또는 카드를 삽입하므로써 시스템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자기 스트립을 갖는 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식품에 맞추어진 특별한 오디오 메시지가 제공된다. 광고문이 디스플레이되는 카드상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의 공급 작동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는 광고 메시지들, 광고물들, 이동 화상 또는 다른 수단을 교체시킬 수 있다.
비어있는 용기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장치가 적당하게 또는 완전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치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고객 또는 다음 고객에게 용기의 제거를 요청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식품이 올바르게 공급되지 않으면, 이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가 사용자에게 그리고 부가하여 접대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특정의 식품 향미료가 바닥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또한 접대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고, 중앙 프로세서는 요청시 식품의 재고량에 관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비로서, 고객들을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가 장치상에 장착될 수 있다. 장치가 셀프 서비스 사용을 위해 적합화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작동중 고객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다른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부가적인 정보가 다운로드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에 의해 장치는 서비스 콜이 필요한 가를 검출하고 가장 가까운 서비스 기술자에게 서비스 요청을 한다. 음성 설비들이 보이스 칩으로부터 제공되므로써, 부가적인 기능들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5,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다른 용기, 및 준비된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여 식품이 용기내에서 소비되도록 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용기(210)는, 하단부 또는 베이스(212)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테이퍼되는 본체 부분(211)상에서 대체로 원형의 횡간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단부에 근접하여, 본체 부분(211)은 지점 213에서 외측으로 꺾임으로써 견부(shoulder)(214)가 제공된다. 견부(214)에 의해, 조립전 이송 목적으로, 용기들(211)을 서로의 내부에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단부에서, 본체(211)는 개방되면서 외측으로 지향되는 순부(lip)(215)를 가지며, 순부(215)는 조립되었을 때 뚜껑(216)과 협력하도록 배열된다. 용기가 조립되어 식품으로 충진된 후에, 용기(210)의 개방된 단부에는 열 밀봉성 필름(218)이 안착될 수 있고, 열 밀봉성 필름(218)상에는 뚜껑이 끼워진다.
용기(210)의 중심축을 따라 중공형의 직립 배치 부분(220)이 상기 베이스(212)로부터 직립되며, 배치 부분(220)은 그 상단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테이퍼되고 그 하단부에서 개구부(221)를 제공한다. 상기 부분(220)은 중심축으로부터 옵셋될 수 있다. 부분(220)의 상단부는 개방되며, 이러한 개방단에는 테이퍼되는 안착부(222)가 형성된다.
혼합 요소(223)는 상기 직립 부분(2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슬리이브의 내면은 상기 중공 부분(22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형상화된다. 혼합 요소(223)는, 그 길이를 따라 격설되는 위치들에서, 외측으로 지향되는 혼합용 블레이드들(224)을 가지며, 이 경우, 블레이드들(224)은 요소(223)의 대향 측면들에서 두 개의 수직방향 열들을 마련하도록 형성된다. 블레이드들(224)은, 혼합 요소(223)의 그 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시, 블레이드들이 용기내의 식품과 계합하여 식품을 혼합시키도록, 배열된다. 도시한 것과는 다른 혼합 요소들(223)도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부분(220)이 그 상단부에서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혼합 요소(223)의 상단부에는, 상기 중공 부분(220)의 개방된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착지부(222)내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종동 부재(225)가 형성된다. 그 하단부에서, 상기 종동 부재(225)에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226)(도 36 및 도 37 참조)에 계합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된다.
용기(210)의 구성품들은 정상적으로는 특정의 적당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플래스틱 재료에 의해 성형될 수 있지만, 종이계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 요소(223)들은, 혼합용 블레이드(224)들을 수납하기 위해 각각의 혼합 요소의 대향되는 측면들내에 형성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로트(227)들의 존재에 기인하여, 서로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16)들도 서로 적층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용기(210)들이 서로 측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측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중공 부분(220)들의 상단부들은 근접한 용기들의 하단 개구부(221)들을 통하여 계합된다. 각각의 용기의 림 부분(215)은 다른 용기상에 배치되는 용기의 견부(214) 아래에 계합된다. 이와 같은 적층성으로 인하여, 구성품들은 제조후 조립위치로의 이송중 최소의 체적만을 점유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용기(210)들은 조립 및 충진 위치로 옮겨지며, 이러한 위치에서 식품은 용기내의 예정된 요구되는 높이까지 상기 상단부를 관통하여 용기내로 도입된다. 충진전 또는 충진후에는, 혼합 요소(223)는 중공 부분(220)의 상부에 위치된다. 충진후에는, 필름(218)은 상기 상부 개구부상에 위치되어 상부 개구부를 밀봉시키고, 뚜껑(216)은 용기의 순부(215)상에 인가된다. 요구되는 경우, 용기의 하부 베이스(212)에도 밀봉체가 인가되어 상기 개구부(221)를 밀봉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밀봉체는 필름(218)과 유사한 형태로 열 밀봉될 수 있다.
충진되고 밀봉된 용기들은 그리고나서 요구되는 저장 온도로 냉각되거나 동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혼합을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는 혼합 및 공급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용기(210)들내에서 동결된 식품을 처리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도 35에 도시한 용기는, 예컨대 이송을 위한 냉각이 필요없도록 식품이 무균적으로 준비될 때 가열 기능을 갖지 않는 택일적인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식품이 충진되어 냉각/냉동된 용기들은 그리고나서 저장되고 혼합 및 소비를 위한 지점까지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은 냉각된 환경내에서 그리고 요구되는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소비 준비 상태에 있는 용기(210)내에서 식품을 혼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하우징(230)을 구비하고, 하우징(230)내에는 구획실(231)이 마련된다. 구획실(231)은, 그 상단부에서 개방되고 이러한 상단 개구부용의 분리가능한 폐쇄 부재(232)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구획실로 된다. 구획실(231)의 하단부에서는, 구동 샤프트(233)가 구동 모터(234)로부터 구획실(231)의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용기의 중공 부분(220)의 내부 치수들에 대응하는 테이퍼되는 형상을 갖는 받침 부재(234)가 구획실(231)의 베이스로부터 직립된다. 받침 부재(234)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샤프트(233)의 상단부에는, 혼합 수단(223)상의 종동 부재(225)와 계합되도록 배열되는 회전가능한 구동 부재(226)가 제공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10)는 구획실(231)로 로딩되며, 이에 따라, 혼합 수단(223)은 상기 구동 모터(234)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동 계합된다. 폐쇄 부재(232)는 피벗점(236)을 중심으로 개방위치로 선회되므로써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폐쇄 부재(232)는 개방 작용을 돕기 위한 균형추(237)를 수반한다. 폐쇄 부재(232)는 수동적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자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획실(231)은 마이크로파 구획실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구획실(231)이 폐쇄되었을 때(도 37 참조) 하우징(230)내의 마이크로파 전원(238)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마이크로파 전력을 구획실(231)로 공급하여 용기(210)내에서 식품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구동 수단(226)과 종동 수단(225)이 구동적으로 계합된 상태에서 용기(210)가 구획실(231)내로 로딩된 후에, 상기 폐쇄 부재(232)는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용기의 구획실(231)내로의 로딩이 완료된 후에 그리고 폐쇄 부재(232)가 폐쇄된 후에, 마이크로파 전력이 공급원(238)으로부터 구획실로 공급되어 용기내의 식품을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지속시간 및 전력은 용기내 식품의 초기 온도, 용기내 식품의 양, 용기내 식품의 특성, 및 용기내 식품의 요구되는 최종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이러한 지속시간 및 전력은 용기상의 데이터를 판독하므로써 그리고 용기의 최초 온도를 판독하므로써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용기 및 그 내용물이 요구되는 매개 변수들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즉, 예컨대 식품이 판매 유효 기간을 경과하였거나 용기가 식품으로 충진되지 않았거나 한다면, 상기 데이터는 또한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파 복사량에 의해 용기내에서 식품을 가열시키는 데에 있어서, 상기 구획실은 용기의 크기로 재단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 에너지는 필요한 경우 용기내의 내부 개구부를 통하여 식품에 부여될 수 있다. 특히, 안테나 수단이 상기 개구부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 수단은 마이크로파 복사량의 공급원을 제공한다.
용기내에서 식품을 가열한 후에, 구동 수단(234)이 작동되어 혼합 수단(223)을 회전시킴으로써 식품을 혼합시키며, 식품은 그리고나서 그 용기로부터 또는 다른 용기로 옮겨진 후에 소비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혼합 요소(223)와 용기의 조립체에 있어서, 종동 부재(225)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안착부(222)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밀봉체가 바람직하게는 액체 밀봉부의 형태로 안착부(222)에 성형된다. 그러므로, 다른 부분(220)의 상단부가 용기내에서 식품의 레벨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지만, 상기 부분(220)과 요소(223) 사이에 밀봉체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8을 참조하면, 칵테일 글래스를 모사하도록 의도된 택일적인 형태의 용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용기는 디스크(240) 형태의 베이스 부분(도 41 참조)을 포함한다. 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테이퍼되는 중공 부분(242)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직립된다. 상기 테이퍼되는 중공 부분(242)은, 술잔의 형상을 갖는, 즉 원형 횡간단면을 가지면서 그 하단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굽어지는, 본체 부재(243)(도 42 참조)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술잔의 형상을 갖는 본체 부재(243)의 상단부는 개방되며, 혼합중, 본체(243)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혼합 요소(244)를 갖는다. 혼합 요소(244)는 본체(243)내에서 중공형 부재(242)의 상단부상에 배치된다. 혼합 요소(244) 및 이러한 요소의 구동부는 전기한 실시예의 그것들과 유사하게 된다. 그러므로, 식품은 상기 본체 부분(243)내에 충진된다. 식품은 전기한 바와 같이 혼합 요소(244)를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혼합된다. 용기는 뚜껑(245)을 가질 수 있고, 뚜껑(245)은 상승되어 칵테일 용기들의 우산을 모사할 수 있다. 본체 부재(243)는 식품의 소비를 위한 혼합 후에 베이스 부분(240)상으로 배치되며, 베이스 부분은 예컨대 글래스와 같은 재사용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식품은 소비를 위해 본체(243)로부터 다른 용기로 부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들은, 특히 식품이 이미 요구되는 혼합 온도에 있을 때, 마이크로파 가열 배열체와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면들에 있어서, 구동 배열체 및 받침 지지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될 수 있지만 더 이상 용기 둘레에서 폐쇄되는 구획실을 마련할 필요는 없게 된다.
상기 용기 및 혼합 요소는 식품의 혼합 및 소비후 폐기되도록 의도된다. 혼합후 용기내 식품에의 접근은 스트로를 사용하여 뚜껑(216) 및 (제공되는 경우) 밀봉체(218)를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택일적으로, 뚜껑(216)은 제거될 수 있으며 접근은 밀봉체(218)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뚜껑(216) 및 밀봉체(218)는 모두 식품의 소비를 위해 제거될 수 있고, 또는 식품은 다른 용기 예컨대 재사용가능한 유리 용기내로 부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소스들 및 다른 첨가제들도 혼합전에 또는 혼합중에 용기내로 넣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대체로 상기 뚜껑 및 밀봉체를 통하여 용기내로 넣어진다.
용기는 포함되는 식품에 따라 또는 개개의 고객 요구조건들에 따라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크기들을 구현하기 위해, 부재(220)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용기의 높이 및/또는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들에있어서는, 용기의 베이스가 구획실의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용기가 맨드릴(234)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부재(220)의 내면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맨드릴(234)도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동 부재(225)의 길이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구동부(226)와의 계합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될 수 있다.
용기(210)에는 그 내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격설되고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들(도시안됨)이 제공될 수 있으며, 리브들은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용기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리브들은 혼합중 용기내에서의 식품의 교반을 도와서 혼합 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리브들 사이의 격리거리 및 깊이는 식품의 특성, 혼합 수단의 형태 및 그러한 혼합 수단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식품은 동결된 탄산화 식품, 또는 용기내로의 충진시 또는 충진후 이산화탄소가 식품내로 도입되고 그리고나서 개스를 식품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식품이 동결되므로써 준비되는 음료수일 수 있다. 식품 향미료들이 판매 시점에서 즉 혼합 및 공급중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내에 부가될 수 있다. 식품은 택일적으로는 혼합 스테이지에서 공기 부화된다.
도 43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식품을 포함하는 도 47 내지 도 49의 용기가 그 내부에서 가열되고 혼합되는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구비하며; 베이스 플레이트(310)상에는, 그 상부에 폐쇄구 또는 뚜껑(313)이 배치될 수 있는 상부 개구부(312)를 갖는 장방형 하우징(311)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품들이 장착된다. 뚜껑은 하나의 연부를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선회되고 핸들(314)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된다. 폐쇄구(313)의 개방 위치에서, 하우징(311)은 식품의 용기를 삽입 및 제거하기 위해 접근가능하게 된다. 하우징(311) 및 폐쇄구(313)는 마이크로파 복사량을 반사시키는 재료로 제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사량은 일단 하우징내로 조사되면 폐쇄구(313)가 적소에 위치되는한 탈출이 불가능하다.
구동 부재(316)는 하우징내에 위치되어 하우징의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지향된다. 구동 부재(316)는 수직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을 위해 모터(317)와 연관되고, 모터(317)는 상기 구동 부재(316)가 장착되는 풀리(319)와 계합가능하게 되는 벨트(318)를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모터(317)가 작동되면, 구동 부재(316)가 용기내의 식품에 대해 수행되는 혼합 작동에 따라 선택되는 속도로 회전된다.
구동 부재(316)의 상단부에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혼합 수단(343)에 구동적으로 계합되도록 배열되는 구동 요소(321)가 배치된다. 구동 부재(316)의 베이스 둘레에는 고정 부재(323)가 배치되며, 고정 부재(323)는 테이퍼되는 지지 부재(324)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하고, 테이퍼되는 지지 부재(324)는 혼합중 용기 본체를 고정적인 위치에 지지한다.
하우징의 벽들 및 용기 사이에서 하우징(311)내에는 배치 부재(325)가 배치되며, 배치 부재(325)는 대체로 플래스틱으로 구성되고 내부의 원통형 부분(326) 및 상부 확계 부분(327)을 마련한다.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용기들은 상기 원통형 부분(326)내로 삽입되며, 원통형 부분(326)은 용기의 측벽들로부터 격리된다. 부재(325)는 세척 및 위생화를 위해 제거가능하고 일회용으로도 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0)상에는 마그네트론(329)들의 형태를 취하는 마이크로파 복사량 발생 수단이 장착되고, 마그네트론(329)들중 두 개는 하우징(311)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나머지 두 개는 대향되는 측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마그네트론(329)은 그와 연관되는 도파관 수단(330)을 갖는다. 도파관 수단(330)은, 마이크로파 복사량이 하우징내의 다른 방향들 및 레벨들로 지향되도록하여 복사량이 용기내의 식품을 향하여 지향되는 복사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보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우징(311)에 관하여 서로 다른 레벨들 및 위치들에 배열된다. 도시한 배열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324)는 복사량의 반사기로서 작용하여, 복사량이 식품을 통과한 후에 다른 방향에서 외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식품의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그네트론들은 팬(328)들에 의해 냉각된다. 마이크로파 에너지 또한 중공 중심내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통하여 용기의 중심으로 지향될 수 있고, 안테나는 지지체(324)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29)들에는 변압기(329A)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도 43 내지 도 46의 장치에 사용되는 용기를 도 47 내지 49에 도시한다. 용기는 하단부 또는 베이스(332)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테이퍼되는 본체 부분(331)상에서 대체로 원형의 횡간 단면을 갖는다. 상기 상단부에 근접하여, 본체 부분(331)은 지점 333에서 외측으로 꺾임으로써 견부(shoulder)(334)가 제공된다. 견부(334)에 의해, 조립전 이송 목적으로, 용기들을 서로의 내부에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견부는, 식품이 용기내로 도입되는 충진 단계에서 적층된 용기들이 서로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단부에서, 본체(331)는 개방되면서 외측으로 지향되는 순부(335)를 가지며, 순부(335)는 조립되었을 때 뚜껑(336)과 협력하도록 배열된다. 용기가 조립되어 식품으로 충진된 후에, 용기의 개방된 단부에는 열 밀봉성 필름이 안착될 수 있고, 열 밀봉성 필름상에는 뚜껑(336)이 끼워진다.
상기 뚜껑(336)은 생략될 수 있고 판매/공급 시점에서 인가될 수 있다.
용기의 중심축을 따라 중공형의 직립 부분(340)이 상기 베이스(332)로부터 직립되며, 직립 부분(340)은 그 상단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테이퍼되고 그 하단부에서 개구부(341)를 제공한다. 상기 부분(340)은 중심축으로부터 옵셋될 수 있다. 부분(340)의 상단부는 개방되며, 이러한 개방단에는 테이퍼되는 안착부(342)가 형성된다.
혼합 요소(343)는 상기 직립 부분(340)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슬리이브의 내면은 상기 중공 부분(34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형상화된다. 혼합 요소(343)는, 그 길이를 따라 격설되는 위치들에서, 외측으로 지향되는 혼합용 블레이드들(344)을 가지며, 이 경우, 블레이드들(344)은 요소(343)의 대향 측면들에서 두 개의 수직방향 열들을 마련하도록 형성된다. 블레이드들(344)은, 혼합 요소(343)의 그 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시, 블레이드들이 용기내의 식품과 계합하여 식품을 혼합시키도록, 배열된다. 도시한 것과는 다른 혼합 요소들도 사용될 수 있다.
혼합 요소(343)의 상단부에는, 상기 중공 부분(340)의 개방된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착지부(342)내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종동 부재(345)가 형성된다. 그 하단부에서, 상기 종동 부재(345)에는 개구부(346)가 형성되고, 개구부(346)내에는 구동 요소(321)가 계합된다. 부분(340) 및 혼합 요소(343)의 상단부는 도시한 것보다 낮은, 즉 용기내의 식품 레벨보다 낮은 높이에 유지될 수 있다.
용기의 구성품들은 정상적으로는 특정의 적당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플래스틱 재료에 의해 성형될 수 있지만, 종이계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혼합 요소(343)들은, 혼합용 블레이드(344)들을 수납하기 위해 요소들의 대향되는 측면들내에 형성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로트(347)들의 존재에 기인하여, 서로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뚜껑(336)들도 서로 적층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용기들은 서로 측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측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중공 부분(340)들의 상단부들은 근접한 용기들의 하단 개구부(341)들을 통하여 계합된다. 적층되었을 때 각각의 용기의 상연부는 용기의 견부(334) 아래에 계합된다. 이와 같은 적층성으로 인하여, 구성품들은 제조후 조립위치로의 이송중 최소의 체적만을 점유하면서 이송될 수 있고, 각각의 용기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는 충진기들에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기들은 조립 및 충진 위치로 옮겨지며, 이러한 위치에서 식품은 용기내의 예정된 요구되는 높이까지 상기 상단부를 관통하여 용기내로 도입된다. 충진전에는, 혼합 요소(343)가 중공 부분(340)의 상부에 위치된다. 충진후에는, (만약 제공되는 경우) 필름이 상기 상부 개구부상에 위치되어 상부 개구부를 밀봉시키고, (만약 사용되는 경우) 뚜껑(336)은 용기의 상연부(335)상에 인가된다. 요구되는 경우, 용기의 하부 베이스에도 밀봉체가 인가되어 상기 개구부(341)를 밀봉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밀봉체는 필름과 유사한 형태로 용기의 상단부상에 열 밀봉될 수 있다. 만약 살균되고 초고온처리되며 무균인 식품이 사용되면, 하부 밀봉체도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고온 상태에서 용기내로 도입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주위 온도에서 이송될 수 있다. 공급 위치에서, 용기들은 의도되는 소비 온도하에 있는 동결기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들은 혼합전 특정의 가열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충진되고 밀봉된 용기들은 그리고나서 요구되는 저장 온도로 냉각되거나 동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혼합을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는 용기내에서 동결된 식품을 처리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식품은 혼합 및 공급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용기는 요청되는 가열 기능을 갖지 않는 택일적인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식품이 충진되어 냉각/냉동된 용기들은 저장되고 혼합 및 소비를 위한 지점까지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은 냉각된 환경내에서 그리고 요구되는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용기내에서 식품이 소비될 때, 용기는 그 냉각된 환경으로부터 이탈되며; 도 43 내지 도 46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할 때, 용기는 소비를 위해 가열되고 혼합된다. 뚜껑(313)은 핸들(314)을 사용하여 또는 상부 개구부(312)를 개방시키기 위한동력 수단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용기는 개구부(312)를 통하여 하우징(311)내로 삽입되며, 지지 부재(324)는 용기의 중공 부분(340)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구동 요소(321)는 요소(343)의 종동 부재(345)와 구동적으로 계합된다.
용기를 지지 부재(324)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중공 부분(340)의 하단부는 지점 348에서 지지 부재(324)의 대응적으로 형상화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예컨대, 이러한 부분들은 대응적으로 정방형, 육각형 또는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용기의 외부 윤곽은 하우징내에서 고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내부 윤곽도 동일한 목적을 위해 형상화될 수 있다.
하우징(311)내에 로딩된 후에, 뚜껑(313)이 개구부(312)를 횡단하여 폐쇄 위치로 이동되고, 용기내 식품에 대한 가열이 시작된다. 마그네트론(329)들 및 도파관 수단(330)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 복사량이 예정된 지속시간동안 하우징(311)내로 지향된다.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지속시간 및 전력은 용기내 식품의 초기 온도, 용기내 식품의 양, 용기내 식품의 특성, 및 용기내 식품의 요구되는 최종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이러한 지속시간 및 전력은 용기상의 데이터를 판독하므로써 그리고 용기의 최초 온도를 판독하거나 식품 경도를 측정하므로써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용기 및 그 내용물이 요구되는 매개 변수들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즉, 예컨대 식품이 판매 유효 기간을 경과하였거나 용기가 식품으로 충진되지 않았거나 한다면, 상기 데이터는 또한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단 용기내 식품의 요구되는 가열이 달성되면, 상기 구동 모터(317)가 작동되어 혼합 요소(343)를 회전시킴으로써 식품을 혼합한다. 이에 따라, 식품은 그 용기로부터 또는 다른 용기로 옮겨진 후에 소비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용기내 식품에의 직접적인 접근은 용기의 뚜껑에 형성되는 예컨대 스트로용 파열형성식 개구부일 수 있는 개구부(350)를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혼합 요소(343)와 용기의 조립체에 있어서, 종동 부재(345)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안착부(342)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밀봉체가 바람직하게는 액체 밀봉부의 형태로 안착부(342)에 성형된다. 그러므로, 중공 부분(340)의 상단부가 용기내에서 식품의 레벨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지만, 상기 부재(340)와 요소(343) 사이에 밀봉체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는, 특히 식품이 이미 요구되는 혼합 온도에 있을 때, 마이크로파 가열 배열체와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기 및 혼합 요소는 식품의 혼합 및 소비후 폐기되도록 의도된다. 혼합후 용기내 식품에의 접근은 스트로를 사용하여 뚜껑(336) 및 (제공되는 경우) 밀봉체를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택일적으로, 뚜껑(336)은 제거될 수 있으며 접근은 밀봉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뚜껑 및 밀봉체가 모두 식품의 소비를 위해 제거될 수 있거나, 식품이 다른 용기 예컨대 재사용가능한 유리 용기내로 부어질 수 있거나, 또는 새로운 뚜껑이 끼워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소스들 및 다른 첨가제들도 혼합전에, 혼합중에 또는 혼합후에 용기내로 넣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대체로 상기 뚜껑 및 밀봉체를 통하여 용기내로 넣어진다.
용기는 포함되는 식품에 따라 또는 개개의 고객 요구조건들에 따라 다른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크기들을 구현하기 위해, 구동 배열체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용기의 높이 및/또는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들에 있어서는, 용기의 베이스가 구획실의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용기가 지지 부재(324)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용기에는 그 내면상에 리브(351)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리브들은 용기의 본체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리브(351)들은 혼합 작동중 용기내에서의 식품의 교반 및 혼합을 도와서 혼합 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리브(351)들 사이의 격리거리 및 깊이는 식품의 특성, 혼합 수단의 형태 및 그러한 혼합 수단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지만, 상기 리브(351)들은 생략될 수 있다.
식품은 동결된 탄산화 식품, 또는 용기내로의 충진시 또는 충진후 이산화탄소가 식품내로 도입되고 그리고나서 개스를 식품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식품이 동결되므로써 준비되는 음료수일 수 있다. 식품 향미료들이 판매 시점에서 즉 혼합 및 공급중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내에 부가될 수 있다. 식품은 택일적으로는 혼합 스테이지에서 공기 부화된다.
혼합 작용에 의해 공기가 식품에 통합되는 효과가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부가되는 공기의 양은 "오버런(overrun)"으로서 알려져 있다. 예컨대, 혼합 작용에 의해, 혼합전 식품 체적의 두 배에 달하는 식품 체적이 얻어질 수 있다. 혼합의 개시시에는 용기가 반만큼만 채워지지만 혼합 작동중에는 용기의 잔여 체적으로부터 식품내로 공기가 통합되므로써 용기가 꽉채워지게 된다. 의도되는 오버런의 정도는 예정되며, 용기내의 식품의 양도 그에 따라 선택된다. 요구되는 오버런을 제공하기 위해, 식품내에 발포제를 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이 고온 식품을 위한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에는, 충진 단계에서 공기가 식품내에 통합되지 않기가 쉽게 된다. 따라서, 공급 장소에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는 식품을 모사하는 탄산화된 식품들이 요청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탄산화가 다른 방식들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로 접촉되었을 때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는 성분들을 용기내에 불연속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탄산개스취입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성분들은 공급 시점에서 부가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들은, 믹싱되었을 때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는, 감귤산 성분 및 탄산 나트륨 성분일 수 있다.
제 때에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도록 하는 하나의 방법은, 하나 또는 두 개 모두의 성분들을 예컨대 예정된 온도에서 용융되는 지방성 식품내에서 캡슐화하는 것이다. 식품들의 방출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기 위한 상호작용이 발생된다. 택일적으로, 용기가 용기내의 장벽층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장벽층은 혼합 공정이 있을 때까지 성분들이 믹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장벽층은 장벽이 붕괴될 때까지 상기 성분들을 격리시키는 지방성 식품층 또는 다른 식품층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용융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캡슐화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캡슐화된 식품이 혼합용 블레이드들의 작용에 의해 붕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택일적인 예로서, 상기 성분들은 혼합 공정 전에, 중에 또는 후에 액체또는 분말의 형태로 용기내로 도입될 수 있다.

Claims (28)

  1. 식품 혼합 용기에 있어서,
    용기내의 식품에 대한 도달을 허용하는 상부 개구부,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직립되고 그 하단부에서 개구부를 갖는 배치 부재, 및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용기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치 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배치 부재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는 회전가능한 혼합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혼합 요소가, 회전시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도록 배열되고 혼합 요소의 상단부에 구동적으로 계합될 수 있는 외부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용기의 상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가 중공형으로 되며, 상기 배치 부재의 외면은 테이퍼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혼합 요소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의 내면이 상기 배치 부재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테이퍼되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가 용기의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용기의 상기 상단부에 근접한 지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격설된 위치들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혼합용 블레이드들을 가지며, 혼합용 블레이드들은 식품상에 작용하여 그 회전중 상기 식품을 혼합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가 중공형으로 되고; 상기 배치 부재의 내면은 비원형 단면 부분을 가져서, 혼합중 상기 혼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용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치 부재내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대응적으로 형상화되는, 지지 부재의 배치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부에의 밀봉 계합을 위해 배열되는 상부 개구부용 폐쇄 수단을 구비하고, 폐쇄 부재는 혼합후 식품에의 도달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가능한 도달 허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가, 그 상단부에서 그리고 용기의 최상단에 근접하여, 상기 구동 수단과의 분리가능한 구동 계합을 위해 배열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배치 부재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혼합 요소와 구동적으로 계합되기 위해 상기 배치 부재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그 상단부에서 상기 혼합 요소와 계합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용기.
  12. 식품 혼합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 혼합중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 구동 모터, 구동 모터로부터의 출력 구동 샤프트, 및 혼합중 용기를 상기 지지체상에 고정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배치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 샤프트가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혼합 요소와 구동적으로 계합가능하고, 구동 모터의 작동시 상기 혼합 요소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가 상기 혼합 요소와의 구동 계합을 위해 상기 배치 부재를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가 상기 혼합 요소와의 구동 계합을 위해 상기 상부 개구부를 관통하여 용기내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 및 용기가 상기 계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직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를 배치시키기 위한 하우징, 및 혼합전에 용기내 식품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용기들로 마이크로파 복사량을 지향시키도록 배치되는 마이크로파 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배치 수단을 포함하고, 배치 수단은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치 요소를 구비하며, 배치 요소는 용기의 배치 부재를 정위치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폐쇄구에 의해 덮여질 수 있는 상부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개구부를 관통하여 용기가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높이들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 발생 수단들, 및 용기로 마이크로파 복사량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측벽들에 배치되는 변압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내에서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과 통신되는 안테나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파 에너지는 상기 안테나 수단으로부터 용기내의 식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20.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용기내에 배치되는 혼합 요소가 용기에 끼워지고, 용기는 식품으로 충전되며, 폐쇄 부재가 상기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의 최상부에 인가되고, 식품은 냉각 및/또는 가열되므로써 요구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처리되며, 용기는 그 내부에서 상기 식품을 혼합하기 위해 구동 수단과 구동 계합되도록 배치되고, 혼합된 식품은 상기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에서 식품을 혼합하기 위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식품이 용기내로 넣어진 후에 저장 온도로 냉각되며 그리고나서 혼합 작동전에 공급 위치에서 마이크로파 에너지에 의해 공급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용기의 내부 구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용기내에서 식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배치 부재내에 배치되는 안테나 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혼합에 의해 믹싱되어 식품내에서 탄산화 작용을 일으키는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식품 혼합 장치에 있어서,
    식품용 용기, 상기 용기내에 배치되는 혼합 요소, 식품을 혼합시키기 위해 용기내에서 상기 혼합 요소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 용기가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용기용 하우징, 및 하우징과 연관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에 의해 혼합 작용을 일으키기 전에 용기내에서 식품을 가열시키기 위해 하우징내로 그리고 하우징내의 용기를 향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지향시키도록 배열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 방출 수단과 연관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에너지 방출 수단이 용기로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지향시키기 위해 다른 높이들 및 다른 위치들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용기의 다른 부분들로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지향시켜 용기내의 식품을 균일하게 가열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측벽들 둘레에서 다른 높이들에 위치되는 다수의 마이크로파 방출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면서 마이크로파 에너지 발생 수단과 통신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용기내의 식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안테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혼합 장치.
KR1020017010847A 1999-02-26 2000-02-28 식품 혼합 장치 KR200101104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04347.3 1999-02-26
GBGB9904347.3A GB9904347D0 (en) 1999-02-26 1999-02-26 Food blending apparatus
GBGB9906650.8A GB9906650D0 (en) 1999-03-24 1999-03-24 Food dispensing apparatus
GB9906650.8 1999-03-24
GB9911874.7 1999-05-22
GBGB9911874.7A GB9911874D0 (en) 1999-05-22 1999-05-22 Food treatment
GB9917075.5 1999-07-22
GBGB9917075.5A GB9917075D0 (en) 1999-07-22 1999-07-22 Blending apparatus
GB0000297A GB0000297D0 (en) 2000-01-08 2000-01-08 Food blending apparatus
GB0000297.2 2000-01-08
PCT/GB2000/000715 WO2000049930A1 (en) 1999-02-26 2000-02-28 Food blen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47A true KR20010110447A (ko) 2001-12-13

Family

ID=2751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47A KR20010110447A (ko) 1999-02-26 2000-02-28 식품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193896A1 (ko)
EP (2) EP1510162A3 (ko)
JP (1) JP2002541882A (ko)
KR (1) KR20010110447A (ko)
AT (1) ATE279141T1 (ko)
AU (1) AU763100B2 (ko)
BR (1) BR0008467A (ko)
CA (1) CA2371999A1 (ko)
DE (1) DE60014862D1 (ko)
MX (1) MXPA01008644A (ko)
WO (1) WO2000049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4304D0 (en) * 2000-10-04 2000-11-15 Mcgill Shane R Food blending apparatus
GB0318584D0 (en) * 2003-08-07 2003-09-10 Mcgill Tech Ltd Mixing apparatus
ITMI20042016A1 (it) * 2004-10-22 2005-01-22 Nemo S R L Miscelatore elettrico per la modifica della consistenza della fase di un prodotto dolciario
WO2008133923A2 (en) * 2007-04-24 2008-11-06 David Nowacek Multimedia prouduct display
US8336731B2 (en) * 2008-11-05 2012-12-25 F'real Food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onally restraining a mixing container
US20110048246A1 (en) * 2009-08-27 2011-03-03 Kuei-Tang Chang Inner pot assembly for hot-air baking oven and hot-air baking oven having such assembly
CA2770371C (en) * 2009-10-16 2014-06-17 F'real Foods, L.L.C. Commercial froz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electronics
CN101799181B (zh) * 2010-04-08 2011-03-23 梁伟研 一种新型电热炉
US9192264B2 (en) 2010-07-27 2015-11-24 Euro-Pro Operating Llc Food processor
US8721164B2 (en) * 2010-07-27 2014-05-13 Euro-Pro Operating Llc Food processor with attachment
NL2005628C2 (nl) * 2010-11-04 2012-05-07 Dairy Innovations B V Halfproduct, product en werktui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milkshake.
EP2819557B1 (en) 2012-02-28 2020-07-29 Gudpod Corp. A nutraceutical compoun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9327958B2 (en) * 2012-08-07 2016-05-03 The Coca-Cola Company Automa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vertical staging
CN203076044U (zh) 2013-02-20 2013-07-24 东莞合力电器制品有限公司 一种食物处理器的切削刀具
US9556916B2 (en) 2013-03-1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and clutch mechanism
US9675101B2 (en) 2013-03-15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US9724655B2 (en) * 2013-03-21 2017-08-08 Lg Chem, Ltd. Container for stirrer
JP6106848B2 (ja) * 2013-04-09 2017-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及びマイクロ波加熱方法
RU2665456C2 (ru) 2013-05-28 2018-08-29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ITTV20130126A1 (it) * 2013-08-02 2015-02-03 Andrea Biasio Contenitore monouso
US9527716B2 (en) 2013-11-22 2016-12-27 Michael J. Klin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US9701530B2 (en) 2013-11-22 2017-07-11 Michael J. Klin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US9633504B2 (en) 2013-11-22 2017-04-25 Michael J Klin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US8960999B1 (en) 2014-03-28 2015-02-24 Gudpod Holdings, Llc System for mixing beverage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JP5883112B2 (ja) * 2014-05-12 2016-03-09 ハッピーコ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上部駆動式搾汁機
US20150320106A1 (en) * 2014-05-12 2015-11-12 Happycall Co., Ltd.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US9750278B2 (en) * 2014-05-12 2017-09-05 Happycall Co., Ltd.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US10657780B1 (en) 2015-01-29 2020-05-19 Transparensee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blending, dispensing, monitoring, and labeling products
US9907319B2 (en) 2015-03-13 2018-03-06 Steak 'n Shake Enterprises, Inc. Dual-axis rotational mixer for food products
US20160262422A1 (en) * 2015-03-13 2016-09-15 Steak 'n Shake Enterprises, Inc. Product-characterization-based food product mixing
US10076124B2 (en) 2015-03-13 2018-09-18 Steak 'n Shake Enterprises, Inc. Rapid-agitation mixer for food products
KR101688886B1 (ko) * 2015-11-30 2017-01-09 이선호 믹서기
WO2017218952A1 (en) 2016-06-16 2017-12-21 Sigma Phase, Corp.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10426180B1 (en) 2016-06-16 2019-10-01 Sigma Phase, Corp.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D843162S1 (en) 2016-09-15 2019-03-19 Gudpod Corp. Pod for a beverage mixing system
FR3057754B1 (fr) * 2016-10-24 2018-11-16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hauffant comportant un panier vapeur
DE202016006814U1 (de) * 2016-11-05 2018-02-06 WIK - ELEKTROGERÄTE Entwicklungs- und Service-GmbH & Co. KG Gerät zur Zubereitung von Milchschaum
US20200229646A1 (en) 2017-07-18 2020-07-23 Blix Ltd. Single-use food preparation container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US10612835B2 (en) 2018-08-17 2020-04-07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US11470855B2 (en) 2018-08-17 2022-10-18 Coldsnap, Corp. Providing single servings of cooled foods and drinks
US10543978B1 (en) 2018-08-17 2020-01-28 Sigma Phase,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US11781808B2 (en) 2019-04-09 2023-10-10 Coldsnap, Corp. Brewing and cooling a beverage
JP6864135B2 (ja) * 2019-05-28 2021-04-28 株式会社ソディック 粉粒体の食品材料を食品加工機械で加工する前に予備加熱する粉粒体予備加熱装置およびその粉粒体予備加熱方法並びに粉粒体の食品材料を食品加工機械で加工する前に予備加熱または予備冷却する粉粒体温度調節装置およびその粉粒体温度調節方法
JP7365039B2 (ja) * 2019-10-01 2023-10-19 株式会社ピーエムティー 撹拌装置および撹拌方法
US11337438B2 (en) 2020-01-15 2022-05-24 Coldsnap, Corp.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TW202202790A (zh) 2020-06-01 2022-01-16 美商寇德斯納普公司 用於快速冷卻食物及飲料的冷凍系統
CA3088183C (en) 2020-07-28 2022-10-04 Richard De Souza Food processor and attachment
US11871765B2 (en) 2020-12-31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20220202247A1 (en) 2020-12-31 2022-06-30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11154163B1 (en) 2020-12-31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D983603S1 (en) 2020-12-31 2023-04-18 Sharkninja Operating Llc Blade for a micro puree machine
USD985334S1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Nested bowl for a micro puree machine
US11641978B2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11925298B2 (en) 2020-12-31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D985331S1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Housing for a micro puree machine
WO2022170323A1 (en) 2021-02-02 2022-08-11 Coldsnap, Corp. Filling aluminum cans aseptically
USD1021533S1 (en) 2022-05-09 2024-04-09 Sharkninja Operating Llc User interface for a micro puree machine
USD1021520S1 (en) 2022-05-09 2024-04-09 Sharkninja Operating Llc Housing for a micro puree machine
US20230371753A1 (en) 2022-05-18 2023-11-23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and blade assembly for a micro puree machine
US20230371752A1 (en) 2022-05-18 2023-11-23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with partial depth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3023A (en) * 1916-02-29 1917-07-10 Henry G Buddecke Mixing-machine for salad-dressings.
US1725643A (en) * 1928-11-08 1929-08-20 Otis V Jones Churn
US1755813A (en) * 1929-01-21 1930-04-22 Nineteen Hundred Corp Churn
US2858861A (en) * 1951-11-13 1958-11-04 Arthur I Appleton Fruit reamer and strainer
US2932437A (en) * 1957-03-14 1960-04-12 Sealright Oswego Falls Corp Cup
US3368800A (en) * 1965-04-13 1968-02-13 Vita Mix Corp Blender
US3780536A (en) * 1973-01-26 1973-12-25 Apl Corp Ice cream maker
GB8406130D0 (en) * 1984-03-08 1984-04-11 Thorn Emi Domestic Appliances Food processing arrangement
US4904834A (en) * 1987-10-16 1990-02-27 Raytheon Company Mixing attachment for microwave oven turntables
US4854718A (en) 1988-06-09 1989-08-08 Wang Yen Flui Manual blenders
US4959517A (en) * 1989-01-12 1990-09-25 Jump Janeice A Microwave cooking assembly of a mixing bowl, lockable top assembly, supporting a stirrer power assembly
GB2230409A (en) * 1989-03-29 1990-10-17 Winston George Burton Food stirrer for microwave oven
WO1992006600A1 (en) * 1990-10-10 1992-04-30 Black Gary W Sr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US5219419A (en) * 1992-11-02 1993-06-15 Packer Plastics, Incorporated Stackable mug
GB9722711D0 (en) 1997-10-29 1997-12-24 Mcgill Shane R Food blending apparatus
US6811303B2 (en) * 2002-05-17 2004-11-02 K-Tec, Inc. Blending apparatus with articulable motor-actuating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6735A1 (en) 2001-11-28
DE60014862D1 (de) 2004-11-18
BR0008467A (pt) 2002-09-24
AU2817500A (en) 2000-09-14
JP2002541882A (ja) 2002-12-10
EP1510162A3 (en) 2006-06-07
CA2371999A1 (en) 2000-08-31
AU763100B2 (en) 2003-07-10
MXPA01008644A (es) 2002-07-02
EP1510162A2 (en) 2005-03-02
US20050193896A1 (en) 2005-09-08
EP1156735B1 (en) 2004-10-13
ATE279141T1 (de) 2004-10-15
WO2000049930A1 (en) 200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0447A (ko) 식품 혼합 장치
JP4255479B2 (ja) 食品の混合方法および食品混合装置
US11096518B2 (en) Systems for controlled heating and agitation for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creation
US6338569B1 (en) Food blending apparatus
US7168845B2 (en) Food blending apparatus
JP2021121321A (ja) 制御された液体食品または飲料製品作製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MXPA00004034A (ko)
CZ20001470A3 (cs) Potravinářské míchací zařízení
JP2001178430A (ja) カップ容器に入った食品の加熱殺菌装置に使用するカッ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