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645A -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 Google Patents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645A
KR20010109645A KR1020000029840A KR20000029840A KR20010109645A KR 20010109645 A KR20010109645 A KR 20010109645A KR 1020000029840 A KR1020000029840 A KR 1020000029840A KR 20000029840 A KR20000029840 A KR 20000029840A KR 20010109645 A KR20010109645 A KR 20010109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ting
clock
tclk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9197B1 (en
Inventor
박낙규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2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197B1/en
Publication of KR2001010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1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39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using pipelining techniques, i.e. using latches between functional memory parts, e.g. row/column decoders, I/O buffers, sense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 탑 영역부와 메모리 바텀 영역부로 구성된 메모리 수단과, 상기 메모리 탑 영역부 및 메모리 바텀 영역부를 각각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파이프 라인 탑 영역수단 및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수단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 명령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된 제1 클럭 신호와, 라이트 명령시 외부에서 입력된 라이트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된 제2 클럭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딜레이 락 루프 수단과,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탑 또는 바텀 뱅크를 선택하는 뱅크 선택 신호와 데이타 출력 시프트부를 안정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선택된 탑 또는 바텀 뱅크로 엑세스 하고자 하는 클럭 경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파이프 라인 탑 영역수단 및 상기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수단으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탑 또는 바텀 뱅크중 엑세스하는 부분의 클럭 경로만 동작시켜 파워 소모를 줄이고, 각 부분에 대한 클럭 경로를 달리하여 RC 부하를 줄여 출력단의 드라이버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for a Rambus DRAM, comprising: memory means comprising a memory top region portion and a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and pipeline top region means and pipe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memory top region portion and the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respectively. Inputting the first clock signal toggled by a line bottom area means, a signal for controlling to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means to the outside during a read command, and write data input externally during the write command to the memory means. A delay lock loop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clock signal toggled by a control signal, and a bank selection signal and a data output for selecting a top or bottom bank, the first clock signal and the second clock signal being input; Access to top or bottom bank selected by signal to stabilize shift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only a desired clock path to be operated to the pipeline top region means and the pipeline bottom region means, so that only a clock path of an access portion of the top or bottom bank is accessed. Opera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reduces the RC load by varying the clock path for each part, thereby reducing the driver size of the output stage.

Description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본 발명은 램버스(Rambus) 디램(DRAM)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top) 또는 바텀(bottom) 뱅크(bank)중 엑세스(access)하는 부분의 클럭 경로(path)만 동작시켜 파워 소모를 줄이고, 각 부분에 대한 클럭 경로를 달리하여 RC 부하(load)를 줄여 출력단의 드라이버 사이즈(size)를 줄인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a Rambus DRAM. In particular, only a clock path of an access portion of a top or bottom bank is ope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which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reduces the RC load by changing the clock path for each part.

일반적으로, 램버스 디램은 패킷(packet) 형태의 데이타 및 콘트롤 신호를 전송하는 패킷 구동형 메모리 소자로서, 램버스 채널(channel) 상에 다수개의 램버스 디램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램버스 디램은 램버스 채널을 통해 하나의 램버스 메모리 콘트롤러(controller)에 의해 제어를 받게 된다. 램버스 디램은 크게 디램(DRAM) 코어(Core) 영역, 램버스 인터페이스(Interface) 로직(Logic) 영역, 딜레이 락 루프(Delay Locked Loop ; DLL) 및 파워 공급의 아날로그 영역으로 크게 나누어진다.In general, a rambus DRAM is a packet-driven memory device that transmits a packet-type data and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rambus DRAMs are connected on a rambus channel. Each of these Rambus DRAMs is controlled by one Rambus memory controller through the Rambus channel. Rambus DRAM is largely divided into DRAM core area, Rambus Interface logic area, Delay Locked Loop (DLL) and analog area of power supply.

램버스 디램에서는 디램 코어가 외부 소자와 데이타 통신을 하려면 램버스 채널 인터페이스(일종의 프로토콜 머신)을 통해야만 한다. 따라서 디램 코어와 램버스 채널 인터페이스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 로직이 필요하다. 이 인터페이스 로직은 디램 코어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어드레스 라인을 갖고 데이타 버스를 통해 외부 소자들과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In Rambus DRAM, the DRAM core must go through the Rambus channel interface (a protocol machine) to communicate data with external devices. Therefore, interface logic is needed to connect the DRAM core to the Rambus channel interface. The interface logic generates variou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DRAM core, has an address line input from outside, and exchanges data with external devices via a data bu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sclk, tclk 경로 회로의 블럭도로서, I 스탠다드영역부(2), C 커스텀 영역부(3),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 메모리 탑 영역부(7), 메모리 바텀 영역부(8)로 구성된다. 상기 C 커스텀 영역부(3)는 DLL 회로부(1)와 sclk, tclk 버퍼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clk and tclk path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ncludes an I standard region portion 2, a C custom region portion 3, a C pipeline top region portion 5, and a C pipeline bottom region portion ( 6) a memory top region portion 7 and a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8; The C custom region portion 3 includes a DLL circuit portion 1, a sclk, and a tclk buffer portion 4.

상기 C 커스텀(Custom) 영역부(3)는 본딩 패드(Bonding Pad), 데이타 출력 버퍼, 데이타 입력 버퍼, 컨트롤 출력 버퍼, 컨트롤 입력 버퍼, DLL, 클럭 드라이버 및 커런트 컨트롤 로직 회로 등의 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The C custom area unit 3 includes circuits such as a bonding pad, a data output buffer, a data input buffer, a control output buffer, a control input buffer, a DLL, a clock driver, and a current control logic circuit. It consists.

상기 I 스탠다드(Standard) 영역부(2)는 스테이트(State) 머신(Machine) 로직, 타이밍 컨트롤 및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The I standard area section 2 includes state machine logic, timing control, registers, and the like.

여기서, tclk 신호는 리드 명령이 인가될 경우 내부 리드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클럭 신호이며, sclk 신호는 라이트 명령이 인가될 경우 외부에서 입력된 라이트 데이타를 내부로 입력하기 위한 클럭 신호이다.Here, the tclk signal is a clock signal for externally outputting internal read data when a read command is applied, and the sclk signal is a clock signal for internally inputting write data input externally when a write command is applied.

종래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L 회로부(1)에서 발생된 etclk, esclk 신호를 tclk, sclk 버퍼부(4)에서 버퍼링하여 C 커스텀 영역부(3),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 및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의 클럭 신호로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buffers the etclk and esclk signals generated by the DLL circuit unit 1 in the tclk and sclk buffer units 4 so as to buffer the C custom region unit 3 and the C pipelin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used together as the clock signal of the top region part 5 and the C pipeline bottom region part 6. As shown in FIG.

도 2는 종래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에서 사용된 tclk, sclk 버퍼부(4)의 회로도로서, 상기 DLL 회로부(1)에서 발생된 etclk, esclk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하여 버퍼링한 tclk, sclk 신호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직렬연결된 2개의 인버터(INV)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clk and sclk buffer units 4 used in the conventional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and the tclk and sclk signals buffered by inputting the etclk and esclk signals generated by the DLL circuit unit 1, respectively. It consists of two INV circuits connected in series for output.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에 있어서는, 상기 tclk, sclk 버퍼부(4)의 출력 신호인 tclk, sclk 신호를 공통 입력하는 C 커스텀 영역부(3),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의 내부에 있는 많은 소자가 클럭 신호(clk)와 함께 연결되어 RC 부하가 상당히 큰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엑세스 하는 부분에 상관없이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와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에 tclk, sclk 신호가 함께 동작하게되어 파워 소모가 불필요하게 큰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ambus DRAM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 custom region portion 3 and the C pipeline top that commonly input the tclk and sclk signals, which are output signals of the tclk and sclk buffer portions 4, are used. Many elements inside the region 5 and the C pipeline bottom region 6 are connected together with the clock signal clk, causing a significant RC load. Since the tclk and sclk signals operate together at the top region 5 and the C pipeline bottom region 6, power consumption is unnecessar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top) 또는 바텀(bottom) 뱅크(bank)중 엑세스(access)하는 부분의 클럭 경로만 동작시켜 파워 소모를 줄이고, 각 부분에 대한 클럭 경로를 달리하여 RC 부하(load)를 줄여 출력단의 드라이버 사이즈(size)를 줄인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operating only a clock path of an access part of a top or bottom ban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that reduces the RC load and reduces the driver size of the output stage by changing the clock path for each par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램버스 디램의 tclk, sclk 경로를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clk, sclk path of the Rambus DR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clk, sclk 버퍼부의 회로구성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tclk and sclk buffer unit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 및 tclk, sclk 경로를 나타낸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and a tclk and sclk path of a Rambus 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sclk 제어 버퍼부의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of a sclk control buff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sclk 제어 버퍼부의 파형도5A to 5B are waveform diagrams of the sclk control buff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tclk 제어 버퍼부의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of a tclk control buff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tclk 제어 버퍼부의 파형도7A to 7E are waveform diagrams of the tclk control buff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tclk 제어 버퍼부의 다른 회로도8 is another circuit diagram of a tclk control buffe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DLL 회로부 2 : I 스탠다드 영역부1: DLL circuit part 2: I standard area part

3 : C 커스텀 영역부 4, 14 : tclk, sclk 제어 버퍼부3: C custom area part 4, 14: tclk, sclk control buffer part

5 :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 6 :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5: C pipeline top region portion 6: C pipeline bottom region portion

7 : 메모리 탑 영역부 8 : 메모리 바텀 영역부7: memory top region portion 8: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the Rambus D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 탑 영역부와 메모리 바텀 영역부로 구성된 메모리 수단과,Memory means comprising a memory top region portion and a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상기 메모리 탑 영역부 및 메모리 바텀 영역부를 각각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파이프 라인 탑 영역수단 및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수단과,Pipeline top region means and pipeline bottom region mean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memory top region portion and the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respectively;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 명령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된 제1 클럭 신호와, 라이트 명령시 외부에서 입력된 라이트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된 제2 클럭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딜레이 락 루프 수단과,Toggle by a first clock signal toggled by a signal that controls to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means to the outside during a read command, and by a signal that controls input of externally written write data to the memory means during a write command. Delay lock loop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ringed clock signal, respectively;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탑 또는 바텀 뱅크를 선택하는 뱅크 선택 신호와 데이타 출력 시프트부를 안정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선택된 탑 또는 바텀 뱅크로 엑세스 하고자 하는 클럭 경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파이프 라인 탑 영역수단 및 상기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수단으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lock signal and the second clock signal are input to control only a clock path to access the top or bottom bank selected by a bank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top or bottom bank and a signal for stabilizing a data output shift unit. And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pipeline top region means and the pipeline bottom region mea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 라이트 동작시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탑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탑 뱅크로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바텀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바텀 뱅크로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인가하도록 논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pplies the second clock signal to the selected top bank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top bank during the write operation, and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bottom bank. And logic to apply the second clock signal to the selected bottom bank.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 리드 동작시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탑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탑 뱅크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바텀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바텀 뱅크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인가하도록 논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pplies the first clock signal to the selected top bank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top bank during the read operation, and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bottom bank to the selected bottom bank. And logic configured to apply the first clock signa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all the drawings for demonstrating an embodiment, the thing with the same function uses the same code | symbol,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sclk, tclk 경로 회로의 블럭도로서, I 스탠다드 영역부(2), C 커스텀 영역부(3),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 메모리 탑 영역부(7), 메모리 바텀 영역부(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C 커스텀 영역부(3)는 DLL 회로부(1)와 sclk, tclk 제어 버퍼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sclk and tclk path circu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n I standard region portion 2, a C custom region portion 3, a C pipeline top region portion 5, and a C pipeline bottom region portion ( 6), a memory top region portion 7 and a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8 are provided. The C custom region unit 3 includes a DLL circuit unit 1, a sclk and a tclk control buffer unit 14.

상기 sclk, tclk 제어 버퍼부(14)는 상기 DLL 회로부(1)에서 sclk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토글된 esclk 신호 및 tclk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토글된 etclk 신호와, 상기 C 커스텀 영역부(3)로 부터의 탑 또는 바텀 뱅크를 선택하는 신호(CB<4>)와 상기 I 스탠다드 영역부(2)로 부터의 'tclk_src_b'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여, 탑 또는 바텀 뱅크에 따라 해당 클럭 경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tclk_top' 신호와 'sclk_top' 신호를 상기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 및 상기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로 각각 출력한다.The sclk and tclk control buffers 14 are esclk signals toggled by the sclk enable signal and etclk signals toggled by the tclk enable signal and the C custom region unit 3 by the DLL circuit unit 1. Inputs the signal CB <4> for selecting the top or bottom bank and the 'tclk_src_b' signal from the I standard region unit 2 so as to operate only the corresponding clock path according to the top or bottom bank. The controlling 'tclk_top' signal and the 'sclk_top' signal are output to the C pipeline top region 5 and the C pipeline bottom region 6, respectively.

본 발명은 기존의 tclk, sclk 경로(도 1)의 tclk, sclk 버퍼부(4) 대신에 tclk, sclk 제어 버퍼부(14)로 구성하였고, tclk, sclk 제어 버퍼부(14)의 구성은 하기에서 설명할 도 4, 도 6, 도 8과 같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tclk and the sclk control buffer unit 14 instead of the tclk and the sclk buffer unit 4 of the existing tclk and the sclk path (FIG. 1),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clk and sclk control buffer unit 14 is as follows. 4, 6, and 8 to be described in the configuration.

먼저, 도 4는 도 3에 도시된 tclk, sclk 제어 버퍼부(14)의 sclk 제어 버퍼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CB<4> 신호와 es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NAND 게이트(NA1)와, 상기 제1 NAND 게이트(NA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sclk_top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인버터(INV5)와, 상기 CB<4> 신호와 es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OR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NOR 게이트(NR1)와, 상기 제1 NOR 게이트(NR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sclk_bot 신호를출력하는 제6 인버터(INV6)와, 상기 esclk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sclk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접속된 제7 및 제8 인버터(INV7, INV8)로 구성된다.First, FIG. 4 is a circuit diagram of the sclk control buffer unit of the tclk and sclk control buffer unit 14 shown in FIG. 3. The first circuit outputs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a CB <4> signal and an esclk signal. NOR operation was performed by inputting the NAND gate NA1, the fifth inverter INV5 which i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NAND gate NA1 to output the sclk_top signal, and the CB <4> signal and the esclk signal as inputs. A first NOR gate NR1 for outputting a signal, a sixth inverter INV6 for outputting a sclk_bot signal by i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NOR gate NR1, and a delay after a predetermined time by inputting the esclk signal and the seventh and eighth inverters INV7 and INV8 connected in series for outputting a sclk signal.

그러면, 본 발명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sclk 신호와 tclk 신호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clk signal and the tclk signa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clk 신호는 DLL 회로부(1)에서 sclk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되고, rclk 신호의 (a) 부분에서 탑 또는 바텀 뱅크를 선택하는 신호(이하, 'CB<4> 신호'라 칭함)가 래치된다.As shown in Fig. 5A, the esclk signal is toggled by the sclk enable signal in the DLL circuit unit 1, and a signal for selecting the top or bottom bank in the portion (a) of the rclk signal (hereinafter, 'CB <4'). > Signal ') is latched.

상기 CB<4> 신호가 탑 뱅크 선택 명령인 '하이'이면 sclk_top만 esclk를 받아들이고, CB<4>가 바텀 뱅크 선택 명령인 '로우'이면 sclk_bot만 esclk에 동기되어 동작한다.If the CB <4> signal is 'high' as the top bank selection command, only sclk_top receives esclk. If the CB <4> is 'low' as the bottom bank selection command, only sclk_bot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esclk.

도 5b는 탑 뱅크를 계속 선택하고 있는 경우(CB<4> 신호 = '하이' 상태)를, 도 5c는 바텀 뱅크를 계속 선택하고 있는 경우(CB<4> 신호 = '로우' 상태)를, 도 5d는 바텀에서 탑으로 변경했을 경우(CB<4> 신호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전이된 상태)를, 도 5e는 탑에서 바텀으로 변경했을 경우(CB<4> 신호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전이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5B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top bank is continuously selected (CB <4> signal = 'high' state), and FIG. 5C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bottom bank is continuously selected (CB <4> signal = 'low' state). FIG. 5D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ignal is chang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CB <4> signal is transitioned from the 'low' state to the 'high' state), and FIG. 5E illustrates the case in which the signal is chang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CB <4> The state transitioned from the "high" state to the "low" state.

도 6은 도 3에 도시된 tclk, sclk 제어 버퍼부(14)의 tclk 제어 버퍼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6 shows a circuit diagram of the tclk control buffer unit of the tclk and sclk control buffer unit 14 shown in FIG. 3.

상기 tclk 제어 버퍼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CB<4>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9 인버터(INV9)와, 상기 제9 인버터(INV9)의 출력 신호와 tclk_src_b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NAND 게이트(NA2)와, 상기 제2 NAND게이트(NA2)의 출력 신호와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NAND 게이트(NA3)와, 상기 CB<4> 신호와 상기 tclk_src_b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NAND 게이트(NA4)와, 상기 제4 NAND 게이트(NA4)의 출력 신호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5 NAND 게이트(NA5)와, 상기 제3 NAND 게이트(NA3)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top 신호를 출력하는 제10 인버터(INV10)와, 상기 제5 NAND 게이트(NA5)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bot 신호를 출력하는 제11 인버터(INV11)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tclk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접속된 제12 및 제13 인버터(INV12, INV13)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clk control buffer unit outputs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a ninth inverter INV9 for inverting the CB <4> signal, an output signal of the ninth inverter INV9, and a tclk_src_b signal. A second NAND gate NA2, a third NAND gate NA3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NAND gate NA2 and the etclk signal, and the CB <4> signal; A fourth NAND gate NA4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tclk_src_b signal, and an output signal for NAND operation b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h NAND gate NA4 and the etclk signal as an input; 5th NAND gate NA5, the 10th inverter INV10 which i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3rd NAND gate NA3, and outputs the tclk_top signal, and the tclk_bot by i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5th NAND gate NA5 An eleventh inverter INV11 for outputting a signal, and the e It is composed of serially connected twelfth and thirteenth inverters INV12 and INV13 which input a tclk signal and output a tclk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상기 tclk 신호는 탑 또는 바텀 뱅크를 선택하는 CB<4> 신호와 디바이스 ID가 일치되면 '로우'로 인에이블되고, 이 구간 동안 C 파이프 라인 탑 영역부(5)와 C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부(6)의 내부에 있는 데이타 출력 시프트 블럭을 안정화시키는 'tclk_src_b' 신호를 이용하여 엑세스 하고자 하는 부분의 tclk 경로만을 동작시킨다.The tclk signal is enabled as 'low' when the CB <4> signal selecting the top or bottom bank and the device ID match. During this period, the C pipeline top region 5 and the C pipeline bottom region portion ( Using the 'tclk_src_b' signal to stabilize the data output shift block inside 6), only the tclk path of the part to be accessed is operated.

디바이스 ID가 일치되면 '로우'로 인에이블되는 'tclk_src_b' 신호는 CB<4> 신호에 상관없이 도 7a 내지 도 7e의 rclk 신호의 (a)와 (c) 사이에서는 tclk_top, tclk_bot를 동작시켜야 하고, rclk 신호의 (b)에서 CB<4> 신호를 래치한 후 'tclk_src_b'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구간(c) 이후에 CB<4> 신호가 '하이'인지 '로우'인지에 따라 'tclk_top' 신호 또는 'tclk_bot' 신호만 etclk 신호에 동기하여 토글시킨다.When the device ID is matched, the 'tclk_src_b' signal enabled as 'low' should operate tclk_top and tclk_bot between (a) and (c) of the rclk signals of FIGS. 7A to 7E regardless of the CB <4> signal. After latching the CB <4> signal in (b) of the rclk signal, 'tclk_top' depending on whether the CB <4> signal is 'high' or 'low' after the period (c) in which the 'tclk_src_b' signal is disabled. Toggles only the signal or the 'tclk_bot'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tclk signal.

도 8은 도 3에 도시된 tclk, sclk 제어 버퍼부(14)의 tclk 제어 버퍼부의 다른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tclk_src_b 신호가 RC 부하가 길어 버퍼링이 필요한 경우로서 'tclk_src_b' 신호를 반전시켜 tclk_src 신호를 이용한 것이다.8 shows another circuit diagram of the tclk control buffer unit of the tclk and sclk control buffer unit 14 shown in FIG. It is used.

상기 tclk 제어 버퍼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CB<4> 신호와 tclk_src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OR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NOR 게이트(NR2)와, 상기 제2 NOR 게이트(NR2)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4 인버터(INV14)와, 상기 제14 인버터(INV14)의 출력 신호와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6 NAND 게이트(NA6)와, 상기 CB<4> 신호와 상기 tclk_src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6 인버터(INV16)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7 NAND 게이트(NA7)와, 상기 제7 NAND 게이트(NA7)의 출력 신호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8 NAND 게이트(NA8)와, 상기 제6 NAND 게이트(NA6)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top 신호를 출력하는 제15 인버터(INV15)와, 상기 제8 NAND 게이트(NA8)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bot 신호를 출력하는 제17 인버터(INV17)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tclk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접속된 제18 및 제19 인버터(INV18, INV19)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clk control buffer unit outputs a second NOR gate NR2 for outputting a NOR operation by inputting a CB <4> signal and a tclk_src signal, and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NOR gate NR2. A sixteenth inverter INV14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sixth NAND gate NA6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eenth inverter INV14 and the etclk signal, and the CB <4>; A seventh NAND gate NA7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xteenth inverter INV16 that inverts the signal and the tclk_src signal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seventh NAND gate NA7; And an eighth NAND gate NA8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etclk signal, and a fifteenth inverter INV15 for outputting a tclk_top signal by i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xth NAND gate NA6; Half the output signal of the eighth NAND gate NA8; And a seventeenth inverter (INV17) for transmitting the tclk_bot signal and a series connected eighteenth and nineteenth inverters (INV18, INV19) for inputting the etclk signal and outputting the tclk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에 의하면, 각 블럭에 대한 클럭 경로를 달리하여 RC 부하를 줄여 드라이버단의 사이즈를 줄이고, 탑 또는 바텀 뱅크에 따라 해당 클럭 경로만 동작하게끔 하여 파워 소모를 최소화하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the Rambus 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river stage is reduced by reducing the RC load by changing the clock path for each block, and only the corresponding clock path operates according to the top or bottom bank. This minimizes power consump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seen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something to do.

Claims (6)

램버스 디램에 있어서,For Rambus DRAM, 메모리 탑 영역부와 메모리 바텀 영역부로 구성된 메모리 수단과,Memory means comprising a memory top region portion and a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상기 메모리 탑 영역부 및 메모리 바텀 영역부를 각각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파이프 라인 탑 영역수단 및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수단과,Pipeline top region means and pipeline bottom region mean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memory top region portion and the memory bottom region portion, respectively;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 명령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된 제1 클럭 신호와, 라이트 명령시 외부에서 입력된 라이트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 토글링된 제2 클럭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딜레이 락 루프 수단과,Toggle by a first clock signal toggled by a signal that controls to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means to the outside during a read command, and by a signal that controls input of externally written write data to the memory means during a write command. Delay lock loop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ringed clock signal, respectively;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제2 클럭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탑 또는 바텀 뱅크를 선택하는 뱅크 선택 신호와 데이타 출력 시프트부를 안정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선택된 탑 또는 바텀 뱅크로 엑세스 하고자 하는 클럭 경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파이프 라인 탑 영역수단 및 상기 파이프 라인 바텀 영역수단으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The first clock signal and the second clock signal are input to control only a clock path to access the top or bottom bank selected by a bank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top or bottom bank and a signal for stabilizing a data output shift unit.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to said pipeline top region means and said pipeline bottom region mean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라이트 동작시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탑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탑 뱅크로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바텀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바텀 뱅크로 상기 제2 클럭 신호를 인가하도록 논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In the write operation,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top bank, the second clock signal is applied to the selected top bank, and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bottom bank, the second clock signal is applied to the selected bottom bank. The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gic configura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CB<4> 신호와 es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NAND 게이트(NA1)와, 상기 제1 NAND 게이트(NA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sclk_top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인버터(INV5)와, 상기 CB<4> 신호와 es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OR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NOR 게이트(NR1)와, 상기 제1 NOR 게이트(NR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sclk_bot 신호를 출력하는 제6 인버터(INV6)와, 상기 esclk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sclk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접속된 제7 및 제8 인버터(INV7, INV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A first NAND gate NA1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a CB <4> signal and an esclk signal, and a fifth inverter for i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NAND gate NA1 to output a sclk_top signal (INV5), the first NOR gate NR1 for outputting the NOR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CB <4> signal and the esclk signal, and the sclk_bot signal by i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NOR gate NR1. The sixth inverter (INV6) for outputting the clock of Rambus DR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eventh and eighth inverters (INV7, INV8) connected in series to output the sclk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by inputting the esclk signal Control buffer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리드 동작시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탑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탑 뱅크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뱅크선택 신호가 바텀 뱅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바텀 뱅크로 상기 제1 클럭 신호를 인가하도록 논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During the read operation,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top bank, the first clock signal is applied to the selected top bank, and when the bank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bottom bank, the first clock signal is applied to the selected bottom bank. The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gic configura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CB<4>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9 인버터(INV9)와, 상기 제9 인버터(INV9)의 출력 신호와 tclk_src_b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NAND 게이트(NA2)와, 상기 제2 NAND 게이트(NA2)의 출력 신호와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NAND 게이트(NA3)와, 상기 CB<4> 신호와 상기 tclk_src_b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4 NAND 게이트(NA4)와, 상기 제4 NAND 게이트(NA4)의 출력 신호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5 NAND 게이트(NA5)와, 상기 제3 NAND 게이트(NA3)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top 신호를 출력하는 제10 인버터(INV10)와, 상기 제5 NAND 게이트(NA5)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bot 신호를 출력하는 제11 인버터(INV11)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tclk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접속된 제12 및 제13 인버터(INV12, INV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A ninth inverter INV9 for inverting the CB <4> signal, a second NAND gate NA2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ninth inverter INV9 and the tclk_src_b signal, and the A third NAND gate NA3 for outputting a NAND calcul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NAND gate NA2 and the etclk signal, and the CB <4> signal and the tclk_src_b signal as inputs. A fourth NAND gate NA4 for outputting a signal; a fifth NAND gate NA5 for outputting a signal obtained by NAND operation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h NAND gate NA4 and the etclk signal as input; A tenth inverter INV10 that i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NAND gate NA3 to output the tclk_top signal, and an eleventh inverter INV11 that outputs the tclk_bot signal by i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fth NAND gate NA5. Tclk after a certain time delay by inputting the etclk signal. A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for a Rambus DRAM, comprising: a twelfth and thirteenth inverters INV12 and INV13 connected in series for outputting a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신호 발생 수단은,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CB<4> 신호와 tclk_src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OR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NOR 게이트(NR2)와, 상기 제2 NOR 게이트(NR2)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4 인버터(INV14)와, 상기 제14 인버터(INV14)의 출력 신호와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6 NAND 게이트(NA6)와, 상기 CB<4> 신호와 상기 tclk_src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6 인버터(INV16)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7 NAND 게이트(NA7)와, 상기 제7 NAND 게이트(NA7)의 출력 신호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NAND 연산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8 NAND 게이트(NA8)와, 상기 제6 NAND 게이트(NA6)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top 신호를 출력하는 제15 인버터(INV15)와, 상기 제8 NAND 게이트(NA8)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tclk_bot 신호를 출력하는 제17 인버터(INV17)와, 상기 etclk 신호를 입력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tclk 신호를 출력하는 직렬접속된 제18 및 제19 인버터(INV18, INV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버스 디램의 클럭 제어 버퍼 회로.A second NOR gate NR2 for outputting a NOR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a CB <4> signal and a tclk_src signal, and a fourteenth inverter INV14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NOR gate NR2. And a sixth NAND gate NA6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eenth inverter INV14 and the etclk signal, and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CB <4> signal and the tclk_src signal. A seventh NAND gate NA7 for outputting a NAND operation signal by in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xteenth inverter INV16, an output signal of the seventh NAND gate NA7, and the etclk signal as inputs; Of the eighth NAND gate NA8 for outputting one signal, the fifteenth inverter INV15 for i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xth NAND gate NA6, and outputting the tclk_top signal, and the eighth NAND gate NA8. 17th inverter for inverting output signal to output tclk_bot signal And an INV17 and serially connected eighteenth and nineteenth inverters (INV18 and INV19) for inputting the etclk signal and outputting a tclk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KR1020000029840A 2000-06-01 2000-06-01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KR100639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40A KR100639197B1 (en) 2000-06-01 2000-06-01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40A KR100639197B1 (en) 2000-06-01 2000-06-01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645A true KR20010109645A (en) 2001-12-12
KR100639197B1 KR100639197B1 (en) 2006-10-31

Family

ID=4175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40A KR100639197B1 (en) 2000-06-01 2000-06-01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1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508B1 (en) * 2001-05-25 2003-10-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Circuit for control bank of rambus d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508B1 (en) * 2001-05-25 2003-10-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Circuit for control bank of rambus d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197B1 (en)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US5999458A (en) Latch circuit, data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circuits
KR100406543B1 (en) Pipe-latch control circuit in synchronous memory
KR100543915B1 (en) Data input circuit in memory device
US6987704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put-data controller advantageous to low power and high frequency
JP456178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53412B1 (en) Command decode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56178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10048248A (en) Data Output Device of DDR SDRAM
KR20020058931A (en) Variable control apparatus of data input/output and its method
KR2015005141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24718B1 (en) Internal clock generator for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639197B1 (en) Clock control buffer circuit of rambus dram
KR100712546B1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write data mask signal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98795B1 (en) Internal address generator and operation method
KR100870426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ternal-control-signal generator
KR20030039179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capable of accomplishing mode change between single-ended strobe mode and differential strobe mode
KR1004727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nk refresh
US20070115732A1 (en) Input circuit for memory device
KR100967105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ode-register and method for setting mode-register
US737604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read and write method of the same
KR100403343B1 (en) Rambus dram
KR100665847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recharg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precharge therefore
KR100933666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21047B1 (en) Pipe latch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