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593A -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593A
KR20010108593A KR1020000029160A KR20000029160A KR20010108593A KR 20010108593 A KR20010108593 A KR 20010108593A KR 1020000029160 A KR1020000029160 A KR 1020000029160A KR 20000029160 A KR20000029160 A KR 20000029160A KR 20010108593 A KR20010108593 A KR 20010108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mbine
key
vowe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621B1 (ko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김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한 filed Critical 김종한
Priority to KR102000002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2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입력키에 입력되는 장단신호로부터 한글을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는 4개의 입력키로 구성된 모음 입력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키를 검출함으로써 조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를 판단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생성된 문자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한글 입출력 방법은 한글 모음 입력부에 입력된 키입력을 검출함으로써 조작된 모음 입력키 및 장신호 또는 단신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조작된 모음 입력키 및 장신호 또는 단신호에 대응하는 모음을 소정의 모음 코드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위 단계에서 결정된 모음을 상기 모음 입력 직전에 입력된 문자와 결합하여 출력부에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Korean}
본 발명은 한글을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입력키에 입력되는 장단신호로부터 한글을 모음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정보 통신 단말기, 팜탑 등의 컴퓨터는 점점 소형화, 경량화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하여 많은 키를 구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구비하는 입력키의 숫자도 최소화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ㅣ, ㅡ, ㆍ 의 세 모음을 이용하여 모든 모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ㅣ, ㅡ, ㆍ 의 3개의 키만으로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어 편리하였으나, ㅒ, ㅖ, ㅘ, ㅝ, ㅙ, ㅞ 등의 모음을 표현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모음 표현을 위하여 4회 내지는 5회의 키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21개의 모음을 보다 적은 회수의 직관적이고 쉬운 키조작을 통해 표현해 낼 수 있는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1개의 한글 모음을 4개의 입력키만을 통하여 입력하되 키 조작 회수를 최다 3회 이내로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한글 입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2는 4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3은 4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한글 입출력 방법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 방법에 의한 합성 모음 생성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모음 합성 코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글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4개의 입력키로 구성된 모음 입력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키를 검출함으로써 조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를 판단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생성된 문자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중 제어부는, 조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 별로 모음을 매칭시키는 모음코드, 입력된 모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 직전에 입력된 모음 및 모음들이 결합하여 합성되는 모음을 매칭시키는 모음 합성코드, 입력된 모음 직전에 입력된 문자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장치, 설정된 규칙에따라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출력 방법은, 한글 모음 입력부에 입력된 키입력을 검출함으로써 조작된 모음 입력키 및 장신호 또는 단신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조작된 모음 입력키 및 장신호 또는 단신호에 대응하는 모음을 소정의 모음 코드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위 단계에서 결정된 모음을 상기 모음 입력 직전에 입력된 문자와 결합하여 출력부에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한글 입출력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출력 장치는 한글 입력부 (100), 제어부 (110), 출력부 (130)를 포함한다.
상기 한글 입력부(100)는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4개의 입력키(102)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키가 조작되면 그 신호는 입력키 스캐너(104)를 통하여 제어부로 전송된다. 4개의 입력키는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입력키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기능이 명확히 할당되어 있기만 하면 충분하며 다양한 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 (11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112), RAM (Random Access Memory, 임시 기억 장치 , 114), 프로그램 메모리(116), 코드저장부 (120)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 저장부 (120)는 모음 코드(122) 와 모음 합성 코드 (124)로 구성된다.
상기 모음 코드 (120)는 주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 별로 모음을 매칭시키는 테이블을 저장하며 4개의 입력키 중 제 1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제1키의 장신호 입력은 "ㅏ"로, 제2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2키의 장신호 입력은 "ㅜ"로, 제 3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제3키의 장신호 입력은 "ㅓ"로, 제4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4키의 장신호 입력은 "ㅗ"로 매칭시킨다.
상기 모음 합성 코드 (124)는 입력된 모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 직전에 입력된 모음 및 모음들이 결합하여 합성되는 모음을 매칭시키는 테이블을 저장하며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들 중에서 ㅏ 와 ㅏ 가 결합하면 ㅑ, ㅏ 와 ㅣ 가 결합하면 ㅐ, ㅏ 와 ㅏ 와 ㅣ가 결합하면 ㅒ, ㅜ와 ㅜ가 결합하면 ㅠ, ㅜ와 ㅣ가 결합하면 ㅟ, ㅜ와 ㅓ가 결합하면 ㅝ, ㅜ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ㅞ, ㅓ와 ㅓ가 결합하면 ㅕ,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ㅔ, ㅓ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ㅖ, ㅗ와 ㅗ 가 결합하면 ㅛ, ㅗ와 ㅣ가 결합하면 ㅚ, ㅗ와 ㅏ가 결합하면 ㅘ, ㅗ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ㅙ로 매칭시킨다.
상기 매칭 방법은 위의 설명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방법과 기존의 천지인(ㅡ, ㅣ, ㆍ) 에 의한 조합 방법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음 코드는, 입력키 중 자음 이후의 첫 제 1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자음 이후의 제1키의 장신호 입력은 "ㅏ"로, 자음 이후의 첫 제2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자음 이후의 첫 제2키의 장신호 입력은 "ㅜ"로, 자음 이후의 첫 제 3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자음 이후의 첫 제3키의 장신호 입력은 "ㅓ"로, 제4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4키의 장신호 입력은 "ㅗ"로 , 모음 이후의 모음키 입력은 ㆍ 으로 매칭시킨다. 상기 모음 합성 코드는,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들 중에서,ㅏ와 ㅏ가 결합하면 ㅑ,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ㅐ, ㅏ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ㅒ, ㅜ와 ㅜ가 결합하면 ㅠ, ㅜ와 ㅣ가 결합하면 ㅟ, ㅜ와 ㅓ 가 결합하면 ㅝ, ㅜ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ㅞ, ㅓ와 ㅓ가 결합하면 ㅕ,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ㅔ, ㅓ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ㅖ, ㅗ와 ㅗ가 결합하면 ㅛ, ㅗ와 ㅣ가 결합하면 ㅚ, ㅗ와 ㅏ가 결합하면 ㅘ, ㅗ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ㅙ로 매칭시키며 ㅣ와 ㅡ와 ㆍ를 천지인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 1, 2, 3, 4키의 단신호 입력을 각각 B, C, D, A 라 하고, 장신호 입력을 B', C', D', A' 이라고 할 때 도6과 같은 확장키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임시 기억 장치 (114)는 입력된 문자 전에 입력된 수개의 문자를 임시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호출하여 새로 입력된 문자와 합성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116)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2)는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임시 저장부와 프로그램 메모리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호출하고 이를 제어하여 출력할 모음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부 (130)는 LCD구동부 (132), LCD 표시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LCD 구동부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할 문자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LCD에 표시하도록 LCD를 구동하며 이는 상기 LCD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문자로 인식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한글 입출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조작된 모음 입력키가 4개의 입력키 중 어느 것인지를 검출한다. (S00) 또한 상기 입력키를 누르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장신호 또는 단신호 여부를 결정한다. (S102) 상기 조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를 판단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모음을 결정하는데 , 이때 소정의 모음 코드가 이용된다. (S110)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대해서는 도1에 대한 설명 부분에 언급되어 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된 모음 이전에 입력된 문자를 임시 저장 장치로부터 호출한다. (S120) 호출된 문자가 자음인지 모음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호출된 문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입력된 모음과 결합된 문자를 생성한다. (S122, S124) 상기 호출된 문자가 모음인 경우에는 소정의 모음 합성 코드를 이용하여 합성 모음을 생성한다. (S126) 상기 소정의 모음 합성 코드에 대해서는 도1에 대한 설명 부분에 언급되어 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문자는 다음에 입력되는 문자와의 합성을 위하여 임시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한다. (S128, 130)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출력 방법에 의한 합성 모음 생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문자 "예"가 구현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자음 "ㅇ" 가 입력되면 이를 임시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S200, S202) 4개의 입력키 중에서 제3키가 장신호로 입력됨이 검출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음 "ㅓ"를 매칭시키고 임시 저장 장치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ㅇ"를 호출한다. (S210, S212, S214) 상기 호출된 "ㅇ"와 "ㅓ"를 합성하여 "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 및 출력한다. (S216)
4개의 입력키 중에서 제3키가 장신호로 입력됨이 검출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음 "ㅓ"를 매칭시키고 임시 저장 장치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어"를 호출한다. (S220, S222, S224) "ㅓ"와 "ㅓ"에 대하여 모음 합성 코드로부터 "ㅕ"를 매칭시키고 "여"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고 출력한다. (S226, S228)
4개의 입력키 중에서 제1키 또는 제3키가 단신호로 입력됨이 검출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음 "ㅣ"를 매칭시키고 임시 저장 장치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여"를 호출한다. (S230, S232, S234) "ㅓ" 와 "ㅓ"를 상기 "ㅣ"와 합성하여 "ㅖ"를 매칭시키고 "예"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고 출력한다. (S236, S238) 상기 과정을 통하여 천지인 방법을 통하여는 5번의 입력키 조작이 필요한 "예"를 4번의 키 조작만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자음의 입출력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그림 1>
◁* shift # ▷
<그림 2 >
◁* # ▷
<그림 3>
상기 자음 입력의 방법에서 자음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ㅌ,ㅋ,ㅍ,ㅎ,ㄲ,ㄸ,ㅃ,ㅆ,ㅉ 총 19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의 자주 쓰이는 9개모음은 전반부에 배치하여 한번 눌러 입력하도록 하고 ㄲ,ㄸ,ㅃ,ㅆ,ㅉ의 5개 쌍자음은 각각 shift키인 0번키를 누른 후에 입력하도록 한다. 나머지 ㅊ,ㅌ,ㅋ,ㅍ,ㅎ의 5개 자음도 역시 shift키를 누른 후에 입력하는 방식이며 빈자리에 넣는 방식을 취한다.
여기서 shift 키란 shift키를 한번 누른 후에는 그림2 의 입력방식을 취할 수 있게 됨을 뜻한다. 그리고 그림2 방식의 키를 누른 후에는 다시 그림1 방식으로 자동 환원된다. 즉, shift키를 한번 눌렀을 경우 1번의 작용으로 shift키의 입력작용은 종료된다.
예를 들어 'ㄲ'을 입력하려고 하는 경우 shift 키를 누르고 나서 'ㄱ'키를누르면 'ㄲ'이 표현되고 'ㅎ'을 입력할 때에는 shift 키를 연속으로 두 번 누르는 방식을 취한다. 그리고, *, #은 각각 좌,우의 방향키를 나타내므로 오자나 탈자 입력시 또는 한칸띰 등에 쓰인다. 그림 3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였다.
다음 자음 입력 방법은 4방향 키패드가 없는 경우나 다른 이유로 인해 부득이 하게 숫자 키패드 12 개로 동작해야하는 경우를 위한 제안이다.
<그림 4>
우선 그림 4 같이 8번키에 'ㅗ'에 해당하는 기호를 할당하고, *키에는 'ㅓ' 0키에는 'ㅜ' #키에는 'ㅏ'에 해당하는 기호를 각각 할당한다. 그리고 나머지 키패드인 1,2,3,4,5,6,7,에 각기 다른 자음을 할당한다. 9번키는 쉬프트키 또는 스페이스키 또는 한,영,숫자전환키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예에서는 스페이스 키 또는 힌,영,숫자 전환키로 사용할 때의 활용 방안이다. 각 자음은 한번에서 세 번의 입력으로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활용은 다음과 같다.
1키를 1번 누르면 'ㄱ', 두 번누르면 'ㄲ', 세 번누르면 'ㅋ'이 입력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홍길동란 글을 입력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예) 홍길동 7,7-8'-7-1-#-2,2-3-8'-7
월요일 7-0'*'-2,2-7-8',8-7-#-2,2
임꺽정 7-#-4,4,4-1'1-*'-1-5-*'-7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4개의 입력키만을 조작함으로써 한글 모음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필요한 입력키의 숫자를 줄임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팜탑 컴퓨터 등의 소형화,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21개의 한글 모음 전체를 3회 이내의 키조작만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어 한글 입력의 간편성이 향상된다.
셋째, 자음+모음+자음,자음+모음 의 입력의 경우 자음 대기 시간을 없앨 수 있다.
넷째, 손가락의 동선이 짧아 입력이 빠르다.
다섯째, 한 손으로 입력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여섯째, 방향성에 의한 표현이므로 배우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일곱째, 유연하다.
여덟째, 자주 쓰이는 표현은 입력 수가 1번 이내이고 자주쓰이지 않는 자음 또는 모음일 지라도 2내지 3번 이내에 표현 가능하다.
(자음 최대 입력수 2번 모음 최대 입력수 3번이므로 모든 글자를 2번~7번 이내에 표현 할 수 있다.)
아홉째, 자주 쓰이지 않는 표현일지라도 한번 쓰려고 할 때 드는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시스템에도 기본키(12개의 숫자키와 *,#) 만을 가지고 모음입력을 빨리 할 수 있다.

Claims (18)

  1. 4개의 입력키로 구성된 모음 입력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에서 한글을 구현하는 방법에서 있어서,
    한글 모음 입력부에 입력된 키입력을 검출함으로써 조작된 모음 입력키 및 장신호 또는 단신호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조작된 모음 입력키 및 장신호 또는 단신호에 대응하는 모음을 소정의 모음 코드로부터 결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결정된 모음을 상기 모음 입력 직전에 입력된 문자와 결합하여 출력부에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입력키를 누르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장신호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신호로 판단하는 제1-1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모음 입력 직전에 입력된 문자를 임시 기억 장치로부터 호출하는 제4단계;
    상기 호출된 문자를 상기 입력된 모음과 결합하여 출력부에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호출된 문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문자로 출력부에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호출된 문자가 모음인 경우에는 소정의 모음 합성 코드에 의하여 합성 모음을 생성함으로써 출력부에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제7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4항에서,
    상기 생성된 출력부에 출력될 문자를 임시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제8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제2단계의 소정의 모음 코드는,
    상기 입력키 중 제 1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제1키의 장신호 입력은 "ㅏ"로, 제2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2키의 장신호 입력은 "ㅜ"로, 제 3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제3키의 장신호 입력은 "ㅓ"로, 제4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4키의 장신호 입력은 "ㅗ"로
    구성되는 한글 입출력 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제7단계의 소정의 모음 합성 코드는,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들 중에서,
    ㅏ 와 ㅏ 가 결합하면 ㅑ, ㅏ 와 ㅣ 가 결합하면 ㅐ, ㅏ 와 ㅏ 와 ㅣ가 결합하면 ㅒ, ㅜ와 ㅜ가 결합하면 ㅠ, ㅜ와 ㅣ가 결합하면 ㅟ, ㅜ와 ㅓ가 결합하면 ㅝ, ㅜ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ㅞ, ㅓ와 ㅓ가 결합하면 ㅕ,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ㅔ, ㅓ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ㅖ, ㅗ와 ㅗ 가 결합하면 ㅛ, ㅗ와 ㅣ가 결합하면 ㅚ, ㅗ와 ㅏ가 결합하면 ㅘ, ㅗ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ㅙ
    로 합성 모음이 생성되는 한글 입출력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제2단계의 소정의 모음 코드는,
    상기 입력키 중 자음 이후의 첫 제 1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자음 이후의 제1키의 장신호 입력은 "ㅏ"로, 자음 이후의 첫 제2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자음 이후의 첫 제2키의 장신호 입력은 "ㅜ"로, 자음 이후의 첫 제 3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자음 이후의 첫 제3키의 장신호 입력은 "ㅓ"로, 제4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4키의 장신호 입력은 "ㅗ"로 , 모음 이후의 모음키 입력은 ㆍ 으로
    매칭하는 한글 입출력 방법.
  10. 제5항에서,
    상기 제7단계의 소정의 모음 합성 코드는,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들 중에서,
    ㅏ 와 ㅏ 가 결합하면 ㅑ, ㅏ 와 ㅣ 가 결합하면 ㅐ, ㅏ 와 ㅏ 와 ㅣ가 결합하면 ㅒ, ㅜ와 ㅜ가 결합하면 ㅠ, ㅜ와 ㅣ가 결합하면 ㅟ, ㅜ와 ㅓ가 결합하면 ㅝ, ㅜ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ㅞ, ㅓ와 ㅓ가 결합하면 ㅕ,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ㅔ, ㅓ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ㅖ, ㅗ와 ㅗ 가 결합하면 ㅛ, ㅗ와 ㅣ가 결합하면 ㅚ, ㅗ와 ㅏ가 결합하면 ㅘ, ㅗ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ㅙ
    로 매칭시키며
    l 와 ㅡ 와 ㆍ를 천지인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한글 입출력 방법.
  11. 장단 신호를 구별하여 입력받는 4개의 입력키로 구성된 모음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키를 검출함으로써 조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를 판단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문자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4개의 입력키는 각각 상하 좌우에 위치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된 입력키와 장단신호 별로 모음을 매칭시키는 모음코드,
    입력된 모음과 상기 입력된 모음 직전에 입력된 모음 및 모음들이 결합하여 합성되는 모음을 매칭시키는 모음 합성코드;
    상기 입력된 모음 직전에 입력된 문자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장치;
    설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할 문자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출력할 모음을 생성하는 중앙 처리 장치
    을 더 포함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모음 코드는,
    상기 입력키 중 제 1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제1키의 장신호 입력은 "ㅏ"로, 제2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2키의 장신호 입력은 "ㅜ"로, 제 3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제3키의 장신호 입력은 "ㅓ"로, 제4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4키의 장신호 입력은 "ㅗ"로
    매칭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모음 합성 코드는,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들 중에서,
    ㅏ 와 ㅏ 가 결합하면 ㅑ, ㅏ 와 ㅣ 가 결합하면 ㅐ, ㅏ 와 ㅏ 와 ㅣ가 결합하면 ㅒ, ㅜ와 ㅜ가 결합하면 ㅠ, ㅜ와 ㅣ가 결합하면 ㅟ, ㅜ와 ㅓ가 결합하면 ㅝ, ㅜ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ㅞ, ㅓ와 ㅓ가 결합하면 ㅕ,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ㅔ, ㅓ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ㅖ, ㅗ와 ㅗ 가 결합하면 ㅛ, ㅗ와 ㅣ가 결합하면 ㅚ, ㅗ와 ㅏ가 결합하면 ㅘ, ㅗ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ㅙ
    로 매칭시키는 한글 입출력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모음 코드는,
    상기 입력키 중 자음 이후의 첫 제 1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자음 이후의 제1키의 장신호 입력은 "ㅏ"로, 자음 이후의 첫 제2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자음 이후의 첫 제2키의 장신호 입력은 "ㅜ"로, 자음 이후의 첫 제 3키의 단신호 입력은 "ㅣ"로, 자음 이후의 첫 제3키의 장신호 입력은 "ㅓ"로, 제4키의 단신호 입력은 "ㅡ"로, 제4키의 장신호 입력은 "ㅗ"로 , 모음 이후의 모음키 입력은 ㆍ 으로
    매칭하는 한글 입출력 장치.
  17. 제13항 또는 제16항에서,
    상기 모음 합성 코드는,
    상기 소정의 모음 코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들 중에서,
    ㅏ 와 ㅏ 가 결합하면 ㅑ, ㅏ 와 ㅣ 가 결합하면 ㅐ, ㅏ 와 ㅏ 와 ㅣ가 결합하면 ㅒ, ㅜ와 ㅜ가 결합하면 ㅠ, ㅜ와 ㅣ가 결합하면 ㅟ, ㅜ와 ㅓ가 결합하면 ㅝ, ㅜ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ㅞ, ㅓ와 ㅓ가 결합하면 ㅕ,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ㅔ, ㅓ와 ㅓ와 ㅣ가 결합하면 ㅖ, ㅗ와 ㅗ 가 결합하면 ㅛ, ㅗ와 ㅣ가 결합하면 ㅚ, ㅗ와 ㅏ가 결합하면 ㅘ, ㅗ와 ㅏ와 ㅣ가 결합하면 ㅙ
    로 매칭시키며
    l 와 ㅡ와 ㆍ를 천지인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한글 입출력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의 한글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통신 단말기.
KR1020000029160A 2000-05-30 2000-05-30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36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160A KR100361621B1 (ko) 2000-05-30 2000-05-30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160A KR100361621B1 (ko) 2000-05-30 2000-05-30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593A true KR20010108593A (ko) 2001-12-08
KR100361621B1 KR100361621B1 (ko) 2002-11-18

Family

ID=4581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160A KR100361621B1 (ko) 2000-05-30 2000-05-30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2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32A (ko) * 2001-05-15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364841B1 (ko) * 2000-12-30 2002-12-16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020093727A (ko) * 2002-11-20 2002-12-16 김국환 이동식 단말기의 글자형태식 한글입력방법
KR200303345Y1 (ko) * 2002-10-16 2003-02-07 한민수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KR20030042273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KR100394029B1 (ko) * 2000-12-30 2003-08-06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방향 버튼을 통한 모음 입력 방법
KR100411365B1 (ko) * 2001-11-06 2003-12-18 주식회사 지오엔스페이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0409278B1 (ko) * 2001-11-09 2003-12-18 텔슨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KR100438395B1 (ko) * 2002-04-15 2004-07-02 최진희 한글입력 자판 배열방법 및 상기 배열방법에 의한한글입력 자판
KR100484424B1 (ko) * 2002-09-23 2005-04-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숫자 입력 겸용 문자 입력 자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4Y1 (ko) * 2000-05-12 2000-10-16 신부용 한글 모음(母音) 단추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41B1 (ko) * 2000-12-30 2002-12-16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0394029B1 (ko) * 2000-12-30 2003-08-06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방향 버튼을 통한 모음 입력 방법
KR20020087632A (ko) * 2001-05-15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411365B1 (ko) * 2001-11-06 2003-12-18 주식회사 지오엔스페이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0409278B1 (ko) * 2001-11-09 2003-12-18 텔슨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42273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KR100438395B1 (ko) * 2002-04-15 2004-07-02 최진희 한글입력 자판 배열방법 및 상기 배열방법에 의한한글입력 자판
KR100484424B1 (ko) * 2002-09-23 2005-04-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숫자 입력 겸용 문자 입력 자판
KR200303345Y1 (ko) * 2002-10-16 2003-02-07 한민수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KR20020093727A (ko) * 2002-11-20 2002-12-16 김국환 이동식 단말기의 글자형태식 한글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621B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8672A (en) Dynamic predictive keyboard
EP1459499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keyboard
RU2304301C2 (ru) Способ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в электронно-вычислите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CA2227904C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RU2206118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анения неоднозначности с уменьшенной клавиатурой
US77102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ata entry
EP0898222A1 (en) Keypad
KR20040002875A (ko) 빠른 텍스트 타이핑을 지원하는 휴대 장치
KR20100057880A (ko) 데이터 입력 장치
JPH06214699A (ja) キーボード装置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KR100361621B1 (ko)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EP2410405A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atistically sorting characters for multi-tap keyboards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U2334366C2 (ru) Способ ввода слов в электронном устройстве при помощи клавиш для ввода слов
KR20030043532A (ko)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6005823A (ja) 文字入力装置
KR101099657B1 (ko) 온스크린 키를 이용한 검색기반 영어 단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80435A1 (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JP2002207558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90137222A (ko) 개별 스위치 기능이 적용된 터치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36972A (ko)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
AU747901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KR101365855B1 (ko) 문자를 예측하여 표시하기 위한 동적으로 생성된 키패드
KR100632856B1 (ko) 이동단말기용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