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401A -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401A
KR20010101401A KR1020017008582A KR20017008582A KR20010101401A KR 20010101401 A KR20010101401 A KR 20010101401A KR 1020017008582 A KR1020017008582 A KR 1020017008582A KR 20017008582 A KR20017008582 A KR 20017008582A KR 20010101401 A KR20010101401 A KR 2001010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memory
data packet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무라타토시후미
Original Assignee
무라타 토시후미
가부시키가이샤 소프트프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토시후미, 가부시키가이샤 소프트프론트 filed Critical 무라타 토시후미
Publication of KR2001010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40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72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81Speech, vo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89Buffer Management, Threshold setting, Scheduling,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통신회선을 경유하여 전달하는 음성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메세시 전송상의 인터럽션 및 통화의 지연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전송측의 데이터 패킷은 소정의 일정 시간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전송된다. 수신측에서는, 전송측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상기 소정의 일정 간격과 동일한 일정 시간간격으로 데이터를 검색한다.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종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시간 간격은 패킷크기에 대응하여 작을수록 좋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간 간격은 대략 60ms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20ms가 좋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in the form of a data packet, which can reduce interruption problems in message transmission and delay of a call. In this system, data packets on the transmission side are transmitted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receiving side searches for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qual to the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at which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the data packet. Preferably, the size of the data packet is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size, and the smaller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data packet is transmitted is corresponding to the packet size. The preferred time interval for sending data packets is approximately 60 ms,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20 ms.

Description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through packet network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종래의 음성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CPU가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들 사이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데이터가 쌍방향으로 전송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런 종래의 시스템은 범용 전화시스템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LAN과 같은 구내 통신망을 통해 상호통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voic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ystem each connected via a network in which voice data are bidirectionally transmitted to enable voice calls between terminal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a CPU. This conventional system using a personal computer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t a lower cost than a general purpose telephone system. The system can also be used for intercommunication through local area networks such as LAN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 시스템은, 대화하는 동안에 음성이 인터럽트되고, 더욱이 심각한 지연현상(delay)이 음성 전송중에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에 대한 원인들은 이 시스템의 기본 구조에 기인한다. 이런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는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통신회선을 지나게 된다. 이 데이터 패킷은 어드레스 및 프로토콜 식별자의 정보를 가지는 헤더부와, 코드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부와,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트레일러부로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패킷 하나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패킷 당 300∼500ms 정도로 비교적 큰 편이다. 현재 인터넷과 같은 통신회선에서,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일정비율이 전송중에 유실되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통신회선에서 데이터 패킷의 유실은 전체 20%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런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이 음성통신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각각의 패킷이 대량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화중 데이터 패킷의 유실로 발생하는 결과가 청취자가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수준까지 도달하게 되어, 통화중 음성메세지의 인터럽트로서 인식된다.However, this kind of conventional system has the problem that the voice is interrupted during the conversation, and furthermore, a serious delay often occurs during the voice transmission. The causes for this problem are due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system. 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ata passes over a communication line in the form of a data packet. The data packet is generally composed of a header portion having information of address and protocol identifier, a data portion containing coded data, and a trailer portion indicating the end of the packet. The size of data contained in one packet is relatively large, about 300 to 500 ms per packet. In a current communication line such as the Internet, it is true that a certain percentage of data packets transmitted over the communication line is lost during transmission. In general, the loss of data packets in the communication line is estimated to be more than 20%. Whe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such a communication line is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purposes, since each packet contains a large amount of data, the result of loss of a data packet during a call reaches a level that can be felt by a listener. It is recognized as an interruption of a voice message during a call.

게다가, 이런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음성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의 단말장치의 CPU는 음성데이터 뿐만 아니라, 서류 및 이미지등과 같은 이외의 로드된 작업들을 처리하도록 되어있고, 게다가, 전송될 부수적인 정보들은 단일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토콜의 제어 아래에서 통신회선을 통과한다. 게다가, 이런 정보들에 포함된 각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이 큰 크기의 데이터 패킷이 음성메세지 데이터 패킷사이에 끼어 들어 음성통신을 인터럽트 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종래 음성통신시스템에서, 이렇게 큰 크기의 기타 데이터 패킷이 음성데이터 패킷을 인터럽트할 경우, 인터럽트 동안에 음성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이 중단되어, 통화중 메시지 전달의 시간지연을 유발한다.In addition, in a voic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uch a communication line, the CPU of the terminal device of the system is configured to process not only voice data but also other loaded tasks such as documents and images, and further,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t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under the control of various protocols as well as a single protocol. In addition, as the size of each data packet included in such information increas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is large data packet is interrupted between the voice message data packets and interrupts voice communication. In the conventional voice communication system, when such a large data packet interrupts the voice data packet,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voice data is interrupted during the interrupt, causing a time delay of message transmission during a call.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통신라인을 경유하여 음성데이터를 패킷의 형태로 전송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in the form of a packet via a communication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제 1 실싱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silencing of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데이터 패킷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2 shows the contents of a data packet;

도 3은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voice dat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과정(도 4의 (a))과 종래의 처리과정(도 4의 (b))을 비교한 타이밍 차트;4 is a timing chart comparing a process (FIG. 4A) and a conventional process (FIG. 4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퍼스널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퍼스널 컴퓨터와 일반 전화기가 각각이 연결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 및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5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personal compu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G. 5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ersonal computer and a general tele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how; And

도 6은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가 단말장치로서 사용될 경우, CPU내에 병합된 제어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6의 (a)와 (b)는 전송측에서의 처리흐름과 수신측에서의 처리흐름을 각각이 나타내는 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gram merged into a CPU when a personal computer is used as a terminal apparatus in the exec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and 6B show the processing flow o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processing flow on the receiving side. Is a diagram each representing.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회선을 경유하여 음성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전송하는 종래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통화중 인터럽트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메시지 전송중 시간지연도 감소시킬 수 있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roblem occurring in a conventional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that transmits voice data in the form of a data packet via a communication line, significantly reducing interrupts during a call, and reducing time delays during message transmission. To provide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that can be ma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측에서의 패킷데이터는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보내진다. 통신회선은 유선형이나 무선형 통신회선으로 될 수도 있다. 수신측에서는, 전송측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데이터를 검색한다.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종래의 것 보다 더욱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데이터 패킷의 전송 간격도 종래의 간격보다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전송 간격은 대략 60ms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20ms이하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acket data on the transmission side is sen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ommunication line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line. The receiving side searches for data at the same interval as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at which the data packet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side. The size of the data packet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refore, the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data packet is also preferably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interval. The preferred transmission interval is about 60 ms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20 ms or less.

즉, 본 발명은, 통신회선을 경유하여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회선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신측 단말장치 및 전송측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전송측 단말장치는, 음집기를 통해 입력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헤더부와, 코드화되고 압축된 음성신호를 가지는 데이터부를 각각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인코더, 및 통신회선상에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수신측 단말장치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차례대로 저장하는 수신측 메모리, 수신측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디코드된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구비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전송측 단말장치의 음성신호 출력부는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차례대로 전송하도록 되어있고, 수신측의 단말기의 변환부는, 전송측 단말장치의 음성신호 전송부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소정의 일정 간격은 60msec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msce 이하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via a communication line, including a receiving side terminal apparatus and a transmitting side terminal apparatu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line. The terminal device sequentially receives input data through a sound collector, and sequentially generates data packets each including a header part and a data part having a coded and compressed voice signal, and a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nd a voice signal output unit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and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sequentially retrieves the data packet stored in the receiving side memory and the receiving side memory sequentially storing the data packet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and encodes the encoded voice.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by decoding the signal, and a decoded analog In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pparatus transmits the data packet in sequence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receiving side The converting unit of th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dio signal transmitting uni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retrieves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the same interval as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In such a case, the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is preferably 60 msec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20 msce or less.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송측 단말장치의 음성신호 출력부가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되어있다. 수신측 단말장치의 변환부는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검색하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pparatus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ransmit data packets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timer control means. The converting unit of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retrieves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by the timer control mean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측 단말장치는 전송측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음집기로부터의 음성데이터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전송측 메모리의 제 1영역에 저장되며, 인코더는 제 1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이외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는 일 없이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인코더는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전송측 메모리의 제 2영역에 저장하고, 음성신호 출력부가 제 2영역에 저장된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직접 판독하여, 기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판독하지 않고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도록 되어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side termina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ransmitting-side memory, and after the voice data from the sound collector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stored in a first area of the transmitting-side memory. The encoder is configured to directly read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and generate a data packet from the digital data without reading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other memory area. In addition, the encoder stores the coded voice signal in the second area of the transmission-side memory, and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directly reads the coded voice signal stored in the second area, thereby not reading the coded voice signal stored in the other memory area. And transmits a coded voice signal on a 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회선에 연결되어음성데이터을 전달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단말장치가 설치된다. 이 단말장치는 전송부와 수신부를 포함하고 있고, 전송부는 음집기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부와,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부를 각각 가지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인코더와,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음성신호 출력부는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수신부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수신측 메모리와, 수신측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변환부는 전송부의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일정 시간간격으로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송부의 음성신호 출력부가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수신부의 변환부는,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of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connected to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lines is provided. The terminal apparatus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unit, and the transmitting unit sequentially receives input data from a sound collector, and sequentially generates data packets each having a header unit and a data unit including a coded voice signal. And a voice signal output section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voice signal output section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receiving side memory for sequentially storing voice data including data packets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line, and a converting unit for sequentially retrieving packet data stored in the receiving side memory, decoding the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a reproducing section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in accordance with the decoded analog voice signal. The converting unit is configured to retrieve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qual to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at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of the transmitting uni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signal output section of the transmission section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ransmit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timer control means. Simi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rsion unit of the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retrieve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by a timer control means at a predetermined fixed interv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성데이터 수신장치가 설치된다. 이 음성 수신장치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수신측 메모리와, 수신측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변환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data receiving apparatus is provided. The voice receiving apparatus sequentially retrieves data of a packet stored in a receiving side memory and a receiving side memory that sequentially stores data packets including voice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line, decodes the voice signal to decode an analog voice signal. And a reproducing section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in accordance with the decoded analog voice signal. The conversion unit retrieves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timer control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성데이터 전송장치가 설치된다. 이 전송장치는, 음집기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송측 메모리와, 전송측 메모리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헤더부와,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갖는 데이터부를 각각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인코더와, 통신회선상에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는 전송측 메모리의 제 1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인코더는 제 1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제 2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음성신호 출력부는 제 2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패킷을 직접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경우, 음성신호 출력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data transmission device is provided. The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voice data received from a sound collector into digital data, a transmission side memory for storing digital data, and a retrieval of the digital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side memory in sequence. And an encoder for sequentially generating data packets each including a data portion having coded speech signals, and a voice signal output portion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data packets on a communication lin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digital data is stored in a first memory area of the transmitting side memory, and the encoder directly reads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to generate the data packet and comprises a data packet comprising a coded voice signal.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output section directly reads the data packet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by a timer control means.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의 전송방법은 음집기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검색하고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인코드된 데이터를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다른 처리에 우선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의 데이터를 타이머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검색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 메세지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eiving voice data and transmitting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here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voic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verting analog voice data received from a sound collector into digital data, storing the converted digital data in a memory, retrieving and encoding digital data stored in the memory;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method of receiving voice data and reproducing a corresponding voice message includes sequentially storing a data packet including voice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line in a memory, and prioritizing other processing, data of the packet stored in the memory is timerd. Searching using a control mean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ecoding a voice signal,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reproducing the voice message according to the decoded analog voice signal.

본 발명의 전술한 특성에 따라, 전송측에서의 음성데이터 패킷이 소정의 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전송됨에 따라, 기타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이외의 처리에 의해 신호출력용 처리가 인터럽트되어, 결과적으로 음성데이터 전송이 지연처리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게다가, 수신측은, 전송측에서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일정간격으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 기타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이외의 처리에 의해 신호수신처리가 인터럽트되어, 결과적으로 음성데이터의 전송이 지연처리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게다가, 각각의 음성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종래 시스템의 데이터 패킷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통화중 일정량의 데이터 패킷이 유실된다면, 그 때의 데이터 유실량이 작아짐으로 음성이 인터럽트 될 가능성이 상당히 저하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voice data packet on the transmission side is transmitted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ignal output processing is interrupted by processing other than transmitting or receiving other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the voice data packet. The problem of delayed transmission is avoided. In addition, since the receiving side searches for data packets receiv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qual to a predetermined interval at which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voice data, the signal receiving processing is performed by a process other than transmitting or receiving other information at the receiving side. Interrupted, as a result, the problem of delay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is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each voice data packet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data packet of the conventional system, if a certain amount of data packets are lost during a call, the possibility of voice interruption is considerably lowered because the amount of data loss at that time becomes small.

종래의 시스템은, 자신의 메모리 영역을 갖고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변화시켜주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자신의 메모리 영역을 갖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 및 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재생성하는 인코더와, 자신의 메모리 영역을 갖고 음성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은 그 자신이 소유하는 메모리 영역에 일단 저장되고, 이 저장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이 인코더에 의해 판독되어 인코더 소유의 메모리 영역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인코더의 출력은 인코더 소유의 메모리 영역의 외부측으로 일단 저장된 후, 음성신호 출력부 소유의 메모리영역으로 전달되고, 그 후에 음성신호 출력부에 의해 판독되어 통신회선으로 전송된다.Conventional systems include analog / digital converters that have their own memory area and convert voice data into digital signals, and voice data by compressing and coding the digital signals generated by analog / digital converter converters with their own memory area. And an encoder for regenerating the packet and a voice signal output section having its memory area for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to the communication line. Thus, the output of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is once stored in its own memory area, and the output of this stored analog-to-digital converter is read by the encoder and transferred to the memory area owned by the encoder. Therefore, the output of the encoder is once stored outside of the memory area owned by the encoder, then transferred to the memory area owned by the voice signal output part, and then read by the voice signal output part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즉,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 전달의 횟수가 증가되어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어 음성신호의 전송에 지연이 발생한다. 이런 종래의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음집기로부터의 음성데이터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에 의해 변환된 후, 디지털 데이터가 전송측 메모리의 제 1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인코더는 기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고, 이 제 1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판독한다. 게다가, 인코더는 압축 및 코드화된 음성 신호를 전송측의 제 2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음성신호 출력부는 기타 메모리 영역을 거치지 않고, 이 제 2영역에 저장된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직접 판독하여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각의 메모리 영역에서의 음성데이터 전달의 횟수가 상당히 감소되어, 음성 신호의 전송에서의 시간지연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system, the number of times of data transfer between each memory is increased, and considerable time is consumed to output the signal, which causes a delay i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signal. In contrast to this conventional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voice data from the collector is converted by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the digital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area of the transmitting side memory, and the encoder is stored in the other memory area.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is first area is read directly without reading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In addition, the encoder stores the compressed and coded voice signal in the second memory area on the transmission side, and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directly reads the coded voice signal stored in the second area on the communication lin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ory area. Will be sent sequentially. Thus, the number of voice data transfers in each memory area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time delay i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signal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은 전술한 제어가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다른 이 기록매체의 한 실시예는,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을 판독하고, 데이터 패킷내의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포함한다. 상기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다면, 메모리로부터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이 음성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에 전송하는 단계를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 프로그램 데이터는 이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와 같은 전송매체의 형태로 통신회선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그램 데이터의 정보는, 이 정보를 제공하는 측으로부터 전적으로 전달되는 푸시타입(push type), 또는 정보 수신측이 정보 제공측의 서버로부터 정보를 이끌어내는 풀타입(full type)중 어느 하나 일 수도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data of a control program is record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control can be executed in a personal computer. One embodiment of this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input voice digital data in the memory, reads the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encodes the read voice digital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And at least some records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hat repeatedly execut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ds the input voice data packet from the memor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ecodes the voice data in the data packet when the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in the memory from the communication line. And recording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repeat the steps. In addition to the above,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input voice digital data in the memory, the voice digital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and the input voice digital data is compressed to form a voice data packet. It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record of the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repeatedly execut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data can be provided on a communication line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sig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ontaining such data. In such a case, the information of the program data is either a push type delivered entirely from the side providing the information, or a full type from which the information receiving side der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t the information providing side. Might be one

게다가, 본 발명은 상술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반송파상에 실어 통신회선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represent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on a carrier wave and transmitting it on a communication line.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설명하고,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음성통신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은 전송측 단말장치(1), 수신측 단말장치(2), 및 전송측 단말장치(1)와 수신측 단말장치(2)를연결하는 통신회선(3)으로 이루어진다. 통신회선(3)은 무선 및 유선 통신회선, 또는 이들의 조합된 어느 한 경우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측 단말장치(1) 및 수신측 단말장치(2) 모두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단일 장치에 병합되고, 각각이 전송부 및 수신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oice communication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nsists of a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1, a receiving terminal device 2, and a communication line 3 connect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1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2. The communication line 3 may be a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line,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general, both the transmitting side terminal apparatus 1 and the receiving side terminal apparatus 2 are merged into a single apparatu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nd each consists of a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unit.

전송측 단말장치(1)는 들리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집기(11)를 포함한다. 이 음집기(11)는 들리는 음성에 반응하여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 음성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로 들어간다. 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는 입력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그 출력은 메모리(13)에 연결되어 있다. 인코더(14) 및 음성신호 출력부(15)는 메모리(13)에 연결된다. 음성신호 출력부(15)는 모뎀(18)을 경유하여 통신회선에 연결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1 includes a collector 11, such as a microphone, for collecting the audible voice. This collector 11 functions to generate a voice analog signal in response to the voice being heard. This audio analog signal enter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2. This analog-to-digital converter 12 converts an input analog audi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output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emory 13. The encoder 14 and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5 are connected to the memory 13.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5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via the modem 18.

이 실시예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의 출력인 음성 디지털 신호는 메모리(13)의 제 1영역(13a)에 저장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코더(14)는 클럭신호(4)에 기초한 시간제어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메모리(13)의 제 1영역(13a)으로부터 음성 디지털 신호를 판독하므로써 바람직한 처리를 실행한다. 인코더(14)는 음성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고 코드화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낸 데이터 패킷은 어드레스 정보와 프로토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헤더부와, 보내질 음성신호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부와,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트레일러부를 포함한다. 인코더(14)에 의해 생성된 음성데이터 패킷은 메모리의 제 2영역(13b)에 저장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udio digital signal that is the output of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2 is stored in the first area 13a of the memory 13.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encoder 14 performs a desirable process by reading an audio digital signal from the first area 13a of the memory 13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ime control based on the clock signal 4. Run The encoder 14 compresses and codes the voice digital signal to form a voice data packet. The data packet shown in FIG. 2 includes a header portion containing address information and a protocol identifier, a data portion containing information of a voice signal to be sent, and a trailer portion indicating the end of the packet. The voice data packet generated by the encoder 14 is stored in the second area 13b of the memory.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성신호 출력부(15)는 클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13)의 제 2영역으로부터 압축 및 코드화된 데이터 패킷을 직접 판독하고, 모뎀(16)을 경유하여 통신회선(3)상에 이들을 전송한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5 is controlled by a clock signal to directly read compressed and coded data packets from the second area of the memory 13 and communicate via the modem 16. Transfer these on line 3.

수신측 단말장치(2)는, 통신회로로부터 모뎀(21)을 경유하여 전송된 음성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측 메모리(22)를 포함한다. 디코더(23)는 수신측 메모리(22)에 연결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디코더(23)는 클럭신호(4)에 의해 제어된다. 디코더(23)는 수신측 메모리(22)로부터 음성데이터 패킷을 읽어들여 음성데이터 패킷의 압축을 풀고 디코딩하므로써 음성디지털 신호를 재생한다. 디코더(23)의 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4)로 들어간 다음, 음성디지털 신호가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4)의 출력은 연결되어 있는 증폭기(25)에 의해 증폭된 후, 스피커(26)에 의해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재생된다.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2 includes a receiving side memory 22 that receives a voice data packet transmitted via the modem 21 from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decoder 23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side memory 22. A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below, this decoder 23 is controlled by the clock signal 4. The decoder 23 reads the voice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22, decompresses and decodes the voice data packet to reproduce the voice digital signal. The output of the decoder 23 enters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24, and then the audio digital signal is converted into a voice analog signal. The output of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24 is amplified by the connected amplifier 25 and then reproduced as audible voice by the speaker 26.

통신회선은, 라우터(31)와 서버등을 포함하는 종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종래 회선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회선(3)은 무선통신회선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line may be constituted by a network such as the conventional Internet including the router 31, a server, and the like, and the conventional line may be used as it is.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line 3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도 3은 음성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음성 아날로그 신호(A)는, 음성 디지털 신호 D1, D2,...Dn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에서 각각이 분할된 순간의 시간 t1, t2,...tn 각각에서 샘플된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voice data packet. The voice analog signal A is sampled at each of the times t1, t2, ... tn at each divided moment at a predetermined time for generating the voice digital signals D1, D2, ... Dn.

이 음성 디지털신호는 각각의 소정의 간격(T)에 대해 세트로서 배열되고, 각각의 세트에서의 음성 디지털신호가 압축 및 코드화되어 음성데이터 패킷(P)의 데이터부(P0)로 병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 소정의 간격(T)은 20ms로 세트된다. 상기한대로 생성된 음성데이터 패킷(P)은 모뎀(16)을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전송된다. 이 전송간격도 음성데이터 패킷(P)이 생성되는 간격과 동일하게 20ms로 세트된다. 즉, 클럭신호(4)를 사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은 음성데이터의 전송이 다른 처리에 우선하여 실행되게 해주고, 음성통화 동안에 다른 처리의 인터럽트로 인해 음성데이터의 전송이 지연되는 문제를 방지해준다. 게다가, 하나의 음성데이터 패킷(P)에 포함된 음성데이터가 20ms로 매우 작고, 통화중 이 데이터 패킷이 유실될지라도 유실된 데이터의 영향이 작아지고, 따라서 음성메세지의 인터럽션이 억제될 수 있다.This audio digital signal is arranged as a set for each predetermined interval T, and the audio digital signal in each set is compressed and coded and merged into the data portion P0 of the voice data packet P. In this embodiment, this predetermined interval T is set to 20 ms. The voice data packet P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via the modem 16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is transmission interval is also set to 20 ms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val at which the voice data packet P is generated. That is,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data packet using the clock signal 4 causes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data to be executed in preference to other processing, and delays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data due to the interruption of other processing during the voice call. Prevents. In addition, the voice data contained in one voice data packet P is very small as 20 ms, and even if this data packet is lost during a call, the influence of the lost data is reduced, and thus the interruption of the voice message can be suppressed. .

도 4는 윈도우 표준에 따른 PT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이 전송된 경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데이터 패킷이 전송된 경우 사이의 작동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4 is a diagram showing a difference in operation between a case where a voice data packet is transmitted using a PTR protocol according to the window standard and a case where a voice data packet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gree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에서, 음성통신을 위한 음성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앞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처리(A)와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처리(B)와 같은 기타 처리작업이 입력되면, 이들 처리(A,B)가 우선권을 갖게되어 음성데이터 패킷(P)이 희망하는 타이밍내에 세트될 수 없다. 이는 통신의 지연을 발생시킨다.As shown in Fig. 4A, in the conventional system, prior to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data packet for voice communication, other such as processing using the HTTP protocol (A) and processing using the SMTP protocol (B). When processing operations are input, these processing (A, B) takes priority and the voice data packet P cannot be set within the desired timing. This causes a delay in communication.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처리(A) 또는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처리(B)를 실행하는 동안에도, 타이밍(T1)과 같은 소정의 타이밍에서는 인코더가 음성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한 다음, 타이밍(T1)과 (T2) 사이에서는 음성데이터 패킷이 생성되며, 타이밍(T2)에서는 출력부(15)가 음성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한다. 타이밍(T1)과 다음의 타이밍(T2)간의 간격은 T와 동일하고, 타이밍(T2)와 타이밍(T3) 사이의 간격 역시 T로서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성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처리보다 우선하여 실행되는 임의의 처리가 있을지라도, 음성데이터 패킷이 생성되고 소정의 일정 간격으로 전송되므로, 음성데이터 전송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yste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the timing T1 is the same as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cessing A using the HTTP protocol or the processing B using the SMTP protocol,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timing, the encoder reads the voice digital data, and then a voice data packet is generated between the timings T1 and T2. At the timing T2, the output unit 15 sends the voice data packet onto the communication line. send. The interval between the timing T1 and the next timing T2 is equal to T,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iming T2 and the timing T3 is also equal to T.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any processing executed prior to the processing of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the voice data packe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by preventing delay of voice data transmission. Can be.

또한, 클럭신호(4) 수단에 의한 타이밍의 제어는 수신측에서도 사용되며, 디코더(23)는 소정의 일정간격(T)에서 수신측 메모리(2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다른 처리가 입력되더라도, 데이터의 판독은 다른 처리에 우선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단말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어떠한 지연없이 음성의 전환이 수행된다.The timing control by means of the clock signal 4 is also used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decoder 23 reads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22 at a predetermined constant interval T. Even if other processing is input, reading of data is executed in preference to other processing. Therefore, the voice switching is performed without any delay due to the use of the terminal apparatus.

전송측 단말장치 및 수신측 단말장치를 도 1에 독립적으로 나타내었지만, 실제 단말장치는 도 1에 나타낸 전송측 단말장치(1)에 대응하는 전송부와 수신측 단말장치(2)에 대응하는 수신부 모두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다가, 전송부측 단말장치(1)의 메모리(13), 인코더(14), 및 출력부(15)와, 수신부측 단말장치(2)의 메모리(22) 및 디코더(23)는 퍼스널 컴퓨터내 설치된 CPU에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the transmitting terminal apparatus and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are shown independently in FIG. 1, the actual terminal apparatus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apparatus 1 shown in FIG. 1 and a rece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2. It is common to have all. In addition, the memory 13, the encoder 14, and the output unit 15 of the transmitting unit terminal device 1, and the memory 22 and the decoder 23 of the receiving unit terminal device 2 are installed in a personal computer. It can be included in the CPU.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가 양 단말장치로 설치된다. 이 퍼스널 컴퓨터(PC)는 APP, RPT, 및 기타 프로토콜과 같은 임의의 프로토콜 하에서 프로그램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PC)는,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헤드부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하고, 통신회선상의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터(R)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은 퍼스널 컴퓨터간의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의 (b)는 퍼스널 컴퓨터와 종래의 전화기 사이의 연결을 보여준다. 퍼스널 컴퓨터(PC)는 게이트웨이(GW)를 통해 IP망으로부터 종래 전화회선(PSTN)에 연결된다. 이는 퍼스널 컴퓨터와 종래의 전화기 사이에 통신을 허용한다.5A and 5B show an example of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A, a personal computer (PC) is provided in both terminal devices. This personal computer (PC) has a program capable of processing a program under any protocol such as APP, RPT, and other protocols. The personal computer (PC)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 router (R) that reads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head of the transmitted data packet and determines a path on a communication line. This connection enables voice communication between personal computers. 5B shows a connection between a personal computer and a conventional telephone. The personal computer PC is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telephone line PSTN from the IP network through the gateway GW. This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al computer and a conventional telephone.

도 6은,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퍼스털 컴퓨터가 단말장치로 사용될 경우, 퍼스널 컴퓨터의 CPU의 제어에 대한 프로그램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의 (a)는 전송측에서의 처리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에서는 전송측 메모리내에 입력된 음성 디지털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송측 메모리내에 입력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없다면 제 1단계(S2)를 반복한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CPU of the personal computer in the form of a flowchart when the personal computer is used as the terminal device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flow on the transmission side. First, in the first step S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voice digital data input into the transmission side memory. If there is no audio digital data input in the transmitting side memory, the first step S2 is repeated.

전송측 메모리내에 입력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다면, 제 2단계(S2)에서 이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 판독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는 제 3단계에서 압축 및 코드화되어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한다. 만들어진 음성데이터 패킷은 제 5단계에서 통신회선상으로 보내진다. 음성데이터 패킷의 전송 타이밍은 T로서 참조된다. 제 5단계에서는, 타이밍(T)후에 경과된 시간이 측정된다. 제 6단계에서는, 예컨대 타이밍(T)이후 20msec가 경과했을 때와 같이, 경과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처리단계는 제 1단계로 복귀하여 메모리로부터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제 2부터 6단계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해, 전송측에서, 음성 디지털 패킷이 20msec와 같은 소정의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전송된다.If there is audio digital data input in the transmission-side memory, this audio digital data is read out from the memory in the second step S2. The read voice digital data is compressed and coded in a third step to form a voice data packet. The created voice data packet is sent on the communication line in the fifth step.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voice data packet is referred to as T. In a fifth step, the time elapsed after the timing T is measured. In the sixth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apsed tim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time, such as when 20 msec has elapsed after the timing T, for example, the processing step returns to the first step to read audio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Repeat steps 2 through 6. By such means, on the transmission side, the voice digital packet is transmitted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uch as 20 msec.

도 6의 (b)는 수신측에서의 처리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제 7단계에서, 수신측 메모리에 음성데이터 패킷의 입력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수신측 메모리에 입력된 음성데이터 패킷이 있다고 판정될 경우, 처리는 제 8단계로 넘어가서 메모리로부터 패킷내의 음성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타이밍은 타이밍(T)로서 참조된다. 그 다음으로, 제 9단계에서는,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패킷내의 음성데이터가 디코드되고, 이 디코드된 음성데이터가 제 10단계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으로, 제 11단계에서는, 전송측에서 음성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간격과 동일한 소정의 시간(예컨대, 20msec)이 수신측에서 타이밍(T)이후에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이 소정의 시간이 지났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단계는 제 7단계로 복귀한 후에, 제 8 단계로부터 제 11단계로 각각 반복된다. 이런 처리를 통해서, 수신측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전송측에서의 음성데이터 패킷 전송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판독된다.Fig. 6B shows the processing flow at the receiving side. First, in a seventh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voice data packet in the receiving side memo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voice data packet input to the receiving side memory, the process proceeds to the eighth step and reads the voice data in the packet from the memory. This timing is referred to as timing T. Next, in the ninth step, voice data in the packet read out from the memory is decoded, and the decod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in the tenth step. Next, in the eleventh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e.g., 20 msec) equal to the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the transmitting side has elapsed after the timing T on the receiving si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is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the processing steps are repeated from the eighth step to the eleventh step after returning to the seventh step. Through this processing, the data packet received at the receiving side is read out at the same interval as the voice data packet transmission interval at the transmitting side.

도 6의 (a)와 (b)에 나타낸 처리흐름에 대한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단말장치로서 사용될 경우, 퍼스널 컴퓨터는 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바람직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반송파와 같은 적절한 운송매체에 실음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는 이 프로그램을 로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송시스템의 단말기로 작동하도록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와, 반송파에 프로그램데이터를 실음으로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 유형의 전송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회선상에 이 프로그램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l or part of the program for the processing flow shown in FIGS. 6A and 6B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When a personal computer is used as the terminal apparatu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computer can be configured to load a program stored in this recording medium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In addition, the program's data can be transferred to other stations over the network by loading it on a suitable carrier, such as a carrier. A termi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receiving a program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 terminal of th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oading this progra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such a program, and a transmission medium of a signal typ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ing a program by loading program data on a carrier. 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ogram for providing this program data on a communication line.

Claims (24)

통신회선을 경유하여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회선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송측 단말장치와 수신측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측 단말장치는, 음집기로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부와,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가지는 데이터부를 각각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인코더,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장치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수신측 메모리, 상기 수신측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구비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송측 단말장치의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통신회선상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수신측 단말장치의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전송측 단말장치의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일정간격으로 상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via a communication line, comprising: a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and a receiving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line, wherein the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includes: An encoder that sequentially receives data from a collector, sequentially generates a data packet including a header portion and a data portion having a coded speech signal, and an audio signal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The receiver terminal apparatus includes an output unit, and the receiver side memory sequentially stores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sequentially searches for the data packet stored in the receiver memory, decodes a voice signal,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o an audio signal, and the decoded analog audio signal In the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playback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apparatus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ransmit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onverting unit of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retrieves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qual to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이 60msec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The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redetermined interval is 60 msec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이 20msec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The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redetermined interval is 20 msec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측 단말장치의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The voice data output unit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pparatus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ransmit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timer control means. Transmiss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장치의 상기 변환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2. The voice data transmission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said converting section of said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is configured to retrieve, from said receiving memory, a received data packet at said predetermined interval by a timer control means.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측 단말장치는 전송측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집기로부터의 상기 음성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상기 전송측 메모리의 제 1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인코더는 이외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는 일 없이, 상기 제 1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terminal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transmitting memory, wherein the voice data from the sound collector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then transferred to a first area of the transmitting memory. And the encoder is configured to directly read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and generate a data packet from the digital data without reading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other memory area.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상기 전송측 메모리의 제 2영역에 저장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이외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판독하는 일 없이, 상기 제 2영역에 저장된 상기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직접 판독하여 상기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7. The encod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coder is configured to store a coded voice signal in a second area of the transmission-side memory, and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does not read coded voice signals stored in other memory areas. And directly read the coded voice signal stored in the second area and transmit the coded voice signal on the communication line.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회선에 연결되어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단말장치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전송부와 수신부를 포함하며,A terminal device of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connected to a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voice data,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상기 전송부는, 음집기로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부와,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가지는 데이터부를 각각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인코더,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수신부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수신측 메모리, 상기 수신측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전송부의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단말장치.The transmission unit sequentially receives data from a sound collector to sequentially generate a data packet including a header unit and a data unit each having a coded voice signal, and the data packet sequentially on the communication line. And a voice signal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wherein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ransmit th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receiving unit includes voice data including a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Receiving memory sequentially storing the data, a converting unit for sequentially searching the packet data stored in the receiving memory, decoding a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a voice message according to the decoded analog voice signal. 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wherein the converting unit And said voice signal outputting section of the transmitting section retrieves the received data packet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qual to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의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단말장치.9. The terminal of a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voice signal output unit of said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transmit said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timer control means.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의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단말장치.10. The terminal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converting unit of the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retrieve,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 received data packet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by a timer control means. .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되고, 각각이 음성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수신측 메모리, 상기 수신측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패킷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구비하는 음성데이터 수신장치로서, 상기 변환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검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수신장치.A receiving side memory sequentially receiving data packets each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line, each of which contains voice data, and sequentially retrieving data of the packets stored in the receiving side memory, and decoding the audio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 voice data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nd 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message in accordance with the decoded analog voice signal, wherein the converting unit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memory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by a timer control means. An apparatus for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ized in that for retrieving a data packet. 음집기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송측 메모리, 상기 전송측 메모리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헤더부와,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가지는 데이터부를 각각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인코더, 및 상기 통신회선상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전송측 메모리의 제 1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음성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제 1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코드화된 음성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제 2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 2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직접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장치.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voice data received from a sound collector into digital data, a transmission side memory storing the digital data, and sequentially searching for the digital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side memory, a header unit and a coded audio signal An encoder for sequentially generating data packets each having a data portion having a; and a voice signal output portion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on the communication line, wherein the digital data is located in a first memory area of the transmission side memory. A voice data transmission device configured to be stored in a second memory area, wherein the encoder directly reads digital data stored in the first area to generate the data packet and stores the data packet including a coded voice signal in a second memory area. The voice signal is stored in the Power unit voice data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adapted to transmit the data packet by reading the packet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rea directly to the communications time lin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는 타이머 제어수단에 의해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 전송장치.13. The voice data transmission device as claimed in claim 12, wherein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timer control means. 음집기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검색하고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인코드된 데이터를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데이터의 전송 방법.Converting the analog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collector into digital data, storing the converted digital data in a memory, retrieving and encoding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predetermined intervals of encoded data And transmitting the data on the communication line.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음성 메세지를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통신회선으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다른 처리에 우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패킷의 데이터를 타이머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검색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드된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 메세지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of receiving voice data and reproducing a corresponding voice message, the method comprising: sequentially storing a data packet including voice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line in a memory, the data of the packet stored in the memory in advance of other processing; Retriev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sing a timer control means, decoding a voice signal,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reproducing a voice message according to the decoded analog voice signal. Method comprising a.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If there is input voice digital data in the memory, reading the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encoding the read voice digital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nd at least part of a record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that is repeatedly executed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소정의 일정간격으로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을 판독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내의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When the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in the memory, the processor controls the computer to read the input voice data packet from the memor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o repeatedly decode the voice data in the data packet.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cords of the program data.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통신회선상에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소정의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가지며,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메모리로부터 음성데이터 패킷을 판독하고, 패킷내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레코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If there is input voice digital data in the memory, reading the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encoding the read voice digital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It has a record of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that is repeatedly execu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when an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in a memory from a communication line, the same time interval as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record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that reads a voice data packet from the memory and repeatedly decodes the voice data in the packet.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소정의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매체.If there is input voice digital data in the memory, reading the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encoding the read voice digital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 transmission mediu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perform repeatedly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을 소정의 일정 시간 간격으로 판독하고, 패킷내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매체.When the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in the memory, the processor controls a processor of the computer that reads the input voice data packet from the memor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repeatedly decodes the voice data in the packet. A transmission mediu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gram data.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통신회선상에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소정의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상기 소정의 일정간격과 동일한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메모리로부터 음성데이터 패킷을 판독하고, 패킷내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매체.If there is input voice digital data in the memory, reading the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encoding the read voice digital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Whe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that is repeatedly execu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s transmitted, and an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line in a memory, the same as the predetermined schedule interval.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that reads a voice data packet from the memory at regular intervals and repeats decoding the voice data in the packet. media. 반송파에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신호는,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통신회선상에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방법.A method of transmitting program data on a communication line, comprising: providing a signal to a carrier, wherein the signal reads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when the voice data is input to the memory; Encoding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representing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which repeatedly execut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 반송파에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신호는,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을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판독하고, 패킷내의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방법.A method of transmitting program data on a communication line comprising providing a signal to a carrier, wherein the signal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voice data packet from the memory when an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And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 processor of a computer which reads at regular intervals and repeats decoding the voice data in the packet. 반송파에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상에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신호는, 메모리에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음성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통신회선상에 상기 음성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통신회선으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이 메모리에 수신된 경우, 메모리로부터 입력 음성데이터 패킷을 상기 소정의 일정 시간 간격과 동일한 일정 시간간격으로 판독하고, 패킷내의 음성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컴퓨터의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전송방법.A method of transmitting program data on a communication line, comprising: providing a signal to a carrier, wherein the signal reads input voice digital data from the memory when the voice data is input to the memory; Encodes data to form a voice data packet, and controls a processor of a computer that repeatedly execut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voice data packet on a communication line, and when the input voice data packet is received in the memory from the communication line, At least a portion of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which reads an input voice data packet from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qual to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repeatedly decodes the voice data in the packet. Having program Transmission method of the emitter.
KR1020017008582A 1999-03-31 2000-03-31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KR200101014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9199 1999-03-31
JPJP-P-1999-00094291 1999-03-31
PCT/JP2000/002078 WO2000059166A1 (en) 1999-03-31 2000-03-31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401A true KR20010101401A (en) 2001-11-14

Family

ID=1410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582A KR20010101401A (en) 1999-03-31 2000-03-31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63767A1 (en)
KR (1) KR20010101401A (en)
CN (1) CN1342358A (en)
AU (1) AU3457500A (en)
WO (1) WO200005916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031A (en) 2000-08-04 2002-02-15 Nec Corp 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system
WO2002080126A2 (en) * 2001-03-30 2002-10-10 Hill-Rom Services, Inc. Hospital bed and network system
GB2377865B (en) * 2001-04-07 2004-04-28 Bob Tang Eliminating latency introduced by IP packet/ATM cell/Ethernet frame (etc..) header in transmitting periodic data over the internet
WO2004056064A1 (en) * 2002-12-17 2004-07-01 Bob Tang Early despatch of packet header to overcome transmission latency when sending video or audio over the internet
CN100454762C (en) * 2003-03-17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shortening coding-decoding synchronous time delay
JP4880209B2 (en) 2004-07-28 2012-02-2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Packet transmission control method, packet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packet transmission control program
US9911476B2 (en) 2013-05-14 2018-03-0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data processing
CN104158834B (en) * 2013-05-14 2016-11-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that speech data is processed
JP2015106794A (en) 2013-11-29 2015-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ound data communication program, terminal device, and sound data communication method
JP2015106768A (en) 2013-11-29 2015-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121914A (en) * 2014-07-25 2014-10-29 广东翼卡车联网服务有限公司 Method for transmitting navigation data by IP (Internet Protocol) telephone data channel as well as navig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6927C (en) * 1994-02-24 1999-01-26 Sidhartha Maitra Noncompress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over modem for a computer-based multifunctio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6487200B1 (en) * 1996-04-04 2002-11-26 At&T Corp. Packet telephone system
US5668738A (en) * 1996-05-31 1997-09-16 Intel Corporation Dynamic idle aggregation i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3767A1 (en) 2001-12-19
WO2000059166A1 (en) 2000-10-05
AU3457500A (en) 2000-10-16
CN1342358A (en)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274B1 (en) Apparatus for transfering lo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RE40778E1 (en) Mobile radio telephone capable of recording/reproducing voice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453897B2 (en) Network media playout
JP3881157B2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voice processing apparatus
RU99121408A (en) MOBILE PHONE WITH CONTINUOUS RECORDING
US7142525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JP20071747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bandwidth utilization in packet telephony system
JP38964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digital signal in a storage element
EP0963651B1 (en) Apparatus for storing voice messages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KR20010101401A (en) System to transmit voice data over a packet network
JP3600567B2 (en) Video distribution device
JP2003101662A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270024A (en) Method for exchanging capability of frame packet processing size in internet phone, terminal utilizing internet phone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of internet phone
JP4862262B2 (en) DTMF signal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device,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0349824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voice data
JP2000059471A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net telephone communication and recording medium with its program relorded therein
KR10061782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uto answering
US6704306B1 (en) Voice message service method for multimedia internet protocol system
WO1999066703A1 (en) Voice messaging system
JP3172774B2 (en) Variable silence suppression controller for voice
KR100927289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packet
JP3492561B2 (en) Communication voice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voice processing program
KR100537542B1 (en) Apparatus for regenerating MP3 files in a car audio system
JP2000059431A (en) Voice transmission method and voice transmission terminal
JPH09326802A (en) Voice signal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