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273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 Google Patents

Personal Digital Assist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273A
KR20010098273A KR1020000023119A KR20000023119A KR20010098273A KR 20010098273 A KR20010098273 A KR 20010098273A KR 1020000023119 A KR1020000023119 A KR 1020000023119A KR 20000023119 A KR20000023119 A KR 20000023119A KR 20010098273 A KR20010098273 A KR 2001009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main body
unit
casing
port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효근
Original Assignee
이효근
(주)대송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근, (주)대송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이효근
Priority to KR102000002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8273A/en
Publication of KR2001009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27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의 제어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 디지털 데이터 통신부를 갖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근거리 무선 송수신하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독립된 송수화기 케이싱, 상기 송수화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한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화부 및 수화부를 갖는 송수화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착탈 가능한 송수화기를 구비하여 전화 통화 기능도 수행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casing, a control unit in the main body casing, a memory,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nd a wireless digital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n the main body casing; A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casing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ler; A handset unit having a handset casing independent from the main body casing, a handset side radio interface installed inside the handset casing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and a handset and a hands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through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As a result,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 detachable handset to perform a phone call function.

Description

휴대형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발명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 가능한 송수화기를 장착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etachable handset.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 휴대형 기기는 하나의 기기에 여러 가지 다른 기능의 기기들이 복합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요즘 들어 인터넷 이용이 증대되고 데이터 통신이 발전하면서 휴대형 기기에 정보 통신 기능을 부가한 제품들이 많다. 이와 같은, 기능 복합적인 휴대형 기기들 중 한가지로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통신 기능을 부가한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rtable devices are currently being combined with devices of different functions in one device. In particular, with the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many products have added information communication functions to portable devices. As one of such functional handheld portable devices, a number of products that add communication functions to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have been introduced.

통상적으로 휴대형 정보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오가나이저(organizer)와 같은 휴대형 기기로서 각종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기능은 제조 업체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 전송 기능, 디지털 방식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브라우저 등과 같은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는 핸드헬드(Handheld)PC, 팜탑(Palmtop)PC, PDA등에 통신 기능을 부가한 이동형 컴퓨터 등이 있다.Typically,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an organizer, and can use various applications. Although the functionality 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that can communicate varies slightly from manufacturer to manufacturer, they are essentially identical in that they must have features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a web browser for digital Internet access. Such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include handheld PCs, Palmtop PCs, and mobile computers that add communication functions to PDAs.

하지만, 종래의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통해 통신을 할 때에는,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뎀에 이동 전화기를 케이블로 연결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휴대형 정보 단말기 자체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은 가능하지만 휴대 전화의 음성 통화 기능은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communicating through a conventi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 is a hassle to use a cabl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the modem mounted inside the terminal. Even when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but the voice call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is not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단말기 본체와 근거리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고, 착탈 가능한 송수화기를 장착함으로써, 음성 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by attaching a detachable handset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terminal body in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외관 구조도,1 is an ex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 실시 예의 단말기 본체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body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일 실시 예의 송수화기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handset of an embodiment;

도 4는 다른 실시 예의 단말기 본체의 블록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body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는 다른 실시 예의 송수화기의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handset of another embodiment;

도 6은 다른 실시 예의 송수화기 외관 구조도 이다.6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the handset of another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단말기 본체 12: 디스플레이부10: terminal body 12: display unit

16: 카메라 17: 카메라 렌즈16: camera 17: camera lens

22: 안테나 50: 송수화기22: antenna 50: handset

62: 송화기 64: 수화기62: handset 64: handset

66: 마이크 100: 전자펜66: microphone 100: electronic pen

24: 통신부 26: 입력부24: communication unit 26: input unit

28: 카메라부 30: 주제어부28: camera unit 30: main control unit

32: 메모리 34: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2: memory 34: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6: 출력부 38: 디지털 프로세서36: output unit 38: digital processor

70: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72: 듀플렉서 74: 수신부72: duplexer 74: receiver

76: 송신부 78: 오디오부76: transmission unit 78: audio unit

80: 제어부 82: 키입력부80: control unit 82: key input unit

84: 표시부 86: 버퍼 메모리84: display unit 86: buffer memory

90: 수화부 92: 송화부90: receiver unit 92: transmitter unit

52: 표시창 54: 키패드52: display window 54: keypad

56: 선택 버튼 60: 컨넥트 버튼56: Select Button 60: Connect Butt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의 제어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 디지털 데이터 통신부를 갖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근거리 무선 송수신하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독립된 송수화기 케이싱, 상기 송수화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측 무선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한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화부 및 수화부를 갖는 송수화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ain body casing, a control unit in the main body casing, and a memory,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nd a wireless digital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n the main body casing. A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provided within the main body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 handset unit having a handset casing independent from the main body casing, a handset side radio interface installed inside the handset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and a handset and a hands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through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It is achieved by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어 화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카메라를 장착 할 수도 있다.Here, the camera may be mounted to the main body casing to provide an image signal to the controller.

한편, 상기 송수화기 유니트는, 상기 송수화기 케이싱의 표면에 마련된 다수의 키 입력부와, 표시창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송화기 및 수화기와 표시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송,수화 기능 외에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handse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key input unit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handset casing, a display window,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put signals from the key input unit and controls the handset, the handset, and the display window. In addition to function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more functions.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정보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송수화기(50), 전자펜(100)을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10, a handset 50, and an electronic pen 100.

판상의 단말기 본체(10) 표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는 정보를 출력하는 LCD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읽어 내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에 전자펜(100)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이에 따른 출력을 LCD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shaped terminal body 10. Here, the display unit 12 preferably uses a touch screen composed of an LCD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a touch panel for reading input information of a user.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red information with the electronic pen 100 on the touch panel,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output according to the LCD.

여기서, 전자펜(100)은 단말기 본체(10)의 일 측면에 착탈 가능하다.Here, the electronic pen 100 is detachable to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0.

또한, 단말기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카메라(16)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상시에는 카메라 렌즈(16)가 전방을 향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카메라 렌즈(17)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10) 케이싱의 일부분을 단말기 전면 쪽 연부를 중심으로 180°회동하여 상향 돌출시키면, 사용자를 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camera 16. Normally, the camera lens 16 faces forward, but if necessary, a part of the casing main body 10 including the camera lens 17 is rotated 180 ° about the front edge of the terminal, and upwardly protruded. You can also face.

도 1에 도시된 송수화기(50)는 일 단면에 수화기(64)가 구비 되어 있고, 타 단에 송화기(62)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음성 통신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다.The handset 50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handset 64 at one end and a handset 62 at the other end, and can be used when a user performs voice communication.

여기서, 송수화기는 이어마이크 등의, 송수화 기능을 가진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Here, the handset can be any device as long as it has a handset function, such as an ear microphone.

도 2와, 도 3은 상기한 외관의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기능을 계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 본체(10)의 기능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12)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26)와, 입력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36)와, 이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30)를 포함한다. 주제어부(30)는 입력부(26)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요구된 데이터를 메모리(32)에서 출력하여 출력부(36)로 전달한다. 여기서 메모리(32)는 주제어부(30)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사용자가 저장해 놓은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2 and 3 show schematic block diagrams of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appearance.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ain body 10, which includes an input unit 26 for receiving input from the display unit 12, an output unit 36 for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an input signal, and controlling them. The main control part 30 is included. The main controller 30 processes the signal from the input unit 26 to output the requested data from the memory 32 to the output unit 36. In this case, the memory 32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30, and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erminal to operate and information stored by the user.

주제어부(30)는 또한, 안테나(22)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24)를 제어하여 디지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통신을 요구하는 신호가 입력부(26)로 전달되면 주제어부(30)는 통신부(24)를 제어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안테나(22) 및 통신부(24)를 통해 출력부(36)로 전달됨으로써 디지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The main controller 30 also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4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data via the antenna 22 to enable digital communication. When a signal for requesting digital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put unit 26, the main controller 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4 to transmit and receive digital data. The receiv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36 through the antenna 22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 to enable digital communication.

주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디지털 프로세서(38)는 통신부(24)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프로세서(38)에서 변조된 음성 신호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송수화기(50)로 전송된다.The digital processor 38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30 performs a function of modulating a digit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 into a voice signal. The voice signal modulated by the digital processor 38 is transmitted to the handset 50 via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또한, 디지털 프로세서(38)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통신부(24) 및 안테나(22)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음성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processor 38 modulates a user's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antenna 22 to enable voice data communication. .

도 3은 송수화기(50)의 기능을 계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송수화기(50)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와,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72)와, 듀플렉서(72)와 연결된 송화부 및 수화부를 포함한다.3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ity of the handset 50. As shown, the handset 50 includes a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a duplexer 72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and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connected to the duplexer 72. It includes.

여기서, 수화부(90)는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로 들어온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Here, the receiver 90 functions to transmit a voice signal coming into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70 through a speaker so that a user can hear it.

한편, 송화부(92)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듀플렉서(72) 및 송수하기 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talker 92 transmits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through the duplexer 72 and the transmitting side radio interface 70.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단말기 본체(10)에 전원이 인가되면, 메모리(32)에 저장되어있는 운용 프로그램에 따라 주제어부(30)가 출력부(36)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의 터치 스크린에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전자펜(100)으로 선택함으로써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erminal body 1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in controller 30 operates on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 through the output unit 36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2. Displays a menu to select the mode. The user can use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for a desired purpose by selecting the menu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the electronic pen 100.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시되는 전화기용 표시창을 이용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부(12)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부(26)로 입력된 전화 번호 신호는, 주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통신부(24)에서 안테나(22)를 통해 송신됨으로써 전화 걸기가 가능하다. 한편, 전화 통화시, 송화부(92)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송화부(92)에서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조되어 듀플렉서(72) 및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송신된다.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디지털 프로세서(38)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조되어 통신부(24) 및 안테나(22)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전화 통화를 하는 상대방의 디지털 신호는 단말기 본체(10)의 안테나(22) 및 통신부(24)를 통해 수신되어, 주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프로세서(38)에서 음성 신호로 변조된 후,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로 전송된다.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듀플렉서(72)를 거처, 수화부(90)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송출됨으로써,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the user inputs a telephone number using the display window for the telephon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The telephone number signal input to the input unit 26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 can be dialed by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22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4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0. On the other hand, during a phone call,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transmitter 92 is modulated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by the transmitter 92 so that the main body side radio is transmitted through the duplexer 72 and the handset side radio interface 70. Is sent to interface 34.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coming in through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is modula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digital processor 38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antenna 22. The digital signal of the other party making a phone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2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 of the terminal body 10, and modulated into a voice signal by the digital processor 38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0. It is transmitted to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throug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is transmitted to the user via the speaker of the receiver 90 through the duplexer 72, thereby enabling a telephone call.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기능을 계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와 비교해 보면, 단말기 본체(10)의 디지털 프로세서(38)의 기능이 도 5의 송수화기(50)로 이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4 and 5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of functions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of the digital processor 38 of the terminal body 10 is transferred to the handset 50 of FIG. 5.

도 4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본체의 기능 블록도로서, 입력을 받는 입력부(26)와 입력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36)와, 이들을 제어하는 주제어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22)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4)와, 송수화기와의 통신을 위한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더 포함함으로써, 일반 디지털 통신은 물론, 송수화기(50)와의 통신도 가능하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ain body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ich includes an input unit 26 for receiving input, an output unit 36 for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an input signal, and a main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m. In addition, by furthe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24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signals from the antenna 22 and a main body-side wireless interface 34 for communication with the handset, communication with the handset 50 as well as general digital communication is also possible. It is possible.

통신부(24)에서 수신된 디지털 신호는 주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송신된다. 송수화기(50)에서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전달된 디지털 신호도, 주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4)를 통해 상대방에게 송신함으로써 음성 통신이 가능하다.The digital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4 is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0.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andset 50 to the main body side radio interface 34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0.

또한, 주제어부(30)는 송수화기(5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송수화기(50)로 링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notifying that the call is received by transmitting a ring signal to the handset 50 throug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before transmitting data to the handset 50.

도 5는 송수화기(50)의 기능을 계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송수화기(50)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와, 듀플렉서(72), 송신부(76), 수신부(74), 오디오부(78)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도시된 오디오부(78)는 송신할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조하는 기능을 한다. 오디오부(78)와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66)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수화기(64)는 오디오부(78)에서 변조된 음성 신호를 송출한다.5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ity of the handset 50. As shown, the handset 50 includes a handset-side air interface 70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a duplexer 72, a transmitter 76, a receiver 74, and an audio unit 78. And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m. The illustrated audio unit 78 modulates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modulates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e microphone 66 connected to the audio unit 78 receives a user's voice, and the receiver 64 transmits a voice signal modulated by the audio unit 78.

또한, 오디오부(78)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링거의 기능도 수행 할 수있다.In addition, the audio unit 78 may also perform a ringer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에서 송신한 디지털 신호는,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 및 듀플렉서(72)를 통해 제어부(80)의 제어를 받는 수신부(74)에 수신되어 오디오부(78)에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조되어 수화부를 통하여 송출된다.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side radio interface 34 is received by the receiver unit 7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through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and the duplexer 72, and the user of the audio unit 78 receives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unit 78. It is modulated into audible voice signal and sent out through the receiver.

마이크(66)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부(78)에서 무선 데이터로 변조되어 송수화기 제어부(80)의 제어를 받는 송신부(76)에서, 듀플렉서(72)와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송신된다.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6 is modulated into radio data by the audio unit 78 and is controlled by the handset control unit 80 to control the duplexer 72 and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70. Via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여기서, 제어부(80)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부터 링신호가 발생할 때, 수신부(74)를 통해 링신호를 감지한 후, 오디오부(78)의 링거를 통해 송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전화가 왔음을 알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80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detecting a ring signal through the receiver 74 and transmitting the ring signal through the ringer of the audio unit 78 when a r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 The user may know that a call has arrived.

또한, 송수화기(50)는 제어부(8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 버퍼 메모리(86)를 더 포함함으로써, 음량 조절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set 5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ory 86 stor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controller 80, thereby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volume control.

상기한 기능에 따른 송수화기의 외관은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송수화기(50)는 케이싱 표면에,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창(52)과, 키패드(54)와, 표시창(52)에 표시된 메뉴의 선택과 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선택 버튼(56)이 설치되어 있다.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선택 버튼(56)과 키패드(54)를 조합하여 부가기능을 지원하는 효과버튼(미도시)을 송수화기 일 측면에 더 설치함으로써 더 많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송수화기 케이싱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컨넥트 버튼(60)은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단말기 본체(1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The appearance of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above function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The handset 50 shown in FIG. 6 has a display window 52 showing an operation state on the casing surface, a keypad 54, and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56 for selecting and adjusting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52. FIG. Is installed. By combining the select button 56 and the keypad 54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 effect button (not shown) supporting additional functions may be furth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dset to perform more functions. The connect button 6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set casing allows the user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body 10 when making or receiving a phone call so that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또한 송수화기(50) 일단부에는 수화기(64)가 구비되어 있고, 타 단에는 송화기(62)가 설치되어 있다. 송화기(62)는 송수화기(50)의 곡선에 맞추어 완만한 굴곡을 가진 스틱형상을 하고 있고, 송화기(62) 끝부분에는 마이크(66)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평상시 송화기(62)는 송수화기(50) 본체의 홈에 밀착시켜 놓았다가, 전화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송수화기(50) 본체를 중심으로 180°회동하여 하향 돌출 시키면 사용자가 송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송수화기(5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서, 휴대하는데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set 6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set 50, and a handset 6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 handset 62 has a stick shape having a gentle bend according to the curve of the handset 50, and a microphone 66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andset 62 to receive a user's voice. Normally, the handset 62 keeps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handset 50, and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phone call, the user can make a call by rotating 180 ° around the handset 50 and rotating downward. Such a shape can reduce the size of the handset 50, and can be convenient to carry.

이러한 구성에 따른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송수화기(50)를 단말기 본체(10)에서 탈착하여 사용한다. 송수화기(50) 케이싱 홈에 밀착되어 있는 송화기(62)를 회동하여 하향 돌출 시킴으로써, 송화기(62)의 마이크(66)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편한 곳에 위치하도록 한 후 송수화기(50) 일측에 구비된 컨넥트 버튼(60)을 누른다. 컨넥트 버튼(60)을 누르면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와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표시창(52)에는 전화를 걸 수 있다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전화를 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키패드(54)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키패드(54)에 입력한 전화번호는 제어부(80)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84)에 의해 표시창(52)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80)의 제어를 받는 키입력부(82)로 전화번호 신호가 입력되어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전달된다. 단말기 본체(10)에서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수신한 전화번호 신호를 통신부(24) 및 안테나(22)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전화 걸기가 가능하다.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using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handset 50 is detached from the terminal body 10 and used. The handset 50 is rotated and protruded downward by closely contacting the handset 6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sing groove, so that the microphone 66 of the handset 62 is positioned at a place where a user's voice is easily input, 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set 50. The connected button (60). When the connect button 60 is pressed, communication between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70 and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is enabled, and the display window 52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can be made. After confirming that the user can make a call, the user inputs a telephone number using the keypad 54. The telephone number input to the keypad 54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52 by the display unit 8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In addition, the telephone number signal is input to the key input unit 8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and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through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In the terminal main body 10, the telephone number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can be dia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 and the antenna 22. FIG.

사용자가 입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에는, 송수화기(50) 일 측면에 구비된 효과 버튼(미도시)을 누른다. 효과 버튼의 전화번호부 요구신호는 키입력부(82)를 거처,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76)로 전달된다. 송신부(76)는 듀플렉서(72)및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전화번호부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주제어부(30)에 전달된 전화번호부 요구신호에 따라, 주제어부(30)는 메모리(32)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정보를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로 송신한다. 제어부(80)는 송신된 전화번호부 정보를 표시부(84)를 통해 표시창(52)에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는 표시창(52)에 표시된 전화번호 목록을 선택 버튼(56)으로 선택함으로써,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using the input telephone number, the user presses an effect button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andset 50. The phone book request signal of the effect button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unit 76 via the key input unit 82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The transmitting unit 76 transmits the phone book request signal to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through the duplexer 72 and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According to the telephone book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30 throug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the main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phone book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2 throug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To the side air interface 70. The controller 80 outputs the transmitted phonebook information to the display window 52 through the display unit 84. The user can call the stored telephone number by selecting the telephone number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52 with the selection button 56.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0)의 주제어부(30)가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로 링신호를 보낸다.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수신된 링신호를 감지한 제어부(80)는 오디오부(78)의 링거를 통해 벨소리를 송출하고, 표시부(84)를 통해 표시창(52)에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송수화(50)기의 컨넥트 버튼(60)을 눌러 전화를 받을 수 있다.When a call is received, the main controller 30 of the terminal body 10 sends a ring signal to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70 through the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The controller 80, which detects the r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70, transmits a ring tone through the ringer of the audio unit 78, and indicates that a call is received by the display unit 52 through the display unit 84. Display a message. At this time, the user can answer the call by pressing the connect button 60 of the handset 50.

전화통화시, 마이크(66)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오디오부(78)에서디지털화되어 송신부(76)에 전달된다.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은 송신부(76)는 듀플렉서(72) 및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로 신호를 송신한다.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디지털 신호는 주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통신부(24)에서, 안테나(22)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전화통화를 하는 상대방의 디지털 신호는 단말기 본체(10)의 안테나(22) 및 통신부(24)를 통해 수신되어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34)에서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70)로 전달된다. 송수화기(50)는 전달받은 상대방의 디지털 신호를 듀플렉서(72) 및 수신부(74)를 거처 오디오부(78)로 전달한다. 오디오부(78)에서는 상대방의 디지털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수화기(64)로 송출함으로써 전화통화가 가능하다.In the telephone call,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6 is digitized in the audio unit 78 and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76. The transmitter 76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body side wireless interface 34 through the duplexer 72 and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The digital signal of the user received throug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hrough the antenna 22 in the communication unit 24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0. The digital signal of the other party making the telephone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2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 of the terminal main body 10 and transferred from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34 to the handset side air interface 70. The handset 50 transmits the received digital signal of the other party to the audio unit 78 via the duplexer 72 and the receiver 74. The audio unit 78 converts the digital signal of the other party into a voice that can be heard by a human being and sends it to the handset 64 to make a telephone cal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정보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착탈 가능한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o conveniently make a telephone call using a detachable handset,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Claims (3)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의 제어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 디지털 데이터 통신부를 갖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ain body casing, a control unit in the main body casing, and a memory,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nd a wireless digital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n the main body casing,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근거리 무선 송수신하는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와;A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casing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독립된 송수화기 케이싱, 상기 송수화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측 무선 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한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송수화기측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화부 및 수화부를 갖는 송수화기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A handset unit having a handset casing independent from the main body casing, a handset side radio interface installed inside the handset casing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side air interface, and a handset and a hands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through the handset side wireless interfac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어 화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And a camera installed in the main body casing to provide an image signal to th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화기 유니트는, 상기 송수화기 케이싱의 표면에 마련된 다수의 키입력부와, 표시창과, 상기 키 입력부로 부터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송화부 및 수화부와 표시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The handset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key input unit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handset casing, a display window,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input signals from the key input unit and controls the talker, the handset, and the display window.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20000023119A 2000-04-29 2000-04-29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100982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19A KR20010098273A (en) 2000-04-29 2000-04-29 Personal Digital Assist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19A KR20010098273A (en) 2000-04-29 2000-04-29 Personal Digital Assist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273A true KR20010098273A (en) 2001-11-08

Family

ID=1966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119A KR20010098273A (en) 2000-04-29 2000-04-29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82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74B1 (en) * 2004-01-08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74B1 (en) * 2004-01-08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EP2389754A1 (en) A headset system with two user interfaces
JP2001136251A (en) Folding portable telephone system
JP405651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EP2469819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producing music file
JP200328369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0290490A (en) Multi-function earphone
KR100630127B1 (en) Folder-type radiotelephone with sub display unit and driving method of the sub display unit
KR101638924B1 (en) Electronic Device
KR2001005880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KR20010098273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594015B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uxiliary display of mobile phone
KR100716896B1 (en) Wireless mouse embodying method of wireless handset using voice terminal with bluetooth usb dongle and system thereof
KR100374565B1 (en) Ear-microphon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KR2007010861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50038908A (en) Bluetooth PTT terminal device and bluetooth PTT system having the same
JP3767219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3663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KR101153331B1 (en) Method For Calling Using Head set in Mobile Phone
JP3204262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s
KR1007033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wireless terminal in external device
KR20050110144A (en) Home bluetooth handsfree with charger function for wireless phone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200305251Y1 (en) Apparatus Receiving Sound having receiving selection means between speaker and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