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561A - bay system for device - Google Patents

bay system f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561A
KR20010094561A KR1020000016939A KR20000016939A KR20010094561A KR 20010094561 A KR20010094561 A KR 20010094561A KR 1020000016939 A KR1020000016939 A KR 1020000016939A KR 20000016939 A KR20000016939 A KR 20000016939A KR 20010094561 A KR20010094561 A KR 2001009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se
force
connecting plat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1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4561A/en
Publication of KR2001009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56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bay system is provided to increase convenience of a user by easily mounting and exchanging a device by a choosing of the user. CONSTITUTION: An opening part(131) is formed at a front surface of a case(100). A device(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131). A tray(200) is movably mounted on the case(100). The device(1) is mounted on the tray(200). The controller locks the tray(200) by operating the main button(320) by inserting he device(1), While the controller unlocks the tray(200) by discharging the device(1). A conveying assembly(400) transfers force to the tray(200), and the force performs transfer toward the opening part(131). A guiding unit changes the force into a straight force so that the tray(200) performs to be rectilinear motion. The guiding unit guides a moving of the tray(200). When the device(1) inserts into the opening part(131) of the case(100), the device(1) is mounted on the tray(200) which is positioned in the case(100).

Description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bay system for device}Bay system for 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등의 장치의 하드드라이브나 CD-ROM, 또는 디스켓 드라이브 등이 내장된 디바이스를 장치의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설치된 디바이스 베이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의 디바이스 착탈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bay, and in particular, a device bay detachable structure for detaching a device having a hard drive, a CD-ROM, or a diskette drive, such as a computer, from a device bay installed in a main body or a monitor of the devi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의 장치에는 하드드라이브(HDD)나 디스켓 드라이브 또는 CD-ROM 등이 설치되어 이용되는데,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컴퓨터 등의 본체 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바, 사용자는 장치의 교체나 고장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장치들을 본체에서 제거하는 경우는 드물었다.Generally, a hard drive (HDD), a diskette drive, or a CD-ROM is installed and used in a device such as a computer. Conventionally, such devices are used by being fixed in a bay fixedly installed in a main body of a computer. Except for replacement or failure of the device, the device is rare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한편, 컴퓨터의 보급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그 용량 및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특히 디스켓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이용되고 있는 디스켓들은 그 저장 용량이 매우 적으므로 단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많은 수의 디스켓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spread of computers and advances in technology, the capacity of software used in computers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the capacity and range of use of such devices are limited, especially when using diskettes. Since the diskettes used are very small in storage capacity, there is a problem of using a large number of diskettes even when only one program is to be stored.

따라서, 근래에는 하드드라이브와 같이 저장용량이 큰 보조기억장치, 또는 CD-ROM등 디스켓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를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베이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so-called devices that can be used as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rive or a diskette such as a CD-ROM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ly, a bay for freely mounting such a device to a main body or a monitor has been developed. This needed to be done togeth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근거하여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 등의 전자장비에 이용되는 디바이스를 간단한 조작으로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의 디바이스 착탈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device detachable structure of a device bay for easily detaching a device used in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computer by a simple operation. There is a purpo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b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일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2 is a partially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oupled state of the device b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에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is inserted into the device b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4A and 4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ten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디바이스 100: 케이스1: device 100: case

131: 개방부 200: 트레이131: opening 200: tray

221: 절편 320: 주버튼221: intercept 320: main button

321: 발광다이오드(LED) 341: 케이스 돌기321: light emitting diode (LED) 341: case projection

342: 주버튼 탄성돌기 351: 보조버튼342: main button elastic projection 351: auxiliary button

353a: 보조버튼 탄성부 353b: 케이스 절편353a: auxiliary button elastic portion 353b: case section

400: 이송장치 410: 고정바(Bar)400: feeder 410: fixed bar

420: 제1 연결판 430: 제2 연결판420: first connecting plate 430: second connecting plate

431: 브라켓 440: 이송바431: bracket 440: transfer bar

450: 레버 461: 트레이 절곡부450: lever 461: tray bent portion

462: 케이스 걸림돌기 463: 스프링462: case jam 463: spring

441: 트레이 가이드 442: 가이드 레일441: tray guide 442: guide rail

442a:홈442a: ho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전면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트레이와; 디바이스 삽입시 주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se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the front portion to insert the device; A tray movably mounted in the case and simultaneously seating the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locking the tray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button when the device is inserted, and for unlocking the tray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이와 더불어,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이송되도록 상기 트레이에 힘을 전달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트레이가 직선운동되도록 상기 힘을 직선력을 바꾸어주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tray to transfer the device to the opening of the case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It provides a device bay system comprising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y by changing the linear force to force the tray to move linearly.

상기 내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o describe the above content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일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에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b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device b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vice b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a device is inserted in.

그리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A and 4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t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member, Figure 7a and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진다.As shown in FIG. 1, the device bay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디바이스(1)가 삽입되도록 전면부에 개방부(131)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트레이(200)와; 디바이스 삽입시 주버튼(3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A case 100 having an opening portion 131 formed at a front portion thereof to insert the device 1 therein; A tray 200 that is movably mounted in the case and at which the device is seated; And a control device for locking the tray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button 320 when the device is inserted, and unlocking the tray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이와 더불어,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로 상기디바이스(1)가 이송되도록 상기 트레이(200)에 힘을 전달하는 이송장치(400)와; 상기 트레이가 직선운동되도록 상기 힘을 직선력을 바꾸어주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400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tray 200 so that the device (1) is transferred to the opening 131 of the case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It comprises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y by changing the linear force to force the tray to move linearl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The device bay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첫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삽입시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device is inserted.

상기 디바이스(1)를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부(131)로 삽입하면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한 트레이(200)에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된다.When the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31 of the case 100, the device is seated on the tray 200 located in the case.

그 후, 상기 디바이스(1)를 계속해서 밀게되면 상기 디바이스의 플러그(plug, 도시생략)가 상기 베이 시스템에 고정된 리셉터클 유닛(receptacle unit, 도시생략)에 삽입되어(삽입길이 3mm)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베이 시스템에 장착된다.Subsequently, when the device 1 is continuously pushed, a plug of the device is inserted into a receptacle unit (not shown) fixed to the bay system (insertion length 3 mm) and the device is Mounted on the bay system.

둘째, 디바이스 취출시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Second,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제어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제어장치에 록킹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200)를 언록킹시킨 후, 상기 이송장치(400)를 동작시키면(이송장치의 동작은 후술한다),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력을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가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수단(안내수단의 구성은 후술한다)에 의해 상기 이송력은 직선력으로 바뀌어, 상기 트레이는 직선이동됨과 더불어, 상기 트레이에 안착된 디스바이스(1)는 상기 개방부(131)로 나오게된다.After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to unlock the tray 200 locked to the control device, and then operating the transfer device 400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ransfer force by the transfer device The tray is transported by receiving the tray. At this time, the conveying force is changed to a linear force by the guide means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tray is linearly moved, and the device 1 mounted on the tray 1 ) Comes out to the opening 131.

한편, 도 1,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2, 4a and 4b,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케이스(100) 배면측에 위치한 리퀘스트 스위치(310)와,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를 눌러주는 상기 주버튼(3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주버튼의 끝단에 내장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록킹수단에 대해 록킹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LED, 321)와, 주버튼 조작 후, 상기 주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tray 200 by the operation of the request switch 310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case 100, the main button 320 for pressing the request switch, and the main A light emitting diode (LED) 321 mounted at the end of the button to indicate whether the tray is locked to the locking means, and first return means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main button is in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main button is opera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첫째,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First, when the device is inserted, the control devic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상기 디바이스(1)를 케이스의 개방부(131)에 삽입한 후, 상기 디바이스를 계속 밀게되면 상기 트레이(200)는 상기 록킹수단에 억지 록킹되고, 이때 전기적으로 록킹수단과 연결된 상기 발광다이오드(321)가 발광하여 상기 트레이가 록킹되었는제 언록킹되었는지를 소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된다.After inserting the device 1 into the opening 131 of the case, if the device is continuously pushed, the tray 200 is forcibly locked to the locking means,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3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cking means. ) Is illuminated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tray is unlocked.

둘째,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Second,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the control devic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상기 주버튼(320)의 일단을 누르게되면, 상기 주버튼은 전진하여 상기 주버튼의 타단이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310)를 누르게된다.When one end of the main button 320 is pressed, the main button is advanc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utton presses the request switch 310.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310)가 눌리면 전원의 전류가 상기 록킹수단으로 인가되어 상기 록킹수단은 작동되고(록킹수단의 작동은 후술한다) 그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는 언록킹된다.When the request switch 310 is pressed, a current of power is applied to the locking means so that the locking means is activated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tray 200 is unlocked by the operation.

한편, 도 1,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의 구성인 상기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2, 4a, and 4b, the locking means,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코일(도시생략) 내부에 막대(331a)가 삽입된 것으로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막대가 이동되도록 한 솔레노이드(331)와, 상기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피시비(P.C.B, 332)와, 일단은 상기 막대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한 걸기(333a)가 형성된 탄성판(333)과, 상기 걸기에 걸리도록 상기 트레이(200)에 돌출 형성된 고리(33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 rod 331a is inserted into a coil (not shown), and a solenoid 331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to move the rod, a PCB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and one end The elastic plate 333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ar and the other end is bent and protruded to form a hook 333a, and a ring 334 protruding from the tray 200 to be hooked is included. It is compo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The locking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첫째,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First, when the device is inserted, the locking means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에 삽입한 후, 상기 디바이스(1)를 밀게되면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가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를 밀치면서 상기 고리는 상기 걸기에 록킹된다.After inserting into the opening 131 of the case, when the device 1 is pushed, the hook is locked to the hook while the hook 334 of the tray pushes the hook 333a of the elastic plate.

둘째,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Secondly,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the locking means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상기 주버튼(320)을 누르게되면, 상기 피시비(332)에 의해 제어된 전원의 전류가 상기 솔레노이드(331)의 코일로 인가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막대(331a)가 이동되고, 상기 막대의 일측에 결합된 탄성판(333)이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에서 상기 걸기가 언록킹된다.When the main button 320 is pressed, the current of the power controlled by the PCB 332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solenoid 331 so that the rod 331a of the solenoid is mov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r. At the same time as the elastic plate 333 is moved, the hook 333a of the elastic plate is moved along to unlock the hook at the hook 334 of the tray.

한편,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의 구성인 상기 제1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4a and 4b, the first return means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341)와, 상기 돌기에 안착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주버튼(320)을 원위치로 보내주도록 상기 주버튼에서 돌출형성된 탄성돌기(34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nd a protrusion 34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0 and an elastic protrusion 342 protruding from the main button so as to be seated and supported by the protrusion and to send the main button 320 to its original position.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return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role.

상기 탄성돌기(342)의 복원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주버튼(320)이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310)를 누른 후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복원역할을 수행한다.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rotrusion 342, the main button 320 performs a restoring rol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pressing the request switch 310.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는 정전시, 상기 트레이(200)를 상기 록킹수단으로부터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보조해제수단이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made of an auxiliary release means is further added to release the tray 200 from the locking means when the power failure.

상기 보조해제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release means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록킹수단을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끝단에 경사면(351a)이 형성된 보조버튼(351)과, 상기 보조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경사면(351a)과 상응하게 상기 탄성판(333)의 끝단부에 형성된 경사면(352)과, 억지 해제 후, 상기 보조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2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auxiliary button 351 having an inclined surface 351a formed at the end thereof to release the locking means and the pressing button 333a of the elastic plate are separated from the hook 334 of the tray when the auxiliary button is pressed. And an inclined surface 352 formed at the end of the elastic plate 333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351a, and second return means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is in the original position after release of the restrai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해제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 및 역할을 수행한다.The auxiliary release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and roles.

상기 보조버튼(351)을 밀게되면 상기 보조버튼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351a)이 전진하여 상기 탄성판의 경사면(352)을 밀게됨에 따라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에서 이탈되어 상기 트레이(200)는 억지 해제된다.When the auxiliary button 351 is pushed, the inclined surface 351a formed at the end of the auxiliary button is advanced to push the inclined surface 352 of the elastic plate, so that the hook 333a of the elastic plate is the ring 334 of the tray. The tray 200 is forcibly released.

그 후, 상기 보조버튼(351)은 상기 제2 복귀수단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Thereafter, the auxiliary button 351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second return means.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해제수단의 구성인 제2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second return means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release means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보조버튼(351)이 원 위치되도록 상기 보조버튼에 돌출형성된 탄성돌기(353a)와, 상기 탄성돌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353b)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auxiliary button 351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353a protruding from the auxiliary button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351 is in the original position, and a protrusion 353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0 so that the elastic protrusion is se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return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role.

상기 탄성돌기(353a)의 복원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버튼(351)이 상기 탄성판의 경사면(352)을 누른 후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복원역할을 수행한다.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rotrusions 353a, the auxiliary button 351 performs a restoring rol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pressing the inclined surface 352 of the elastic plat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해제수단은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만 상기 보조버튼(35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보조버튼이 상기 케이스(100)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보조버튼을 뾰족한 핀으로 누를 수 있게 핀구멍(354)이 형성된 것이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이 더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auxiliary release means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351 can be pressed only in an emergency, such as a power outage, while the auxiliary button is embedded in the case 100, the case is the auxiliary More preferably, the pinhole 354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button can be pressed with a sharp pin.

한편, 도 1, 도 2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이송장치(4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2 and 5, the transfer device 400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바(Bar)(410)와, 상기 고정바의 끝단부 중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측에 위치한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연결판(420)과, 상기 고정바의 끝단부 중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에 위치한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연결판(430)으로 구성된다.A fixing bar 410 fixed to one side of the case, and a first connecting plate 420 rotatably mounted to an end portion of the end of the fixing bar, which is located at the opening 131 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430 rotatably mounted to an end portion of the end of the fixing bar opposite to the opening portion.

이와 함께, 상기 제1 연결판(420)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판(4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이송바(440)와, 상기 제1 연결판에 장착되어 상/하 조작에 의해 상기 이송바를 당기거나 미는 레버(450)와,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1)가 취출되도록 상기 트레이(200)를 밀어주는 푸쉬(Push)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bar 440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420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30, and mounted on the first connecting plate 420 It comprises a lever 450 for pulling or pushing the transfer bar by operation, and a push means for pushing the tray 200 to take out the device 1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젝트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Eject means made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레버(450)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고정바(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판(420)과 제2 연결판(430)이 정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각 연결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이송바(440)가 케이스의 개방부(131)측으로 이동된다.6A and 6B,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when the lever 450 is lowered, the first connecting plate 4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3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bar 410 are shown. At the same time as the forward rotation, the transfer bar 440 rotatably mount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plates is moved toward the opening part 131 of the case.

이때 상기 푸쉬수단(이에 대해 후술하기로 한다)은 상기 이송바(440)의 이송력을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200)를 밀게되어, 상기 트레이에 안착된 디바이스(1)가 개방부(131)로 취출된다.At this time, the push means (to be described later) pushes the tray 200 by receiving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bar 440, so that the device 1 seated on the tray is opened to the opening 131. It is taken out.

그리고 디바이스 삽입시에는 상기 레버(450)를 위로 올리면, 상기 고정바(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판(420)과 제2 연결판(430)이 역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각 연결판에 회전 가능하게 이송바(440)가 케이스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When the device is inserted, the lever 450 is raised upward,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4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3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bar 410 are reversely rotated, and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plates. The transfer bar 440 is rotatably moved to the rear of the case.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400)의 구성인 푸쉬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b, the push means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400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제2 연결판(430)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200)에 힘을 전달하는브라켓(431)과, 상기 트레이가 상기 브라켓에 밀려서 이동되도록 트레이에 구비된 절편(22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A bracket 431 is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430 to transmit a force to the tray 200, and a section 221 provided on the tray is moved so that the tray is pushed by the bracket.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푸쉬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Push means made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role.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이송바(440)의 이송력을 전달받은 상기 브라켓(431)이 상기 절편(221)을 밀게되어 상기 트레이(200)의 안착된 디바이스(1)가 개방부로 취출되도록 한 것이다.When taking out the device, the bracket 431 received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bar 440 pushes the section 221 so that the seated device 1 of the tray 200 is taken out to the opening.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 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트레이(200)가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order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fter the device is taken ou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ans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tray 2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탄성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The elastic means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트레이(200)에 형성된 절곡부(461)와,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62)와, 상기 절곡부와 상기 걸림돌기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트레이를 원위치로 보내주는 스프링(46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A spring 463 which connects the bent portion 461 formed on the tray 200, the locking protrusion 46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0, and the bending port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to each other to return the tray to its original position. )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수단은, 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스프링(463)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200)가 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The elastic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tray 200 to be reposition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63 after taking out the devic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안내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guide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트레이(200)를 안내하기 위해 트레이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441)와, 상기 트레이 가이드가 삽입되도록 홈(442a)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직선이동을 도와주는 가이드레일(442)이 포함되어 구성된다.Tray guides 441 formed at both sides of the tray to guide the tray 200, and grooves 442a are formed to insert the tray guides, and guide rails 442 to help linear movement of the trays. It is configur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내수단은 상기 이송장치(400)의 푸쉬수단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에 전달되는 이송력의 불규칙한 방향성을 제어하여 상기 이송력이 직선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한 것이다.The guide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control the irregular directionality of the transfer force transmitted to the tray 200 by the push means of the transfer device 400 so that the transfer force acts in a linear direction.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체결구(111)가 형성된 업퍼케이스(upper case, 110)와, 체결구(121)가 형성된 바텀케이스(bottom case,120)와, 디바이스(1)가 삽입되는 개방부(131)와 체결돌기(132)가 형성된 프론트케이스(front case, 130)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An upper case 110 in which the fastener 111 is formed, a bottom case 120 in which the fastener 121 is formed, an opening 131 in which the device 1 is inserted, and a fastening protrusion ( 132 is formed of a front case (130) is fastened to each other.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구성인 상기 바텀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bottom ca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주버튼(320)을 안내하는 주버튼 가이드(122)와, 상기 보조버튼(351)을 안내하는 보조버튼 가이드(123)가 형성된 바닥면이 포함되어 구성된다.It includes a main button guide 122 for guiding the main button 320 and a bottom surface formed with an auxiliary button guide 123 for guiding the auxiliary button 351.

이와 함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정확히 상기 고리(334)에 록킹되고, 언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에서 정확히 상기 고리가 언록킹되도록 상기 탄성판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슬릿(126)이 형성된 후방 절곡면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lever principle, the locking 333a of the elastic plate is correctly locked to the ring 334 when locking, and the locking of the elastic plate is correctly unlocked at the hanging of the elastic plate when unlocking. It is further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ar bent surface formed with a slit 126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rotatably seated.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지렛대 원리는 본 발명에 다음과 같이 적용되었다.As shown in Figures 2, 4A and 4B, the above-mentioned lever principle wa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의 움직임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언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를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331)의 막대(331a)가 상기 코일 내부로 들어가면 상기 탄성판(333)의 일단도 상기 막대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The rod 331a of the solenoid 331 is used to more accurately move the hook 333a of the elastic plate, and to release the hook of the elastic plate from the hook 334 of the tray during unlocking. Once inside the coil,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333 also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d.

반면, 상기 탄성판(333)의 타단에 형성된 걸기(333a)는 상기와 반대방향인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333a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333 is to move away from the ring 334 of the tray in the opposite direction.

따라서 상기 탄성판(333)을 장기간 사용해도 상기 걸기(333a)의 이동거리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기가 상기 고리(334)에 록킹시와 언록킹시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다.Therefore, even when the elastic plate 333 is used for a long tim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hook 333a does not change, so that the hook does not cause malfunctions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hook 334.

또한, 상기 슬릿(126)을 중심으로 탄성판(333)의 일단과 타단의 거리비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distance ratio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333 around the slit 126,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hook 333a of the elastic plate with less force.

한편, 상기 바텀케이스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상기 주버튼 가이드(122)가 삽입되도록 상기 주버튼(320)에 홈(343)을 형성키므로서, 주버튼 동작시 주버튼 가이드가 홈을 따라 정확히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not a component of the bottom case, but by forming the groove 343 in the main button 320 so that the main button guide 122 is inserted, the main button guide moves correctly along the groove during the main button operation do.

그리고 상기 바텀케이스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상기 보조버튼 가이드(123)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버튼(351)에 구멍(353b) 과 홈(353c)을 형성시키므로서, 보조버튼 동작시 보조버튼 가이드가 구멍 과 홈을 따라 정확히 이동된다.And although it is not a component of the bottom case, by forming a hole (353b) and the groove (353c) in the auxiliary button 351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guide 123 is inserted, the auxiliary button guide and the hole when the auxiliary button operation It moves exactly along the groov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개방부(131)를 덮는 덮개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case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ver means for covering the opening 131 of the front case.

상기 덮개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The cover means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개방부측에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131)를 개폐시키는 덮개(141)와, 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개방부로 먼지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덮개가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4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cover 141 is fastened to the opening sid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31, and the elastic member 142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ver is in place so that dust does not enter the opening after taking out the device. It is configured.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트레이(2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tray 200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디바이스(1)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210)이 형성된 정면과,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디바이스가 걸려서 함께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2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induce the smooth insertion of the device 1, the front surfac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10, and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the locking project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device is caught and moved together.

한편, 도 7, 도 8a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바이스 삽입후,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로 상기 디바이스(1)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빠짐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8a and 8b, after the device is inserted,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fall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device 1 from exiting to the opening 131 of the case This is preferable.

상기 빠짐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여러번 절곡된 리텐션 부재(510)와, 상기 리텐션 부재의 절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에 형성된 홈(1a)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511)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디바이스 홈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돌기 유도부(520)가 형성된 트레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One side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0, the other side is a retention member 510 and the other side is bent to protrude in the bent portion of the retention member to be caught in the groove (1a) formed in the device And a tray o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guide part 520 is formed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511 can move to the device groove.

이와 함께,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의 걸림돌기 유도부(520)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11)가 상기 디바이스 홈(1a)에서 빠지도록 상기 리텐션 부재(510)를 눌러주는 경사부(5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the inclined portion 5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guide portion 520 of the tray to press the retention member 510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511 is removed from the device groove (1a). )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빠짐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 및 역할을 수행한다The fall preven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and roles.

상기 케이스(100)가 개방부(131)측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트레이(200)에 안착된 디바이스(1)가 상기 개방부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한 것이다.When the case 100 is inclined toward the opening 131, the device 1 seated on the tray 200 is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즉, 상기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디바이스(1)는 상기 트레이(200)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의 걸림돌기 유도부(520)를 통과한 상기 리텐션부재의 걸림돌기(511)가 상기 디바이스에 형성된 홈(1a)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빠짐을 방지한다.That is, when the device is inserted, the device 1 is seated on the tray 200 and at the same time, a groove in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511 of the retention member has passed through the engaging protrusion guide part 520 of the tray is formed in the device. Inserted into (1a) to prevent the device from being pulled out.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이송장치가 동작되어 상기 트레이(200)는 개방부(131)측으로 이동되는데, 이 때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경사부(530)가 상기 리텐션부재(510)를 누르게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홈(1a)에서 상기 리텐션부재의 걸림돌기(511)는 빠져나오게 됨과 동시에, 상기 디바이스(1)는 개방부(131)측으로 취출된다.When the device is taken out, the transfer device is operated so that the tray 200 is moved toward the open part 131. At this time, the inclined part 530 formed on the tray presses the retention member 510. The locking projection 511 of the retention member is pulled out of the groove 1a of the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device 1 is taken out to the opening 131 si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디바이스를 착탈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is a system which can attach / detach a device by simple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디바이스를 장착 손쉽게 장착 및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unt and replace a desired type of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9)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전면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A cas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o insert the device;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트레이와;A tray movably mounted in the case and simultaneously seating the device; 디바이스 삽입시 주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와;A control device for locking the tray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button when the device is inserted and for unlocking the tray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이송되도록 상기 트레이에 힘을 전달하는 이송장치와;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force to the tray so that the device is transferred to the opening of the case when the device is taken out; 상기 트레이가 직선운동되도록 상기 힘을 직선력을 바꾸어주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Device b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y by changing the linear force to force the tray linear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어장치는;The control device; 상기 주버튼의 끝단에 내장되어 상기 트레이가 록킹수단에 대해 언록킹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와,A light emitting diode built in the end of the main button and indicating whether the tray is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means; 주버튼 조작 후, 상기 주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And a return means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main button is positioned after the main button is opera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복귀수단은;Return means; 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와,A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상기 돌기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주버튼을 원위치로 보내주도록 상기 주버튼에서 돌출형성된 탄성돌기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The device b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ilien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utton to be seated on the projection and to send the main button to the original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정전시, 상기 록킹수단을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구비된 바 형상의 보조버튼과,When the power failure, the auxiliary button of the bar shape provided to release the locking means; 상기 보조버튼 조작 후, 보조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상기 보조버튼에 형성된 탄성부와,An elastic part formed on the auxiliary button so that the auxiliary button is positioned after the auxiliary button is operated; 상기 탄성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된 절편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And a segmen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to be seated on the elastic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송장치는;The conveying device;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와,A fixed bar fixed to one side of the case; 상기 고정바의 끝단부 중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측에 위치한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연결판과,A first connecting plate rotatably mounted to an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bar located at an open side of the case; 상기 고정바의 끝단부 중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에 위치한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연결판과,A second connecting plate rotatably mounted on an end of the fixing bar opposite to the opening; 상기 제1 연결판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결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이송바와,A transfer bar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상기 제1 연결판에 장착되어 상/하 조작에 의해 상기 이송바를 당기거나 미는 레버와,A lever moun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to pull or push the transfer bar by an up / down operation;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가 취출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밀어주는 푸쉬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And a pushing means for pushing the tray so that the device is take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푸쉬수단은;Push means; 상기 제2 연결판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에 힘을 전달하는 브라겟과,Brackets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tray,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절편에 밀려서 이동되도록 트레이에 구비된 절편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Device b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tion provided in the tray so that the tray is moved by pushing the sec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트레이가 원위치 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After the device is taken out, the device b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ans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original positio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탄성수단은;Elastic means;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절곡부와,A bent portion formed on the tray; 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상기 절곡부와 상기 걸림돌기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트레이를 원위치로 보내주는 스프링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Device b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for connecting the bent por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to send the tray to its original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안내수단은;Guide means; 상기 트레이를 안내하기 위해 트레이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와,Tray guid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tray to guide the tray; 상기 트레이 가이드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의 직선이동을 도와주는 가이드레일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Device b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tray guide is inserted to include a guide rail to help linear movement of the tray.
KR1020000016939A 2000-03-31 2000-03-31 bay system for device KR200100945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39A KR20010094561A (en) 2000-03-31 2000-03-31 bay system f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39A KR20010094561A (en) 2000-03-31 2000-03-31 bay system fo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561A true KR20010094561A (en) 2001-11-01

Family

ID=1966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939A KR20010094561A (en) 2000-03-31 2000-03-31 bay system f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456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350B1 (en) * 2002-07-02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415A (en) * 1993-11-12 1995-1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a motorized tray, cammed side connectors, motorized side connectors, and locking and unlocking guide pins
US5682291A (en) * 1996-07-10 1997-10-28 Dell U.S.A., L.P. Carrier for a computer device
JPH10143278A (en) * 1996-11-13 1998-05-29 Sanyo Electric Co Ltd Separate type device for function expansion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5852739A (en) * 1997-10-08 1998-12-22 Dell Computer Corporation Low profile plate interlock mechanism for a computer chassis
KR20000000202A (en) * 1999-09-30 2000-01-15 정광준 Computer Enclos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415A (en) * 1993-11-12 1995-1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a motorized tray, cammed side connectors, motorized side connectors, and locking and unlocking guide pins
US5682291A (en) * 1996-07-10 1997-10-28 Dell U.S.A., L.P. Carrier for a computer device
JPH10143278A (en) * 1996-11-13 1998-05-29 Sanyo Electric Co Ltd Separate type device for function expansion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5852739A (en) * 1997-10-08 1998-12-22 Dell Computer Corporation Low profile plate interlock mechanism for a computer chassis
KR20000000202A (en) * 1999-09-30 2000-01-15 정광준 Computer Enclo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350B1 (en) * 2002-07-02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7879B2 (en) System for latching and ejecting a modular compon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US7551457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jecting an electronic enclosure within a cabinet
KR100198458B1 (en) Power switch on/off mechanism of plug-in unit driven by in-/ejector in a pcb
EP0390359B1 (en) Electric module latch assembly
US4960384A (en) Retaining means for removable computer drive and release means for same
JPH0652543B2 (en) Scanning device for IC card
EP0776070B1 (en) Connecting apparatus
US11490540B2 (en) Power device and server
KR20010094561A (en) bay system for device
US8077473B1 (en) Spring-latching circuit module injector/ejector
JP3930242B2 (en) Electronics
KR20010063371A (en) bay system for device
JPS5930262A (en) Cassette loading device
US643166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n equipment unit
KR100364719B1 (en) A device bay assembly
KR100539810B1 (en) Apparatus for loading/unloading of module for notebook computer
KR101429039B1 (en) Paper feeding cassette lo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910000259Y1 (en) Remote controler case device
KR20010063370A (en) bay system for device
KR100364718B1 (en) A device bay assembly
KR100452724B1 (en) carrier device of hard disk drive
EP1006542B1 (en) Switching device
CN117799939A (en) Sample Module
KR100619165B1 (en) The tray ejecting apparatus for disk drive
KR100331811B1 (en) A device ba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