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129A -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129A
KR20010065129A KR1019990064994A KR19990064994A KR20010065129A KR 20010065129 A KR20010065129 A KR 20010065129A KR 1019990064994 A KR1019990064994 A KR 1019990064994A KR 19990064994 A KR19990064994 A KR 19990064994A KR 20010065129 A KR20010065129 A KR 2001006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user
screen saver
compu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곤
이숭창
박익형
Original Assignee
김경곤
박익형
이숭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곤, 박익형, 이숭창 filed Critical 김경곤
Priority to KR101999006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129A/ko
Priority to AU60252/00A priority patent/AU60252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789 priority patent/WO2001050237A1/en
Publication of KR2001006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 또는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전송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와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를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및 서버용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요청하고 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Information providing systems using transfer type screen save file and their method}
본 발명은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스크린 세이버 파일 또는 배경화면을 송부받아 사용자 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송용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세이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사용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컴퓨터를 계속 켜 두었을 때 화면이 변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화면의 특정 지점에 같은 주사선 (전자빔 다발) 만 발사되므로 특정 부위의 형광체가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화면 보호라는 목적외에도 최근에는 스크린 세이버를 이용하여 기업 광고, 영화 광고 등 홍보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인터넷망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기타의 매체 (라디오, TV, 케이블방송 등) 보다 빠른 성장을 하고 있고, 향후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이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인터넷망이라는 매체는 거대한 수요시장을 유발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고, 이로 인하여 기존의 광고방식을 탈피하여 인터넷을 통한 광고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다 효과적인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은 컴퓨터 통신 및 인터넷망 등의 매체를 통한 광고에 예산을 집중하고 있으며, 그 효과 역시 점차 향상되고 있어 인터넷망이 본격적인 대중매체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인터넷망을 통한 광고의 특징은 몇가지로 대별할 수 있고, 상호관련성, 일대일 광고, 광고 자체로 유통망 확보, 정확한 고객정보 제공 및 효과측정의 용이성으로 나눌 수 있고, 이는 관련있는 마케팅을 할 수 있고, 고객화가 용이하며, 직접적인 판매가 가능하고, 타겟광고를 할 수 있으며, 고객의 반응이 즉시 나타나므로 그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광고는 통상 대중매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기존의 패러다임의 변화뿐만 아니라 향후 가장 강력한 시장경쟁의 요소로서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인터넷 광고의 유형으로는 배너형, 돌출형 및 전송형이 있고, 배너형은 웹페이지의 일부분에 막대모양으로 텍스트나 이미지 형태의 줄광고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돌출형의 경우에는 웹페이지의 다운로드 때에 새로운 창을 형성하면서 제시하는 것으로, 단독적인 노출을 통한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송형의 경우에는 광고창이 포함된 전용의 브라우저에서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타겟 광고가 가능하고 애니메이션이나 음향효과를 기대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의 형태로 배너형 광고는 통상적으로 익숙한 형태의 작고 컴팩트한 크기를 갖고 있지만, 크기의 제한의 한계와 애니메이션이나 음향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단순히 해당하는 웹사이트에 의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돌출형 광고는 노출여부가 불확실하고 방해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농후하며, 이것 역시 웹사이트의 의존성이 강하다.
상기 광고 형태에서 현재까지는 배너형 광고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이상이나, 타 광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고효과 측정이 용이하고 효율이 뛰어난 전송형 광고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전송형 광고 방식에 관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서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999-78840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사용자가 인터넷 웹브라우즈를 이용 중일 경우 광고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터넷 트래픽 (Traffic) 을 감시하면서 인터넷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에 서버로부터 광고 프로그램을 다운 받은 후, 사용자가 인터넷을 활성화할 경우 (인터넷과 관련한 트래픽을 발생시킬 경우) 활성화를 요청한 웹사이트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기 전까지 다운 받은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방식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새로운 인터넷 사이트 또는 동일 사이트 내의 다른 자료를 요청할 경우, 광고 디스플레이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데 시간이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원 출원시에 시행되고 있는 기술로서, 노머니 커뮤니케이션(nomoney communication, URL:www.nomoney.co.kr) 에서 운영하는 애드바 광고가 있다. 애드바 광고는 일정한 크기의 바를 항상 사용자 시스템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 중에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 광고 파일 사용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스크린 세이버 광고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다운받아 윈도우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새로운 스크린 파일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크린 세이버 광고를 다시 다운 받는 등의 동일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형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송형 정보 제공 방식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만 광고를 다운받게 함으로써 인터넷 사용 속도를 저감시키지 않는 전송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만 화면 보호기 또는 배경화면을 통하여 정보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 중에 주위를 산만하게 하지 않고 또한 자동으로 스크린 세이버 파일 또는 배경화면이 전송되는 전송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을 도시하는 시스템 개략도.
도 2 는 다수의 정보 제공 의뢰자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파일을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변환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정보 제공이 수행되는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정보 제공이 수행되는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송형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이 수행되는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버용 컴퓨터 20 : 메모리
22 : 사용자 정보 DB 24 : 이미지 파일 DB
26 :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8 : 사용자 셋업 프로그램 DB
30, 70 : 씨피유 40, 130 : 통신포트
80 : 제 1 메모리 90 : 제 2 메모리
100 : 영상 메모리 110 : 디스플레이 장치
120 : 속성별 스크린 세이버 파일 메이커 200 : 사용자 컴퓨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스크린 세이버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용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과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의 속성을 포함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적어도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DB 화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광고 환경 구축 단계와 (b)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를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및 (c) 1)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 및 스크린 세이버 파일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 단계와 2) 상기 리퀘스트에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선택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선택 단계 및 3) 상기 선택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전송받아 T2 기간 동안 실행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 단계 내지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 단계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광고 방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용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수 개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 클라이언트 사용자 정보를 갖는 메모리와 사용자 컴퓨터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포트와 다수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씨피유를 구비하고, 사용자 컴퓨터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하는 서버용 컴퓨터와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요청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를 발생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로 구성된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를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크게 서버용 컴퓨터 (10) 와 사용자 컴퓨터 (200) 로 구성된다.
서버용 컴퓨터 (10) 에는 시스템에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28) 과 통상적인 컴퓨터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수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씨피유 (30) 및 사용자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포트 (40) 로 구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 컴퓨터 (200) 에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0), 서버용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포트 (130), 다수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씨피유 (70), 제 1 메모리 (80), 제 2 메모리 (90) 및 영상 메모리 (100) 로 구성된다.
서버용 컴퓨터 (10) 의 메모리 (20) 에는 본 발명의 스크린 세이버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는 사용자 정보 DB (22), 여러 정보 제공 의뢰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이미지 파일 DB (24), 이미지 파일 DB 를 분류하여 이를 이용하여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생성한 후 저장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6) 등이 저장된다. 비록 도면에는 사용자 정보 DB (22), 이미지 파일 DB (24),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6) 및 사용자 셋업 프로그램 (28) 이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만, 복수 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정보 DB 는 통상적으로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하는 가입자들이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사용자 식별자와 각 사용자가 받고자 하는 정보제공 분야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연령, 직업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정보 DB 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광고의 장점인 타겟 마케팅을 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 DB 는 다수의 정보 제공 의뢰자로부터 송부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파일을 각 분야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는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사용자들이 받고자 하는 정보 제공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컴퓨터 (200) 의 제 1 메모리 (80) 는 통상적으로 램 (RAM : Random Access Memory) 과 같이 제 2 메모리보다 속도가 빠른 메모리를 지칭한다. 영상 메모리 (100) 는 디스플레이 장치 (110) 와 연관된 것으로써 디스플레이될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는 다수의 정보 제공 의뢰자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파일을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변환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제공을 원하는 다수의 정보 제공 의뢰자는 여러가지 이미지 파일을 제공한다. 다수의 이미지 파일은 각 이미지 파일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ID) 와 각 이미지 파일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첨부하여 이미지 파일 DB (22) 를 구축한다. 각 이미지 파일에 기록되는 속성은 해당 이미지 파일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해당 이미지 파일이 바다, 산 또는 첨단 전자 제품등의 어느 분류에 속하는 것인지를 표시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해당 이미지 파일에 복수 개 속성 부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하나의 이미지 파일이 첨단 전자 제품에 관한 것이면서 동시에 10대의 취향에 적합한 이미지 파일이라는 정보를 이미지 파일 DB (22) 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속성별 스크린 세이버 파일 메이커 (120) 는 구축된 이미지 파일 DB (22) 를 이용하여 각 속성에 적합한 이미지 파일을 다수 개 묶어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제작한다. 다수 개의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여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만드는 것은 이미 공지된 여러 상용 프로그램이 존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작성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은 각 스크린 세이버 파일의 속성을 분류한 후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6) 를 구축한다.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6) 도 이미지 파일 DB (24) 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에 여러가지 속성 부여가 가능하다. 즉, 하나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이 첨단 전자 제품에 관한 것이면서 동시에 20 대의 취향에 적합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이라는 정보를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2) 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는 정보 제공 의뢰자들이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정보 제공 의뢰자가 직접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공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에 속성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추가한 후에 직접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26) 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이 수행되는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흐름은 기본 환경 설정을 위한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S1 단계),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S2 단계),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정보 제공 단계 (S3 단계) 및 스크린 세이버 모드를 탈출하는 단계 (S4 단계) 로 구성된다.
S1 단계 :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우선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를 구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한 후 사용자 등록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광고 분류를 선택하고 사용자 연령 등에 관한 속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정보 입력을 마친 후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아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한다. 설치 프로그램의 전송은 ① 스크린 세이버 파일 통신 프로그램만을 설치하는 경우와 ② 스크린 세이버 파일 통신 프로그램 및 하나 이상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함께 전송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상기 방법 중 ① 방식은 도 3 을 통하여 설명하고 ② 방식은 도 4 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2 단계 :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현재 MS 윈도우의 운영체제에서 화면 보호기는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이 사용자 컴퓨터의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일정시간 (T1)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확장자 .scr 로 구성된 실행 파일 (스크린 세이버 파일) 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는 MS 윈도우의 제어판을 통해 여러 개의 .scr 파일 중 하나를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지정할 수 있다. 확장자 .scr 파일의 일반적인 속성은 실행 중에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를 클릭할 경우 스크린 세이브 파일 실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스크린 세이브 파일도 실행 중에 마우스의 이동 또는 마우스 버턴 클릭으로는 실행이 중지되지 않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컴퓨터가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을 감시하기 위하여 ① MS 윈도우 등의 운영 체제가 제공하는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던가 또는 ②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의 일부를 자체 램 상주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현재 MS 윈도우의 화면 보호기 파일은 하나의 실행파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즉 MS 윈도우 운영체제의 자체 램상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지정된 확장자 .scr 실행 파일을 실행하는 것이 현재 MS 윈도우의 화면 보호기의 실행 원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3 단계에 제시된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실행 파일을 운영체제의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지정하면 된다.
별도의 램 상주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② 방식은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을 체크하기 위한 램 상주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 않으면 S3 단계에 제시된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실행 파일을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방식 중 ②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① 방식과 달리 별도의 램상주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두가지 방식 모두 스크린 세이버 광고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T1) 동안 이용하지 않도록 대기하여야 한다.
S3 단계 :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정보 제공 단계
실질적인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컴퓨터의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실행 파일은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와 스크린 세이버 파일 송부를 요청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를 송부한다. 서버용 컴퓨터는 사용자 식별자를 송부받아 사용자 정보 DB 를 검색한 후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제공 부류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서버용 컴퓨터는 선택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한다.
사용자 컴퓨터는 전송받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하여 스크린 세이버 모드로 활성화시키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실행함으로써 원하는 스크린 세이버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은 여러 장의 이미지 파일로 구성되므로 전송받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구성하는 이미지 파일이 적어도 한번씩디스플레이될 시간 (T2) 동안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 단계 : 사용자 모드 진입 단계
스크린 세이버 모드에서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 모드로의 전환은 통상적으로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 마우스 버턴의 클릭 또는 키보드의 키인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 제작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은 상기의 전환이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이나 마우스 버턴의 클릭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고 키보드의 키인에 의해서만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키보드의 키인만에 의해서 전환되는 스크린 세이버를 이용하면 스크린 세이버 광고 파일의 영역에 웹사이트의 주소를 부여하고 스크린 세이버 모드에서 원하는 웹사이트를 클릭할 경우, 즉시 스크린 세이버 모드를 종료하고 웹브라우즈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클릭한 웹사이트로 연결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S4 단계는 스크린 세이버 광고 단계인 S3 단계에서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즉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하여 스크린 세이버 모드를 종료하고 컴퓨터 작업을 진행하기를 원할 경우, 스크린 세이버 정보 제공 모드에서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크린 세이버 속성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형식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그에 적합한 방법 - 키보드의 키인 등 - 을 사용하여 사용자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정보 제공이 수행되는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 과의 차이점은 사용자가 정보 입력을 마친 후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을 때 스크린 세이버 파일 통신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동시에 전송받는 경우이다.
도 4 에 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 에 제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S1 단계) 및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정보 제공 단계 (S3 단계) 에서 차이점이 있다.
S3 단계에서는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이 존재하므로 먼저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을 실행한다. 스크린 세이버 파일의 실행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받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구성하는 이미지 파일이 적어도 한번씩 디스플레이될 시간 (T2) 동안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의 단계는 도 3 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시 스크린 세이버 활성화 단계가 사용자 컴퓨터에서 활성화되는 총시간 또는 서버에 억세스하여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다운 받는 횟수 등을 서버용 컴퓨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서버용 컴퓨터에서 정보 제공 의뢰자로부터 광고비를 계산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광고뿐만 아니라, 윈도우의 배경화면 (wall paper) 을 통한 광고에도 응용 가능하다. 윈도우의 배경화면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 5 를 통하여 설명한다.
S1 단계 :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도 5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 DB 를 구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한 후 사용자 등록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 제공 분류를 선택하고 사용자 연령 등에 관한 속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정보 입력을 마친 후 배경 화면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아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한다. 설치 프로그램의 전송은 ① 배경 화면 파일 통신 프로그램만을 설치하는 경우와 ② 배경 화면 파일 통신 프로그램 및 하나 이상의 배경 화면 이미지 파일을 함께 전송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S2 단계 :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도 3 및 도 4 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자 컴퓨터가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을 감시하기 위하여 ① MS 윈도우 등의 운영 체제가 제공하는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던가 또는 ② 배경 화면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의 일부를 자체 램 상주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① 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3 단계에 제시된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전송형 배경 화면 실행 파일을 운영체제의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지정하면 된다.
별도의 램 상주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② 방식은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을 체크하기 위한 램 상주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 않으면 S3 단계에 제시된 여러 단계를 수행하는 전송형 배경 화면 실행 파일을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방식 중 ②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① 방식과 달리 별도의 램상주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두가지 방식 모두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T1) 동안 이용하지 않도록 대기하여야 한다.
S3 단계 : 전송형 배경 화면 파일 정보 제공 단계
실질적인 전송형 배경 화면 정보 제공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컴퓨터의 전송형 배경 화면 실행 파일은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와 배경 화면 이미지 파일 송부를 요청하는 배경 화면 파일 리퀘스트를 송부한다. 서버용 컴퓨터는 사용자 식별자를 송부받아 사용자 정보 DB 를 검색한 후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부류 중 하나의 배경 화면을 선택한다. 서버용 컴퓨터는 선택된 배경 화면 파일을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한다.
사용자 컴퓨터는 전송받은 배경 화면 파일을 이용하여 배경 화면 모드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원하는 배경 화면을 정보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최소한의 시간 (T2) 동안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 단계 : 사용자 모드 진입 단계
배경 화면 광고 모드는 컴퓨터의 배경 화면으로 이미지 파일이 설치되는 방식이므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모드와는 달리 정보제공 모드를 탈출하기 위한 특별한 이벤트 발생이 필요하지 않다. 즉 사용자는 컴퓨터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언제든지 의도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전송형 배경 화면을 이용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는 서버로부터 설치 프로그램을 송부받을 때 적어도 하나의 배경화면을 함께 송부받은 후 사용자 컴퓨터에 배경화면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도 3 과 도 4 의 차이와 유사하게 S1 단계와 S3 단계의 실행 수순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S1 단계에서의 차이점은 전술한 바와 같고, S3 단계에서는 이미 전송 받은 배경화면이 있으므로 1) 임의의 시간 T2 기간 동안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하는 배경 화면 정보 제공 단계와 2)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 및 이미지 파일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이미지 파일 리퀘스트 단계와 3) 리퀘스트에 응답하고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이미지 파일 선택 단계; 및 4)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아 배경 화면로 지정하는 기본 배경 화면 파일 지정 단계의 수순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시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이 실행되는 총시간 또는 서버에 억세스하여 배경 화면 파일을 다운 받는 횟수 등을 서버용 컴퓨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서버용 컴퓨터에서 정보 제공 의뢰자로부터 광고비를 계산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만 정보 제공을 함으로써 인터넷 사용 속도를 저감시키지 않는 전송형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함으므로써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 중에 주위를 산만하게 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전송형 인터넷 광고에서 제공하는 영상 사이즈보다 크게 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고, 영상의 화질 및 영상과 함께 전송되는 음악 파일보다 사이즈가 큰 파일 전송이 가능하므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복수 개의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스크린 세이버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용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과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의 속성을 포함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적어도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DB 화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b) 사용자가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및
    (c)
    1)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 및 스크린 세이버 파일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 단계;
    2)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리퀘스트에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선택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선택 단계; 및
    3) 상기 선택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전송받아적어도 T2 기간 동안 실행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 단계를 구비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 단계 내지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 단계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상기 T2 기간은 상기 선택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이 최소한 한번씩 디스플레이 되는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2.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복수 개의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스크린 세이버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용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과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의 속성을 포함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DB 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적어도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DB 화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전송받아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지정하는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b)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를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및
    (c)
    1) 지정된 스크린 세이버를 적어도 T2 기간 동안 실행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 단계;
    2)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 및 스크린 세이버 파일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 단계;
    3) 상기 리퀘스트에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스크린 세이버파일을 선택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선택 단계; 및
    4) 상기 선택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전송받아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지정하는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 지정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 실행 단계 내지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 지정 단계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T2 기간은 상기 선택된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이 최소한 한번씩 디스플레이 되는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세이버 활성화 단계 후에 스크린 세이버가 활성화된 후 비활성화되는 데까지 소요된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세이버 파일의 특정 부분을 클릭하면 웹브라우즈를 활성화함과 동시에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5. 복수 개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 클라이언트 사용자 정보를 갖는 메모리와 사용자 컴퓨터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포트와 다수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씨피유를 구비하고, 사용자 컴퓨터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 세이버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하는 서버용 컴퓨터와
    사용자가 컴퓨터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요청하는 스크린 세이버 파일 리퀘스트를 발생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로 구성된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정보 제공 시스템.
  6.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송부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용 컴퓨터에 이미지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속성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DB 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적어도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DB 화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이미지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b) 사용자가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및
    (c)
    1)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 및 이미지 파일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이미지 파일 리퀘스트 단계;
    2)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리퀘스트에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이미지 파일 선택 단계; 및
    3) 상기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아 컴퓨터 배경 화면으로 설치한 후 임의의 기간 동안 상기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배경 화면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형 배경 화면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 리퀘스트 단계 내지 상기 배경 화면 광고 단계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7.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송부받아 정보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용 컴퓨터에 이미지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속성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DB 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적어도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용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DB 화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이미지 파일 전송용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아 전송형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전송받은 이미지 파일을 배경화면으로 설치하는 정보 제공 환경 구축 단계;
    (b) 사용자가 일정시간 (T1) 이상 사용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컴퓨터 방치 단계; 및
    (c)
    1) 임의의 시간 T2 기간 동안 배경 화면 광고를 실행하는 배경 화면 정보 제공 단계;
    2)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자 식별자 및 이미지 파일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이미지 파일 리퀘스트 단계;
    3) 상기 리퀘스트에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이미지 파일 선택 단계; 및
    4) 상기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아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로 지정하는 기본 배경 화면 파일 지정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형 배경 화면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배경 화면 정보 제공 단계 내지 상기 기본 스크린 세이버 파일 지정 단계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형 배경 화면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9990064994A 1999-12-29 1999-12-29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KR20010065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994A KR20010065129A (ko) 1999-12-29 1999-12-29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AU60252/00A AU6025200A (en) 1999-12-29 2000-07-21 Information providing systems using transfer type screen save file and their method
PCT/KR2000/000789 WO2001050237A1 (en) 1999-12-29 2000-07-21 Information providing systems using transfer type screen save file and their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994A KR20010065129A (ko) 1999-12-29 1999-12-29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129A true KR20010065129A (ko) 2001-07-11

Family

ID=1963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994A KR20010065129A (ko) 1999-12-29 1999-12-29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065129A (ko)
AU (1) AU6025200A (ko)
WO (1) WO20010502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135A (ko) * 2000-05-17 2001-11-28 황용길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050013433A (ko) * 2003-07-28 2005-02-0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시각 및 계절에 따라 변경되는 인터넷 화면 이미지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96B1 (ko) * 1998-12-17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549A (en) * 1995-06-12 1998-04-14 Pointcast, Inc. Information and advertisin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H10105144A (ja) * 1996-08-07 1998-04-24 Pfu Ltd スクリーンセーバ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5819284A (en) * 1995-03-24 1998-10-06 At&T Corp. Personalized real time information display as a portion of a screen saver
US5913040A (en) * 1995-08-22 1999-06-15 Backweb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between a remote network and a local computer
US5918014A (en) * 1995-12-27 1999-06-29 Athenium, L.L.C.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in world wide web advertising
KR19990078557A (ko) * 1999-04-20 1999-11-05 주진용 스크린세이버를이용한광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906A (ko) * 1997-02-12 1997-05-30 김성규 소프트웨어 삽입광고
KR100294511B1 (ko) * 1999-05-28 2001-07-12 송경호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 화면 또는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및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9990078635A (ko) * 1999-07-16 1999-11-05 이원수 컴퓨터 모니터의 바탕화면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00012396A (ko) * 1999-12-02 2000-03-06 송호철 인터넷과 쇽웨이브 플래시, 다이렉터 무비기술을 이용한스크린세이버 광고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284A (en) * 1995-03-24 1998-10-06 At&T Corp. Personalized real time information display as a portion of a screen saver
US5740549A (en) * 1995-06-12 1998-04-14 Pointcast, Inc. Information and advertisin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913040A (en) * 1995-08-22 1999-06-15 Backweb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between a remote network and a local computer
US5918014A (en) * 1995-12-27 1999-06-29 Athenium, L.L.C.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in world wide web advertising
JPH10105144A (ja) * 1996-08-07 1998-04-24 Pfu Ltd スクリーンセーバ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9990078557A (ko) * 1999-04-20 1999-11-05 주진용 스크린세이버를이용한광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135A (ko) * 2000-05-17 2001-11-28 황용길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050013433A (ko) * 2003-07-28 2005-02-0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시각 및 계절에 따라 변경되는 인터넷 화면 이미지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0237A1 (en) 2001-07-12
AU6025200A (en) 200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2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associating a plurality of enabled images with a predetermined image
US6628314B1 (en) Comput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ith targeted advertising
US721629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splaying, managing, tracking and transferring access to content of web pages and other sources
US727809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isplaying, managing, tracking and transferring access to content of web pages and other sources
JP4988768B2 (ja) ウェブブラウザが望ましくないソースからのコンテンツをロードするのを防止すること
US9369545B2 (en) Accessing and displaying network content
US93964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ink in an electronic file being presented to a user
US20120151329A1 (en) On-page manipulation and real-time replacement of content
JP369393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サーバ、情報配信サーバ、広告情報配信方法、およびセーバページ表示方法
US20100057549A1 (en) Electronic Coupon Distribution System
US20060004630A1 (en) Advertising through digital watermarks
KR20120034600A (ko) 컨텐츠를 검색, 선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69594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nabled image associated with a predetermined image in an iframe of a visual display
US200801775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esthetic settings for use in displaying advertisements over a network
CN106254216A (zh) 即时通讯客户端中消息的控制方法以及装置
KR20010065129A (ko) 전송형 스크린 세이버 파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정보 제공 방법
JP2000215136A (ja) インタ―ネット広告管理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を利用するインタ―ネット広告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005217B2 (ja) 配信装置、表示プログラム、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TW498258B (en) Online focused content generation, delivery, and tracking
JP5767350B1 (ja)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JP2012064144A (ja) 中継サーバ、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KR20010027906A (ko) 인터넷용 광고 및 정보시스템
KR20020012930A (ko) 인터넷을 통한 맞춤 광고방법 및 광고시스템
KR20000036686A (ko) 웹호스팅서버에서의 중앙집중식 광고방법
KR100363938B1 (ko) 윈도우의 다양한 커서를 이용한 광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