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3407A -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3407A
KR20010063407A KR1019990060478A KR19990060478A KR20010063407A KR 20010063407 A KR20010063407 A KR 20010063407A KR 1019990060478 A KR1019990060478 A KR 1019990060478A KR 19990060478 A KR19990060478 A KR 19990060478A KR 20010063407 A KR20010063407 A KR 2001006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pages
internet
database
fie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운
권성희
Original Assignee
박태웅
주식회사 인티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웅, 주식회사 인티즌 filed Critical 박태웅
Priority to KR101999006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3407A/en
Publication of KR2001006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40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The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the home pages disposed on the Internet virtual spac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omepage search, to reform the Internet use environment, and to offer the recorded media which can read the program of implementing the method by a computer. CONSTITUTION: The feature of the homepage is determined(20). The field of the DB concerned to each feature is determined(21). The home page DB including the field is comprised(22). The DB is sorted in the same kind per field(23). Each home-page menu is displayed on a user screen as the same kind that is sorted by each field(24). When one of the home-pages is selected, the menu which shows the home-pages based on the other field is displayed on the selected home-page screen as the same kind that is sorted by each field(25).

Description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using the Inter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인터넷을 통한 가상 공간 위에서 만들어지는 홈 페이지(home page)들 혹은 동호회들은 보통은 그 홈 페이지 개설자의 취향이나 동호회의 개설 취지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런 홈 페이지나 동호회가 포탈 사이트의 서비스 메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제 혹은 흥미 분야와 같은 기준으로 홈 페이지나 동호회가 분류될 것이다.Home pages or groups created on a virtual space through the Internet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home page creator or the purpose of opening the club. When such a home page or a fellowship is included in the service menu of the portal site, the homepage or the fellowship may be classified based on a predetermined subject or interest field.

도 1은 포탈 사이트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홈 페이지를 분류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각 주제별 메뉴를 선택하면 그 주제를 더 세분화한 서브 메뉴가 표시되며, 그 서브 메뉴를 선택하면 그 하위 메뉴가 표시되거나 각 홈 페이지를 선택하는 메뉴가 나오게 된다. 이런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목적하는 홈 페이지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1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home page is classified in a conventional manner in a portal site. If you select a menu by each topic, a submenu that further refines the topic is displayed. When you select the submenu, the submenu is displayed or a menu for selecting each home page appears. By selecting such a menu, the user can use the information described on the desired home page.

그런데 이런 방식의 홈 페이지는 인터넷에서의 가상의 공간에서의 정보의 교류에는 적당할 수 있겠지만, 현실의 세계와는 약간 이질적인 면이 있다. 즉, 특정한 홈 페이지에 소개된 정보가 맘에 들어, 예를 들어 그 홈 페이지에 소개된 내용이 필요한 소품을 직접 만드는 방법에 대한 내용일 경우에 홈 페이지에 정보를 올린 홈 페이지 개설자를 직접 만나서 소품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지도를 받거나 혹은 필요한 소품 제작을 같이 할 수 있기를 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필요성은 인터넷을 통한 가상적인 공간이 확대될수록 오히려 더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와 홈 페이지 개설자가 지리적으로 비슷한 지역에 있어야 실제 생활에서 만나는 오프 라인(off line)에서의 교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is type of home page may be suitable for the exchange of information in virtual spaces on the Internet, but it is somewhat alien to the real world. In other words, if you like the information introduced on a particular home page, for example, how to create a prop that requires the content introduced on that home page, meet the home page creator who posted the information on the home page. You may want to be instructed on how to create a model or to be able to make the necessary props together. This need may be greater as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Internet expands. In this case, users and home page creators should be in geographically similar areas so that offline interactions in real life can be easily achieved.

만일 도 1과 같이 인터넷의 포탈 사이트에 소개된 홈 페이지를 이용한다면,사용자 입장에서는 주제별 혹은 취향별로 분류된 메뉴를 검색하고, 자신이 찾는 취향의 홈 페이지들을 찾고, 그 홈 페이지들 중에서 자신과 지역적으로 교류하기가 쉬운 홈 페이지를 별도로 골라야 한다는 불편이 생기게 된다.If you use the home page introduced on the portal site of the Internet as shown in Fig. 1, the user can search the menus classified by themes or tastes, find the home pages of his or her taste, and among them,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oose a separate home page that is easy to interact wit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를 분류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a program for classifying a home page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도 1은 포탈 사이트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홈 페이지를 분류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home page is classified in a conventional manner in a portal sit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를 분류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lassifying a home page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를 분류하는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페이지를 분류한 화면에서 선택 메뉴를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of a selection menu on a user screen in a screen in which a home pa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 한 메뉴를 선택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 screen of selecting a menu in FIG. 4.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를 분류하는 방법은,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홈 페이지에 대한 특징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단계;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들끼리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홈 페이지들을 검색할 때에,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를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lassifying a home page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including: determining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Determining a field of a database for each of the features for the home page; Constructing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the fields; Classifying a database of the home pages into the same categories for each of the fields; And when a user using the site searches for home pages, displaying a menu indicating each home page on a user screen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또한 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필드들 중 한 가지 필드에 기반한메뉴가 선택되어 상기 홈 페이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에 다른 필드들에 기반한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메뉴가 상기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also includes a menu indicating the home pages based on other fields on a screen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when a menu based on one of the field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one of the home pages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장치는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 각각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생성부;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저장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끼리 분류하는 데이터베이스분류부; 사용자가 상기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넷접속부; 및 상기 인터넷접속부에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상기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들을 표시하는 메뉴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은 상기 홈 페이지를 개설한 측이 소재한 지역과 상기 홈 페이지에서 다루는 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database for creating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fields for each of the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Generation unit; A databas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database; A databas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database into the same kind for each of the fields; An internet access unit used by a user to access the site via the Internet; And a menu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nu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by types classified by each field in the Internet access unit, wherein the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are displayed in the region where the home page is located and the home page. It includes a subject to be covered.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홈 페이지에 대한 특징들 각각에 대한 필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들끼리 분류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홈 페이지들을 검색할 때에,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를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필드들 중 한 가지 필드에 기반한 메뉴가 선택되어 상기 홈 페이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에 다른 필드들에 기반한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메뉴가 상기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Determining a field for each of the features for the home page; Constructing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the fields; Classifying a database of the homepages into the same categories for each of the fields; When a user who uses the site searches for home pages, displaying a menu indicating each home page on a user screen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And when a menu based on one of the field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one of the home pages is selected, a menu indicating the home pages based on other field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for displaying by type classified by fiel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결정하고(20 단계), 특징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를 결정하며(21 단계), 상기 필드들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22 단계). 데이터베이스를 필드별로 같은 종류들끼리 분류하며(23 단계),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를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사용자 화면에 표시한다(24 단계). 그리고 홈 페이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에 다른 필드들에 기반한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메뉴가 상기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표시한다(25 단계).Determine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step 20), determine the fields of the database for each of the features (step 21), and configure the database including the fields (step 22). The database is classified into the same types by field (step 23), and a menu indicating each home page is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by the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step 24). When one of the home pages is selected, a menu indicating the home pages based on other fields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ing the selected content by types classified by each field (step 2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will be described.

데이터베이스생성부(30)는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 각각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저장부(31)는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며, 데이타베이스분류부(32)는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끼리 분류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접속부(33)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며, 메뉴표시부(34)는 인터넷접속부(33)에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들을 표시한다.The database generation unit 30 generates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fields for each of the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and the database storage unit 31 stores the generated database, and the database classification unit ( 32 classifies a database into the same kind for each of the above fields. The user accesses the site through the Internet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3, and the menu display unit 34 displays menus representing each home page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on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3.

이하에서는 도 2의 방법과 도 3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method of FIG. 2 and the configuration of FIG. 3.

각 홈 페이지에 대한 특징으로 결정한다(20 단계). 이 특징은 홈 페이지를 개설한 개설자가 선택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자신의 홈 페이지에서 주로 다루는 주제를 홈 페이지를 개설할 때에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홈 페이지의 특징은 홈 페이지를 개설한 사람 혹은 단체의 주소를 기준으로 하는 지역으로 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이트에서 공간을 제공하여 홈 페이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홈 페이지를 개설하는 사람이나 단체의 주소가 등록되어야 할 것이므로 주소를 기준으로 하는 지역이 그 홈 페이지의 특징의 하나로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홈 페이지의 특징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을 것이다.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home page (step 20). This feature may be chosen by the creator of the home page. For example, you might want to specify a topic that your main home page covers when you open your home pag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page may be determined by the region based on the address of the person or organization who opened the home page. When the home page is provided by providing a space on the site, the address of the person or organization that establishes the home page will need to be registered, so an area based on the address may b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page. In addition, there may be a number of factors that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page.

이렇게 결정된 홈 페이지들에 대한 특징을 홈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들로 결정한다(21 단계). 예를 들어 홈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에 홈 페이지의 개설자의 이름 필드, 홈 페이지의 이름 필드, 홈 페이지 개설자의 주소 필드, 홈 페이지 개설자가 정한 홈 페이지의 주제, 홈 페이지의 다른 제1특징을 기재하는 제1특징 필드 등으로 필드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pages thus determined are determined as fields of the database for the home page (step 21). For example, when building a database for a home page, the name field of the creator of the home page, the name field of the home page, the address field of the home page creator, the topic of the home page as determined by the home page creator, and other first features of the home page. The field may be determined by using a first feature field or the like.

데이터베이스생성부(30)에서는 상기의 필드들을 포함하여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22 단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상용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31)는 상기의 동작이 일어나는 인터넷 사이트의 서버의 저장 장치, 예를 들면 HDD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database generator 30 configures a database of home pages including the above fields (step 22). You can use a commercial program to construct the database. The configured database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1. The database unit 31 may use a storage device of a server of the Internet site where the above operation occurs, for example, an HDD.

데이터베이스분류부(32)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데이터들을 필드별로 같은 종류끼리 분류한다(23 단계).The database classification unit 32 classifies the data of the database into the same kind for each field (step 23).

예를 들면, 홈 페이지들의 특징이 홈 페이지 개설자의 주소로 정해지는 지역과 그 홈 페이지가 다루는 주제로 결정된다고 하자. 이때에 각 홈 페이지의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있는 데이터들은 그 홈 페이지의 지역과 주제의 필드를 다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이때에 그 홈 페이지들을 지역이 같은 종류들끼리 분류할 수도 있고, 주제가 같은 종류로 분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각 홈 페이지는 지역으로 분류되는 종류와 주제별로 분류되는 종류의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pages are determined by the area that is addressed by the home page creator and the topics covered by the home page. At this time, the databased data of each home page will contain the home page's region and subject field. At this time, the home pages may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the same region or the same category. That is, each home page may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classified by region and one classified by subject.

사용자는 인터넷접속부(33)를 통해 홈 페이지들이 서비스되는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접속부(33)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와 같은 장치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화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상기 컴퓨터와 같은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access the site where the home pages are serviced through the Internet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33. The internet access unit 33 may be a screen in which a browser program used for internet access is executed on a display unit such as a monitor of a device such as a computer used by a user. Or it may be a device capable of running an Internet browser program such as the computer.

메뉴표시부(34)는 상기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인터넷접속부(33)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여 홈 페이지들을 검색할 때에,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를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사용자가 접속한 화면 즉, 인터넷 접속부(33)의화면에 나타낸다.When the user using the site accesses the site through the Internet access unit 33 and searches for home pages, the menu display unit 34 displays a screen in which the user accesses a menu representing each home page by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 On the screen of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3.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페이지를 분류한 화면에서 선택 메뉴를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홈 페이지를 선택하려는 화면은 주제별 분류와 지역별 분류로 구분되어 있다. 각 홈 페이지들은 주제별로 분류한 쪽과 지역별로 분류한 쪽에 다 포함되어 있다. 각 홈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는 주제별 특징에 대한 필드와 지역별 특징에 대한 분류가 다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각 홈 페이지의 주제들은 같은 종류별로 분류된다(23 단계).4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of a selection menu on a user screen in a screen in which a home pa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to select the home page is divided into thematic classification and the regional classification. Each home page is included in pages categorized by topic and pages categorized by region. The database for each home page contains both fields for topical features and a breakdown of regional features. The topics of each home page are classified by the same type (step 23).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주제들을 같은 종류로 분류한 것은 '건강과 의학', '교육', '뉴스', '컴퓨터/인터넷/정보통신', '...' 등과 같은 메뉴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각 홈 페이지는 지역별로 '광역시' 혹은 '도'의 메뉴로 분류되고, 각 분류마다 하위 분류 메뉴가 있을 수 있다. 즉, '광역시' 메뉴에는 '서울', '광주', '대구' 등의 하위 메뉴가 있고, '도'의 메뉴에는 '강원도', '경기도' 등과 같은 하위 메뉴가 있다. 각 하위 메뉴들은 필요시에는 자신의 하위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types, such as 'health and medicine', 'education', 'news', 'computer / internet / information communication', '...' appear. In addition, each home page may be classified into a menu of 'gwangsi' or 'province' by region, and each category may have a sub-category menu. That is, the 'Gyeonggi-si' menu has sub-menus such as 'Seoul', 'Gwangju', 'Daegu', and the 'Do' menu has sub-menus such as 'Gangwon-do' and 'Gyeonggi-do'. Each submenu may include its own submenus as needed.

사용자가 상기 필드들 중 한 가지 필드를 기준으로 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그 결과 상기 홈 페이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에 다른 필드들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메뉴가 상기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표시(25 단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능은 메뉴표시부(34)에서 실행된다.A user selects a menu based on one of the fields, and if one of the home pages is selected as a result, a menu indicating the home pages based on other fields on a screen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s preferably displayed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step 25). This function is executed in the menu display section 34.

도 5는 도 4에서 한 메뉴를 선택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컴퓨터/인터넷/정보통신' 메뉴를 선택하여, 주제별 분류의 한 메뉴를 선택하면 '컴퓨터/인터넷/정보통신'에 대한 홈 페이지들이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직접 홈 페이지에 대한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지만, 이 화면에는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혹은 홈 페이지를 포함하는 하위 메뉴를 가진 메뉴들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홈 페이지가 선택이 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하부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다시 메뉴들이 표시될 것이다. 이때에 도 5와 같은 화면이나 메뉴를 선택했을 때에 표시되는 각 화면마다 다른 필드를 기반으로 분류된 '지역별 분류로...'(52)라는 다른 종류별 홈 페이지 선택 메뉴가 같이 표시되면 다른 기준에 의해 홈 페이지들을 검색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제와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홈 페이지들을 분류했기 때문에, '지역별 분류로...'(52)라는 다른 종류별 선택 메뉴로 지역별 분류를 선택하는 메뉴가 나타내진 것이다. 이 '지역별 분류로...' 메뉴(52)가 선택이 되면, 도 4의 지역별 분류들이 표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5 illustrates a screen of selecting a menu in FIG. 4. In FIG. 4, when the 'Computer / Internet / Information Communication' menu is selected and a menu of a category is selected, home pages for 'Computer / Internet /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 displayed. In this example, the menu for the direct home p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but the screen may display menus representing the home page or having submenus including the home page.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menu, the corresponding home page may be selected, and when the menu including the submenu is selected, the menus are displayed again. At this time, when a screen or menu as shown in FIG. 5 is selected, a different home page selection menu called 'by region classification ...' 52 is classified based on different fields. It will be convenient to search the home page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me page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theme and the region, a menu for selecting the classification by region is shown by another kind of selection menu called 'by classification by region ...' 52. When the 'by classification by region' menu 52 is selected, a screen displaying the classifications by region of FIG. 4 may be displayed.

또한 지역별 분류를 선택하여 홈 페이지를 검색하는 화면에서는 '주제별 분류로...'라는 메뉴가 더 표시되도록 하는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display a menu of 'By category by topic' on the screen for selecting a category by region and searching a home page.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Examples included in the above description are introduc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examples do not limi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are possibl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CD-RW, magnetic tape, floppy disk, HDD, optical disk, magneto-optical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사이트에서 개설된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특징들을 포함하는 필드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필드의 종류별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여, 이 종류별로 분류된 홈 페이지들을 선택하는 메뉴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한 가지 특징 필드에 기반하여 필요한 홈 페이지를 선택하며, 이 선택 화면에서 다른 특징 필드에 기반하여 홈 페이지들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함으로 해서, 인터넷의 가상 공간상에서 무수히 개설된 홈 페이지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고, 홈 페이지들을 검색하는 환경이 개선되어 홈 페이지 검색의 효율이 높아지며, 인터넷을 사용하는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atabase having a field including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a home page opened in an Internet site is constructed, the home pages are classified by the types of fields included in the database, and the home pages classified by these types are selected. By displaying a menu on the screen used by the user, by selecting a required home page based on one feature field, and providing a menu for searching the home pages based on another feature field on the selection scree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lassify home pages opened in the virtual space of the Internet, improve the environment for searching home pages, improve the efficiency of home page search, and improve the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Claims (5)

인터넷 사이트에 개설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opened on an Internet site, (a)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결정하는 단계;(a) determining features indicative of the home pages; (b) 상기 홈 페이지에 대한 특징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를 결정하는 단계;(b) determining a field of a database for each of the features for the home page; (c)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단계;(c) constructing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the fields; (d)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들끼리 분류하는 단계; 및(d) classifying a database of the home pages into the same categories for each of the fields; And (e) 상기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홈 페이지들을 검색할 때에,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를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e) when a user using the site searches for home pages, displaying a menu indicating each home page on a user screen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wherein the home page i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How to classify th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f)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필드들 중 한 가지 필드에 기반한 메뉴가 선택되어 상기 홈 페이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에 다른 필드들에 기반한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메뉴가 상기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f) When a menu based on one of the field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one of the home pages is selected, a menu indicating the home pages based on other fields is displayed on a screen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s are displayed. And classifying the home pages installed in the Internet virtual sp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은 상기 홈 페이지를개설한 측이 소재한 지역과 상기 홈 페이지에서 다루는 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And wherein the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in step (a) include a region where the home page is located and a subject covered by the home page. 인터넷상의 사이트에 개설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classifying home pages opened on a site on the Internet,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 각각에 대한 필드들을 포함하는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생성부;A databa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fields for each of the features representing the home pages; 상기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저장부;A databas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database;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끼리 분류하는 데이타베이스분류부;A databas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database into the same kind for each of the fields; 사용자가 상기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넷접속부; 및An internet access unit used by a user to access the site via the Internet; And 상기 인터넷접속부에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상기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들을 표시하는 메뉴표시부를 포함하며,And a menu display unit which displays menus representing the respective home pages by types classified by each field in the Internet access unit.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은 상기 홈 페이지를 개설한 측이 소재한 지역과 상기 홈 페이지에서 다루는 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장치.The home page may be classified into home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page includes a region where the homepage is located and a subject covered by the homepage. 인터넷 사이트에 개설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omprising a method of classifying home pages opened on an Internet site, the method comprising: (a)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결정하는 단계;(a) determining features indicative of the home pages; (b) 상기 홈 페이지에 대한 특징들 각각에 대한 필드를 결정하는 단계;(b) determining a field for each of the features for the home page; (c) 상기 홈 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단계;(c) constructing a database for the home pages including the fields; (d) 상기 홈페이지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필드별로 같은 종류들끼리 분류하는 단계;(d) classifying databases of the homepages into the same categories for each field; (e) 상기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홈 페이지들을 검색할 때에, 각 홈 페이지를 나타내는 메뉴를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e) when a user using the site searches for home pages, displaying a menu indicating each home page on a user screen for each type classified by each field; And (f)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필드들 중 한 가지 필드에 기반한 메뉴가 선택되어 상기 홈 페이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에 다른 필드들에 기반한 상기 홈 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메뉴가 상기 각 필드별로 분류된 종류별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설치된 홈 페이지들을 분류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f) When a menu based on one of the field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one of the home pages is selected, a menu indicating the home pages based on other fields is displayed on a screen on which the selected contents are displayed. And displaying a program for classifying home pages installed in an Internet virtual space,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the sorted types classified by the respective fields.
KR1019990060478A 1999-12-22 1999-12-22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KR200100634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78A KR20010063407A (en) 1999-12-22 1999-12-22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78A KR20010063407A (en) 1999-12-22 1999-12-22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407A true KR20010063407A (en) 2001-07-09

Family

ID=1962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478A KR20010063407A (en) 1999-12-22 1999-12-22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340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62A (en) * 1999-12-30 2001-07-11 김영준 Internet site map using graphics divided with theme and connecting service method using the map
KR20010102814A (en) * 2000-05-02 2001-11-16 황용길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website by using client program and record media readable by computer having the program
KR20010102687A (en) * 2000-05-04 2001-11-16 정만원 Method and System for Web Documents Sort Using Category Learning Skill
KR20020001300A (en) * 2000-06-27 2002-01-09 전병국 Apparatus for detecting web site addres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62A (en) * 1999-12-30 2001-07-11 김영준 Internet site map using graphics divided with theme and connecting service method using the map
KR20010102814A (en) * 2000-05-02 2001-11-16 황용길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website by using client program and record media readable by computer having the program
KR20010102687A (en) * 2000-05-04 2001-11-16 정만원 Method and System for Web Documents Sort Using Category Learning Skill
KR20020001300A (en) * 2000-06-27 2002-01-09 전병국 Apparatus for detecting web site addr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2452A (en) Hotel database inquiry system
Terveen et al. Constructing, organizing, and visualizing collections of topically related web resources
KR100653506B1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converted in response to search request
US5671409A (en) Computer-aided interactive career search system
US5832472A (en) Enhanced electronic encyclopedia
Mitra Characteristics of the WWW text: Tracing discursive strategies
JPH09153059A (en) History display method
Paliouras et al. Discovering user communities on the Internet using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Chimah et al. Information resources, retrieval and utilization for effective research in tertiary and research institutions
Quiroga et al. Reducing cognitive load
JP2002351916A (en) Device and method for retrieving web information and program making computer execute this method
Lazarinis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arching tools on Greek museum websites
Wissel et al. Telling the story of a collection with visualizations: A case study
JP4076194B2 (en) Information sharing device
WO2001035714A2 (en) A graphic language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a graphic navigation method for retriev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database and an internet search engine
KR20010063407A (en) Method for classifying home pages established in cyber space of internet and apparatus thereof
McKay et al. Enhanced browsing in digital libraries: three new approaches to browsing in Greenstone
Kukka et al. UbiLibrary: Situated large public display as interactive interface to library services
KR20020014026A (en) News tracker and analysis service based on web personalization
US20060282464A1 (en) Multi-dial system for inter-channel surfing of digital media files
Newcomer The detail behind web-scale: Selecting and configuring web-scale discovery tools to meet music information retrieval needs
JP6963372B2 (en) Business car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earch result display program
Ciccone MyLibrary@ NCState: A library portal after five years
August et al. Mobile web searching
KR102062832B1 (en) Paper cur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