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979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979A
KR20010060979A KR1019990063442A KR19990063442A KR20010060979A KR 20010060979 A KR20010060979 A KR 20010060979A KR 1019990063442 A KR1019990063442 A KR 1019990063442A KR 19990063442 A KR19990063442 A KR 19990063442A KR 20010060979 A KR20010060979 A KR 2001006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horizontal
image
vertic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0979A/en
Publication of KR2001006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97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4Details of sampling or holding circuits arranged for use in a driver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PM(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is provided to release a power reducing state of the DPM mode by sampling image signals and sensing a change of the image signals in the case that a monitor receives the image signal directly not by an input device after the user sets the DPM node at the computer. CONSTITUTION: The system comprises an input device(100), a personal computer(110), and a monitor(120). The personal computer(110) outputs RGB image signals and horizontal/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under a control of variable image decision signal or designated DMP mode. The monitor(120) displays the RGB image signal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horizontal/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by sensing a change of the RGB image signals and transmitting the variable image decision signals to the PC(110). The monitor(120) includes a AD converter(121), a microcomputer(122) and a video device(123). The micro computer(122) controls the display of the RGB image signals according to a transmission of the horizontal/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and senses a level change of the image signals.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power management of a compute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Display Power Management : 이하, "디피엠"이라 함) 모드를 설정한 후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없이 모니터로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디피엠 모드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한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power management of a computer system, and in particular, a user sets an image power management mode of a computer system and then inputs it through an input device. An image power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a computer system configured to cancel a power saving mode of a DMP mode while the image signal is received by sampling the image signal and detecting a change in the image signal when the image signal is received by the monitor without;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인 디피엠 모드는 사용자가 일정시간이상 입력장치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입력되지 않으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 DM mode detects whether a user inputs a signal through an input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system and operating the computer system in a power saving mode to prolong the life of the device. do.

도 1은 종래 컴퓨터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0)와; 상기 입력장치(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실행함과 아울러 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기설정된 디피엠 모드에 따라 출력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 이하, "피씨"라 함)(20)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에 동기를 맞춰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3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comprising: an input device 10 for inputting data for a user to execute or change a program as displayed therein; A predetermined PMP for storing and executing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0 and displaying the image signals R, G,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for displaying the same.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20 which outputs according to the mode; And a monitor 30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s R, G, and B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Vsync.

그리고, 상기 피씨(20)는 실행 프로그램 및 디피엠 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21)와; 상기 입력장치(10)의 입력 데이터에 의해 상기 기억장치(21)를 억세스하여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디피엠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22)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2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30)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23)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30)는 상기 피씨(20)로 부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입력받아 그에 동기를 맞춰 상기 영상신호(R)(G)(B)의 디스플레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1)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부(32)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PC 20 includes a storage device 21 for storing an execution program and a DM mode setting program; In addition to executing the stored program by accessing the storage device 21 by the input data of the input device 10, the image signal (R) (G)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according to the preset DM mode A central processing unit 22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A video output unit for generating the image signal (R) (G)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and outputs to the monitor (30) 23), and the monitor 30 receive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from the PC 20 to match the synchronization of the video signal (R) (G) (B) A microcomputer 31 for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A video unit 32 for displaying the video signals R, G, and B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사용자가 피씨(20)의 운영체계(Operating System)상에서 입력장치(10)를 통해 디피엠 모드를 설정하면, 이에 상기 피씨(20)내 중앙 처리 장치(22)는 이를 기억장치(21)에 저장하게 된다.When the user sets the DM mode through the input device 10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C 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in the PC 20 stores it in the storage device 21. Done.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22)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 출력부(23)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 및 영상신호(R)(G)(B)를 생성하여 모니터(30)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30)내 마이크로 컴퓨터(31)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23)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입력받아 이에 동기를 맞춰 비디오부(32)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2, the video output unit 23 generates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and an image signal (R) (G) (B) to monitor 30. The microcomputer 31 in the monitor 30 receive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Vsync) of the video output unit 23 and controls the video unit 32 in synchronization with it. Thus, the video signals R, G, and B are displayed.

이 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22)는 상기 기억장치(21)에 저장된 디피엠 모드의 절전모드 설정 시간동안 상기 입력장치(10)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상기 비디오 출력부(23)에서 모니터(30)로 출력되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monitors 30 at the video output unit 23 if there is no input from the input device 10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setting time of the DM mod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1. It block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that is output to.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1)는 상기 피씨(20)로 부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가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비디오부(32)를 통해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중단시키고 절전 모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computer 31 does not receive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from the PC 20, the microcomputer 31 transmits the image signal R (G) ( The operation of displaying B) is stopped and the power saving mode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종래 사용자가 디피엠 모드의 절전 모드 시간 설정후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이 없는 경우 피씨에서 수평/수직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음에 따라 모니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실제 피씨가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없이 상기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동영상과 같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수동으로 상기 디피엠 모드의 절전 모드 설정을 해제하거나 상기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불필요한 입력을 인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no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user sets the power saving mode time of the PD mode, the monitor operates in the power saving mode because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output from the PC. When outputting a video signal such as a video in excess of the DMP power saving mode setting time without inputting the input device, manually canceling the power saving mode setting of the DMP mode or turning off the input device within the PMP power saving mode setting tim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input should be appli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디피엠 모드 설정후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없이 모니터를 통해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디피엠 모드의 절전 모드 설정을 일시 해제하도록 한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When the user receives an image signal through a monitor without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after setting the DM mode of the computer system, the image signal is sampl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power management of a computer system to temporarily cancel a power saving mode setting of a DM mode while the video signal is received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video signal.

도 1은 종래 컴퓨터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에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영상신호 샘플링 타이밍도.3 is a video signal sampling timing diagram of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in FIG. 2;

도 4는 도 2의 동작 흐름도.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200 : 입력장치 110,210 : 피씨100,200: input device 110,210: PC

111,124,211 : 기억장치 112,213 : 중앙 처리 장치111,124,211 Memory 112,213 Central Processing Unit

113,224 : 비디오 출력부 120,220 : 모니터113,224: Video output unit 120,220: Monitor

121,212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122,221 : 마이크로 컴퓨터121,212: Analog-to-Digital Converters 122,221: Microcomputers

123,222 : 비디오부123,222 Vide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이 되면모니터로부터의 가변 영상 판별 신호에 따라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알지비 영상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와; 상기 피씨로부터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를 맞춰 알지비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상기 피씨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피씨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니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Algibi video signal provid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from the monitor when the time setting of the PMP power saving mode And a PC for outputting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ting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of the PC by displaying an ALGBI video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from the PC, and detecting a change in the video signal and applying a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to the PC.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nitor the control.

그리고, 본 발명은 디피엠 모드가 설정되면 각 프래임의 수직 동기 신호에서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갖도록 하여 영상신호를 2회씩 샘플링한 후, 두 값을 비교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두 값이 동일하면, 정지 화면으로 판단하여 디피엠 모드중 절전 모드 동작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두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으로 판단하여 디피엠 절전 모드를 해지한 후 상기 제1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sampling a video signal twice by setting different delay times in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each frame when the DM mode is set, and then comparing the two values; If the two values are the same a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step, determining that the image is a still image and performing a power saving mode operation in the DM mode and terminating it; If the two values are not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irst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video or motion screen is a third step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 after canceling the PDM power sav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은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이 되면 영상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가변 영상 판별 신호에 따라 알지비 영상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를 맞춰 알지비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C for outputting the ALG video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the change of the video signal when the time setting of the DM power saving mode; And a monitor for displaying an ALG video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and eff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디스플레이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00)와; 상기 입력장치(100)의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을 변경 및 실행함과 아울러 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가변 영상 판별 신호 또는 기설정된 디피엠모드의 제어를 받아 출력하는 피씨(110)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에 동기를 맞춰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R)(G)(B)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상기 피씨(110)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피씨(110)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니터(120)로 구성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mput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input device 100 for inputting data for executing or changing a program by a user as displayed thereon; The image signal R (G)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for changing and executing a program and displaying the same by the input of the input device 100 ar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s. Or PC 110 for outputting under control of a preset DM mode; By synchronizing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Vsync), the image signals (R) (G) (B) are displayed and the change of the image signals (R) (G) (B) is sensed. The monitor 12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of the PC 110 by applying a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to the PC 110.

그리고, 상기 피씨(110)는 실행 프로그램 및 디피엠 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111)와; 상기 입력장치(100)의 입력 데이터에 의해 상기 기억장치(111)를 억세스하여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과 아울러 기설정된 디피엠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이 되면 모니터(120)로부터 인가되는 가변 영상 판별 신호에 따라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 및 영상신호(R)(G)(B)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112)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120)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113)로 구성하며, 상기 모니터(120)는 마이크로 컴퓨터(1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신호(R)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1)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인가유무에 따라 영상신호(R)(G)(B)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1)를 통해 영상신호(R)를 수직 동기 신호(Vsync)로부터 서로 다른 지연시간(D1)(D2)을 갖도록 비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 상기 영상신호(R)의 레벨 변화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피씨(110)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출력을 제어하는 상기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22)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부(123)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C 110 includes a storage device 111 for storing an execution program and a DM mode setting program; In addition to executing the stored program by accessing the storage device 111 by the input data of the input device 100, the image signal (R) (G) (B) and horizontal / Controls the output of the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and when the time setting for the DM power saving mode is reache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and the image according to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applied from the monitor 120 A central processing unit (112)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ignals (R) (G) and (B); A video output unit for generating the image signal (R) (G)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and outputs to the monitor 120 ( 113, wherein the monitor 120 compris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21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R into a digital signal by a control signal from a microcomputer 122;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image signals R, G, and B is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is applied, and the image signal R is controlled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21. Sampling aperiodically from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o have different delay times D1 and D2 to detect the level change of the image signal R, so that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PC 110 A microcomputer (122) for outputting said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Hsync) (Vsync); And a video unit 123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s R, G, and B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22. FI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3 and FIG. 4.

사용자가 피씨(110)의 운영체계상에서 디피엠 모드를 입력장치(100)를 통해 설정시의 동작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이를 입력받은 중앙 처리 장치(112)는 이를 기억장치(111)에 저장한 후, 비디오 출력부(113)를 통해 모니터(120)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모니터(120)는 마이크로 컴퓨터(122)에서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검출하여 그에 동기를 맞춰 비디오부(123)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한다.The operation when the user sets the DM mode through the input device 100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C 110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receiving the input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11, and then output to the monitor 120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113, the input monitor 120 is a microcomputer ( A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is detected at 122, and the video signals R, G, and B are displayed through the video unit 12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signals Hsync.

이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는 디피엠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인가받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도 3과 같이 수직 동기 신호(Vsync)에서 지연시간(D1)만큼 지연되게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R)를 샘플링한후, 다음 프래임의 수직 동기 신호(Vsync)에서 동일한 지연시간(D1)만큼 지연되게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1)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R)를 샘플링하여 이전 값과 비교한다.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outputs a DM mode signal, and the microcomputer 122 receives the analog / digital signal to be delayed by a delay time D1 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s shown in FIG. 3. After sampling the video signal R input through the converter 121,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21 to be delayed by the same delay time (D1) 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of the next frame Sample (R) and compare with previous value.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상기 도 3과 같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1)를 통해 수직 동기 신호(Vsync)에서 지연시간(D2)만큼 지연되게 입력되는 영상신호(R)를 각 프래임에 대해 2회 샘플링한 후, 두 값을 비교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microcomputer 122 inputs an image signal R, which is delayed by a delay time D2, from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21 to each frame. After sampling twice, the two values are compared.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중 일부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Vsync)로 부터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갖도록 비주기적으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21)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영상신호(R)를 전 로우(row)에 걸쳐 각각의 포인트를 2회 샘플링한 후, 각각의 포인트에서의 그 샘플링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값이면 정지화면으로 판단하나 다른 값이면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이라고 판단한다.Therefore, the microcomputer 122 controls the control signal to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21 aperiodically to have a different delay time from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a part of the entire image display area. After sampling each point of the video signal (R) over the entire row (twice) twice, the sampling values at each point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that the image is the same as a still image, but It is judged that it is a video or motion screen.

그리고, 설정된 디피엠 절전 모드 시간을 초과하여 입력장치(100)로 부터 입력이 없으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는 상기 모니터(120)내부의 마이크로 컴퓨터(122)로부터의 가변 영상 판별 신호에 따라 상기 모니터(12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R)(G)(B)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정지화면인지 움직임이 있는 화면인지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no input from the input apparatus 100 in excess of the set DM power saving mode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according to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22 inside the monitor 1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creen displayed by the image signals R, G, and B output to the monitor 120 is a still picture or a moving picture.

따라서, 상기 모니터(120)내부의 마이크로 컴퓨터(122)로부터의 가변 영상 판별 신호에 따라 상기 피씨(110)에서 모니터(12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R)(G)(B)가 정지화면이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는 상기 디피엠 절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refore, when the image signal R (G) (B) output from the PC 110 to the monitor 120 according to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22 inside the monitor 120 is a still image, The CPU 112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MP power saving mode.

즉,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는 비디오 출력부(113)에서 모니터(120)로 출력되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차단하고, 이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상기 비디오부(123)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절전모드로 동작한다.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block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113 to the monitor 120, so that the microcomputer 122 is connected to the video uni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123 is stopped and the power saving mode is operated.

그러나, 비디오 출력부(11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R)(G)(B)가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중 일부분에서라도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이면, 상기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통해 이를 입력받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는 상기 디피엠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However, if the video signals R, G, and B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113 are moving or moving screens even in a part of the entire image display area, the center received the signals through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The processing device 112 releases the DMPO power saving mode.

따라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의 제어를 받은 상기 비디오 출력부(113)는 모니터(120)로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 및 영상신호(R)(G)(B)를 출력하며, 이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에 동기를 맞춰 비디오부(123)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ly, the video output unit 113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sends a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and an image signal (R) (G) (B) to the monitor (120). The microcomputer 122 displays the image signals R (G) (B) through the video unit 12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그 후,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이 정지하면, 이를 감지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2)는 다시 디피엠 절전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Afterwards, when the moving picture or the moving screen stops, the microcomputer 122 that detects this outputs a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that receives the input signal performs the PDM power saving mode operation again. do.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적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디스플레이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 또는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00)와; 상기 입력장치(200)의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을 변경 및 실행함과 아울러 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출력하며, 디피엠 모드 설정시 영상신호(G)의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차단하는 피씨(210)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에 동기를 맞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20)로 구성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s shown therein, an input device 200 for inputting data for a user to execute or change a program; Outputs a video signal (R) (G) (B) and a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for changing and executing a program and displaying the program by the input of the input device 200, and A PC 210 for blocking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image signal G when the M mode is set; The monitor 220 displays the image signals R, G, and B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그리고, 상기 피씨(210)는 실행 프로그램 및 디피엠 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211)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신호(G)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2)와; 상기 입력장치(200)의 입력 데이터에 의해 기억장치(211)를 억세스하여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과 아울러 설정된 디피엠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출력을 제어함에 있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2)를 통해 영상신호(G)의 레벨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레벨 변화에 따른 가변 영상 판별 신홀ㄹ 생성시킨 후, 이에 따라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213)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214)로 구성하며, 상기 모니터(220)는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입력받아 그에 동기를 맞춰 상기 영상신호(R)(G)(B)의 디스플레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21)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부(222)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PC 210 includes a memory device 211 for storing an execution program and a DM mode setting program;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212)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G) into a digital signal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3); In addition to executing the stored program by accessing the storage device 211 by the input data of the input device 200, the image signal (R) (G) (B)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set DM mode In controlling the output of (Hsync) (Vsync), after detecting the level change of the image signal (G)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12 to generate a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cene according to the level change of the image signal, According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3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And a video output unit 214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image signals R, G, and B and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3. The monitor 220 includes a microcomputer 221 which receive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and controls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image signals (R) (G) (B)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d a video unit 222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s R, G, and B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21. The operation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detail. Explain.

사용자가 피씨(210)의 운영체계상에서 디피엠 모드를 입력장치(200)를 통해 설정시이를 입력받은 중앙 처리 장치(213)는 이를 기억장치(211)에 저장한 후, 비디오 출력부(224)를 통해 모니터(220)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모니터(220)는 마이크로 컴퓨터(221)에서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검출하여 그에 동기를 맞춰 비디오부(222)를 통해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3, which has received the user's setting of the DM mode through the input device 200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C 210, stores it in the storage device 211, and then the video output unit 224. The monitor 220 outputs the monitor 220 through the monitor 220, and the monitor 220 receive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from the microcomputer 221 and synchronizes the image to the image through the video unit 222. Display signals R (G) (B).

이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는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중 일부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구간(1수직 동기 구간은 1화면, 즉, 1프레임으로 구성)내에 입력되는 영상신호(G)를 비주기적으로 샘플링하도록 제어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2)로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3 inputs an image signal input in a vertical sync signal Vsync section (one vertical sync section consists of one screen, that is, one frame)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a part of the entire image display area.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12 so as to sample (G) aperiodically.

따라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2)로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갖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체 로우에 걸쳐 각 포인트를 2회 샘플링하며, 각 포인트의 샘플링한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값이면 정지화면으로 판단하나, 동일하지 않으면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이라고 판단한다.Accordingly, the CPU 213 outputs a control signal having a different delay time to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212 and samples each point twice over the entire row, and compares the sampled values of each point. If it is the same value, it is determined as a still image, but if it is not the same value, it is determined as a video or motion screen.

그리고, 설정된 디피엠 절전 모드 시간을 초과하여 입력장치(200)로 부터 입력이 없으면,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는 상기 영상신호(G)를 샘플링한 신호의 비교값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R)(G)(B)가 정지화면이면 디피엠 절전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f there is no input from the input device 200 in excess of the set DM power saving mode time, the CPU 213 may perform the video signal R based on a comparison value of a signal obtained by sampling the video signal G. If (G) (B) is a still pictur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DM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즉,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는 비디오 출력부(214)에서 모니터(220)로 출력되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차단하고, 이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21)는 상기 비디오부(222)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절전모드로 동작한다.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13 block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214 to the monitor 220, so that the microcomputer 221 is the video unit. Operation 222 is interrupted and the power saving mode is operated.

그러나, 비디오 출력부(21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R)(G)(B)가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중 일부분에서라도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이면, 중앙 처리 장치(112)에서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생성시킨 후, 이에 따라 상기 디피엠 절전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비디오 출력부(214)는 상기 모니터(220)로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 및 영상신호(R)(G)(B)를 출력하며, 이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21)는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에 동기를 맞춰 비디오부(222)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R)(G)(B)를 디스플레이한다.However, if the video signal R (G) (B)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214 is a moving picture or a moving screen even in a part of the entire video display area,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12 may output a variable video discrimination signal. After the generation, the video output unit 214 transmit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Vsync) and the image signal (R) (G) (B) by releasing the PMP power saving mode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221 displays the image signals R, G and B through the video unit 222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and Vsync. do.

그 후,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이 정지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3)는 다시 디피엠 절전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Afterwards, when the moving picture or the moving screen is stopped, the CPU 213 detecting the moving picture performs a decode power saving mode operation again.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피엠 절전 설정시 피씨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후,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 신호의 변화 유무에 따라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입력장치를 통한 불필요한 입력 및 중단없이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detects a change in the image signal by aperiodically sampling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PC when setting the DM power saving mode, the image signal is reached when the DM power saving mode is set.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change, the display of the image signal can be performed without unnecessary input and interrup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Claims (9)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이 되면 가변 영상 판별 신호에 의해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알지비 영상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를 맞춰 알지비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피씨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니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A PC for outputting an ALGBI image signal and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variable image discrimination signal when the DC power saving mode is set; And a monitor configured to display an ALGBI video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and to detect a change in the video signal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of the PC. Video power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인가유무에 따라 알지비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영상신호의 레벨 변화를 감지하여 피씨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가변 영상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지비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 compris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by a control signal; A variable that controls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ALGBI video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is applied or not, and detects the level change of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of the PC. A microcomputer for outputting an image discrimination signal; And a video unit for displaying the AlgiVie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를 받아 알지비 영상신호중 하나의 영상신호를 샘플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is configured to sample one of the Al-Gibi video signals under control of a microcompu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중 일정부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지연을 갖도록 영상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crocomputer samples the video signal aperiodically to have a different delay from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a certain portion of the entire video display area. Video power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computer system. 디피엠 절전 모드 설정 시간이 되면 영상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알지비 영상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를 맞춰 알지비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A PC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video signal and outputting an ALGBI video signal and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when the PDM power saving mode is set; And a monitor configured to display an ALGBI video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씨는 실행 프로그램 및 디피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와;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상기 기억장치를 억세스하여 디피엠 설정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영상신호의 레벨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 및 알지비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지비 영상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PC comprises: a memory device for storing an execution program and a PM program;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by a control signal;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Algivy image signal by detecting the level change of the video signal throug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when the memory device is accessed and the DM is set; And a video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the algibi video signal and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는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를 받아 알지비 영상신호중 하나의 영상신호를 샘플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is configured to sample one video signal of an ALGBI video signal under control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영역중 일정부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지연을 갖도록 영상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amples the video signal aperiodically to have a different delay from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in order to detect a change in a certain portion of the entire video display area. Image power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a computer system. 디피엠 모드가 설정되면 각 프래임의 수직 동기 신호에서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갖도록 영상신호를 2회씩 샘플링한 후, 두 값을 비교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두 값이 동일하면, 정지 화면으로 판단하여 디피엠 모드 동작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두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동영상이나 움직임이 있는 화면으로 판단하여 디피엠 모드를 해지한 후 상기 제1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 전력 관리 제어 방법.A first step of sampling a video signal twice each time so as to have a different delay time from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of each frame when the DM mode is set, and comparing the two values; If the two values are the same a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step, determining that the image is a still image, and performing and ending a DM mode operation; If the two values are not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step, the computer comprises a third step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 after canceling the DM mode by determining that the video or motion screen Video power management control method of system.
KR1019990063442A 1999-12-28 1999-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KR200100609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442A KR20010060979A (en) 1999-12-28 1999-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442A KR20010060979A (en) 1999-12-28 1999-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979A true KR20010060979A (en) 2001-07-07

Family

ID=1963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442A KR20010060979A (en) 1999-12-28 1999-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097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86B1 (en) * 2001-07-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100488516B1 (en) * 2002-02-05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error dete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686B1 (en) * 2001-07-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100488516B1 (en) * 2002-02-05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error dete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6911B2 (en) Display system with single/dual image modes
JP2001356729A (en) Picture display device
KR19980019698A (en) Surveillance screen split display device and method
US70270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error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0100609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management of computer set
KR200600162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 channel video in monitoring digital video recorder
JP2002369096A (en) Television receiver
KR2003000654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hase of sampling clock in the LCD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332779B1 (en) Enha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n screen display data
KR100275042B1 (en) Method and device of auto sensing video signal in a monitor
KR10035981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display data channel in digital monitor
KR100261583B1 (en) Lcd monitor with a sampling control function
KR100201257B1 (en) Method & apparatus for compensating position of on screen display in the image system with multi-picture division function
JP353140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0459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nsing input mode of a display device
KR1003794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lection input signal of LCD monitor
JPH1091132A (en) Picture display device
KR200100773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JPH11231857A (en) Sampling clock generation device
JPH08205132A (en) Monitor camera controller
KR100255652B1 (en) The master changing method of synchronous signal in graphic overlayer and apparatus therefor
KR0178182B1 (en) Automation screen ratio transformation circuit
KR940008880B1 (en) Information displayer and displaying method in vtr
KR19990056559A (en) Noise reduction method and device
JPH11311985A (en) Video effective area det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