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620A -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620A
KR20010055620A KR1019990056866A KR19990056866A KR20010055620A KR 20010055620 A KR20010055620 A KR 20010055620A KR 1019990056866 A KR1019990056866 A KR 1019990056866A KR 19990056866 A KR19990056866 A KR 19990056866A KR 20010055620 A KR20010055620 A KR 20010055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locking
locking p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1686B1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86B1/en
Publication of KR2001005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cup holder securely supports a cup independently of the size of the cup and is easy to use. CONSTITUTION: A cup holder includes a cup supporting part, a supporting device and a maintaining device. The cup supporting part is where a cup is placed and vertically movable and comprises a circular supporting board(11) with a sunken central part and a cylindrical engaging bar(12) connec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board(11). The cup supporting device is interlocked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up supporting part, supports the cup not to move when the cup supporting part descends and comprises a pair of vertical members(21), an operating member(22) and a supporting member(23). The maintaining device holds the cup supporting part lowered and comprises a cylindrical member(31), a coiled spring(32), a case(33) and a locking guid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33).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Cup Holder for Cars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 음료가 든 컵이 흔들리거나 음료가 쏟아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that supports a cup containing a beverage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shake or spills when the vehicle is driven.

최근 들어,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자동차 내에 탑승객의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이 다양하게 설치되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various devices or devices for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in various ways.

이러한 편의 기구들 중의 하나로, 컵 홀더가 있다. 이 컵 홀더는 차내에서 음용 중인 컵이나 음료수 캔 등을 올려놓기 위한 기구로서, 탑승객이 음용 중인 음료가 쏟아지지 않게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One such convenience mechanism is a cup holder. The cup holder is a device for placing a drinking cup or a drink can in the car, and provides convenience for passenger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olding the drink while drinking.

이러한 자동차용 컵 홀더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an automotive cup holder is shown in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컵 홀더(1)는 내부가 빈 상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인스트루먼트 패널(3)의 중앙에 서랍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 컵 홀더(1)의 상면에는 한 쌍의 관통공(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he automobile cup holder 1 has an empty box shape inside, and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nstrument panel 3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rawer type. A pair of through-holes 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1.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컵 홀더(1)를 인스트루먼트 패널(3)로부터 빼 낸 다음, 관통공(2)을 통해 컵(4)을 컵 홀더(1)에 안치한다. 그러면, 관통공(2)의 내주면이 컵(4)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컵(4)이 흔들리지 않게 한다.Accordingly, the user removes the cup holder 1 from the instrument panel 3 and then places the cup 4 in the cup holder 1 through the through hole 2. T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4 so that the cup 4 does not sha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홀더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p holder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컵 홀더는, 관통공의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컵을 수용할 경우, 컵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컵이 흔들림으로써 컵의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어 컵 홀더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up holder shown in Fig. 1,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is fixed constantly. Therefore, when accommodating a cup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cup is not properly supported and the contents of the cup may be poured out by shaking the cup so that the cup holder does not function properly.

또한, 종래에는 컵 홀더를 사용하기 위해 컵 홀더를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빼 내어야 하는 등 그 사용에 불편한 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onventional inconvenience in that the cup holder must be removed from the instrument panel in order to use the cup hold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의 크기에 관계없이 컵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사용도 편리한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utomobiles, which can reliably support a cup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up and is also easy to us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up holder for a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서 컵 받침부 및 이 컵 받침부와 지지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support and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up support and the support member in FIG.

도 5는 도 3에서 유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ing unit in FIG.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유지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6A to 6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holding unit illustrated in FIG. 5.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컵 9 ; 컵 홀더4 ; Cup 9; Cup holder

11 ; 받침판 12 ; 결합 바11; Base plate 12; Combined bar

21 ; 수직 부재 22 ; 작동 부재21; Vertical member 22; Working member

23 ; 지지 부재 31 ; 원통 부재23; Support member 31; Cylindrical member

32 ; 코일 스프링 33 ; 케이스32; Coil spring 33; case

34 ; 록킹 가이드 34b ; 걸림턱34; Locking guide 34b; Jam

35 ; 록킹 핀35; Locking pin

상기의 목적은, 자동차의 운행시 컵이 움직여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컵을 지지하는 것으로, 컵이 놓여지며, 상하로 승강될 수 있는 컵 받침부; 컵 받침부의 승강에 연동되며, 컵 받침부의 하강시 컵 받침부에 놓여진 컵이 움직이지 않도록 컵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컵 받침부를 하강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to support the cup to prevent the contents of the cup from spilling when the car is driven, the cup is placed, the cup support which can be lifted up and down; A support part interlocked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up support and supporting the cup so that the cup placed on the cup support does not move when the cup support is lowered; And a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cup support in the lowered state.

지지부는 컵 받침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둘 이상의 수직 부재; 일측단은 컵 받침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중간 일측은 각 수직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어, 컵 받침부의 승강에 의해 그 타측단이 상하로 선회이동되는 둘 이상의 작동 부재; 및각 작동 부재의 타측단에 고정된 호형 부재로서, 컵 받침부의 하강에 따른 작동 부재의 선회시 그 내주면이 컵 받침부에 놓여진 컵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컵을 지지하는 둘 이상의 지지 부재를 가진다.The support includes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support; One or mor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support and the middle one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each vertical member, the other end of the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to move up and down by lifting the cup support; And an arc-shaped member fixed to the other end of each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placed on the cup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cup when the operating member rotates due to the lowering of the cup support portion.

작동 부재는 컵 받침부의 컵 쪽을 향하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가 컵 받침부에 놓여진 컵의 직경에 관계없이 컵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oward the cup side of the cup support. Thereby, the support member can reliably support the cup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of the cup placed on the cup support portion.

유지부는 컵 받침부의 하측에 설치된 원통 부재; 원통 부재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록킹 핀; 원통 부재를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컵 받침부가 하강될 때마다 록킹 핀의 록킹 및 해제를 교대로 수행하는 록킹 가이드를 가진다.The holding portion is a cylindrical member provided below the cup support portion; A locking pin protruding from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ylindrical member upwardly; And a locking guide alternately performing locking and releasing of the locking pin each time the cup support is lowered.

록킹 가이드는 컵 받침부의 승강시 록킹 핀의 이동을 안내하며, 록킹 핀이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록킹 핀의 하강은 허용하지만 상승은 방해하는 걸림턱을 가진다. 또, 록킹 가이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며, 케이스의 상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록킹 핀이 설치된 원통 부재의 하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로 수용된다.The locking guide guides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in when the cup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the guide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locking pin is also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part to allow the locking pin to descend but prevent the rising of the locking jaw. Has In addition, the locking guide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case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provided with the locking pin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nd is received inside the c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9)는 자동차의 콘솔 박스(5)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utomobile cup holder 9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box 5 of the automobil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는, 크게 컵 받침부와 지지부와 유지부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support part, a support part, and a holding part.

컵 받침부는 도 4에 좀 더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가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원형의 받침판(11)과, 받침판(11)의 하단에 결합된 원통형의 결합 바(12)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 부재(11)의 오목부 바닥면에는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바(12)의 상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바(11)의 상단이 오목부의 관통공(11a)을 관통하여 너트(13)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받침판(11)과 결합 바(12)는 서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공(11a)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 바(12)의 상면에는 관통공(11a)에 끼워지는 회전 방지턱(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 바(12)의 중앙부는 원통형 대신 납작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지지부의 작동 부재(22)(후술됨)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ure 4, the cup support is composed of a circular support plate 11 formed in the center concave downward, and a cylindrical coupling bar 1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11). The through hole 11a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11, and the screw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bar 12.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supporting plate 11 and the coupling bar 12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bar 11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a of the concave portion with the nut 13. Preferably, the through hole 11a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a rotation preventing jaw 12a fitted to the through hole 1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ar 12. 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upling bar 12 has a flat plate shape instead of a cylindrical shape. This is for connection with the actuating member 22 (described below) of the support.

지지부는, 한 쌍의 수직 부재(21)와 작동 부재(22)와 지지 부재(23)를 가지고 있다.The support portion has a pair of vertical members 21, an operation member 22, and a support member 23.

한 쌍의 수직 부재(21)는 받침판(11)의 하측에 소정 간격으로 세워져 있으며, 그 하단은 고정 브라켓(4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참고로, 고정 브라켓(41)은 콘솔 박스(5) 내부의 일측 패널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9)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pair of vertical members 21 are erec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 41. For reference, the fixing bracket 41 is for fixing the cup holder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ne side panel inside the console box 5.

작동 부재(22)는 일측에 비해 타측이 훨씬 더 긴 대략 'V'형의 부재로서, 그절곡부(22a)가 수직 부재(21)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은 결합 바(12)에 결합되어 있다.The actuating member 22 is a substantially 'V' shaped member that is much longer on the other side than the one side, and the bent portion 22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21,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bar ( 12).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수직 부재(21)에는 그 상단을 가로질러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 부재의 절곡부(22a)가 그 세로홈에 끼워져 고정핀(2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22)의 일측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 바(12)의 평판부(12b)에는 원형의 관통공(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작동 부재(22)의 일측단이 각각 결합 바(12)의 평판부(12b)를 개재하여 위치되고, 결합용 볼트(25)가 한 쌍의 장공(22b) 및 관통공(12c)을 관통하여 너트(미도시)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작동 부재(22)와 결합 바(12)는 서로 결합된다. 이때, 결합용 볼트(25)는 작동 부재(22)의 장공(22b)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vertical member 21 is formed with a longitudinal groove across the upper end, the bent portion 22a of the operat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is coupled by a fixing pin 24 It is. In addition, a long hole 22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2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ircular through hole 12c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12b of the coupling bar 12. Accordingly, one side end of the pair of operating members 22 is positioned via the flat plate portion 12b of the coupling bar 12, respectively, and the coupling bolt 25 has a pair of long holes 22b and through holes. The actuation member 22 and the engagement bar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astened with a nut (not shown) through 12c. At this time, the coupling bolt 25 is fastened to be easily moved along the long hole (22b) of the operation member (22).

각각의 작동 부재(22)의 타측에는 호형상,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의 지지 부재(23)가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22)와 지지 부재(23)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side of each operating member 22, an arc-shaped, preferably semi-circular, support member 23 is fixed. Preferably, the operation member 22 and the support member 2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참고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지지부를 이루는 수직 부재(21)와 작동 부재(22)와 지지 부재(23)가 각각 한 쌍씩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수직 부재(21)와 작동 부재(22)와 지지 부재(23)가 각각 여러 개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member 21, the operation member 22, and the support member 23 constituting the support part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pai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vertical member 21, the operation member 22 and the support member 23 may be made of several pieces, respectively,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유지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부재(31)와, 코일 스프링(32)과,케이스(33)와, 케이스(33)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록킹 가이드(34)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holding part has a cylindrical member 31, a coil spring 32, a case 33, and a locking guide 34 form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case 33.

케이스(33)는 고정 브라켓(41)의 상면의 한 쌍의 수직 부재(21)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의 부재며, 상면에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33)의 일측면을 이루는 측면판(33a)이 걸림턱과 걸림홈에 의해 케이스(33)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측면판(33a) 내면에 록킹 가이드(34)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 가이드(34)는 도 6a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34a)와 가이드부(34a)의 중간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34b)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ase 33 is a hexahedral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41, and a circular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side plate 33a constituting one side of the case 33 is coupled to the case 33 main body by a locking jaw and a locking groove, and a locking guide 34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33a. have. As shown in detail in FIG. 6A, the locking guide 34 includes a guide part 34a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one side and a locking step 34b formed at an intermediate side of the guide part 34a.

원통 부재(31)는 그 상단에 스토퍼(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받침부의 결합 바(12) 하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케이스(33)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케이스(33)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부재(31)의 하부 일측에는 록킹 가이드(34)와 상호작용하는 록킹 핀(35)이 설치되어 있다. 록킹 가이드(34)의 걸림턱(34b)은 록킹 핀(35)이 걸림턱(34b)을 넘어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ylindrical member 31 has a stopper 31a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under the coupling bar 12 of the cup suppo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3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33. It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33. And,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member 3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35 to interact with the locking guide 34. The locking jaw 34b of the locking guide 34 allows the locking pin 35 to move downward beyond the locking jaw 34b, but preven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cking pin 35.

코일 스프링(32)은 원통 부재(31)의 스토퍼(31a)와 케이스(33)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원통 부재를(31) 상방으로 탄력지지하고 있다.The coil spring 32 is provided between the stopper 31a of the cylindrical member 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3 to elastically support the cylindrical member 31 upwar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9)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action of the automotive cup holder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컵 홀더(9)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의 지지 부재(23)는 컵(4)의 직경보다 훨씬 크게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며, 컵 받침부의 받침판(11)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의 록킹 핀(35)은 도 6a에서와 같이 록킹 가이드(34)로부터 벗어나 록킹 가이드(34)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 부재(31)는 코일 스프링(32)의 탄성으로 컵 받침부를 상방으로 지지한다.First, when the cup holder 9 is not used,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member 23 of the support portion is kept in a state that is muc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p 4, and the support plate 11 of the cup support portion. It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And, the locking pin 35 of the holding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locking guide 34, away from the locking guide 34 as in FIG. 6A. Therefore, the cylindrical member 31 supports the cup support part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32.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컵(4)을 컵 받침부의 받침판(11)에 올려놓고 컵(4)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컵 받침부와 컵 받침부의 하측에 위치된 원통 부재(31)가 스프링(32)의 탄성을 이기고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컵 받침부의 결합 바(12)에 결합된 지지부의 작동 부재(22)는 결합 바(12)의 하강에 따라 그 절곡부(22a)를 중심으로 그 타측이 컵(4) 쪽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작동 부재(22)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 부재(23)가 컵(4) 쪽으로 이동되어 컵(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컵(4)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작동 부재(22)와 지지 부재(23)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컵(4)의 크기가 약간 작거나 커더라도, 지지 부재(23)는 컵(4)의 크기와 형상에 맞추어 컵(4)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ts the cup 4 on the support plate 11 of the cup support portion and presses the cup 4 downward, the cylindrical member 31 located below the cup support portion and the cup support portion has a spring ( 32) to overcome the elasticity and move downwards. At this time, the operation member 22 of the support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2 of the cup support portion is rotated toward the cup 4 with the other side about the bent portion 22a as the coupling bar 12 descends. As a result, the support member 23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member 22 is moved toward the cup 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4 to support the cup 4. Here, since the operation member 22 and the support member 23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support member 23 is the size and shape of the cup 4 even if the size of the cup 4 is slightly smaller or larger. The cup 4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move.

그리고, 컵 받침부와 함께 원통 부재(31)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원통 부재(31)에 설치된 록킹 핀(35)이 록킹 가이드(34)의 가이드부(34a)에 접촉되어 가이드부(34a)를 따라 경사지게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원통 부재(31)는 록킹 핀(35)을 따라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원통 부재(31)가 계속 하강하면, 록킹 핀(35)은 걸림턱(34b)을 넘어서서 걸림턱(34b) 하측에서 걸림턱(34b)에 걸리게 된다(도 6b 참조). 이때, 사용자가 컵(4)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록킹 핀(35)은 록킹 가이드(34)의 걸림턱(34b)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받침부는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고, 컵(4)은 지지부(23)에 의해 움직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된다.Then, when the cylindrical member 31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cup support, the locking pin 35 provided on the cylindrical member 31 contacts the guide 34a of the locking guide 34 to guide the 34a. It is moved downward along the slope. Accordingly, the cylindrical member 31 is moved downward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locking pin 35. If the cylindrical member 31 continues to descend, the locking pin 35 will be caught by the locking step 34b below the locking step 34b beyond the locking step 34b (refer FIG. 6B). At this time,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cup 4, the locking pin 35 is held in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step 34b of the locking guide 34.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the cup support is kept in the lowered state, and the cup 4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moved or shaken by the support 23.

다시 컵(4)을 들어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의 상태에서 컵(4)을 하방으로 더 가압한다. 그러면, 원통 부재(31)의 록킹 핀(35)은 록킹 가이드(34)의 가이드부(34a)를 따라 하방으로 더 이동되어 가이드부(34a)의 하단을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컵(4)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원통 부재(31)는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록킹 핀(35)은 걸림턱(34b)이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부(34a)의 반대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도 6c). 이에 따라 록킹 핀(35)이 걸림턱(34b)에 걸리지 않으므로, 원통 부재(31) 및 록킹 핀(35)은 원래 위치까지 상승된다. 원통 부재(31)가 상승되는 것에 의해 컵 받침부도 상승되며, 컵 받침부의 결합 바(12)에 결합된 지지부의 작동 부재(22)는 컵(4)의 반대측, 즉 바깥쪽으로 선회되어 지지 부재(23)는 컵(4)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컵 홀더(9)는 도 7에 도시된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If you want to drink the cup 4 again to drink, in the state of Figure 8 the cup 4 is further pressed downward. Then, the locking pin 35 of the cylindrical member 31 is further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34a of the locking guide 34 to leave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34a.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up 4 in this state is removed, the cylindrical member 31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2. At this time, the locking pin 35 is moved upward along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portion 34a in which the locking step 34b is not formed (FIG. 6C). Accordingly, since the locking pin 35 is not caught by the locking step 34b, the cylindrical member 31 and the locking pin 35 are rais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s the cylindrical member 31 is raised, the cup support portion is also raised, and the operation member 22 of the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engagement bar 12 of the cup support portion is pivo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up 4, that is, to the outside, so that the support member ( 23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4. As a result, the cup holder 9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shown in FIG. 7.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컵 받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작동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작동 부재와 지지 부재가 컵의 반경 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컵의 직경에 맞추어 컵을 지지하므로, 컵의 크기에 상관없이 컵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컵 대신 핸드폰과 같이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물건을 움직이지 않게 수납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넓은 장점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pressing the cup support downward, so that its use is very simple and convenient.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re pivo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up to support the cup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c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p can be reliably suppor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up.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store the objects that are easily damaged by the impact, such as a mobile phone instead of a cup, there is also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y as many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6)

자동차의 운행시 컵이 움직여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컵을 지지하는 것으로,By supporting the cup to prevent the cup from moving and spilling the contents of the cup when the car is running, 상기 컵이 놓여지며, 상하로 승강될 수 있는 컵 받침부;A cup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cup is placed and which can be lifted up and down; 상기 컵 받침부의 승강에 연동되며, 상기 컵 받침부의 하강시 상기 컵 받침부에 놓여진 상기 컵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컵을 지지하는 수단; 및Means for supporting the cup so as to be linked to the lifting of the cup support and to prevent the cup placed on the cup support from moving when the cup support is lowered; And 상기 컵 받침부를 하강된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And a means for maintaining the cup support in a lower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support means 상기 컵 받침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둘 이상의 수직 부재;At least two vertical members erected vertically under the cup support; 일측단은 상기 컵 받침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중간 일측은 상기 각 수직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컵 받침부의 승강에 의해 그 타측단이 상하로 선회이동되는 둘 이상의 작동 부재; 및One or mor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support and the middle one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vertical member, the other end of the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to move up and down by lifting the cup support; And 상기 각 작동 부재의 타측단에 고정된 호형 부재로서, 상기 컵 받침부의 하강에 따른 작동 부재의 선회시 그 내주면이 상기 컵 받침부에 놓여진 컵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컵을 지지하는 둘 이상의 지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At least two support members fix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operation membe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placed on the cup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cup when the operation member is rotated according to the lowering of the cup support portion Cup hold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컵 받침부의 컵 쪽을 향하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컵 받침부에 놓여진 컵의 직경에 관계없이 상기 컵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3. The actuating member of claim 2, wherein the actua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oward the cup side of the cup support, so that the support member can reliably support the cup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cup placed on the cup support. Car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lding means 상기 컵 받침부의 하측에 설치된 원통 부재;A cylindrical member provided below the cup support portion; 상기 원통 부재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록킹 핀;A locking pi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상기 원통 부재를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ylindrical member upwardly; And 상기 컵 받침부가 하강될 때마다 상기 록킹 핀의 록킹 및 해제를 교대로 수행하는 록킹 가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And a locking guide for alternately locking and releasing the locking pin whenever the cup support portion is lower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이드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guide 상기 컵 받침부의 승강시 상기 록킹 핀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록킹 핀이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와,A guide part formed to be inclin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in when the cup support is lifted and to move the locking pin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핀의 하강은 허용하지만 상승은 방해하는 걸림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cup holde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jaw that allows the lowering of the locking pin but prevents the ri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이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록킹 핀이 설치된 원통 부재의 하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로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According to claim 5, The locking guid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case having a hexahedral shape, the through surfac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in which the locking pin is installed penetrates the through hole inside the case Car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ccommodated as.
KR1019990056866A 1999-12-11 1999-12-11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KR100361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66A KR100361686B1 (en) 1999-12-11 1999-12-11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66A KR100361686B1 (en) 1999-12-11 1999-12-11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20A true KR20010055620A (en) 2001-07-04
KR100361686B1 KR100361686B1 (en) 2002-11-21

Family

ID=1962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66A KR100361686B1 (en) 1999-12-11 1999-12-11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8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792B1 (en) * 2002-10-07 2005-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automobile
CN109515630A (en) * 2018-12-29 2019-03-26 宁波祝立机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anging clamp cup holder
KR102251571B1 (en) * 2021-01-06 2021-05-13 (주)플레토로보틱스 Apparatus for supplying beverage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895B1 (en) 2011-04-05 2013-02-27 (주)굿센스 Holder for mobile ph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792B1 (en) * 2002-10-07 2005-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automobile
CN109515630A (en) * 2018-12-29 2019-03-26 宁波祝立机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anging clamp cup holder
CN109515630B (en) * 2018-12-29 2023-09-26 宁波祝立机械科技有限公司 Marine fixed cup holder
KR102251571B1 (en) * 2021-01-06 2021-05-13 (주)플레토로보틱스 Apparatus for supplying beve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686B1 (en)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3793B2 (en)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s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JP2004042895A (en)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
KR100361686B1 (en)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KR100980665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20070039629A (en) Device for holding cups
KR20030024989A (en) Cup holder of an automobile
KR20010050997A (en) Holder for a drinks container in a motor vehicle
KR100324390B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KR100488789B1 (en) Cup holder for car
KR20020026712A (en) Cup holder device of console box for automobile
KR102395177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0146479B1 (en) Cup holder
KR20050041216A (en) Cup holder
CN110356306B (en)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KR0153197B1 (en) Drink holder for a car
KR0136834Y1 (en) Drink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KR100483792B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KR19980036692U (en) Automotive Cup Holders with Console Leads
KR920008335Y1 (en) Vehicle cup holder
KR0126307Y1 (en) Cup-holder for a vehicle
KR0116322Y1 (en) A cup holder
KR200276614Y1 (en) The drink receptacle holding apparatus for a car
KR0114525Y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